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내러티브를 통해 본 정신분석학과 내러티브 치료-프로이트의 엠마(Emma) 치료를 중심으로-

        이민용 ( Lee Min-yong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2 문학치료연구 Vol.25 No.-

        본 논문에서는 서사학과 내러티브의 관점에서 정신분석학을 연구하고 내러티브를 활용한 치료의 가능성을 살펴보려고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정신분석학은 2가지 측면에서 내러티브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첫째, 정신분석 활동은 형식적으로 정신분석가와 환자 사이에서 내러티브를 통해 이루어진다. 둘째, 치료적 내용에서 보아 정신분석은 내러티브를 통해 진단하고 치료한다. 프로이트도 자신의 치료행위가 내러티브의 성격을 지닌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런데 내러티브에 관한 학문은 서사학이다. 그래서 서사학의 관점에서 내러티브를 잘 분석할 수 있고, 이른 통해 정신분석학에도 잘 접근할 수 있다. 서사학이 성립하기 이전에 서사학을 의식하지 않고 이루어졌던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활동을 서사학의 입장에서 살펴보면 생산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프로이트의 『히스테리 연구』에서 우리는 거기에 이미 내러티브가 치유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찾을 수 있고, 내러티브 치료의 2가지 방향인 감성적 내러티브 치료와 인지적 내러티브가 들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프로이트의 엠마 치료 사례를 통해서는 정신분석이 내러티브 치료일 수 있는 이유를 잘 확인할 수 있었다. 환자가 진술한 내러티브에서 스토리의 틈새를 찾아 이를 메울 새로운 내러티브를 자유연상을 통해 발굴하고 이로써 내러티브의 틈새를 연결하여 완전한 내러티브를 재구성하는 내러티브 활동임을 확인하였다. 이때 스토리의 단절과 스토리의 잘못된 디스코스(discourse), 그리고 스토리의 오접속과 착종이 심리적 문제의 원인임을 확인하였고, 이 심리적 문제의 해결에서는 스토리의 요소와 디스코스의 요소들을 치유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psychoanalysis from the perspective of narrative and narratology, and to discuss about the possibilities of narrative therapy.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The psychoanalysis is closely related to the narrative in two aspects. Firstly, psychoanalyst and patient in psychoanalysis give and take their narratives each other. Secondly, in view of treatment, psychoanalyst can assess and treat his patient by means of therapeutic narratives. Sigmund Freud recognized that his psychoanalysis has the character of narrative. We can explore narratives, and make an approach the psychoanalysis efficiently in view of the narratology, because the narratology is the study of narratives. The paper points out two aspects of narrative therapy, the emotional aspects and the cognitive aspects in Freud`s Studies on Histeria. In cognitive narrative therapy, psychoanalyst should find out the disconnections of stories in patient`s narratives and, try to draw the stories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among them. Narrative therapy can be accomplished by the complete association of the stories in patient`s narratives. In this regard, the most valuable points are to make use of the components of story and discourse in narratives.

      • KCI등재

        정책 내러티브 전략의 효과성 평가기준의 탐색

        김성종 한국정부학회 2023 한국행정논집 Vol.35 No.4

        본 연구는 정책과정에서 경쟁관계에 있는 정책행위자들이 내러티브를 전략과 내러티브의 효과를 분석할 목적으로 수 행되었다. 분석대상 사례는 모빌리티 플랫폼을 둘러싼 신구산업의 정책갈등이다. 그동안 선행연구에서는 효과적인 내러 티브가 가져야 할 조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내러티브 전략의 효과성을 평가하는 기준 을 도출하고 이를 실제 사례에 적용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TF-IDF 기법을 적용하여 정책집단의 내러티브를 분석한 결과 대중적 지지를 확보하기 위한 정책 내러티브 전략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략적 관점에서 중요 한 비용과 편익의 분포에 대한 내러티브 분석결과도 거의 없었다. 일반 대중의 지지를 이끌어 낼만한 정책대안도 내러티 브에 포함되지 않고 있어 전반적으로 내러티브에 포함되어야 할 전략적 요소를 활용하기 보다는 기득권 놓고 극단적 행동이 정책 갈등 양상을 지배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실증분석을 통해 정책 내러티브 전략이 효과성을 갖기 위한 조건을 탐색하고 사례분석에 적용하였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책 내러티브를 통해 일반 대중의 지지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적 수단으로 활용하는데 관심이 있는 독자들에게 실용적 관점에서 함의를 제공하고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effects of strategies and narratives by policy actors in the policy process. The case to be analyzed is the policy conflict of the old and new industries over the mobility platform. Until now,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conditions that effective narratives stretagy. In this study, criteria for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narrative strategies were derived and analyzed by applying them to policy cas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arrative of the policy group by applying the TF-IDF technique, it was found that policy narrative strategies to secure public support were hardly implemented. The narrative on the distribution of costs and benefits, which is important from a strategic point of view, rarely appeared in the analysis results. As the narrative does not present policy alternatives that can attract public support. Extreme actions over vested interests dominated the conflict rather than utilizing strategic elements that should be included in the narrative overall.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at it explored the conditions for the policy narrative strategy to be effective through empirical analysis and applied it to cas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mplications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for readers interested in using policy narratives as a strategic means to secure public support.

      • KCI등재

        내러티브 탐구의 비서실무 교재개발 적용방안 연구

        송현정(Song, Hyeon-Jeong) 한국비서학회 2013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Bruner의 문화심리학적 접근에서 본 내러티브적 사고의 중요성을 토대로 비서교육 교재개발에 내러티브 탐구방안의 적용을 모색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하여 연구문제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를 설정하였다. 첫째, 내러티브 탐구의 개념과 교육학적 가치는 무엇인가? 둘째, 비서실무 교재개발에 적용가능 한 내러티브 탐구의 효과적인 틀은 무엇인가? 연구문제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문헌분석 및 내용분석을 활용하였다. 문헌분석을 통하여 내러티브의 개념을 파악하고, 교육학적 가치를 탐색하였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내러티브 탐구는 법학, 의학과 같은 전문분야에서조차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landinin과 Connelly가 제안한 내러티브 탐구절차에 따라서 내러티브 중심 교재개발을 위한 구성 틀을 제안하였다. 이 틀을 토대로 비서실무실습 교재 다섯 권을 분석한 바각 교재별 업무와 관련된 다양한 내러티브는 제시되고 있으나 각 내러티브별 연계성이 부족하고, 이에 대한 성찰적 탐구 및 해석논의가 부족하여 학습자들이 근원적 문제해결을 위한 이야기식 사례분석은 충분히 활용하고 있지 못함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향후 비서교재개발에 보다 적극적이고 의미있는 내러티브 탐구 활용이 촉진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find out the adaptability of narrative inquiries by J. Bruner in developing a guidebook on practices for office professionals. Research questions included: 1)What is the narrative inquiry and how is it utilized for education area? 2)What is an effective frame to develop a guidebook for office professionals using the narrative inquiry? To arrive at a conclusion, the study includes a literature review and content analysis. The literature review discusses the concept of narrative inquiry and its educational value. The narrative inquiry has been widespread in law education as well as in medical education. On the other hand, a procedure of narrative inquiry studied by Clandinin and Connelly formed the foundation in developing a guidebook content in this research. Through the lens, a researcher tried to analysis the five textbooks which were published from the mid-1990s to last year to see how well the narrative items were. As a result, those of books did not have a lot of continuity of narrative perspectives in each chapter, and reflective review based on the narrative inquiry was not followed in each book either. This study hopes to contribute to the argument of finding an effective way to develop guidebooks by borrowing narrative inquiry.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 내러티브 연구 동향 분석

        윤민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rends in the research on young children’s narrative on the basis of keyword network analysis. For this purpose, the keywords of academic and degree theses related to young children’s narrative were collected through the Korea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and the Korean Journal of Citation Index. The keywords were cleaned and analyzed using Excel and UCINET6. The network was visualized using NetDraw. Data analysis was conducted with a focus on the overall and time-specific publication status, keyword frequency, network structural properties, degree centrality, closeness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The analysis of the publication status of the research on young children’s narrative revealed 156 published works. The frequency of publication was the highest in the second period, followed by the first (1999–2006), second (2007–2014), and third (2015–2021) periods. The time-based network analysis revealed that the first period served as the birth of the research into young children’s narrative, the second period as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iastole of such research, and the third period as a new leap forward for this research are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ignificant as they offer a comprehensive look at the past, present, and future directions of the research into young children’s narrative on the basis of keyword network analysis. 본 연구에서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유아 내러티브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연구정보서비스(RISS)와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를 통해 유아 내러티브 관련 학술논문과 학위논문의 키워드를 수집하였으며, 키워드 정제 후 Excel과 UCINET6를 활용하여 분석하고 Netdraw로 시각화하였다. 유아 내러티브 연구의 발간 현황을 분석한 결과 총 156편이 발간되었으며, 발간빈도는 1기(1999~2006), 2기(2007~2014), 3기(2015~2021) 중 2기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키워드 빈도는 검색어인 ‘유아’와 ‘내러티브’를 제외하면 ‘상상적 내러티브’와 ‘일상적 내러티브’, ‘교육과정’, ‘놀이’, ‘경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시기별 네트워크 분석 결과 1기는 유아 내러티브 연구의 태동기, 2기는 유아 내러티브 연구의 양적, 질적 확장기, 3기는 유아 내러티브 연구의 새로운 도약기로 볼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유아 내러티브 연구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의 방향에 대해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한국적 판타지 내러티브 분석과 기독교윤리의 만남

        성신형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21 기독교사회윤리 Vol.50 No.-

        본 연구는 한국적 판타지 내러티브를 분석하고, 그 윤리적 의미를 해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기독교윤리와의 만남을 시도하였다. 우선 본 연구는 한국적판타지에 대한 이해를 시도하면서 내러티브의 성격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서본 연구는 한국적 판타지의 한 예로 <신과 함께-죄와 벌>를 선택하여 내러티브를분석하고, 윤리적 의미를 해석하였다. 그것은 인과응보적인 차원에서 ‘정의와 공정’의 실현이다. 또한 본 연구는 독자(향유자)의 내러티브를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서 살펴보았는데, 이 분석에서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의 윤리의식에 큰 차이가드러나지 않았다. 이는 한국교회가 공동체의 구성원(교인)들에게 기독교윤리에대한 올바른 가르침이 부족함을 드러내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에접근하기 위해서 기독교윤리적인 대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인과응보(정의)적인 세계관을 벗어나서 사랑을 통해서 정의를 실현하는 기독교윤리적인 실천을제안한다. 이는 평화·화해·용서·환대의 공동체를 만들어가기 위한 사회윤리를 실천하는 것이다. 또한 한국교회는 내세중심적 세계관에서 하나님 나라의 윤리로 전환해야 한다. 왜냐하면 하나님 나라는 예수의 오심으로 이미 시작되었고, 예수가 원수를 사랑하고, 평화·화해·용서·환대를 실천하는 삶을 살라고 가르치는 것은 바로 미래 지향적인(종말론적인) 삶을 사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윤리적 삶을 통해서 새로운 내러티브를 만들어가는 것이 한국교회를 살리는 길이 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Korean-style fantasy narrative, interprets their ethical meaning, and approaches them with a Christian ethical perspective. First of all, this study examines the nature of narratives while attempting to understand Korean-style fantasy. To this end, this study selects “Along with God – the Two Worlds” as an example of Korean-style fantasy. It is the realization of justice and fairness based on causal retribution. In addition, this study overviews readers’ narratives through big-data analysis, which does not reveal much difference ethically between Christians and non-Christians, showing the lack of proper teaching of Christian ethics to church members. Thus, this study presents Christian ethical alternatives to approach these issues. This study proposes a Christian ethical practice of achieving justice through love beyond causal retribution, that is, to practice social ethics to create a community of peace, reconciliation, forgiveness, and hospitality. Also, the Korean church should shift from the afterlife-oriented perspective to the ethics of God’s kingdom. Because the kingdom of God has already begun with Jesus’ incarnation, and because the teaching of Jesus to live a life of loving his enemy means living a future-oriented (eschatological hope) life. Creating new narratives through these ethical lives will be the way to save the Korean church.

      • KCI등재

        하나님을 향한 분노 안의 자기중심성에 대한 기독교 상담적 고찰: 요나서 4장의 내러티브 분석을 기반으로

        심정연 한국실천신학회 2019 신학과 실천 Vol.0 No.63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anger toward God based on narrative analysis in order to explore biblical understanding about anger toward God in Christian counseling research and clinical settings. This study analyzes Jonah 4 based on narrative analysis. In order to this research goal, characteristics and causes of anger toward God as spiritual struggle were explored and components of narrative analysis were studied. By executing narrative analysis of Jonah 4, core metaphors of anger toward God were discovered. Based on these findings, applications of anger toward God in Christian counseling research and clinical setting were suggested. Anger toward God closely related to mental health, and it caused by sin, suffering, loss of healthy attachment. This study focuses on egocentrism relating to sin in anger toward God. First of all, biblical narrater's strategies as core elements in narrative analysis would be understood by knowing character God, evaluative point of biblical view, God's knowledge based on Bible. Based on understanding narrater's strategies, anger toward God in Jonah 4 were analyzed. This study found that evil in anger, egocentrism and self-justification in anger toward God were discovered. At the same time, God's characteristics comparing to Jonah's characteristics were clearly found. This article suggested confrontation of egocentrism and self-justification, understanding God's characteristics toward people's anger toward God, and finally implications of narrative analysis in Christian counseling research and clinical settings.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 상담연구와 상담 현장에서 하나님을 향한 분노에 대한 성경적 이해를 위해, 대표적인 성경해석 방법인 내러티브 분석방법으로 하나님을 향한 분노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요나서 4장의 요나의 분노를 탐색하고 분석한다. 먼저. 영적 씨름으로서 하나님을 향한 분노의 특징과 개입, 성경 해석으로서 내러티브 분석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내러티브 분석의 기본 틀을 기반으로 요나서 4장을 분석하여 하나님을 향한 분노의 핵심 현상들을 확인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기독교 상담 연구와 임상에의 적용점을 확인하였다. 하나님에 향한 분노는 다양한 정신건강과 밀접하게 연관되며, 죄와 고통, 애착관계의 결핍 등의 이유로 발생된다고 보았다. 본 연구는 죄와 연관된 자기중심성을 주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내러티브 분석은 하나님이라는 등장인물과 하나님의 평가 관점, 성경의 하나님에 대한 지식을 기반으로 내러티브 전략을 기반으로 분석된다. 이를 기반으로 내러티브 분석툴을 통해 요나서 4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분노의 악에 대해 명시하는 성경 내레이터의 의도와 하나님을 향한 분노 안의 자기중심성과 자기의에 대한 내레이터의 강조를 확인하고, 요나와 하나님의 대칭 구조를 통한 하나님의 성품을 확인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기독교 상담의 연구와 임상 현장에서 하나님을 향한 분노와 연관된 자기중심성과 자기의에 대한 직면, 하나님을 향한 분노에 대한 하나님의 반응과 성품에 대한 이해, 내레이터 분석 방법의 기독 상담 연구와 임상에의 활용을 제안한다.

      • 내러티브 탐구 과정과 절차에 대한 고찰

        김필성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15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3 No.2

        본 연구에서는 내러티브 탐구에서의 탐구 과정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탐구 과정 이란 자료의 수집과 분석의 과정을 말하는 것으로서 질적 연구 수행에 있어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부분이 된다. 여기서는 내러티브 탐구에서의 탐구 과정을 고찰함으로써 내 러티브 탐구 방법론에 대해 이해해보려고 한다. 우선, 내러티브 탐구 방법에서는 인간의 경험을 존재론적이고 관계적이며 지속적인 과정으로 이해하고 있다. 이러한 인간의 경 험은 이야기로서 탐구가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내러티브 탐구에서는 살아내기 (living), 이야기하기(telling), 다시 이야기하기(retelling), 다시 살아내기(reliving)라는 네 단계의 탐구 과정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탐구 과정은 내러티브 탐구에서의 모든 연구 절차에서의 사고방식이며 탐구의 원리가 된다. 내러티브 탐구자는 이러한 탐구 과정에 따라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해나감으로써 인간의 경험을 이해할 수 있다. This research is going to study on the inquiry process at the narrative inquiry. The inquiry process means the process of the material collection and analysis and it is an important part to consider in the quality research performance. By studying the inquiry process at the narrative inquiry here, it is to understand the inquiry methodology on the narrative inquiry. At first, the narrative inquiry methodology understands the human experience as the process of ontology, relational, and continuous. This kind of human experience can be studied as a story, thus, the narrative inquiry suggests four levels of inquiry processes such as living, telling, retelling, and reliving. This kind of inquiry process is the way of thinking in all research processes and principle of inquiry. The narrative inquirer can understand the human experience by collecting and analyzing materials according to this kind of inquiry process.

      • KCI등재

        초·중등 교육 분야 내러티브 연구 동향 분석-한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신서영,이효휘,박창언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19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7 No.2

        The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trends of narratives in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focusing on Korea and China, to reveal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nd to present future research directions. The research targets include 491 Korean papers and 390 Chinese papers over the past 10 years. Language network analysis methods were conducted through frequency, density, centrality and the connectivity between clusters. According to the study, primary school, narratives and teachers were used most frequently in Korea, and in China, narrative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were in among the top words. Density was 0.341(SD=0.474) in Korea and 0.278(SD=0.448) in China. Centrality was high in the order of narratives, elementary schools in Korea, followed by narrative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preservice teachers in China. CONCOR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Cluster 2 was isolated from others in Korea, Cluster 4 was isolated from others in China.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s better to accumulate and link research results, find ways to revitalize them, and connect with isolated research clusters for development. 이 연구는 초·중등 교육 분야에서 그간 한국, 중국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내러티브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연구의 성과를 밝히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최근 10여 년간의 초·중등 교육 분야 학위, 학술지 논문으로 한국 491편, 중국 390편이며 텍스트마이닝 이후 언어네트워크 분석 방법 중 빈도, 밀도, 중심성(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 분석을 하였고, CONCOR 분석을 통해 클러스터 간 연결성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빈도수를 가장 많이 차지한 주제어 3개는 한국의 경우 초등학교, 내러티브, 교사였고 중국의 경우 내러티브, 전문성 발전, 초·중등 교사였다. 밀도는 한국의 경우 0.341(SD=0.474)였고 중국의 경우 0.278(SD=0.448)이었으며, 중심성은 세 가지 모두에서 한국의 경우 내러티브, 초등학교, 교사의 순으로 높았으며 중국의 경우 내러티브, 전문성 발전, 초임교사 순이었다. CONCOR 분석결과, 한국은 예비교사, 과학과, 설계, 창의성, 체육과, 실행 경험, 교육과정 운영 등이 다른 연구 군집과 고립되어 있었고, 중국은 사제 관계, 학급경영, 학습 곤란 학생, 문제성 행동, 초등학생, 수업 관리 등이 고립되어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양국의 내러티브 연구를 논의하고, 연구 성과의 축적과 연결, 활성화를 위한 방안, 고립된 연구 군집과의 연결 등이 필요함을 결론지었다.

      • KCI우수등재

        협력을 위한 의사소통 전략 탐색 - 내러티브 정책분석틀 및 과정추적법을 중심으로 -

        황태연,허성욱 한국정책학회 2021 韓國政策學會報 Vol.30 No.1

        현대 사회의 특징인 다양성과 복잡성은 협력을 통한 사회문제의 해결, 즉 거버넌스적 접근의 필요성을 증가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협력을 위한 설득과 의사소통의 전략으로서 내러티브에 대한 관심 역시 높아지고 있다. 한편 내러티브 정책분석틀(Narrative Policy Framework: NPF) 등장은 내러티브에 관한 연구가 보다 객관적·실증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NPF를 적용한 정책 내러티브 분석은 승자-패자 패러다임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한 채 환경 및 에너지 정책 분야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정책 내러티브 역할 확인 및 최근 의문시되고 있는 승자-패자 패러다임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다양한 내러티브 요소와 전략의 사용 양상이 승자-패자 인식에 의해 충분히 설명될 수 있는지 여부를 분석하였다. 또한 승자-패자 패러다임에 따르는 선행연구들의 공통된 한계인 승리-패배 인식 분석의 소홀함을 극복하기 위해 승리-패배 인식의 확인에 있어서 과정추적법을 적용하였다. 분석을 위한 사례는 환경 및 에너지 정책 분야 밖에서의 NPF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공직선거법 개정안 사례를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공직선거법 개정안 찬성 측이 패자 연합, 반대 측이 승자 연합이라는 것이 질적인 증거들을 통해 확인되었다. 또한 내러티브 요소(등장인물, 줄거리, 인과기제)와 내러티브 전략(긍정적 고무-악의적 비방, 비용 및 편익 분배)에 있어서 승자 연합과 패자 연합 간 사용 양상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그러나 인과기제와 비용 및 편익 분배 전략의 구체적인 사용 양상은 이론적 예측과 불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특수교육 분야 국내 내러티브 탐구 동향분석(2000~2021)

        고아라(Ara Ko),홍재영(Jaeyoung H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1

        목적 이 연구는 국내 특수교육 분야의 내러티브 탐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특수교육 분야에서 내러티브 연구를 실행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에게 기본 정보를 제공하고 연구의 방향에 대한 단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21년까지의 국내 특수교육 분야의 내러티브 탐구 연구 51편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분석 준거를 설정하였으며, ‘학술지, 발행 연도, 연구 참여자, 참여자 수, 연구 주제, 장애 영역, 참여자 수, 자료형성 방법, 면담 기간 및 횟수’를 준거로 동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분석대상 논문 중 6편(11.8%)이 ‘유아특수교육연구’, 5편(9.8%)이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에 실려 있어 51편의 논문 중 11편(21.6%)이 2개의 학술지에 게재되어 있었다. 발행 연도는 2004년 1편을 시작으로 2021년에 8건이 발행되어 내러티브 탐구 연구의 증가 추세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참여자는 특수교사 24편(40.7%), 일반교사 12(20.3%)편으로 교사 참여 연구가 많았으며, 참여자의 수는 3명(25.5%), 1명(21.6%), 2명(15.7%)으로 1~3명인 경우가 다수를 차지했다. 연구 주제는 교육과정 및 수업, 통합교육과 같은 직접적인 학생 지도를 주제로 한 연구가 많았다. 장애 영역의 경우 특정 장애 영역을 한정하지 않고 장애 전반을 다룬 연구가 26편(46.4%)으로 다수를 차지했으며 단일 장애 영역으로는 시각장애, 중복장애가 각 5편(8.9%)으로 가장 많았다. 자료형성 방법은 개별 면담과 현장 자료를 함께 수집한 경우가 33편(64.7%)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면담 기간은 1개월 미만에서 12개월까지 고른 분포를 보였으며, 개별 면담 횟수는 3~4회가 17편(27.4%)으로 가장 많았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특수교육 분야에서의 내러티브 탐구의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researchers who want to carry out narrative inquiry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in the future. Methods 51 narrative studies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in Korea were analyzed from 2000 to 2021. For analysis, analysis criteria were established through a review of prior research, and based on this, analyzed by journal, publication year, research participants, number of participants, research topics, disability area, number of participants, data formation methods, interview period and number of times.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11.8% of the papers to be analyzed were published in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and 9.8% i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with a total of 21.6% published in two journals. The publication started with 1 paper in 2004, 8 papers were published in 2021, confirming the increasing trend of narrative inquiry research. As for the participants, 40.7%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20.3% of general teachers were involved in the study. the number of participants was 1~3 people accounting for the majority. Most of the research topics were instruction and curriculum operation experiences. In the case of the disability area, 46.4% of the studies dealt with the overall disability without limiting the specific disability area, and 8.9% of the single disability area were visual impairment and Multiple disability, respectively. As for the data formation method, 64.7% of them collected individual interviews and field text together. The interview period showed an even distribution from less than 1 month to 12 months. As for the number of individual interviews, 3~4 times were the most at 27.4%.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narrative inquiry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in the future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