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단편소설을 이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 전광용의 <꺼삐딴 리>를 중심으로

        이효재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63

        최근 국제화, 세계화 등의 용어로 불리는 현대 사회에서 한국은 비약적인 경제 발전과 월드컵, 올림픽 등의 행사로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한국의 위상이 상승됨에 따라 한국어와 한국학을 배우려는 학습자 수 또한 증가하고 있으며 학습자의 요구도 점차 다양화, 전문화되고 있다. 따라서 이처럼 고급화된 학습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언어 교육의 필요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다문화 시대를 맞은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의 문화 교육은 목표 문화의 수용과 동화에 그치지 않고 학습자로 하여금 문화 간의 소통을 경험하며 다양한 문화로 이루어진 세계 안에 존재하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해야 하는데, 이런 경우에 문학 작품을 활용한 교육은 매우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다양한 문학 작품의 종류 중에서 단편 소설 텍스트가 언어 학습 활동에 있어서 좋은 교수의 제재가 될 수 있다는 것과 한국어 교육에 적합한 단편 소설의 기준은 어떤 것인지 알아보고 그 기준에 적합한 단편 소설을 실제 교안으로 제시하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단편 소설 활용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제 2장에서는 언어가 사용되는 사회 및 문화와 어떤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에서 문학 교육의 필요성을 주장한 제이론을 살펴보았다. 제 3장에서는 한국어 문학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현재 한국의 여러 대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문학 작품의 현황에 대해서 알아보고 발견된 문제점을 기초로 앞으로 한국어 문학 교육이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해 진단한다. 제 4장에서는 한국어 문학 교육에 필요한 문학 작품의 선정 기준과 소설 교육 대상, 문학 교육의 자료로서 현대 단편 소설이 유용한 이유에 대해 알아보고, 제시된 자료에 근거하여 전광용의 단편 소설 <꺼삐딴 리>를 교육 자료로 선정하고 작품분석을 하였다. 제 5장에서는 제 4장에서 선정한 단편 소설<꺼삐딴 리>를 활용하여 실제 수업에 사용할 교안을 6차시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단편 소설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을 통해 학습자들이 작품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그 안에 내재된 한국 문화 및 역사를 이해할 수 있으며 어휘 및 관용어의 습득과 소설을 통한 내면적 성장과 가치관의 비교도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특히 문화 수업의 측면에서 볼 때, 지금까지 소설을 활용한 한국어 문화에 대한 수업은 한국 문화에 대한 단편적 소개나 체험이 대부분이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소설의 내용에 기인해 학습자들이 한국 문화의 특정 부분에 대해 왜 그런 문화가 형성되었는지에 대한 역사적 이해와 토론을 할 수 있는 수업 안을 제시한 것에 그 의미가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학습자들을 위한 문학 작품의 목록 및 선정기준이나 교재 개발, 또는 교수 방법의 확보 등 연구해야 할 과제가 많이 남아있다. 이러한 이유에 근거하여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소설을 활용한 교육과 연구가 활용될 수 있도록 노력하는 작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These days Korea is gaining attention and interest from other countries because of its marvelous economic development and hosting of international events like the World Cup and the Olympic Games. As Korean is developing its reputation, the number of people who want to lear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is greatly increasing, along with requests for more various specialized forms of programs and tools. Therefore, the development and use of language education tool that satisfy those demands are vital. The goal of cultural education is not only to teach students to accept and experience the culture, but also to communicate and connect with it. It seeks to awaken a realization of various cultural elements and factors in situations in which an individual finds himself. For this goal, the education method using literature is very effective. In this study, I have suggested that short novels can be a good source of language education, providing the proper standards in selecting short novels are used, and providing a practical specific example of an effective short novel can be used as a textbook. This study voices the need for short novel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hapter 2 contains the studi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culture/society along with investigations of various theories that suggest and support the use of literatur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 students. Chapter 3 contains research of the present state and weaknesses in some currently used methods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along with my suggestions for the direction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Chapter 4 includes the standards for selecting literary works for Korean literature education, studies on the effectiveness of such works with intended audiences, and reasons why modern short novels are useful sources of language and cultural education. To elaborate these points, I have selected and analyzed the novel Kapitan Lee (Captain Lee) by Chon, Kwang-Yong as a novel that can be quite efficient as a literature education textbook. In chapter 5, I have suggested a six-step program that can be used in teaching Korean using Kapitan Lee by Chon, Kwang-Yong. In conclusion, through the use of short novels and the Korean literature education method, students can easily learn to understand not only the literary works but also the beauty of Korean culture and history. Through Korean literature education, students can efficiently learn the vocabulary and idioms of the Korean language, experience internal growth, and gain the ability to compare Korean values with his own. Presently, especially in Korean cultural education, students are simply introduced to and invited to lightly experience Korean culture. The aim and meaning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class that will not merely superficially introduce culture, but that will provide understanding of why Korean culture is the way it is today, and that will encourage discussion and interaction about the said subject during meetings. There is still much to be done in gathering and creating a catalog of good literary titles, developing set standards for choosing books, seeing the production and publication of specialized textbooks, and developing standardized teaching methods and plans for the subject. There is a lot of ground to be made in this strategic method of teaching Korean using literature, and efforts in the study of implementation of using Korean short novels in language education must advance and continue. 最近、国際化やグローバル化などの言葉が叫ばれるようになった現代社会において、韓国は飛躍的な経済発展を果たし、ワールドカップやオリンピックなどによって世界から注目されている。韓国の国家ステータスが上昇するにつれて、韓国語や韓国学を学ぼうとする人も増えており、その要求も徐々に多様化・専門化している。したがって、このように洗練された学習者の要求を満たす言語教育が最優先課題となっている。 特に、多文化時代を迎えた今日における現場での韓国語教育は、文化を受け入れたり、文化に同化したりする事に留まらず、学習者に異文化コミュニケーションを経験させ、多様な文化によって構成されている世界に存在している自分を発見させる必要がある。この場合、文学を活用した教育は大変有用である。よって、本研究では、多様な文学作品の中でも短篇小説のテキストが言語学習活動にとって良い教材になる事が可能である事を確認すると共に、韓国語教育に相応しい短編小説の基準を調べ、その基準を満たす小説を実際に教案で提示し、外国語としての韓国語教育における短編小説の活用の必要性を確認した。 第二章では、言語が使われている社会や文化との関連性を調べ、外国人学習者を対象とした韓国語教育における文学教育の必要性の理論を調べた。 第三章では、韓国語文学教育の現況と問題点を把握するために、現在、韓国の各大学で使用されている韓国語教材に収録されている文学作品の現況について調べ、発見した問題点に基づいて、今後の韓国語文学教育の進むべき方向について調べた。 第四章では、韓国語文学教育に必要な文学作品の選定基準と教育対象、そして文学教育の資料として現代短篇小説が有用である理由を調べ、提示された資料に基づいてジョン・グァンヨンの短篇小説「カピタン・リ─」を教材として選び、作品分析した。 第五章では、第四章で選んだ短編小説「カピタン・リ─」を用いて、実際の授業に使用する教案を6回に分けて提示した。 この研究による結論は、短編小説を活用した韓国語教育を通じて、学習者は作品に対する理解だけではなく、作品に内在する韓国の文化や歴史の理解が可能であり、語彙や慣用句の習得、また内面的な成長や価値観の比較の可能性を見い出す事ができたのである。特に、授業面から見てみると、今まで小説を用いて行われた韓国文化に関する授業は、文化に対する短篇的な紹介や体験がほとんどであったが、本研究では小説の内容に基づき、韓国文化の特定の部分について、なぜそのような文化が形成されたのかについて、歴史的な理解や討論が可能となる授業案を提示した事に意味がある。 しかし、学習者のための文学作品の目録や選定基準、教材や教育方法の開発など、研究しなければならない課題が沢山残っている。したがって、外国人学習者を対象にした韓国語短編小説を用いた教育と研究が、より活用されるように、努力と作業が続けられる事が必要である。

      • 유아교육기관에서 사직한 초임 남자유아교사들의 이야기

        배한솔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에서 사직한 경험이 있는 초임 남자유아교사들의 삶과 그 심정을 들여다봄으로써 각자의 개별적이고 고유한 경험을 이해하는 데 있다. 유아교육 현장에서는 갈수록 남자유아교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그 요구가 점점 늘어나고 있고 그와 동시에 유아교육을 전공하는 남성들도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유아교육 현장의 남자유아교사는 아직도 2%대에 불과하며 여전히 남아 있는 편견으로 많은 어려움을 경험한다. 본 연구의 연구참여자인 세 남성은 현장에서 어려움을 경험하고 사직하게 된 초임 남자유아교사이며, 그들이 소수자로서 살아왔던 삶과 사직 후 현재의 삶을 시간성, 사회성, 장소 차원의 3차원적 공간에 따라 내러티브 탐구의 방법을 통해 각자가 가진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였다. 내러티브 탐구는 연구자 자신의 경험으로 시작하여 연구자가 연구의 일부가 되는, 연구자와 연구참여자의 협동작업이다. 또한 서로가 삶의 이야기 한 가운데로 들어가 그 삶을 재구성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삶을 이해하고 한 단계 더 나아가게 된다. 본 연구는 크게 현장으로 들어가기, 현장텍스트 작성하기, 연구텍스트 작성하기의 단계로 이루어졌다. 연구자는 먼저 연구의 일부로서 내러티브의 현장 중심에 있기 위해 연구자 자신의 이야기에 들어갔다. 그 후, 내러티브 탐구를 위한 적절한 연구참여자들을 선정하고 2023년 9월부터 11월까지 면담과 기타자료들을 수집하여 현장텍스트를 작성하였다. 수집된 현장텍스트는 내러티브 탐구의 방향성에 따라 3차원적 내러티브 탐구공간, 경험 탐구의 4방향성을 고려하여 해석하였고 그 의미를 구성하여 연구텍스트를 작성하였다. A교사의 내러티브에서는 유아교육에 대한 흥미를 찾아갔던 과정, 어린 시절의 상처를 극복하며 삶의 의미와 보람을 찾아가려 했던 학창 시절, 예비유아교사 시절 겪었던 소외감과 외로움의 극복과정, 유아교사가 되면서 그동안 이루고자 했던 교육적 신념을 현실의 벽에 부딪혀 실현해나가지 못함으로 좌절감을 느꼈던 과정, 사직 이후 공립 유치원 교사를 준비하며 겪게 되는 심리변화 등이 나타난다. 그리고 현재는 여전히 이상을 실현할 수 없을 것 같은 유아교사의 길과 인정받는 경험을 했던 바리스타의 길을 비교하게 되면서 이상의 실현과 현실의 타협 간 고민하는 모습이 그려진다. 두 번째 연구참여자 B교사의 내러티브에서는 복잡하게 생각하지 않는 자신의 성향을 따라 그저 아이들이 좋아 유아교육을 선택했던 과정, 인정과 부담감 사이에서 점차 유아교사로서 자신을 준비해갔던 대학 시절, 유아교사로 근무하면서 스트레스로 갑작스레 찾아온 안면마비 때문에 입원하게 되면서 느꼈던 심리적 변화의 과정 등이 드러난다. B교사는 입원 기간 직업으로서 유아교사를 되돌아보게 되었고, 결국 남성의 직업으로 유아교사를 이어가는 것에 두려움을 느끼면서 사직을 결정하게 된다. 하지만 사직한 현재에도 여전히 두려움을 극복하지 못하고 안정적인 직장을 갖지 못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C교사의 내러티브에서는 두 가지 꿈인 유아교육과 사회복지를 모두 이룰 수 있는 아동복지학과에 입학했던 경험으로 시작된다. C교사는 함께 의지할 수 있는 남학우들이 있었기 때문에 대학 생활이 다소 평탄했으나, 손재주가 없어 다른 여학생들과 비교되거나 실습에서의 좌절을 경험하기도 했다. 유아교사 시기에는 그간 쌓아왔던 신념대로 아이들과 부드러운 상호작용을 할 수 있었던 근무환경이 일할 수 있었지만, 평가 등 너무 힘든 업무로 인해 지치게 되었다. 결국 C교사는 예전부터 꿈꿔왔던 해외 취업을 준비하기 위해 사직을 결정한다. 그러나 계획과는 달리 결혼을 준비하면서 안정을 찾게 되고 사회복지사로 취업하였다. 이후 C교사는 유아교사로서의 자신의 정체성을 그리워하고 있다. 본 연구는 연구자와 비슷한 경험의 흐름을 가지고 있는 사직한 초임 남자유아교사들과 함께 삶을 공유하며 우리가 그동안 겪었던 경험과 사직한 현재 가지고 있는 유아교육에 대한 인식, 삶에 대한 고찰, 심정을 풀어내면서 우리의 삶을 관통하는 의미를 발견하고 이해하게 되었다. 첫 번째는 유아교육에 대한 양가감정으로 <사랑하면서도 미운 애증의 유아교육>이다. 연구참여자들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이상으로서 꿈꿔왔던 유아교육에 대한 사랑과 그것을 실현하지 못하는 현실에 대한 좌절을 동시에 지니고 있었다. 두 번째는 우리의 마음 속 심정의 근원을 직면한 이야기인 <우리가 만난 감정, 두려움>으로, 연구참여자들은 유아교사로 재진입하기를 주저하고 있었으며 그 근원에는 거절의 경험, 사회적 인식과 시선,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남성이 유아교육을 한다는 것에 대해 두려움의 감정을 느끼고 있었다. 세 번째는 <현실과의 타협점>으로 각 연구참여자들은 남성에게는 극복해야 할 과제가 아직도 너무 많이 남아 있는 남자유아교사가 오래 근속할 수 있는 직업인지를 고민하고 있었으며 이와 대비되게 자신의 현재 불안으로부터 도피할 수 있거나,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대안의 직업을 찾게 되었다. 이는 남자유아교사가 더더욱 현실에 안주하고 다시 유아교육현장으로 돌아갈 수 없게 되는 큰 이유였다. 이러한 결과로 본 연구에서의 논의하고자 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개인적정당성의 측면에서 연구자와 연구참여자는 자신이 가져온 유아교사로서의 삶을 다시 한번 재조명해보고 그동안 외면해왔던 나의 정체성을 다시 살펴보는 계기가 되었다. 여전히 현실적 어려움에서의 두려움을 극복하지는 못했지만 언젠가 직면해야 했을 유아교사로서의 ‘나’를 맞이한 소중한 시간이었다. 실제적 정당성의 측면에서 남자유아교사의 경험과 인식에 몇 가지 실천적 변화를 제공한다. 남자유아교사에게는 그다지 온정적이지 않은 사회적 현실을 받아들일 수 있는 여유와 용기가 요구된다. 또, 사직한 남자유아교사들이 느끼는 두려움을 남자유아교사 자신과 이해관계자들이 함께 이해해나가는 것은 남자유아교사들을 유아교육 현장에 재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시작점이 될 수 있다. 나아가 남자유아교사에 대한 사회의 인식이 변화될 때 우리나라의 유아교육은 한걸음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정당성의 측면에서 우리는 서로를 그동안 너무 불신하고 있지는 않은지를 생각해보아야 한다. 오늘날 우리는 평등을 지향한다고 하지만 서로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평등을 실현하기보다 부조리함을 기반으로 평등을 주장하고 있다. 이는 사회가 회복되고 더 발전되기는커녕 갈등이 더욱 심해지는 퇴보의 길로 향하는 지름길이다. 우리는 유아교육자로서 이 땅에서 미래를 살게 될 아이들에게 ‘회복의 문화를 선물할 것인가?’ 혹은 ‘갈등의 문화를 선물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를 함께 고민하여야 할 것이다.

      • 학문 목적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효과적인 한국어 교육 방향

        이연주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63

        현재 대학 부설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는 대체로 일반 목적(Korean for general purposes) 한국어 교육을 하고 있는데, 이러한 내용의 한국어 과정을 이수하고 대학에 입학한 외국인 유학생은, 그들이 목적하는 전공 학업을 수행할 수 있는 한국어 능력이 부족하여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로, 울산 지역의 대학을 중심으로 이들 학교에서 학업 수행을 하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기존 교재의 만족도와 한국어 교육에 대한 요구조사를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학문 목적 한국어(Korean for Academic purposes)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기초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내용은 응답자들의 개인적 사항과 한국 유학의 이유와 목적에 대한 것, 한국어 학습경험과 학습 방법 및 내용 그리고 학문 목적(KAP)의 한국어 강좌 개설에 대한 요구(needs)로 구성하였다. 외국인 유학생 학습자 요구 조사(survey on the needs for foreign students)는 학문 목적으로 한국어를 배우는 학생들에게 초점을 맞춘 교육과정 개발에 꼭 필요한 부분이다. 두 번째 목적은 이러한 학생들의 요구에 부합하는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을 위한 교육 과정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울산과학대학교에서 시행하는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을 소개함으로써 효율적인 한국어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은 여러 전공에 따른 다양한 과정을 본격적으로 개발하기에 앞서 진행하는 교육 방안의 한 모형이다. 앞으로 점점 더 늘어 날 유학생 수와 다양한 전공 영역에 따른 준비 과정으로서의 한국어 교육 과정에 대한 요구가 증대될 것이므로,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일반 언어 능력 향상 뿐만 아니라, 대학에서의 학업 수행을 원활히 할 수 있는 연계된 한국어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데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주제어 :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 일반 목적 한국어 교육, 학습자 요구, 한국어 교과 과정, 내용중심교수, 주제중심 언어교수, 병존언어교수, KSL, KFL

      • 노래 중심의 교양한국어 교수요목 설계 :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김학현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63

        오랜 시간 동안 검증되어온 노래의 교육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노래는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되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그 원인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노래가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어떻게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 연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교양 과목을 개발함에 있어, 노래 중심의 수업을 다양하게 활성화하고 학습자들의 참여와 동기를 유발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순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제 2장에서는 노래가 갖는 그 교육적인 가치와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였으며 또한 실제 교육 현장에서 제기된 노래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의 문제점들을 살펴 보았다. 3장에서는 국내 대학들의 외국인을 위한 교양한국어 과목들과 대학별 교양 과목들을 조사 분석하였는데, 최근 10년간 다수의 다양한 문화 관련 강좌들이 개설되었으나 노래 관련 과목은 전무한 것으로 나타나 더욱 다양한 접근이 요구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4장에서는 노래를 중심으로 한 교양한국어 교수요목을 개발하기 위해 노래의 난이도 산정 방법과 주제별 선정 기준을 제시 하였는데, 특히 한국의 정신 문화를 어떻게 주제별로 선정할 수 있는지에 대해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교수요목을 개설하기 위하여, 학문을 목적으로 국내 대학에서 학습하고 있는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적합한 주제들을 선정하고 이를 한 학기 교수 요목에 맞추어 어떻게 구성할 것인지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노래가 갖는 교육적 가치의 극대화에 대한 고민으로 시작 되었다 하겠는데 이는 단순히 학습자들의 흥미유발을 위한 제한적 활용을 넘어, 주어진 학습 주제들을 더욱 창의적이고 효과적으로 수업할 수 있는 중심 교수법으로서의 가치를 부각시키는 데에 그 의미가 있다 하겠다. 덧붙여, 늘어나는 외국인 유학생들을 위해 보다 다양한 교양 과목들이 개발되어야 하겠는데 특히 문화 예술과 관련된 한국어 교양 과목들의 개발을 위한 적극적인 연구활동들이 풍성해지기를 바란다.

      •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 개발 : 대학 재학 후기 청소년을 중심으로

        현순안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63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ystematic curriculum in relation to fostering entrepreneurship to help young adult develop entrepreneurial ways of thinking, attitude, and behavior pattern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participating in the development of a 12 period program with the organizing principle of “Venture Star,” which is an entrepreneurship and star-up establishment ability program for young adult, developed by Kim Se-gwang at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014) in his study titled “Study for Fostering Youth Entrepreneurship & Encouraging start-up Ⅰ.” This study was further complemented and modified through program implementation in the liberal art elective course “Life Design and Self-Enrichment” of a K Christian university in the first semester of 2016. The program aiming to develop youth entrepreneurship ability developed a program centering on the human function and the conceptual function among the factors affecting entrepreneurship—technical, human and conceptual functions. Five among the total of 12 periods are on entrepreneurs’ perspectives, strategies, time management, human relation management and company projects, respectively. A program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was implemented and then modified and complemented, to raise the overall degree of completion through the researcher’s observation and contemplation, learners’ feedback and contemplation and the analysis of assignments and assessments. The results of the implemented programs showed a high interest and participation rate in creative teaching methods. And changes in their ways of thinking and behavioral patterns implied that realistic and practical entrepreneurship had been fostered.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benefits of cooperation in teaching and learning were experienced and learned. And in the cases where such education methods are applied, more preparation is required, and more thoughts and research are needed in terms of assessment. Through the first implementation, the composition and content of each period were adjusted. The emphases in modifying the content were as follows. First, problems presented for the activities were concrete and diverse. Second, diverse activity sheets were developed to be utilized as a teaching tool for a prepared and planned class, thus helping learners clearly understand a given task and the class proceeds smoothly. Third, more content was added for a richer explanation. Fourth, various types of teaching-learning methods were arranged in a crossover and multiple manner. This way, the composition and content of each period were modified and complemented to be conducted in the same liberal art course of the same university in 2017.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lie in that it met the educational needs at a governmental level, that a theory as practical as possible was developed to be applicable in reality and then implemented, and that practical materials were provided. Long-term plans and subdivided programs for different education courses should be developed for youth of all ages, and education methods should pursue innovation by adopting entrepreneurship. And this education program needs to be evaluated in a way that considers all of the technical, human and conceptual functions of entrepreneurship in a balanced way. Entrepreneurship should be dealt with not only in the areas of economy and start-up but also in cultural, political and social areas. And an in-depth study 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from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education needs to be conducted. 본 연구는 청소년이 기업가적 사고방식 및 태도, 그리고 더 나아가 행동양식 등을 함양시킬 수 있는 기업가정신 함양과 관련한 체계적인 커리큘럼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김세광(2014)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2014)의 ‘청소년 기업가정신 함양 및 창업 활성화 방안 연구Ⅰ’에서 개발한 청소년 기업가정신 및 창업 역량 프로그램인 ‘벤처스타(Venture Star)’의 프로그램 구성 원리를 가지고 12차시 프로그램 개발에 참여하고 2016년 1학기 K 기독교대학의 교양 선택 과목 ‘생애설계와 자기계발’에서 프로그램 실행을 통해 보완 수정하였다. 청소년 기업가정신 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본 프로그램은 기업가정신의 영향 요인-기술적 기능, 인간적 기능, 개념적 기능 중에 인간적 기능과 개념적 기능에 중점을 두고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자는 12차시 중 기업가의 시선, 전략, 시간관리, 인맥관리, 기업 프로젝트에 대한 5차시를 개발하였음을 밝힌다. 문헌 연구와 선행 연구를 통해 개발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구자의 관찰 및 성찰과 학습자의 피드백, 성찰 그리고 과제물과 평가물의 분석을 통해 프로그램을 전체적으로 수정 보완하여 완성도를 높였다. 프로그램의 실행에서 나타난 결과를 보면 창의적 수업 방식에 대한 높은 흥미와 참여도를 보였다. 그들의 사고방식과 행동양식의 변화를 이루어 실제적이고 실천적으로 기업가 정신이 함양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교수와 학습에 있어서 협력의 유익을 경험하고 체득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교육 방법의 경우 많은 준비가 요구되어 지며 평가의 문제에 있어서 좀 더 많은 고민과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1차 실행을 통해 차시별 구성과 내용을 조정하였다. 수정된 내용에 있어 첫째, 활동을 위해 제시된 문제를 구체적으로 여러 가지로 제시하려고 하였다. 둘째, 다양한 활동지를 개발하여 수업 도구로 활용할 수 있게 하여 수업의 준비성과 계획성을 높이고 학습 참여자가 주어진 문제를 명확하게 이해하고 원활한 수업 진행을 돕도록 하였다. 셋째, 내용적으로 더 추가하여 그 설명을 풍성하게 뒷받침하도록 하였다. 넷째, 다양한 형태의 교수-학습 형태를 교차적이며 복합적으로 배치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2017년 동일 대학 동일 교양 과목에서 진행하기 위해 수정 보완되었다. 본 연구의 함의점은 정부 차원의 교육적 요구에 부응했다는 점과 실천적으로 적용 가능한 실제적 이론에 가깝도록 정리하여 적용하였다는 점 그리고 실제적인 자료 제공이 이루어 졌다는 점이다. 제언으로는 청소년 전 연령을 대상으로 한 장기적인 계획과 교육 과정별 세분화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교육의 방법에 있어서도 기업가정신을 적용하여 혁신을 추구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하며 기업가정신의 기술적, 인간적, 개념적인 기능이 골고루 균형을 이루어 다루어져야 한다. 경제, 창업 영역뿐 아닌 문화, 정치, 사회 영역에서의 앙트르프러너십이 다루어져야 하고 기독교 대학에서 실시된 본 교육의 기독교 교육적 의미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전래동화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 <흥부와 놀부>를 중심으로

        김화신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문초록 전래동화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흥부와 놀부>를 중심으로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김 화 신 지도교수 : 안 희 은 본 연구에서는 전래동화를 텍스트로 활용해서 외국인 학습자에게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해서, 보다 근본적인 한국인의 사고와 가치관을 형성하는데 기초가 되는 전통과 관습에 대한 이해를 돕는 방법으로 전래동화를 수업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려고 한다. 본 연구에 대한 결과를 각 장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한국어 수업에 있어서 전래동화를 활용하여 한국어의 기능적 측면의 향상과 함께 한국인의 사고, 철학, 가치관 형성에 근간이 되는 전통관 관습에 대한 이해가 병행될 수 있음을 선행연구의 검토를 통해서 연구의 목적으로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전래동화가 수업의 텍스트로써 적합한지를 살펴보았다. 전래동화는 보편적 주제를 가지고 있으며, 간결한 문체로 쓰였고 또한 사건의 구조가 간결해서 외국인 학습자에게 언어의 기능적 측면의 향상과 더불어 오랜 기간 회자된 이야기이기에 한국의 문화를 이해하는데도 적합하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흥부와 놀부>가 위에 부합한다고 보고 텍스트로 선택했다. 3장에서는 한국어 교재의 전래동화 수록 현황 분석을 통하여 <흥부와 놀부>를 한국어 교수-학습 자료로 활용할 경우에 언어의 기능적인 향상뿐만 아니라 전래동화가 구전문학이므로 한국인의 전통적 사고와 가치관을 외국인 학생들이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흥부와 놀부>를 실제 한국어 수업에 적용하기 위해서 학습자들의 수준에 적합하고 언어의 기능적 측면과 한국의 전통적 사고와 관습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도록 작품을 재구성한 텍스트를 사용했다. 수업 대상은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학습의 목표를 위한 다양한 효율적인 방안을 제시해보았다. 본 논문은 언어의 기능적 측면의 향상과 함께 한국의 문화 교육이라는 측면에서도 전래동화의 유용성을 밝히고, 이에 대한 효율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방안을 수업에 활용한 후 그 결과를 도출하지 못한 점은 있지만 전래동화를 활용해서 언어의 기능적 향상과 한국의 문화에 대해서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자료로써 전래동화를 적극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했다는데 의의를 둘 수 있을 것이다. 전래동화를 실제 수업에서 활용 시에 전래동화가 가지고 있는 한국인의 사고와 가치관의 형성에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고유의 전통과 관습을 이해하는데 이를 활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전래동화의 특성을 잘 살리지 못하고 단순히 언어교육 자료로만 활용하기도 한다. 한국어의 의사소통 측면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기대한다면, 전래동화를 외국인 학습자에게 보다 근본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문화교육의 자료로써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적극적으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 Study on Teaching Foreign Students by using Traditional Fairy Tales, Heungbu and Nolbu, as a Text Kim Hwa-shin Dept. of Teaching Korean a s foreign language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sin University This study tries to reveal that using traditional Korean fairy tales as a text is an effective way not only to improve a Korean language capacity of foriegn students but also to help them understand Korean traditions and customs which are based on Korean’s thought and attitudes. These are the summaries of the results of each chapter. In the first chapter, this study tries to prove that using the fairy tales is an effective way both to improve Korean language fluency and to comprehend Korean traditions and customs which has built Korean’s thought, philosophies and attitudes by reviewing previous other studies. The second chapter is focused on whether the fairy tales are suitable for a textbook in class. It has a common theme, which utilize a simple structure of sentences and plots making it suitable as a textbook for foreign students. As a result, Heungbu and Nolbu is chosen as the textbook in this study. In chapter 3, when Heungbu and Nolbu is utilized for teaching Korean, it helps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Korean values and thought because the fairy tales have been orally transmitted for a long time. In chapter 4, this study uses a revised textbook for a lecture in order to suit the literate ability of learners, to improve their language fluency and to comprehend traditional Korean values and customs. This study targets intermediate level students and suggests a variety of ways to achieve academic goals. This study presents various efficient teaching-learning approaches to make the language skills and the cultural education of foreign students better. Although it is disappointing that these methods are not directly used in classes, it is meaningful that the fairy tales could be a tool to enhance students language fluency and comprehension of Korean culture. Even if the fairy tales could be a useful way to understand Korean traditions and customs which make up Korean’s fundamental thought and attitude, it is presently utilized just as a linguistic reference material in class. If the intention is to make foreign students’ Korean fluency higher, the approach must include traditional Korean fairy tales as a material to understand Korean culture.

      • 부산지역 중학생의 트랜스지방 및 포화지방 함유식품에 대한 식습관, 영양지식 및 섭취빈도

        박수선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 일부 중학교 학생의 트랜스지방과 포화지방의 섭취실태와 트랜스지방과 포화지방에 대한 영양지식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중학생 식습관에서는 간식횟수가 ‘1일 1회’로 가장 많았으며, 섭취하는 식품으로 ‘과자류’를 남녀 모두 가장 많이 섭취하며, 그 다음으로 남학생은 ‘빵류’, ‘라면 및 만두류’, ‘과일류’, ‘우유 및 유제품’의 순으로, 여학생은 ‘과일류’, ‘우유 및 유제품’, ‘빵류’, ‘분식류’ 순이었다. 식사는 주로 ‘밥’을 먹으며 ‘매일 먹는다’는 비율이 석식 남 84.3%, 여 69.9%로 여학생이 결식률이 남학생에 비해 높았으며, 조식은 남 66.9%, 여 65.7%로 낮아 아침을 거르는 학생이 많았다. 2. 음식종류별 섭취 빈도를 보면 성별·학년별 음식종류별 섭취 빈도에서 남학생은 3학년이 전체적으로 음식종류별 섭취 빈도가 높았고, 여학생은 1학년에서는 전체적으로 섭취율이 많았다. 용돈별 음식종류별 섭취빈도는 일품류만 4~7만원 미만에서 섭취율이 높았고, 전체적으로 7만원 이상에서 섭취 빈도가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간식비별 음식종류별 섭취빈도는 전체적으로 2만원 이상에서 섭취 빈도가 많았으며, 영양지식 정도에 따른 음식종류별 섭취 빈도는 과자류는 영양지식이 낮은 ‘하’에서 섭취율이 많았고, 대부분 영양지식이 높은 ‘상’에서 섭취빈도가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3. 영양지식 습득의 경우 남녀 모두 영양지식매체가 ‘학교에서 배운 것’과 ‘부모’이라는 응답이 높았으며, 학년이 증가될수록 TV, 인터넷이 증가되고 영향을 많이 받는다고 하여 TV, 인터넷 교육이 필요하였다. 학교에서 영양교육경험이 있다면 어느 정도 교육 받았는지를 분석한 것을 보면 ‘많이 있다’라고 응답한 학생은 남 11.6%, 여 7.2%에 불과하고 ‘별로 없다’는 3학년에서 특히 많아 남 32.8%, 여 37.0%를 차지하며 영양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트랜스 지방과 포화지방에 대해 본 경험의 유무와 매체에 대해서는 응답자 전원(100%)이 모두 들은 경험은 있다고 하였으며, TV가 남 68.1%, 여 69.9%이었으며, 인터넷은 남 15.7%, 여16.6%로 남녀 모두 80%를 상회하였다. 4. 중학생들의 비만도(저체중, 과체중, 비만)에 대한 연구의 결과에서 우선 인적 특성별 비만은 전체적으로 남 57.0%, 여 54.2%의 학생이 정상체중인 반면 저체중은 1학년에서 남학생 35.1%, 여학생 36.4%만이, 특히 2학년 여학생이 저체중이 50.9%를 나타내 영양불균형을 심하게 나타났고, 과체중과 비만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많았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저체중이 감소했고, 3학년 남학생은 과체중이 25.9%이며 비만이 많아 각 성별에 따른 학년별 차이가 존재하였다(p<0.001). 위의 이러한 모든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첫째, 교육과정 속에서의 영양교과목의 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가정의 영양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학교에 있는 음식 관련 시설들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와 규제가 필요할 것이다. 넷째, 학교 급식에 있어서 영양 균형 조화식의 공급이 필요하다. 성장하는 학생들에게 기존의 획일적인 메뉴를 통한 공급이 아닌, 교육을 통한 지식습득과 함께 메뉴선정에 있어서 학생들을 참여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regarding the actual conditions and nutrition knowledge of trans fat and saturated fat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Busan, and the result is as below. 1. On the eating habits of middle school students, between meals is the best, it is once a day. First is 'confectionery', second is 'bread', 'instant noodle', 'milk products' on men, 'fruit', 'milk and milk products', and 'bread', 'powdered food(food of snack bar)' on girls. The meal is mainly 'boiled rice', eating everyday's rate is boys 84.3%, girls 69.9%. The girls' skipping meal's rate is higher than boys', skipping breakfast's rate is boys 66.9%, girls 65.7%. Therefore many students skip breakfast. 2. Regarding frequency of ingesting foods according to sex distinction, grade of school and kind of food, boys' rate is highest on senior, girls' rate is highest on freshman about frequency of ingesting food in totality. The frequency of ingesting food by spending money, the rate is high over 70,000won. The frequency of ingesting food by between meals expense, the rate is high over 20,000won. The frequency of ingesting food by nutrition knowledge, the rate is high on "high", ingesting rate of confectionery is high on "low". 3. In case of learning nutrition knowledge, the answer of high rate of boys and girls is that "learned in school" and "learned from parents". Getting high grade in school, they answered that they learned from TV, internet. They need internet education. When I asked for that they had experience of nutrition education in school, the answer 'much' was boys 11.6%, girls 7.2%, 'not much' was boys 32.8%, girls 37.0%, especially senior was too much. I can see that nutrition education didn't do well. Regarding experience on trans fat and saturated fats, all of the respondents(100%) answered that they had heard about that. Boys 68.1%, girls 69.9% by TV, both of boys and girls' rate were over 80%. 4. The Result of study on obesity rate(underweight, overweight, obes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boys 57.0%, girls 54.2% students were adequate weight. Freshmen of boys 35.1%, girls 36.4% were underweight, especially junior girls 50.9% were underweight. Nutrition disproportion appeared bad. Overweight and obesity rate of boys was much more than girls. Getting higher grade, underweight rate was getting low. Senior boys 25.9% were overweight, and too much obesity, there was the difference each sex distinction by grade(p<0.001). As above all the results, First, they need to receive nutrition education in curriculum. Second, they need nutrition education in home. Third, we have to do continuous management and have some rule about the facility of related food in school. Fourth, we have to supply nutrition balanced food in school lunch. because students are growing, we need to make students participate in choosing menu, with acquisition of knowledge through education not to supply old menu.

      • 유아교육기관 유형에 따른 유아 실외놀이 운영실태 및 교사의 인식

        이명덕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47

        유아교육기관인 유치원(92.4%)은 자체적인 실외놀이공간을 대부분이 갖추고 있었고, 이는 선행연구 김수경(2000), 황양선(2003)의 연구보다 높은 비율을 보였다. 어린이집에서(73.2%)는 자체적인 실외놀이공간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외놀이 공간이 없는 경우에라도 인근 공원이나 지역 놀이터를 이용하여 활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유치원에 비해 어린집의 실외놀이 시설이 부족함을 보이고 있으며 이 에 따른 실외놀이 시설에 투자가 확대되어야 하겠다. 실외놀이 기구에 대한 안전점검은 유치원 71.4 % 어린이집 67.7%로 실시하고 있으나,유치원에서는 관리자(45.9%)가 어린이집에서는 교사(67.4%)가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외놀이 운영 실태에서 실외놀이시 교사대 유아 수는 유치원의 교사 1인당 유아의 수는 16~20명이 49.6%로 가장 높게 나타내었고, 어린이집의 경우 교사 1인당 유아의 수는 16~20명이 30.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실외놀이 운영에 있어서의 어려움으로 유치원과 어린이집은 모두 안전문제(74.4%)를 가장 많이 선택하였는데 이는 김수경(2000), 황양선(2003)의 연구와 유사한 결과로 이러한 어려운 점은 기관과 지역에 상관없이 공통적인 문제인 것으로 파악된다. 이에 대한 실외놀이 활성화를 위한 해결책으로는 안전점검에 대한 보완을 가장 중요하게 여겨야 할 것이다. 안전에 대한 관심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실외놀이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유치원은 중요하다(59.7%), 어린이집은 매우중요하다(52.0%)로 실외놀이에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하고 있었으나 실제로 현장에서는 유치원 주 3회 31.1%, 어린이집은 주 5회 33.9%로 실시하고 있었다. 또한 실외놀이의 교육적 가치에 대한 복수응답 결과에는 유아의 신체발달을 돕는다로 유치원과 어린이집 동일하게 높게 나타났다. 실외놀이를 통한 교사의 인식에서는 선행 연구 김수경(2000), 노인숙(2001), 황양선(2003)의 연구와 유사한 결과이다. 일반적으로 실외놀이는 중요하다는 경향이 높은데 이는 실외놀이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놀이 영역구성이나 놀이활동의 종류에 따라 더 다양하고 폭넓은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교사들이 이를 염두해 두고 인식만 할 것이 아니라 다양한 실외놀이 활동을 계획하고 실행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와 같이 유아교육기관에서는 유아들이 충분히 실외놀이를 경험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제공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실외놀이가 유아를 위한 교육과정을 구성할 때 실내에서의 활동과 마찬가지로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매일 매일의 활동속에 실외놀이가 포함되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실외놀이가 교육과정의 중요한 요소로서 인식되고 실제로 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유아들의 흥미와 연령에 적합하면서도 안전한 놀이시설을 구비하고, 다양한 놀이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공간을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실외놀이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실외놀이를 위한 다양한 활동지침이 개발되어져야 하며, 원장, 교사, 부모의 실외놀이의 중요성에 대한 재인식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며, 유아교육기관에 종사하는 교원을 대상으로 실외놀이시설 안전점검과 관련된 훈련프로그램도 개발 되어야 함과 동시에 유아 및 교사들이 안전사고의 위험에 미리 대처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and draw a comparison with types of earlychildhood institutions in ulsan city. How children's outdoor play management and teacher's cognitions was different, and to offer a basic study revitalize children's outdoor play management in the children's institutions. Research sampled kindergarten teacher 119(48.4%), and daycare center teacher 127(51.6%), total 246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lives in ulsan city. The quesationnaire method was used. survey period was from 2008 september 10 to october 15 2008. The result was analyzed with SPSS 12 statistics program. The results were that we have outdoor space was 110(92.4%)kindergarten, and 93(73.2%)daycare center. both earlychildhood institutions had outdoor play implements, that was a slide>water play place>sand playground. About securiety check to institution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stinction between two institutions. but the question people who did securiety check was administrater in kindergarten, but teacher did in daycare center. Ratio of the teacher per children was 16-20 children at kindergarten 49.6%, 30.9% at daycare center. Frequency of the outdoor play per a week was 3 time per a week at kindergarten, but 5 time per a week at daycare center. Outdoor play activity time within 30-45 minuites per 1 session was 75.6%> within 30 minuites 12.6%> at kindergarten, but within 30-45 minuites 63.0%> within 60-90 minuites 19.7%> at daycare. Answer that a prefer time length for good outdoor play was anytime for children to play 50.4%> afternoon time 38.7%> ante meridiem(morning)5.9% at kindergarten, but daycare teacher an- swered that anytime for children to play 47.2%> afternoon 25.2%> ante meridi- em(morning)18.1%. How did teachers think about amount of outdoor play was common 52.9%>insufficiency 23.5%> sufficient 18.5% for kindergarten teachers, but sufficient 39.4%>common 35.4%> insufficiency 15.7 for daycare center. The method of teaching outdoor play was depends on children's choice 47.1%>both children's choice and a teaching plan 44.5%> in kindergarten, but depend on children's choice 41.7%>both children's choice and a teaching plan 36.2%> in daycare. Teacher's cognitions about outdoor play of the children between two institutions were thease: Appropriate outdoor play time per one session was 45-sixty minuites >within 45minuite>with sixty minuites> at kindergarten, also the same daycare center. How teacher thought the amount of outdoor play was common 52.9%>shortage23.5%>sufficient 18.5% in the kindergarten, but sufficient 39.4%>common 35.4%>insufficient 15.7% in daycare. Thi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two institutions. The reason did not thought sufficient outdoor play amount was limits of activity contents 47.1%>insufficient facility 26.5%> in the kindergarten, But limits of activity contents 43.8%>insufficient facility 24.2%> in the daycare center. Difficulty to management outdoor play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ut problem was securiety check 73.1%>insufficient facility 11.8 differences between the principal of a kindergarten and teacher in kindergarten 6.7%. Thease results were similar to daycare center the principal of a kindergarten and teacher. Cognitions of outdoor play of the children between two institutions were important 59.7%>very important 37.8%>common 2.5% in kindergarten, but very important 53.0%>important 46.5%>common 1.6% in daycare center, So daycare teacher recognized outdoor play would very important than kindergarten teacher recognized. Outdoor play effect to children was important 55.5%>very important 37.8%>common 6.7% in kindergarten, but very important 49.6%> important 45.7%>common 4.7% in daycare. cognition of educational value for outdoor play was it had educational effects for sense experience and nature experience 52.2%>indoor interest domain expen and supplying to outdoor place 48.4%>facilitate various social relations than indoor play 48.3%>help children's body development 46.8% in kindergarten teacher, But daycare teacher answered outdoor play give a rest and emotional fun and joy 53.5%>help children's body development 53.2%>facilitate various social relations than indoor play 51.7%>have educational effects for sense of experience and nature experience 51.7% in daycare center. A method to activating outdoor play was thease: Various outdoor play program management 46.2%>the principal of a kindergarten, teacher, parent's cognition were importance to activating outdoor play 24.4%>wills and efforts of the both principal of a kindergarten and teacher 20.2%, but in daycare teacher various outdoor play program management 38.6%>the principal of a kindergarten, both teacher and parent's cognition of importance outdoor play 22.0%>will and effort of both principal of a kindergarten and teacher 19.7%, and financial support to outdoor facility 16.5% in daycare center. So throughout this study it was conclusioned that financial support to outdoor facility was the more important items in daycare than kindergarten. Finally, teacher answered that outdoor play which children's liking was a slide>big muscular movement>swing>the sand at the kindergarten. but in daycare, a slide, the sand>playhouse>a swing. Teacher recommened activity for children's outdoor play were a compound play equipment, playhouse, woodworking play, sand play, mould play for kindergarten teacher. but daycare teacher answered that a compound play equipment, mould play, animal farm, woodworking play, playhouse.

      • 유아의 경제개념과 경제생활습관 관련 변인 연구

        김수경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유아기 경제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유아의 경제교육과 관련한 변인 연구를 통해 유아의 경제개념과 경제생활습관의 효과적인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했다. 따라서, 유아의 경제교육과 관련하여 경제개념과 경제생활습관이 유아의 내적 변인인 연령과 외적 변인으로 가정에서 어머니의 경제교육태도와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의 경제교육태도와 경제교육활동이 각각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 아울러 유아의 경제교육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의 경제개념과 관련 변인 (1) 유아의 경제개념은 유아 연령과 관계가 있는가? (2) 유아의 경제개념은 어머니의 경제교육태도와 관계가 있는가? (3) 유아의 경제개념은 교사의 경제교육태도와 관계가 있는가? (4) 유아의 경제개념은 유아교육기관의 경제교육활동과 관계가 있는가? (5) 유아, 어머니, 교사, 유아교육기관 변인이 유아의 경제개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2) 유아의 경제생활습관과 관련 변인 (1) 유아의 경제생활습관은 유아 연령과 관계가 있는가? (2) 유아의 경제생활습관은 어머니의 경제교육태도와 관계가 있는가? (3) 유아의 경제생활습관은 교사의 경제교육태도와 관계가 있는가? (4) 유아의 경제생활습관은 유아교육기관의 경제교육활동과 관계가 있는가? (5) 유아, 어머니, 교사, 유아교육기관 변인이 유아의 경제생활습관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12개 유치원의 만 3, 4, 5세 유아 190명과 그들의 어머니, 그리고 교사 44명이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검사도구는 유아의 경제개념 발달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이재정(1999)의 연구에서 사용된 검사도구를 사용하였고, 유아의 경제생활습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김성희(2000)의 연구에서 사용한 질문지와 제 6차 유치원교육과정을 참고로 질문지를 구성하였다. 어머니의 경제교육태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한희경(1998), 이재정(1999), 제 6차 유치원교육과정을 참고로 작성된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교사의 경제교육태도를 조사하기 위해 선행연구들과 제 6차 유치원 교육과정을 참고로 작성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유아교육기관의 경제교육활동은 유치원의 연간 경제교육활동으로 조사되었다. 자료의 분석은 종속변인인 유아의 경제개념과 경제생활습관과 독립변인들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계수를 구하고,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회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경제개념과 관련하여 유아의 경제개념은 유아의 연령, 유아교육기관의 경제교육활동과 관계가 있다. 유아의 경제개념은 어머니의 경제교육 태도와 교사의 경제교육태도와는 관계가 없다. 유아의 경제개념과 유의한 관계를 보인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은 유아의 연령이 유아교육기관의 경제교육 활동보다 유아의 경제개념에 대한 영향력이 더 크다. 둘째, 유아의 경제생활습관과 관련하여 유아의 경제생활습관은 유아 연령과 어머니의 경제교육태도와 관계가 있다. 유아의 경제생활습관은 교사의 경제교육태도와 유아교육기관의 경제교육활동과는 관계가 없다. 유아의 경제생활습관과 유의한 관계를 보인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은 어머니의 경제교육태도가 유아의 연령보다 유아의 경제생활습관에 대한 영향력이 더 크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ovide elementary materials for children's effective education of economic concept and economic living habits through the study of variables affecting children's economic education. Thus, this thesis examines the relationship of mother's economic education attitude at home, teacher's economic education attitude at the children's educational institution as external variables and children's age as internal variable, and relative influence on children's economic education. For this research following study questions are established. 1) Children's Economic Concept and Related Variables (1) Is children's economic concept related to Children's age? (2) Is children's economic concept related to mother's economic education attitude? (3) Is children's economic concept related to teacher's economic education attitude? (4) Is children's economic concept related to economic education activity in the children's educational institution? (5) How is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variables of children, mother, teacher, children's educational institution on children's economic concept? 2) Children's Economic Living Habits and Related Variables (1) Are children's economic living habits related to children's age? (2) Are children's economic living habits related to mother's economic education attitude? (3) Are children's economic living habits related to teacher's economic education attitude? (4) Are children's economic living habits related to economic education activity of children's educational institution? (5) How is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variables of children, mother, teacher, children's educational institution on children's economic living habits? This research has fulfilled with the help of 190 children aged three, four, five in twelve kindergartens, their mothers and 44 teachers in Busan metropolitan city. The test tools used for this study are test tools used in Lee Jae-jeong's study(1999) to measure children's economic concept and questionaries with reference to questions by Kim Seong-hee(2000) and the sixth kindergarten curriculum in order to examine children's economic living habits. The questionnaires were made with reference to Han Hee-gyeong(1998), Lee Jae-jeong(1999), the sixth kindergarten curriculum to examine mother's economic education attitude. The questionnaires made with reference to preceding studies and the sixth kindergarten curriculum to examine teacher's economic education attitude. The economic education activity of children's educational institution was examined with annual economic educational activity of kindergartens. The analysis of materials was accomplished by correlation coefficient to grasp the relationship of children's economic concept, economic living habits as dependent variables and independent variables, and stepwise regression method to examine relative influence. The conclusions drawn by abov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economic concept is related to children's age, economic educational activity of children's educational institution. Children's economic concept is not related to mother's and teacher's economic educational activity. In terms of the relative influence of variables showed similar relationship with children's economic concept, children's age has bigger influence on children's economic concept than economic educational activity of children's educational institution. Second, children's economic living habits are related to their ages and mothers' economic educational attitude. Children's economic living habits are not related to teacher's economic educational attitude and economic educational activity of children's educational activity. In terms of the relative influence of variables showed similar relationship with children's economic living habits, mother's economic educational attitude has bigger influence on children's economic living habits than children's age.

      • 유아기의 유아음악교육방법에 관한 연구 : 달크로즈·코다이·오르프의 음악교육이론을 중심으로

        김영혜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47

        유아들은 호기심이 많고 탐구심이 높아 무엇이든지 빠르게 받아들이므로 이시기에 체계적이고 올바른 교육을 받게 된다면 그 효과는 더욱 커지게 될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최근 유아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관심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유아 음악교육에 대한 관심도 함께 증대되고 있다. 유아기의 음악교육은 유아의 단순한 음악능력만이 아니라 유아의 신체, 언어의 발달 및 인지능력과 창의성을 발달시키고 자신감 및 다른 사람과의 긍정적 상호작용을 촉진하여 사회적응력을 높여준다. 오늘날 유아들을 대상으로 음악교육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 효율적이고 손쉽게 할 수 있는 교육방법을 잘 알지 못해 머뭇거리는 경우가 많다. 유아음악교육에 있어 기존의 딱딱하고 어려웠던 유아들의 음악교육방법을 대신하여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코다이나 오르프의 교육이론이 알려지기 시작했고, 달크로즈의 리듬 신체표현도 교육현장에 있어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본 연구는 취학 전 유아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미 잘 알려진 유아음악 교육학자인 달크로즈(Emile Jaques Dalcroze, 1865-1950), 코다이(Zoltan Kodaly, 1882-1967), 오르프(Carl Orff, 1895-1982)에 나타난 교육관과 교육방법을 중심으로 유아음악의 음악적 개념을 익히도록 하며, 다양한 음악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비교적 비슷한 시기에 유아음악교육을 다룬 이세사람의 유아음악교육방법론을 비교 연구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핵심은 달크로즈, 코다이, 오르프의 유아교육이론을 중심으로 바람직한 유아음악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음악교육을 통해 모국어를 익히듯이 음악을 자연적으로 듣고 익히도록 돕게 하며, 음악의 구성요소를 이해하고, 리듬을 몸으로 느끼며, 가락의 흐름에 반응하게 하여 음악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의 함양에 중점을 두었다. 또한 유아 스스로의 생각을 표현하게 하는 창조적인 활동을 많이 하도록 하여 음악을 느끼고 표현할 수 있는 사람으로 성장하게 될 것이다. The infants are full of curiosity and the spirit of inquiry so they accept everything very quickly. If they receive a proper education, the effect of the education will be more larger. For that reason, the recognition and the interest about the importance of the infant education are gradually increasing. The infant music education is helpful not only to the advancement of the musical ability but also to the development of the body, language, and the originality. It promotes the affirmative interaction of confidence to the other people and raises the social adjustment power. Today the music education is plentifully but they hesitate in many cases because they do not know the instructional and easy method. Recently the music instructional method of the infants from Kodaly or Orff are becoming well known instead of the former hard and difficult method and the Dalcroze's rhythm body expression also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education.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he infant before attending school. And the main ideas about the instructional methods are from the well-known music pedagogy Dalcroze (Emile Jaques Dalcroze, 1865-1950), Kodaly (Zoltan Kodaly, 1882-1967), Orff (Carl Orff, 1895-1982). in order to learn the various concept of infant music, this research presented and made a comparative study of these three people who treat an infant music education in similar time. The focus of the research presented the direction of desirable infant music education with the theories of Dalcroze, Kodaly, Orff as the center. Through the music education, the infants will be able to learn music as they learn their mother language. They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 integral part of music, feel the rhythm, react to the tune and develope the ability to understand music. Also through the creative activity which does to express an infant oneself think plentifully, they will be able to grow who can express and feel the music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