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학동기 이후의 성장 주기별 신장 및 체중 증가율에 관한 연구

        신상만,박경배,박준수,김창휘 순천향의학연구소 1996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2 No.2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know the growth rate of height and weight in Korean children which was conducted on semi-longitudinal research method. For this study, health records of the sample group that carry information for the period from their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to the third grade of high school were used, 120 males and 120 females who became third grade of high school in 1994 were selected at random from each of the four cities; Seoul, Chonan, Kumi and Eumsung. Among 917 candidates, 460 males and 457 females born between March 1976 and December 1976 were finally selected as a sample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Measurement of the physique Both male and female samples showed constant growth in height and weight. Male grew from the range of 115.8±4.8㎝ at the age of 6 to 171.5±5.6㎝ at 17 while females grew from the range of 114.6±4.7㎝ to 158.9±5.1㎝. The Weight of males rose from the range of 19.9±2.5Kg at the age of 6 to 62.5 ±8.1Kg at 17 while that of females increased from the range of 19.3±2.4Kg to 54.1±6.9Kg. 2. Growth and Nutritional Indices The study revealed that relative weight of the sample group increased as they grew older. The Kaup index also showed an increase in line with the advancement in their ages, and exceeded 2.0 at the age of 15 for males and at the age of 14 for females. The Rohrer index, on the other hand, showed a declining trend for the first several years but began to increase at the age of 13 for males and at the age of 11 for females. 3. Comparative analysis with similar regardless that were performed using sample groups born in 1965 and 1970 revealed the followings; ① Height - The average height of male samples(born in 1976) under this survey was bigger than that of male samples born in 1965 in their respective age from 6 to 17. - The average height of male samples born in 1970 was bigger than that of male samples born in 1970 from 6 to 14 but showed no difference after 15. - Female samples born in 1976 showed height that was bigger than the other sample groups born in 1965 and 1970 in their respective age from 6 to 17. ② Weight Both male and female samples under this survey weighed more than their counterpart sample groups born in 1965 and 1970 in their respective age. 4. The Maximum Growth Age was 12.3 for males and 10.4 for females. Males grew 5.92±2.77㎝ a year on an average when they were 12 and 13 years old while females grew 5.93±2.69㎝ when they were 11 and 12 years old. In conclusion, the study revealed that like in other countries males and females experienced the second growth spurt during their adolescence and relatively slow growth thereafter. Unlike height which showed constant growth, weight varied; there were incidences where females even experienced weight loss after years of diminishing growth rate in the wake of the adolescence.

      • KCI등재후보

        주야교대작업이 근로자의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

        신재학,이중정,이경수,사공준,김창윤,정종학 大韓産業醫學會 1995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7 No.1

        지속적인 주야간 교대작업이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요인들 중 교대작업에 의해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 요인들을 조사하고, 교대작업에 참여한 기간과 위험요인들과의 관계를 평가하기 위하여 울산시에 있는 모 자동차공장 생산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1993년 4월 20일부터 2개월간에 걸쳐 단면조사를 시행하였다. 교대작업은 하루 2교대로 이루어지며 야간작업조와 주간작업조는 1주일 주기로 순환되었다. 근무기간 1년이상 80%이상을 교대작업에 참여했던 근로자 420명을 교대작업군으로, 교대작업에 참여한 경험이 전혀 없는 생산직 근로자 88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연령, 성별, 최종 학력, 현 산업장에서의 근속기간, 입사전 경력, 현재 작업부서, 작업내용 및 직급을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교대작업에 관해서는 조사당시의 교대작업에 참여여부, 교대작업의 주기와 규칙성 여부, 입사후 지금까지 교대작업에 참여한 기간을 조사하였다.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요인들로서 혈압, 콜레스테롤치, 중성지방, apolipoprotein A-1과 B 등을 측정하였다. 위험요인들의 단순비교에 있어서는 수축기혈압은 교대작업군과 대조군이 각각 122.4±11.9mmHg, 120.0±11.4mmHg로 교대작업군에서 다소 높았고 이완기혈압도 각각 76.5±9.3mmHg, 75.9±9.1mmHg로서 교대작업군에서 다소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콜레스테롤치와 중성지방도 교대작업군에서 다소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Apolipoprotein B는 교대작업자가 101.8±19.9mg/dl로서 대조군의 94.2±26.5mg/dl에 비해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경계역 유의성을 보였으나(p=0.057), apolipoprotein A-1은 apolipoprotein B에 비해 개인적인 변이가 크고 두 군간의 차이를 인정할 수 없었다. Apolipoprotein B와 apolipoprotein A-1의 비는 교대작업군이 0.73±0.20으로 대조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p<0.05). 비체중은 두 군 모두 약 22로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1주일 동안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횟수는 대조군이 1.27±1.5회에 비해 교대작업자가 0.76±1.1회로서 유의하게 적었다(p<0.01). A형 행동양상을 가지는 비율은 교대작업자에서 58.8%로 주간작업자의 51.1%에 비해 다소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심혈관계 질환의 주된 위험인자들을 종속변수로 하고 교대작업과 다른 위험인자들을 독립변수로한 다중회귀분석에서는 수축기혈압을 종속변수로 채택하였을 때 가변수 교대작업은 회귀계수 2.668로서 수축기혈압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0.059), 비체중도 경계역 유의성을 보였다(p=0.053). 이완기혈압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에서는 가변수인 교대작업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체중이 유의한 변수였다(p<0.01). 콜레스테롤치를 종속변수로 하여 실시한 다중회귀분석의 결과는 연령 및 비체중이 증가할수록 콜레스테롤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가변수인 교대작업이 콜레스테롤치를 증가시키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중성지방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에서는 가변수 교대작업이 중성지방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Apolipoprotein A-1의 경우 가변수 교대작업은 apolipoprotein A-1의 수준을 감소시키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그 밖의 다른 변수들 중 apolipoprotein A-1의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없었다. Apolipoprotein B를 종속변수로한 다중회귀분석에서는 가변수 교대작업은 apolipoprotein B의 수준을 증가시키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Apolipoprotein B와 apolipoprotein A-1의 비를 종속변수로 한 다중회귀분석에서는 가변수 교대작업이 apolipoprotein B/Apo A-1을 증가시키는 변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p<0.05). 교대작업군을 교대작업에 참여한 기간이 5년 미만인 군과 5년 이상인 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을 때 콜레스테롤치, apolipoprotein B 및 Apo B/Apo A-1가 5년 미만의 교대작업군에 비해 5년 이상인 군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교대작업기간이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해 가변수로 교대작업기간을 독립변수로 투입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콜레스테롤치를 종속변수로 한 다중회귀분석에서는 교대작업의 기간이 길수록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p<0.05), apolipoprotein B도 교대작업의 기간이 길수록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An investigation of effects of shift work o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has been carried out on workers of a motor company in Ulsan, for 2 months from 20 April to 20 June, 1993. This cross-sectional surve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shift workers(n=420) with day workers(n=88). The study subjects were drawn from workers who were employed in twelve hour shift system. A control group who never experienced shift work was drawn from different sections of the factory. Each worker completed a medical and occupational questionnaire,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such as blood pressure,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apolipoprotein A-1 and B were measured. In univariate analysis, apolipoprotein B and the ratio of apolipoprotein B to apolipoprotein A-1 increased in shift workers.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the systolic blood pressure, shift work was significant independent variable(p=0.059).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the cholesterol, age and body mass index were significant independent variables(p<0.01), but shift work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ependent variable.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the ratio of apolipoprotein B to apolipoprotein A-1, shift work was significant independent variable(p<0.05). Shift workers who have engaged in shift work more than 5 years have an excess of total cholesterol, apolipoprotein B and ratio of apolipoprotein B to apolipoprotein A-1 than those who have engaged in shift work less than 5 years (p<0.05).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the cholesterol, duration of shift work was a significant independent variable(p=0.012).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the apolipoprotein B and ratio of apolipoprotein B to apolipoprotein A-1, duration of shift work was not a significant independent variable.

      • 사마귀버섯(Thelephora terrestris) 등 한국산 야생 담자균류 32 종의 렉틴활성

        신가영,이지선,김용주,김빛나,정경수 충남대학교 약학대학 의약품개발연구소 2004 藥學論文集 Vol.19 No.-

        As a preliminary step to develop noble immunomodulatory lectins from Korean basidiomycetes, 32 species of wild mushrooms were collected and their lectin activities were screened using hemagglutination assay. As a result, cold-water extract of 21 species including Thelephora terrestris showed agglutination activities From T. terrestrisa, partially purified lectin fractions, cTTL_(50) and cTTL_(100), were prepared by extraction with cold phosphate-buffered saline (pH 7.2), precipitation with ammonium sulfate and then dialysis Of these. cTTL_(100) was found to be a strong immunomodulating lectin in that it aggluinated BALB/c erythrocytes and sarcoma 180 tumor cells at the concentration of ≥1.95 ㎍/㎖ and ≥39 ㎍/㎖, respectively, and stimulated the peritoneal macrophages to spread at 200 ㎍/㎖.

      • 韓國産 擔子菌類의 抗菌成分에 관한 硏究 (II) : 10種의 擔子菌에 대한 抗菌成分 檢索 A Screening Test for the Antibiotic Activities of Ten Basidiomycetous Fungi

        鄭敬壽,申明哲,柳柄泰,金炳珏 충남대학교 약학대학 의약품개발연구소 1986 藥學論文集 Vol.2 No.-

        The ether, methanol, and physiological saline extracts of the dried carpophores of ten basidiomycetous fungi, which were collected in the conifer woods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at Taechon and Keyryoung Mountain Area in Chungcheungnamdo, were subjected to an antibiotic activity test by disc-plate method. Among them, the methanol extracts of Inocybe trechispora, Lactarius velumis, and Laccaria laccata and the ether extracts of I.trechispora showed antibiotic activities against Sarcina lutea; and the methanol extracts of I. trechispora and L. velumis and physiological saline extract of Coriolus versicolor showed antibiotic activities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and the methanol extract of L. velumis showed antibiotic activity against Escherichia coli. None of the extracts, however, showed any activity against Serratia marcescens and Proteusvulgaris.

      • KCI등재

        전위된 소아 상완골 과상부 골절의 치료 : 도수정복 되지 않는 골절의 최소 절개를 통한 정복술 Open Reduction with Minimal Incision of the Manually Irreducible Fracture

        한경진,어수익,박응석,강신영 대한골절학회 2002 대한골절학회지 Vol.15 No.4

        목 적 : 전위된 소아 상완골 과상부 골절의 치료에서 도수 정복 후 석고 고정술 또는 경피적 K-강선 고정술을 시행하거나 도수 정복이 되지 않은 경우 최소 피부절개를 통한 관혈적 정복 및 경피적 K-강선 고정술을 시행한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전위된 상완골 과상부 골절(Gartland 제 Ⅱ, Ⅲ형)로 치료한 8세 이하의 환아중 1년 이상 추시가 되었던 총 74명 (74 골절) 을 대상으로 하였다. Gartland분류에 의한 제 Ⅱ형이 19차례, 제Ⅲ형이 52차례 이었고 정복의 기준은 건측의 주관절 Bauman 각으로 하였다. 안정적인Gartland 제 Ⅱ형, 6례에서 석고 고정을 시행하였고 불안정한 Gartland 제 Ⅱ형 13례와 Gartland 제Ⅲ형 52 례는 경피적 K-강선 고정술을 시행하였다. 도수 정복이 되지 않은 20례 (제 Ⅱ 형 1례, 제 Ⅲ 형 19례)의 경우, mini C-arm 영상하에 주관절 후면에 최소절개를 가하고 소절골도를 이용하여 정복하였다. 결과의 분석에는 주관절 운반각과 기능적인 운동범위의 소실 정도에 따른 Flynn의 분류를 사용하였다. 결과 : 저자들의 결과를Flynn의 분류에 따라 분석하면, 운반각의 경우 excellent는 52 례 (73.2%). good은 13례(18.3%) 로 만족할 만한 결과는 91.5% 이고 운동 범위의 경우 excellent는 49례 (69.0%), good은 20례(28.2%) 로 만족할 만한 결과는 97.2% 로서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도수 정복 및 경피적 K-강선 고정술이 운동 범위 요소(Functional factor)에서 더 많은 excellent, 그리고 최소 절개를 이용한 관혈적 정복 및 경피적 K-강선 고정술은 운반각 요소(Cosmetic factor)에서 더 많은 excellent를 나타내었다. 결 론 : 소아의 상완골 과상부 골절의 치료는 소아 골단의 성장판의 손상과 향후 발생할 수 있는 각변형을 고려하여 되도록 정확하고 세심한 정복과 안정적인 고정을 요한다. 또한, 도수 정복이 불가능할 경우 무리한 도수 정복 조작을 계속하지 말고 관혈적 정복을 시행하며 연부조직 손상을 줄이기 위해 가능한 최소 절개를 통한 정복 및 경피적 K-강선 고정을 하는 것이 좋은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We evaluated the results of the displaced supracondylar fractures in children treated by closed reduction and cast immobilization, closed reduction and crossed K-wires fixation. Materials and Method :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results after 1 years of the treatment of 71 extension-type fractures (Gartland type Ⅱ-19 cases, type Ⅲ-52 cases) of supracondylar humeral fractures in children under age of 8 years. Closed reduction was impossible in 20 cases (1 type Ⅱ, 19 type Ⅲ) and we performed open reduction with minimal incision and cross percutaneous pinning. We measured Baumanns angle and range of motion of elbow and evaluated the results by Flynns criteria. Result : By Flynns criteria, 91.5 % of satisfactory (excellent, good) resuts in cosmetic factor and 97.2 % in more excellent in functional factor and that of the minimal open reduction and percutaneous pinning in cosmetic factor but over all satisfactory results were similar. Conclusion : The treatment of the displaced supracondylar humeral fractures in children need accurate and delicate reduction and firm fixation to prevent deformity and to preserve function of the elbow. Open reduction with minimal incision instead of general incision for the manually irreducible supracondylar humeral fracture would be a reliable and convenient method for the treatment of supracondylar humeral fractures in children.

      • KCI등재

        배 농가의 경영효율성 분석 : 비모수적 접근방법에 의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using non-parametric method

        우수곤,유진채,강경하,신용광 한국농촌지도학회 2002 농촌지도와 개발 Vol.9 No.2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farm efficiency of members of cooperative firms with that of non-members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27 farms members of three cooperatives and 13 non-member farms, based on the managerial achievements of 1999. For the analysis, the data were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farming types: type I and Ⅱ of member farms and non-member farms. Economic analysis were implemented using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Major findings was as follows. Total average technology efficiency was 0.782, which implies that there still remains 21.8% of improvement possibility. Among the time types, type I showed the highest technology efficiency of 0.9055, while " 11 and non-member farms showed 0.7670 and 0.7171, respectively. This means that these farms have relatively high potential improved. Also, comparing technology efficiency by dividing into pure technology and scale efficiency, all type of the farms exhibit a higher pure technology efficiency compared to scale efficiency. Therefore, to improve current technology efficiency, farms need to focus more on pure technology efficiency improvement. Meanwhile, profit analysis based on farm size indicate that most of the farms demonstrated the increasing-return-to-scale, which means it is necessary to extend the farm size to improve technical efficiency. Type I member farms achieve higher profit and efficiency than other two types and relatively higher producer prices through introducing cooperative sorting, grading and packing. Also, these labor saving technologies increased farm size.

      • Spiroxazine유도체의 분자 광스위칭을 이용한 능동형 평판 광도파로 자외선센서

        옥경식,김시홍,김성훈,김응수,고광락,강신원 경북대학교 센서기술연구소 1998 센서技術學術大會論文集 Vol.9 No.1

        UV Sensor is widely used for various fields with the study on UV detector and UV related researches. Also due to the recent increasing of UV radiation by ozone depletion enforces the development of techniques on efficient UV detection. Thus, in our study, we proposed novel UV sensor using photochromic molecular device that has good UV sensitivity and easiness to manufacturing, and low cost. Furthermore, this molecular device is useful for the construction of a thin film active waveguide type device that has excellent sensitivity and feasibility to miniaturization.

      • Phellinus linteus 균사 배양물로부터 분리한 단백다당체 Kp의 항암활성

        정경수,김신숙,김희수,한만우,김병각 충남대학교 약학대학 의약품개발연구소 1994 藥學論文集 Vol.10 No.-

        A protein-polysaccaride fraction Kp(53.9% polysaccharide, 14.2% protein) was separated from the shake-cultured mycelia of a basidiomycetous fungus, Phellinus linteus, and its antitumor activity against sarcoma 180 in ICR mice was investigated. When administered after the tumor implantation. Kp exerted antitumor activity by inhibiting the growth of the sarcoma 180 solid tumor by 71.5% and increasing the life span of the sarcoma 180 ascitic mice by 51.5% at 100 ㎎/㎏. In pretreatment tests, in which Kp was administered once daily for 9 days before the tumor implantation. Kp inhibited the growth of the solid and ascites form of sarcoma 180, respectively, by 35.4% and by 80.3% at 100 ㎎/㎏. However, Kp showed no in vitro cytotoxic activity against a murine leukemia L1210 and a human gastric tumor SNU.1 upto the concentration of 200 ㎍/㎖. From these results, it is clear that the antitumor activity of Kp is exerted through its immunomodulating activity on the host's immune system.

      • KCI등재

        상완골 간부 분쇄 골절의 최소 절개를 통한 관혈적 정복 및 교합성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 : 금속판 내고정술을 이용한 상완골 간부 분쇄 골절 치료와의 비교 Comparison between Plate Internal Fixation

        한경진,어수익,김태영,강신영 대한골절학회 2002 대한골절학회지 Vol.15 No.4

        목 적 : 상완골 간부 분쇄 골절의 치료에서 최소 절개를 통한 관혈적 정복 및 교합성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의 치료 결과를 금속판 내고정술과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7년 3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상완골 간부 골절로 금속판 내고정술을 시행한 14례와 상완골 간부 분쇄골절에 대해 최소 절개를 통한 관혈적 정복 및 교합성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을 이용하여 수술을 시행한 18례이고, 최고 9개월 이상 추시하였으며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shoulder score를 기준으로 기능적 평가를 하였고, visual analous scales에 따라 통증의 정도 (zero : no pain ~ 10 : extreme pain) 를 평가하였다. 결 과 : 골절 유합은, 금속판 내고정술의 경우 14례중 12례(85.7%)에서 골유합을 얻었고 골유합 시기는 평균 13.2주 이었다. 최소 절개를 통한 관혈적 정복 및 교합성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을 이용하여 수술을 시행한 18례중 17례(94.4%)에서 골유합을 얻었고 평균 골유합 시기는 평균 12.4주 이었다. ASES shoulder score에 따른 기능적 점수는 금속판 내고정술의 경우 평균 44점, 최소 절개를 통한 관혈적 정복 및 교합성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을 시행한 경우 평균 47점 이었다. 통증의 정도는 금속판 내고정술의 경우 평균 1.8, 최소 절개를 통한 관혈적 정복 및 교합성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을 시행한 경우 평균 1.4 이었다. 결 론 : 상완골 간부 분쇄골절에 대한 최소 절개를 통한 관혈적 정복 및 교합성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은 견고하고 정확한 골절의 정복이 가능하고 술후 방사선학적 및 기능적 결과가 다른 수술방법에 비해 결과가 좋은 것으로 사료되었다. Purpose : We compared the functional and radiological results after the minimal open reduction and interlocking IM nailing and LC-DCP plate internal fixation for the comminuted humeral shaft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 Fourteen plates(LC-DCP) and eighteen interlocking IM nail (AO unreamed IM nail) were applied after open reduction for 21 comminuted fractures of the humeral shaft between March 1997 and December 2001. They were followed up for a minimum 9 months after surgery and the radiological and functional results were evaluated. Results : The average fracture healing time was 13.2 weeks and union rate was 85.7% for plate internal fixation. The average fracture healing time was 12.4 weeks and union rate was 94,4% for interlocking IM nail. The average functional scores according to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shoulder score(Total 52 points_ was 44 points for plate internal fixation and 47 point for interlocking IM nailing respectively. Conclusion : Minimal open reduction and interlocking IM nailing is better method with good functional and radiological results than plate internal fixation for the comminuted humeral shaft fractures.

      • KCI우수등재

        일차의료에 내원한 성인에서 대사증후군의 유병률 및 관련 요인에 대한 연구

        박혜순,신호철,김병성,이가영,최환석,신정아,남윤덕,배상필,천경수 대한비만학회 2003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2 No.2

        연구배경: 심혈관 질환은 치근 국내에서 그 발생률과 유병률이 급증하여 점점 중요한 국민 건강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2001년 NCEP ATP Ⅲ에서는 대사증후군에 대해 임상적으로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면서 심혈관 질환의 주 관리 차상으로 취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차의료에서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을 파악하고, 대사증후군과 관련된 요인을 규명하여 한국인에게 적절한 대사증후군 관리전략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방법: 전국 9개 병·의원 가정의학과에 내원한 20세 이상 80세 미만 성인에서 건강 문제와 무관하게 연속적 조사를 시행하여 총2,134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대사증후군에 대해서 복부비만은 남자 ≥ 90cm, 여자 ≥ 80 cm으로 하였고 다른 위험인자들은 NCEP ATP Ⅲ의 기준에 따라 정의하였다. 신체 계측, 심혈관 위험인자를 측정하고 생활 습관을 조사하여 대사증후군의 유병률과 관련 요인을 파악하였다. 결과: 일차의료에 내원한 성인에서 대사증루군의 유병률은 남자에서 31.3%, 여자에서 29.5%로 나타났으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비만도가 증가할수록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이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남자에서는 연령, 고소득, 비만, 과다 음주. 과다 흡연이 대사증후군의 관련 요인으로, 여자에서는 연령, 무직, 비만, 심혈관 질환의 가족력, 중등도의 스트레스가 관련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 대사증후군은 일차의료에 내원하는 성인 중 비교적 흔하게 나타나는 건강 문제로 약 30%의 유병률을 보였다. 일차의료에서 무증상 성인에게도 허리둘레 측정, 심혈관 위험인자 검사 등 대사증루군의선별검사에 의한 조기 발견과 예방적 차원의 관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Backgroud: Cardiovascular disease is becoming an important national health issue since its recent increase in incidence and mortality. Despite the significant increase in mortality rate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Korea, there have been no specific studies concerning metabolic syndrom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to evaluate the associated factors among adults who visited the primary care. Methods: A total of 2,134 subjects aged 20-79y were recruited from nine primary care clinic. The metabolic syndrome was defined by NCEP ATPⅢ criteria, however, abdominal obesity was assessed by ≥90cm in men and ≥80 cm in women. Anthro-pometric variables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were measured, and lifestyle factors were assessed through a questionnaire. Results: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was 31.3% and 29.5% in men and women, respectively.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metabolic syndrome, in common for both genders, were found to be age, and obesity. Excessive alcohol intake, and heavy smoking were also found to be risk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in men whereas moderate stress and family history of cardiovascular disease served as risk factors in women. For both genders, greater increase in body weight correlated with higher risk of metabolic syndrome. Conclusion: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s presumed to be high considering the fact that it is commonly encountered in primary care, therefore a screening program for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metabolic syndrome is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