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시해설의 역사교육적 방법과 제안 : 서울역사박물관 중심으로

        최소심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에서는 서울역사박물관의 전시를 심도 있게 해설하는 방안을 연구해 보았다. 2002년 5월 21일 개관한 서울역사박물관은 현재 본관 외에 12개의 분관을 운영하는 도시역사박물관으로 성장하였다. 박물관 전시해설의 연구에서 많은 연구자들이 지적했던 것처럼 전시해설은 일방적인 지식의 전달을 넘어 관람객과 소통의 장소가 되어야 한다. 박물관의 교육적인 기능을 생각하면 박물관 교육보다 먼저 발달한 학교의 교육도 수용되어야 하지만 박물관에서는 학교 교육의 과거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것의 예로 전시해설이 일방적인 지식 전달만을 위주로 한다는 것이다. 새로운 전시해설의 기법을 위해서는 학교에서 연구하는 교수기법도 살펴보아야 한다. 우선 효과적인 전시해설을 위해 서울역사박물관의 전시해설 운영과 전시해설 교육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개선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전시해설 교육의 문제점으로는 전시해설 기법 교육이 부재한다는 것이 있었다. 그리고 전시해설을 소통하는 방법으로 실현하기 위해 학교 교육을 살펴보고 역사교육적 방법으로 제안하겠다. 전시해설자가 전시관에서 박물관 사회자로서의 역할을 할 때 소통은 더 수월해질 것이다. 유물에 대한 정보를 설명하고 질문을 통하여 관람객과의 대화를 주도하면서 소통의 장을 마련할 수 있다. 소통하기 위한 전시해설을 위해 서울역사박물관의 전시물을 중심으로 전시해설을 제안 하겠다. 바람직한 전시해설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많은 전시해설들이 일방적인 지식 전달 위주로 진행되고 있음을 주목하여 새로운 전시해설의 방법으로 역사교육적인 방법을 연구하였다. 역사교육에서 연구되고 있는 다원성과 비판적 시각, 인권을 적용하여 유물을 분석해 보았고, ‘4존 대한민국 수도 서울’ 전시관에서는 통일을 위한 역사교육이란 시각에서의 해설을 제안하였다. 역사교육적인 전시해설 방법을 통해 관람객과 소통하는 데도 새로운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paper, a method of in-depth explanation of the exhibitions of the Seoul Museum of History was studied. Opened on May 21, 2002, the Seoul Museum of History has grown into a city history museum that currently operates 12 annexes in addition to the main building. As many researchers have pointed out in the study of museum exhibition commentary, exhibition explanation should go beyond the unilateral transfer of knowledge and become a place of communication with visitors Considering the educational function of museums, school education, which developed earlier than museum education, should be accepted, but museums are showing the past of school education. An example of this is that the exhibition commentary focuses only on one-sided knowledge transfer For new techniques of exhibition explanation,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teaching techniques studied in schools. First of all, in order to effectively explain the exhibition, I would like to examine the problems of the operation and the education of exhibition commentary at the Seoul Museum of History, and suggest improvements. One of the problems with exhibition commentary education was the absence of training in exhibition commentary techniques. In addition, in order to apply a communicative method in the exhibition commentary, I will look at the school education and propose it as a historical education method. Communication will be easier when the exhibition commentator acts as a museum moderator in the exhibition hall. You can provide a place for communication by explaining information on relics and leading conversations with visitors through questions. I will propose an exhibition commentary as a way of communication, focusing on the exhibits of the Seoul Museum of History To present a desirable exhibition commentary method, I have studied the methods of history education as a new way of exhibition explanation,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many exhibition commentaries are centered on one-sided knowledge transfer. I analyzed the artifacts by applying pluralism, critical perspectives, and human rights that are being studied in history education, and proposed an explan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y education for reunification in the exhibition hall of Seoul, the capital of the Republic of Korea in Zone 4. Through the historical education approach in the exhibition explanation, new possibilities have been identified in communicating with audience.

      • 『세계력사』에 나타난 북한의 역사인식

        강진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고는 주체사관의 원리를 검토하고 그 내용이 『세계력사』의 서술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북한의 역사인식을 올바로 이해하는 바탕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주체사관의 주요원리는 인민대중 중심의 역사관, 민족혁명 중심의 역사인식, 수령과 후계자의 역할 강조로 나누어진다. 그 중 주체사관에서 가장 강조하는 것은 인민대중 중심의 역사관이다. 이로부터 출발하여 주체사관은 역사의 본질은 인민대중의 자주성을 위한 투쟁이며, 인류역사의 성격을 인민대중의 창조적 역사라고 본다. 또한 인민대중의 자주성과 창조성을 일깨우기 위한 역사의 추동력을 자주적 사상의식으로 정의한다. 하지만 인민대중이 역사발전의 자주적 주체가 되려면 반드시 수령의 지도를 따라야 한다고 규정하여 실질적인 역사발전의 주체를 수령으로 귀결시킨다. 이와 같은 주체사관의 원리는 북한 세계사 교육의 목표와 교과편제, 『세계력사』의 서술에도 반영된다. 그 결과 『세계력사』에서도 역사발전의 주체는 인민대중이며 이들의 자주적 요구와 창조적 활동으로 사회가 개조되고 역사가 발전한다고 설명된다. 특히 역사발전의 원동력을 인민대중의 자주성을 회복하기 위한 투쟁으로 보기 때문에 노예폭동, 농민봉기, 반제민족투쟁과 해방운동은 역사발전의 합법칙성을 설명할 수 있는 사건으로 중시한다. 이에 반해 인민대중과 대립되는 왕이나 노예주와 같은 지배계급의 착취, 종교, 수정주의, 제국주의 침략전쟁에 대해서는 철저한 비판과 부정적인 평가를 내린다. 하지만 사회역사발전을 이룩하기 위한 혁명운동은 고도의 의식적인 운동이며 심각한 계급투쟁을 동반하기 때문에 반드시 수령과 후계자의 지도가 필요하다고 설명한다. 본래 주체사관에서 수령은 김일성을, 후계자는 김정일을 뜻하지만 『세계력사』에서는 해당 사회의 혁명을 지도하는 대표자를 의미하며 이들의 지위나 역할은 매우 중요하게 그려진다. 그러나 이보다 더 강조되는 것은 세계 각국의 반제민족해방투쟁에 기여한 김일성의 지도력과 혁명업적이다. 『세계력사』에서 김일성은 앞서 나타난 지도자들 보다 월등히 우수하고 영향력 강한 위대한 지도자로 묘사되어 북한 사회주의의 우수성을 정당화한다. 이처럼 주체사관은 『세계력사』에 반영되어 세계사 학습을 통해 주체사상을 고양하며 민족자주사상과 애국주의 함양을 지향한다. 이를 통해 『세계력사』는 주체사상의 이론을 정교화하고, 대중적으로 확산하기 위한 정치사상교육의 일환임을 확인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of North Korea on the basis of examining the main elements of juche(self-determination) ideology reflected in Segyeryoksa. The main elements of juche ideology include: a people-oriented view of history; a historical consciousness centering on popular revolutions; and the central roles of the suryong(revolution leader) and his successor. The essential of element of theses is the people-oriented view of history. This historical view is the bedrock of juche ideology, which argues that the essence of human history is in the endless struggles of the popular masses for power to determine their own fate. The ideology claims that the historical impetus that awakens the popular masses to their creativity and capacity to determine their own lives is a voluntary or self-determination centered ideology. But asserts that the popular masses must obey a suryong in order to become active subjects of historical evolution, there by transferring the role of leading historical evolution to one single leader. The elements of juche ideology form the foundation of the objective of the North Korea world history curriculum and Segyeryoksa. Segyeryoksa asserts that the active subjects of historical evolution are the popular masses, whose voluntary demand and creative activities reform the society and lead the progress of history. Because juche ideology locates the impetus of historical evolution in the struggles of the popular masses to gain power to determine their own fate, such historical events as slave riot, peasant uprising, and anti-imperial nationalist movement and independence fight are treated as the evidence supporting such view on history. But renders scathing criticisms and negative judgments on the exploitation of ruler(such as king and slaveholder), religion, revisionism, and imperialist invasion and colonialism. The book goes on to assert that, since revolutionary struggles for the sake of social and historical evolution required a highly sophisticated consciousness and accompany serious class conflicts, such struggles require the strong leadership of the suryong and his successor. In juche ideology, these positions are personalized: the suryong refers to Kim il-sung, while his successor refers to Kim Jong-il. Segyeryoksa, however, includes all leaders of revolutions in a given society under the category of suryong, whose roles and positions in the history of society could not be emphasized more. Even more emphasized, however, are the leadership and accomplishments of Kim il-sung who is depicted as having made crucial contributions to the liberation of peoples of various nations from oppressive and exploitative forces. Kim il-sung is described in Segyeryoksa as incomparably superior to all the previous leaders of world revolutions, and his power and influence justify the superiority of the North Korea version of socialism. Segyeryoksa seeks to inculcate students in juche ideology by teaching them a highly selective version of world history. The ultimate objective of the book is to instill strong ideologies of self-determination and patriotism in students. Segyeryoksa, in other words, is an elaboration of juche ideology and is an political tool used to support the legitimacy of the ideology.

      • 예산 역사문화의 특징과 역사교육 활용방안

        정헌주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지방자치가 시작된 이후로 각 지역에서는 지자체와 주민들에 의한 지역문화의 계승과 발전이 새삼 강조되고 있다. 더불어 문화관련 콘텐츠와 한류의 영향으로 문화ㆍ관광산업이 각광을 받게 되면서 수도인 서울뿐만 아니라 지역의 지자체에서도 지역사 연구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지고 있다. 각 시ㆍ군에서는 향토지를 발간하는 경우가 늘어났고, 지자체의 지원을 받아 향토사 단체를 중심으로 지역사 자료를 발굴ㆍ정리하여 연구하는 작업이 활성화 되었다. 이렇듯 시대의 흐름과 맞물려 지방자치제도의 발전과 함께 지역사에 대한 관심과 연구도 늘어난 것이 사실이다. 역사교육계도 마찬가지로 지역사의 중요성에 대하여 역설하고 있다. 앞으로 이러한 경향은 더욱 확대될 것이다. 하지만 역사교육이 이루어지는 일선 교육현장에서는 아직도 제대로 된 지역사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지역사 교육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은 강조되지만 실질적으로 교단에서 지역사를 가르치는 일은 쉽지 않은 현실이다. 중앙중심의 교과서식 역사수업이 대부분이고, 집중 이수제 역사 수업의 경우 한 학기 동안 수백 쪽에 달하는 교과서를 다 가르쳐야 한다. 여기에 지역사 수업까지 하게 되면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현실을 고려하여 지역사 교육이 역사 수업에 활용될 수 있도록 예산군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기존의 예산군에 관련된 연구 자료로는 군지류를 비롯한 몇 권의 단행본들이 있지만 지역사 수업자료로 쓰기에는 너무 방대한 양이다. 이러한 자료는 실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수업에 활용하기는 무리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그래서 예산을 바탕으로 한 주요 역사와 문화에 관련하여 정리하였다. 내용은 크게 유교ㆍ불교ㆍ민속ㆍ예술ㆍ건축문화 등으로 세분화 한 다음 중학교 역사 수업에 적용시키고자 하였다. 예산군은 선사 이래 각 시대의 유적이 산재되어 있는 지역이다. 군내 대흥면 동서리의 청동기 유적, 백제 부흥 운동의 최후 거점 중의 하나로 유명한 임존성, 백제 석불의 대표적인 예산 화전리 사면불상, 현존하는 고려시대 건물 중 특이하게 백제적 곡선을 보이는 목조건축으로 유명한 국보 49호인 수덕사 대웅전 등 풍부한 문화유적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예산의 오랜 역사성과, 이를 바탕으로 한 자료들을 토대로 정리하였으며 중학교 역사 수업과 연계한 활용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Since the start of local self-government,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local culture by the local self-governing body and the residents in each region are being emphasized again and again. In addition, as cultural and tourism industry took center stage due to the influence of culture-related contents and Hanryu (i.e. Korean Wave), interest for the study of regional history is greatly on the rise in municipalities as well as the capital city of Seoul. In each municipalities, cases of publishing local history have increased and research activities of excavating and organizing local historical data have flourished supported by the local government and centered around organizations for local history. As such, interconnected with the stream of times and along with the advancement of the local government system, the interest for and research on local history have indeed increased. Likewise, the history educational circles are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local history. However, at the front-line of educational field where education of history takes place, proper education of local history is still far from being realized. The importance and need for local history are being emphasized but the reality is that it is not easy to teach local history to the students in practice. Most of the lessons were composed of centrally-focused text-based history instruction, and in the case of history according to the Concentrated Subject System, lessons must cover hundreds of pages of textbook within a semester. To add local history on top of this curriculum is bound to be a burden. Considering such reality, this study arranged a local history focusing on Yesangun to find ways to utilize such local history in history education. The existing relevant research materials on Yesangun include chronicles of the gun and several other books. But they were too extensive to be used as local history class material. It was determined that these materials are not appropriate for classroom application with students in real situation. Therefore, major history and culture based on Yesan was organized. The contents were largely broken down into Confucianism, Buddhism, folklore, art and architecture, and were arranged for history lessons in middle schools. Yesangun is an area where remains of each period since the prehistoric era are scattered. It is an area abundant with cultural remains that includes; the remains from the Bronze Age in Daeheungmyeon Dongseori; Imjonseong which is famous for being one of the last footholds of Baekje renaissance movement; Yesan Hwajeonli Samyeonbulsang (i.e. four-sided statue of Buddha) which is a representative Baekje stone statue of Buddha; and the national treasure 49, Sudeok Temple Daeungjeon (i.e. the main inner temple) known for its wooden building exhibiting Baekje style curves among existing structures from the Koryo period. Therefore, this paper is significant in that it arranged the historicity of Baekje and based on the arranged materials sought ways to connect them with middle school history lessons.

      • 일제강점기 에비 미치타카(蝦道隆)의 역사교육관과 초등 역사수업

        이은홍 동국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고에서는 에비 미치타카의 교육 활동과 역사교육관을 분석하여 그의 초등 역사수업을 재구성하였다. 효과적인 분석을 위해 1930년대 전반기 조선 교육계의 동향과 역사과 교육과정 및 역사교과서를 살펴보았다. 당시 식민지 조선에서는 교육 목표로 내선융화가 등장하였고, 서양의 다양한 교육 사상과 슈프랑거·듀이 등이 제시한 교수 방법이 소개되었다. 더불어 역사과 교육과정에서는 일본 국체의 이해와 국민지조의 양성을 목표로 두었고, 조선총독부가 편찬한 『普通學校國史 兒童用』 上·下卷과 『普通學校國史』 卷一·二가 역사교과서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재조 일본인 교사 에비 미치타카의 저술활동과 역사교육관을 살펴보았다. 그는 경성사범학교 훈도로 근무하면서 『朝鮮の敎育硏究』에 역사교육과 관련된 논설문, 수업지도안, 교재해설과 지도상의 유의점 등 37편의 글을 활발히 게재하였고, 『普通學校國史敎授書』 卷一을 집필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에비 미치타카가 작성한 수업지도안과 교수서를 근거로 와케노 기요마로와 쇼토쿠 태자를 가르치는 역사수업을 재구성하였다. 그 결과 에비 미치타카의 역사수업에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나타났다. 첫째, 에비 미치타카의 역사교육 목적은 일본의 국체인 천황체제를 유지하고 강화하려는 이데올로기 교육이었다. 이는 1930년대 전반기 역사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던 국체의 확립과 국민지조 양성의 목적과 부합한다. 그리고 역사교육의 부수적인 목표로 내선융화의 확산을 내세워 1930년대 후반에 내선일체로 나아가도록 하였다. 또한, 사상 교육을 실시해 민족주의를 강조하였지만 사회주의 사상의 침투는 차단하려고 하였다. 이러한 관점은 그의 수업에서도 부각되었다. 와케노 기요마로를 가르치는 수업에서 천황제 이데올로기 강화를 위한 교수 지침이 나타났고, 백제계 귀화인 쿄키를 교수 자료로 삼아 내선융화를 추구하였다. 또한, 쇼토쿠 태자를 가르치는 수업에서도 17조 헌법과 일본 문화를 강조하여 조선 학생들에게 일본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가지도록 가르쳤다. 둘째, 에비 미치타카의 역사수업에서는 최신 역사 교수 방법들이 본래의 취지와 달리 천황제에 기반을 둔 국가주의적 내용을 전달 및 강화하는 수단으로 이용되었다. 에비 미치타카는 역사수업에 활용이 가능한 ‘➀ 이회와 감정이입’, ‘➁ 생활지도’, ‘➂ 교편물의 활용’, ‘➃ 아동중심주의 학습법’, ‘⑤ 개발주의 설화법’ 등의 당대 최신 교수법을 제시하였다. 천황제 이데올로기 강화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업지도안과 교수서에서 이와 같은 5가지 방법을 활용하였던 것이다. 특히, 와케노 기요마로와 쇼토쿠 태자를 가르치는 역사수업에서 5가지 교수 방법의 활용 사례가 명확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방법들은 역사수업에서 학생들의 역사적 상상력과 판단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당대에 독일과 미국 등에서 유행하던 최신 교육학설이 반영된 교수법이기도 하다. 하지만 에비 미치타카는 이러한 교수법들을 천황체제 이데올로기와 일본 중심의 국가주의 역사관을 강화하는 수단으로 사용하였다. 물론, 재조 일본인 교사 에비 미치타카의 수업지도안과 교수서에 나타난 역사수업의 형태를 일제강점기에 모든 역사수업으로 일반화 시킬 수 없다. 또한, 경성사범학교에서 근무했던 에비 미치타카가 국가의 교육정책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자신이 추구하는 방향으로 역사수업을 설계하지 못하였을 가능성도 크다. 이러한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재조 일본인 교사 에비 미치타카의 역사수업 사례는 일제강점기 역사수업의 목적과 방향성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 교수요목기 '우리나라 생활'의 내용 구성과 국사교육론

        박정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교수요목기 중학교 사회생활과 교수요목의 역사 부분과 국사 과목인 ‘우리나라 생활’의 내용 구성을 분석하고, 교수요목 제정 관련 인물들의 역사인식과 『우리나라 생활』 교과서 집필자들의 학문적 성향 및 교과서 내용을 당시 역사교육 연구에 비추어 검토함으로써 교과서에 반영된 국사교육론을 밝히고자 하였다. 1947년 발표된 중등 교수요목에서 역사는 공민, 지리와 함께 ‘사회생활과’라는 통합적인 교과로 편제되었으며, ‘우리나라 생활’은 중학교 3학년 과정에서 배우게 되었다. 교수요목에 근거하여 발간된 『우리나라 생활』 교과서는 1949년 9월부터 학교현장에서 사용되었다. 해방 이후 교수요목은 생활을 강조하였고, 국어교육과 더불어 국사교육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국사를 세계사보다 늦게 배우고 시업 시수도 세계사보다 적었는데 이는 국사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도 당시의 국제관계를 고려하여 국사를 세계사적 맥락으로 바라보아야 한다는 관점을 반영한 것이다. ‘우리나라 생활’의 내용 구성을 보면, 교수요목의 내용 제시 원칙을 준용하여 시대별 연관성을 유지하였다. 학습 내용면에서는 현재의 사회 상태를 반영한 정치사를 먼저 이해해야 한다는 취지로 정치, 문화, 사회생활의 순서로 배열하였고, 정치사 영역이 여전히 높지만 문화 및 사회생활사도 강조하였다. 또한 민족성 관련 단원을 따로 편성하여 반영하는 등 민족을 강조하는 내용 구성의 특징을 보였다. 교수 방법에 있어서는 기존의 강의식, 주입식 방법을 과감하게 탈피하여 학생의 사고력과 비판력을 신장할 수 있는 다양한 체험 위주의 민주주의적 교수와 설문식 교수방법을 강조하였다. 교수요목의 ‘우리나라 생활’ 역사 부분 제정과 관련된 인물은 황의돈, 신동엽, 사공환 등이다. 민족 문화의 자부심을 중시하고 민족성을 강조하는 이들의 역사인식은 ‘우리나라 생활’ 제정 과정에 반영되었다. 『우리나라 생활』 교과서의 대표적 집필자들을 살펴보면, 신민족주의 사학 계열의 손진태와 이인영은 민족의식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위인들의 업적과 애국적 행동을 교훈으로 삼고자 인물을 강조하였다. 실증주의 사학 계열의 이병도와 유홍렬이 집필한 교과서는 사료를 바탕으로 사실적인 학문 연구 결과를 상대적으로 충실히 반영하였고 문화 및 생활사의 내용이 다른 집필자들의 교과서보다 많았다. 문화사학 계열의 김성칠은 문화사를 강조하여 넓은 의미의 문화사 속에서 시대적 정신을 밝히고자 하였다. 『우리나라 생활』 교과서의 국사교육관에는 여러 가지 공통점도 찾아볼 수 있다. 첫째, 민족 중심의 단결을 강조한 역사를 중시하였고 둘째, 국사와 세계사와의 연계를 통한 관계를 강조하였으며 셋째, 현재와의 관련성을 중시한 점들이다. 교과서 집필자들은 모두 어려운 시대적 상황을 극복하고, 민주주의 수용과 더불어 민족의 자부심과 발전성을 갖는 국사교육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교수요목기 사회생활과 속의 역사과라는 당시의 역사교육은 정부 수립 이후 국사교육의 정착과정에 영향을 미쳤으며, 현재도 사회과 속의 역사과목이라는 형태로 틀을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교수요목기 연구 성과가 미흡한 세계사 분야를 비롯한 다양한 측면에서 교수요목기의 역사교육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 손진태의 역사교육론과 역사교육의 유용성

        신동수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손진태의 역사교육론과 역사교육의 유용성 오늘날 학생들의 역사인식은 부정적으로 조사되어 사회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역사는 과거를 통해 현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며, 풍요로운 삶을 살아갈 수 있게 해주는 과목 중 하나이므로, 학생들에게 꼭 필요한 교육이다. 그런데 현재의 청소년들은 역사를 생활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느끼면서 역사교육을 단순히 암기만 하면 되는 과목으로 생각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광복 이후 새로운 역사교육을 확립하여 자주적 민족국가 건립에 도움이 되고자 했던 손진태의 노력을 새겨볼 필요가 있다. 당시 한국 사회는 일제 강점기에서 해방 되었지만 극심한 이데올로기의 대립으로 인한 남북분단이라는 혼란한 사회를 맞이하게 되었다. 또한 역사교육계는 일제 식민지 교육의 잔재와 봉건주의 사관으로 인해 청소년들에게 올바른 역사인식을 확립할 수 없게 되었다. 그리하여 손진태는 신민족주의사관을 기본 이념으로 새로운 역사교육을 건설하고자 했다. 손진태가 생각한 역사교육은 역사를 통해 교훈을 얻어 새로운 사회의 귀감이 되고, 민족의 발견을 통해 민족의 주체성을 고취하고자 하였으며, 세계주의를 강조하여 배타적 · 폐쇄적인 민족이 아닌 개방적 · 세계적 · 평등적으로 모든 민족의 친화를 목표로 하였다. 그리하여 자주적 민족국가를 건립하기 위한 토대가 되어줄 학생들에게 현실적 · 실천적인 역사교육을 추구하였다. 이렇게 손진태가 확립하고자 한 역사교육은 오늘날 연구되는 역사교육의 유용성과 유사한 점이 있다. 그것으로는 역사를 배움으로 교훈을 얻으며, 문화유산의 전승을 통해 민족의식을 고취시키고, 현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며, 다양한 관점을 통한 국제사회의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역사교육은 우리의 뿌리를 배움으로 학생들의 자아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는 교육이다. 역사에서 교훈을 얻게 되면 현재의 문제해결에 길잡이가 되고, 바람직한 미래를 위한 실마리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역사교육은 고정된 가치관에서 벗어나 다양한 관점으로 다른 문화나 국가를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역사교육의 유용성 중 하나인 역사에서 교훈을 얻는다는 인식으로 해방 이후 역사교육을 확립하기 위해 노력했던 손진태를 바라본다면, 오늘날의 역사교육에 중요한 의미를 시사해줄 것이다.

      • 교실수업에 나타난 발도르프 교사의 역사교육관과 그 실천

        김승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발도르프 교육철학에 기반을 둔 교사의 역사교육관이 역사수업의 내용과 방법으로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탐색하고, 발도르프학교의 역사수업이 초등 역사교육의 내용 구성과 교수·학습활동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가람발도르프학교 교사 2명의 역사수업과 나래발도르프학교 교사 2명의 역사수업을 관찰·분석하였고, 자료의 분석과 해석을 정교화하기 위해 교사 면담을 병행하였다. 관찰·분석한 역사수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발도르프학교 교사들이 주기집중수업에서 보여준 다양한 활동은 학생들의 역사이해를 도왔다. 그들은 시 낭송, 리코더 연주 및 놀이 활동, 이야기와 예술 활동 등으로 수업을 이끌어갔다. 둘째, 교사들은 역사학습을 학생들의 삶과 연결하고자 했다. 학생들이 살아가면서 경험할 수 있는 역사적 사실이나 주제를 학습내용에 포함하고, 갈등의 해소나 문제해결을 고민할 수 있는 활동을 했다. 셋째, 그들은 학생 내면의 의식발달에 맞는 학습내용을 선정하기에 힘썼다. 학생들의 발달단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수업 주제 및 관련 역사 인물을 학습 내용에 포함시켰다. 교사들의 이런 역사수업 실천은 기본적으로 발도르프 교육의 원리에 기초를 두고 이루어졌다. 그러면서도 다른 한편으로, 그 원리를 해석하고 적용하는 측면에서는 교사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이는 발도르프 교육이 가지고 있는 교사의 자율성 존중의 측면, 그리고 역사수업이 가지는 성격에서 비롯된 결과이다. 발도르프학교의 역사수업이 초등학교 역사교육 내용 구성 및 교수·학습활동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역사교육이 역사교육의 시작으로서 역할을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교실 역사수업에서 학생들의 삶과 관련 있는 주제를 다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역사를 공부한다는 것은 인간을 이해하는 것임을 학생들이 깨달을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 둘째, 역사를 가르치는 교사들은 교과서 내용을 맹목적으로 전달하기보다는 역사를 다양한 관점으로 해석하는 자료로 활용함으로써, 역사와 다른 교과를 연계하는 수업 구성과 블록 타임제 운영 등 교실 역사수업의 자율성을 확대해야 한다. 셋째, 학생들에게 살아 숨 쉬는 역사를 가르치기 위해서는 이야기와 예술 활동 등을 통한 정서적 접근의 역사수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역사적 사실에 대한 교실 내 소통을 통해 역사해석의 다양성과 변환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 위인 중심 스토리텔링 역사교육이 유아의 대인문제해결능력 및 국가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김선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 역사교육의 중요성 및 가치를 인식하고 유아교육기관에서 적용할 수 있는 스토리텔링을 통한 구체적인 역사교육활동을 개발, 적용하여 유아의 대인문제해결능력 및 국가정체성 발달을 지원하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다원적인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유아가 타인과 관계 맺으며 직면하는 여러 문제들을 적절히 해결하고, 한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바른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인 중심 스토리텔링 역사교육이 유아의 대인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위인 중심 스토리텔링 역사교육이 유아의 국가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경기도 S시에 위치한 유치원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대상 집단은 실험집단 A학급 18명, 비교집단 B학급 18명으로 총 36명이다. 실험집단의 성비는 남아 9명, 여아 9명이며 비교집단의 성비는 남아 9명, 여아 9명으로 균등한 비율을 유지하였다. 비교집단은 실험집단과 물리적 환경과 인적 환경의 조건이 유사한 기관의 다른 학급 유아들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위인 중심 스토리텔링 역사교육이 유아의 대인문제해결능력 및 국가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 사전검사 후 실험집단에는 위인 중심 스토리텔링 역사교육을 처치하고 비교집단에는 일반적 교육과정 운영계획에 따른 누리과정의 생활주제를 중심으로 하는 교육활동을 제시하였다. 실험처치 기간은 8주로 하고, 매주 2회 30분씩 16회의 위인 중심 스토리텔링 역사교육을 실험집단에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얻은 결과는 첫째, 위인 중심 스토리텔링 역사교육을 실시한 후 실험집단은 비교집단 보다 대인문제해결능력이 유의미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별로는 대안적해결사고 교사문제, 대안적해결사고 부모문제, 결과예측사고 부모문제, 대안적 해결사고 친구문제, 결과예측사고 교사문제 순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둘째, 위인 중심 스토리텔링 역사교육을 실시한 후 실험집단은 비교집단 보다 국가정체성이 유의미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 영역에서 전통문화, 민족동질성, 국가상징, 민주시민의식 순으로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위인 중심 스토리텔링 역사교육을 통해 유아가 역사 속 위인의 과거와 현재, 사용했던 물건과 문화의 시대적 변화에 대해 이해하며 국가정체성을 키울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함께 역사 속 위인의 고난과 역경을 꾸준한 인내와 문제해결로 풀어나가는 과정을 통해 유아 또한 자신의 문제와 연결하여 창의적으로 해결하게 되며 대인문제해결능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 초등학생의 비판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유튜브 역사 콘텐츠 읽기 프로그램

        이소영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10대 청소년들의 미디어 이용 실태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이제는 학생들이 궁금한 것이 있거나 관심 있는 내용을 검색할 때 책보다 검색 포털 및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을 이용한다. 특히 초등학생들은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을 검색의 주요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 그런데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 중 가장 영향력이 큰 유튜브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있다. 첫째, 잘못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둘째, 편향된 관점을 가지게 할 수 있다. 이에 올바른 판단을 할 수 있는 민주시민 양성이 목표인 사회과교육에서는 학생들이 유튜브 콘텐츠를 비판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비판적 사고력이 신장되면 유튜브 역사 콘텐츠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제 및 상황에 있어 올바른 판단을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튜브 콘텐츠와 비판적 사고에 대한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비판적 사고력 신장을 위해 유튜브 콘텐츠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 탐구하고, 그중에서도 역사 콘텐츠를 소재로 하여 비판적 읽기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이후 수업 자료와 학습지, 사전‧사후에 실시한 비판적 사고 기능 및 성향 검사 결과, 프로그램 전‧중‧후 실시한 설문 조사 결과, 심층면담 자료 등을 활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유튜브 역사 콘텐츠 비판적 읽기 프로그램은 기존에 영화, 드라마 등의 영상 텍스트에 적용된 비판적 읽기 모형을 유튜브 콘텐츠 특성에 알맞게 수정 및 보완하여 적용한 것이다. 비판적 읽기 모형을 수업의 큰 틀로 잡고 비판적 사고 기능 및 성향의 하위 요인 또한 수업과 학습지에 적용하여 이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유튜브 역사 콘텐츠 비판적 읽기 프로그램은 총 10차시로 구성하여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본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 기능, 비판적 사고 성향, 유튜브 역사 콘텐츠에 대한 인식에 있어 모두 긍정적인 변화를 보여주었다. 비판적 사고 기능과 비판적 사고 성향 모두 평균 점수가 상승하였고, 대부분의 학생들이 프로그램 진행 전에는 유튜브 역사 콘텐츠를 신뢰하였는데 프로그램 진행 후 90% 넘는 학생들이 신뢰하지 않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질적 연구 결과 학생들은 유튜브 역사 콘텐츠에 대해 의심하는 태도를 보여주었고, 이 프로그램을 통해 비판적 태도에 대해 확실하게 인식하고 내면화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역사교육과 미디어교육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유튜브 역사 콘텐츠 비판적 읽기 프로그램을 위해 유튜브 콘텐츠를 비판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활용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