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예비음악교사들의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교육과정 만족도 조사 : 부산·경남지역으로

        임예지아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95

        50년 역사를 통해서 많은 성장을 한 교육대학원은 우리나라의 교육발전에 많은 공헌해왔다. 교육대학원의 학생유치 경쟁은 앞으로도 더욱 치열해질 것이라는 사실과 각 교육대학원은 생존을 위해 수요자 중심의 교육의 질을 높이고 학생들에게 만족할 만한 교육을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교육에 있어 교육과정 만족도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재학생들이 수강하고자 하는 교과목을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는지, 연장선상에 이뤄지고 있는 학습 과제가 적절한지, 성적평가에 있어서 학생들이 만족하고 있는지 등의 여러 요인과 교육 만족도는 수요자들의 교육의 질적 요인에 영향을 미친다. 이에 본 연구는 부산·경남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교과과정 운영체제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미래의 교육대학원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부산·경남 4개의 음악교육전공 교육과정 만족도 조사를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분석을 통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부분의 교육대학원 재학생들은 진학동기 이유 중 교사가 되기 위해 진학했다는 답이 가장 많았으며, 교사가 되기를 희망하고 졸업 후 교사로 활동하기 원하는 학생들이 진학하는 만큼 교육대학원에서는 수요에 따른 질 높은 교육과정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부산·경남 소재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재학생들의 교과과정 운영체제에 대한 만족도 조사 분석에 의한 불만족 요인들과 그에 대한 해결책을 기초로 하여 음악교육전공 교과과정이 더욱 발전하기를 기대한다.

      • 보육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승급교육 필요성과 효과에 대한 인식 분석

        이재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이 연구는 보육교사 배경변인에 따른 승급교육 필요성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고 승급교육에 대한 효과 인식을 확인하여 보육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효과적인 보육교사 승급교육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승급교육에 대한 필요성 인식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며, 둘째,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승급교육에 대한 효과 인식 차이가 있는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이 연구는 부산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가정, 민간, 국공립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절차와 주요 연구 결과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대의 보육교사들은 다른 연령의 보육교사들에 비해, 2·3년제 대학을 졸업한 보육교사들은 4년제 또는 대학원을 졸업한 보육교사에 비하여 승급교육의 필요성이 의무적·주기적이거나 교사로서 계속 교육 과정이라고 인식하는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년 초과-4년 이하 경력을 가진 교사들은 8년 초과 경력을 가진 교사에 비하여 승급교육의 성격이 의무적·주기적이거나 교사로서 계속 교육 과정이라고 인식하는 수준이 낮은 동시에, 상급자격 취득을 위한 과정이라고 인식하는 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민간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들은 다른 근무기관 유형(국공립, 가정)에 근무하는 보육교사에 비하여 승급교육을 교사에게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라고 생각하거나 의무적·주기적인 교육, 상급자격 취득을 위한 과정이라고 인식하는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연령, 학력, 경력, 근무기관 유형에 따라 승급교육의 효과를 인식하는 수준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20대 보육교사들은 다른 연령의 보육교사들에 비해 건강·안전, 가족·지역사회 영역에서 승급교육이 실제 지도활동에서 효과가 낮았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고교를 졸업한 보육교사들은 대학원을 졸업한 보육교사에 비하여 장애·다문화, 운영실제 영역에서 승급교육이 실제 지도활동에 미치는 효과가 낮았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8년을 초과한 경력을 가진 보육교사들은 건강·안정, 장애·다문화, 가족·지역사회 영역을 다룬 승급교육이 실제 지도활동에서 효과가 높았다고 인식하였다. 마지막으로 민간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들은 인성·소양, 장애·다문화 영역의 승급교육이 실제 지도활동에서 효과가 낮았다고 인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승급교육의 대상인 보육교사들의 배경변인을 고려하여 승급교육의 내용과 구성을 재검토하고, 효과적인 승급교육 방안을 도출해야 함을 시사한다.

      • 정보 기술의 변화에 따른 상업 교육의 발전 방향

        최진상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 기술의 발전 과정과 정보 기술의 활용 범위 및 정보 기술의 발전 동향을 살펴보고 분석하여, 상업계 고둥학교의 상업 교육의 3요소인 교사, 교육 시설, 교육 과정의 현황 중에서 정보 기술과 관련된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정보 기술의 변화에 따른 컴퓨터의 이용과 관련하여 기업의 요구와 상업 교육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 개선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상업 교육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상업계 고등학교의 정보 기술과 관련된 내용으로 한정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주로 활용된 연구 방법은 문헌 분석 방법이었다. 정보 기술에 대한 각종 관련 서적과 논문집 등을 토대로 논리를 전개하였으며 상업계 고등학교의 교육 과정에 대한 연구물, 그와 관련된 저서, 연구 보고서, 논문, 각종 정기 간행물 등과 일선 상업계 고둥학교와 그 밖의 컴퓨터 교육 현장을 탐방하여 수집한 자료들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상업 교육의 발전 방향은 다음과 같다. 1) 현 상업계 고등학교의 학과를 상업 정보과, 전산 회계과, 무역 실무과 등으로 변경 설치 운영한다. 2) 현재 공동 필수 과목으로 되어 있는 전자 계산 일반 과목 외에 전자 계산 실무를 공동 필수 교과목으로 하며 다양한 응용 프로 그램 패키지 활용 교육이 필요하다. 3) 정보 기술 관련 교과목의 내용은 실무에 적합하면서 학생들에게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평이한 수준으로 수정·개편해야 한다. 4) 정보 기술 관련 교과의 이수 단위를 늘려 학생들이 충분한 실습을 할 수 있어야 한다. 5) 정보 기술 관련 과목 담당 교사들의 근무 여건 향상과 처우 개선이 뒤따라야 한다. 6) 정보 기술 잔련 과목 담당 교사를 양성하기 위해 사범 대학 내에 컴퓨터 교육학과를 증설하고 일반 대학의 정보 기술 관련 학과에 교직 과정을 확대하여야 한다. 7) 정보 기술 관련 과목 상치 교사 문제 해소를 위한 부전공 자격 연수와 정보 기술 관련 담당 교사 전원이 일반 연수를 받을 수 있도록 연수 기회가 확대되어야 한다. 8) 정보 기술 관련 실습실과 시설의 확충이 시급하다. 컴퓨터 기종이 상위 기종으로 바뀌어야 하며 멀티 미디이실 확보를 위한 행정적,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9) 교육용 소프트웨어의 개발과 보급 및 상업용 응용 소프트웨어의 치원이 필요하다. 10) 상업계 고등학교의 정보 기술 관련 교육 과정 운영은 컴퓨터 이용에 관한 실무와 OA 과정 등의 활용 방안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11) 정보 기술 관련 자격증을 취득한 학생들의 취업 기회 우선권 보장을 위해 제도적 뒷받침이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상업계 고등학교 상업 교육의 발전 방향으로 정보 기술 관련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훌륭한 자질을 갖춘 교사, 잘 짜여진 교육과정, 양호한 실습 시설을 갖춘 환경에서 정보 기술 관련 교육이 효과적으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앞으로 기업이 요구하는 정보 기술 활용 능력을 갖춘 양질의 인력 양성을 위해서 상업계 고둥학교 상업 교육 내용의 구체적 방안이 향후 계속 연구되어야 하겠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ise the development schemes or directions of commerce education following the change of information technology through the identification of some problem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ustrial demands and commerce education in the field.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were analyzed : development process, application ranges and development trends of information technology as well as the contents concerned with information technology among the three factors of commerce education at commercial high schools (teachers, educational facilities, and the curriculum). The main method applied for this research was the analysis of the concerned literature. On the basis of various technical books, treatises, reports, periodicals and so forth, the researcher paid a visit to several commercial high schools and actual computer education training scenes to collect the necessary data and develop pertinent discussion. As a result, the following schemes for the development of commerce education were obtained : 1) The departments of the current commercial high schools should be changed into those of commercial information, computer accounting, and trade business. 2) Besides the school subject of general computation, practical computation should be included as a common required course for the education of diverse applied program packages. 3) Those subjects in relation to information technology should be practically revised so as to arouse students' interest. 4) The class units of those technology-concerned courses should be extended to guarantee enough practice for individual students. 5) The improvement of work and wage conditions of the teachers responsible for those courses is a must. 6) For the supply of well-qualified manpower, teachers' colleges should establish even more computer-related departments while general universities should extend teacher-education programs. 7) Far more chances of education either for minor qualifications or general training should be soon allowed to the technology-related teachers. 8) It is very urgent to expand the technology-oriented labs and facilities by securing som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to upgrade the computers and prepare a multimedia room among others. 9) The development of some educational software and the supply of lots of applied commercial software are recommended. 10) The curriculum of information technology-related education should be focused on the acquisition of computer operation and OA techniques. 11) The adequate support of social system should be followed to ensure the employment of the certificate obtainers. With the desirable guidelines outlined above, information technology-concerned education will hopefully bear a fruit in the excellent educational environment with superior teachers, the well organized curriculum and well-furnished training labs. Further research on concrete proposals is also required.

      • 부산 소재 대학 성악교육의 교육과정 연구

        박혜진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49663

        1997년 우리사회의 각 분야가 1993년 우루과이 라운드 협상 타결로 개방의 일로에 들어서면서 교육도 예외일 수 없는 상황을 맞이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아래 우리의 음악 대학 교육도 음악적 경쟁력과 교육 질적 향상을 위해 교육과정의 진단을 해보아야 할 필요성이 발생해 우리 전문 음악교육기관인 대학에서 성악 교육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보다 바람직한 성악교육과정을 제시 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연구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요약되었다. 첫째, 좀 더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교육과정을 편성해야 한다. 둘째, 다양한 교과 과정을 제시해야 한다. 셋째, 전공실기의 비중을 늘려야 한다. 넷째, 과목의 전문성을 지향해야 한다. 다섯째, 학생의 보다 많은 연주회 참여로 교육적 경험을 함양하게 해야 한다. 여섯째, 교육과정에서의 과목선택을 신중하고, 면밀하게 편성해야 한다. 이러한 결혼으로 우리의 성악교육은 유능한 음악가와 음악 교육가를 양성하는데 보다 전문적이고 실질적인 과목을 교육 과정에 도입하여야 한다. According to the opened way of our every field of society by the Urug-uay round negotiation settlement in 1993, Our education also can be confronted to enter the way of openness. Under such circumstances, Our education of the college of music, also arised its necessity for the diagnosis of course of study and for qualitative elevation of music education and musical competitive power and in order improve and resolve educational institution's point at issues, and as an object to suggest derivable vocal music education, the study summarized its contents as follows : First : A little more shall organize systematic and by stages of course of study. Second : There must present various the course of study. Third :There must expand exclusive practical technique. Fourth : There must aspire. Specialty of the subject. Fifth : There must build up educational experience by the participation at recital more for the students. Sixth : There must organize the selection of subject as prudent and minutely. with this convulsion, our vocal music education must induce professional and practical subject to cultivate capable musicians and music educators.

      • 음악교육 관련 웹사이트 연구

        박지혜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21세기는 급속히 변화하는 고도정보화사회이다. 이에 맞는 사회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교육방법에도 변화가 생겼다. 이는 학습자 스스로가 자신의 필요와 욕구가 무엇인지 판단하여 필요한 정보를 선택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중시하는 것으로, 오늘날 학교 교육 현장은 종래의 교사 중심 주입식 암기 위주의 학습에서 탈피하여 수업에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고 있다. 특히 컴퓨터의 급속한 발달과 다양한 이용 방법으로 인하여 교육의 정보화, 세계화는 매우 빠르게 진행되어 가고 있다. 사회 전반에 걸쳐 확산되고 있는 정보화의 물결 속에 핵심으로 부상하고 있는 것이 인터넷이다. 흔히 정보의 바다라고 일컬어지는 인터넷은 평생교육, 열린 교육, 수요자 중심의 교육으로 대변되는 현대사회의 교육에 많은 가능성을 제시해 주고 있으며, 특히, 근래에 들어 인터넷의 웹을 교수- 학습 상황에 활용하는 웹기반 수업이 강조되고 있다. 음악교육 분야에 있어서도 음악 학습과정의 일부영역과 과정에서 인터넷을 이용하여 교육적 가능성을 최대한 반영하고 있으며, 그 매체의 실용성을 활용하여 음악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인터넷 상에는 음악교육 관련 웹사이트들이 무수히 많으며, 음악가, 음악사, 악기, 감상곡 등 방대한 양의 사이트가 조직화 되어 제공된다. 그러나 이러한 사이트들 전부가 교육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이에 본 연구는 음악교육 관련 사이트들을 검색하여 분류하고 그 검색 결과를 분석하여 현재 음악교육 관련 웹사이트들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 문헌을 통해 웹의 개념, 웹을 활용한 교육, 웹을 활용한 음악교육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음악교육 관련 사이트를 찾기 위해서 대표적인 한글 검색엔진인 엠파스, 네이버, 야후 코리아를 이용하였고, 검색어는 '음악교육', '음악사', '음악이론', '기악', '성악', '국악'으로 제한하였다. 검색된 결과를 주된 내용에 따라 유아음악교육, 초등음악교육, 중등음악교육, 대학교 학과 및 부설기관 홈페이지, 컴퓨터음악 및 실용음악, 교회음악, 기악, 성악, 국악, 음악치료 ,음악교육가 및 음악교육협회, 음악교육 종합 사이트, 음악교육 관련 매체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방대한 양의 음악교육 관련 웹사이트들이 존재하고 있으나, 이들 사이트들의 보다 전문적이고, 조직적인 분류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었다. 수많은 인터넷 음악교육 관련 사이트 중에서 규모가 작아서 지속적인 존속여부가 불투명한 사이트나 특정목적으로 잠시 만든 사이트, 내용이 부실하거나 새로운 내용의 갱신이 없는 사이트 등을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음악교육 포탈 사이트가 제작되어 정보화 시대에 걸맞는 음악교육이 이루어지기를 바라고, 앞으로 보다 나은 방향으로 웹사이트가 구성되어 교사와 학생에게 음악교육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본 연구가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한다. The 21st century is a rapidly changing, highly advanced information- orientation society. To meet some social demands raised by the society, educational system is changing now. In other words, it is being considered important that learners determine their own needs and demands by themselves and select and use necessary information for themselves. Today the field of school education is utilizing a variety of media avoiding teacher-oriented, cramming education. The rapid development and various applications of computer allow music to be rapidly information-oriented and globalized. Under information-orientation that is prevailing throughout our society, the key is the Internet. Often called as the ocean of information, the Internet provide many possibilities of modern society education which is characterized by lifelong education, open education and demander-oriented education. Recently, web-based classes in which the Internet web is used for teaching-learning situation are emphasized. Also in music education, the Internet is being utilized for some parts and procedures of music learning, reflecting its educational possibility to the utmost and raising the effectiveness of music education. There a number of sites related to music education on the Internet. Such sites provide an enormous quantity of information about musicians, music history, musical instruments and songs for appreciation. But all of them are not positive educationally.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raise the effectiveness of music education by searching and classifying music education-related sites, analyzing results of the searching and determining problems of the sites and looking for ways of improving the problems.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first reviewed and discussed the concept of web, web-based education and web-based music education. To look for music education-related sites, main search engines in Korean language, Empas, Naver and Yahoo Korea were used. Words for search were restricted to 'music education', 'music history', 'music theory', 'instrumental music', 'vocal music' and 'Korean classical music'. Data obtained from searching the sites were classified in terms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elementary music education, middle music education, music college and its home page, computer music and practical music, church music, instrumental music, vocal music, Korean classical music, music therapy, music educators, Music Education Association and the total site of music education and media related to music education.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re are numerous sites of music education on the Internet, but they are not properly and systematically classified. To keep pace with the era of information-orientation, music education should be supported by a portal site that manages other sites which are difficult or unclear to be sustained, created temporarily for a particular purpose and not updated and which provide inappropriate information.

      • 工業高等學校 實驗ㆍ實習 敎育 實態 調査 및 改善方案 硏究

        유영호 東亞大學校 敎育大學院 1995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공업고등학교 교육의 중핵이 되는 실험·실습 교육의 실태를 조사·분석하고 그 문제점들을 도출하여 보다 내실 있는 공고 실험·실습 교육을 위한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문헌 연구와 전국 118개교 공고 실과 교사 67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응답자 95개교 511명(회수율 75.4%)의 응답 내용을 분석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실험·실습 시설·설비 기준령은 실험·실습 내용과 일치하고 급속히 변화하는 산업체의 시설·설비와 관련 있는 설비를 선정하여 개정되어야 하고 실험·실습 시설·설비의 확충 및 산업체 수준에 대응하는 첨단 실험·실습 장비의 확보와 실험·실습비의 현실화를 위해 정부에서 공고에 대폭적인 행·재정적 지원을 하여야 한다. 아울러 모든 공고를 설립별 구별 없이 투자 육성하여 시설의 평준화가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2. 기능사 자격 검정에 치중하는 실험·실습 운영을 과감히 탈피하여 실험·실습 교육의 정상화를 이룰 수 있도록 기능 검정 내용을 산업 현장의 표준 작업기준에 맞추어 주기적으로 개편하고 이를 공고 교육과정에 반영함으로써, 정상적인 공고 교육과정을 이수한 일정 수준의 공고생들에게는 무시험 검정으로 학교장이 해당 전공 과목의 자격증을 수여하는 제도적 방안이 필요하다. 3. 다양한 기술·기능을 내포한 실험·실습 과제를 개발 보급하고 전학년을 대상으로 분반 실습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실과 교사 증원 및 시설의 확충이 필요하다. 4. 우수한 학생들을 공고에 확보하기 위하여는 기능 인력 우대 정책 실시 및 전문대학과 산업·공업대학에 공고 졸업자나 산업체 근로자가 입학할 수 있는 비율을 대폭 상향 조정하고 일반 공과 대학에도 전학할 수 있는 특혜 제도를 마련하여 우수한 공고생의 계속 교육 기회를 확대하는 등의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5. 공고 실과 교사의 산업체 연수를 마련하여 3-5년마다 받을 수 있도록 제도화하고 산업체 기술자와 실과 교사와의 1-2년 기간으로 교환 근무 제도를 마련할 필요가 있으며 최신 기술 정보와 신기술 교육 자료를 발간 보급하고 공고 실과 교원 전담 양성 및 연수 기관의 설립과 공고 실과 교사를 공업 선진국으로 파견하여 일정 기관 연수를 받도록 제도화하여야 한다. 6. 전문 교과의 교육과정 및 전문 교과서를 개발할 때에는 반드시 산업체 요구분석 및 직무 분석을 정기적으로 실시하여 산업체의 기술 변화에 대응하는 현장 직무 기능을 선정하고 이것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편성, 운영하고 학생들의 학습 능력과 태도를 고려하여 학생 수준에 적합하게 학습 지도 방법 및 교재가 개발되어야 한다. 7. 실험·실습 시설·설비를 관리하고 실험·실습을 보조할 수 있는 시설 관리 보수 담당 기능직을 임명하고 사용 빈도가 적고 고가인 첨단 기자재의 실험·실습을 위해 공업계 고등학교 공동 실습소를 지역별, 계열별로 증설하여 운영을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산업체에서 기자재를 무상으로 대여 및 기증할 수 있도록 제도화 하며, 리스(lease)제도의 도입 방안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The education system of technical high school needs reconsideration about practice classes to bring up the faculty and equipment to be adaptable in industrial fields.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status of practice class in technical high school and propose a possible improved practice class program. The research is done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questionnaire. The results axe as follows. 1. The standard for training equipment in practice class is to be revised toward corresponding with contents of industrial company which is rapidly changing. The government should support lower financial ability of technical high school to be equalized about equipment with industries. 2. It is necessary that students completed from regular technical. high school curriculum should be given license without any examinations. 3. It ought to be arbitrated for the graduate of technical high school to be able to enter a polytechnical college and be enforced a privilege to enter a regular engineering college. It is necessary to give a chance to the excellent students from the technical high school taking a higher education without interruption. 4. It is to be institutionalized for practice course teachers to join a training program in well advanced countries to strengthen international competition. 5. Special curriculum ought to be improved toward being able to correspond to industrial skill exchange and considering students and faculty. 6. It is to be increased the public experimental place in technical high school by regional groups or partial groups to use expensive equipment. A lease system is necessary to be examined.

      • 북한음악관련 한국 석·박사학위 논문의 총람 및 내용분석

        김현주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논문은 북한음악관련 논문들을 정리·분석함으로써 앞으로 이 분야의 연구자들에게 체계적인 정보를 주어 논제선정과 북한음악의 새로운 연구 방향을 제시해주는데 필요성과 목적이 있다. 북한음악 전체를 대상으로 하였으나 특히 음악교육에 중심을 두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북한음악관련 37편의 논문을 외형적으로 분석하고, 그 중 북한음악교육에 관련된 30편의 논문을 내용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형적 분석에서 지역별로는 서울에서 연구된 논문이 67.7%로 가장 많았고, 대학은 성신여대가 13.5%로 가장 많은 논문을 발표하였다. 내용은 교과서 분석 59.4%, 음악교육 관련 연구가 24.3% 그리고 기타 16.3%로 교과서 분석에 지나치게 치우쳐 있었다. 연구 대상은 인민학교가 35.1%, 고등중학교가 40.5%로 고르게 연구되었다. 둘째, 내용적 분석은 음악교육 분야와 교과서 분석 분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음악교육 분야를 연구한 8편의 논문은 교육과정·교육제도·교육실태·제안으로서의 통일교육방안 연구로 분류하였다. 북한의 교육은 사회주의 건설에 매진할 수 있는 공산주의자를 양성하는데 목표를 두고 교육과정을 제6차까지 개편하였다. 또한 11년의 기본학제와는 별도로 각종 특수학교를 설치하고 예·체능분야의 특기교육과 출신성분에 의거한 특수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음악교수형태는 개별교수·앙상블교수·전공실습·현실체험 등의 교수형태가 있으며, 교육방법에는 깨우쳐주는 교수방법, 예술이론과 전공실시교육 및 창조·실천·활동의 결합, 학교교육과 가정교육의 배합, 조직생활의 강화 등의 방법이 있다. 여기서 알 수 있는 사실은 음악가를 양성하기 위한 북한의 음악예술교육은 그 목표부터 우리의 음악교육과는 다르게 설정되어 있으며, 교육내용과 교육방법에서 우리와 많은 차이점이 있다는 것이다. 교과서 분석 분야의 연구는 인민학교 10편과 고등중학교 12편이 있었다. 교과서 분석은 크게 가창·기악·창작·시창으로 분류하고, 교재구성·영역별 분류·내용 분석·외형 분석·작사자·작곡자·음악용어 비교 등을 중심으로 연구되었다. 이상과 같이 북한음악관련 논문 37편을 외형적·내용적으로 살펴본 결과, 북한음악에 관한 연구는 자료의 한계 때문인지 유사한 방법의 연구가 계속 이루어지고 있었고, 심지어 내용이 대동소이한 논문도 있었다. 이 연구가 앞으로 북한음악 분야를 연구하는 연구자들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여 북한음악교과서 분석이라는 한계에서 벗어나 좀 더 다양한 주제의 연구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researchers with a systematic information of North Koran music through reviewing and analyzing theses about the music, proposing new directions in researching North Korean music and determining main subjects of the research.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analyzed characteristics of 37 theses about North Korean music apparently. Out of the total theses, then, 30 which discuss the music education of North Korea were processed through content analysis. Results of the study can be described as follows. First, out of the 37 theses whose apparent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here, 67.7% were presented in Seoul and 13.5% of the presentations were made by Sungshin Women's University, more than any others located in the same city. Out of the total theses, 59.4% focused on the review of North Korean music textbooks, followed by 24.3%, the music education of North Korea and 16.3%, others. Among the analyzed textbooks, 35.1% wer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40.5% for middle and high school ones. Second, for their content analysis, the 30 theses about the music education of North Korea were classified here into two groups, those of music education and textbook analysis. The former group contained 8 theses which were herein regarded studies about ways of unified education focusing on the curriculum, system, status and suggestions of North Korean music education. While the latter consisted of 12 theses analyzing North Korean music textbooks for the elementary school level and 12, middle and high school levels. These results show that studies regarding North Korean music have continued and now still continue. Finally the researcher hopes that the study provide researchers an accurate information of North Korean music and thereon helps them study North Korean music in various aspects rather than restricting themselves to the analysis of the music textbooks.

      • 중등음악교원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연구 : 사범대학 음악교육과를 중심으로

        우수정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What teachers, immature beings(students) and helping to grow a mature presence, thereby to promote social development is an education specialist. Colleges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especially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through the training courses that are equivalent to a teacher's license is obtained by taking. Further country. If a public secondary school teachers since 1991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e teacher employment exam will be spent on education. Throughout adolescence, encompassing the knowledge and education in secondary education, the ratio of teachers to field a very large and important role. Such as the severity of these courses are also higher level of perfection no doubt. If the field of music is no exception. In this study, the current College of Music Education with analysis of the current state of music education courses. By studying the future, rational and effective curriculum seeks to what is aimed at. In this study, the first teacher-training and employment system in Korea, and the 7th revision of secondary education, and employment assessment test, the field of secondary school music teachers and music status for employment in the process of apoptosis was investigated. Then, secondary school teachers, this study of type 10 finalists for the purpose of the discharge of Music Education Teachers College, 34 College non-teaching courses, and graduate music education majors, including 50 training courses were discussed comprehensively. Specifically, this study of 10 colleges of music education and training courses 'curriculum revision 7' and 'employment assessment test' based on analysis of the key challenges and made things. College of Education with the current music education curriculum analysis, the following issues were pointed out. The low proportion of academic disciplines, the first point, the second 'Teaching subjects' limited the point of the Hours, traditional music low percentage points of the third, fourth, and world folk music history class on the Orient have no points, fifth in the music media and computer music is not essential for the class and it is the point. Improve these problems, and to complement the secondary school music teachers for the next series of training courses can be granted some degree of rationality and efficiency should be considered. 교원이란, 미성숙한 존재(학생)를 성숙한 존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고, 이로써 사회발전을 도모하고자 하는 교육전문가이다. 특히 고등교육기관인 사범대학을 통해 양성되는 중등학교 교원은 이에 상응하는 교육과정을 이수함으로써 교원자격증을 획득하게 된다. 나아가 국․공립 중등학교 교원의 경우 1991년부터 시행되는 교원임용고사를 거쳐 교육현장에 투입된다. 청소년기의 지식과 교양을 두루 아우르는 중등교육에 있어서 현장 교원의 비중과 역할이 대단히 크고 중요하다. 그런 만큼 이들의 교육과정 또한 엄격하고 수준 높아야 함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이는 음악분야의 경우도 결코 예외가 아니다. 이에 본 연구는 현행 사범대학 음악교육과 교육과정의 현황을 분석․연구함으로써 향후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교육과정이 무엇인지를 모색해 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먼저 한국의 교원양성과 임용제도, 그리고 개정 제7차 중등교육과정과 임용고사 평가기준, 중등음악교원 양성현황과 음악분야 임용고사의 절차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 중에서, 중등음악교원 양성현황 분야는 중등교원 자격자를 배출하는 목적형의 10개 사범대학 음악교육과, 34개의 비 사범대학 교직과정, 그리고 50개의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의 양성현황을 제시하였다. 특히 이 연구는 10개의 사범대학 음악교육과 교육과정을 ‘개정 7차 교육과정’과 ‘임용고사 평가내용’에 의거, 분석하는 것을 핵심적인 연구과제로 삼았다. 현행 사범대학 음악교육과의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첫째 교과교육학의 비중이 낮다는 점, 둘째 ‘교과교재 연구 및 지도 법’의 시 수가 제한적이라는 점, 셋째 국악의 비중이 낮다는 점, 넷째 동양음악사와 세계민요에 관한 수업이 없다는 점, 다섯째 음악매체와 컴퓨터음악에 대한 수업이 필수적이지 않다는 점 등이 그것이다. 이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 보완하는 것은 향후 중등음악교원 양성을 위한 일련의 교육과정에 어느 정도 합리성과 효율성을 부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중등학교 융합형 디자인교육 방안연구

        이채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63

        중등학교 융합형 디자인교육 방안연구 A Study on the Research for Education Plan of Focused on Design in Secondary Schools 디자인․공예교육전공 이 채 희 지 도 교 수 하 상 오 지식을 기반으로 하는 정보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중등교육은 과학, 기술, 예술 등 학문 간의 융합을 통해 다양성과 전문성을 조화시킬 수 있는 능력 계발학습의 필요성에 직면해 있으며, 디자인 학계도 이에 관련한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그러나 융합교육과 관련한 중등 디자인교육의 학교 현장은 일부 시범적으로 시행하고는 있으나, 미술과 교사들의 융합교육에 대한 이해 그리고 전문교사의 부족으로 교과내용 및 교육프로그램 등의 완성도가 미흡한 실정이다. 현재 융합을 통한 중등 미술교육은 대체로 과학과 수학을 중심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예술과 다른 학문분야와의 융합은 아직 적극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와 같은 배경은 안정적 융합 교육의 정착을 위해서 현행 미술 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습내용에 대한 변화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 2009년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융합 디자인 관련 교육은 거의 시행되지 않고 있으며, 미술교과서 내용 또한 융합 디자인과 관련된 부분은 극히 미미하였다. 이것은 아직 중등학교 미술과 교사들의 융합디자인에 대한 이해의 부족 그리고 전문교사의 부족으로 교육현장에 적용하기 어려운 질적․양적 문제에 직면해 있다는 의미이다. 이와 관련하여 일부학교에서 시범 시행되는 주제(프로젝트)중심의 디자인교육은 융합디자인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참고사례가 되고 있다. 외국의 경우는 미국과 영국을 제외하고 별도로 융합교육이라는 명칭은 사용하지 않고 있으며, 미국과 영국의 경우도 ‘주제 중점별 융합디자인 교육’이 주를 이루었다. 특히 일본과 싱가포르의 디자인 교육은 디자인 기초학습에 관한 ‘조형교육’과 ‘문제해결 능력’을 중시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외국 사례를 비교분석해 본 바, 사교육과 입시위주의 파행적 교육 상황 등에 비추어 볼 때, 미국과 영국의 ‘주제중점별 융합디자인 교육’은 방과 후 학습 및 동아리 활동학습이 우리나라에 적합하고, 일본과 싱가포르는 ‘기초 조형교육과 문제해결 중점 교육’이 정규 중등교육 융합디자인 교육 모델로 우리의 교육현실에 적용 가능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융합디자인 교과 내용과 연계과목 등은 실제 교육의 연구 분석이 동반된 이론전개가 필요하므로 다음 연구과제로 남긴다. 주요어 : 융합형, 디자인, 융합디자인교육, 교육과정, 미술교육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