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비계획적 발관에 대한 시뮬레이션 교육 경험

        이현숙(HyunSook Zin Lee),송충숙(Chung Sook Song),윤성자(Sung Ja Y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1

        목적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의 비계획적 발관에 대한 시뮬레이션 교육 경험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된 질적연구로서 연구 질문은 ‘비계획적인 발관에 대한 시뮬레이션 교육 경험은 어떠한가?’이며, 본 연구를 통해서 도출된 실체이론을 통하여 간호대학생의 시뮬레이션 교육의 경험을 적절하게 할 수 있는 간호학적 개입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일개 대학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1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20년 9월의 한 달간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자료분석은 Corbin과 Strauss(2008)의 근거이론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이에 따른 분석 결과 핵심 범주는 시뮬레이션 교육 경험에서 ‘자신의 존재에 가치를 부여하기’였고, ‘예상하지 못한 기관지 내관의 이탈’, ‘초조함’, ‘주위의 도움’, ‘직무수행의 자존감 회복’, ‘문제해결에 대한 자신감 함양’의 6개의 범주가 도출되었고, 18개의 하위 범주, 37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간호대학생의 비계획적 발관에 대한 시뮬레이션 교육 경험을 심도 있게 이해하는 근거를 제공하며, 추후 간호대학생의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와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conducted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simulation education of unplanned attendance of nursing students. Methods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10 nursing students attending a university,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the month of September 2020. The data analysis used the basis theory method in Corbin & Strauss (2008).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the core categories were ‘giving value to one s existence’ in the simulation education experience, and the categories were derived: ‘unexpected deviation from internal organs’, ‘urgent’, ‘help around’, ‘restoration of self-esteem in job performance’ and ‘building confidence in problem solving’. Results In open coding, six categories, 18 subcategories, and 37 concepts were derived. Conclusions It provides a basis for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unplanned experienc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aims to help develop programs that can improve the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of nursing college students in the future.

      • KCI등재

        간호에서 돌봄의 예술

        공병혜(Byung-Hye Kong) 한국의철학회 2007 의철학연구 Vol.3 No.-

        간호에서 돌봄이란 간호행위의 특성을 이해하는 핵심개념이다. 간호이론가들은 돌봄을 1) 인간의 존재론적 특성이며, 2) 간호의 도덕적 이상이며, 3) 정서적 특성을 지니며, 4) 대인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며, 5) 치료적 중재역할을 한다는 것으로 특징짓는다. 특히 간호학자들은 인간 상호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돌봄의 감성적, 도덕적 특성을 “간호의 예술” 혹은 ‘인간 돌봄의 예술’이라는 표현을 통해 기술한다. 이글은 우선 간호학자들이 예술로서의 돌봄의 실천을 어떻게 이해하는 지에 대해 기술해 보고, 나이팅게일의 간호론에 대한 재해석을 통해서 전체론적 사고에 기초한 간호예술론의 입장을 고찰해 보기로 한다. 이글은 간호에서의 돌봄의 예술이 궁극적으로 취약한 상황에 처한 개인의 인격의 존엄성을 보호하고 유지하고 증진시킬 수 있는 도덕예술(moral art)로 나아가야함을 보여주고자 한다. Nursing theorists have identified caring as a core concept of nursing, have categorized it: (1) caring as a human trait, (2) caring as a moral imperative or ideal, 93) caring as an affect, (4) caring as interpersonal relationship (5) caring as therapeutic intervention, They emphasized that caring implied aesthetical and ethical character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so described it ’an art of nursing or art of human caring’. In this paper, I will argue the characteristic of caring practice as an art, reinterpret a theory of Nightingale’s nursing art as nature-healing art based on the holistic world view. This will ultimately provide that an art of caring should be regarded as an moral art in order to protect und preserve und promote human dignity of a vulnerable person.

      • KCI등재

        임상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요인

        구연희(Yeonhee Koo),민해영(Haeyoung Min) 한국자료분석학회 202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5 No.5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긍정심리자본, 임종간호스트레스와 환자-가족 중심 간호에 대한 인식이 임종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G도 J시에 소재한 일개의 상급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총 임상경력 12개월 이상인 임종환자를 1회 이상 간호한 경험이 있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총 193명이고,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사후검증,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임종간호수행은 현부서 경력(F=3.60, p=.015), 근무부서(t=2.36, p=.019), 1년 이내 임종환자 간호제공횟수(F=2.76, p=.044), 환자-가족 중심 간호교육 경험(t=-2.26, p=.025)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임상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의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단계별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긍정심리자본(β=.38, p<.001), 환자-가족 중심 간호에 대한 인식(β=.23, p=.001), 근무부서(β=.15, p=.014), 환자-가족 중심 간호 교육경험(β=.14, p=.026)이 임종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되었으며 전체 설명력은 29.0%로 나타났다(F=20.57, p<.001). 따라서 임종간호수행을 증진하기위해 임상간호사의 긍정심리자본, 환자-가족 중심 간호에 대한 인식 및 환자-가족 중심 간호교육경험을 높이는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linical nurse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erminal care stress and perception of patient-family centered care on performance of terminal care. Data were collected from 198 nurses,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linical nurses’ performance of terminal care and working experiences in current unit (F=3.60, p=.015), work unit (t=2.36, p=.019), number of terminal care provided to dying patients within 1 year (F=2.76, p=.044), and experience of patient-family centered care education (t=-2.26, p=.025). The factors affecting clinical nurse’s performance of terminal care wer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β=.38, p<.001), perception of patient-family centered care (β =.23, p=.001), work unit (β=.15, p=.014), and experience of patient-family centered care education (β=.14, p=.026), explaining 29.0% of the variance. Therefore, the effective education program is needed to enhance clinical nurse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s well as to increase their education experience and awareness of patient-family centered care in order to better perform terminal care.

      • KCI등재

        간호학생의 기본간호수행능력 영향요인 분석

        송미령(Mi-Ryeong Song),김은만(Eun-Man Kim),유수정(Su-Jeong Yu)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6

        의료분야의 전문화와 정보화로 간호사에게 요구되는 지식과 간호기술은 증가하고 복잡해진 반면, 임상에서의 실습교육이 위축되면서 기본간호학 실습 교육과 방법의 강화 및 개선에 대한 다양한 요구와 도전에 직면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기본간호수행능력과 관련된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4년제 간호학과에서 기본간호학 과목을 수강하는 2학년 학생 중 연구참여에 동의한 총 10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기기입식 질문지법으로 자료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대인관계, 성적 및 실습실 개방 자율실습 여부에 따라 기본간호수행능력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간호학생의 기본간호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습만족도, 의사소통능력과 자기주도성 이었으며, 이들 변인은 기본간호수행능력 총 변량의 49.9%를 설명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학생에서 기본간호수행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실습실 개방 자율 실습방법을 적용하고 간호학생의 지각된 대인관계 정도와 성적 특성을 고려하며, 자기주도성, 전문직 자아개념, 의사소통능력 및 학습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방법으로서 blended learning을 제언한다. As medical practices and procedures become more specialized and information technology develops in clinical settings, health organizations need medical personnel with special skills, knowledge and competency. But the lack of practical experience in clinical settings may impair competency in basic nursing skills among nursing students. This study used a cross-sectional survey to analyze factors related to nursing competency among nursing students in order to establish effective teaching methods to increase the clinical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 questionnaire distributed in several universities among 106 nursing students who expressed a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study during December 2011 in order to measure self-directedness, professional self-concepts, communication ability, learning satisfact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dow program. There were differences regarding competency in basic nursing skills according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s, grades, existence of an open lab. The level of learning satisfaction, communication skills and self-directedness were deemed influencing factors regarding competency in basic nursing skills. These 3 elements account for 49.9% of competency with regard to basic nursing skills. According to existing research, blended learning methods which consist of problem based learning, cyber education or case centered education should be considered as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developing clinical nursing skills.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직업가치관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안성식,박인숙 한국취업진로학회 2022 취업진로연구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nursing professional intuition and occupational values of nursing college student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ir job preparation behavior. The data collection of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October 25 to October 29, 2021, and the study subjects were collected using a self-filled questionnaire from 213 nursing students in the 4th grade of one college in J City, K Do. The SPSS Win 22.0 program was based on a frequency analysis of general characteristics, a nursing professional intuition of nursing college students, occupational values and a confidence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pearson's correlation of job preparation behaviors.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study derived, hypothesis1 was adopted because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α) 0.05 after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professional intuition(β=0.202) on job preparation behavior. After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values(β=0.553)on job preparation behavior, hypothesis2 was adopted because i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α) 0.01.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professionalism and job readiness behavior, it was found that nursing professionalism had an effect on job preparation behavior. Nursing professionalism was found to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job preparation behavior, followed by professional self-concept, followed by nursing practice, independence of nursing, professionalism of nursing, and social perception.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values ​​and job preparation behavior, it was found to have an influenc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values ​​and job readiness behavior, it was found that the intrinsic values ​​of achievement, ability, and aptitude and interest had a greater effect on job preparation behavior than extrinsic values ​​of salary, economic stability, honor or status, and working environment. The academic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job preparation program to improve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intrinsic vocational values ​​in order to actively perform job preparation behaviors of nursing students. The practical implication is that factors affecting nursing professionalism and professional values ​​were examined at a time when the role of nurses socially increases due to COVID-19 for graduate-grade nursing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the era of COVID-19, which is difficult to find in previous studies. You can check what it is and reflect it in the area of ​​integrated nursing activity. Based on th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improvement of nursing professional intuition and occupational value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ir job preparation behavior,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career guidance and program development for successful employment that can establish customized employment strategies and reduce the rate of early turnover.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직업가치관을 파악하고,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21년 10월 25일부터 10월 29일까지 K도 J시에 소재한 일개 대학 4학년에 재학 중인 213명의 간호대학생으로 부터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본 연구는 SPSS Win 22.0 program으로 일반특성은 빈도분석,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취업가치관 및 취업준비행동은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및 pearson’s correlation을 실시하였다. 도출된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간호전문직관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살펴본 결과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가치관이 취업준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전문직관과 직업가치관이 취업준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첫째, 간호전문직관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살펴본 결과 간호전문직관이 취업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전문직관은 취업준비행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전문직 자아개념이었고, 그 다음으로 간호실무역할, 간호의 독자성, 간호의 전문성, 사회적 인식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가치관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본 결과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가치관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살펴본 결과 성취감, 능력발휘 및 적성과 흥미의 내재적 가치가 급여, 경제적 안정, 명예나 지위 및 근로환경의 외재적 가치보다 취업준비행동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학문적 시사점은 간호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을 활발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전문직 자아개념과 내재적 직업가치관을 향상시키기 위한 취업 준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였고,실무적 시사점은 기존의 연구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코로나-19 시대를 경험한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코로나-19로 간호사의 역할이 사회적으로 증대되는 시기에 간호전문직관과 직업적 가치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확인하여 통합적 간호 활동 영역에 반영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취업가치관의 향상은 취업 준비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수 있기에 맞춤형 취업전략을 수립하고 조기 이직률을 낮출 수 있는 성공적인 취업을 위한 진로지도 방안과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호스피스인식과 영적안녕이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지숙(Ji-Suk Kim),김정은(Jung-Eu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5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호스피스인식이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들의 관계에서 영적안녕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위해 344명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SPSS 21과 AMOS 21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간호대학생의 임종태도는 호스피스인식 및 영적안녕과 모두 정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임종간호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모두 고려하여 분석한 결과, 연구모형과 구조모형의 적합도는 모두 매우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간호대학생의 임종간호태도에 호스피스인식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들의 관계에서 영적태도는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호스피스에 대한 효과적인 간호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perception on hospice among nursing students on terminal care attitude and to find out the mediating effect of spiritual wellbeing in their relationship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344 nursing students were surveye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SPSS 21 and AMOS 21.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the terminal care attitude of nursing student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both perception on hospice and spiritual wellbeing.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considering all the variables affecting terminal care attitude, Both the research model and the structural model were found to have very goodness of fit. Finally, it was found that perception on hospic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terminal care attitude of nursing students, and spiritual wellbeing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ir relationship.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aims to present implications for the effective nursing of hospice in nursing students.

      • KCI등재

        간호학 논문에 나타난 ‘전문간호역량’ 관련 질적 내용 분석

        강지숙(Ji Sook Kang),김은미(Eun Mi Kim),이인영(In Young Lee),이미림(Mi Rim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4

        본 연구는 간호학 학술지에 수록된 논문에 나타난 ‘전문간호역량’의 실제적 의미(meaning)를 파악하기 위해 연역적 내용분석기법을 적용한 질적 연구이며, 우리나라 간호전문직 재정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수행하였다. 분석 대상은 한국간호행정학회 학술지에 수록된 논문 252편이었고, 분석 단위는 논문의 주요 용어 총 1,036개를 선정하였다. 1단계 분석은 빈도 분석과 개념의 분류 및 그룹화를 통해 83개의 그룹 개념을 추출하였고, 2단계 분석은 ICN의 전문간호역량 개념틀에 근거하여 전문간호역량의 실제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1단계 빈도 분석결과 ‘간호사’ 그룹 개념이 압도적으로 높은 빈도(142)를 나타냈고, 다음은 간호연구(68), 환자안전(56), 병원(36), 간호(32) 순으로 확인되었다. 일부 용어는 MeSH(Medical Subject Headings) 용어에 포함되지 않아 키워드 선정과 관련하여 일관성 있는 가이드라인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ICN 전문간호역량 개념틀에 의한 2단계 분석결과는 17개 세부역량 중 한국간호행정학회 학술지에 수록된 논문에 나타난 전문간호역량은 사회적 책무성, 윤리적 간호실무, 리더십과 관리, 환자를 위한 환경안전, 전문성 강화 등 5개 역량에 집중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리더십과 관리 역량은 ICN 전문간호역량의 개념틀에는 환자를 위한 환경안전역량, 보건의료직종 간 협력역량, 위임과 관리감독역량 등 3가지 역량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본 연구 결과 간호행정학회 논문에 나타난 리더십과 관리역량은 환자를 위한 환경안전역량에 상당 부분 치우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using the deductive content analysis technique to grasp the actual meaning of professional nursing competency in the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nursing science. This was done to prepare basic data for re-establishing nursing professions in Korea. The subject of analysis was 252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and the analysis unit selected a total of 1,036 major terms of the paper. In the first stage analysis, 83 group concepts were extract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concept classification and grouping. The two-step analysis was based on the ICN s concept of professional nursing competency. As a result of the first-level frequency analysis, the concept of the group of nursers showed an overwhelmingly high frequency (142), followed by nursing research (68), patient safety (56), hospital (36), and nursing (32). Some terms were not included in the term MESH (Medical Subject Headings), confirming the need for consistent guidelines regarding keyword selection. As a result of the two-step analysis based on the ICN professional nursing competency concept frame, the professional nursing competency shown in the thesi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Nursing Administration among 17 sub-competencies is social responsibility, ethical nursing practice, leadership and management, environmental safety for patients, expertise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focused on five competencies, including strengthening. In addition, leadership and management competencies consist of three competencies in the framework of ICN professional nursing competency: environmental safety competency for patients, cooperation competency between health and medical professions, and delegation and supervision competency. It was confirmed that the leadership and management competencies shown were largely biased towards environmental safety competencies for patients.

      • KCI등재후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 간호전문직관, 문제해결능력의 관계

        김수미,류지원 국제인문사회연구학회 2024 Studies o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HSC) Vol.6 No.2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 간호전문직관,문제해결능력의 관계 김 수 미ㆍ류 지 원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 간호전문직관, 문제해결능력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대상자는 J도에 소재한 2개 대학 간호학과에 재학 중이며 연구 참여에 동의한 학생 176명이다. 자료수집은 2023년 10월부터 2023년 11월에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test와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본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 간호전문직관, 문제해결능력은 각각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비판적 사고 성향과 간호전문직관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한 결과, 두 변수는 문제해결능력을 58.9% 설명하였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 간호전문직관, 문제해결능력간의 관계를 규명함에 의의가 있으며, 추후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비판적 사고 성향과 간호전문직관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검증 연구를 제언한다. 핵심어: 비판적 사고 성향, 간호전문직관, 문제해결능력, 간호대학생, 간호교육 The 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Nursing Professionalism and Problem Solving Abilityin Nursing Students Sumi Kim* & Jiwon Ryu**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nursing professionalism and problem solving ability.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176 student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s students enrolled in the nursing departments of two universities located in J province.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October to November in 2023.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test and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WIN 25.0 program. As a result of this stud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nursing professionalism and problem solving ability respectively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n problem solving ability, the two variables explained 58.9% of problem solving abil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confirm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nursing professionalism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t is suggested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and verify their effectiveness to promot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nursing professionalism for improving problem solving ability. Key Word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Nursing Professionalism, Problem Solving, Nursing Students, Nursing Education □ 접수일: 2024년 3월 20일, 수정일: 2024년 4월 10일, 게재확정일: 2024년 4월 20일* 주저자, 동신대학교 간호학과 부교수(First Author, Professor, Dongshin Univ., Email: cnacall@hanmail.net)** 교신저자, 동신대학교 간호학과 박사과정(Corresponding Author, Doctoral Course, Dongshin Univ., Email: rourou0821@daum.net)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보건소실습 중요도 인식과수행도의 IPA에 관한 연구

        김은재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3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9 No.4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보건소 실습에 전공만족도 및 실습의 중요도 인식과 수행도을 분석하고 보건소의 실습내용에 대한 개선방안을 파악하고자 J시의 간호대학생 217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5.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전공만족도와 보건소 임상실습 수행도와는 정적상관(r=.55, p<.001)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행도의 하위요인 모두와 정적 상관(r=.41~.54, p<.001)을 보였다. 특히 하위의 요인 중 실습을 통한 내적 성장과 이론의 실제 적용과의 상관관계는(r=.54~.56, p<.001)으로 상관성이 높은 요인이었다. 간호학생들의 전공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이론 공부가 선행되어야 하며, 영역별 분석을 통해 간호대학생이 의 간호대학생들의 정체성과 내적 성장을 통한 만족감을 얻기 위해서는 보건소 실습을 하는 동안 실습지도자는 다양한 네트워크를 구축하며 간호대학생들과의 원할한 의사소통에 최선을 다하며, 지역사회의 보건소 실습 환경개선을 위해 실습 전·후 실습기관과의 간담회를 통한 다양한 의견들의 제시가 이루어지도록하며, 간호대학생들의 보건소 실습이 원활하게 수행되기 위해서는 실습지도교원은 간호대학생이 보건소 실습을 하기 전 실습관련 사전 학습이 필요하다는 개선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장기요양시설 규모별 간호서비스 요구 및 제공현황 비교

        이정석,황라일,박세영,한은정 경희대학교 동서간호학연구소 2020 동서간호학연구지 Vol.26 No.1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extent and variations of elderly residents’ nursing care needs, and provision of nursing care across long term care facilities. Methods: A nationwide survey was conducted on nurse managers from 1,041 long term care facilities, by e-mail or fax, from August 16 to September 30 in 2017.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consisting of 5 domains was used to collect data. Results: Facilities with more than 30 residents were more likely to need skilled nursing services and to obtain the nursing staff such as a registered nurse and a nurse’s aide. Awareness and satisfaction of hospital-based home nursing care was high in all facilities. In addition,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nurse managers’ perceptions of the level of healthcare resources and required action by facility size. Nurse managers of senior congregate housings were more likely to have considerable difficulty in dealing with healthcare needs of residents and recognizing the healthcare resource shortage. A majority of nurse managers agreed on the need to employ a registered nurse.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it is essential to increase nurse staffing level and to reform the long term care insurance for enhancing the accessibility of healthcare services, especially for the residents in small long term care facilities. There is also a need to provide diverse education and training opportunities for nursing staff working in long term care facilities. 목적 : 전국 노인장기요양 입소 시설을 대상으로 시설 규모별 간호처치 요구 및 간호서비스 제공 현황, 그리고 간호책임자의 의료 및 간호서비스 제공에 대한 인식도를 비교함으로써 향후 입소 노인 대상 연속적이고 통합적인 간호서비스 제공 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 전국에 분포한 노인장기요양 입소 시설을 유형별, 소재지역별, 정원규모별로 비례층화표본추출한 2017 년 8 월 16 일부터 9 월 30 일까지 설문조사한 총 1,041 개 기관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30인 이상 노인요양시설은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에 비해 간호사 배치율, 의료연계율 및 전문적 간호 서비스의 요구를 수행할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간호책임자는 입소 시설 규모가 작을수록 간호인력 부족, 의료 및 간호처치 요구에 대처하는데 더 큰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모든 입소 시설에서 응급 대처에 필요햔 간호사 배치가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의 간호처치 및 의료적 요구를 충족시킬 방안의 마련과 함께 입소 시설 내 간호 인력 수준을 높이고 의료 연계 및 서비스의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도적 방안 모색이 필수적임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