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단옥수수 F1 교잡종의 유전자형 판별 및 작물학적형질 평가

        강민정 충북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genotypes of sweet corn F1 hybrids and evaluate their agronomic traits. For genotyping of 50 commercial F1 sweet corn hybrids, a public SSR marker was selected for sugary1 gene and PAV marker for sugary enhancer gene was developed from the B73 reference sequence. Genotype of shrunken2 was determined phenotypically. Field trials were also carried out for the same hybrids from USA, Japan and South Korea. The findings were summarized in the followings. 1. The SSR marker, bnlg 1265 was selected to identify su1 genotype. All varieties in sugary enhanced sweet corn (SE) and synergistic sweet corn (SY) group were homozygous at the su1 locus. The su1 genotype in super sweet corn (SH2) group consisted of su1 homozygous, su1 heterozygous and Su1 homozygous. Augmented super sweet corn (SHA) group had two genotypes at su1 locus, su1 homozygous and su1 heterozygous. 2. The se genotype was identified using PAV marker designed for this study. All cultivars in SE group were found se homozygous. SY and SHA group had three genotypes to se locus, se homozygous, se heterozygous and Se homozygous. The se genotype in SH2 group turned out to be se heterozygous and Se homozygous. 3. Varieties in SH2 and SHA group all exhibited homozygous sh2 phenotype. For SE and SY group, not only F1 seeds but F2 seeds were examined to determine the genotype at sh2 locus. All varieties in SE group did not have sh2 mutant allele from the fact that no sh2 type kernels were segregated in F2 seeds. In SY group, sh2 type kernels were shown up with su1 type kernels. Eleven hybrids in SY group followed the expected segregating ratio of 3:1(su1:sh2) in F2 seeds while the other 5 hybrids did not. 4. A total of 11 genotypes was found from 50 sweet corn hybrids. The genotype (su1/su1 se/se +/+) of all varieties in SE group corresponded to inferred genotype from the common name, sugary enhanced sweet corn. The genotype of su1 and sh2 in SY group matched to expected genotype. In addition, the se genotype was different among varieties in SY group. The genotype of SH2 group was expected to be sh2 homozygous and wild type homozygous to the other two loci. Only two hybrids, however, remained in the same SH2 group while the other 5 hybrids were regrouped into SHA group. SHA group was composed of 6 different genotypes with the base genotype of sh2 homozygosity. At su1 locus, SHA group was either homozygous or heterozygous. The se locus had all possible genotypes. 5. The interaction effec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or all flowering traits from the combined analyses of variance. Among the palatability traits measured, sweetness and creaminess score tended to go along with expected feature of each group, e.g., SH2 group is high in sweetness but low in creaminess while SY group is high in sweetness and creaminess.

      • 지역 정체성 형성요인을 통한 환경색채 분석에 관한 연구 : 부산 감천문화마을을 중심으로

        강민정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현대사회에서 도시공간은 급속한 산업화 과정으로 인해 획일화된 도시경관 속에 정체성을 잃어가고 있다. 경관을 구성하는 요소 중 색채는 형태와 비교하였을 때에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도시의 정체성을 부여할 수 있는 도구로서 그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해외사례를 통해 정체성 형성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감천문화마을을 통해 도시경쟁력 강화를 위한 미적 개선과 도시 정체성 확립을 위한 실질적인 수단으로서 환경색채를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하여 환경색채가 특징적인 감천문화마을을 연구범위로 선정하였는데, 연구방법은 정체성 형성요인 분석과 색채 분석으로 나누어진다. 색채 분석은 건축물 외벽, 옥외광고물, 가로시설물, 바닥포장 4가지 요소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N계열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으며, R계열, YR계열, PB계열의 색상이 고르게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감천문화마을은 내츄럴한, 우아한, 은은한, 점잖은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바탕으로 정체성을 확립함에 있어 시각적 개선방안을 통해 감천문화마을 이미지에 대한 보완점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향후 환경색채를 통한 도시 정체성을 형성함에 있어 기초자료로서 도움이 되고자 한다. In contemporary society, the urban space is losing its identity in the urban landscape due to its rapid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Among the elements that form the landscape, color is becoming a really important tool in the formation of the city's identity, in an economic and efficient way compared to the form.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study is to analyze the process of identity formation in international cases and analyze the environmental color as a practical means to establish the aesthetic improvement and identity of the city, thereby strengthening the city's competitiveness through of the Gamcheon Culture Village. Gamcheon Culture Village, which is characterized by environmental color was selected as the research area. The research methods are divided into analysis of factors of identity formation and color analysis. The color analysis was divided into four components: the exterior wall of the building, the outdoor advertising, the street facilities and the floor pavement. As a result, the highest frequency of the N series appeared, and the colors of the R, YR and PB series were evenly distributed. In addition, Gamcheon Culture Village has a natural, elegant, friendly and decent image.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 a complementary point to the image of Gamcheon Culture Village through visual improvement plan to establish the identity. Through this analysis, this study will be useful as basic data to form an urban identity through the study of environmental color.

      • 초등학생 맞춤법 오류 분석과 지도 방안

        강민정 부산교육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어과 학습에서 ‘맞춤법 규정’을 지키는 것은 문자 언어 생활에서 야기될 수 있는 혼란을 방지하고, 원활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게 해 줄 뿐만 아니라 국어에 대한 기본적인 소양을 가지고 있음을 알려주는 중요한 지표가 된다. 하지만 국어과 학습의 기초 능력으로 다루어지는 맞춤법의 중요성을 인식함에도 불구하고 초등학생의 맞춤법 오류는 빈번히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국어 능력의 신장과 더불어 기초 학습 능력의 강화라는 측면에서 맞춤법 오류 현상에 대하여 살펴보고, 원인을 분석한 후에 지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체언과 조사’와의 결합이나 ‘어간과 어미’사이에서 일어나는 오류처럼 겉으로 드러나는 공통적인 현상을 중심으로 분류하지 않고, 맞춤법 오류가 일어난 원인에 주목하여 현상을 해석해 보고자하며 이 과정에서 ‘맞춤법 오류 현상’은 초등학교 학생들의 시기적인 특성상 구어(口語)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생각하고, 맞춤법 오류를 음운론적인 관점으로 해석하였다. Ⅱ장에서는 맞춤법 오류 현상을 분석하는데 도입할 음운론의 내용 중 음운 체계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일반적으로 어문 규정에서 인정하고 있는 음운 체계를 자음과 모음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이 연구의 대상인 경상도 지역 화자들이 사용하는 경상 방언의 음운 체계와 비교해본 결과 자음 체계는 거의 비슷하지만 모음 체계는 차이가 났다. 따라서 경상 방언을 사용하는 사람은 표준어와 다르게 발음하고 초등학생들은 발음이 표기에 영향을 주어서 맞춤법에 오류가 나타날 것으로 예측할 수 있었다. Ⅲ장에서는 초등학생들의 실제 글에서 나타난 맞춤법 오류를 음운론적 관점에 따라 음운 체계와 음운 현상으로 나누어 원인을 설명해 보았다. 음운 체계 중, 자음에서는 드물게 ‘ㅅ/ㅆ’를 구분하지 못하는 학생이 있었으며 이 현상이 일어나는 원인은 경상방언의 자음 체계로 설명할 수 있었다. 모음에서는 ‘ㅐ/ㅔ, ㅚ/ㅙ, ㅡ/ㅓ’와 이중모음을 혼동하는 빈도가 높았다. ‘ㅐ/ㅔ’를 혼동하는 것은 현대 한국어에서 일반적인 현상이지만 그 외의 현상은 경상방언의 모음 체계가 음운 규정에서 인정하는 모음 체계의 수보다 적기 때문에 일어난다고 설명할 수 있다. 음운 현상에서는 음절말 끝소리 현상과 자음군 단순화 현상에서 나타나는 맞춤법 오류의 빈도가 가장 높았고, 그 외에도 다양한 맞춤법 오류가 나타났다. 음운 현상에서 맞춤법 오류가 나타나는 원인은 현상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표준발음을 정확하게 구사하지 못하기 때문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음운 체계와 음운 현상 외에 맞춤법 오류가 나타나는 원인을 방언 어휘나 유추로 설명할 수 있는 것도 있었다. Ⅳ장에서는 맞춤법 오류의 유형과 그 원인을 바탕으로 지도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기존의 연구에서 맞춤법 오류 현상들은 오류를 보이는 형태를 중심으로 오류를 교정하고자 하였으나 이 연구에서는 맞춤법 오류가 나타나는 원인에 따라 원인을 제거할 수 있는 지도방안을 마련하였다. 지도 방안은 지도할 내용과 지도 방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음운 체계에서 맞춤법 오류가 나타나는 원인인 단모음 수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표준발음을 연습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고 음운 현상에서 나타나는 오류를 극복하기 위해 오류 빈도에 따른 다양한 예시를 제안하고 맞춤법 오류를 교정하는데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초등학생들이 실제로 쓴 글에서 맞춤법 오류를 찾아보고 맞춤법 오류의 원인을 분석해서 이를 지도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 논문에서 확인할 수 있는 실제 자료와 논의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맞춤법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기를 바란다. 주요어 : 맞춤법 오류, 초등학생 맞춤법, 맞춤법 오류 원인 분석, 표준발음, 음운교육

      • 순자산가치를 고려한 농가의 빈곤탈출 요인 분석

        강민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농가소득 양극화와 농가실질소득 하락 추세가 맞물리면서 농가 빈곤 문제를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 이는 빈곤경험농가가 다시 빈곤에 진입할 가능성이 높아짐을 시사한다. 특히 농촌노인가구가 전체 농가의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농가의 빈곤 재진입 및 장기화는 농촌 노인의 삶의 질 악화와 직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일시빈곤보다 장기빈곤을 연구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빈곤의 지속기간을 고려한 동태적 분석이 시도되어야 한다. 그러나 대다수의 선행연구는 빈곤의 지속기간을 고려하지 않는 정태적 분석에 집중해왔다. 농가빈곤에 대한 동태적 분석을 시도한 연구의 경우에도 대부분 로짓이나 프로빗 분석을 활용하여 조사기간 중 표본탈락 및 대체로 인한 자료의 중도절단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였다. 중도절단된 자료의 대부분이 장기빈곤층일 가능성이 높다는 선행연구에 따라 이들을 분석에서 제외할 경우 선택편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빈곤의 동태분석을 위해서는 중도절단된 자료를 분석에 반영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또한 빈곤을 연구한 대다수의 선행연구는 소득을 기준으로 빈곤을 분석하고 있다. 그러나 농가는 상대적으로 높은 소득변동성에 직면할 가능성이 크고 생산수단으로써 농지라는 자산을 보유하고 있다. 따라서 농가의 경제력을 실질적으로 판단하기 위해서는 자산가치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소득과 함께 자산을 고려하여 농가빈곤 현황을 파악하고, 빈곤 지속·반복·탈출과 같은 동태적양상을 추정하고자 한다. 또한 빈곤경험횟수가 증가할수록 빈곤의 질이 나빠진다는 가정 하에 빈곤탈출 혹은 재진입에 관한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8-2012 농가경제조사를 이용하여 각 연도별 소득 및 소득-순자산가치 빈곤율을 확인하고 빈곤지속기간, 빈곤탈출에 관한 생명표 분석을 실시하여 빈곤지속기간별 누적빈곤율, 빈곤탈출률을 추정하였다. 또한 빈곤재진입에 대한 콕스 회귀모형(Cox regression)을 통해 농가 개인의 특성과 공적·사적보조금이 농가의 빈곤탈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소득 기준과 소득-순자산가치 기준 빈곤에 대한 기술분석 결과 소득 기준이 소득-순자산가치 기준 빈곤보다 약 2-5배 빈곤 수준을 과대평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소득 빈곤 농가가 순자산을 연금 형태로 수령할 경우 빈곤 수준이 상당히 낮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소득-순자산가치 기준 빈곤농가는 대부분 소득 기준으로도 빈곤하였으나, 일부 농가는 소득 기준으로는 빈곤하지 않은 반면 소득-순자산가치 기준으로 빈곤하였다. 이와 같은 농가는 자산보다 부채가 많아 향후 잠재적 빈곤층이 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빈곤 판단에 있어서 소득 뿐만 아니라 순자산도 빈곤 기준으로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둘째, 생명표 분석 결과 소득 기준 빈곤의 경우 빈곤에 진입한 가구의 44%가 2년 미만의 기간 내에 빈곤에서 탈출하는 반면 소득-순자산가치 기준의 경우 39%가 단기빈곤을 경험하고 있다. 이는 소득 기준 빈곤보다 소득-순자산가치 기준 빈곤의 단기빈곤 가능성이 더 낮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5년 이상 누적빈곤율, 즉 장기빈곤율은 소득기준보다 소득-순자산가치 기준에서 더 낮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자산을 고려할 경우 소득만을 기준으로 빈곤분석을 수행할 때보다 장기빈곤율이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빈곤탈출률의 추이를 확인한 결과 소득기준 및 소득-순자산가치 기준 모두에 대해 빈곤지속기간이 길어질수록 빈곤탈출이 어려워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빈곤재진입에 대한 콕스 회귀분석 결과 소득-순자산가치 기준 빈곤의 경우 연령이 낮을수록, 여성 가구주일수록, 화훼·축산·기타 작물재배 농가일수록, 전문농가 혹은 전업농일수록, 토지자산비중과 기타공적보조금이 적을수록 빈곤탈출이 어려워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농가의 장기빈곤 문제 해결을 위해 농지연금과 같은 역모기지 상품가입 확대와 함께 6차 산업화 지원정책, 기초적인 사회복지정책 확대 또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측면에서 확장될 수 있다. 먼저 5년 이상 장기빈곤에 대한 동태분석이나 1인 가구의 빈곤현황 및 장기빈곤 분석은 매우 중요한 후속연구 과제다. 또한 방법론적으로도 상속에 대한 고려, 농가의 사망정보 확보를 통한 기대수명 추정으로 보다 현실성 높은 소득-순자산가치 추정에 기초한 분석 역시 중요한 연구과제의 하나다.

      • 서울 중등학교 부장교사의 직무 역량 요구 분석

        강민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서울시 중등학교 부장교사를 대상으로 부장교사가 직무를 수행하는 데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역량이 무엇인지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장교사에게 요구되는 직무 역량의 우선순위는 어떠한가? 둘째, 다양한 배경변인별 부장교사에게 요구되는 직무 역량의 우선순위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윤용진(2014)의 경기도 중등학교 부장교사를 대상으로 한 부장교사 직무 역량 요구 분석 설문지를 활용하여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중학교와 고등학교 부장교사이고 임의 표집한 72개 학교에 765부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698부 중 유효한 676부를 가지고 대응표본 t 검정, Borich 요구도 공식, 그리고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얻은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장교사 직무 역량의 요구분석 결과, 최우선순위로 기초 역량에서 ‘인간존중’, ‘신뢰성’, ‘책임감’, ‘적극적 자세’, ‘계획성’, ‘포용력’의 6개, 일반 역량에서 ‘사고의 유연성’, ‘부서 간 직무협조’, ‘팀 구축능력’, ‘의사소통’, ‘의사표현능력’의 5개, 특수 역량에서 ‘직무관리능력’, ‘직무지도능력’, ‘부서인화력’, '정확한 판단‘의 4개로, 총 15개의 직무 역량이 요구되었다. 둘째, 배경변인별 부장교사에게 요구되는 우선순위 역량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학교급별 부장교사 직무 역량 분석 결과, 중학교와 고등학교 두 집단이 공통적으로 요구한 최우선순위 직무 역량은 총 11개였고, 차순위 직무 역량은 3개로 확인되었다. 또한 학교급별 최우선순위로 요구되는 직무역량에서 차이점도 있었는데, 일반역량은 중학교와 고등학교 둘 다 비슷하게 요구되는 데 비해, 중학교 부장교사에게는 부장교사의 직무추진에 필요한 역량인 특수 역량이, 고등학교 부장교사에게는 개인의 특성인 기초 역량이 다른 역량들에 비해 더 많이 요구되었다. 다음으로, 경력별 부장교사 직무 역량 분석 결과, 모든 경력 집단이 최우선순위에 공통적으로 요구한 역량은 특수 역량에서는 없고 기초 역량에서 ‘신뢰성’, ‘계획성’, ‘포용력’, 일반 역량에서 ‘팀 구축능력’, ‘의사소통’, ‘의사표현능력’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력별로 최우선순위에 요구한 역량에 차이도 있었는데, 부장교사 경력 5년 미만에서는 기초 역량의 ‘인간존중’, ‘신뢰성’, ‘책임감’, ‘자발성’, ‘적극적 자세’, ‘계획성’, ‘배려’, ‘포용력’의 8개, 일반 역량의 ‘사고의 유연성’, ‘부서 간 직무협조’, ‘팀 구축능력’, ‘의사소통’, ‘의사표현능력’의 5개, 특수 역량의 ‘직무수행능력’, ‘직무관리능력’, ‘교육수요자 요구파악능력’, ‘부서 인화력’, ‘정확한 판단’의 5개가 요구되어 기초 역량이 다른 역량들에 비해 많았다. 부장교사 경력 5년 이상 10년 미만에서는 ‘인간존중’, ‘신뢰성’, ‘계획성’, ‘포용력’, ‘공정성’의 5개, 일반 역량의 ‘팀 구축능력’, ‘의사소통’, ‘의사표현능력’, ‘조직활성화’, ‘원만한 교사관계’의 5개, 특수 역량의 ‘직무관리능력’, ‘정확한 판단’, ‘직무파악능력’, ‘직무지도능력’, ‘교육계획수립’의 5개로 역량별 고르게 분포되었다. 부장교사 경력 10년 이상 15년 미만에서는 기초 역량의 ‘신뢰성’, ‘계획성’, ‘포용력’의 3개, 일반 역량의 ‘사고의 유연성’, 부서 간 직무협조‘, ’팀 구축능력‘, ’의사소통‘, ’의사표현능력‘, ’원만한 대인관계‘의 6개, 특수 역량의 ’부서 인화력‘, ’정확한 판단‘, ’직무지도능력‘의 3개로 일반 역량이 많았다. 마지막으로 부장교사 경력 15년 이상에서는 기초 역량의 ’신뢰성‘, ’책임감‘, ’계획성‘, ’포용력‘의 4개, 일반 역량의 ’부서 간 직무협조‘, ’팀 구축능력‘, ’의사소통‘, 의사표현능력’, ‘원만한 교사관계’, ‘원만한 대인관계’, ‘균형감각’, ‘비전제시 및 공유’, ‘상담능력’의 9개, 특수 역량의 ‘직무수행능력’, ‘직무관리능력’, ‘직무지도능력’, ‘결단력’의 4개가 요구되어 일반 역량이 많이 요구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장 시급하게 강화되어야 할 부장교사의 최우선순위 직무 역량들을 중심으로 각 역량의 특성에 적합한 다양한 형태의 온․오프라인 역량 강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둘째, 부장교사 직무 역량 개발을 위한 맞춤형 교육프로그램, 멘토링, 컨설팅 등은 다양한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 역량의 우선순위에 따라 개별적이고 차별적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직무 역량 기반의 부장교사 임명 및 평가체제를 도입해야 한다. 넷째, 부장교사의 처우개선 등 지원체제를 정비하여 부장교사의 직무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 판매원의 윤리적 인식이 인지적 성과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개인-조직 적합성의 매개 효과분석

        강민정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빠른 산업의 발달로 인해 무한 경쟁 시대에 들어서게 되었고 많은 기업들은 경쟁우위를 차지하고 생존전략을 찾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과거와 같이 제품하나로 지속가능한 기업으로 살아남기가 어려워졌다. 기업에서는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 고객과의 접점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이를 제공하는 판매원에 대한 중요성도 간과할 수 없다. 최근 많은 기업 총수들의 스캔들, 비윤리적 행위 및 서비스 제공 직원들의 비윤리적 행동이 언론에 보도되면서 크게 이슈된 사례를 볼 수 있으며, 소비자들의 불매운동까지 일어나게 되어 기업의 이미지 손상과 매출 감소로 이어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아시아나와 대한항공의 총수 및 일가의 비윤리적 행위를 볼 수 있으며, 이런 사례들이 윤리적 풍토 조성 및 조직의 분위기와 구성원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프랜차이즈 직원의 비윤리적 행동이 제공하는 제품 및 서비스에 바로 반영되어 고객에게 제공되는 사례도 있었다. 이러한 일련의 이슈를 판매원의 비윤리적 행동이 일어나는 이유로 그들이 속해 있는 조직의 문화, 환경, 분위기와의 관계에 대한 호기심으로 인해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인지이론과 개인-조직 적합성 모델을 바탕으로 판매조직의 윤리적 풍토와 직원의 윤리적 민감성, 조직지원인식이 개인-조직 적합성에 미치는 영향과 개인-조직 적합성이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고객지향성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제 판매조직의 윤리적 풍토를 확인하기 위해 Victor & Cullen(1987)이 제시한 9가지(자기 이익형, 회사 이익형, 효율 추구형, 우정형, 팀 이익형, 개인적 도덕형, 사회적 책임형, 규정 및 절차형, 법률 및 직업 헌장형)의 윤리적 구성요소로 조직의 풍토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추가로 판매조직의 특징인 근무지와 본사와 떨어져 있는 조직이 많으므로 심리적 거리감(심리적 vs 공간적)이 판매조직의 윤리적 풍토, 판매원의 윤리적 민감성, 조직지원인식과 개인-조직 적합성 간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가설검증을 위하여 판매조직에 근무하고 있는 직원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불성실하게 응답한 19명을 제외하고 총 381명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은 SPSS를 활용하여 응답자 특성을 파악을 위한 빈도 분석과 신뢰성 분석, 윤리적 풍토를 파악하기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AMOS를 통해 타당성 분석 및 변수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를 통해 판매조직의 윤리적 풍토에 대해 알아보았고, 그 결과 윤리적 풍토의 9가지 유형 중 ‘공익 추구형’, ‘법/직업 추구형’, ‘효율추구형’, ‘자기이익 추구형’이라는 4가지의 윤리적 풍토를 확인하였다. 둘째, 판매조직에서 나타난 ‘공익 추구형’과 ‘자기이익 추구형’ 윤리적 풍토의 판매원은 개인-조직 적합성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판매원의 윤리적 민감성은 개인-조직 적합성에 부(-)의 영향을 나타냈다. 넷째, 판매원의 조직지원인식이 판매원의 개인-조직 적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판매원의 개인-조직 적합성은 판매원의 자기효능감과 개인, 조직 결과기대를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판매원들이 느끼는 심리적 거리감과 공간적 거리가 판매조직의 윤리적 풍토와 조직지원인식과 판매원의 개인-조직 적합성 사이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팀의 이익이나 우정, 사회적 책임의 특징을 갖는 ‘공익 추구형’의 윤리적 풍토의 판매원은 본사와의 심리적 거리감이 가까울수록 개인과 조직의 적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판매조직에서 조직지원의 인식에 대한 판매원은 공간적 거리와 심리적 거리감이 가까울수록 크게 느끼며, 특히 심리적 거리감이 가까울수록 조직이 관심을 더욱 갖고 있다고 느낀다고 볼 수 있다. 조직에서 판매원의 근무지로 상품 및 제품 또는 보상 등이 있을 때 거리가 가까우면 빨리 도착하고,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도 본사에서 해결해주는 시간이 짧으므로 조직지원인식이 더 강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실제 많은 직원들이 본사에 근무하다가 지사나 지방으로 거리가 멀어지게 되면 소속되어 있는 곳에서 제외된다는 심리적 거리감을 느끼게 되고 우리나라에서는 이런 경우 벌을 받는 것과 같은 느낌이나 인상이 남아있다. 이러한 인식은 판매원에게도 나타났다고 생각되며 실제 조직지원인식에 있어서 심리적 또는 공간적 거리가 가까울수록 조직과 개인사이의 영향력이 크게 나타났음은 이를 뒷받침하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기업의 윤리적 풍토를 자리 잡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지원을 하되 현재와 같이 성과로만 직원의 우수성을 판단할 것이 아니라 윤리적으로 행동한 직원들에게 지원을 해준다면 현재의 팀이나 조직, 개인의 이익을 추구하는 풍토가 달라질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본 연구는 윤리적 풍토, 윤리적 민감성, 조직지원인식, 개인-조직 적합성이 개인, 조직결과기대 및 성과와 이를 통한 고객지향성과의 관계성을 살펴보았으나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갖고 있다. 첫째, 판매조직과 판매원이 소속된 업종을 보험 상품, 유통업체 직원 등을 대상으로 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므로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산업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확대하여 실증분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는 온라인 설문을 통한 자기보고식으로 측정했기 때문에 동일방법편의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며, 특히 윤리적 풍토와 윤리적 민감성과 같은 자신의 윤리성과 관련된 민감한 변수에 응답할 때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특성에 근거해 응답하려는 경향에 따라 편의가 심화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동일방법 편의를 줄일 수 있는 전략적인 분석방법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셋째 윤리적 풍토는 기업 규모나 산업별로 다를 수 있고, 지역별 경제 수준이나 문화수준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을 수 있는 만큼 향후 대기업과 중소기업과 소규모의 판매조직 등 기업 규모별, 국내외 기업별로도 구분하여 비교분석한다면 보다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판매조직의 윤리적 풍토가 최종 한 개의 종속변수인 고객지향성에 관해 살펴보았는데, 이직의도 또는 다양한 종속 변수들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판매조직의 성과 및 조직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중요한 변수로 부각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서의 그림책 활용 실태 분석 :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1-2학년군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강민정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nalyzes how picture books are us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based on the characteristic of the picture books. Picture books are characterized by the delivery of meanings of texts and pictures in integrated relations. Also, using picture books in Korean textbooks means: first, they are transformed into a form of materials for the textbooks; and second, activities are composed in order for students to learn the picture book materials. In other words, this study analyzes whether the use of picture books in elementary Korean textbooks for the first and second grade cluster, according to the 2009 revised Korean curriculum, properly,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picture books and attempts to suggest a desirable direction for the use of picture book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educational resources. Chapter II investigates and reveals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picture books and looks into the methods of composition of the elementary Korean textbooks. And it explores their values and plans for use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 picture book is a literary genre in which texts and pictures play their roles and deliver meanings in an integrative way. It is found that the 2009 revised Korean curriculum mentions these characteristics of picture books based on achievement in the literature section. Also, depending on the method of composition of the elementary Korean textbooks, they have been reflected in the units in the textbooks with the other criteria for achievement. In addition, the ways in which picture books are used in Korean textbooks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divided broadly into the section of Korean language activities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literature section and grammar section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sections of the Korean textbooks Chapter III analyzes the status of the uses of picture books in Korean textbooks. Subjects of the analysis are the elementary Korean textbooks for the first and second grade cluster in the 2009 revised Korean curriculum. First, it looks into how the picture book materials have changed from the original picture book at the level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xts and pictures and para-texts. Also, the cases of the transformed into the picture book materials from the original picture books are classified. Second, the activities composed based on the picture book materials are analyzed. Theanalyses of the activities are conducted on the levels of criteria for achievement and learning objectives, materials and learners. And the suitability of the activities is discussed at each level. Chapter IV summarizes and organizes the results of the analyses in Chapter III. The types of transformation different from the original picture books are divided broadly into four: First, a case in which they include all texts and pictures of the picture books; second, one in which they include some texts and pictures; third, one in which two or more scenes are combined into one; fourth, one in which texts and pictures do not match with each other. And the results of an analysis of the textbook activities using the converted picture book materials included are as follows: First, mostly a phased approach is made, focusing on meeting the criteria for achievement and learning objectives. Second, the activities in the literature section tend to use the texts and pictures in an integrative way while the other sections tend to use them separately. Third, at the learner level, the level of difficulty and the interest are properly compo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 are implication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follows: First, in the process of including picture books in the textbooks, it is necessary to convert texts and pictures appropriately, so that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exts and pictures, and between the pictures, or minimize the conversion. Second, as criteria for selection of picture books to be included in textbooks, the relationship between writing and picture should be the first priority.Third, organizing the activities focusing on the multimodal characteristic and literary characteristic of the picture books will be used effectively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 are active studies of uses of picture books as educational materials for Korean language, and the 2009 revised Korean textbooks use various picture book materials. This study analyzed the status of the use of picture books at the level of curricula and textbooks. Yet, the value of curricula and textbooks are revealed only if they are learned by teachers and student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an analysis of cases of the uses of the picture book materials included in the textbooks in the scene of classroom and a study on the level of class like applicable models of instruction should be conducted. 본 연구는 그림책의 특성을 바탕으로 국어 교과서에서의 그림책이 어떻게 활용 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그림책의 특성은 글과 그림이 통합된 관계 속에서 의미 를 전달하는 것이다. 그리고 국어 교과서에서 그림책이 활용된다는 것은 첫 번째 로 그림책이 교과서 제재 형태로 변용되는 것, 두 번째로 그림책 제재를 학습하기 위한 활동을 구성하는 것이다. 즉, 2009 개정 교육과정 1-2학년군 국어 교과서에 서의 그림책 활용이 그림책의 특성을 적절히 반영하고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국 어 교육에서 그림책을 교육 자료로써 활용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Ⅱ장에서는 그림책의 개념 및 특성에 대하여 밝히고 초등 국어 교과서의 구성 방식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그림책의 국어 교육적 가치와 활용 방안에 대하여 탐 색하였다. 그림책은 글과 그림이 각자의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복합적으로 의미를 전달하는 문학 장르이다.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이러한 그림책의 특 성을 문학 영역의 성취 기준에서 언급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초 등 국어 교과서의 구성 방식에 따라 다른 성취 기준들과 함께 교과서 단원에 반영되었다. 그리고 그림책이 국어 교과서 및 국어 교육에서 활용되고 있는 방식은 크게 국어 교과서의 영역 구분에 따라 국어 활동(듣기·말하기, 읽기, 쓰기) 영역, 문학 영역, 문법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Ⅲ장에서는 국어 교과서의 그림책 제재 활용 실태를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초등 1-2학년군 국어 교과서이다. 우선, 그림책 제재 가 원작 그림책과 어떻게 달라졌는지 그림, 글과 그림의 관계, 파라텍스트의 차원 에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원작 그림책에서 그림책 제재로 변용된 사례들을 유형 화하였다. 두 번째로는 그림책 제재를 바탕으로 구성된 활동을 분석하였다. 활동 분석은 성취 기준 및 학습목표 수준, 제재 수준, 학습자 수준으로 나누어 진행하 였다. 그리고 각 수준에서 활동의 적합성을 논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이루어진 분석 결과를 요약하고 정리하였다. 그림책 제재 가 원작 그림책과 다르게 변용된 유형은 크게 네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그림책 전체의 글과 그림을 수록한 경우, 둘째, 그림책의 일부의 글과 그림을 수 록한 경우, 셋째, 두 장면 이상을 한 장면으로 합친 경우, 넷째, 글과 그림이 서로 맞지 않는 경우이다. 그리고 이렇게 변용되어 수록된 그림책 제재를 활용한 교과 서 활동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로 성취기준 및 학습목표의 달성 에 초점을 맞추어 단계적인 접근이 이루어진다. 둘째, 문학 영역의 활동에서는 글 과 그림을 복합적으로 활용하는 경향이 나타나는 반면, 이외의 영역에서는 글과 그림을 따로 활용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셋째, 학습자 수준에서 난이도와 흥미도 가 적합하게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국어 교육에서 가지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을 교과서에 수록하는 과정에서 글과 그림의 관계, 그림과 그림의 관계가 잘 드러날 수 있는 방향으로 적절히 변용하거나 변용을 최소화해야 한다. 둘째, 교과서에 수록할 그림책을 선정하는 기준으로 글과 그림의 관계를 우선 시해야 한다. 셋째, 그림책의 복합양식적 특성, 문학적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활동을 구성한 다면 그림책을 국어 교육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그림책을 국어 교육 자료로서 활용한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2009 개정 국어과 교과서에서도 그림책 제재를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과 교과서 차원에서 나타난 그림책 활용 실태를 분석하였다. 그런데 교육과정과 교과서는 교사와 학생에 의해 학습이 이루어져야 그 가치가 발현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교과서에 수록된 그림책 제재가 교실 현장에서 활용되는 사례 에 대한 분석과 적용 가능한 수업 모형과 같이 수업 차원의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제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