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 comparative study on differences in experiences and opinions on English proficiency improvement between English teachers and interpreters

        김민정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9695

        영어를 원어민처럼 잘 말할 수 있다고 해서 영어를 잘 가르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요즘은 높은 영어숙련도를 갖추지 않고는 영어교사를 하기 힘든 상황이 되었다. 영어로 영어를 가르치는 TETE (Teach English Through English) 시행과 함께, 영어교사들의 영어숙련도를 높이는 것이 그 어느 때보다도 강조되고 있다. 이런 현실과는 대조적으로, 현직 교사들의 영어실력에 대한 불신과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그리고 영어교사들 자신도 이런 변화에 준비가 되어 있지 않고 걱정스럽게 생각한다는 연구들이 많이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상황에서, 현직교사가 재교육을 받고, 예비교사가 교사가 되기 위한 교육을 받는 교육대학원이 이런 현직, 예비 교사들이 필요로 하는 부분을 교육과정에서 제공하고 있는가를 살펴 볼 필요가 있다. 현재 영어교사들의 영어숙련도를 높일 필요가 있지만, 현재 교육대학원에서는 이런 요구를 교육과정에 제대로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는 가정 하에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가정이 맞는가를 증명하기 위해 교육대학원 영어교육과 졸업생 및 재학생을 대상으로 교육과정에서 강조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부분과 교육과정에서 실제로 경험한 바를 묻는 설문을 실시했다. 경험과 생각한 것과의 차이점이 있다면, 그 간극을 줄여나가야 교육대학원이 변화하는 환경에서 실력을 갖춘 교원을 양성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이런 교육대학원 학생 집단 내 비교와 더불어, 다른 대학원 교육과정과의 집단 간 비교도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대학원 입학부터 졸업까지 영어구사력을 더 높이기 위한 노력이 요구되며, 졸업 후 현장에 투입이 되었을 때, 영어구사력을 갖춰야지만 활동할 수 있는 집단으로 통역대학원 한영통역과를 비교 대상으로 선정했다. 두 집단의 학제간 연구의 필요성은 문헌 분석을 통해 더 자세히 알아보았다. 설문 조사 결과, 교육대학원과 통역대학원 교육과정에서의 경험은 상이한 것으로 드러났다. 예를 들어, 실제 수업을 연습하고 이에 대한 피드백을 받을 기회가 실제 통역을 연습하고 피드백을 받을 기회보다 적었다. 좋은 퍼포먼스를 구성하는 요소나 피드백의 효용성 등에 관해서는 두 집단의 의견차가 거의 없었다. 단, 전공지식함양의 중요성에 대해 영어교사 집단이 통역사 집단보다 더 중요하다고 답했다. 결론적으로 영어교사나 교육대학원 재학생이 생각하는 바가 교육과정에서의 실제 경험으로 연결되지는 못했다. 단적이 예로 피드백을 받는 것이 실제 수업을 하는 역량을 높이는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지만, 실제 교육대학원 과정에서는 이런 기회가 많이 제공되지 못했다. 반면에 통역대학원 학생이나 통역사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요소들과 실제 교육과정에서의 경험은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실제 통역을 연습하고 피드백을 받는 것은 통역대학원 교육과정의 중요한 축을 차지하고 있다. 실제 시연기회와 피드백이 영어숙련도를 높인다는 사실은 출력 가설 (output hypothesis) 등의 외국어습득 이론으로 이미 증명된 바 있다. 따라서 현재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이 영어교사의 영어숙련도를 높이는데 있어서 개선되어야 한다는 본 연구의 가정은 맞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언급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영어교사 교육과정에 그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실제 수업 기회와 피드백 기회가 더 많이 제공될 것을 권고하는 바이다.

      • 교육대학원 영어교육 전공 교과과정 분석연구

        박내경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95

        As more emphasis is laid on English and the position of English more heightens entering the age of internationalization and globalization, accordingly there is increased interest in English education, and as recently policies of implementing English immersion education programs have been announced, it has become the actual state that interest in public English education is increasing more than any other time. Keeping pace with this increasing interest, teacher quality required for implementing English immersion education programs has become a rising subject of discussion, and voices for teacher cultivation and re-education are being heard everywhere. In order for public English-language education to be reinforced, first of all teacher professionalism should be enhanced, and in order to examine the professionalism, it is necessary to take a look at curricula in institutions for cultivating English teachers, and of those curricula, it is needed to consider curricula in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nd also strategies employed in each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for reinforcing public English education.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d the curriculum in each educational institution for teacher education, and conducted investigation and analysi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questionnaire surveys on the subjects and contents of articles, and ultimately laid its purpose on finding out strategies for qualitative improvement in curricular in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in the future.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reached through this study.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here are differences in which functions should be carried out by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ccording to occupations, teaching systems in schools, the presence and absence of a teacher license,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001). Specifically in the case of actual teachers, the response of continuing education and re-education for enhancing teacher quality was 65.3% showing the relatively higher rate than in other occupations, and instructors indicated the specialization of educational functions for various education consumers as a needed function as 55.6%. There are different opinions on functions which should be carried out by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ccording to the study subjects. In addition, persons with a teacher license indicated continuing education and re-education as a function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current teachers as 62.8%, and persons without a teacher license indicated educating teachers as educational institutions as a function for cultivating teachers as 42.1%. Second, as a result of taking a look at satisfaction with the curriculum for English education, as subjects considered as possibly (certainly) being a help in actual educational settings, in the case of schools implementing teacher cultivation programs and persons with a teacher license, the area of English skills was mostly considered as helpful, while in the case of persons without a teacher license and schools implementing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the area of English education was mostly considered as helpful. On the other hand, as subjects possibly (certainly) not being a help, the area of English-American literature was mostly indicated, showing the result similar to the finding by Jeong Gyeong-ah (1995). Accordingly, we could understand that it is necessary to deal with English-American literature in a practical way and then link it to actual educational settings. In addition, it is one of desirable methods to deal with subjects of English subject education and English skills and also those should be linked to curricular for middle and high schools.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eaching methods for English education in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he most generally employed teaching methods was lecturing (59.4%), while not showing big differences according to respon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As the generally used teaching means, blackboards were indicated mostly (52.6%). The response of the blackboard showed more in the case of providing teacher cultivation programs rather than in the case of providing teacher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and in the case of the latter rather than the former, the use of other means was indicated more. In schools cultivating teachers, effective lecturing was practiced in order to help acquire a teacher license, while in schools giving re-education for such as teachers, other teaching methods rather than lecturing were more practiced. However, various methods fit to the research areas of professors and characteristics of subjects should be applied to class activities and various teaching methods should be sought, so that student-lead class activities could be designed and carried flexibly.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evelopment of English education, as what is needed to be improved most within the English curriculum, it is indicated by majority of respondents irrespective of groups that the development of the improved systematic English curriculum by study areas is required most. As what is needed for the development of English education, the development of English education programs was indicated, and what should be given priority for the development of English education is also to develop English education programs. Beside existing subjects, one should develop other application subjects required in actual educational settings, open related courses, and thereby reinforce teacher professionalism for vitalizing public English education. The quality of education depends on the quality of teachers, and good education presupposes the existence of quality teachers. Especially, in the education of foreign language such as English, the quality of teachers would be important more than anything. In light of this, Educating teacher can be said to be an important task i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In order for these teachers to improve professionalism, educational efforts should be given to the system of teacher education and the process of teacher cultivation in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nd also in order for English teacher education in these schools to be fit to English education according to policies of reinforcing public education, continuous efforts and countermeasures should be made. 국제화, 세계화 시대에 들어서면서 영어의 비중이 높아지고 영어의 위상이 높아짐에 따라 자연히 영어교육에 대한 관심도 증대되었으며 근래에는 몰입식 영어 교육의 시행에 대한 정책들이 발표되면서 그 어느 때보다 영어 공교육 강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관심의 연장선에서 몰입식 영어교육 시행에 필수적으로 갖추어져야 할 교사자질 문제가 거론되며 교사양성, 교사 재교육에 관한 목소리가 곳곳에서 터져 나오고 있다. 영어 공교육이 강화되기 위해서는 우선 교사의 전문성이 무엇보다도 강화되어야 할 것이며 이러한 전문성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영어교사 양성기관의 교육과정을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며 그 중에서도 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에 대해 고찰해보고 각 교육대학원이 지니고 있는 공교육 강화 방안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사교육을 위한 각 교육기관의 영어교육 교과과정을 살펴보고, 논문의 주제 및 내용을 문헌과 설문을 통해 조사, 분석 하였으며, 향후 교육대학원 교과과정의 질적인 향상을 이루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원에 대한 인식차이를 살펴본 결과, 앞으로 교육대학원이 수행해야할 기능에 대한 차이로 직업, 학교 수업 체계, 교사 자격 증 취득 유무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1) 교사의 경우 현직 교원의 자질 향상을 위한 계속 교육, 재교육이라는 응답이 65.3%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타 직업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강사는 다양한 교육 수요자를 위한 차별성 있는 교육 기능의 분화라는 응답이 55.6%로 높게 나타났다. 대상에 따라 교육대학원이 수행해야 할 기능에 대해 상반된 의견이 나타났다. 더불어 교사 자격증이 있는 경우 역시 현직 교원의 자질 향상을 위한 계속 교육, 재교육이라는 응답이 62.8%로 높게 나타났으며, 교사 자격증이 없는 경우 교원 양성기관으로서 예비 교사 교육이라는 응답이 42.1%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영어 교육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도에 대해 살펴본 결과 실제 교육현장에서 가장 도움이 될 것 같은(되는) 과목으로 교원 양성 교육을 실시하는 경우와 교사 자격증이 있는 경우는 영어 기능 분야가 가장 도움이 된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난 반면, 교사 자격증이 없는 경우와 교원 계속 실시를 하는 학교인 경우 영어 교육 분야가 도움이 된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도움이 되지 않는(않을 것 같은) 과목으로는 영미 문학 분야라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정경아(1995)의 결과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영미 문학과목을 실용성 있게 다뤄, 실제 교육 현장과 연관성 있게 반영하여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영어 교과 교육이나, 영어 기능에 대한 교과목을 체계적으로 다루는 것도 좋은 방법 중에 하나이며, 중, 고등학교의 교육 과정과 연관성 있게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교육대학원 영어 교육 교수 방법에 대해 살펴본 결과 일반적으로 주로 이용되는 교수법은 강의법이 59.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응답자의 일반적 사항에 따라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주로 활용하는 교수 매체로는 칠판이 52.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교원 양성 교육을 실시하는 경우 교수 매체로 칠판이라는 응답이 교원 계속 실시하는 경우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교원 계속 실시하는 경우는 기타 매체를 이용한다는 응답이 상대적으로 교원 양성 교육을 실시하는 경우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교원을 양성하기 위한 경우는 교사 자격증 취득을 위해 효율적인 강의법을 주로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현재 교사 등의 재교육을 실시하는 교원 계속 실시의 경우는 강의법 외의 다른 교수법을 실시하는 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교수의 연구 분야와 교과과목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방법으로 수업이 진행하고, 다양한 교수방법을 모색하여 융통성 있는 학생 주체 수업을 운영하는 것이 앞으로는 더더욱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영어 교육 발전에 대해 살펴본 결과 영어 교육과정 중 가장 필요한 개선점으로 분야별로 향상된 체계적인 영어 교육 과정을 개발하는 것이 가장 필요한 개선점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집단에 큰 관계없이 과반수이상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 교육 발전을 위해 가장 필요한 것으로 영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가장 필요한 점으로 나타났으며, 영어 교육 발전을 위해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하는 것은 영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가장 급선무이다. 기존의 교과과정 외에 실제 교육 현장에서 필요시 되는 다른 응용과목들을 개발하고, 이를 개설하여 영어 공교육 활성화를 위해 교사의 전문성 강화해야 할 것이다. 교사의 질적 수준은 교육의 질을 좌우하며 좋은 교육이란 훌륭한 교사가 존재해야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영어와 같은 외국어 교육에 있어서 교사의 자질이란 무엇보다 중요할 것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교사교육의 문제는 교육발전에 있어서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서는 교사교육의 체계와 교사 양성과정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며, 이러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교육대학원의 영어교사교육들이 공교육 강화 방안에 따른 영어교육에 적합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과 대응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 한국어 학습자용 워크북 쓰기 활동 유형 분석 연구

        허미정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9679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writing activitie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Workbooks as a second language. This study will provide support for teachers to select or reorganize Korean workbooks afterwards and will help improve the quality of contents in Korean workbooks.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selected 7 kinds of intermediate level Korean workbooks, examined their organizational system and analyzed the types of writing activities. The writing activities were analyzed based on Tomlinson's(1983) three types of writing : type of controlled writing, type of guided writing and type of free writing, and Kang, Seung-Hae's(2002) classification of writing activities. Analyzing the writing activities of the Korean workbooks, this study has g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most writing activity types in the Korean workbooks were the type of controlled writing. The writing activities in the Korean workbooks consist of 85.9% of controlled writing, 10.6% of guided writing and 3.4% of free writing. <Sogang University workbook>, <Yonsei University workbook> and <Ihwa University workbook> did not present the type of free writing. Second, the most various types of writing activities were shown in <Kyung Hee University workbook>. Then comes <Yonsei University workbook> and <Easy Korean Academy workbook> in that order. Third, the writing activities in Korean workbooks heavily relying on controlled writing of 'sentence completion' type and 'fill-in-the-blanks' type. The writing activities in Korean workbooks consist of 47.7% of 'sentence completion' type and 23.9% of 'fill-in-the-blanks' typ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this study will make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controlled and guided writing activities should be more diverse and various. And they need to be presented in meaningful and interesting formats. Second, the number of free writing activities must increase in order to strengthen students' writing skills so that they can express their thoughts and feeling throughout the workbooks. Third, it is important to promote various writing activities from the integrated approach by collaborating with other language skills. It will improve students' communicative language skill.

      • 사립대학교 대학원 행정조직 개선방안에 관한연구 :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중심으로

        유춘상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9679

        This study focuses on presenting improvement plans for effective graduate school administrative organization by identifying and analyzing the problem of private university graduate school administrative organizational structures, also aiming at the smooth operating universities' businesses. This study analyzes the following, in terms of the conditions and operations of the private university's graduate school administrative organization. (1) Analysis of the state of the graduate school administrative organization. (2) Analysis of the results of graduate school administrative organization improvement. (3) Comparison and analysis of graduate school administrative business contents. (4) Analysis of innovation plans of graduate school administrative business. (5) Presentation of plans of operation and improvement of administrative organization, focusing on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HUFS) Graduate School. For your information, the methodology includes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comparison and analysis of graduate school outlines, organizations, articles of incorporation, school regulations and self-evaluation reports of four private universities in Seoul, Korea, as well as unofficial interviews with staff members working at those universiti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1) Research shows that most graduate schools consist of a dean, assistant dean, general manager in academic affairs, assistant manager in educational and academic affairs and staff members. Graduate school "c," however, appoints only a dean, and it operates administrative affairs by integrating the undergraduate and graduate schools. (2) All graduate schools reorganized their graduate schools, overhauled office organization and innovated the administrative systems to improve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of their graduate school. (3) Analysis of the administrative business contents shows a trend: that graduate schools are being reorganized from main-office oriented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to college- and department-oriented administrative organization. Also, graduate schools are decentralizing power through daring reorganization. (4) Analysis of the innovation plans of the graduate school administrative business shows that all graduate schools have simplified and computerized their administration contents and are endeavoring to innovate graduate school administrative business by improving testing systems, thesis examination systems and computerization of data, among others. (5) The operations improvement plan of HUFS graduate school administrative organization is as follows: The HUFS graduate school office employs five staff members who handle the business of the main office first, and as a result, cannot offer high-quality administrative services to graduate-school students because of their excessive workload. In order for graduate schools to operate more effectively, plans for organizational improvement follow: (1) It is necessary to decentralize graduate school administrative organization. Specialization and greater efficiency of administrative business is possible by decentralizing administrative duties that are now handled by the graduate school office. This can be accomplished by allocating various duties to related departments such as college departments, the general affairs section, and the accounting section, among others. (2) Administration with responsibility is necessary. For this, we should have staff members handle their business independently. For smooth operations of the graduate school administration, we need to encourage more administrative responsibility by giving the staff members independent administrative business allocated clearly in responsibilities and duties. Administrative staff members should strive to improve their business and administrative skills, as well as their specialty, so as to offer high-quality administrative service to graduate school students. (3) There should be integration of the administrative departments of the undergraduate and graduate schools. Administrative efficiency can be boosted by integrating the business of related colleges and departments that are presently being handled by the graduate school office, focusing on the main office. This will reduce the number of staff members and save on costs. Finally, I hope that plans presented in this study of private university graduate schools' administrative organization will prove somewhat helpful in improving graduate school administrative organization.

      • 속담을 활용한 한국어 문화 교육 방안

        이효정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9679

        외국어 학습의 궁극적인 목적은 원활한 의사소통에 있다. 이를 위해서는 목표 언어 민족의 문화에 대한 이해가 반드시 필요한데, 문화란 그 사회 구성원의 사고와 행위 양식을 담고 있는 총체적인 개념으로 언어에는 그 언어가 속해 있는 사회의 문화가 잘 반영되어 있기 때문이다. 최근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 교육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다. 한국 문화에 대한 바른 이해를 통하여 한국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사고방식과 삶의 방식을 객관적이고 체계적으로 이해하게 될 뿐만 아니라 타국 문화와 한국 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인식하여 상호 문화적인 관점에서 바라보게 한다. 본 논문은 한국어 교육을 위한 문화 교육의 다양한 학습 자료로 속담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렇게 특별히 속담을 이 논문의 고찰 대상으로 삼은 까닭은 어느 언어에서나 대체로 존재하며, 그 내용은 그 민족의 고유한 특성을 반영하고 있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본 논문에서 연구한 내용을 장별로 간략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속담이 갖는 가치에 비해 연구가 아직은 미진한 상태임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혔다. 제2장에서는 문화의 일반적 개념 및 언어와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문화 교육을 위한 학습 자료로써 ‘속담’을 제시하였다. 속담은 짧은 문장 속에 민중의 전통적인 생활 습관, 의식 구조, 사회 구조, 가치관 등 민족의 역사와 문화가 응축되어 있으므로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 교육을 위한 자료로서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즉 속담의 문화 교육적 특성과 기능을 알아보고 속담이 어떤 문화 교육적 가치를 갖는지에 대한 의의를 고찰하였다. 제3장에서는 속담의 개념 및 특징을 살펴보고, 속담을 주제별로 분석하여 그 속에 한국 문화의 독특한 양상을 추출하여 정리해 보았다. 특히 한국 속담은 민중의 생활 문화의 정수를 포괄적으로 반영하고 있는데, 속담에 나타난 문화 교육적 요소를 ‘낙천적·숙명론적 인생관, 농경 생활 문화, 유교 문화, 불교와 샤머니즘 문화, 집단 문화’로 크게 나누어 살펴보았다. 즉 이 장에서는 속담이 담고 있는 문화 교육적 기반을 정리하였으며, 속담이 어떤 문화적 가치를 갖는지에 대한 의의를 구체적으로 정리해 보았다. 제4장에서는 3개의 대학(경희대, 연세대, 고려대) 부설기관에서 현재 쓰고 있는 중급과 고급 교재를 대상으로 속담 교육의 현황 및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제5장에서는 한국어 교육용 속담의 선정 방안을 검토하여 단계별로 교육용 속담을 선정하였다. 제5장에서는 한국 문화가 잘 반영된 속담을 어떻게 학습시킬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활용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속담 교육을 위해서 앞서 선정한 교육용 속담을 포함한 단원을 구성하여 실제 속담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수업 모형은 크게 중급 단계와 고급 단계로 나누어서 ‘제시-설명-연습-활용-보충·심화’의 단계로 진행되며, 속담과 한국 문화가 연계되어 학습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만화나 비교적 실생활에서 많이 접하게 되는 신문, 드라마, 뉴스 등을 학습 자료로 활용하여 구성하였다. 앞서 밝힌 바와 같이 본 연구에서 가장 주목할 점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속담을 통한 문화 교육의 의의를 발견하고, 이를 위한 교수 학습 모형을 마련하였다는 데 있다. 이렇게 실제 자료를 이용한 수업은 학습자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의욕을 증진시키며 자연스럽게 속담을 통해 한국 문화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초급 단계 학습자를 위한 모형을 제시하지 않은 점과 각 단계의 구체적인 목표와 내용을 설정하지 못한 점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는 연구를 앞으로의 과제로 남긴다.

      •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한 속담 연구 : 한ㆍ영 속담 비교를 중심으로

        정혜진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9679

        외국어 학습을 통해 추구하고자 하는 최후의 목표는 원활한 상호의사소통에 있다. 이를 위해서는 학습하고자 하는 언어를 사용하는 민족의 문화에 대한 이해가 반드시 필요하다. 문화란 지식․신망․예술․도덕․법률․관습 등 인간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획득한 능력 또는 습관의 총체적인 개념이다. 문화를 표현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하지만 그 중에서 한 나라의 언어가 그 사회의 문화를 잘 반영한다. 또한 최근 한국어 교육에서는 한국 문화의 이해를 위한 교육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 한국 문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하여 한국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사고방식과 삶의 방식을 객관적이고 체계적으로 이해하게 될 뿐만 아니라 영미 문화와 한국 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인식하여 상호 문화적인 관점에서 바라보게 한다. 본 논문은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한 방법으로 한국어 교육의 다양한 학습 자료 중 속담을 이용한 교육방법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렇게 특별히 속담을 이 논문의 고찰 대상으로 삼은 까닭은 속담은 어느 언어에서나 대부분 존재하며, 속담의 내용은 그 민족의 고유한 특성을 반영하고 있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본 논문에서 연구한 내용을 장별로 간략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 한·영 속담 비교를 이용한 한국 문화 교육 연구가 미진한 상태임을 확인하고,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서술하였다. 제2장에서는 본 논문을 위해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속담의 개념 및 특징과 속담의 기능에 대해 알아보고, 속담이 가지고 있는 문화 교육적 특성과 가치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한 속담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속담은 짧은 문장 속에 민중의 전통적인 생활 습관, 의식 구조, 사회 구조, 가치관 등 민족의 역사와 문화가 응축되어 있으므로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한 자료로서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즉 속담의 문화 교육적 특성과 기능을 알아보고 속담이 어떤 문화 교육적 가치를 내포하고 있는지 고찰하였다. 제3장에서는 6개의 대학(경희대, 고려대, 서울대, 선문대, 성균관대, 연세대) 부설기관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중급·고급 교재를 중심으로 속담 교육의 현황 및 특징과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는 선행 연구를 통해 한국 문화와 영미 문화의 차이점을 문화 요소와 의식구조의 차이에 따라 분류하였다. 한국 문화는 집단주의 문화, 계층주의 문화, 형식주의 문화, 감성주의 문화, 유교문화, 농경문화와 같이 6가지로 분류하였으며, 영미 문화는 개인주의 문화, 평등주의 문화, 실용주의 문화, 이성주의 문화, 기독교 문화, 유목․상업 문화로 구분하였다. 분류된 문화별로 제3장에서 조사 분석된 한국어 교재에서 사용된 속담들 및 선행연구에서 조사한 속담들을 문화별로 정리하였다. 제5장에서는 제4장에서 정리된 속담들을 이용하여 한국어 교육용 속담의 선정 방안을 검토하여 단계별로 교육용 속담을 선정하였다. 수업 모형은 크게 중급 단계와 고급 단계로 나누어 ‘제시-설명-연습-활용-보충․심화’ 로 제시하였으며, 속담과 한국 문화가 연계되어 학습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마지막 제6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론과 한계점을 정리하였다. 앞서 밝힌 바와 같이 본 연구에서 가장 주목할 점은 한국 문화와 영미 문화의 차이점을 고려하여 6개의 문화로 구분하고 문화별로 한·영 속담을 정리한 것이다. 또한 정리된 한·영 속담을 중급과 고급 단계로 나누어 학습모형을 개발한 점이다.

      • 파라과이 대학의 한국어교육학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 : 표현과 이해 기능을 중심으로

        장가혜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79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losely examine the current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The Instituto Superior de Educación, the ISE, and to develop a new curriculum for the department, which reflects the needs of its students and the real state of Korean education in Paraguay. Chapter 1 discusses previous studies focusing on Korean language instructor training programs designed to “cultivate” new teachers rather than to “re-educate” existing teachers in Korea, as well as the curriculum of other foreign languages, especially English. Chapter 2 investigates some related theories for discussion and reviews reference works used to prepare the standard curriculum in Paraguay. These references could potentially help develop the standard curriculum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departments used both in Paraguay and abroad. Chapter 3 examines Korean academia in general in Paraguay and ISE, and identifies the deficiencies in the Korean Education pro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lack the skills or have difficulties articulating an idea verbally in the Korean language. In additnion students are requesting more classes in conversation and Korean culture, and better instructor preparation courses to improve teacher competency. Chapter 4 introduces a new curriculum for the Korean Education Department at ISE, based on the results discussed in chapters 2 and 3. The last chapter, chapter 5, summarizes previous chapters and identifies areas requiring further stud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e illumination of the dire need to address the issue of substandard curriculum for Korean Educational Programs in foreign universities around the world and to initialize the development of excellent educational programs in Korean studies. I hope these Korean Educational Programs will become common in all university language departments, like China, Japan, U.S., other countries, and that they will actively develop better programs. 파라과이 대학의 한국어교육학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 표현과 이해 기능을 중심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해외 대학의 한국어교육학과 교육과정을 면밀히 분석해보고 해외 대학 한국어교육학과 재학생들의 요구와 현지 실정이 반영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데 있다. 1장에서는 국내 대학의 한국어교육학과 교육과정과 외국어 교사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선행 연구를 살폈다. 2장에서는 논의의 진행을 위한 이론과 파라과이의 현지 사정에 부합하고, 더 나아가 해외 대학에 개설될 한국어교육학과 교육과정의 표준을 마련하기 위하여 참고할만한 교육과정을 검토하였다. 3장에서는 파라과이 전반과 ISE 한국어교육학과의 교육과정을 살피고, 한국어교육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요구 조사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은 한국어 표현 기능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회화 및 문화 수업의 확충, 교육 실습 과목의 개선을 원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4장에서는 2장과 3장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여 파라과이 실정에 따른 ISE 한국어교육학과 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 5장에서는 본고의 내용을 정리하고 후속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논의된 적이 거의 없는 해외 대학의 한국어교육학과 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해외 한국어교육이 지속적으로 활기를 띠고, 더 많은 해외 대학의 한국어교육학과에 대한 논의가 이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에 대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인식 비교

        이현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79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에 대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인식 비교 본 연구는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Teaching English in English)에 대한 교수 불안감, 인식 및 개념 차이를 비교해 보고 이들을 지도하고 교육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중학교 교장과 사범대학 영어교육과 교수의 의견은 얼마나 차이가 나며,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의견과의 비교를 통해 TEE 수업의 전망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의 한 사범대학 영어교육과,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중등 현직 영어교사 총 11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교장과 교수는 인터뷰를 통해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알아보고자 한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외국어 교수 불안감은 어떤 차이가 있으며 이것과 외국어 자가평가와의 관계를 알아본다. 둘째,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TEE 인식과 개념은 어떤 차이가 있으며 그들을 지도하는 교육 전문가인 교장과 사범대 교수의 TEE 방향성은 무엇인지 알아본다. 셋째, 예비교사, 현직교사 그리고 교육 전문가는 TEE 수업이 성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어떤 점을 개선해야 한다고 보고 있는지 알아본다. 위의 연구 문제를 알아보기 위해서 사용된 연구 도구는 외국어 교수 불안감(Foreign language teaching anxiety)과 외국어 자가평가도와 TEE 수업에 대한 자유로운 의견 기술을 하도록 한 개방형 설문이 포함된 설문지와 교육 전문가 집단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외국어 교수 불안감은 예비교사의 불안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외국어 자가평가 결과도 예비교사가 낮게 나왔다. 둘째, 예비교사와 현직교사, 교육전문가는 모두 TEE 수업이 필요하다는 것에 공감하고 있었으나, 사범대 교수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TEE 수업을 모국어를 적절히 사용하는 수업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영어의 비율은 현직교사가 40%이상으로 가장 낮게 보고 있었다. 또한 TEE 수업이 어려운 점으로는 모든 집단이 교사의 영어능력 부족과 학생의 수준차이라고 지적하였으며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는 TEE 수업을 위해서 자가연수와 교수법연구를 통해서 대비하고 있었다. 그리고 사범대학과 교육대학원의 수업은 대체적으로 불만족을 내며 의사소통 중심의 교육과정 개편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교육전문가는 현재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영어 실력이 충분히 TEE를 수행할 수 있다고 보고 있으며 예비교사 양성기관에서 충분한 교육을 받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어 차이를 보였다. 셋째, 예비교사, 현직교사, 교육전문가 모두 현행 입시제도가 개선되고 교사 스스로 교수법 연구 및 자가연수를 실시하고 교사에 대한 충분한 지원이 있어야 TEE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예비교사의 교수 불안감을 낮추고 TEE 수업을 잘 수행해 나갈 수 있도록 사범대학과 교육대학원에서 충분한 교육 실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 연구가 주는 교육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교수 불안감은 교수경험의 부재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보이며 이것은 특히 예비교사에게 나타므로 예비교사가 교육 현장에 임용되어 TEE 수업을 진행함에 있어 시행착오를 줄이고 적응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범대학이나 교육대학원에서 교육 실습 기회를 충분히 가지고 원어 강의를 많이 듣도록 지원해주어야 한다. 또한 현직교사도 TEE 수업을 학생의 수준에 맞게 그리고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해서 적용할 수 있도록 끊임없는 자가연수와 교사 지원을 통해서 도와주어야 할 것이다. A Study on Pre-service Teachers and Secondary English Teachers' Cognition and Anxiety of Teaching English in Eng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conception of teaching English in English (TEE) and the anxiety of foreign language teaching among pre-service English teachers and secondary English teachers. It is also to investigate the opinion of TEE among educators such as principals of middle or high school and professors who teach pre-service teachers at universities. In order to conduct the research, a survey of 111 pre-service and secondary English teachers was done and an interview with a principal and a professor was done as well. The results of the survey and interviews are as follows. First, the anxiety of foreign language teaching was higher in the pre-service teacher group compared to the secondary English teacher group, and the measure of second language proficiency self-evaluation was lower among the pre-service teacher group. The result indicates that due to the lack of experience in teaching, pre-service teachers have relatively less confidence in TEE. Therefore, to reduce the anxiety of foreign language teaching, there should be more teaching opportunities available for future English teachers while they are in college. Second, all groups agreed on the necessity of TEE, but the conception of TEE was slightly different among all groups: the professor mentioned that TEE is a class that is conducted only in English, but others might say the usage of 80% of English and 20% of native language is still acceptable to be considered as TEE. The survey indicated that the difficulties of TEE were caused by the lack of an English teacher's speaking ability in the English languages and the variance of students’ level of the language. Pre-service and secondary teachers were not satisfied with the classes and curriculum of their college or graduate school. They would like to take more classes taught by native speakers. Third, all groups said that the improvement of th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nd better support for teachers would lead to more successful TEE. Being able to participate in more speaking and teaching practice classes, as well as learning various teaching methods in their college and graduate school would help pre-service English teachers. In conclusion, the anxiety of foreign language teaching is a result of limited teaching experiences pre-service teachers have. Therefore, the college should offer more teaching opportunities for pre-service teachers. Furthermore, secondary English teachers should actively seek out opportunities to further develop their understanding of TEE teaching methods, while improving their English profici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