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자기결정성 이론의 코칭 적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한주,김현수 한국코칭학회 2016 코칭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코칭과 자기결정성이론의 관계를 고찰하고 적용점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 시하였다. 이를 위해 자기결정성 이론을 이루고 있는 인지평가이론, 유기체통합이론, 인과성지 향이론, 기본심리욕구이론, 목표내용이론 및 관계동기이론의 핵심적인 내용을 기술하고, 코칭 과의 관련성 및 적용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자기결정성 이론의 인간관은 인본주의 철학을 기 반으로 한 코칭 패러다임과 맥을 같이하며, 자기결정성 이론이 코칭철학에 심리학적 근거를 제공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둘째, 코칭 과정에서 자기결정성 이론을 고객과의 관계 맺기 및 목표 설정에 활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셋째, 자기결정성이론으로 코칭의 중요 기술인 경청, 질문, 피드백과 고객의 기본심리욕구와의 관계를 설명하였다. 코치의 개입은 고객의 자 율성, 유능성, 관계성을 충족시키는 차원에서 활용할 때 효과적이다. 마지막으로 코칭 환경과 코치 자신에 대한 이론의 적용과 관련하여, 단기성과에 대한 압박의 해결과 코치 자신의 심리 적 욕구를 보살피는 노력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했다. 자기결정성이론은 코칭의 학문적인 토대 를 강화하고, 실제 코칭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주목해야 할 이론이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discuss the possibility of the application of Self-Determination Theory(SDT) to Coaching. SDT is comprised of six sub-theories, and each theory was developed to explain motivation-based phenomena. Those sub-theories are Cognitive Evaluation Theory, Organismic Integration Theory, Causality Orientations Theory, Basic Psychological Needs Theory, Goal Contents Theory, and Relationships Motivation Theory. Four directions were proposed for the application of SDT to Coaching. First, the SDT‘s human-being perspectives and Coaching’s Humanism philosophy can be compared, and it can be suggested that SDT may provide psychological evidence for Coaching. Second, SDT can be utilized for Coaching in the process of making effective coaching relationship and setting optimal coaching goals. Third, SDT could possibly explain how coaching skills like active listening, questioning, and feed-back can fulfill the basic needs of clients. Finally, it was discussed how SDT can be applied to a coach him/herself and the coaching environment. Short-term performance pressures and the pressures of accountability are formidable impediments to effective coaching. It is necessary to overcome these pressures and take care of the coach him/herself by fulfilling the coach‘s basic psychological needs as well. SDT is worth further study to build a theoretical foundation of coaching and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coaching.

      • KCI등재

        자기결정성 이론 기반 진로동기 유형 분류 및 유형에 따른 진로적응성과 취업소진의 차이

        정은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4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자기결정성 이론 기반 진로동기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에 따른 진로적응성과 취업소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방법 국내 대학생 683명의 설문조사 자료를 토대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여 자기결정성 이론 기반 진로동기 하위요인 수준에 따른 유형을 분류하고, 일원다변량 분석을 실시하여 유형에 따른 진로적응성과 취업소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결과 자기결정성 이론 기반 진로동기 하위요인 따른 유형은 ‘보통형’, ‘자기결정형’, ‘비자기결정형’의 3개의 유형으로 구분하는 것이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형에 따른 진로적응성과 취업소진의 차이 검증 결과, 진로적응성은 ‘자기결정형’, ‘보통형’, ‘비자기결정형’ 순으로 유의하게 높은 반면, 취업소진은 ‘비자기결정형’, ‘보통형’, ‘자기결정형’ 순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자기결정형’ 유형은 가장 바람직한 유형이므로 이 유형에 속한 학생들이 ‘자기결정형’을 유지하여 순조롭게 직업세계에 정착할수 있도록 꾸준한 점검과 관리를 실시해야 한다. ‘비자기결정형’ 유형의 경우, 진로적응성은 가장 낮은 반면 취업소진은 가장 높아위험 상황에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대학에서는 이들을 위한 체계적인 진로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 ‘보통형’ 유형은직업 세계에 진출에 대한 동기가 아직 분명하게 형성되어있지 않으므로 이들이 자기결정형으로 변모할수 있도록 적극적인 진로 개입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특성화 고등학교의 특성화 프로그램이 학습동기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김남희,이태희 한국관광연구학회 2019 관광연구저널 Vol.33 No.3

        본 연구는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특성화 고등학교의 특성화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학습동기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무동기군과 외재적 동기군, 부과된 동기군, 확인된 동기군, 내재적 동기군 모두 특성화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보다 참여한 후에 학습동기와 자기효능감이 높아졌으며, 특성화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에는 동기군 중에 특히 내재적 동기군이 학습동기와 자아효능감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은 특성화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보다 참여한 후에 자기결정성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특성화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학습동기와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며, 특성화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자기결정성이 점차 내면화되어 자기결정성이 높아진다는 사실을 시사해준다. 따라서본 연구는 학교현장에서 특성화 프로그램 실시에 있어 자기결정성이론의 통합적 적용에 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특성화 고등학교에서 특성화 프로그램 설계시 방향 설정과 운영 시에 기초자료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자기결정 이론의 심리학적 배경 탐색: 기능주의와 생태학적 모형에 대한 비교 중심으로

        조재현 ( Jae Hyun Cho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1 지적장애연구 Vol.13 No.2

        이 연구는 특수교육 분야에서 활발히 진행되어 장애아동 및 장애를 지닌 성인들에게 널리 적용되고 있는 자기결정 이론과 모형에 대한 이론적 탐색에 관한 것이다. 여러 가지 자기결정 이론들 가운데 교육적으로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여겨지는 세 가지 이론(Deci와 Ryan, 1985; Wehmeyer, 1996; Abery & Stancliffe, 1996)들을 중심으로 탐구하였다. 연구 목적은 내재적 동기 이론들에 기반을 두어 발전해 온 여러 심리학적 개념들과 위의 세 가지 자기결정 이론들이 어떠한 연관성을 가지며 발전되어 왔는지 살펴보고, 이러한 지식을 장애아동 교육에 효과적으로 활용해 보려는데 있다. 구체적 연구 절차는 다음의 과정에 따라 이루어졌다. 첫째, 세 가지 자기결정 이론들의 형성에 영향을 끼친 기대-가치 이론, 귀인이론, 자기효능감 이론에 대해 검토하였다. 둘째, 초기 자기결정이론(Deci와 Ryan, 1985)을 구성하는 4가지 하위 이론들의 상호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셋째, 여러 자기결정 모형들 중 현재 널리 활용되고 있는 기능주의적 모형과 우리나라에 비교적 덜 알려져 있지만 점차 중요성을 더 해 가고 있는 생태학적 모형을 개념, 구조, 구성요소를 살펴보고, 장애아동에게 갖는 교육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넷째, 비장애 아동들의 긍정적인 태도와 인식이 장애아동 동기 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 환경 요인들 가운데 하나임을 발견하고 장애아동을 위한 효과적인 환경 지원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resources of a psychological background to the self-determination theories applied to children and adults who have disabilities in the realm of special education. The three theories (Deci & Ryan, 1985; Wehmeyer, 1996; Abery & Stancliffe) are concerned primarily with exploring and discussing the psychological constructs as they relate to internal motiv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examined the theories of expectancy-value, attribution, self-efficacy as the psychological background to the self-determination theories. The four mini theories of self-determination proposed by Deci & Ryan(1985) were reviewed. Comparisons among the two self-determination models, the functional and ecological models developed by each of Wehmeyer(1996) and Abery & Stancliffe(1996) were made in its definition, structure, components, and the implication for teaching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Positive perception and attitudes of others as well as self were identified as influencing capitals in enhancing self-determination for the individuals. Implications for teaching the children were discussed.

      • KCI등재

        자기결정성이론의 외국어 교육 적용 방안에 대한 탐색과 고찰

        김수진,장형심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9 외국어교육연구 Vol.33 No.2

        Challenge for many foreign language instructors is to provide students with an enjoyable, interesting, and meaningful classroom environment that can richly support their learning and autonomous motivation. Self-determination theory provides a framework for how foreign language instructors can do this, s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first to overview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n to provide specific examples of how this theory can be implemented in a foreign language course. In so doing, the article seeks to help foreign language instructors connect with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o put its principals into effective classroom practice. 학생들의 학습 및 학습동기를 촉진시키는 자율적이고 즐겁고 의미 있는교실 환경의 조성은, 거의 모든 교수자들에게 어렵고 도전적인 일이다. 자기결정성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은 이와 같은 수업 환경 조성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제공한다. 이에 본 연구는 자기결정성이론에 주목하여, 자기결정성이론의 원리가 어떻게 외국어 교육에 적용될수 있는지 탐색하고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자기결정성이론의 핵심을 개관하였다. 그리고 외국어 학습에서의 내재 동기(intrinsic motivation)와 자율적 외재 동기(autonomous extrinsic motivation) 및 내재화(internalization)에 대해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외국어 학습자의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욕구를 촉진하는 외국어 수업 환경 조성에 방향성을 구체화한 실천적인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자기결정성이론의 핵심 원리와 방대한 선행 연구 결과들이 보다 자율적이고 효과적인, 외국어 학습 동기의 활성화 및 외국어 수업 환경의 조성에 유용한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자기결정성 동기이론에 의한 독서동기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이병기 한국문헌정보학회 2015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9 No.3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the measurement tool of reading motivation using self-determination theory (SDT). SDT is not simply divided into the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SDT resides along a continuum, with amotivation, external regulation, introjected regulation, identified regulation, integrated regulation, intrinsic motivation. SDT addresses the process of internalization of various extrinsic motives. This study analyzed motivation factor of the measurement tool such as MRQ (motivations for reading questionnaire), MRP (motivation to read profile) ERAS (elementary reading attitude survey, RSCS (reading self-concept scale). The study re-classified analysis results based on SDT. Ultimately, this study was proposed measurement tool of reading motivation using SDT has 6 area, 30 items. 이 연구는 자기결정성 동기이론을 적용하여 독서동기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기결정성 이론은 단순히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로 양분하지 않고, 개개인의 자율성 혹은 결정성에 따라서 무동기, 외적 조절, 주입된 조절, 동일시 조절, 통합된 조절, 내재적 동기 등 6가지로 구분하였다. 자기결정성 동기이론은 동기 유형을 세분화하여 다양한 외재적 동기를 어떻게 내면화할 것인가에 중점을 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MRQ, MRP, ERAS, RSCS와 같은 기존의 독서동기 관련 측정도구를 분석하고, 이를 자기결정성원리에 의한 6개 범주로 재분류한 후, 이를 바탕으로 자기결정성이론에 의한 독서동기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독서동기 측정도구는 자기결정성의 원리에 의거 6개 영역 3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 KCI등재

        서비스 접점에서의 고객참여, 그 자발적 결정요인과 서비스 품질에의 영향 : 자기결정성이론을 중심으로

        서문식(Suh, Mun Shik),안진우(Ahn, Jin Woo),노태석(Rho, Tae Seok) 한국소비문화학회 2010 소비문화연구 Vol.13 No.2

        Service, unlike goods, requires customer participation in service delivery and producing process necessarily. Due to the fact that service quality depends on the quality and quantity of customer participation, many a researcher has paid much attention to the variable of customer participation. However, some studies on customer participation examined the environmental variables in business aspects as antecedents of customer participation; some others considered only superficial variables regarding customer aspects. Even though it is important for us to know why customers psychologically participate in service encounter, many existing researches have paid relatively little attention on these psychological reasons for customers to participate in service settings. This paper focuses on customers' psychological aspects which refer to the basic elements of voluntary participation. The fact that customer’s self-determination can influence the effect of relationship strategy a firm implements means that self-determination composed of autonomy, confidence, relatedness can address the way a customer participates. It also can have an effect on the service quality, ultimately. We’d like to find out the psychological factors of customer participation through this approach which self-determination is an important determinant of service success or relationship development. In other words, we can learn how customer participation triggered by self-determination influences customer's behavior and emotion in service encounter. Further, we can get a kind of global framework whether it can improve service quality or not. As results, we found out that autonomy, confidence, and relatedness which consist of self-determination had all positive effects on customer participation significantly. Customer participation could improve not only perceived customer’s encounter satisfaction positively, but service quality as well. In addition to these main effects, the higher self-determination and customer participation are, the higher perceived customer's encounter satisfaction and service quality are. It means that self-determination could be good antecedents of customer participation, customer’s behavior in encounter, and perceived service quality. Since customer participation, encounter satisfaction, and service quality can be influenced by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self-determination, firms want to improve service quality need to provide the individualized choice rights during service producing and delivery process with their customers without hindering their efficiency. 서비스 산업에서는 유형적인 재화와 달리 생산 및 전달과정에 고객참여가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고객참 여의 내용과 질에 따라 궁극적으로 서비스 품질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사실 때문에 많은 연구자들은 서비스 산업에서의 고객참여에 대해 주목하고 있다. 그러나 고객참여와 관련한 선행연구들은 고객참여의 선행변수에 대해 기업측면의 상황적 요인과 같이 단순한 환경적인 변수들과 고객측면의 피상적인 변수들에 대해서만 살펴 보고 있다. 심리적으로 어떠한 이유에서 고객들이 더욱 서비스 상황에 참여하게 되는지에 대해 아는 것이 중요 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부분을 간과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객의 자발적 참여의 근본적인 원 인이라 할 수 있는 고객의 심리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고객의 자기결정성 여부에 따라 기업이 수행하는 관계전략에 대한 효과가 달라질 수 있음은 자율성, 유능성, 관 계성을 구성요소로 하는 자기결정성에 따라 고객참여의 내용이 달라질 수 있고, 서비스 품질도 궁극적으로는 영 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접근은 고객참여의 심리적인 요인에 대해 파악하기 위함이며, 자기결정성 의 여부가 서비스의 성공과 관계발전의 중요한 결정인자라는 사실에 기반을 둔 것이다. 즉, 자기결정성에 의한 고객참여가 접점들에서의 고객행동과 감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되고, 더 나아가 지각된 서비스 품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전체적인 프레임워크를 이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연구의 결과, 자기결정성의 구성요소인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은 모두 고객참여를 향상시키는 주요한 고객의 심리적인 선행요인이 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고객참여는 고객의 지각된 접점만족을 거쳐 서비스 품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뿐만 아니라, 자기결정성과 고객참여가 높은 집단일수록 접점만족 및 서비스 품 질을 더욱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나 접점에서의 고객행동과 지각된 서비스 품질에 자기결정성의 선행적인 역할에 대해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자기결정성이라는 고객의 심리적인 요소에 의해 고객참여행동이 많 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기업의 효율성이 저해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고객에게 개인화된 선택권을 제공하는 것이 지각된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된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연명의료 결정에서 '환자의 자기결정권'의 한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손보미(Son Bo Mee)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2015 인격주의 생명윤리 Vol.5 No.1

        연명의료결정에서 가장 중요한 준거는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존중해주는데 있다. 그러나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다양한 관점에서 고찰한 결과 첫째, '환자의 자기결정권'은 '의료행위'의 과정에서만 성립할 수 있다는 한계를 가진다. 둘째, '관계적 자율성'의 관점에서 환자는 그가 속한 사회와 타자와의 관계 내에서 어떤 결정을 한다는 한계를 가진다. 셋째, 자기결정이론은 환자가 의료진의 지지를 받음으로써 자율적인 결정을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우리사회의 노인 돌봄 영역에서는 가족책임주의가 가지는 한계를 간파하여 가족에게 전적으로 돌봄을 의지할 경우 노인은 가족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취약한 상태가 된다는 결론을 도출하고, 가족 간의 자율을 억압하는 조건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회적 돌봄 정책과 공적지원제도를 요청하는 '관계적 자율성'의 관점을 활용하고 있었다. 그리고 연명의료 결정방안을 위한 사례조사들은 환자들이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받고자 한다는 점, 환자와 가족 간의 [정서적ㆍ경제적]부담감을 해소할 방안 등이 필요하므로, 경제적 지원과 병원윤리위원회 등을 통한 의견의 조정 등 체계적인 정책적 보완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연명의료 결정에서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존중하고 강화시키는 방안은 호스피스-완화의료 제도 확립과 시설확충, 병원윤리위원회의 활성화, 임종과정 환자에 대한 경제적 지원 등 다각적인 정책으로 환자들이 연명의료에 대하여 올바르게 결정할 수 있도록 사회적ㆍ문화적 토대를 적극적으로 마련하는 것이다. The most important criteria in deciding life-sustaining treatment is the respect for the 'patient right of self-determination'/'patient autonomy'. However, as for the 'patient right of self-determination' to decide life-sustaining treatment, first, it has a restriction of "in the course of medical activities". Second, from the perspective of 'relational autonomy', 'patient autonomy' has a restriction that the patient's determination is fo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ety and the others. Third, Self-determination Theory shows a restriction of the patient's determination in that a patient can have 'autonomy' for him/herself only when medical doctors support them. In caring the elderly in our society, previous studies grasped the limitations of family-responsible system. If the elderly entirely rely on their family for their care, they would have weak sense of self-respect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family. The studies utilized the perspective of 'relational autonomy' to demand social care policies and public support system in order to improve the environment that suppresses the 'autonomy' between the family members. The case studies regarding deciding in life-sustaining treatment suggested that patients want to get hospice-palliative care; that both patients and family members need some plans to resolve the burden (economic support, etc.); and that systematic and supplementary actions are required with policies such as economic support and coordination of conflicts through Hospital Ethics Committee, etc. Therefore, in deciding life-sustaining treatment, the way that respects the 'patient right of self-determination' and strengthens 'patient autonomy' can be found in actively seeking for social and cultural foundation in order that the patients can make a right decision on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through providing diverse policies. These include establishing hospice-palliative care system; vitalizing the Hospital Ethics Committee; economic support for the patients who face the death, etc.

      • KCI등재

        자기결정이론을 토대로 한 학습동기 경로 모형 검증

        이민희,정태연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learning motivational process models, based on Self- Determination Theory(SDT) in academic settings. I examined if SDT's assumptions would fit for Korean adolescents, using a learning motivation scale(LMS), Basic Needs―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Satisfaction Scale(BNSS), academic grades and life-quality scales, and also tried to search for the adequate motivational process models for Korean adolescents through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Basic needs satisfaction influences positively on the development of self-determinative motivation, which influences positively on academic achievement. But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determinative motivation doesn't always influence on subjective well-being positively. And Korean adolescents who study autonomously or achieve good grades, are not better in a dimension of subjective well-being than others. Basic needs satisfaction while growing is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variables to improve adolescents' autonomous motiva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subjective life qualities. 자기결정이론에서는 기본적인 욕구-자율성, 능력감, 유대감-를 충족시켜주는 사회적 환경에서 성장한 청소년들에게 자기 결정력이 발달하여 공부의 효율성이 높아지고 이에 따라 삶에 대한 만족감이 증가한다고 본다. 본 연구는 자기결정이론의 이런 주장이 한국 청소년에게도 적용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학습장면에서 동기가 형성되고 작동하는 경로를 추적해보았다. 연구 결과, 한국 청소년들에게 자기결정이론은 부분적으로 부합했다. 기본적인 욕구가 충족되면 자기결정력이 발달하고, 자기결정력이 발달하면 학업성취도가 향상되며, 학업성취도가 높아지면 주관적 삶의 질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학업 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자율성을 촉진하는 동시에 타율성을 억제하고 공부에 대한 걱정, 불안감, 경쟁심, 죄책감, 수치심 등을 완화시키는 전략이 필요함을 함의한다. 그러나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자기결정력의 영향은 미미하였고 학업성취도의 영향은 거의 없었다. 즉, 한국에서는 스스로 공부하고, 성적이 좋은 학생들의 삶의 질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더 나은 것은 아니었다. 한국 청소년의 삶의 질, 학업성취도 및 학습동기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이들은 부모, 교사, 친구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능력감을 맛보며, 자율적인 삶을 살 필요가 있어 보인다.

      • KCI등재

        자기결정성이론의 HRD 적용에 대한 논의

        정승환 ( Seung Hwan Jung ),장형심 ( Hyung Shim Jang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5 HRD연구 Vol.17 No.3

        동기이론 중 하나인 자기결정성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에 따르면, 인간은 심리적인 성장과 통합을 향하여 능동적으로 자아(self)를 발달시키려는 유기체적 존재이다. 본 연구는 자기결정성이론을 바탕으로, HRD 적용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먼저 자기결정성이론의 다섯 가지 미니이론인 인지평가이론(cognitive evaluation theory), 유기통합이론(organismic integration theory), 인과지향이론(causality orientation theory), 기본심리욕구이론(basic psychological needs theory, 목표내용이론의(goal content theory) 기본가정과 핵심적인 내용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이를 통해 자기결정성이론의 여섯 가지 HRD 적용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자율적 인간관에 대하여 강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자율성과 성과와의 관계, 자율성과 독립성과의 관계를 기술하였다. 둘째, 외재적 보상을 재고할 것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외재적 보상의 효과와 보상의 숨겨진 대가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셋째, 자율성을 촉진하는 환경에 대해 논의하였다. 넷째, 유능성 증진을 위한 피드백의 역할에 대해 설명하였다. 구체적으로 유능성에 대한 진보를 자각하는 것과, 유능성과 칭찬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다섯째, 조직가치의 동일시와 통합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심리적 욕구와 조직 리더의 관계에 대하여 논하였다. In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the human beings are those who want to develop themselves actively through the psychological growth and integ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discuss the implications for HRD based on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Above all, basic assumptions and critical points of five mini-theories(cognitive evaluation theory, organismic integration theory, causality orientation theory, basic psychological needs theory and goal content theory) of self-determination theory were described. Through those, the six critical points of self-determination theory were proposed to HRD application. First, we emphasized the view of autonomous human nature. Specifically, we describ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utonomy and performa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nomy and independence. Second, we proposed to reconsider the extrinsic rewards and explained the hidden cost of reward. Third, we discussed the environment to promote autonomy. Fourth, we described the role of feedback promoting competence. Specifically, we explained the awareness of progressive compete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etence and praise. Fifth, we discussed the integration and identification of organizational values. Finally, we demonst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needs and organizational lead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