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산화된 프로그램을 통한 ADHD 하위 유형별 주의력 증진 훈련의 효과

        이신화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ttention enhancement training using computerized program for ADHD not taking medication. Further, more effective method that improve attention deficit symptoms for each subtypes of ADHD was verified. 36 children suspected ADHD had been selected at elementary school. 21 children was ADHD Combined type(hereinafter ADHD-C) and 17 children was ADHD predominantly inattentive type(hereinafter ADHD-PI). Those childre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sustained attention training group and focused and selective attention training group. The training was executed 15 sessions for 5 weeks. Each session children were trained by computerized program lasted 15-20 minutes. Go/No-Go task, Trail Making Test, Coding, and ADHD Rating Scale were administered to assess this attention enhancement training on before and after training. Results were as follows: Attention enhancement training is effective to reduce their attention problem in ADHD not taking medication. Especially, sustained attention training was more effective than focused and selective attention training for ADHD-C to reduce respond impulsively and inconsistently. In ADHD-PI, focused and selective attention training was effective to enhance process speed.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 that it would be more effective to apply different attention training to each subtypes of ADHD.

      • ADHD아동의 비학습행동 감소를 위한 DRO기법의 적용 효과

        문정자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crease the disruptive behaviors of the ADHD children in an inclusive classroom in the primary school by using differential reinforcement of other behavior. The issue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 1) Is it effective in decreasing being-off task of the ADHD children when the "differential reinforcement of other behavior" procedures are applied to them? 2) Is it effective in decreasing inattentive behaviors of the ADHD children when the "differential reinforcement of other behavior" procedures are applied to them? 3) Is it effective in decreasing offensive and impulsive behaviors of ADHD children when the "differential reinforcement of other behavior" procedures are applied to them?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 ADHD children, the 3rd graders in a primary school in Busan. To analyse the data, the descriptive statistic skill was used. To obtain empirical data, the following instruments were used. 1) To screen the ADHD children, DSM-Ⅵ-TR and MFFT-KC were used. 2) To use a token system, various kinds of character stickers were used. 3) As a reinforcer cookie, football, some kinds of food were used. 4) To record the children's behavioral characteristics, recording form which was developed by the author was used.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 First, being-off task of the ADHD childre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 "differential reinforcement of other behavior" procedures were applied to them. Second, inattentive behaviors of the ADHD children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 "differential reinforcement of other behavior" procedures were applied to them. Third, offensive and impulsive behaviors of the ADHD childre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 differential reinforcement of other behavior' procedures were applied to them.

      • ADHD 아동을 둔 어머니를 위한 목회상담모형

        김형숙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develop theories on child rearing experiences in mothers with ADHD children in the socio-cultural contexts of Korea, and with the theoretical background, to propose a pastoral counseling model that the present researcher has practiced.First, in order to develop theories on ADHD child rearing experiences, we conducted a qualitative research on 18 mothers with ADHD children. The study found that the basic social-psychological process of the participants is breaking through with heavy burden. This process became the core category around which the theory was developed. Mothers move through the five distinct stages, which are denial, trial, explosion, abandonment, and acceptance. The process is affected by three conditions of paradigm model the casual condition of ignorance of ADHD, the contextual condition of social prejudice and the contextual conditions of unprepared social and educational system, the intervening condition of mother’s receptiveness, support of social network, and religion support. At this process, the mothers experience the spiral process of from trial to acceptance as I mentioned above.The pastoral counseling model, which is based on the derived theory was formulated by restructuring Lartey’s methodology by adding narrative therapy. The model is based on the result of a preliminary survey in May, 2005, and its program as ‘a cyclic process of practice’ has been continuously structured, evaluated and executed from January 2006 to the present. Its contents are not static, fixed with evaluation, but are supplemented continuously in the field of pastoral counseling. Thus, contents of the model common between the results of the preliminary survey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been practiced continuously and new findings in this study were newly added and evaluated.The contents of the model is not focused on ADHD children’s symptoms and pathological aspects but on the possibility for the growth of ADHD children’s families in society and alternatives, including plans to practice in 4 domains - individual, group, society and spirituality - in the dimension of pastoral care so that ADHD children can be raised with hope and without prejudice and oppression. The individual domain is composed of counseling for ADHD children and their parents, the group domain of parent education, parent meeting, group therapy for children, the society domain of symbolic social activities, and the spirituality domain of collaborative learning, healing and recovery. Summing up the results of evaluation by program participants, program operators, community members and governmental institutions based on social constructivism emphasizing the dimension of process and context, the pastoral counseling model was found useful for ADHD children’s families to break through their life in the society with bearing the burden, but inadequacies were found in the environmental context of systems and organizations to execute the model. Accordingly, we need to develop external sponsors and apply the pastoral counseling model to ADHD children’s families in a wider range beyond the boundary of local churches. 본 연구는 한국의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ADHD 아동을 둔 어머니들의 양육경험이론개발과 이를 이론적 배경으로 하여 본 연구자가 실천한 목회상담모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먼저 ADHD 자녀양육경험이론 개발을 위해서는 ADHD 아동을 둔 어머니 18명을 대상으로 질적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자료는 심층면담과 관찰 등 삼각 검증법을 통해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trass와 Corbin(1998)이 제시한 근거이론방법에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방코딩 과정에서 18개의 범주, 44개의 하위범주, 129개의 개념이 도출되었으며, ADHD 아동을 둔 어머니의 양육경험은 ‘ADHD에 대한 무지함’이라는 인과적 조건과 ‘사회적 편견 인식’, ‘사회교육제도가 미비함’의 맥락적 조건에 영향을 받아 나타나는 ‘멍에’라는 중심현상에 대해 ‘어머니의 수용력’, ‘사회적 지지망의 지원’, ‘종교지원’의 중재적 조건에 영향을 받으면서 ‘확인하기’, ‘회피하기’, ‘찾아 헤매기’, ‘집착하기’ ‘조절하기’, ‘터트리기’, ‘좌절하기’, ‘내려놓기’ 전략을 사용하는 ‘멍에를 안고 헤쳐 나아감’ 과정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간의 흐름에 따른 양육과정은 부정, 시도, 폭발, 포기, 수용의 5단계로 나타났다.ADHD 자녀양육과정은 일 방향적으로 나아가는 과정이 아니라 역행하거나 머물러 있거나 진행하는 양상을 보였다. 첫 번째 단계인 부정 단계를 제외하고는 시도, 폭발, 포기, 수용이라는 나선형 구조를 보여 주었다. 이는 한국 사회 안에 존재하는 사회적 편견과 사회교육제도의 미비함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멍에를 안고 헤쳐 나아감’의 유형은 수용형, 소극적 수용형, 갈등 노력형, 방황형의 네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수용형의 참여자들은 종교지원과 사회적 지지망의 지원을 강하게 받으면서 자녀의 진단과 사회적 편견과 사회교육제도가 미비한 현실을 받아들인다. 소극적 수용형의 참여자들은 네 가지 유형 중 어머니의 수용력이 가장 큰 유형으로 자녀의 ADHD 진단을 수용하지만 어떤 변화를 시도하기보다 수용상태로만 머물러 있는 유형이다. 이는 사회적 지지망과 종교지원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에 기인한다. 갈등 노력형은 자녀가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알지만 장애나 병으로 인정하는 것을 꺼리는 참여자이다. 이들은 남편의 협조라는 지원을 받아 터트리기와 좌절하기의 전략을 약하고 드물고 내려놓기의 전략을 강하게 사용하여 멍에를 헤쳐 나아가고 있었다. 방황형은 어머니의 수용력, 사회 지지망의 지원, 종교 지원 어느 것 하나 지원이 없는 참여자다. 이들은 진단을 받았지만 여전히 ADHD 자녀양육에 대하여 방황하면서 자녀양육을 멍에로 가장 힘들게 경험하고 있었다.근거이론을 통해 나온 개념과 범주들은 8명의 참여자, 3명의 공동연구자와 함께 참석하여 도출되었고, 분석된 내용은 본 연구 참여자 이외의 ADHD 어머니 4명에 의해 확인을 받았다.도출된 이론을 ADHD에 대한 신학적 성찰을 통한 재 개념화는 다음 네 가지로 설명된다. 첫째, ADHD 진단은 비정상이라는 꼬리표가 아니라 돕기 위한 의학적 분류이다 둘째, ADHD를 가진 것은 '열등’이 아닌 ‘몸의 다름’이다. 셋째, 부족하다는 것은 잘못된 것이 아니다. 넷째, ADHD 아동에 대한 편견과 낙인은 그들에 대한 폭력이다.도출된 이론과 ADHD에 대한 신학적 성찰을 통한 재 개념화를 바탕으로 한 목회상담모형은 라티의 방법론을 뼈대로 이야기치료를 부가하여 재구성된 것이다. 본 모형은 2005년 5월에 실시한 예비조사결과를 기반으로 2006년 1월부터 현재까지 계속 프로그램이 구성, 평가, 실행되고 있는 ‘순환적인 실천 과정’ 이며 일시적으로 내용들이 갖추어져 시작하고 평가로 끝나는 정태적인 것이 아니라 목회상담 현장에서 계속 내용들이 구성되는 과정이다. 이에 모형의 내용은 예비조사 결과와 본 연구의 결과가 공통적인 것들은 계속 실천되었고 본 연구에서 더 세부적으로 밝혀진 것은 새로 추가하는 식으로 구성되어 평가, 실행되고 있는 ‘순환적인 실천 과정’이다.이 모형의 내용은 ADHD 아동의 증상과 병리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ADHD 가족과 사회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과 대안에 초점을 맞추어 편견과 억압에서 벗어나 희망을 가지고 양육할 수 있도록 하는 목회적 돌봄 차원의 ‘개인, 집단, 사회, 영성’의 네 영역의 실천방안을 포함한다. 개인의 영역에서는 ADHD 아동과 부모 상담으로, 집단의 영역에서는 부모교육, 부모모임, 아동집단치료로, 사회 영역에서는 상징적 사회활동을, 영성 영역에서는 협동학습과 치유와 회복을 위한 시간으로 구성된다. 과정과 맥락의 차원이 강조되는 사회구성주의에 준거 프로그램 참여자, 진행자, 공동체구성원, 정부기관의 평가를 종합해 보면, 목회상담모형이 ADHD 가족들이 사회에서 멍에를 안고 헤쳐 나아가는 데에 유용했지만 이를 진행시킬 시스템과 조직의 환경적 맥락에서 취약함을 드러났다. 따라서 이를 위한 외부후원자계발과 지역 교회의 공간을 넘어선, 더 큰 범위의 지역에서 ADHD 가족을 위한 본 목회상담모형의 실천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본 연구는 ADHD를 양육하는 어머니들의 실제 경험을 기반으로 한 것으로 ADHD 아동과 그 가족들을 위한 사회적 인식의 확대와 교육, 치료, 사회지지망 지원에 있어서 더 나은 서비스 확충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나아가 아직은 ADHD가 낯선 한국사회에서 그리고 신학과 목회상담영역에서 이들을 위한 목회적 성찰과 실천적 방안에 유용한 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ADHD아동의 인지억제력의 결함양상

        김학분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ADHD아동의 인지억제력에 결함이 나타나는지, 나타난다면 그 결함양상이 ADHD와 유사한 증상을 나타내는 비교집단들과 어떻게 다른지를 비교분석하였다. 실험집단인 ADHD아동은 비투약아동 25명 투약아동 15명이었으며, 정상아동 31명, 정상이지만 고지능(IQ>120)아동 18명, ADHD 경향성이 있는 경계선아동 15명이 비교집단으로 이용되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자동적 인지억제력을 측정하는 부적점화과제와 의도적 인지억제력을 측정하는 양이청취과제의 수행수준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ADHD아동은 자동적 인지억제력과 의도적 인지억제력 양쪽 모두에서 정상아동보다 결함이 있는 것으로 보였다. 이에 비해, 고지능아동은 의도적 인지억제력에서만, ADHD경계선 아동은 자동적 인지억제력에서만 결함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ADHD아동의 인지억제력의 결함양상은 비교집단들과 달랐다. 또한 ADHD 약물은 ADHD아동의 자동적 인지억제력과 의도적 인지억제력을 향상시켰으나 기억력에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보였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cognitive inhibition of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A negative priming task and a dichotic listening task were administered to assess automatic and intentional cognitive inhibition, respectively. Twenty-six ADHD children without treatment and 15 ADHD children under drug treatment were compared to 31 normal children, 15 children with ADHD tendency, and 18 children of high IQ (IQ> 120) regarding their performance levels on the two tasks. Results suggest that children with ADHD not under drug treatment are less efficient on both automatic and intentional cognitive inhibition. By contrast, children with ADHD under drug treatment showed evidence of inhibition, suggesting that stimulant drugs do improve automatic and intentional cognitive inhibition. However, the results cannot be extended to account for the effect of the drugs on memory. Moreover, the performance pattern of children with ADHD differed from those of the controls. In particular, children with ADHD tendency were less efficient only on automatic cognitive inhibition; whereas children with superior intelligence were less efficient on intentional cognitive inhibition.

      • ADHD 성향을 보이는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을 위한 특수교육적 지원 가능성에 관한 연구

        오수진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정서적 · 행동적 문제를 지니고 있지만 특수교육 서비스를 받고 있지 못한 ADHD 성향을 보이는 학생들이 일반 고등학교 환경 내에서 보이는 행동특성의 유형, 지도에 있어서의 어려움 및 현재 학교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지원을 알아보고, 이들을 위해 필요한 지원을 밝혀 ADHD 성향을 보이는 학생들에 대한 특수교육적 지원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DHD의 특성을 보이고 있지만 특수교육 서비스를 받고 있지 않은 학생들의 담임을 맡고 있는 서울 · 경기 지역의 9개 전문계 고등학교 교사 54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계 고등학교 내에서 ADHD 성향을 보이는 학생의 수와 유형에 대한 조사 결과, 전체 조사 대상 학생 1950명 중에서 5.85%에 해당하는 114명의 학생이 ADHD로 진단받거나 혹은 ADHD 성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행동특성 유형은 주의력결핍 우세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혼합형, 과잉행동-충동성 우세형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ADHD 성향을 보이는 학생들을 지도하는데 있어서의 어려움에 대한 조사 결과, ‘수업 준비 및 참여가 부족하여 학업 수행에 어려움을 지닌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행동문제를 지닌 학생으로 인하여 교사의 스트레스가 심하다’, ‘전문적인 교육이 없어 행동문제를 지닌 학생에게 적절한 교육방법을 적용하기 어렵다’ 순으로 지도상의 어려움을 보고하였다. 셋째, ADHD 성향을 보이는 학생들의 행동문제에 대해 학교에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지원에 대한 조사 결과, ‘전화나 가정통신을 통해 부모에게 학생의 잘못된 행동을 알리고 조치를 요구한다’의 가족차원의 지원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다음으로 ‘학생을 개별적으로 불러 문제행동에 대해 상담한다’, ‘학급규칙을 분명하게 제시하고 자주 상기시킨다’의 학생, 학급 · 학교차원의 지원방법 순으로 주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ADHD 성향을 보이는 학생들을 위해 필요한 지원에 관하여 조사한 결과, 개별학생을 위해 필요한 지원과 관련하여 ‘교실에서 요구되는 기본적 규칙 지도’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자신의 감정을 구별하고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지도’, ‘적절한 대인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데 필요한 기술지도’ 순으로 나타났다. 가족에 대해 필요한 지원과 관련해서는 ‘부모를 위한 상담치료’를 가장 필요로 하였으며, 다음으로 ‘가정에서 학생의 행동지원에 관한 부모교육’, ‘학생의 행동문제나 교육과 관련된 부모 상담’ 순으로 나타났다. 교사를 위해 필요한 지원에서는 ‘문제행동 지원에 관해 자문을 구할 전문가와의 연계 기회’와 ‘행동문제를 지닌 학생 교육을 위한 전반적인 지식과 기술에 대한 연수’를 가장 필요로 하였으며, ‘교사간의 협력을 위한 학교 차원의 지원’, ‘문제행동 지도 및 상담에 대한 연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학급 및 학교차원에서 환경변화와 체제개선을 통한 지원과 관련하여 ‘가족과 전문가들 간 원활한 의사소통’이 가장 많았고, ‘행동문제를 지닌 학생을 교육하기 위한 특수교사나 행동중재 전문가 배치’, ‘ADHD가 의심되는 학생을 위한 소아정신과 상담’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ADHD 성향을 보이는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을 위한 특수 교육적 지원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일반학급 내에서 이들에 대한 상담 및 지원, 일반교사를 위한 ADHD 학생 이해 교육 및 연수와 프로그램 제공, 긍정적 행동지원과 특수교육지원센터의 활용 등의 지원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전문계 고등학교 ADHD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전무하다는 점과 일반학생을 위한 특수교육적 지원방안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ADHD 성향을 보이는 고등학생들의 현황과 교육적 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데 주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재활승마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평형성, 심리 및 뇌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이종구 용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재활승마프로그램이 ADHD아동의 평형성, 심리 및 뇌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운동역학 장비(발바닥 압력 측정), 심리검사지, fMRI 기기를 이용하여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분석 및 논의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재활승마프로그램 실시 전·후 대상자의 신체적 평형성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운동역학적 변인으로 stance와 gait 평형성을 측정한 결과, 재활승마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정적 및 동적 평형성을 향상시켰다. 재활승마프로그램 실시 전·후 대상자의 심리적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심리학적 변인으로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평가 척도(K-ARS)와 사회적 기술 평가 척도(SSRS)를 측정한 결과, 재활승마프로그램은 ADHD 아동의 주의력결핍과잉행동정도를 낮추고 협동성, 공감능력, 자기조절과 같은 사회기술을 향상시켰다. 재활승마프로그램 실시 전·후 대상자의 fMRI 영상을 촬영하고 분석한 결과, ADHD 아동과 일반 아동의 집단간 뇌의 활성화 되는 부분이 상이하였고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지만 집단내에서도 뇌활성화 부분에서는 변화가 있었다. 이에 따라 재활승마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뇌활성화에 변화를 가져올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K-ARS의 변화와 소뇌의 변화와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재활승마가 ADHD 아동의 문제 행동 감소와 삶의 질 향상을 기대하며 후속될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 다음과 같이 제언을 하고자 한다. 차후 연구에서는 혈액 채취를 통하여 BDNF(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검사 등을 실시하면 신경영양성 인자 변화를 통해 뇌와 신체의 변화 관계를 보다 명확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약물 투여집단 및 운동프로그램 집단 등으로 집단을 재구성하면 승마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심리적인 측면이 어느 정도인지 유추해 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재활승마프로그램 운영 시간을 12주 또는 그 이상 시간을 이용하면 뇌활성화 부분에 대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한다.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rapeutic horse riding on the balance, psychology, brain activation of the children with ADHD, by appling the sports mechanics equipment(sole pressure measurement), psychology checklist, and fMRI tools. The followings are the major findings of the analysis. The measurement of stance and gait by sports mechanics factors to find out the transition of physical balance changes of the samples, before and after the therapeutic riding program intervention, resulted enhanced static and kinetic balance of the children with ADHD. The measurement of K-ARS and SSRS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changes before and the therapeutic riding, showed the lessen of attention deficit and hyperactivity disorder symptoms, and increase of sociability such as cooperation, ability of empathy, and self-control. The fMRI filming and its analysis before and after the therapeutic riding programs showed the differences in brain activation between the children with ADHD group and without, and in the groups, brain activation was recognized on un-significant level. From this, it is suggested that the brain activation changes of ADHD children is possible to occur,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changes of K-ARS and cerebellum was appeared as negative. Some recommendations could be made for further studies, with a hope that the therapeutic horse riding could make the decreasing of unacceptable behavior and enhancement of the quality of life ADHD children. BDNF(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test by blood sampling could contribute, through changes of neurotrophic factors changes, to make cert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rain and body changes. Addition to this, regrouping by medicated and exercise samples, could be a help in measuring the degree of psychological changes by riding, and if the length of therapeutic riding program operation could be extended up to 12 weeks or longer,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a significant differences in brain activation.

      • ADHD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탈춤을 활용한 자기조절능력 향상 무용/동작심리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전화은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ADHD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탈춤을 활용한 자기조절능력 향상 무용/동작심리치료 프로그램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A시 정신보건센터를 이용하는 ADHD 및 과 운동성 장애를 진단 받고 대상자 모두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 집단으로 초등학생 2-4학년 14명이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각 7명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는 총10회기에 걸쳐 무용/동작심리치료 프로그램을 처치하고 통제집단은 미처치 하였다. 연구도구는 아동용 자기보고식 자기통제력 척도(SCRS: Self-Control Rating Scale)와 부모용 관찰보고식 자기통제력 척도(SCRS: Self-Control Rating Scale) 그리고 DSM-5의 ADHD 진단기준에 근거한 행동관찰척도이다. 본 연구의 무용/동작심리치료 프로그램은 2013년 9월 13일부터 11월 22일까지 주 1회 50분씩 총 10회기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ADHD 아동에게 라반의 움직임 분석(Laban Movement Analysis : LMA)과 바르테니에프 기본원리(Bartenieff Fundamental : BF)로 분석한 탈춤을 활용해 자기조절능력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전체 프로그램은 초기, 중기, 종결기의 3단계이며 초기단계에서는 자기인식 단계로서 집단원과 라포를 형성하고, 자신의 몸이 어떻게 움직이는지에 대한 인식을 도와 자기 집중을 강화하는 단계이다. 중기단계에서는 개인 공간에서 단계적으로 움직임을 확장하여 외부 환경을 접하고 조율해보는 단계로서 자극에 대한 탐색과 자극에 대해서 어떻게 반응할 것인지 적절한 반응의 선택과 억제 조절을 움직임을 통해 경험해 보고 반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 종결기 단계에서는 대상 아동의 움직임의 레퍼토리가 앞선 회기들에서 배우고 반복한 동작을 자신이 창의적으로 움직임을 조절하여 자기표현을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전체프로그램은 각 회기 마다 핵심 주제인 탈춤 요소 및 동작은 LMA와 BF를 적용한 동작 분석에 따라 단계별로 구성하여 반복적으로 활용하였다. 전체 프로그램 종료 후 사전 사후검사를 통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사한 결과 탈춤을 활용한 자기조절능력 향상 무용/동작심리치료가 ADHD 아동의 자기통제력 및 문제행동 변화에 유의한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는 탈춤의 자기조절 요소를 적용한 무용/동작심리치료가 ADHD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을 향상시켜 결핍된 신체적 행동조절 뿐만 아니라, 아동의 자기인식을 돕고 주변 환경과 타인에 대한 자기 의지와 내적균형을 가지게 하여 ADHD 아동의 주증상인 부주의, 충동성, 과잉행동의 감소를 가져오게 하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how the self-regulation improvement dance/movement psychotherapy program using Korean Mask Dance affec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DHD. The group of 14 second- to fourth-graders using the mental health center in A City, who were diagnosed of ADHD and were on medication, is involved in this study. They are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ith 7 children in each group; the former was treated with the improvement dance/movement psychotherapy program in a total of 10 sessions and the latter got no treatment. The Self-Control Rating Scales(SCRSs) for children's self-report, the Self-Control Rating Scales(SCRSs) for parents' observation report and the behavior observation scale based on ADHD criteria of DSM-5 were used in this study. The improvement dance/movement psychotherapy program using Korean Mask Dance based on Laban Movement Analysis(LMA) and Bartenieff Fundamental(BF) was provided to ADHD children to test its effects on self-regulation in a total of 10 sessions, 50 minutes per session, one session a week, from September 13th to November 22nd, 2013. The program is divided into early, middle, and latter phases. In the early phase for self-recognition, the children are allowed to establish rapport with group members and to see how their own body moved in order to improve self-concentration. In the middle phase for expanding movements by stages in personal space to access and adjust external environment, the children are induced to experience and repeat proper response selection and control―exploration into stimuli and how to respond to them―through movements. In the latter phase, the repertoire of movements for the children is composed of the process in which they are asked to originally regulate the movements learned and repeated in the previous sessions and make self-expression. In the entire program, the elements and movements of Korean Mask Dance, which is the key theme, are employed repetitively by stages in each session on the basis of the movement analysis applying LMA and BF. After the completion of the entire program, pretest and posttest were carried out to determine statistical significance; as a result, the self-regulation improvement dance/movement psychotherapy program using Korean Mask Dance is found to be significantly effective in allowing ADHD children to improve self-control and change problem behavior. More specifically, dance/movement psychotherapy applying self-regulation elements positively affects ADHD children by helping them improve self-regulation, enhance physical behavior control, get self-recognition, get a will and inner balance in relation to their environment and others, and, ultimately, reduce their main symptoms, including carelessness, impulsiveness, and hyperactivity.

      • ADHD아동과 일반아동의 보통명사와 추상명사 정의하기 특성비교

        장현진 용인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정의하기란 어떤 낱말에 대한 개념의 범위를 한정하여 명확히 밝히는 것으로 정의하기를 위해서는 그 단어의 의미에 대한 지식과 정의하기에 대한 지식도 필요하다. 단어에 대한 정의를 산출할 하는 것은 그 단어의 의미를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단어에 대한 정확한 정의는 일반적으로 그 단어를 잘 알고 있다는 것으로 인정되고, 그 단어에 대한 지식을 명료하게 표현함으로써 인지적, 언어적, 메타언어적인 능력을 반영한다. 따라서 정의하기는 언어발달을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쓰이며, 실제로 아동의 학습능력과도 높은 상관관계가 있어, 표준화된 지능검사의 요소가 된다. 또한 단어 정의하기는 의미론적 언어능력과 메타언어적 기술에 대한 기본적인 측정치이며 일반적인 언어능력과도 상관이 높다(Kemper & Vermooy, 1993). 본 연구에서는 지능 및 어휘발달이 정상범주에 있는 ADHD아동들을 대상으로 단어 정의하기를 통해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과 정의하기 점수에 차이가 있는가와 학년에 따른 정의하기 정의 점수 차이를 알아보았고, ADHD아동과 일반아동이 명사유형(보통명사와 추상명사)에 따라 정의하기 수행력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았고, 두 집단의 정의유형의 출현율을 알아보았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2학년 ADHD아동과 일반아동, 4학년 ADHD아동과 일반아동으로 총 40명이다. 검사 단어는 보통명사 15개와 추상명사 15개로 선정하였고,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에 따른 정의하기 점수에서는 ADHD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정의하기 점수가 낮았다. 그리고 학년에 따른 정의하기 점수에서는 ADHD아동과 일반아동에서 4학년이 2학년 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다. 따라서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정의하기 능력도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발달에 있어서 ADHD 아동과 일반아동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고, 집단과 연령 간 정의하기 점수의 상호작용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ADHD아동과 일반아동의 보통명사와 추상명사에 있어 단어정의하기 점수 비교에서는 ADHD아동과 일반아동 모두 추상명사 보다 보통명사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따라서 보통명사보다 추상명사에서 정의하기에 더 어려움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집단간 명사유형에 따른 정의하기 점수는 ADHD아동이 일반아동 보다 정의하기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다. 셋째, ADHD아동과 일반아동의 정의하기 유형의 출현율에 있어서는 보통명사의 경우 두 집단 모두 물리적 정의유형 〉기능적 정의유형 〉분류적 정의유형 〉관계적 정의유형의 순서대로 산출되었다. 또한 추상명사의 경우에는 두 집단 모두 관계적 정의유형 〉특징적 정의유형 〉분류적 정의유형의 순서대로 산출되었다. 그런데 ADHD아동이 일반아동에 비해 보통명사에서는 물리적 정의유형에서만 더 높은 출현율을 보였고 추상명사에서는 관계적 정의에서만 더 높은 출현율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전반적으로 ADHD아동이 일반아동에 비해 정의하기 능력이 정의점수에서 낮게 나타났고, 정의유형에서 어린 아동이 보이는 기능적 물리적 정의유형을 보이고 있으므로 정의하기 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ADHD아동의 언어적 특성 중 의미적 특성을 살펴보는데 정의하기가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했기 때문에 임상적으로 정의하기가 평가항목으로 적용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또 현장에서 중재 시 일반적이고 관습적인 정의표현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정의하기의 기회를 열어주고 의미적인 범주화를 시킬 수 있도록 도와준다면 단어에 대한 의미발달이나 언어사용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Definition is a statement of determining the concept of a word, which requires the knowledge on the meaning of the word and the understanding what ‘define' means. In other words, when one defines a word, one can express the meaning of the word. The appropriate definition suggests that one is well aware of the meaning of the word, which reflects the cognitive, linguistic, and meta-linguistic skills. Thus, defining a word evaluates the language development and is closely related to the learning ability of children, which is used as a part of a standard intelligence test Also, it measures the semantic linguistic skill and meta-linguistic skill, which is also closely related to general linguistic skill.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defining a word between children with ADHD whose intelligence and word vocabulary was in the normal range and normal children of the same chronological age. Also, it observed whether these two groups of children show differences in defining each type of noun such as common noun and abstract noun, finding the appearance ratio of each type in two groups. The objects of study were total forty children: children with ADHD and normal children in second grade and fourth grade who lived in Seoul and Gyeonggi-do. The test words were fifteen common nouns and fifteen abstract nouns. The results were as in the following. First, the children with ADHD showed lower score in defining words than normal children and children in fourth grade show higher score than children in second grade in both ADHD and normal groups. Thus, the test suggests that the ability to define words improves as the children go to higher grades. The interaction between groups and assignment was not significant. Second, both groups of children showed higher score in common nouns than in abstract nouns, which revealed that defining abstract nouns were more difficult than common nouns. Third, the appearance ratio in the types of common nouns in both groups of children were as following: physical type>functional type>classificational type>relational type. In case of abstract nouns: relational type>characteristic type>classificational type. However, the children with ADHD showed higher appearance ratio in physical type among common nouns and in relational type among abstract nouns when compared to normal children. This suggests that the children with ADHD tend to express physical characteristics of objects more. In case of abstract nouns, they had difficulties in expression because these nouns showed no physical characteristics. Also, they tended to express more using the relational type of words than the substance of the words. In conclusion, the children with ADHD showed lower ability in defining words than normal children. This study proves that defining words can test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 with ADHD, which suggests that defining words can be clinically included in the test for linguistic ability. Also, it proposes that one can improve the abilities in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words and linguistic skills, if provided with the opportunities to express with common and conventional words.

      • 이야기 도식을 통한 읽기 훈련이 ADHD아동의 읽기 이해 및 읽기 태도에 미치는 영향

        노승림 단국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ADHD아동은 정상지능의 범위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읽기에 어려움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ADHD아동에 대한 효과적인 읽기 지도 방법을 알아보기 위하여 이야기 도식을 통한 읽기 훈련이 ADHD아동의 읽기 이해 및 읽기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으며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야기 도식을 통한 읽기 훈련이 ADHD아동의 읽기 이해를 향상 및 유지시키는가? 둘째, 이야기 도식을 통한 읽기 훈련이 ADHD아동의 읽기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 연구의 대상은 초등학교 3학년 ADHD아동으로 KISE-BAAT 읽기 검사 결과 학년 규준 1년 이상의 지체를 나타내는 아동 3명으로 하였으며, 연구방법은 기초선, 중재, 중재를 마친 후 2주일 뒤 유지 단계로 나누어 중다간헐기초선설계(multiple-probe baseline design)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이야기 도식은 Gardill과 Jitendra(1999) 등이 연구에서 사용한 이야기 도식을 연구자가 일부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읽기 이해 검사는 김수연(1994)의 연구를 근거로 하여 연구자가 제작하였다. 읽기 태도 검사에 활용된 도구는 McKenna와 Kear(1990)가 만들고 이근영(1999)이 번안, 수정한 초등학생용 읽기 태도 검사지(Elementary Reading Attitude Survey)이며 읽기 태도는 기초선 1회기에 1차 검사를 하고 유지 3회기에 2차 검사를 실시하여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 다루어진 연구 문제 및 연구 결과를 종합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야기 도식을 통한 읽기 훈련이 ADHD아동의 읽기 이해를 향상 및 유지시키는지 알아본 결과, 대상 아동들은 중재 및 유지 기간에 기초선 기간보다 향상된 읽기 이해 점수를 나타내었다. 둘째, 이야기 도식을 통한 읽기 훈련이 ADHD아동의 읽기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 결과 대상 아동 모두 1차 검사결과보다 2차 검사 결과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이야기 도식을 통한 읽기 훈련이 ADHD아동의 읽기 이해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 방법이 될 수 있으며, 태도에 있어서의 긍정적인 변화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Children with ADHD have normal intelligence, they often exhibit problems in read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xamine the effect of story mapping-training on reading comprehension and reading attitude of children with ADHD to make a investigation into effective reading teaching method. The studying prblems suggest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oes story mapping-training improve reading comprehension of children with ADHD? Second, Does story mapping-training effect on reading attitude of children with ADHD?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3 of third-grade student with ADHD who have 1-year delay in reading ability base on the result of the KISE-BAAT and this study was designed as multiple-prove baseline design which was divided into baseline, intervention, maintenan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tory-mapping training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reading comprehension of student with ADHD. second, story-mapping training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reading attitude of student with ADHD. Based on the results mentioned above.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story-mapping training is a effective method of improving the reading comprehension and reading attitude for children with ADHD.

      • 성경동화활동이 ADHD 아동의 행동에 미치는 효과

        박희숙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성경동화활동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아동의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군산시 S초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DSM-Ⅳ의 주의력결핍과잉행동 아동 선별기준과 주의집중결핍 과잉행동 평정척도에 의하여 선별된 남아 1명과 중복장애가 있는 여아1명을 선정하였다. Asher(1989)의 아동용 자기보고척도, Conner(1985)가 개발한 교사용 및 부모용 평정척도를 사용하여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성경동화활동 프로그램을 1회에 40분으로 주 1회씩 12회 실시 한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의 대응표본 t검정 (Pared t-test)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ADHD 아동에게 성경동화 교육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중요한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아동 자신이 인지한 행동변화에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 전체적인 경향(t = 3.76, p < .01)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의 변화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교사가 인지한 행동변화에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 전체적인 경향(t = 4.94, p < .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의 변화에 효과가 있었다. 셋째, 부모가 인지한 행동변화에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 전체적인 경향(t = 4.67, p < .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의 변화에 효과가 있었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in the effects of the Bible stories on the activity of the children with ADHD(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Two students in first grade (one boy and one girl) of S elementary school in Gunsan were selected as the object of this study: one boy by DSM-IV criteria & ADHD test sheet and the other girl with the hyperactivity scale of parents and teachers(Conners, 1980) and children (Asher, 1988) were used as test questionaire in advance. The examinees were trained through the Bible Stories Activity Program for 40 minutes a day, once a week (12 times in total) and post-tes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drawn by a Paired t-test, were as the following: First, The effect on changes of ADHD recognized by the children themselves was verified positively. The effect on changes of ADHD showed statistic differences significantly as t=3.76,p < .01 Second, The effect on changes of ADHD recognized by the teacher was verified positively. The effect on changes of ADHD showed statistic differences significantly as t=4.94,p < .001 Third, The effect on changes of ADHD recognized by the parents was verified positively. The effect on changes of ADHD showed statistic differences significantly as t=4.67,p < .00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