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 Cheese whey를 利用한 醱酵乳製造에 關한 硏究

        鄭載록,李革新 건국대학교 1980 論文集 Vol.11 No.1

        The fluid yoghurts were prepared by using cheese whey (6% T.S.) as a main material and added 0, 3, 6, 9% of skimmilk powder, respectively. After that they were incubated with L. bulgaricus inoculation. The test added amount of skimmilk powder, the test inoculated amount of starter, the best incubating time, and the quality of product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As the added ammounts of solids-not-fat in whey were increased, the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and the acidity of whey were increased. (2) When the 5% starter was inoculated, it produced a good quality product. (3) As the incubating time was extented, the production of acid an? the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were increased in whey yoghurt, but the best quality of products was produced at incubation far 48 hours. (4) The product added 6% skimmilk to whey was similar to thee product added more than 6% skimmilk in properties.

      • 다제 내성 폐렴 구균에 대한 CFC-222 의 시험관내 항균력 및 살균 속도

        이혁,김종성,진정화,양지원,김신우,김성민,백경란,송재훈 대한화학요법학회 1999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7 No.2

        목적 : 새로이 개발된 quinolone 제제인 CFC-222와 함께 기존의 항균제들의 MIC를 비교하여 CFC-222가 항균제 내성 폐렴 구균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는 약제인지를 검증하고 아울러 in vitro time kill assay를 시행하여 CFC-222의 살균 속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 국내 및 아시아 지역 국가에서 분리 확인된 폐렴 구균 균주 200주를 대상으로 하여 cefotaxime, CFC-222, ofloxacin, levofloxacin, sparfloxacin, ciprofloxacin, 그리고 meropenem에 대한 한천희석법을 이용하여 MIC를 결정하였다. In vitro time kill assay는 총 8균주(2 penicillin-susceptible, 2 intermediate, 4 resistant)를 대상으로 시행하였고 대상이 되는 항균제는 CFC-222, sparfloxacin, penicillin G로 하였다. 결과 : 폐렴 구균 균주 200주에 대한 한천 희석법을 이용한 MIC 결과는 페니실린 MIC가 증가함에 따라 cefotaxime과 meropenem의 MIC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Quinolone제제 중에서는, CFC-222와 sparfloxacin의 MIC_(90)이 페니실린 내성과 관계없이 0.5㎍/mL 이하로 가장 낮았다. time kill assay 결과 CFC-222는 MIC의 4배 농도에서 페니실린 고도내성 4균주 전체에 대해 8시간째 살균 효과를 보였다. 반면 sparfloxacin과 penicillin은 MIC의 4배 농도에서 12시간째 살균효과를 보였다. 결론 : CFC-222와 sparfloxacin이 가장 우수한 시험관내 항균 효과를 보였다. In vitro time kill assay 결과 CFC-222가 sparfloxacin에 비해 페니실린 고도 내성 균주에 대해 더 빠른 살균속도를 보였다. Background : CFC-222 is a new fluoroquinolone which possesses a broad antibacterial activity, being especially potent against gram-positive bacteria as well as gram negative bacteria. To evaluate the in vitro activity and the bactericidal killing rate of CFC-222 against Streptococcus pneumoniae, agar dilution test and lime-kill study was performed. Method : 200 clinical isolates were tested by agar dilution method to determine MICs of penicillin, cefotaxime, meropenern, ciprofloxacin, ofloxacin, levofloxacm, sparfloxacin, and CFC-222. Time-kill studies were performed with 8 pneumococcal isolates (2 peni-cillin-susceptible, 2 intermediate, and 4 resistant) to compare the bactericidal activity of penicillin, sparfloxacin, and CFC-222. Results : MICs of cefotaxime and meropenem showed increasing tendency as penicillin MIC is increased. Of the quinolones tested, CFC-222 and sparfloxacin had the lowest MIC (MIC90 = 0.5 ㎎/mL), regardless of the penicillin-susceptibility of the strains. CFC-222 yielded 99.9 % killing of all penicillin-resistant strains after 8 h at 4 MIC, while penicillin and sparfloxacin were bactericidal after 12 h at 4 MIC. Conclusion : By MIC and time-kill combined, CFC-222 and sparfloxacin were the most potent agents according to the MICs, whereas CFC-222 was more rapidly bactericidal than sparfloxacin against penicillin-resistant isolates.

      • KCI등재후보

        국내 대학병원에서 정주용 Ciprofloxacin 사용의 적정성 평가

        김신우,박효정,오원섭,김연숙,장현하,정숙인,정두련,이혁,염준섭,기현균,손준성,백경란,우건조,송재훈 대한감염학회 2004 감염과 화학요법 Vol.36 No.6

        목적 : 국내 병원에서의 정주 ciprofloxacin 사용의 적정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2003년 9월 25일부터 8개의 대학병원에서 정주 ciprofloxacin을 받았던 290명의 연속적으로 모집한 성인환자를 대상으로 약제사용 평가(DUE)를 전향적으로 수행하였다. 이 연구에 사용된 DUE 기준은 미국병원약사회의 기준을 국내 실정에 맡게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1) 사용의 정당성에 관한 항목, 2) 사용 시 준수되거나 시행되어야 할 사항에 대한 항목, 3) 부작용에 대한 항목, 4) 치료 효과에 대한 항목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결과 : 환자의 평균 나이는 54세였다. 33예(26.9%)에서만 약제 사용의 적정성 측면에서 기준을 만족하였고 91예(73.1%)에서는 사용이 적절하지 않았다. 정주 cipro-floxacin의 부적절한 사용의 흔한 원인은 수술 전후의 예방약 사용, 비뇨기계 처치 전의 예방적 사용, 열성 질환에 대한 경험적 사용 등의 순이었다. 사용 시 준수사항 의 측면에서는 사용 전 배양검사(73.8%)와 사용 중 배양검사(68.6%)가 낮은 수행 정도를 보였으나 그 외는 비교적 높은 적정성(82.4-100%)을 보여주었다. 정주 ciprofloxacin사용의 합병증은 드물었다. 치료 효과의 면에서 치료반응은 93.3%였다. 결론 : 약제 사용의 정당성 기준에 따른 정주 cipro-floxacin의 부적절한 사용은 연구에 포함된 대학병원에서 매우 흔하였다(73.1%). 그러므로 적절한 항생제 사용에 대한 교육과 제도적 장치가 매우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Background : To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intravenous (IV) ciprofloxacin usage in university hospitals in Korea. Materials and Methods : We prospectively evaluated the appropriateness of drug usage in 290 consecutive adult patients who received IV ciprofloxacin in eight teaching hospitals during the period from September 25, 2003 to November 15, 2003. Drug use evaluation (DUE) in this study was based on the modified standard by the American Society of Hospital Pharmacy with regard to the justification of drug use, critical and process indications, complications, and outcome measures. Results :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as 54 years. The use of IV ciprofloxacin was appropriate only in 33 cases (26.9%). Common reasons for inappropriate use of IV ciprofloxacin include perioperative uses or prophylactic injection before urologic procedures, and empirical therapy for febrile episodes. Most of the "critical indications" and "process indications" showed high rate of appropriateness (82.4-100%). However, the rate of taking culture and sensitivity test before (73.8%) and during ciprofloxacin use (68.6%) were low. Complications with ciprofloxacin use were rare. In 93.3% of cases, ciprofloxacin treatment was clinically effective. Conclusion : Use of intravenous ciprofloxacin is frequently inappropriate in tertiary care hospitals in Korea. Implementation of education program and antibiotic control system is critical in improving the appropriateness of antimicrobial use.

      • 토끼 수막염 모델을 이용한 다제내성 폐렴구균에 대한 Meropenem의 치료 효과

        김신우,진정화,강수정,정숙인,김연숙,기현균,김춘관,이혁,김성민,백경란,송재훈 대한화학요법학회 2001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9 No.1

        목적 : 다제내성 폐렴구균에 의한 수막염은 기존과 단일 항생제로는 근치가 어려워 ceftriaxone과 vancomycin 혹은 rifampin의 병용요법이 권유되고 있다. 다제내성 폐렴구균에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약제 중 meropenem은 시험관내 폐렴구균에 대한 항균력이 좋고 경련 등의 중추신경계 부작용이 거의 없어 다제내성 폐렴구균에 의한 수막염의 치료에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나 이에 대한 자료가 매우 부족한 상태이다. 이에 연자 등은 meropenem과 meropenem+vancomycin의 병용요법이 다제내성 폐렴구균 수막염의 치료에 효과가 있는지를 토끼 수막염 동물 모델을 이용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 인체에서 수막염을 일으킨 다제내성 폐렴구균 균주(penicillin MIC 2, ceftriaxone MIC 4, meropenem MIC 0.5㎍/㎖)를 토끼 척수강 내에 직접 주입하여 수막염을 유발한 후 ceftriaxone, vancomycin, rifampin, meropenem의 단일 항균요법, ceftriaxone+vancomycin, ceftriaxone+rifampin, meropenem+vancomycin의 병용요법 간에 치료 효과의 차이를 비교 하였다. 각 치료군은 6 마리의 토끼를 대상으로 하였다. 각각의 항생제는 5 시간 간격으로 2번 정주하였으며, ceftriaxone은 1회 투여하였다. 균주 주입 후 각 치료군이 토끼에서 치료 후 0, 5, 10, 24 시간에 척수액을 채취하여 균주의 수를 측정하여 24시간째의 살균 여부를 최종 치료 효과로 판정하였다. 결과 : meropenem 단독 요법은 10시간째에 모든 균주를 살균하였으나 24시간 째에 다시 균의 성장이 관찰되었으며, meropenem+vancomycin의 병용요법은 단독 약제보다 우수한 살균효과를 보였으나 상승작용은 없었다. 결론 : meropenem+vancomycin의 병용요법은 기존의 ceftriaxone+vancomycin보다 24시간째에 더 큰 균의 감소 경향을 보여(P=0.054) 임상에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실제 수막염 환자에서의 임상효과를 증명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Because antimicrobial monotherapy for pneumococcal meningitis caused by penicillin-resistant strains is not satisfactory, ceftriaxone+vancomycin [C+V] or ceftriaxone+rifampin [C+R] regimens are recommended. Meropenern [M] is one of the monotherapy options for penicillin-resistant pneumococcal meningitis due to good in-vitro activity against pneumococci and rare adverse reactions in CNS. But there have been few reports in the efficacy of meropenern against pneumococcal meningitis. We evaluated therapeutic efficacy of the meropenern and meropenem+vancomycin in a rabbit model of meningitis caused by penicillin-resistant S. pneumoniae (PRSP). Methods : Meningitis was induced by intracistemal inoculation of a pneumococcal strain isolated from a patient with meningitis (MIC; penicillin 2, ceftriaxone 4, meropenem 0.5 g/㎖). Bacterial concentrations in the CSF were measured at 0, 5, 10, and 24 h after therapy was started. Therapeutic efficacy was evaluated by the final bacterial concentration in the CSF at 24 h. Results : C+V cleared the CSF at 10 h, but regrowth of bacteria was noted at 24 h. Meropenem monotherapy resulted in sterilization at 10 h but regrowth at 24 h. M+V was superior to M or V monotherapy but did not show synergism. Therapeutic efficacy of M+V was at least equal or superior to that of C+V (P = 0.054). Conclusion : Meropenem+vancomycin regimen could be one of the useful options in the treatment of PRSP meningitis. Clinical trials to evaluate the M or M +V are warranted in the future.

      • 신부전이 동반된 당뇨병 환자에서 발생된 침습성 모균증 : 수술과 Liposomal amphotericin B 및 GM-CSF 병합 요법에 의한 성공적인 치험 1예

        이원영,오기원,임국희,장재혁,이동건,최정현,강무일,신완식,차봉연,이광우,손호영,강성구 대한화학요법학회 1999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7 No.4

        저자들은 신부전이 동반된 당뇨병 환자에서 발생된 부비동형 모균증에 대하여 수술과 함께 liposomal amphotericin B 및 GM-CSF의 복합치료를 하여 성공적으로 치료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Mucormycosis (zygomycosis) primarily affects diabetic or immunocompromised patients and typically progresses rapidly, necessitating surgical excision and antifungal therapy with amphotericin B. Large doses of amphotericin B are needed for cure, but it has the risk of causing significant renal toxicity. The recent development of liposomal amphotericin B allows antifungal therapy to be administered with potentially improved efficacy and reduced nephrotoxicity. We have experienced a case of paranasal mucormycosis successfully treated with surgery, liposomal amphotericin B and GM-CSF. A 59-year-old male suffering from diabetes mellitus for 6 years was admitted with pain at left maxillary area. He was diagnosed as mucormycosis after cytologic exam on the necrotic nasal mucosa, which showed typical hyphae. He have had diabetic nephropathy with macroproteinuria and had rapidly rising serum creatinine levels with the amphotericin B treatment: creatinine levels reverted to basal level with the use of liposomal amphotericin B. Despite surgical excision and continued antifungal therapy, his infection was not effectively controlled. Therefore, GM-CSF was administered additionally to improve phagocytic activity of leukocytes. He was finally cured after receiving a combination of aggressive surgery, liposomal amphotericin B and GM-CSF.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detailed clinical description of the treatment of mucormycosis with liposomal amphotericin B in Korea.

      • 일개 대학병원에서 경험한 방선균증의 임상상

        정숙인,김연숙,기현균,김춘관,김신우,이혁,김성민,백경란,송재훈 대한화학요법학회 1999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7 No.3

        배경 : 방선균증은 혐기성의 그람양성 간균에 의한 만성 화농성 감염으로, 경안면부, 흉부, 복부, 골반부 등을 주로 침범한다. 최근 구강 위생의 향상과 항생제의 사용으로 인해 방선균증의 빈도의 감소와 함께 그 임상양상 또한 크게 변화하였다. 저자들은 국내에서의 방선균증의 임상상을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95년 5월부터 1998년 9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방선균증으로 진단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기록지를 토대로 감염병소와 임상경과 등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 방선균증 환자는 모두 12명으로 경안면부 1례, 흉부 3례, 복부 3례, 골반부 5례였다. 임상양상은 주로 종괴의 형태로 나타나 진단을 내리기까지 종양과의 감별에 어려웠으며 진단은 모두 조직검사나 흡인액에서 유황과립을 확인함으로써 이루어졌다. 방선균증으로 진단된 환자는 모두 호전소견을 보였다. 결론 : 국내에서도 방선균증이 드물지 않게 발생하고 있으며 임상양상이 다양하여 가장 많이 오진되는 질환 중의 하나이다. 방선균증은 조직검사나 균배양검사를 통해 진단하고 항생제를 통해 완치될 수 있는 질환이므로 환자 진단에 관심을 가지면 불필요한 수술을 피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Actinomycosis is an indolent, slowly progressive bacterial infection, caused by Actinomyces. a gram-positive, non-spore-forming anaerobic or microaerophilic rod. Actinomycosis affects nearly every organ and body site. The disease is classically divided into four types, depending on the anatomic sites involved: cervicofacial, thoracic, abdominal, and pelvic. It has been considered as a rare disease, and only several cases have been reported in Korea. We performed this study to analyse the clinical manifestations of actinomycosis in Korea. Method: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ith actinomycosis at the Samsung Medical Center from May 1995 to December 1998. Results: During the study period, actinomycosis was diagnosed in 12 patients: 1 patient had cervicofacial lesion, 3 thoracic, 3 abdominal, and 5 pelvic. The male and female ratio was 1 : 2 and the mean age was 47.2 years. Sulfur granule was observed in the pathologic specimens from all cases, but organism did not grow at all. It was very difficult to differentiate actinomycosis from tumorous conditions without pathologic diagnosis. All patients were clinically improved with antibiotics or surgical procedures. Conclusion: Actinomycosis is not a rare disease nowadays and has various clinical manifestations. It can be diagnosed by pathologic examination or culture and cured by antibiotics without surgical management.

      • KCI등재후보

        국내에서 발생하고 있는 사람 브루셀라증의 임상적 특성

        김연숙,최영실,오원섭,권기태,이혁,이선희,손준성,김신우,장현하,정숙인,고관수,박미연,백경란,송재훈 대한감염학회 2006 감염과 화학요법 Vol.38 No.6

        배경 : 2002년 내국인에서의 첫 사람 브루셀라증의 증례 보고 이후 국내에서 사람 브루셀라증이 빠른 증가를 보이고 있다. 이에 연구자들은 국내에서 발생하는 브루셀라증의 임상적 특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법 : 2003년부터 2006년 7월까지 7개 대학병원에 내원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WHO의 진단기준에 의하여 확진된 브루셀라증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분석 하였다. 배양된 균은 삼성서울병원에 의뢰하여 16S rRNA 유전자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종을 확인하였고, 표준시험관응집검사는 국립보건원에 의뢰하여 시행하였다. 결과 : 34예의 환자들이 브루셀라증으로 확진되었고, 31명이 남자였다. 혈액에서 B. abortus가 증명된 경우가 8예, 표준시험관 응집검사상 의미 있는 항체가 상승을 보인경우가 26예이었다. 환자들은 대부분 축산업관련 종사자였고, 추후 브루셀라증으로 확진된 소와의 직접 접촉을 통해 감염된 것으로 여겨진다. 국내 사람 브루셀라증의 가장 흔한 증상은 발열이었고, 위장관계 합병증이 가장 흔히 동반되었다. 치료로는 doxycycline/rifampicin이 24예의 환자에서 doxycycline/aminoglycoside (streptomycin 혹은 gentamicin)이 10예의 환자에서 6주 이상의 기간 동안 투여되었다. 치료에 반응을 보이지 않는 환자는 없었고, 재발이 1예 있었다. 결론 : 국내에서 발생하는 사람 브루셀라증의 원인균으로 현재까지 분리 동정된 것은 B. abortus이며, 소 브루셀라증의 증가로 인해 인체감염사례가 함께 증가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위험 직업군 종사자들에서 감염된 소와의 직접 접촉을 통해 주로 발생하고 있는 브루셀라증의 임상종상은 국외에서 발생하는 경우와 유사한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치료에 대한 반응은 비교적 좋은 편이긴 하나, 추후 보다 많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사람 브루셀라증의 조절을 위해서는 소 브루셀라증의 조절이 필수적이며, 브루셀라증의 조절에 성공한 선진국의 사례를 적극적으로 도입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Since the first Korean case of human brucellosis was reported in 2002, the incidence of human brucellosis has been rapidly increasing. We performed this study to evalu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human brucellosis occurring in South Korea. Materials and Methods : Demographic features, clinical manifestations, and therapeutic outcomes of cases confirmed as brucellosis according to WHO diagnostic criteria were evaluated. Species of Brucella isolates were identified with 16S rRNA gene sequencing method. Serologic diagnosis was performed with standard tube agglutination test (STA). Results : A total of 34 cases were enrolled from 2003 to 2006 in six hospitals. Eight cases were confirmed with the isolation of Brucella from blood and 26 cases were confirmed with titer of antibodies ≥1:160 by STA. Male (31) was predominant and most of the patients were cattle farmers. The most common transmission route was direct contact with infected or their cattle byproducts. Fever was the most prominent symptom and fatigue followed. Gastrointestinal and musculoskeletal systems were commonly complicated. Patients were treated with doxycycline and rifampin or aminoglycosides for more than 6 weeks. All patients responded well to the therapeutic regimens, but one patient relapsed 10 months after treatment. Conclusion : Brucellosis occurring in Korea has been caused by B. abortus, whose preferred natural host animals are cattle. Korean patients were infected through direct contact with bovine brucellosis. Clinical manifestations of brucellosis were similar to those occurring worldwide. Therapeutic outcomes were good among patients with brucellosis in Korea. In order to prevent human brucellosis, measures to eradicate bovine brucellosis should precede.

      • 폐렴구균의 용혈능 변화와 pneumolysin 유전자의 변이 양상

        오원섭,장현하,정숙인,김연숙,이혁,김신우,김성민,백경란,이남용,송재훈 대한화학요법학회 2002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20 No.3

        목적 : 폐렴구균은 인체에서 폐렴, 수막염 및 패혈증 등을 일으키는 중요한 병원균으로 현재 전 세계적으로 항균제 내성이 큰 문제가 되고 있다. 하지만 폐렴구균의 항균제 내성에 따라 병독성이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기능적 및 구조적 분석을 통하여 폐렴구균의 주요 병독성 인자인 pneumolysin의 병인론적 역할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 임상 검체에서 분리된 페니실링 감수성 균주 20주와 내성 균주 20주를 대상으로 하였다. Pneumolysin의 세포 독성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각각의 균주들의 용혈능을 측정하였고, pneumolysin 유전자를 중합효소 연쇄반응으로 증폭한 후 증폭 산물의 유전자 구조를 분석하였다. 결과 : 페니실린 감수성 균주와 내성 균주간의 용혈능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일부 용혈능이 매우 낮은 균주에서 Lys152→Thr, Thr-172→Ile, Lys-224→Arg와 같은 변이가 관찰되었다. 결론: pneumolysin의 세포 독성의 변화는 항균제 내성 정도와는 무관하였으나, 일부 용혈능이 저하된 균주에서 발견된 pneumolysin 유전자의 변이가 pneumolysin의 세포 독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Background : Pnumolysin (Pl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virulence factors of Streptococcus pneumoniae. To investigate the functional and structural variation of Ply, hemolytic activity (HA) and gene sequences of pneumolvsin were determined. Methods : A total of 40 invasive pneumococcal isolated (20 penicillin-susceptible & 20-resistant strains) were analyzed. HA of each isolate was measured in crude extracts (1×10^8 CFU/mL) hourly from the time of inoculation to 9h. Crude extracts (50㎕) and DTT buffer (100㎕) were serially diluted in 96-well plate and mixed with 1% sheep blood (50㎕). HA was represented as the reciprocal of the greatest dilution, which resulted in the complete lysis. Two sets of oligonucleotide primers were used to amplify a 1,474-bp fragment containing the coding region and a 578-bp fragment of upstream region of ply gene, respectively. Amplified products were directly sequenced. Results : HA showed a wide variation from 0 to 87,480 regardiess of penicillin MICs, serotypes or specimen sources. Two bacteremic strains showed completely no hemolytic activity.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HA between penicillin-susceptible (Mean± SE : 15,468± 4,693) and penicillin-resistant strains (21,384± 4,087) were found (p > 0.05).Sequencing of the coding region showed unique alterations in amino acids in strains with markedly reduced hemolytic activity (≤ 40): Thr-172-Ile and Lys-224-Arg. However, upstream region of ply gene was highly conserved. Conclusions : Ply activity was not related with antibiotic resistance. Absence of HA in some strains was associated with unique alterations in amino acid sequences in ply gene. Relationnship between genomic alteration and functional changes in pneumolysin should be further investigated.

      • KCI등재후보

        폐렴구균 감염증에서 항생제 내성의 임상적 의미 : Asian Network for Surveillance of Resistant Pathogens(ANSORP) Study

        정숙인,기현균,손준성,고관수,김나영,장현하,오원섭,백경란,이남용,김신우,이혁,--,송재훈 대한감염학회 2003 감염과 화학요법 Vol.35 No.5

        목적 : 전 세계적으로 폐렴구균의 페니실린을 포함한 β-lactam과 마크로라이드 및 퀴놀론 계열의 항생제에 대한 내성이 급격히 증가하여 임상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으나, 시험관내 내성이 실제 임상적 예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논란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폐렴구균의 항생제 내성률이 높은 아시아 지역에서 항생제 내성이 폐렴구균 감염증의 임상경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방법 : ANSORP에서 주관한 전향적 임상 연구로서 1999년 11월부터 2001년 8월까지 아시아 지역 11개국의 14개 기관에서 진단된 침습성 폐럼구균 감염증 환자를 대상으로 내성 균주 감염의 위험요인, 임상양상, 예후 등의 임상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총 646명 환자의 평균연령은 30.1세(6일-89세)였고, 이전 3개월 내에 항생제 사용력이 있는 환자는 159명(32.4%)이었다. 질환별로는 폐렴이 377예(58.4%)로 가장 많았고, 중이염 67예, 뇌수막염 66예(10.2%), 일차성 균혈증 65예(10.1%)였다. 총 646균주 중 347균주(53.7%)가 페니실린 비감수성(중등도 내성 23.1%, 고도 내성 23.1%)이었고, 페니실린에 대한 MIC_(90)은 0.03㎍/mL에서 4㎍/mL까지의 분포를 보였다. 페니실린 비감수성 균주에 의한 감염증과 차이가 없었다. 페니실린 내성 폐렴구균 폐렴에 의한 사망률은 페니실린 감수성 폐렴구균 폐렴에 의한 사망률과 차이가 없었다(p=0.846). Erythromycin에 대한 고도 내성을 보이는 균주의 비율이 매우 높았으나, 실제 임상상이나 치사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p=0.092). 페니실린 비감수성 폐렴구균에 의한 뇌수막염의 치사률도 감수성 균주에 의한 사망률과 차이가 없었다(p=0.059). 결론 : 본 연구의 결과 페니실린 및 베타 락탐 제제에 대한 시험관 내성은 폐렴구균 폐렴이나 뇌수막염의 임상상이나 치사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내성의 정도와 연관될 것으로 생각되므로, 향후 고도 내성 균주가 증가할 때 추가 검증을 요한다. 아울러 macrolide 및 퀴놀론계 항생제 내성의 임상적 의미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 Despite the widespread emergence of antimicrobial resistance among pneumococcal strains worldwide, clinical implications of in vitro resistance still remain an open question. To evaluate the clinical impact of pneumococcal resistance in Asian countries where the prevalence of pneumococcal resistance was reported to be highest in the world, ANSORP has performed a prospective, multinational surveillance study with cases with invasive pneumococcal diseases in Asian countries. Methods : In vitro susceptibility of pneumococcal isolates was determined by broth microdilution tests with 16 antimicrobial agents. All enrolled cases of pneumococcal infections were analyzed with regard to demographic data, clinical features, risk factors and mortality. Results : A total of 646 patients with pneumococcal infections were enrolled from 14 centers in 12 countries between the period from November 1999 to August 2001. Pneumonia (58.4%) was the most common clinical disease followed by bacteremia (33.4%), otitis media (10.4%), and meningitis (10.2%). Among 646 isolates, 347 (53.7%) were penicillin non-susceptible (intermediate 23.1%, resistant 30.7%). MIG_(90)s for penicillin ranged from 0.03 (India) to 4.0 ㎍/mL (Korea, Taiwan, Vietnam, and Hong Kong). Overall mortality from pneumococcal diseases by penicillin non-susceptible strains was not different from that by susceptible strains. Pneumococcal pneumonia caused by penicillin- or erythromycin-resistant strains showed similar mortality, severity of illness, or complications to that by susceptible strains. Mortality from pneumococcal meningitis caused by penicillin non-susceptible strains was also similar to that by susceptible strains. Conclusion : Data suggest that current situation of in vitro resistance to penicillin or macrolides may not affect the mortality from pneumococal pneumonia or meningitis caused by antibiotic-resistant strai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