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료내 아미노산비가 흰쥐의 성장 , 도체성분 , 조직 유리아미노산 농도 및 뇨내 질소배설량에 미치는 영향

        신종서,라창식,김창혁,김병완,송영한 한국영양사료학회 1999 韓國營養飼料學會誌 Vol.23 No.4

        본 논문에서는 아미노산 혼합사료를 이용하여 사료내 질소 수준을 1.6N%로 일정하게 조절한 후 ET%의 단계적 변화(30, 50, 70ET%)가 휜쥐의 성장, 체성분, 혈중요소태 질소, 조직내 유리아미노산 농도 및 뇨중 질소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되었다. 1. 증체량은 30ET%구에서 유의적으로 낮게(P<0.05) 나타났으나 사료섭취량은 50ET%구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 증체량과 사료섭취량간에는 높은 상관이 인정되었다. 2. 도체 및 간장의 성분은 사료내 ET%의 변화에 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혈중 유리아미노산의 농도는 사료내 ET%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였으며 특히 threonine 농도는 30ET%구에 비하여 70ET%구가 약 35배 정도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또한 총 필수아미노산의 농도는 사료내 ET%의 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비필수아미노산 농도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간장 및 근육내 총필수아미노산과 비필수아미노산의 농도도 혈중 아미노산의 농도 변화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4. 사료내 ET%에 따른 질소 배설량은 저 ET%구에 비하여 고 ET%구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사육초기 보다 사육후기에 높은 질소 배설량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사료내 아미노산 조성은 중체량과 사료섭취량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조직내 아미노산 농도 및 질소 배설량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정제 아미노산을 사료에 첨가할 때에는 비필수아미노산의 함량도 고려함으로서 효율적으로 사료의 이용성을 중진시키는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T(essential amino acid/total amino acid) ratio variations (30, 50, 70 ET%) in the feeds on growth, body composition, blood urinary nitrogen, concentration of free amino acids in tissues and urinary nitrogen of rats. The nitrogen level in feed was constantly maintained at 1.6% with a purified amino acid, despite the difference in ET ratios.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Body weight gain and feed intake was significantly lower and higher in 30 and 50 ET% than in other groups, respectively(P<0.05), and body weight gain was highly correlated with feed intake. 2. No ET% ratio effects on composition of carcass and liver were observed. 3. The concentration of plasma free amino acids varied with ET% ratios in the feeds, especially the concentration of threonine in 70 ET% was 35 times higher than that in 30 ET%. The concentration of total essential amino acids was significantly elevated by increasing ET% ratios in the feeds. In liver and muscle, the patterns of total essential amino acids and nonessential amino acids were similar to that of plasma amino acids. 4. Urinary nitrogen concentration increased with higher ratios of ET% in the feeds, and was higher in early growth stage than in late growth stag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mino acid composition in the feeds influence the concentration of amino acids in tissue and urinary nitrogen as well as body weight and feed intake.

      • KCI등재

        사료용 복합생균제가 브로일러의 생산성과 닭고기 품질에 미치는 영향

        신종서,엄경환,김창래,최윤서,박희진,이혜선,박병성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19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6 No.3

        An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240 broiler chickens (ROSS 308)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supplementation of a probiotic feed mixture (PFM) including Bacillus subtillus, Streptomyces galilaeus, and Sphingobacteriaceae on growth performance and quality of chicken meats. Broiler chickens were randomly allocated to one of four treatment groups: 1) CON (no PFM as control), 2) CP3 (0.3% commercial probiotics), 3) PFM3 (0.3% PFM), and 4) PFM5 (0.5% PFM 0.5). They were then reared for 35 days. Body weigh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CP3, PFM3, and PFM5 compared to that in CON (p<0.05). In addition, PFM3 and PFM5 had higher body weights then CP3 (p<0.05). Weights of F-sac, thymus, and spleen and IgG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P3, PFM3, and PFM5 than those in CON (p<0.05). In addition, they were higher in PFM3 and PFM5 than those in CP3 (p<0.05). Broiler chickens fed diet with PFM3, PFM5, and CP3 also had higher numbers of Lactobacillus in cecum than broiler chickens fed CON diet (p<0.05). However, their numbers of E. coli, Salmonella, coliforms, and total aerobic bacteria were significantly reduced (p<0.05). Water holding capacity of breast meat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PFM3 and PFM5 compared to that in CON and CP3 (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etary 0.3% probiotic feed mixture including Bacillus subtillus, Streptomyces galilaeus, and Sphingobacteriaceae may improve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of broiler chickens. 브로일러의 생산성과 닭고기의 품질에 미치는 Bacillus. subtillus, Streptomyces galilaeus 및 Sphingobacteriaceae로 구성된 사료용 복합생균제(PFM, probiotic feed mixture)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병아리 (Ross 308) 240마리를 4개의 처리구로 나누어 35일간 사육하였다. 처리구는 사료용 복합 생균 제를 함유하지 않은 대조구(CON, control), 일반생균제(CP3, commercial probiotics 0.3%), 사료용 복합 생균제 3(PFM3, 사료용 복합 생균제 0.3%), 사료용 복합 생균제 5(PFM5, 사료용 복합 생균제 0.5%)로 구분하였다. 체중은 CON과 비교할 때 CP3, PFM3, PFM5가 높았고 PFM3, PFM5는 CP3에 비해 우수하였다(p<0.05). F낭, 흉선, 비장의 무게 및 IgG 수준은 CON과 비교할 때 PFM3, PFM5 및 CP3에서 증가하였으며 PFM3, PFM5는 CP3에 비해 높았다(p<0.05). 맹장의 Lactobacillus 균수는 PFM3, PFM5 및 CP3를 섭취한 브로일러가 CON에 비해서 높았으나 E.coli, Salmonella, coliforms, 총호기성 균수는 감소하였다(p<0.05). PFM3 및 PFM5를 섭취한 닭 가슴살의 보수력은 CON 및 CP3와 비교할 때 증가하였다(p<0.05). 결론적으로 Bacillus subtillus, Streptomyces galilaeus 및 Sphingobacteriaceae를 포함하는 사료용 복합생균제 0.3%가 브로일러의 생산성과 닭고기 품질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 친환경 한우 생산을 위한 메탄 저감용 사료 배합 및 적정 사육밀도에 관한 연구

        신종서,최병양,김미정,김승기,라창식,Shin, Jong-Suh,Choi, Byoung-Yang,Kim, Mi-Jung,Kim, Sung-Gi,Ra, Changsix 한국축산환경학회 2011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7 No.suppl.

        본 연구는 친환경 한우생산을 위해 다양한 원료사료의 선택 및 구성비율 변경을 통해 메탄 저감용 사료배합비의 작성 및 적정 사육밀도에 관한 연구를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메탄 저감용 사료배합에 활용한 원료사료는 파쇄 옥수수와 알팔파 외 21종이었다. 또한 적정 사육밀도를 조사하기 위한 공시동물은 평균 체중 150 kg의 한우 송아지 12두를 선정하여 4개월간 실험을 수행하였다. TMR 1, 2, 3에 비해 TMR 4에서 약 3~4배정도 낮은 메탄가스 발생량을 보였으며, 사료가격에서도 저렴한 결과를 보였다. TMR 4는 TMR 1, 2 및 3에 비해 건물 소실율에서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메탄생성량은 24~37%정도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한편, 한우 육성우의 적정 사육밀도 실험에서 저밀도 ($18m^2/head$) 및 일반 처리구 ($9m^2/head$)는 과밀도 처리구 ($6m^2/head$)에 비해 총 증체량, 일당증체량 및 사료요구율이 개선되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건강과 질병에 관련된 혈액성분에서 저밀도 및 일반 처리구는 영양대사 및 건강에 관련된 total protein, glucose, AST, ALT 및 GGT 농도가 과밀도 처리구에 비해 효과적으로 개선되는 결과를 보였다. 체위 발육(development of body size)의 경우 저밀도 및 일반 처리구의 체중, 흉폭, 요각폭 및 곤폭은 고밀도 처리구에 비해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특히, 저밀도 처리구는 일반 처리구보다 체위발육이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그리고 저밀도 및 일반 처리구는 고밀도 처리구에 비해 깔짚의 수분 함량, 대장균 및 콕시듐의 조절에서도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이와같이 한우 육성우의 적정 사육밀도는 두당 $6m^2$ 이상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원료사료의 선택 및 구성비율 변경을 통해 메탄 생성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사료자원의 배합비 조정으로 메탄 저감용 사료생산의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며, 사육밀도는 한우의 성장과 발육에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적절한 원료사료의 선택 및 구성비율 변경을 통해 메탄 발생량 조절의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며, 사육밀도는 한우의 성장과 발육에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mixing ratio of raw feed materials for the methane mitigation and also to identify the minimum rearing density for improving the productivity of beef calves as eco-friendly fodder. Raw materials used in this study for the formulation of feed for methane reduction were crushed corn and alfalfa along with other 21 species. In addition, to investigate the appropriate rearing density, 12 Hanwoo calves with average weight of 150 kg was selected and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four months. Methane gas emission (Bo) is about 3-4 times less in TMR 4 compared to TMR 1, 2 and 3. Feed price calculated for TMR 4 ration was also affordable. In addition, all TMRs showed a normal ruminal pH. Disappearance rate was observed to be lower in TMR 4 as compared to TMR 1, 2 and 3, but methane production decreased by 24 to 37%. The result showed improved total body weight, average daily gain and feed conversion ratio in rearing low-density ($18m^2/head$), and general treatment ($9m^2/head$) compared to overcrowding treatment ($6m^2/head$). In addition, blood components (total protein, glucose, AST, ALT and GGT factors) involved in health and disease treatments and health-related nutrition metabolism are lower in the low-density and general treatment compared to the high density treatment. Postural development (development of body size) i.e., weight, height and width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low and general density treatment compared to high density treatment. Especially excellent improvement was observed in low-density treatment than the general treatment. Moisture content, colonic bacteria and coccidium are higher in low and high density treatments than in the general treatment. The adequacy for beef rearing density is considered to be more desirable in an area more than $6m^2/head$. In conclusion, present study suggests that possibility of methane reduction through adjusting mixed feed ration. Also, rearing density is also an important factor i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beef calves.

      • KCI등재

        복합생균제가 산란계의 생산성, 계란품질 및 악취저감에 미치는 영향

        신종서,엄경환,이정윤,최윤서,박희진,이혜선,박병성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19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6 No.3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effects of probiotic mixture (PM) including Bacillus subtillus, Streptomyces galilaeus and Sphingobacteriaceae on egg production, egg quality, and eliminating odor in laying hens. A total of 240 Hy-Line Brown laying hens (50 wks of age) were divided into four treatment groups (60 replicates of birds, each) in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Groups were assigned to four experimental diets: CON (a basal diet of no PM additive as control), basal diet supplemented with either CP3 (0.3% commercial probiotics), PM3 (0.3% PM), or PM5 (0.5% PM 0.5). Data of egg production and egg quality were obtained during 6 weeks of experimental period. Egg production, Haugh unit, shell thickness, breaking strength, yolk color, and albumin high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CP3 and PM3 compared to those in CON and CP3. Ammonia levels and numbers of E. coli, total aerobic bacteria, Coliform, and Salmonella in fec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order of CON>CP3>PM3>PM5. The present study indicates that addition of 0.3% probiotic mixture including B. subtillus, S. galilaeus and Sphingobacteriaceae to diets may improve egg production, egg quality, and eliminate fecal ammonia of laying hens. 본 연구는 계란 생산성, 계란품질 및 악취저감에 관한 Bacillus subtillus, Streptomyces galilaeus 및 Sphingobacteriaceae로 구성된 복합생균제(PM, probiotic mixture)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산란계 Hy-Line Brown 240수를 4처리구로 구분하여 6주 동안 사육하였다. 처리구는 복합생균제를 함유하지 않은 대조구(CON, control), 일반생균제(CP3, commercial probiotics 0.3%), 복합생균제 3(PM3, 복합생균제 0.3%), 복합생균제 5(PM5, 복합생균제 0.5%)로 구분하였다. 산란율, 계란 호우유니 트, 난각두께, 난각강도, 난황색 및 농후난백 높이는 PM3, PM5가 CON 및 CP3에 비해서 높았다. 계분으로부터 암모니아, E. coli, 총호기성균, Coliform, Salmonella 균수는 CON>CP3>PM3>PM5 순서로 증가하였다. 본 결과는 B. subtillus, S. galilaeus 및 Sphingobacteriaceae로 구성된 복합생균제 0.3%가 산란율, 계란품질 개선 및 분에서 암모니아 발생을 낮추어 양계장 악취저감 효과를 갖는다는 점을 보여 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