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유효공선행록>의 감정 표출 양상과 서술의식

        고은임 ( Ko Eunim ) 한국고소설학회 2021 古小說 硏究 Vol.52 No.-

        본고는 <유효공선행록>의 가족관계에 나타난 감정 표출 양상을 살펴, 가족 간 증오와 학대의 대물림 현상과 그 서술의식을 논의한 연구이다. 유연은 작품 내에서 성인으로 추앙된 인물로, 포악한 부친 유정경과 간험한 동생 유홍의 지독한 괴롭힘 속에서도 효제(孝悌)의 가치를 추구하였다. 그는 강도 높은 폭언과 폭행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데도 자신을 향한 가족의 학대를 학대라 인지하지 못하고, 그들에 대한 부정적 감정을 극도로 억압하는 한편 자책하는 방식으로 고통을 감내했다. 그런데 부친과 동생을 향해 억압되었던 그의 부정적 감정은 아내 정씨, 아들 유우성, 그리고 장인 정관을 향해 과잉 표출되고 만다. 그리고 그런 환경에서 자란 유우성은 어려서부터 불안과 우울을 경험하며, 패륜적 사건을 일으키는 문제아가 된다. 특히 아내 이소저를 폭행함으로써 자신을 혐오하는 아버지에 대한 원한과 분노의 감정을 왜곡된 방식으로 분출하는데, 이는 기실 유연의 감정 표출 방식이 반복 재생산된 것으로, 강박적인 효우를 고수하며 자신을 증오하던 부친과 동생에 대해서는 부정적 감정을 억압한 반면, 아내와 아들에 대해서는 왜곡된 부정적 감정을 쏟았던 유연의 모습이 유우성에게서 보다 증폭되어 나타난 것이라 할 수 있다. 유연은 서술자에 의해 지속적으로 성인, 군자로 추앙되었으나 그가 아내와 아들에게 보이는 구체적 모습은 성인이나 군자의 형상과는 거리가 멀었다. 즉 유연에 대한 서술자의 발화와 구체적 장면에서 형상화된 유연의 모습 사이에 큰 괴리가 발생하는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괴리가 발생한 데 대해 두 가지 측면에서 논의한바, 우선 <유효공선행록>이 강하게 위계화된 감정질서에 기반한 작품이라는 점을 주목했다. 감정의 적절성에 있어 고려되어야 하는 상황 맥락보다 위계관계에 따른 차별적 감정질서를 압도적으로 우선하는 서술의식 하에서 창작되었기에 유연의 비합리적이며 부당해 보이는 감정들도 구체적 장면에서 노출될 수 있었다고 생각된다. 가부장제 하에서 위계상 ‘윗사람’ 유연이 ‘아랫사람’에 해당하는 형성가족, 즉 아내와 아들에게 행한 폭언, 폭행 정도는 그의 명예를 훼손하지 않는, 용인 가능한 일이라는 의식기반이 있었던 것이다. 둘째, 유연을 훌륭하게 그리려는 서술자의 의식지향과 무관하게, 현실적 모습을 충실히 묘사하려는 작가적 충동이 작동한 결과 유연과 같은 인물 형상이 그려질 수 있었다고 보인다. 당대의 인간과 그 삶을 상세히 관찰하고 그 현실태를 구체적으로 그려내려는 작가적 충동, 리얼리즘 충동에서, 유연의 위대함 혹은 효제의 가치를 말하려던 서술자의 의식지향과는 상반된 장면들이 탄생했던 것이다. 그 결과 부자관계에서 폭력적이며 억압적 상황에 놓여 있던 유연의 고통, 그로 인한 신체적, 정신적 문제, 그 문제들의 대물림 상황까지 서사화될 수 있었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discusses the legacy of familial resentment and abuse by examining the emotional expression patterns of family relationships in Yuhyogongseonhaengrok (Mr. Yu Hyo's Records of Good Deeds, 柳孝公善行錄). Yoo Yeon, the protagonist, is a saint-like and revered figure in the work who pursues the values of filial piety (孝悌) despite the brutal harassment of his tyrannical father, Yoo Jeong-gyeong, and scheming and sinister younger brother, Yoo Hong. While he is constantly the subject of intense verbal and physical abuse, he does not recognize this treatment as abusive; he endures the pain while feeling guilty and suppresses any negative feelings toward his family. However, his negative feelings toward his father and younger brother are amplified in his treatment of his wife, Ms. Jeong, son Yoo Woo-seong, and father-in-law, Mr. Jeong. Yoo Woo-seong, having grown up in such an environment, experiences anxiety and depression from a young age, eventually becoming a problem child who acts out in depraved ways. He expresses his resentment and anger toward his father by misdirecting it into beating his wife, Yi So-jeo. Yoo Yeon’s emotional expression along with his intense filial piety, suppressing negative emotions toward his father and brother, is amplified through its repetitive occurrence in the novel. Yoo Yeon is revered as a saint and man of honor by the narrator; however, this is in contrast of the image of himself that he reveals to his wife and son. There is a clear disconnect between the portrayal of the narrator and Yoo Yeon’s behavior in the novel's scenes. This study discusses this particular disconnect from two perspectives; first, from the fact that Yuhyogongseonhaengrok is a work heavily based on a hierarchical emotional structure. This narrative consciousness overwhelmingly prioritizes a discriminatory emotional structure governed by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s over the situational context normally considered for emotional appropriateness. This is revealed by the unreasonable and unfair emotional burst by Yoo Yeon in specific scenes. It is based on the understanding that the verbal and physical abuse perpetrated by Yoo Yeon, a supposedly superior person in the hierarchy, to those lower down on the hierarchy―his wife and son―was considered acceptable and not damaging to his reputation. Second, regardless of the narrator’s intention to portray Yoo Yeon in a positive light, the impulse to present him in a realistic manner resulted in this depiction of Yoo Yeon as a two-faced character. Scenes that stand in contrast to the narrator’s intention about Yoo Yeon’s greatness or the values of filial piety are evidence of an adherence to realism and the author’s impulse toward recording the realities of contemporary life in detail. As a result, this work shows how Yoo Yeon’s suffering through a violent and oppressive relationship with his father caused him physical and psychological ailments, and goes further to detail the circumstances of how these problems were passed down through the generations.

      • KCI등재

        한글장편소설 남성인물의 ‘공감’에 대하여 : 『명행정의록』의 ‘위천유’를 주목하며

        고은임(Ko, Eun-Im) 한국문학회 2020 韓國文學論叢 Vol.84 No.-

        한글장편소설은 상층 여성의 고충이 잘 드러나 있는 장르이다. 이때 여성들의 고충은 비슷한 처지의 여성에 의해 공감되고 위로되는 양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은데, 여성의 내적 고통을 누구보다도 잘 이해하고 공감하는 남성인물이 있어 흥미롭다. 본고는 한글장편소설의 남성 중심인물의 공감력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군자형 인물과 호방형 인물의 유형적 특징, 특히 감성의 측면에 집중하여 그들이 타인의 감성에 대해 어떤 인식과 이해를 지니고 있으며 얼마나 공감하는지의 문제에 초점을 맞춰 살피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를 진행하는 가운데 『명행정의록』의 등장인물 ‘위천유’가 여성인물에게 공감하는 상황에 주목하게 될 것이다. 군자형 인물은 스스로에게 부여하는 도덕적 기준, 감정 절제의 기준이 높아, 타인의 부적절한 욕망과 감정에 대해서는 부정(否定)하고 혐오하여 이해하려 하지 않는다. 그리하여 자신의 감정뿐만 아니라 타인의 감정을 소외시키는 경향이 있다. 반면 호방형 인물은 감정을 표출하고 추구하는 데 적극적이지만 갈등 상황에서는 자신의 감정에만 지나치게 몰입하는 자기중심성이 강하기 때문에 상대를 이해하려는 노력을 하지 않는다. 때문에 특히 갈등 대상이 되는 여성인물에게 질곡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군자형, 호방형 인물 모두 자신과 마주하는 타자의 감성 작용에 대체로 무심하다 할 수 있다. 그런데 『명행정의록』의 군자형 인물 위천유는 공감능력, 특히 인지적 공감능력이 뛰어나 여성인물의 고통을 누구보다도 가장 잘 이해하고 공감한다. 그는 원치 않은 혼인 상황에서 장인에 대한 불만을 아내에게 옮기는 일 없이, 오히려 곤란한 상황에 괴로워하는 아내 문창군주를 위로하고, 지속적인 정신적 외상[trauma]에 시달리다 마비 증세를 겪는 제수(弟嫂) 양현강의 내면을 곡진히 이해하며 그를 치유한다. 여성의 고통이 여성이 아닌 남성에 의해 이해되고 공감된 지점은 특기할 만한데, 이처럼 여성/약자에게 공감하는 남성인물의 등장은, 약자들의 문제에 대한 공감 주체와 공감 영역의 확대를 가져왔다는 데서 의미가 깊다. The Korean classical long novel is the genre which the problem to the upper layer woman is well revealed. At this time, problems are often sympathized and comforted by women in similar situations. However, it is interesting that there are male characters who understand and empathize with women s inner suffering better than anyone else. This paper aims to consider on the male character ‘Wicheonyu’ of Myeonghaengjeonguirok in which the sympathy ability is excellent. The male protagonist of the Korean classical long novel is classified into the confucian gentlemen type characters and the manly and broad minded characters. As to the confucian gentlemen type characters, the standard about the emotion control is high. So this character dislikes others inappropriate desires and emotions and does not try to understand them. On the other hand, the manly and broad minded characters is active in expressing its own feeling and pursuing. In conflict situations, they are so immersed in themselves that they cannot empathize with their opponents. For this reason, it plays a role in giving pain to female characters who are in conflict. As such, both types of characters do not understand the other s emotional effects properly. However, ‘Wicheonyu’, the confucian gentlemen type characters of Myeonghaengjeonguirok, has excellent empathy, especially cognitive empathy, and understands and empathizes with the pain of female characters better than anyone else. Even in an unmarried marriage, he comforts his wife, Moonchang, who is troubled by a difficult situation, without sending his wife a complaint of father-in-law. And he heals Yanghyeongang by understanding the inside of Yanghyeongang, who suffers from paralysis and suffers from constant trauma. The point where women s sufferings are understood and empathized by men, not women, is remarkable, and the sympathetic ability of Wicheonyu is very unique.

      • 음성인식 기반의 카테고리별 데이터 저장 애플리케이션 개발

        고은이(Eun I Ko),오주연(Ju Yeon Oh),박찬(Chan Jung Park)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0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4 No.2(A)

        본 연구에서 개발하는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원하는 카테고리대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자유로운 카테고리의 생성과 삭제를 통해서 사용자는 입력하는 데이터를 편리하게 분류하여 저장과 검색이 가능하다. 카테고리 내에서는 특정 질문을 던져 사용자가 데이터를 일정한 형식으로 저장하게끔 유도한다. 데이터의 검색 시, 검색된 데이터의 가독성을 높일 수 있도록 질문을 설정했다. 질문의 내용은 사용자의 편의대로 수정할 수 있다.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자판을 사용할 일이 거의 없다. 따라서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의 자판 사용 능력 및 숙련도에 관계없이 애플리케이션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 KCI등재

        『쌍천기봉』에 나타난 양육 양상과 그 의미

        고은임(Ko, Eun-Im)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동서인문학 Vol.- No.61

        본고는 『쌍천기봉』에 나타난 양육 양상을 살펴 아이가 성장하는 과정 중 맺는 다양한 애착 관계를 조명하고 그 의미를 논의한 연구이다. 『쌍천기봉』에는 친모뿐만 아니라 다양한 주체들이 아이와 함께 시간을 보내며 아이를 사랑하는 장면이 자주 등장한다. 여성인물이 출거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는바 이때 출거된 친모의 부재 상황 속에서 아이들은 아버지, 숙부, 계모 등의 보살핌을 받으며 정서적 친밀감을 경험한다. 남성인물들이 자식이나 조카를 살뜰히 아끼며 사랑하는 장면이 자주 등장하는데, 그들은 엄부 혹은 교육자로서 아이를 훈육하기도 하지만 아이를 따뜻하게 달래거나 사랑스러워하며 감정적 교감을 곧잘 한다. 이몽창, 이연성은 각별한 숙질(叔姪) 관계를 형성하는바, 특히 이 관계 서사는 양육 환경이 아이의 성격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사유를 보여준다. 한편 남편의 다른 부인 혹은 전처의 자식을 애휵하는 계모가 등장하기도 한다. 계양공주와 소월혜는 혈육으로 맺어진 관계가 아니더라도, 혹은 원치 않은 혼인 과정에서 혐오하게 된 남편의 자식일지라도, 보살핌이 필요한 순진무구한 아이를 다정하고 살뜰하게 돌보며 혈연 중심의 모성을 탈피해 보살핌의 영역을 확장시킨다. 이처럼 『쌍천기봉』에 등장한 아이들은 친모가 부재한 상황에서 다양한 존재와 애착을 형성한다. 실제로도 확대가족으로 구성된 조선의 상층 가문에서 아이의 양육은 어머니가 전담한 영역이 아니었고 아이를 돌보는 일에는 보다 다양한 존재들이 참여하였다. 『쌍천기봉』에는 바로 그러한 현실이 잘 반영되어 있으며, 그 서사는 혈연 중심의 모성이데올로기를 타파하고 보살핌, 양육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한 의의가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parenting patterns shown in Ssangcheongibong and discusses its meaning. In Ssangcheongibong, there are frequent scenes where not only the mother but also various subjects spend time with the child and love the child. The mother is often removed from the family. At the time, the children who experience the absence of their mothers who have been evicted form intimate attachments with characters such as father, uncle, and stepmother. In this way, the children in Ssangcheongibong form attachments with the various beings that make up the family. In fact, in the upper-class families of Joseon, raising children was not the sole responsibility of mothers. A wider variety of beings were involved in caring for children. Ssangcheongibong reflects that reality. It renews the awareness of ‘mothering’ trapped in the maternal ideology centered on blood ties.

      • KCI등재

        한글장편소설의 아동 서사와 애착 관계 연구 -<엄씨효문청행록>, <유효공선행록>, <보은기우록>을 중심으로-

        고은임(Ko,Eun-im) 국문학회 2022 국문학연구 Vol.- No.45

        본 연구는 한글장편소설에 나타난 아동의 애착과 성장과정을 살펴 그것이 작품 안팎으로 갖는 의의를 탐구한 논의이다. 15세 이하 나이를 아동으로 범주화하였고, 아동의 삶이 비교적 자세히 소묘되고 성장과정의 문제적 국면이 본격적으로 전개된 작품 <엄씨효문청행록>, <유효공선행록>, <보은기우록>을 주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엄씨효문청행록>의 엄영은 계후갈등의 상황 속에서, 자신을 적장자로 만들기 위해 계후자 엄창을 해치려는 친모로 인해 심각한 내적, 외적 갈등을 겪는다. 그는 친모의 계략에 동조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형 엄창을 도우며 우애와 가문의 평화를 지향하는데, 그것은 영유아기 때부터 엄창과 강한 애착이 형성됐기 때문이었다. 한편 <유효공선행록>과 <보은기우록>에는 부모의 폭력과 그로 인해 고통받는 아이의 삶이 잘 그려져 있다. <유효공선행록> 유연의 서사는 특히 문제적인데, 그는 어린 시절부터 부친에게 극심한 학대를 당하며 신체적, 정신적 문제를 갖게 되고, 자신의 불안정 애착을 아들에게 대물림한다. 한편 <보은기우록>의 위연청 역시 부친으로부터 심각한 학대를 당하는데, 그는 부정적 아버지를 극복하고 이상적 성인이 된다. 이처럼 두 인물이 유사한 학대를 겪었음에도 성장 후 서로 다른 삶의 태도를 보인 것은 그들이 어린 시절 다른 애착을 경험한 것과 관련된다고 보인다. 유연과 달리 아동기 안정된 애착을 형성하고 긍정적 상호작용을 경험한 위연청은 비교적 정서적으로 건강하게 성장했고, 그렇게 단단해진 그의 내력(內力)은 부친의 가혹한 학대에도 그를 버티게 한 것이다. 이러한 아동 서사는 아이가 건강하게 성장하여 성숙한 인격을 갖추게 되기까지 애착이 작용하는 지점과, 아이와 긍정적 애착을 형성하는 주된 인물은 부모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점을 보여준다. 조선시대 문헌기록을 참고해보면 실제로도 상층 가문에서는 아이 양육 과정에 다양한 구성원들이 참여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오늘날 여전히 전통적 어머니상을 소환하며 친모의 존재와 역할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통념을 재고하게 한다. 한편 확대가족으로 이뤄진 가문 내 다양한 구성원의 존재는, 가장이 가족의 생사여탈권까지 쥐고 있는 조선시대 가부장제 구조에서 아동의 취약성을 완화하는 데 중요한 기능을 했다고 생각된다. 수직적 질서가 강고할수록 그것을 견제할 다채로운 애착이 형성될 때 아동이 보다 안전하고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는바, 한글장편소설에 그런 점이 잘 나타나 있는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children’s attachment and growth process depicted in Korean full-length novels and explored its significance both inside and outside the work. With a focus on children aged under 15, the full-length novels Eomsihyomuncheongrok, Yuhyogongseonhaengrok, and Boeungiurok were studied—in these, children’s lives have been described relatively in detail and the problematic phases of growing up unfold in earnest. In Eomsihyomuncheongrok, amid a succession struggle, Eomyoung experiences serious internal and external conflicts due to his biological mother who tries to make him the heir by harming Eomchang, who is older but adopted. Eomyoung does not cooperate in his mother’s scheme and actively helps Eomchang, seeking brotherhood and peace in his family; this is because of Eomyoung’s strong attachment with Eomchang since infancy. Yuhyogongseonhaengrok and Boeungiurok depict the life of a child facing abuse at home. Yuyeon’s narrative in Yuhyogongseonhaengrok is particularly problematic—he is severely abused by his father from childhood and develops physical and mental problems; what is worse is that he ends up passing on this unstable attachment to his own son. Wiyeoncheong in Boeungiurok is also severely abused by his father. However, he overcomes his trauma and grows up into a stable and strong individual. As such, the reason that these two characters, despite suffering similar abuse, grow up to have different attitudes in life seems to be related to their different attachment experience during childhood. Wiyeoncheong who forms a stable attachment during childhood and experiences positive interactions grows up to be mentally healthy; it is his inner strength, which continues to develop, that helps him endure the abuse. The children’s narratives in these three stories show that attachment is crucial for a child to grow up healthy and mature, and that the main figure with whom a child can form a positive attachment is not limited to the parents. The Joseon Dynasty’s literature record shows that various members of upper-class families participated in childrearing—this raises a question about the traditional image of mothers and makes us reconsider the conventional wisdom that continues to overemphasize the mother and her role. Meanwhile, it is assumed that the existence of various members within the extended famil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alleviating children’s vulnerability in the Joseon Dynasty’s patriarchal family structure, where the head of the family held his family’s right to life or death. The stronger the vertical order, the safer and healthier children can grow when various relationships are formed for emotional communication and building of close bonds, and this is well illustrated in Korean full-length novels.

      • KCI등재

        한글장편소설 여성인물의 비혼(非婚)에 대한 희구(希求) - <쌍천기봉>, <보은기우록>, <임화정연>을 중심으로 -

        고은임(Ko, Eun-im) 국문학회 2021 국문학연구 Vol.- No.43

        본고는 <쌍천기봉>, <보은기우록>, <임화정연>의 여성인물에게 나타난 비혼(非婚)에 대한 바람과 그 바람의 실현 양상에 대해 살피고, 작품이 향유되었던 조선사회 비혼의 양태와 그것이 갖는 의미에 대해 논의한 연구이다. 유교적 가부장제를 추수하는 경향이 강하고 특히 중심인물 서사를 통해 그러한 지점이 강조된 장르, 한글장편소설에 조선시대 부정되고 불온시된 비혼에 대한 희구(希求)가 드러나 있는데, <쌍천기봉> 중심인물인 장옥경, 소월혜에게서 비혼에 대한 바람이 강하게 간취된다. 이들은 유교적 교양을 함양한 높은 신분의 여성인물로 결과적으로는 혼인제도에 편입되지만, 진지한 태도로 강 렬하게 비혼의 삶을 희망한다. 한편 반동, 보조인물군에서 비혼을 실현한 여성이 있는데 <보은기우록>의 설소아, <임화정연>의 석가월, 조옥연이 그들이다. 이들은 혼인의 삶을 거부하고 도교에 귀의하여 독자적인 삶을 살아갔다. 그런데 조선의 현실은 소설 속 세계와는 달리 비혼을 불운하거나 불온한 것으로만 취급했다. 특히 주체적이며 적극적 태도로 비혼을 선택한 천주교 신자들은 종교적 삶을 살기 위해 순교를 각오해야 했다. 이러한 사회질서 속에서 여성들의 비혼 욕망이 소설에 투영되었던 것이고, 소설에서 그 욕망은 이해되고 공감된다. 혹은 환상적 설정이 가미되어 비혼이 당당하게 인정되기도 한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wishes for ‘Unmarried’ that appeared in the female characters of Ssangcheongibong, Boeungiurok, and Imhwajungyeon. In addition, this is a study that discusses the mode of unmarried in Joseon society and the meaning of it. The Korean Classical Long Novel reveals the hopes of unmarried being denied and disregarded during the Joseon Dynasty. From the main characters of Ssangcheongibong, Jang Okgyeong and So Wolhye, the desire for unmarried was strongly captured.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women who realized unmarried in the group of reactionary and auxiliary characters. They were Seol Soah in Boeungiurok, Shak Gawol in Imhwajungyeon, and Cho Okyeon. They rejected the marriage life and returned to Taoism to live their own lives. However, unlike the world in the novels, Joseon s reality treated unmarried only as unfortunate or rebellious. In particular, Catholics who chose to be single with a proactive and subjective attitude had to be prepared for martyrdom in order to live their lives. In this social atmosphere, women s desire for unmarriage was projected into the novel, and that desire was understood and sympathized in the novel. Or, a fantastic setting was added, and unmarried was admitted proudly.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