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용예술강사지원사업의 연구현황 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 연구

        박유진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예술강사지원 사업 중 무용 분야에 집중하여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자료를 토대로 연구 현황을 분석하고, 그동안 제기된 문제점을 종합적으로 고찰함으로써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종합적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요약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방법별 영역에서 연구방법에 따른 실제적 방안이 제시되었으나, 지속 가능한 사례 분석을 통한 무용예술강사사업의 발정 방안을 모새학 한 연구는 미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무용분야 예술강사지원사업의 연구모형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무용술강사지원사업의 연구에 적합한 분석틀을 개발하여 예술강사지원사업의 연구 현황을 일관성 있게 살펴보고 무용분야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지속적인 분석의 시도가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셋째, 무용분야의 예술강사지원사업은 일자리 창출로 인한 취업의 기회를 제공하였으나, 고용불안의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온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무용분야 예술강사지원사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책적·제도적인 개선을 통한 재정적 측면의 지속적 성장을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무용예술강사지원사업의 문제점을 분석한 결과, 단계별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무용분야 예술강사지원사업은 전문성을 바탕으로 창의적이고, 새롭고 다양한 교육활동을 개발하고 실천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를 토대로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시키고, 더욱 체계적이고 내실 있는 무용수업의 기반을 마련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이론과 연구 결과가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되고 개선될 수 있도록 무용예술강사와 학교담당교사들간의 협력 장치 마련과 함께 무용수업에 관한 인식개선을 통한 연수 기회가 제공되어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향후 무용예술강사지원사업의 개선 방안을 고찰하는 것으로 향후 무용예술강사지원사업의 양적성장 뿐 아니라 질적 성장을 도모를 위한 기초자료로서의 연구의 의의가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o vitalize the plan to support art instructors in the field of dance by analyzing the state of research into it based on the materials of earlier studies and through a comprehensive consideration of the problems raised about it. On the basis of the overall findings of the study, the following summarized conclusion was reached: First, as for the state of studies by research method, these studies suggested different practical ways of developing the plan depending on their research methods, but not many studies have ever explored how to step up the development of the plan for dance art lecturers by making a sustainable case analysis. In the future, research efforts should be directed into the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a research model for the support plan for art instructors in the field of dance. Second, an analysis framework that is suitable for research into the support plan for dance art instructors should be developed to inquiry into the state of research into the support plan for art instructors in a consistent manner, and an attempt to analyze how to vitalize the plan on a continual basis seems to be necessary. Third, the support plan for art instructors in the field of dance provided the opportunity for employment by creating jobs, but it's constantly pointed out that there is a problem with it in terms of job insecurity. Therefore in order to dynamize the support plan for art instructors in the area of dance, politic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s should be made in an effort to ensure a sustained increase in finance.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whether there was anything wrong with the support plan for dance art instructors, the development of various differentiated, level-based programs is required. In addition, a variety of professional, creative and novel educational activities should be developed and conducted. These activities are necessary to ignite the interest of students and to lay more systematic and solid groundwork for dance instructions. Finally, it's necessary to take measures to encourage cooperation between dance art instructors and school teachers in charge to apply diverse theories and the findings of studies to the education sector to improve it, and they should be given the opportunity to undergo training to change the way they look at dance instructions. Thus, this study attempted to consider how to improve the support plan for dance art instructors in the future, and it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offered basic data on how to facilitate the growth of the support plan both in quantity and quality. Keywords: school dance, dance education, dance art instructor, the support plan for art instructors, the support plan for dance art instructors.

      • Mckim의 시각적 사고 전략에 기초한 미술 감상 프로그램 개발

        박유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Visual thinking is an integrated concept of perception and thinking, which is a cognitive process that utilizes visual images to process information. Visual thinking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reation and appreciation of art because it is a process of exploration, speculation, and verification, rather than just looking at images. In this study, Mckim's visual thinking strategies, which proposed various approaches to activating visual thinking, was applied to art appreciation. As a new method of teaching is being tried, it is aimed at identifying how appreciation of art based on Mckim's visual thinking strategies affect the student’s interpretation of art works. The specific research problem is as follows. First, Mckim's visual thinking strategies look at the possibility of applying it to art appreciation education. Second, the art appreciation program based on Mckim's visual thinking strategies analyzes the effect that the student has on making the meaning of art work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problems, through the study of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of visual thinking, Mckim’s visual thinking strategies, the education of art appreciation and the review of prior studies, art appreciation program by using Mckim’s visual thinking strategies was developed and applied. Appreciation of art by using Mckim's visual thinking strategies enable student to use visual thinking skillfully to actively explore, select, solve, and identify the core of art work. In addition, an extended appreciation, which alters the original image or recalls another image, is a process of appreciation of the original art works, and it makes student to make creative and sensitive meaning. Based on these theoretical considerations, I came up with an art appreciation program by using Mckim's visual thinking strategies. First, I developed art appreciation program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methods of six strategies, including Abstract, Concretize, Modify, Manipulate, Transform, and Timescan, and suggested the appropriate types of art works for each strategy. Afterwards, it was divided in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programs to explore and improve the art appreciation activities it developed. The first program was focused on pop art works at M Contemporary Art Museum, the second e program focused on modern and contemporary art works of Samsung Leeum Museum, and the third program was designed to appreciate art in the classroom. The program's effectiveness could be checked by analyzing the work sheet, recordings, comments, photos, interviews, and research journals collected during the program.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outcomes of activities, the conclusions reached through the art appreciation program by using Mckim's visual thinking strategie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gram confirmed that students made their own meaning of art work without being bound by traditional theories. Second, by developing an art appreciation program based on a Mckim’s visual thinking strategies, the approach to art works was diversified and structured. Third, the program showed that students became interested in appreciation and confident in self-directed appreciation. Finally, new ways of art museum education were proposed. An art appreciation program based on Mckim's visual thinking strategies allow the students to learn how to appreciate art and to voluntarily choose and appreciate it. Thus, the art appreciation program by using Mckim's visual thinking strategies enabled the student to make their own meaning of art work and provide a diverse and structured approach to art appreciation education. In addition, it has raised the students’ interest and confidence in self-directed appreciation, and, by extension, suggested a new way of education for the art museum. 시각적 사고(Visual Thinking)란 지각(perception)과 사고(Thinking)가 통합된 개념으로 시각적 이미지를 활용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인지적 과정이라 할 수 있다(이모영, 2013). 시각적 사고는 이미지를 단순히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탐색, 추측, 검증하는 추론의 과정이라 할 수 있기 때문에 미술의 창조와 감상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시각적 사고를 활성화시키는 다양한 접근법인 Mckim의 시각적 사고 전략(Visual-Thinking strategies)을 미술 감상에 적용하여 감상자의 작품의 의미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 것이다. 새로운 교수법의 시도인 만큼 Mckim의 시각적 사고 전략에 기초한 미술 감상이 학생들의 작품 의미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삼되 학생들의 미술 감상 과정이나 태도에도 전반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행연구(Action research)의 방법으로 파악하였다. 그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Mckim의 시각적 사고 전략을 미술 감상 교육에 적용할 가능성을 고찰한다. 둘째, Mckim의 시각적 사고 전략에 기초한 미술 감상 프로그램이 감상자가 작품의 의미를 형성하는데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상기 연구 문제에 기초하여 시각적 사고, Mckim의 시각적 사고 전략, 미술 감상 교육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함께 시각적 사고 및 Mckim의 시각적 사고 전략을 교육 현장에 활용한 선행 연구의 검토를 통해 미술 감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Mckim의 시각적 사고 전략에 기초한 미술 감상은 시각적 사고를 능숙하게 사용하도록 하여 수동적인 작품 감상에서 벗어나 능동적으로 탐색하고 선택, 핵심 파악, 추상화, 관계 파악, 문제 해결, 종합, 분리, 비교 등의 인지적 조작을 거치도록 하여 작품의 의미를 형성하는데 유의미하다. 또한 원작의 이미지를 변형하거나 다른 이미지를 떠올리는 확장적인 감상 역시 원작을 이해하는 과정으로 볼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감상자의 주체적인 활동과 사고를 동반하는 감상은 감상자가 독자적이고 창조적이며 감각적인 의미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Mckim의 시각적 사고 전략에 기초한 미술 감상 프로그램을 구상해 보았다. 우선 추상(Strategy Abstract), 구체(Strategy Concretize), 수정(Strategy Modify), 조작(Strategy Manipulate), 변형(Strategy Transform), 시간탐지(Strategy Timescan)의 여섯 가지 전략의 특성과 방법에 기초하여 미술 감상 활동을 개발하고 각 전략에 기초하여 감상하기에 적절한 작품의 유형 및 예시를 제시하였다. 이후 개발한 미술 감상 활동을 반성적으로 탐구하고 개선해 나가는 실행 연구의 방법으로 진행하였으며 1차, 2차, 3차 실행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계획하였다. 1차 실행 프로그램은 M 컨템포러리 미술관에서 팝아트 작품을 중심으로, 2차 실행프로그램은 삼성 리움 미술관의 근현대 미술 작품을 중심으로, 3차 실행 프로그램은 교실에서 다양한 양식의 작품을 감상하는 것을 중심으로 하였으며 세부 프로그램별로 3차시, 3차시, 5차시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 진행 과정에서 수집한 감상 활동지, 발화 녹취, 소감문, 사진, 관찰 기록, 면담, 연구 일지 등의 자료를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해볼 수 있었다. 학습 활동의 결과물들을 비교 및 분석한 결과, Mckim의 시각적 사고 전략에 기초한 미술 감상 프로그램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이 기존의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자신만의 독자적인 작품의 의미를 형성하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변형 전략에 기초한 감상 활동은 이야기를 상상하고 꾸미기를 좋아하는 초등학교 학생의 작품 해석 특성에 부합하여 초등학교 미술 교육 현장에서 가장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시각적 사고 전략에 기초한 미술 감상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작품에 대한 접근 방식을 다양화 및 체계화하였다. 학생들은 Mckim의 시각적 사고 전략에 기초하여 감상함으로써 형식적 특성의 발견, 형식적 특성과 주제와의 관련성 발견, 개인적인 의미부여 및 작가의 의도 파악에 대한 욕구, 개인적 경험 떠올리기 등의 다양한 반응을 확장하며 작품과 관계 맺었다. 또한 본 프로그램은 그동안 광범위하게 연구되어 오던 감상 방법을 Mckim의 여섯 가지 시각적 사고 전략에 기초하여 체계화하였다. 셋째, 본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이 감상에 흥미를 느끼고 자기 주도적인 감상에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율적으로 전략을 선택하고 전략을 통해 일어나는 다양한 종류의 사고는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였으며 전략을 통해 스스로 작품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게 하였다. 마지막으로 미술관 교육의 새로운 방안을 제시하였다. Mckim의 시각적 사고 전략에 기초한 미술 감상 프로그램은 감상자가 미술 감상 방법을 익힐 수 있도록 하며 자발적으로 전략을 선택하여 감상하도록 한다. 이러한 측면은 스스로 탐구하는 방법을 익히는 것과 자율적으로 학습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기는 미술관 교육에 새로운 방안이 되기에 충분하다. Mckim의 시각적 사고 전략에 기초한 미술 감상 교육은 감상자에게 독자적인 작품의 의미 형성을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미술 감상 교육에 다양하고 체계화된 작품 접근 방법을 제공하였다. 또한 감상자의 흥미와 자기 주도적인 감상에의 자신감을 유발하였으며 더 나아가 미술관 교육에 있어 감상자가 주체가 되는 새로운 미술관 교육 방안을 제안했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와 관련하여 추후 연구에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소규모 학생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하였기 때문에 추후 연구에서 표본 집단을 키워 양적 연구를 한다면 본 연구의 효과성이 보다 신뢰성을 갖출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회화 작품만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추후 연구에서 건축물, 설치 작품, 조각 등을 대상으로 한 미술 감상 프로그램을 개발한다면 다양한 예술 작품에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추후 연구에서 학생들의 창의성, 공감 능력, 관찰력 등이 선호하는 전략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밝혀낸다면 개별화된 미술관 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클 것이다. 넷째, 추후 연구에서 미술관에서의 다양한 종류의 감상 활동을 진행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한다면 보기, 상상하기, 그려보기의 세 가지 종류의 심상이 상호작용하며 시각적 사고를 더욱 활성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 EDM 공연을 통한 문화자본 형성 노력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관람객의 EDM 공연 만족도, 행동의도를 중심으로

        박유진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number of people watching culture and art events is increasing every year due to growing income and leisure following economic growth. The term culture holds a variety of meanings in academic and context aspects. Its narrow definition is an intellectual, musical, artistic, or cultural outcome. In a broad sense, it encompasses the overall lifestyle of society or the values, practices, symbols, institution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a society. As one of the ways to express life, culture and art offer the most remarkable channel to understand what a human being is. Human beings get sympathy, consolation, and get to participate in explicit and implicit communication with others through art. Such communication helps promote a broader and deeper understanding of society, which adds a social meaning to art. The interest level and activity participation of EDM festivals, on which this study focuses, can be considered as accumulated cultural capital of different cultural capital types. Therefore,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effort to create cultural capital through an EDM festival on the quality of life via performance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Today South Korea is called a republic of popular music festivals. A music festival is available to people everywhere in the nation throughout the four seasons. The time has come when people no longer need to wait for a certain festival as they can go out and enjoy one at will regardless of the season. As festivals are launched in various musical genres, festival content has become diverse as well, which has attracted a good number of people. Such a festival is not merely a venue for music, but a space beyond music, being utilized as a means of expression. It can help to increase people's satisfaction with life.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viewers that watched an EDM performance. Data was collected from viewers that experienced an EDM festival in the nation before the outbreak of COVID-19, which suspended most festivals in the nation. The survey took place for about four days from May 7~10, 2022. Considering the non-contact situations amid the COVID-19 pandemic, the researcher commissioned it to an online research specialist The address of the online research website: http://kr.entrustsurvey.com/sampling-company-entrust-survey.html, Entrust Survey, May 7, 2022. so that it could be conducted online. The survey results led to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cultural knowledge and activities, except for cultural literacy,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of viewers. Cultural activities had greater effects than cultural knowledge, which demonstrates that those who usually take an active part in activities related to culture and art and engage in vigorous activities tend to have greater satisfaction and actively behave by watching the performance again and recommending it to others. Secondly, satisfaction with EDM festival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behavioral intention of viewers. This finding also supports many previous studies that demonstrated significant causal relations between consume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Finally, cultural activities and knowledge as cultural capital had impacts on behavioral intention partially via performance satisfaction. The behavioral intention of viewers had relatively greater impacts on their satisfaction than the direct impacts of cultural capital and cultural knowledge. Cultural literacy and knowledge under cultural capital via an EDM festival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quality of life of viewers.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in watching a performance had no direct significant effects on quality of life. That is, watching culture and art such as an EDM performance itself does not bring consumers happiness directly. Consumers can feel happy in their personal lives with just their cultural literacy, interest, and accumulated knowledge. The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 that the expansion of information and opportunities for the public to accumulate cultural literacy will lead to their consumption such as watching a performance, and at the same time, their happiness. The study was based on quantitative research, thus it did not conduct any in-depth research on the unique nature and inter-generational relations by gender and age in South Korean society, leaving room for improvement. If future studies on such popular performances as EDM festivals, whose research has been relatively insufficient as a qualitative topic, they will be able to provide more profound research outcomes. 국민의 문화예술행사 관람률은 경제성장과 함께 소득 및 여가시간의 증가로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문화’라는 용어는 학문별, 문맥별로 다양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좁게는 지적, 음악적, 예술, 문학적 결과물을 뜻하기도 하고, 넓은 의미로는 사회의 전체적인 생활 방식 즉, 한 사회의 가치, 실천, 상징, 제도, 인간관계 등을 모두 문화 속에 포섭시키기도 한다. 삶의 표현 방식 중의 하나인 문화예술은 인간이 어떤 존재인지를 이해하는 데 더 없이 훌륭한 통로이다. 예술을 통해 공감과 위안을 얻고 타인과 명시적, 묵시적 소통에 참여 하게 된다. 이러한 소통을 통해 사회를 더 넓고 깊게 이해할 수 있다는데 예술의 사회적 의미가 있다. 본 연구의 초점이 되는 EDM 페스티벌에 관한 관심도와 활동참여는 문화 자본의 형태 가운데 체화된 문화 자본으로 파악될 수 있을 것이다. 에에 본 연구는 EDM 페스티벌을 통한 문화자본 형성의 노력이 공연만족과 행동 의도를 통해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현재의 대한민국은 대중음악 페스티벌 공화국이다. 봄, 여름, 가을 어느 계절, 전국 어딜 가도 우리를 맞이하는 음악 페스티벌들이 있다. 이젠 특정 페스티벌을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마음만 먹으면 계절에 상관없이 페스티벌을 갈 수 있는 시기가 도래했다. 여기에 다양한 음악 장르의 페스티벌들이 생겨나면서 콘텐츠는 다양해졌으며, 많은 대중들이 찾는 곳이 되었다. 또, 페스티벌은 단순히 음악만을 듣는 공간이 아닌 그 이상의 공간으로서 하나의 표현 수단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이를 통해 대중들의 삶에 대한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다. 본 연구의 설문지 조사 대상은 EDM 공연을 관람한 관람객을 연구 참여자로 설정했다. 자료수집은 코로나 기간 동안에는 대부분의 페스티벌 공연이 중단된 상황이었으므로 코로나 이전까지 국내에서 EDM 페스티벌을 경험한 관람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은 2022년 5월 7일~10까지 약 4일간 진행되었으며 코로나의 비대면 상황을 고려하여 온라인 리서치 전문회사를 통해 온라인으로 진행되었다. 설문지 조사 결과를 통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적 소양을 제외한 문화지식 및 활동은 관람객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화지식보다 문화활동에 대한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보아 평소 문화 예술과 관련된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활발한 활동을 많이 할수록 실제 공연을 관람한 후 만족도가 높아지고 재관람 및 추천과 같은 적극적인 행동을 한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둘째, EDM 페스티벌 만족은 관람객 행동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 역시 소비자 만족, 행동 의도 간 유의한 인과관계를 입증한 다수의 선행연구를 지지하였다. 셋째, 문화자본으로서 문화활동과 문화 지식은 공연 만족도를 부분 매개하여 행동 의도에 영향을 미치며 만족도에 대한 관람객 행동 의도의 영향력이 문화자본의 직접적 영향력, 문화 지식보다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EDM 페스티벌을 통한 문화자본 중 문화적 소양 및 문화 지식이 관람객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공연 관람에 대한 만족과 행동 의도가 직접적으로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EDM 페스티벌과 같은 문화 예술의 관람 경험 자체가 행복감을 가져다주기보다는 평소 소비자들에게 체화되어 있는 문화적 소양 및 문화에 대한 관심과 지식만으로도 개인의 삶을 행복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대중들에게 문화적 소양을 쌓을 수 있는 정보 및 기회의 제공을 확대한다면 공연 관람과 같은 소비로 연결됨과 동시에 대중을 행복하게 할 수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양적 연구를 기반으로 진행하였기에 우리 사회가 지닌 특수성 및 성별, 연령 등 세대 간 관계를 더 깊이 있게 연구하지 못한 점이 아쉽다고 볼 수 있다. 상대적으로 덜 이루어진 EDM 페스티벌과 같은 대중공연을 대상으로 한 연구인만큼 질적인 주제로 다룬다면 더욱 깊이 있는 연구로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 폐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구리 침출에 미치는 황산 용액 중 2가 구리이온과 산소 첨가의 영향

        박유진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하드디스크드라이브 내 인쇄회로기판(PCB)은 금(Au), 은(Ag)과 같은 귀금속과 구리(Cu), 알루미늄(Al), 철(Fe) 등의 유가금속을 포함하며 이를 회수하기 위한 재활용 공정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황산 용액을 이용한 습식제련법으로 PCB 기판으로부터 구리를 회수하기 위해 2가 구리이온과 산소를 산화제로 첨가하였다. 선행 연구에서 PCB의 기판과 부품을 분리하였을 때 효율적인 금속의 회수가 가능하며 부품이 탈착된 기판에는 구리가 약 20%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4가 주석이온을 포함한 염산 용액으로 PCB의 기판으로부터 부품을 탈착시키고 분리된 PCB 기판을 파·분쇄하여 2가 구리이온과 산소를 산화제로 첨가한 황산 용액으로 침출하였다. 먼저 하드디스크드라이브에서 분리된 PCB의 부품 탈착에 대한 교반속도, 반응온도, 4가 주석이온의 농도, 염산의 농도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100~300 rpm의 교반속도에서 PCB로부터 부품 탈착 속도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온도, 4가 주석이온 농도, 염산 농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탈착 속도가 증가하였다. 부품 탈착율이 100%에 도달하였을 때 기판에서 솔더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10,000 mg/L의 4가 주석이온을 포함한 1 mol/L 염산 용액에 폐하드디스크드라이브 PCB 1개를 투입하고 200 rpm, 90°C 의 조건에서 침출하였을 때 2시간 만에 100% 탈착 완료되었다. 부품이 탈착된 기판은 커팅밀과 믹서밀로 파․분쇄하고 1.18 mm 이하의 시료를 침출에 사용하였으며 교반 속도, 온도, 산소 주입량, 황산 농도, 광액 농도에 따른 침출 거동을 조사하고 수축핵 모델을 이용하여 속도론적 해석을 수행하였다. 침출 효율은 교반 속도, 온도, 산소 주입량, 초기 2가 구리이온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며 황산 농도에 대한 영향은 미미했다. 초기 2가 구리이온의 농도가 10,000 mg/L인 1 mol/L 황산 용액으로 산소 1,000 cc/min, 광액 농도 1 w/v%, 600 rpm, 90°C 의 조건에서 침출하였을 때 120분 이내 구리가 96% 침출되었으며 2가 구리이온과 산소를 산화제로서 통시 투입하였을 때 침출 반응을 촉진하여 침출 효율과 침출 속도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PCB 침출에 대한 반응 속도 모델은 고체와 유체의 화학반응이 율속 단계이며 구형의 입자에 대한 수축핵 모델이 적합하였다. 2가 구리이온 10,000 mg/L을 포함한 1 mol/L 황산 용액을 사용하고 산소 1,000 cc/min, 광액 농도 1 w/v%, 600 rpm 조건의 온도에 따른 침출 결과에 대해 계산된 활성화 에너지는 21.34 kJ/mol이다. In the present paper, the leaching of copper from printed circuit boards(PCBs) using sulfuric acid with cupric ion(Cu2+) and oxygen(O2) is proposed to recovery valuable metals from PCBs. First, the effects of the agitation speed, temperature, Sn4+ concentration, and hydrochloric acid concentration were investigated for separating electric and electronic components(EECs) from PCBs. At a agitation speed of 100 to 300 rpm,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paration speed of PCBs and EECs, and the dismantling-completion time was reduc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Sn4+ concentration, and hydrochloric acid concentration. When the EECs separation efficiency reached 100%, no solder was observed on the PCBs, the dismantling of PCB was completed within 120 min under the leaching conditions; HCl concentration 1 mol/L, initial Sn4+ concentration 10,000 mg/L at 90°C and 300 rpm. The bare PCBs were ground with a cuttiing mill and mixer mill and the product was screened with a 1.18 mm sieve. The effects of various process parameters such as agitation speed, temperature, the type and the flow rate of gas, initial Cu2+ concentration, sulfuric acid concentration, and pulp density were investigated to examine the dissolution behavior of Cu from PCBs. The leaching efficiency of Cu was found to be increased with increasing agitation speed, temperature, O2 flow rate, and initial Cu2+ concentration and decreasing pulp density. The effect of sulfuric acid concentration was insignificant. The 96% of Cu leaching efficiency was obtained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H2SO4 concentration 1 mol/L, pulp density 1%, initial Cu2+ concentration 10,000 mg/L and O2 flow rate 1000 cc/min at 90°C and 600 rpm. The leaching rate of Cu from PCBs was found to be higher on addition of Cu2+ and O2 to the leachant. The kinetic studies were performed using the obtained leaching data. The leaching data and analyses indicate that the Cu leaching from PCBs followed the reaction-controlled model for spherical particles satisfactorily and determined that the activation energy was found to be 21.34 kJ/mol. Therefor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ulfuric acid solution with Cu2+ and O2 as a mild leach medium is valid for Cu leaching from PCBs.

      • 풀랑크의 연가곡《거짓 약혼식》작품 및 연주실제 분석에 대한 고찰

        박유진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프랑시스 풀랑크(Francis Poulenc, 1899-1963)의 6곡으로 이루어진 연가곡《거짓약혼식 Fian?ailles pour rire》에 대한 분석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20세기 프랑스 예술 가곡 분야에서 큰 발전을 이룬 풀랑크는 150여개의 가곡을 남겼다. 그는 가사에 사용된 시의 양식과 특징을 음악에서 섬세하게 다룰 줄 아는 작곡가였다. 풀랑크의 가곡에 있어 선율은 그가 표현하고자 하는 음악의 형식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사용되었고, 피아노 부분의 비중이 매우 높다. 성악과 피아노가 절묘하게 어우러지며 서정성이 풍부한 것이 풀랑크 가곡의 대표적인 특징이다. 분석에 앞서 풀랑크의 음악적 경향을 통하여 가곡이 작곡된 시기를 제1기-제4기로 구분하고 각 시기별 특징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거짓 약혼식》을 시의 내용, 원문과 번역을 문학적으로 해석하고 조성, 빠르기, 박자, 셈여림 등을 세부적 항목으로 나누어 피아노 반주 부분을 중점으로 분석하였다. 제1곡〈앙드레의 연인 La dame d'Andr?〉은 약혼식을 앞두고 복잡한 심경을 가벼운 분위기로 나타낸 곡이다. 각 연의 4행은 모두 의문문으로 되어 있고 이를 풀랑크는 화성과 리듬의 변화로 나타내었다. 제2곡〈풀 밭에서 Dans L'herbe〉는 죽음과 고독을 이야기하는 곡으로 화자의 복잡한 심정을 빈번한 박자의 변화와 반음계의 진행으로 나타내었다. 제3곡〈그는 날아갔다 Il vole〉는 변심한 애인을 우화에 빗대어 표현한 곡으로 피아노 독주곡처럼 연주하라는 지시어가 있을 정도로 매우 어려운 가곡이다. 제4곡〈나의 몸은 장갑처럼 늘어져 있네 Mon cadavre est doux comme un gant〉는 자신의 죽음을 늘어진 가죽에 비유하여 죽음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한 곡이다. 주의 깊게 지켜야 할 셈여림이 많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제5곡〈바이올린 Violon〉은 헝가리의 술집에서 바이올린을 연주하는 집시를 보고 묘사한 곡이다. 자유로운 리듬형태가 많이 사용되었고 바이올린을 연주하는 것처럼 표현해야 한다. 제6곡〈꽃 Fleurs〉은 지나간 사랑의 추억들로 우울해 하는 어느 여인을 노래한 곡이다. 이 곡은 마지막 마디를 제외하고 모든 리듬이 4분음표로 이루어진 화음들로 구성되어 있다. 언급된 6곡을 피아노 반주 중심으로 분석한 후, 세 명의 성악가와 반주가의 연주 실제에 대한 분석을 시도한 것이 논문의 또 다른 특징이다. 프랑스 콜로라투라 소프라노 나탈리 드세이(Natalie Dessay)와 피아니스트 필립 카사르(Philippe Cassard), 미국의 리릭 소프라노 돈 업쇼(Dawn Upshaw)와 피아니스트 마고 가레트(Margo Garrett), 프랑스의 콘트랄토(여성 알토) 나탈라에 스투즈맨(Nathalie Stutzmann)과 피아니스트 잉거 죄더그렌(Inger S?dergren)의 연주 길이와 그들의 해석을 비교해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풀랑크가 중요시 한 ‘선율’이 성악뿐만 아니라 피아노 반주부에서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가 보다 분명히 드러나며, 피아노의 역할에 대한 풀랑크 가곡의 성격이 인지됨으로써 연주자와 청중들에게 보다 심도 있는 이해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슬관절 전치환술을 받은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박유진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슬관절 전치환술을 받은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최근 우리나라는 고령화와 함께 슬관절 전치환술을 받는 노인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슬관절 전치환술 받은 노인의 통증, 우울, 사회적 지지 및 삶의 만족도 정도와 이들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G광역시에 소재한 S병원 정형외과에서 슬관절 전치환술을 받은 후 1년 미만의 입원 또는 외래를 방문한 115명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5년 9월 25일부터 2015년 10월 31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자료는 본 연구자가 직접 연구 목적과 방법을 설명한 후,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통증은 평균 4.92±2.55점, 우울은 평균 7.35±3.59점, 사회적 지지는 평균 3.61±0.40점, 삶의 만족도는 평균 3.26±0.35점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요인은 연령(F=5.25, p=.007), 학력(F=5.34, p=.002), 배우자 유무(t=2.47, p=.017), 돌봄 제공자(F=10.97, p<.001), 현재 건강상태(F=11.87, p<.001)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통증, 우울, 사회적 지지 및 삶의 만족도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삶의 만족도는 통증과 음의 상관관계(r=-.188, p=.044)가 있었으며, 우울과는 음의상관관계(r=-.497, p<.001), 사회적 지지와는 양의 상관관계(r=.726,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적 지지(β=.628, p<.001), 우울(β=-.300, p<.001)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우울이 낮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56.4%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슬관절 전치환술을 받은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사회적 지지와 우울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슬관절 전치환술을 받은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사회적 지지체계 구축을 위한 인프라 마련과 우울을 줄여줄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등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가 슬관절 전치환술을 받은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는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써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 브람스 작품에서의 성악반주와 기악반주의 비교분석 연구 : J. Brahms의 연가곡「네 개의 엄숙한 노래 (Vier ernste Gesa"nge)와「바이올린 소나타 제3번」(Violin Sonata no.3 , op.108)을 중심으로

        박유진 대진대학교 문화예술전문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낭만주의 음악의 대표적 독일 작곡가인 요하네스 브람스(Johannes Brahms, 1833-1897)가 남긴 성악작품들은 오페라를 제외한 모든 분야에서 약 300여곡이 있으며, 여러 악기들을 위한 독주곡을 포함한 실내악 작품으로는 24개의 작품이 있다. 브람스의 음악적 특징은 19세기 독일을 중심으로한 전통적인 어법을 따르는 한편, 자신만의 독자적인 어법 및 기법을 많은 작품 속에서 시도하면서 19세기 후반까지의 낭만주의 음악의 전통을 계승할뿐만 아니라, 아놀드 쇤베르크를 비롯한 20세기 초반의 많은 작곡가들에게 커다란 영향을 끼친 것으로 알려진다. 이러한 그의 음악적 특징을 간단하게 정리하자면, 기법이나 형식면에서는 고전적인 전통을 존중하고 지켜나가지만, 선율이나 화성, 리듬에 있어서는 낭만적인 요소를 융합하였다고 설명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연주에 있어서 반주는 크게 성악반주와 기악반주로 나눌 수 있으며, 좀 더 구체적으로 분류해 보면, 독창, 독주악기를 위해 작곡된 피아노반주와, 오케스트라가 반주하는 아리아나 독주악기의 피아노용 편곡 반주가 있는데, 특히 독주악기나 성악을 위한 반주가 가지는 역할은 독주악기나 성악에 의한 선율진행을 공동으로 진행하거나 또는 보조적인 역할을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음악적 완성도를 이루는 것이다. 본 논문은 독창과 독주를 위한 피아노 반주, 즉「네 개의 엄숙한 노래」(Vier ernste Gesa"nge op.121)와「바이올린 소나타 제 3번 Op.108, d단조」의 피아노 반주를 통해 성악반주와 기악반주를 비교 · 분석 하였다. 가곡에서의 피아노 반주의 역할을 살펴보면, 가곡은 음악적 요소와 문학적 요소가 합쳐져 만들어진 장르로, 성악부의 가사내용이 피아노 반주부 선율에 표현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반면 기악 작품을 위한 소나타에서의 피아노 역할은 반주가 아닌 동등한 음악적 역할을 담당하도록 작곡되어 독주악기들의 작은 합주를 의미하는 실내악으로 구분될 수 있다. 성악반주와 기악반주의 비교를 통해 가장 큰 차이점은 가사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먼저 성악반주에서는 성악부의 가사내용에 따라 전주부분에 곡 전체의 분위기를 암시해주거나 후주에서는 가사내용에 따라 곡이 마무리 되고, 성악부가 곡에서 나타내고자 했던 내용의 여운을 표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때 피아노 연주자는 곡의 내용을 정확히 이해하고, 가사의 뜻과 일치되도록 앙상블을 이뤄 연주하는 것이 중요하다. 반면 기악반주에서는 전 악장에서 보여 지듯이 전주와 후주에서 바이올린부와 피아노부가 동시에 시작되고, 주제선율이 바이올린부와 피아노부에 대등하게 나타나 함께 음악을 만들어가는 이중주로서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 때 피아노 연주자는 독주악기와 서로의 음악을 잘 들으며 조화를 이루어 주요 선율이 잘 표현되도록 연주하고, 일치된 호흡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는 성악과 기악에서 피아노 반주가 독립적인 연주로 성악부나 독주악기와 동등한 입장에서 앙상블을 이룬다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반주의 의미가 종속적인 관계에서 동등한 입장으로 변화되었고, 표현력도 확대 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겠다. Approximately 300 vocal works, aside from the operas, and 24 instrumental pieces, including solo music for the instruments and ensemble music, were composed by Johannes Brahms, 1833-1897, the great German composer who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figures of Romantic music. The characteristics of Brahms’ music are the composer's conformity to the 19th century, German-centered traditional musical idiom and, at the same time, the attempt at experimenting with his own independent musical language and techniques. He not only inherited the musical tradition of Romanticism up until late 19th century, but also exerted considerable influence upon the composers in the early 20th century including Arnold Scheonberg. Such features of Brahms' music can be summarized as his respect for the classical tradition in terms of technique and form, and at the same time his fusing of the Romantic elements with regards to melody, harmony, rhythm. Musical accompaniment in a performance is generally divided into vocal and instrumental. More specifically, there are piano accompaniment for a solo instrument, and an arrangement of the orchestral accompaniment for a solo instrument or a vocal aria. The function of the accompaniment for a solo instrument or a voice especially, is either to play the melodic proceedings with the solo instrument or the voice in a duet, or to musically complement the solo part by taking a more subordinate role. Present thesis compares and analyzes vocal and instrumental accompaniment music, through investigating the piano accompaniment music for a solo voice and for an instrumental solo, more specifically, those for Vier ernste Gesange op.121 and the Violin Sonota no.3, Op. 108, d minor. Looking at the role of piano accompaniment in lied music, since lied is a genre which combines those elements of music with literature, the word contents of the vocal part is characteristically expressed in the melodies of piano accompaniment. On the other hand, the role of the piano in an instrumental sonata is more that of an equal partner, therefore falling more into the category of an ensemble music, meaning a small-scale group performance of multiple solo instruments. The biggest difference found in a comparison between vocal and instrumental accompaniment relates to the issue of text. First, in a vocal accompaniment, following the meaning of the text in the vocal part, the prelude section may imply the atmosphere of the entire piece, while the coda may summarize the words' contents, leaving an impression of what the vocal section intended to mean through music. Here, the pianist must understand precisely what the entire piece is intended for and try to play in ensemble with the solo part in order to comply with such meaning from the text. On the other hand, in instrumental accompaniment, as can be observed in all of the movements, the violin and the piano parts begin at the same time, both in the prelude and the coda sections. The main melody appears equally in the piano section as in the violin part, in the character of a duet in which both instruments equally participate in making the music. Here, the pianist should pay a close attention to the solo instrument and try to harmonize with it in expressing the main theme while maintaining a unified breathing pattern. The result of research such as this shows that the piano accompaniment in vocal and instrumental music plays an equally important role. In other words, it participates in forming the entire ensemble as an independent performance section. This attests to the changes which have occurred in the role of accompaniment, from subordinate relationship with the solo to that of an equally important partner. It also ascertains the fact that the expressive ability of the piano accompaniment has more increased.

      • Characterization of the life cycle carbon footprint by the economic activity in the Republic of Korea

        박유진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As energy and resource use increases, problems like climate change caused by pollutants (greenhouse gases (GHGs) and air pollution) continue to increase. Currently, carbon neutrality and climate change measures are focused on the pollutants emissions directly generated by industry. However, since each industry is connected supply chai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direct and indirect impacts of the supply industry. This study is intended to characterize the flow of energy and pollutants emissions involved in economic activities based on the industrial interaction relationship in economic system. Thus, the Republic of Korea (Korea) Environmentally Extended Input-Output (EEIO), named ROKEEIO model, was set up using Input-Output Table (IOT), energy balance, national GHGs inventory and fuel emissions factors, etc. Using this EEIO model, the direct and total GHGs emissions, and emission intensity of industrial sector were analyzed. Then the GHGs emissions were characterized by Scope, and hot spot sector in supply chain was identified. In addition, GHGs emissions characteristics and contributions by final demand were also analyzed. Characteristics of pollutants emissions from the automobile industry, a major export industry, were also investigated using 2017 ROKEEIO table as a case study. Furthermore, EEIO-SDA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increase or decrease in GHGs emissions between 2010 and 2015 by preparing an EEIO model using the Linked IOT.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characteristics of GHGs emissions from industrial activities and valuable economic-environmental policy insights to meet the SDG 2030 and 2050 NET ZERO target in Korea. À mesure que la consommation d'énergie et de ressources augmente, les problèmes comme les changements climatiques causés par les Gaz à Effet de Serre (GES) et la pollution atmosphérique continuent d'augmenter. Donc, les efforts pour répondre au changement climatiques se multiplient. Les mesures de réduction pour chaque industrie sont présentées comme un objectif commun de zéro émission nette de GES dans le cadre de l'accord de Paris pour répondre au changement climatique. Tandis que chaque industrie est liée de façon organique, il est nécessaire d'examiner l'impact direct et indirect de l'industrie. En conséquence, il est prévu d'analyser le flux d'énergie, de GES et de polluants atmosphériques impliqués dans les activités économiques en montrant le degré de consommation d'énergie et d'émissions de polluants, selon la relation d'interaction industrielle. Pour cela; un Tableaux Entrées Sorties à Extensions Environnementales (TESEE) a été créé et analysé pour vérifier les émissions. Ainsi, les émissions totales, y compris les émissions directes de l'industrie, ont été estimées par portée et les émissions attribuables à la consommation et aux exportations d'investissements ont été estimées. De plus, l'analyse de décomposition structurelle a été effectuée sur les facteurs influant sur l'augmentation ou la diminution des émissions de GES entre les deux-points de temps. Étant donné que cette étude a analysé les caractéristiques de la production de polluants dans chaque industrie, les résultats de cette étude devraient contribuer à la recherche fondamentale en vue d'établir de meilleures politiques pour la gestion de la production de polluants.

      • 일반계 고등학생이 인식하는 제4차 산업혁명과 그에 따른 진로교육에 대한 요구

        박유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제4차 산업혁명 사회의 주역으로 살아갈 고등학생들이 제4차 산업혁명으로 변화되는 기술, 직업, 진로와 관련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고등학교 진로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를 조사하여 미래 진로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4차 산업혁명에 대해 일반계 고등학생들은 성별, 학업 성취도, 진로계열 연관성에 따라 어떻게 이해하고 인식하고 있는가? 둘째, 일반계 고등학생들의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하기 위한 진로교육에 대한 요구는 무엇인가? 이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도에 소재한 일반계 고등학교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제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인식, 제4차 산업혁명시대 대비 진로교육 요구에 관한 문항으로 질문지를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자 297명 중 최종 280명의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일반계 고등학생들의 인지는 전체적으로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지만 학업 성취도와 진로계열 연관성에 따라 학생 간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고등학생들은 제4차 산업혁명의 핵심으로 ‘과학 기술과 관련된 변화’를,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핵심역량으로 ‘창의성’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고려해 볼 때 학업 성취도와 진로계열 연관성이 낮은 학생들에게 미래 사회에 대한 변화를 인식하고 준비할 기회를 더 확대해야 하며, 개인별 맞춤식 진로 탐색과 진로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 또한, 고등학생들이 제4차 산업혁명에 대한 깊이 있게 이해하면서 제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사회 변화의 흐름을 알고 자신의 삶을 대비하는 진로계발능력을 기르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따라서 미래 진로교육은 자신의 삶을 설계하는 가장 기본적인 것으로 총체적이고 다각적인 접근을 할 수 있는 시각을 길러주는 방향으로 나가야 할 것이다. 둘째, 일반계 고등학생들은 제4차 산업혁명 관련 직업 세계의 변화에 관한 관심은 높지만 구체적인 변화 양상에 대한 이해와 인식 수준은 낮았다. 따라서 미래 사회 직업군의 변화를 정확히 알고 대비하는 세부적인 진로교육이 필요하다. 변화하는 사회에 대응하고 적응하기 위해서는 청소년 때부터 자신의 소질과 적성, 삶에 대한 자기 주도적 탐색과 결정에 대한 경험이 필요하며,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과학 기술과 기기를 활용할 수 있는 사고력과 실제 활용 경험을 시켜주어야 한다. 또한, 인간으로서의 가치와 장점에 대한 인식과 자아 진로 정체성을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해주어야 한다. 더불어 제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미래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진로 동기를 낮추고 기존의 전통적인 직업군으로 쏠리지 않도록 새로운 직업에 대한 미래 가능성을 보여주어야 한다. 제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변화가 직업 선택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일상생활, 학습, 진로선택에도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인식의 전환을 유도해야 한다. 셋째, 진로교육은 미래 사회에서 요구하는 역량을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역량은 상황과 맥락 속에서 개인이 발휘할 수 있는 능력이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교과교육을 포함한 학교 교육 전 과정을 통해 중점적으로 기르고자 하는 6가지 핵심역량을 제시하고 있다. 제4차 산업혁명으로 직업의 소멸·분화·생성의 속도가 빠른 불확실한 미래 사회에서 학생들은 창의성, 융복합성, 적응유연성을 보다 강화해야 하며, 어떤 환경 안에서도 스스로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자신의 삶과 진로를 관리하는 자기 주도적인 진로계발역량을 함양하는 것이 중요하다. 넷째, 진로교육의 방법에 있어서 지식 학습보다는 역량 학습으로 바뀌어야 한다. 역량 학습은 학생들이 지식을 소유하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 상황과 맥락에서 지식을 활용하고 실제적인 체험을 통해 이루어진다. 역량 학습은 다양한 실제 상황을 교실 안에 옮겨놓고 학생들이 스스로 해결하고 탐구하도록 학생 참여형 수업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진로 수업에서 프로젝트 학습, 탐구학습, 토의·토론학습, 문제해결학습, 협동학습 등을 확대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교사와 학생이 교수·학습을 함께 설계하고 학생들의 진로 필요에 맞추어 교육과정을 재구조화하며 일반교과 및 창의적 체험 활동 교과 간의 융합이나 담당 교과 교사들끼리의 협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