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악수업 실태조사 연구 : 부산지역 국악예술강사지원사업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강민정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국악예술강사지원사업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국악수업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부산의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했다. 연구에 대한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문화예술교육 진흥원이 실시한 2018년 초, 중, 고등학 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국악예술강사지원사업의 현황과 국악예술강사지원사업의 개요, 필요성 등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인내용을 파악하기 위해 운영기관의 홈페이지 자료, 보도자료, 학술논문 등을 활용했다.둘째, 현장에서 국악예술강사지원사업을 경험하고 있는 국악예술강사,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인터뷰를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현재 국악수업의 실태를 파악하고자 했다.셋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악예술강사지원사업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본 연구의 한계점과 시사점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연구 분석 결과를 종합해보면, 학교 교사들은 국악예술강사지원사업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악예술강사i들 역시 교육 환경 및 처우에 대해서는 불편함을 이야기하였으나 졸업 후 취업이 어려운 상황인데, 국악예술강사지원사업을 통해 일부수입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높게 평가했다.이러한 점에서 국악예술강사지원사업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국악전공자들에 대한 인식과 처우 개선 및 악기 수와 교육자료 및 공간부족 등 물적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제한된 범위 내에서 제한된 인원으로 연구를 실시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를 통해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후속연구에서는 연구범위와 대상을 확대하기대한다.

      • 무용예술강사지원사업의 연구현황 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 연구

        박유진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27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예술강사지원 사업 중 무용 분야에 집중하여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자료를 토대로 연구 현황을 분석하고, 그동안 제기된 문제점을 종합적으로 고찰함으로써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종합적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요약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방법별 영역에서 연구방법에 따른 실제적 방안이 제시되었으나, 지속 가능한 사례 분석을 통한 무용예술강사사업의 발정 방안을 모새학 한 연구는 미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무용분야 예술강사지원사업의 연구모형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무용술강사지원사업의 연구에 적합한 분석틀을 개발하여 예술강사지원사업의 연구 현황을 일관성 있게 살펴보고 무용분야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지속적인 분석의 시도가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셋째, 무용분야의 예술강사지원사업은 일자리 창출로 인한 취업의 기회를 제공하였으나, 고용불안의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온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무용분야 예술강사지원사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책적·제도적인 개선을 통한 재정적 측면의 지속적 성장을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무용예술강사지원사업의 문제점을 분석한 결과, 단계별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무용분야 예술강사지원사업은 전문성을 바탕으로 창의적이고, 새롭고 다양한 교육활동을 개발하고 실천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를 토대로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시키고, 더욱 체계적이고 내실 있는 무용수업의 기반을 마련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이론과 연구 결과가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되고 개선될 수 있도록 무용예술강사와 학교담당교사들간의 협력 장치 마련과 함께 무용수업에 관한 인식개선을 통한 연수 기회가 제공되어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향후 무용예술강사지원사업의 개선 방안을 고찰하는 것으로 향후 무용예술강사지원사업의 양적성장 뿐 아니라 질적 성장을 도모를 위한 기초자료로서의 연구의 의의가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o vitalize the plan to support art instructors in the field of dance by analyzing the state of research into it based on the materials of earlier studies and through a comprehensive consideration of the problems raised about it. On the basis of the overall findings of the study, the following summarized conclusion was reached: First, as for the state of studies by research method, these studies suggested different practical ways of developing the plan depending on their research methods, but not many studies have ever explored how to step up the development of the plan for dance art lecturers by making a sustainable case analysis. In the future, research efforts should be directed into the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a research model for the support plan for art instructors in the field of dance. Second, an analysis framework that is suitable for research into the support plan for dance art instructors should be developed to inquiry into the state of research into the support plan for art instructors in a consistent manner, and an attempt to analyze how to vitalize the plan on a continual basis seems to be necessary. Third, the support plan for art instructors in the field of dance provided the opportunity for employment by creating jobs, but it's constantly pointed out that there is a problem with it in terms of job insecurity. Therefore in order to dynamize the support plan for art instructors in the area of dance, politic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s should be made in an effort to ensure a sustained increase in finance.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whether there was anything wrong with the support plan for dance art instructors, the development of various differentiated, level-based programs is required. In addition, a variety of professional, creative and novel educational activities should be developed and conducted. These activities are necessary to ignite the interest of students and to lay more systematic and solid groundwork for dance instructions. Finally, it's necessary to take measures to encourage cooperation between dance art instructors and school teachers in charge to apply diverse theories and the findings of studies to the education sector to improve it, and they should be given the opportunity to undergo training to change the way they look at dance instructions. Thus, this study attempted to consider how to improve the support plan for dance art instructors in the future, and it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offered basic data on how to facilitate the growth of the support plan both in quantity and quality. Keywords: school dance, dance education, dance art instructor, the support plan for art instructors, the support plan for dance art instructors.

      • 정부 3.0 4대가치의 관점에서 본 예술강사 지원사업 발전방안 연구

        김재경 한국예술종합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미시적인 측면에서 정부3.0 4가지 가치 관점에 기초하여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발전방안을 도출하였다. 개방, 공유, 소통 및 협력(협업)이라는 정부3.0 4대 가치를 기반으로 분석 준거의 틀을 제시하고 각 가치별로 예술강사 지원사업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과정측면’과 ‘결과활용 측면’에서 현황과 시사점을 살펴본 후 관련 문제점들을 어떻게 개선해 나갈 것인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첫째, ‘개방’의 ‘과정 측면’에서는 계획 수립 및 평가과정의 이해 관계자들에게 보다 적극적인 정보의 공개가 필요하다. ‘결과활용 측면’에서는 평가결과 공개 및 역량강화 모델로 평가체계를 전환하는것이 필요하다. 둘째, ‘공유’의 ‘과정 측면’에서는 사업추진 시조직구성원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을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고, ‘결과활용 측면’에서는 수혜자 대상 사업추진 과정에 대한 정보의 공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소통’의 ‘과정 측면’에서는 조직 내・외부와의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서 최고관리자의사업에 대한 관심 제고가 필요하며, 외부전문가들과의 소통도 강화되어야 한다. ‘결과활용 측면’에서는 사업운영에 대한 맥락적 지식의 전달을 위해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실행주체인 교육진흥원 및 센터의 실무자들의 고용안정 및 근로환경 개선의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협력(협업)의 ‘과정 측면’에서는 ‘정책수행기관’인 시도 교육청, 지역센터 및 교육진흥원 간의 협력이 더욱 강화되어야 하며, ‘결과활용측면’에서는 예산의 지속적인 확보를 위해서 각 주체별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 예술인 복지를 위한 간접 지원 정책 연구 : 예술인 파견지원 사업-예술로를 중심으로

        정혜윤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예술인 파견지원 사업-예술로(路)(이하 예술로)’를 중심으로 간접 지원으로서의 예술인 복지 정책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예술로는 기업과의 협력을 강조하고, 예술가와 기업이 상생하며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방식의 사업으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예술가의 복지 향상과 기업의 경영 성과 향상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다고 여겨져, 다양 한 방식으로 확대되고 있다. ‘예술로’는 예술인의 경력 개발에 도움을 주고, 자생력을 높이기 위한 정책이다. 다양한 분야의 예술가들을 팀으로 구성하고 그들의 창의력을 기업·기관의 업무 및 내부 복지에 적용할 수 있도록 중개한다. 이를 통 해 예술인이 경제적인 자립을 할 수 있도록 도모한다. 무엇보다 ‘예술로’가 그동안 이루어졌던 전통적인 직접 지원 방식과 달 리 간접 지원 방식을 채택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또한 ‘예술로’는 간접 지원 방식으로서 예술인에게 현물 또는 보조금을 지원하지 않고, 사업이 강제성을 띠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예술로’의 개념과 특성을 바탕으로 ‘예술로’ 시 행 사례와 해외 유사 정책 사례를 비교하여 살펴보았으며, 이를 통해 도 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예술로’는 간접적인 정부의 지원을 통해 지 속해서 예술인의 경제적 자립을 도모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예술로’ 는 정부의 협력을 통해 예술인이 주체적으로 예술 활동을 필요로 하는 기업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에 대한 경제적 대가 를 예술인이 얻을 수 있도록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예술로’ 사업을 추진하면서 그 정책과 기업·기관, 그리고 예술 인 사이에 서로의 특성을 이해하지 못해 만들어진 부적절한 절차로 인해 발생하는 괴리감이 있을 수 있다. 이를 줄여 정책의 구조적 긴장감을 해 소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예술로'는 예술인을 생산 노동이 가능한 인적자원으로 지각하고, 예술 경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예술시 장과의 긴밀한 협업도 필요하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복지 정책으로서의 방향성을 갖고 '예술로' 사업 을 추진한다면, 예술인의 직업안정과 예술 분야의 고용 창출을 통해 경 제적 자립을 위한 간접적인 지원으로서 예술인 복지 정책의 효과성을 강 화할 수 있을 것이다. 주요어 : 예술인 복지, 예술인파견지원사업, 복지 정책, 복지 지원 학 번 : 2020-24058 This study aims to examine artists' welfare policies as indirect support, focusing on the 'Artist Dispatch Support Program - Yesullo (hereinafter referred to as Yesullo).' Yesullo emphasizes cooperation with companies and is recognized as a business in which artists and companies coexist, creating social value. Additionally, it is believed to simultaneously pursue improvements in the welfare of artists and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companies, and it is expanding in various ways. 'Yesullo' is a policy designed to help artists develop their careers and increase their self-sufficiency. We organize artists from various fields into teams and mediate so that they can apply their creativity to the work and internal welfare of companies and institutions. Through this, we aim to help artists become economically independent. Above all, we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Yesullo' adopts an indirect support method, unlike the traditional direct support method used so far. Additionally, 'Yesullo' is noteworthy for not providing in-kind or subsidies to artists, and the project is not compulsory. In this study, based on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Yesullo,' we compared the implementation cases of 'Yesullo' with similar policy cases overseas, and the implications derived from this are as follows: 'Yesullo' has the potential to continue promoting the economic independence of artists through indirect government support. 'Yesullo' enables artists to independently provide services to companies in need of artistic activities through government cooperation, allowing artists to receive economic compensation for this. However, while promoting business through 'Yesullo', there may be a gap between policies and inappropriate procedures created by companies, institutions, and artists due to a lack of understanding of each other's characteristics. There is a need to reduce this and resolve the structural tension in policy. Additionally, 'Yesullo' requires the recognition of artists as human resources capable of productive labor and close collaboration with the art market, which accounts for a large portion of the art economy. If, through these efforts, we pursue projects through art with the direction of a welfare policy, we will be able to strengthen the effectiveness of the artist welfare policy as indirect support for economic independence through the job stability of artists and the creation of employment in the arts field.

      • 강원도 문화예술진흥지원사업 현황 분석 : 무용 분야

        고유애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26

        본 연구의 목적은 강원도에서 활동하는 예술가들이 보다 뛰어난 창작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각 분야별 특성에 따른 다양한 지원사업을 통해 무용 분야 지역 예술가들의 창작 의지를 제고하고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을 제공함으로써 무용 분야의 공공지원 활성화를 모색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화재단과 문화예술진흥지원사업 선행연구, 강원문화재단의 문화예술진흥지원사업 현황을 탐색하였다. 또한 문화재단과 관련하여 광역문화재단과 기초문화재단의 특징을 분석하였으며, 문화예술인들이 보호받을 수 있는 문화예술 관련 법률을 통하여 각 지역에 설립된 문화재단의 역할과 필요성에 따라 시행된 사업들을 바탕으로 각 분야별 접수건수, 선정건수, 지원금액을 비교·분석하여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 분야의 접수건수가 타 분야에 비해 다소 적다는 것이다. 둘째, 2016년-2020년도에 진행된 문화예술진흥지원사업 중 무용 분야가 속한 사업들의 선정건수와 지원금액을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선정건수 비율과 상응된 형태의 금액을 지원받았다. 본 연구자는 무용 분야가 타 분야에 비해 지원금액이 적다는 의문점을 가지고 이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으나, 무용 분야의 지원율이 낮을 뿐 각 분야별 선정건수와 지원금액을 두고 비교하였을 때 편중된 형태의 지원이 아니었음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무용 분야의 선정된 건수에 비해 조금 더 많은 지원금액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각 분야별 지원규모에 따른 최소, 최대 지원금액의 차이가 가져온 결과라고 판단된다. 무용 분야는 종합예술로써 공연을 추진하는데 필요한 초기 비용이 높은 편에 속하기 때문에 이러한 특수성이 고려되어야 하며 문화예술과 관련된 각 분야별 특성 또한 적절하게 반영된 다양한 지원방식의 정책개발이 필요하다. 무용 예술인들 역시 공공지원에 의존하지 않는 작품 구성을 통하여 새로운 공연예술의 형태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문화예술과 관련된 다양한 지원 중에서도 전문예술육성지원, 신진예술가창작활동지원, 생애최초지원 등 예비예술인에 대한 지원 증대와 지속적인 문화예술교육을 통하여 젊은 예술인들의 지역이탈을 최소화하기 위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artists in Gangwon Province perform better creative activities and to revitalize public support in the field of dance by providing opportunities to raise the will of local artists and demonstrate their abilitie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e Cultural Foundation and the Cultural and Arts Promotion Support Project were previously studied, 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Gangwon Cultural Foundation's cultural and arts promotion project was investigated.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 Foundation and the Basic Cultural Foundation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 role and necessity of cultural foundation established in each region, the number of applications, selection and support were compared. First of all, the number of applications in the dance field is slightly lower than in other fields. Second, in terms of the number of projects selected and the amount of support for the promotion of culture and the arts from 2016 to 2020, the overall amount of support was given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projects selected. The researcher began the study by questioning the small amount of subsidies in the dance field compared to other fields, but found that the number of subsidies and the amount of subsidies were not biased. This is because the minimum and maximum amount of support varies depending on the amount of support in each field, although the amount of support is higher than that of the dance field. Since the initial cost of performing in the dance field is high, it is necessary to develop policie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fields related to culture and the arts. Dance artists should also study new forms of performing art through composition that does not rely on public support. Among the various support related to culture and the arts, we should seek ways to minimize the departure of young artists from the region through increased support for artists such as professional arts development, creative activities, and life-long support."

      • 경남 학교예술강사지원사업의 과제와 개선방안 : 무용분야를 중심으로

        대현지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95

        This paper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support project of school art teachers in Gyeongnam area and studied improvement plan for the desirable development of support project of school art teachers in Gyeongnam area. Culture and art education is meaningful for all people to live more rich. Culture and art education is divided into school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social culture and art education according to the subjects. School culture and art education introduced culture and art in the public education field which is a systematic institute and is organized by the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Especially, support project of school art teachers occupied the biggest part of the school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ject. Support project of school art teachers, in which professionals of arts visit the school, is aimed at fostering cultural and artistic talents of students and cultivating creative talents by developing personality and sensitivity. However, this project has drawn many tasks from the educational field in achieving the original purpos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Currently, a great deal of budge are investing in the support project of school art teacher every year, but the fundamental problem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s not solved and it is just repeated. In the continuum of this idea, the researcher started this study from the question of why many tasks are derived from the field without achieving the purpos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The researcher will look at the problems at the center of the participants of the project. The discussion will proceed as follows. In chapter II, we examined the concept and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the current status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will be identified through the status of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In chapter III, we derived the problems presented by the status of support project of school art teacher and art instructors, operating schools and operating institutes in Gyeongnam area. First, there are problems of temporary employees and continuity of employment, treatment of art teachers and self-development as an educator in terms of art instructors. In terms of operating school, there are issues such as job understanding of teacher in charge about support project of school teacher, problems in improving teachers' awareness, problems of class space and requirement of art works for school art festival, etc. In terms of operating institutes, there are issues such as communication between operating institute and art teachers, necessity of the integrated administrative system, problems of support teaching materials, creation of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etc. In chapter IV, we suggest the improvement plant of support project of school art teacher in Gyeongnam area based on the problems derived from chapter III. First, we discussed the improvement plan for improvement of accurate project awareness of participants, improvement and reinforcement of educational programs, improvement of administrative system of operating institute, cooperative class between teachers in charge and art teachers and improvement of the treatment for art teachers.

      • 노인의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문화예술 참여 활성화 방안 질적 연구 : 강원도 원주시 '6090청춘합창단' 사례를 중심으로

        엄소라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95

        This research has a purpose to explore the solution in revitalizing the participation of culture and arts in regional level for the elderly via case studying the '6090 Youth Choir' in Wonju, Gangwondo, which is a selected program as a part of the ‘Culture and Arts Supporting Scheme’ by Korean Culture and Arts Centers Association (KOCACA).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positive factor of participating in culture & arts educa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2. How has the form of participation in culture & arts for the elderly been changed in regions over time? 3. What are the current issues in order to achieve revitalising culture & arts education and what is the solution? In order to fulfil the questions above, the researcher acquired the basic date through the questionnaires that were executed with 36 members of '6090 Youth Choir' along with the person in charge of the program on April 21, 2021. Then the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wice for 3 weeks between April 28, 2021 and May 19, 2021 with 6 voluntary interviewees among the 36 participants of the program.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The elderly's participation in cultural and arts education starts from the passion for arts education along with longings for arts. It tends to have a virtuous cycle that the pri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leads to the next participation in such education. The elderly gain their confidence and self-esteem through this education which creates the desire of enjoying more culture and art. This then leads them to maintain the health and energy which improves their quality of life. In addition, by curating the elderly focused culture and art education, it is shown that the elderly start to create their own work participating in regional culture and arts events with it. It means that the role of the elderly in society can grow as well as accomplishing revitalizing their arts and culture.  However, as Korea is already experiencing an aging society, culture and art education for the elderly has not achieved the milestones of the positive changes. Especially in Gangwon-do region where the percentage of the elderly is relatively high yet lacking the culture and arts policy has rather serious problems.  Through the experience of participants in '6090 Youth Choir', an issue was addressed that there was a lack of a system to provide information of culture and arts, thus not enough opportunities were given to them, which can result in a preconception of how to enjoy culture and arts as an elderly. In the same manner, the need for intensive improvement was suggested since there was a lack of finding ways to participate in regional cultural events for the elderly as well as lack of thoughtful consideration in understanding the nature of the elderly in managing the program of '6090 Youth Choir'.  The aim for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for the elderly is to maintain stable programs supported by the government's policies which provide consistent support and developing new programs that are established based on understanding the role and effect of the elderly for the society participating in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Furthermore, through building the system that education can lead to regional revitalization, more elderly should be able to participate in the regional cultural and arts and their role needs to be expanded as a consumer and creator of cultural business by making their own contents.  I expect the outcome of this research will be used for the basic data that helps local authorities pay attention to participants' needs in order to manage the elderly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systematically, incorporating each region's character as well as finding the solution to develop governments' supports and policies. 본 연구는 노인의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문화예술 참여의 활성화를 위해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의 ‘문예회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선정 프로그램인 강원도 원주시 ‘6090청춘합창단’의 사례를 중심으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노인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긍정적 변화의 요인은 무엇인가? 2. 노인문화예술교육을 통해 노인의 지역 문화예술 참여의 형태는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3. 노인을 위한 문화예술 활성화를 이루기 위해 현재의 문제점은 무엇이며 개선 방안은 무엇인가? 이를 위해 연구자는 2021년 4월 21일 ‘6090청춘합창단’ 교육 참여자 36명과 사업담당자 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지를 통해 기초 자료를 수집하고 2021년 4월 28일부터 5월 19일까지 3주간 2회에 걸쳐 36명의 교육 참여자 중 자발적 참여 의사를 밝힌 6인을 대상으로 1차, 2차 개별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인의 문화예술교육 참여는 예술에 대한 동경과 예술교육에 대한 열망으로 시작되고 이전의 문화예술교육 참여가 다음 문화예술교육으로 이어지는 선순환의 구조를 띄고 있다. 노인은 이러한 문화예술교육으로 자신감과 자존감이 증가하고 문화예술 향유에 대한 욕구가 생성되며 이로 인하여 건강과 활력을 유지하고 삶의 질이 상승하는 변화를 나타냈다. 노인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한 노인은 지역의 문화예술 행사에 이전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변화를 보였으며 그 형태는 문화 소비자에서 생산자로 역할의 다양성으로 나타났고 노인의 사회적 역할의 증대가 문화예술 활성화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고령화사회로 접어든 우리나라에서 한정된 노인문화예술교육은 모든 노인에게 균등한 기회를 제공하지 못하고 노인 복지의 측면에서도 성장하지 못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노인 인구 비율은 높으나 문화예술 정책이 부족한 강원도 지역은 시스템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6090청춘합창단’ 참여자의 경험에서 강원도 원주시의 노인을 위한 문화예술 정보 제공 시스템이 구축되지 않아 참여의 기회를 가지지 못하고 이에 따른 노인의 문화예술 향유 방법에 대한 선입견이 있다는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마찬가지로 ‘6090청춘합창단’ 프로그램과 운영에 있어서 노인의 특성을 배려하지 못한 진행 방식과 적극적인 지역의 문화행사 참여 방법을 모색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심도있는 개선 방안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노인에게 있어 문화예술 참여의 사회적 역할과 효과를 인지하고 노인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과 새로운 프로그램의 개발이 정책적으로 뒷받침되어 안정된 프로그램 유지를 이루는 것이 노인문화예술교육이 나아갈 지향점이다. 또한 시스템의 구축을 통해 보다 많은 노인이 지역의 문화예술에 참여하고 그들의 콘텐츠가 생성되어 문화산업의 소비자이자 생산자로서 역할이 확대되어야 한다. 노인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이 각 지역의 특성을 반영하여 현장에서 더욱 체계적으로 확대 운영될 수 있도록 광역센터와 기초단위가 참여자의 요구에 귀를 기울이고 정책적 지원과 제도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데 이 연구 결과가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국내·외 문화재단 비교 연구

        이은미 숙명여자대학교 국제관계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76

        Cultural foundations have been established and operated for diverse purposes by companies,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s foundation corporations since 1990s. Regardless of founders, the main purpose of cultural foundations pertains to development of culture and art and qualitative improvement of people's lives. It is time that the intents and current states of cultural foundations organized under the mission of advancement of culture and art were examined. So to speak, as cultural foundations increasingly play more roles in modern society, they should meet the demands for transparent and efficient organizational operation to grow further. Since the local autonomy system was adopted, local governments have spent a huge sum of contribution to build cultural foundations, and businesses have supported enormous investment in arts and culture for the benefits of company images and the principle of wealth distribution. By identifying the reasons for their existence and determining their future directions in accordance with their characters, cultural foundations will be able to keep contributing to developing culture and art further. Local cultural foundations are characterized by their organization of a third sector, which system is viable for making up for policies and maximizing supports for creative and diversified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That is, local culture centers are capable of quenching the sense of cultural isolation prevalent in local areas, settling identification of local societies and putting the frameworks for activating local cultures on a firm footing. Local cultural foundations need develop proper culture policies for local people and foster new cultural projects. Further, by making efforts not to rely on the stable financial support from local governments they need to find ways to fix independent financial ground to run up to their original characteristics. In the 21st century, starting from Kyeonggy cultural foundation, lots of local foundations for culture have been set up in such regions as Seongnam, Goyang, Euijeongbu and Incheon. They may well be different in terms of types and focal projects, but they are similar in that local autonomous entities have formed contributions and funds and influenced their operations. Local cultural foundations share a common need to carry out appropriate art and culture projects to promote local cities by considering their own loc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o organizing board of directors as a basis for independent operational executions of cultural foundations, diversified means of obtaining budgets need be developed. Though cultural foundations are to be non-profit organizations, their management should be more efficient than other profit-oriented businesses. That is because profit-driven organizations are run when they yield high profits, but cultural foundations do not have any profit sources exist. These challenges may be met by finding solutions in overseas cases of cultural foundations in both private and public sectors. Overseas cultural foundations have had long history of performance and rich experience in their project operations, which may suggest quite a few alternatives that local culture foundations may take. This study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domestic and overseas cultural foundations to seek for directions to develop local cultural foundations further. There is no denying that local entities cannot always adopt their overseas counterparts unconditionally, but they can add some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according to their current conditions to take appropriate policies. Through overseas cultural foundations' financial structures, policies regarding promoting donations and support committees can be sought, and their operations of board of directors may hint something to fill the part local foundations lack in. For financial self-reliance, for-profit projects run by cultural foundations owned by enterprises may be analyzed to help find ways to bring in several marketing measures. This study explored the concepts, types and roles of cultural foundations and examined the facts and figures of overseas and domestic cultural foundations to seek for future developmental paths of local cultural foundations. Also, the present study identified current states and status of local cultural foundations. Further, based on the findings from case studies on the intents of establishment, organization and projects of domestic and overseas cultural foundations, each foundation's main functions, project content, organization and operation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come to a conclusion that cultural foundations suitable for local reality,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 can develop. Cultural foundations have infinitive growth potential in the future. With non-governmental and not-for-profit roles and missions and continuous and fundamental studies on projects, cultural foundations are ultimately to realize cultural democracy and fulfill their responsibilities as specialized art organizations. 문화재단은 다양한 목적으로 기업, 정부, 지방정부에서 재단법인으로 1990년대 이후 설립되어 운영되고 있다. 재단의 설립 주체와 상관없이 문화재단의 주된 목적은 문화예술의 발전과 국민의 삶의 질적인 향상을 위함이다. 문화예술 진흥이라는 사명아래, 설립된 문화재단의 취지와 현재의 상황에 대해 짚어봐야 할 시점이다. 즉, 현대사회에서 문화재단의 역할이 점차 증대되고 이에 문화재단의 성장은 조직의 투명하고 효율적 운영을 요구하고 있다. 지방정부에서는 지방자체 이후 막대한 출연금으로 문화재단을 설립하였고, 기업에서도 기업의 이미지 구축 및 부의 분배 원칙에 의해 예술과 문화에 많은 지원금을 투자하고 있다. 이렇게 설립된 문화재단이 그 존립의 이유를 보다 확고하게 하고 앞으로의 나가야할 방향을 각 문화재단의 성격에 맞추어 찾아갈 때 문화와 예술은 발전해나갈 것이다. 지역문화재단은 제3섹터의 형태의 조직과 특징을 가지고 있음으로써 공공정책의 보완과 더불어 창의적이고 다양한 문화예술 지원을 극대화할 수 있는 체제라 볼 수 있다. 즉, 지역의 문화 소외감을 해소하며, 지역사회의 정체성을 확립하여 지역문화 활성화의 기틀을 확고하게 할 수 있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다. 지역문화재단은 지역주민을 위해 지역에 맞는 문화정책을 개발하고 신규 문화사업을 활성화하여야 한다. 또한 현재까지 지방정부의 안정적인 재정 지원에서 의존하지 않고 각 지역문화재단의 고유한 성격을 살릴 수 있도록 재정 확립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21세기에 들어서면서 경기문화재단을 필두로 성남문화재단, 고양문화재단, 의정부문화재단, 인천문화재단 등 많은 지역문화재단이 설립되었다. 형태나 중점사업에서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지방자치단체가 기금 및 출연금을 조성하였고 재단의 운영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은 비슷하다. 이런 지역문화재단이 갖고 있는 공통점은 각기의 지방도시의 활성화를 위해 또 이러한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적합한 예술문화 사업과 프로젝트 수행이 필요하다. 또한 문화재단의 독립적인 집행을 위한 이사회 구성 조정과 더불어 다각전인 예산 확보 수단을 개발해야 한다. 문화재단의 목적이 영리를 추구하지 않을 뿐, 경영에 있어서는 영리기업보다 더 효율적이어야 한다. 그 이유는 영리조직은 수익이 높으면 조직이 운영되지만, 문화재단은 수익원천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과제는 해외의 문화재단과 기업문화재단의 연구를 통해 해결책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국외의 문화재단의 오랜 기관 동안의 사업수행과 관리 경험은 우리 문화재단에게 많은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국내의 문화재단의 발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국내외 문화재단을 비교분석하였다. 비록 해외의 사례를 무조건 반영할 수는 없지만 각 처해진 재단에 상황에 맞추어 변형 보완하여 여러 정책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해외 문화재단의 재정 구조를 통해, 기부와 후원회의 활성화 정책을 모색할 수 있고, 이사회 구조와 운영방식에서 우리 재단의 부족한 부분을 채워줄 수 있을 것이다. 재정 자립을 위해 기업문화재단에서 운영하고 있는 수익사업을 분석하고 여러 마케팅 수단을 동원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문화재단의 개념과 역할, 유형을 비롯하여 국내·외의 문화재단의 현황을 파악함으로써 앞으로의 한국의 문화재단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국내문화재단의 현황을 파악하였고 국내외 문화재단의 설립목적, 조직, 운영하는 사업에 대한 사례조사를 바탕으로 재단별 주요 기능과 사업내용, 조직구성과 운영방 등을 비교 분석을 통해 지역현실과 특성 그리고 환경에 맞는 문화재단이 발전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문화재단은 앞으로 발전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기관이다. 비정부, 비영리 단체로서의 역할과 사명을 갖고 재단 사업에 대한 근본적인 연구를 지속적으로 한다면 궁극적으로 문화민주주의를 실현할 수 있는 전문화된 예술 기관으로써의 역할을 다할 수 있을 것이다.

      • 예술강사 지원 사업중 무용분야에 관한 만족도 연구 : 초등교사 중심으로

        박주화 대진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3343

        문화예술교육을 위해 실시된 예술강사 지원 사업이 점차 확대 되고 많은 관심이 집중되면서 대부분 사업현황이나 만족도에 대한 연구였다. 본 연구는 예술 강사 지원 사업을 지원 했던 학교들의 관계자들의 지원사업 만족도와 재지원에 대한 의견, 그리고 무용 교육을 통해 얻고자하는 교육효과를 연구하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초등학교의 남교사 여교사 모두 예술 강사 무용 분야에 대한 만족도는 높다고 할 수 있으며 또한 고학년에 분포된 교사들의 체육 활동 내의 무용 수업에 대해 많은 관심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무용 분야의 재지원 여부에 관해 빈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가 재 지원 하겠다는 응답이 83명(84.7%) 재 지원 하지 않겠다는 응답이 15명(15.3%)으로 나온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둘째, 예술 강사 지원 사업 중 무용 분야를 선호하는 이유는 체육교과 안의 표현활동(무용)부분을 전문 강사가 교육하기를 원해서 74명(37.19%), 학생들의 정서적 발달의 위해서 65명(32.66%)으로 높게 나타났는데 교사들에게 무용은 전문교과라는 인지를 하고 있으며 무용이라는 신체 활동이 학생들의 정서적 발달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셋째, 무용을 통한 다양한 학습효과에 대한 의견으로는 우리나라 한국무용들을 골고루 배웠으면 좋겠다(37.19%)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교사들이 우리나라 한국 무용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외의 흥미로운 결과로는 단체복(운동복)을 입었으면 좋겠다(6.93%), 머리를 단정히 했으면 좋겠다(4395%), 수업시간에 학생들이 한복(개량한복)을 입었으면 좋겠다(0.99%)의 순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모두 학생들의 의복이나 두발에 대한 문제점으로 생각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As the support project of art lecturers, which was implemented for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has gradually expanded and attracted people's attention, many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But most of studies were focused on the current status and satisfaction with the support project of art lectur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atisfaction with the support project of art lecturers and opinions of re-support among concerned people in the schools which had carried out the support project, together with the educational effects of dance education.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ale and female teachers' satisfaction with the dance area of art lecturers in elementary schools seemed to be high. In addition, teachers in upper grades had much interest in the dance education included in physical training activities. This finding wa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frequency analysis on concerned people's opinion of re-support for the dance area for which 83 people (84.7%) responded positively, whereas 15 people (15.3%) responded negatively. Second, as for the reason why they preferred the dance area among the support projects of art lecturers, 74 people (37.19%) responded with the answer that they wanted special lecturers to carry out the education of performance activity (dance) in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But 65 people (32.66%) responded with the answer that the support project of art lecturer was better for the development of students' emotion. Therefore, this finding seems to present the fact that teachers perceived dance to be a specialty curriculum and regarded the physical activity of dance as helpful for students' emotional development. Third, as for the opinion of dance-oriented diverse effects of education, many of them (37.19%) responded with the answer that they wanted students to learn Korean dances evenly. This finding seems to show the fact that teachers had positive opinion of domestic dance education. Unexpectedly, there were such interesting responses that it seemed to better for students to put on uniforms (sports clothes) (6.93%); it was necessary for students to fix up hair (4.395%); and it seemed to be good for students to put on Korean clothes in school hours. This finding seems to show the fact that teachers regarded students' clothes or hair as problematic.

      • 신진예술가 지원사업의 사례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연구 : 서울과 광역시 문화재단의 공연예술분야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강보배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3343

        In our country, there are now large-area regional cultural foundations and basic-zone regional cultural foundations, which were established by local government, including Seoul Cultural Foundation. These are operating foundation for development in culture and art with the facility operation, support program, regional festival, and art education. For the recent some years, number of support programs is growing in addition to the launch of many cultural foundations. Even the support programs for artists are surging. Amid this, a support program for artists is introducing an indirect support method such as fellowship system, publicity, mentoring, or spatial support with escaping from a financial support method. The emerging artists are mostly supported by being carried out the financial support in the direct support method and the indirect support side by side. However, the indirect support method is being bolstered up in the slightly simple service-based aspect. The indirect support method is in the real situation of showing the image, which is unrelated to the objective of discovering, promoting and protecting the emerging artists and of fostering autogenous power through the support program. The relevant agency needs to be proposed the more specific support method through indirect support in order to possibly become opportunity that the emerging artists can grow directly through the support progra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improvement plans and developmental plans through analyzing the present and a case of the support program for emerging artists in the performing art field, which is progressed by Seoul Cultural Foundation and the Cultural Foundations in 6 Metropolitan Cities. What will be given precedence over proceeding with continuing a program for emerging artists is, first, a point that the support program needs to be formed with more realistic method. The standard of selecting emerging artists in the process of being 'discovered' when the support program for emerging artists passes through the process of ‘discovery-promotion-realization’ runs into a problem called the entry barrier as for emerging artists. The screening process needs to be fair and to concentrate on the standard and method of evaluating ability. Also, the support method in the process of 'promotion' is happened a problem dubbed a drop in reality as saying of being probably biased only to a change in method while introducing indirect support method. Emerging artists' insufficient creative environment needs to be backed up with a realistic support system like a support program system in addition to a support program peculiar to each foundation, which reflected regional characteristic and regional feature rather than following and imitating the support system of the central government. Second, a system of a support program needs to increase the fair audition screening in the performing artists when discovering emerging artists. There will be the process of selection, which was well reflected the standard of selecting emerging artists in addition to the goal of program. Also, there is a need of supporting with the improved support system by reviving merits of direct support method and by taking advantage of strengths of indirect support method rather than being biased to one side either of direct support method or of indirect support method or imitating a method of other foundation. What strives to make it observed with well knowing the contents that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recommended 40% as the selection ratio of the support-decision case number compared to application case number in order to realize selection and concentration will be also helpful for emerging artists. The support program for emerging artists aims to back up the process of promotion, which gives help with being able to concentrate on a work with the better creation environment, and the phase of realization, which offers an opportunity of presentation, and will have the aim of expectation effect of being desired to be shown the image that emerging artists themselves develop with autogenous power hereafter. Additionally, it will offer an opportunity to citizens of enjoying culture and art and will promote development in local culture and art. The support program needs to be backed up in order not to be short of realistic creative environment infrastructure when the emerging artists perform creative activity, with maintaining the objective of this early plan. 현재 우리나라에는 서울문화재단을 비롯하여 광역권 지역문화재단과 기초자치단체에서 설립한 기초권 지역문화재단이 있으며, 이들은 시설운영, 지원사업, 지역축제, 예술교육 등으로 문화예술발전을 위해 재단을 운영하고있다. 최근 몇 년간 다수 문화재단 출범과 지원사업의 수가 늘어나고, 예술가를 위한 지원사업도 증가하는 가운데 지원사업이 재정지원방식에서 벗어나 펠로우쉽(fellowship) 시스템이나 홍보, 멘토링, 공간지원 등의 간접지원방식으로 변화되어가고 있다. 대부분 직접지원방식의 재정지원과 간접지원을 병행하여 신진예술가들을 지원하고 있지만, 간접지원방식은 다소 간소한 서비스적인 측면으로 지원되고 있다. 간접지원방식이 지원사업을 통해 신진예술가를 발굴, 육성, 보호하고, 자생력을 키우려는 목적과 무관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지원사업을 통해 신진예술가가 직접적으로 성장하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관련 기관은 간접지원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인 지원 방법이 제시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서울문화재단과 6대 광역시 문화재단에서 진행되는 공연예술 분야의 신진예술가를 위한 지원사업의 현황과 사례분석을 통해 개선방안 및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신진예술가를 위해 사업을 이어가는 것보다 우선시 되어야 할 것은 첫째, 지원사업이 보다 현실성 있는 방법으로 구성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신진예술가 지원사업이 ‘발굴-육성-실현’의 과정을 거칠 때 ‘발굴’되는 과정에서 신진예술가를 선발하는 기준은 신진예술가들이게 진입장벽이라는 문제에 부딪히며, 심사과정은 공정하고, 능력을 평가하는 기준과 방식에 집중해야한다. 또한 ‘육성’과정에서 지원방식은 간접지원 방식을 도입하면서 방식의 변화에만 치중한 것이 아닌가 하는 현실성 저하의 문제가 발생한다. 중앙의 지원제도를 따라하고 모방하기보다 지방의 특성과 지역 성격을 반영한 각 재단만의 지원사업과 지원사업의 제도로 신진예술가들의 부족한 창작환경을 현실성있는 지원제도로 뒷받침되어야 한다. 둘째, 지원사업의 제도는 신진예술가를 발굴할 때에 공연예술가에게 공평한 오디션 심사를 늘려야하며, 사업의 목표와 신진예술가를 선발하는 기준이 잘 반영된 선정과정이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직접지원 방식과 간접지원 방식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거나 타 재단의 방식을 모방하기보다 직접지원방식의 장점을 살리고, 간접지원 방식의 장점을 살려 개선된 지원방식으로 지원해야한다.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선택과 집중을 실현하기 위해 신청건수 대비 지원결정건수의 선정율을 40%로 권고한 내용을 숙지하고, 지켜질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 또한 신진예술가에게 힘이 될 것이다. 신진예술가의 지원사업은 보다 나은 창작환경으로 작품에 집중할 수 있게 도와주는 육성과정과 발표기회를 제공하는 실현단계를 지원하기 위함이며, 사후에는 신진예술가 스스로 자생력을 가지고 발전하는 모습이 보여지길 바라는 기대효과의 목적이 있을 것이다. 그 외 시민들에게 문화예술 향유의 기회를 제공하며, 지역문화예술의 발전을 증진시키는 것이 있을 것이다. 지원사업은 이러한 초기 계획에서의 목적을 유지하면서, 신진예술가들이 창작활동을 행할 때에 현실적인 창작환경 인프라가 부족하지 않게 지원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