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직장인 성인학습자의 교육대학원 실시간 비대면 수업 경험 탐색 - COVID-19로 인한 수업방식과 공간 변화를 중심으로 -

        이소희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COVID-19로 실시간 비대면 수업을 경험한 직장인 성인학습자의 교육대학원 수업방식과 공간 변화에 따른 수업 경험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자는 직장인 교육대학생의 실시간 비대면 수업에서 두 가지 측면의 특이성을 발견하였다. 첫째, 개별 공간에서 진행되는 비대면 수업으로 학습자 간 단절을 경험하고, 이로 인해 수업의 적극적인 참여가 제한되고 있었다. 둘째, 직장인 성인학습자로서 학생 역할에 대한 중심 공간인 학교라는 물리적 공간이 사라졌고, 이 때문에 각자 공간을 확보하여 수업에 참여해야 했다. 학교 외 공간에서의 수업은 접근성의 확대로 직장인 성인학습자의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데 용이함을 주었지만, 학생으로서 수업의 몰입을 어렵게 했고 대학원생이라는 인식도 옅어지게 했다. 이에 본 연구는 갑작스럽게 도입된 교육대학원의 실시간 비대면 수업에 대한 직장인 성인학습자의 경험을 드러내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인 성인학습자는 교육대학원의 실시간 비대면 수업방식에 어떻게 적응하고 있는가? 둘째, 직장인 성인학습자는 교육대학원의 실시간 비대면 수업으로 인한 물리적 공간 변화를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가? 이를 위해 COVID-19의 상황으로 비대면 수업을 경험한 직장인 교육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 인터뷰 및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한 질적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OVID-19로 실행된 교육대학원의 실시간 비대면 수업은 학습자 간 분리된 공간에서 수업 참여가 이루어졌다. 이로 인해 학습 커뮤니티 형성이 어려워졌고, 발표와 토론이 많은 수업에 대한 참여의 비적극성이 나타났다. 또한 새로운 수업방식에 각자 적응하는 시간이 필요했으며, 수업의 집중이 떨어졌다. 둘째, 학교 공간은 수업을 진행하는 장소라는 의미 이상의 학생이라는 역할 인식과 몰입에 영향을 주는 요소이다. 직장인 성인학습자에게 대면 수업의 학교 공간은 직장과 가정에서 분리되어 학생 역할에 집중할 수 있는 장소였다. 구성원과 공간을 공유함으로써 학교와 관련된 대화를 나누고, 정보를 교환하며 자연스럽게 학생으로서 역할 전환을 경험했다. 하지만 비대면 수업은 불안정한 공간에서 수업에 참여함으로써 직장인 성인학습자로서 학생에 대한 인식을 어렵게 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주목하지 않았던 수업공간 변화를 중심으로 비대면 수업 경험을 탐색함으로써 다중역할을 수행하는 성인학습자의 수업방식과 수업공간이 주는 의미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다만, 개인의 특성에 따른 차이와 일반화의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원격 수업이 아닌 COVID-19로 인한 실시간 비대면 수업에 관한 연구임을 밝혀둔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보완하기 위한 후속 연구를 제언하면 첫째, 연구대상과 범위를 확대하여 직장인 성인학습자의 다양한 수업 경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수업공간과 학습에 관한 심도 있는 탐색과 실시간 비대면 수업에 적합한 수업공간을 고찰하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lassroom experienc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teaching  method  and  space  of  worker  adult  learners  who experienced  real-time  non-face-to-face  classes  due  to  COVID-19. The researcher discovered the peculiarities of two aspects in the real-time non-face-to-face class of workers, graduate students of education. First, students experienced disconnection between learners due to non-face-to-face classes conducted in individual spaces, which limited their active participation in classes. Second, the physical classroom space, the school, which is the central space for the student's role as a worker adult learner, disappeared, and for this reason, they had to participate in the class in their own space. Classes  outside  of  school  provided  ease  of  access  to  the various  roles  of worker  adult  learners,  but  made  it  difficult  for  students  to  immerse  themselves  in  the  class  and  diminished  the perception  of  being  a  graduate  student. This study focused on revealing the experiences of worker  adult  learners in real-time non-face-to-face classes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ich was suddenly introduced.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are as follows. First, how are worker  adult learners adapting to the real-time non-face-to-face class method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cond, how do adult learners of workers experiences changes in the classroom space due to real-time non-face-to-face classes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o  this  end,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and  focus  group  interviews  for  workers  graduate  students  of  education  that  experienced  non-face-to-face  classes  due  to  the  COVID-19  situation,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al-time  non-face-to-face  class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ich  was  implemented  due  to  COVID-19,  was  made  in  a  class  participation  method  in  a  space  separated  between  learners. This made it difficult to form a learning community, and the inactivity of participation in classes of many presentations and discussions appeared. In addition, it took time for each to adjust to the new teaching method, and the concentration of class was reduced. Second, the school space was a factor that affected students' role recognition and immersion beyond the meaning of a place where classes were conducted. For adult learners, the school's face-to-face classroom space was a place where they could focus on student roles, separated from work and home. By sharing a space with members, they had conversations related to the school, exchanged information, and naturally experienced a role changes as a student. However,  made  it  difficult  for  students  to  recognize  workers  adult  learners  as  students  by  participating  in  classes  of  an  unstable  space  with  real-time  non-face-to-face classes. This study can help adult learners who play multiple role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class space and class methods by exploring the non-face-to-face class experience focusing on changes in class space that have not been noticed until now. However, differences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here may be limitations on generalization. Also, let me clarify that this is a study on real-time non-face-to-face classes due to COVID-19, not general remote classes. Finally,  if  we  suggest  a  follow-up  study  to  supplement  this  study,  firs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research  students  and  study  the  various  class  experiences  of  worker  adult  learner. Second, it would be meaningful to consider a class space suitable for in-depth exploration of class space and learning and real-time non-face-to-face classes.

      • 청소년 정보통신윤리의식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소재 고등학생의 윤리의식 실태 조사를 중심으로

        윤금미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정보윤리의식을 살펴봄으로써 청소년들의 정보윤리의식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이 정보통신윤리 함양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시 소재 인문계 고등학교와 실업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 결과를 SPSS 프로그램에 의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의 정보통신 환경 및 그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청소년들은 인터넷을 집에서 주로 이용하였으며, 하루 평균 인터넷을 1~2시간 미만 사용하는 학생이 가장 많았다. 인터넷은 게임을 하기 위해 가장 많이 이용하였으며, 음란물 사이트에 접속해 본 경험이 있는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많았다. 상당수의 학생들은 음란물 접속이 성적 호기심 해결과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상당수의 학생들이 인터넷 게시판에 타인을 비방하는 글을 올린 적이 있었다. 인터넷 게시판에 자신의 이름을 밝히지 않고 타인을 비방하는 글을 올리는 행위에 대해 윤리적으로 옳지 않으므로 해서는 안 된다고 인식하는 학생이 가장 많았다. 둘째, 청소년들의 정보통신윤리의식에 대해 살펴본 결과, 정보화 역기능 중에는 개인 정보 유출 및 도용이 가장 심각하다고 인식하였고, 인터넷에서 네티켓이 잘 지켜지지 않으며, 인터넷에서 통신언어 표현이 심각하다고 인식하였다. 인터넷 사용 시 자기존중감은 높았으나 책임감과 정의감은 그다지 높지 않았다. 셋째, 정보통신윤리의식 확립 방안을 살펴본 결과, 정보통신윤리교육은 받아본 적이 없는 학생이 받아본 적이 있는 학생보다 많았으며, 정보통신윤리교육 필요성에 대해서는 높게 인식하였다. 정보통신윤리교육은 학교에서 실시하는 것이 좋다고 인식하였으며, 한 달에 한 번 실시하는 것이 가장 적당하고 인식하였다. 정보통신윤리교육에서는 개인 정보의 오·남용이 가장 강조되어야 한다고 인식하였으며, 정보통신윤리의식의 고취를 위해 네티켓 교육이 가장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ormation ethics of teenagers, to grasp problems with it, and ultimately to explore how to foster their information ethic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regular and business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on whom a survey was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program, an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outlook of the teenagers on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its environments, they went online mainly at home, and the largest percentage of them spent less than one or two hours on the Internet a day. The Internet was most widely used to play games, and the students who had ever logged onto indecent websites outnumbered those who hadn't. A great number of them found it necessary to log onto indecent sites to satisfy their own sexual curiosity and get rid of stress, and many had ever abused others on the Internet. The largest percentage of the students believed it's not ethically advisable to abuse others over the Internet without giving one's name. Second, concerning the information ethics of the adolescents, an exposure and illegal use of personal information were viewed as the most serious dysfunction of information-oriented society. They didn't felt Netiquette was observed well, and perceived that there was a serious problem with online communication language. Their self-esteem was good in association with the use of the Internet, but they didn't have a good sense of responsibility and justice. Third, regarding the establishment of information ethics, the students who had ever received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was smaller in number than those who hadn't, and they were highly aware of the necessity of that education. They believed that the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in school once a month. The primary focus of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should be placed on the prevention of a misuse or abuse of personal information, and Netiquette education was most stressed as a way to foster the information ethics of Internet users.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 EBS 영어 독해 교재,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 독해 지문의 이독성 비교

        신정록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63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주관하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시험의 출제 방향에 대해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내용과 수준에 맞추어 학교 교육의 정상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출제한다고 제시하고 있다. 또한 세부적인 시행 계획에서 공교육의 내실화와 사교육비 경감을 위하여 학교 수업 보충 자료인 EBS 수능 교재를 대학수학능력시험과 70% 수준으로 연계한다고 밝히고 있다. 즉, 대학수학능력시험이 학교 교육과정의 핵심인 교과서와 교육과정을 보충하는 EBS 수능 교재의 수준에서 출제된다는 점이다. 하지만, 학교 현장에서 체감하는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어) 영역의 독해 지문 난이도는 3학년에서 배우는 영어 교과서보다는 높고 EBS 수능 영어 교재와는 비슷한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출제 방향과는 다른 양상을 보여주는 실질적인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영어 교과서, EBS 수능 영어 교재, 그리고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어) 영역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읽기 텍스트의 난이도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인 New Dale-Chall 이독성 공식을 사용하여,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의거한 영어 II 교과서 3종, 2011년 및 2012년에 출판된 EBS 수능특강 외국어 영역 2권, 그리고 2012학년도 및 201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어) 영역의 읽기 지문 난이도를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본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영어 II 교과서 3종 각각의 이독성 평균 수치는 6.74~6.98 정도로 서로 비슷한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수치는 시대 변화를 반영한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취지를 고려하면 적당한 이독성 수치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3종의 영어 교과서 모두 단원이 올라갈수록 점차적으로 심화된 내용의 순서대로 배열되어 있지는 않았다. 둘째, 2011년 및 2012년 EBS 수능특강 외국어 영역의 평균 이독성 수치는 각각 7.39와 7.53으로 거의 비슷한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영어 II 교과서 전체의 평균 이독성 수치가 6.84임을 고려하면 학교 교육과정 보충 학습 자료인 EBS 수능 교재가 고등학교 교육과정보다 더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2012학년도 및 201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어) 영역의 이독성 수치 평균을 살펴보면, 2012학년도 수능에서는 7.39이지만 2013학년도 수능에서는 조금 상승하여 7.62를 나타내고 있다. 영어 II 교과서의 평균 이독성 수치가 6.84임을 고려하면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어) 영역이 학교 교육과정보다 더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EBS 수능특강 외국어 영역의 이독성 평균 수치가 7.39 및 7.53 정도이므로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어) 영역이 학교 교육과정이 아니라 오히려 EBS 수능 영어 교재의 수준을 반영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어) 영역에 70% 정도 반영되는 EBS 수능 영어 교재가 학교 교육과정을 넘어선다면 대학수학능력시험 또한 교육과정의 수준을 넘어서게 된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어) 영역이 학교 교육과정의 수준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면 정상적인 교육과정을 토대로 교육이 이루어지는 공교육은 대학 입학시험에 대한 학생들의 욕구를 채워줄 수 없다. 대학 입학시험이 교육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우리나라 교육 현실에서 학생들이 공교육에서 욕구를 채우지 못하면 결국 사교육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 공교육의 내실화 및 사교육의 억제를 위하여 EBS 수능 영어 교재 및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어) 영역의 텍스트 난이도를 학교 교육과정을 대표하는 영어 교과서의 수준에 맞게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

      • 전시해설의 역사교육적 방법과 제안 : 서울역사박물관 중심으로

        최소심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논문에서는 서울역사박물관의 전시를 심도 있게 해설하는 방안을 연구해 보았다. 2002년 5월 21일 개관한 서울역사박물관은 현재 본관 외에 12개의 분관을 운영하는 도시역사박물관으로 성장하였다. 박물관 전시해설의 연구에서 많은 연구자들이 지적했던 것처럼 전시해설은 일방적인 지식의 전달을 넘어 관람객과 소통의 장소가 되어야 한다. 박물관의 교육적인 기능을 생각하면 박물관 교육보다 먼저 발달한 학교의 교육도 수용되어야 하지만 박물관에서는 학교 교육의 과거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것의 예로 전시해설이 일방적인 지식 전달만을 위주로 한다는 것이다. 새로운 전시해설의 기법을 위해서는 학교에서 연구하는 교수기법도 살펴보아야 한다. 우선 효과적인 전시해설을 위해 서울역사박물관의 전시해설 운영과 전시해설 교육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개선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전시해설 교육의 문제점으로는 전시해설 기법 교육이 부재한다는 것이 있었다. 그리고 전시해설을 소통하는 방법으로 실현하기 위해 학교 교육을 살펴보고 역사교육적 방법으로 제안하겠다. 전시해설자가 전시관에서 박물관 사회자로서의 역할을 할 때 소통은 더 수월해질 것이다. 유물에 대한 정보를 설명하고 질문을 통하여 관람객과의 대화를 주도하면서 소통의 장을 마련할 수 있다. 소통하기 위한 전시해설을 위해 서울역사박물관의 전시물을 중심으로 전시해설을 제안 하겠다. 바람직한 전시해설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많은 전시해설들이 일방적인 지식 전달 위주로 진행되고 있음을 주목하여 새로운 전시해설의 방법으로 역사교육적인 방법을 연구하였다. 역사교육에서 연구되고 있는 다원성과 비판적 시각, 인권을 적용하여 유물을 분석해 보았고, ‘4존 대한민국 수도 서울’ 전시관에서는 통일을 위한 역사교육이란 시각에서의 해설을 제안하였다. 역사교육적인 전시해설 방법을 통해 관람객과 소통하는 데도 새로운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paper, a method of in-depth explanation of the exhibitions of the Seoul Museum of History was studied. Opened on May 21, 2002, the Seoul Museum of History has grown into a city history museum that currently operates 12 annexes in addition to the main building. As many researchers have pointed out in the study of museum exhibition commentary, exhibition explanation should go beyond the unilateral transfer of knowledge and become a place of communication with visitors Considering the educational function of museums, school education, which developed earlier than museum education, should be accepted, but museums are showing the past of school education. An example of this is that the exhibition commentary focuses only on one-sided knowledge transfer For new techniques of exhibition explanation,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teaching techniques studied in schools. First of all, in order to effectively explain the exhibition, I would like to examine the problems of the operation and the education of exhibition commentary at the Seoul Museum of History, and suggest improvements. One of the problems with exhibition commentary education was the absence of training in exhibition commentary techniques. In addition, in order to apply a communicative method in the exhibition commentary, I will look at the school education and propose it as a historical education method. Communication will be easier when the exhibition commentator acts as a museum moderator in the exhibition hall. You can provide a place for communication by explaining information on relics and leading conversations with visitors through questions. I will propose an exhibition commentary as a way of communication, focusing on the exhibits of the Seoul Museum of History To present a desirable exhibition commentary method, I have studied the methods of history education as a new way of exhibition explanation,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many exhibition commentaries are centered on one-sided knowledge transfer. I analyzed the artifacts by applying pluralism, critical perspectives, and human rights that are being studied in history education, and proposed an explan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y education for reunification in the exhibition hall of Seoul, the capital of the Republic of Korea in Zone 4. Through the historical education approach in the exhibition explanation, new possibilities have been identified in communicating with audience.

      • 한국 대학의 핵심역량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대학 특성에 따른 핵심역량 선정의 차이를 중심으로

        김휘영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ore competencies used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Korea as core competencies are emphasized as one of the abilities required to live a successful life in a rapidly changing 21st century society. Based on a critical mind that the existing subject-centered school education has limitations in educating what is necessary for living in modern society, universities are accepting competency-based education as one of the necessary requirements for solving these problems. The importance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is emphasized not only as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skills, attitudes and values ​​necessary for the future society, but also as a practical education for sustainable well-being throughout life. In this study, the research question was set as follow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core competencies in Korean universities and to analyze the university-specific factors that make a difference in the selection of core competencies. First, what are the core competencies that Korean universities usually select? Second, is the selection of core competencies different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y? To this end, data on the core competencies and characteristics of 122 universities nationwide were collected, and network text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derive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First, the core competencies used in Korean universities appeared in the following order, communication (66.4%), creativity (64.8%), self-management (48.4%), convergence (47.5%), globalization (45.9%), and problem solving (32.8%). In particular, as communication and creativity were strongly linked to other core competencies, it was found that they were the core competencies that universities are most interested in these days. Second, the 11 characteristics of universities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location, whether or not to participate in the ACE project, classification of establishment, presence or absence of a women's university, number of full-time faculty members, research expenditure per full-time faculty member, educational expenditure per student, ratio of foreign students, ratio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employment rate , Tuition), all variables except for two variables (research expenses per full-time faculty member, foreign student ratio)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election of core competencies. Among them, the university characteristic variable that has the most influence on the selection of core competency was the establishment classification variable. This study grasps the current status of core competencies that are mainly selected by universities in relation to the future students required in a rapidly changing society, and analyzes university-specific factors that mak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lection of core competencies. These results have the following significance. First,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universities education in Korea and figure out the direction of education in the future. Second, it can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competency education for the specialization of universities education. Finall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helpful as basic data to explore the role that higher education should play on the changes of the times. However,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the core competencies of each university, as there were many universities that have not disclosed the sub-elements and definitions of core competencies, there may be limitations in not considering them. In addition, it is revealed that this study did not understand the background and meaning of the use of core competencies by each university because it did not conduct an in-depth analysis of the process and subject for determining core competencies. To supplement this study, a follow-up research is suggested. First, research related to the process of determining core competencies of universities and the subject of decision is needed. Through this, it will be possible to understand in detail the background of each university's use of core competencies, the components of core competencies, and the definition of core competencies. Second, research is needed to explore more university-specific factors that bring abou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election of core competencies. Third, it would be meaningful not only to study the selection and utilization of core competencies, but also to consider how competency-based education was applied to students lives. 본 연구는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21세기 사회에서 성공적인 삶을 살아가는 데 갖춰야 할 능력 중 하나로 핵심역량이 강조됨에 따라 우리나라 고등교육기관에서 사용하는 핵심역량을 전반적으로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기존의 교과중심의 학교교육이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데 있어 필요한 것들을 교육시키는 데 한계가 있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대학에서는 이러한 문제해결의 필요요건 중 하나로 역량기반 교육을 수용하고 있다. 역량기반 교육은 미래 사회에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 및 가치의 습득뿐만 아니라 전 생애에 있어 지속가능한 웰빙을 위한 실천적 교육으로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학에서 나타나는 핵심역량의 현황을 살펴보고 핵심역량 선정에 차이를 가져오는 대학 특성 요인을 분석하고자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우리나라 대학에서 주로 선정하는 핵심역량은 무엇인가? 둘째, 대학의 특성에 따라 핵심역량의 선정은 다르게 나타나는가? 이를 위해 전국 4년제 일반대학 본교를 중심으로 122개 대학의 핵심역량과 특성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 및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국내 대학에서 사용하고 있는 핵심역량은 소통(66.4%), 창의(64.8%), 자기관리(48.4%), 융합(47.5%), 글로벌(45.9%), 문제해결(32.8%) 순으로 많게 나타났다. 특히, 소통과 창의는 다른 핵심역량과 연결된 정도가 강하게 나타남에 따라 최근 대학에서 가장 관심을 두고 있는 핵심역량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독립변수로 사용된 11가지 대학 특성(소재지, ACE사업 참여여부, 설립구분, 여자대학유무, 전임교원수, 전임교원1인당연구비, 학생1인당교육비, 외국인학생비율, 장애학생비율, 취업률, 등록금) 중에서 2가지 변수(전임교원1인당연구비, 외국인학생비율)를 제외한 모든 변수들이 핵심역량의 선정에 유의한 차이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핵심역량 선정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대학 특성 변수는 설립구분 변수로 국공립대학 또는 사립대학의 여부에 따라 핵심역량을 다르게 선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에서 요구하는 미래의 학생들의 모습에 대하여 대학에서 주로 선정하는 핵심역량의 현황을 파악하고 핵심역량 선정에 유의한 차이를 가져오는 대학 특성 요인을 분석한 연구로서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첫째, 우리나라 대학 교육에 대하여 이해하고 앞으로의 교육 방향성을 파악할 수 있다. 둘째, 대학 교육 특성화를 위한 역량교육의 이해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시대적 변화를 중심으로 고등교육이 수행해야하는 역할을 탐색하는 데 기초자료로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다만, 각 대학의 핵심역량을 수집하는 과정에서 핵심역량의 하위요소 및 정의에 대하여 공개하지 않은 대학들이 많이 나타남에 따라 이를 고려하지 못한 한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핵심역량의 결정에 대한 과정과 주체에 대한 심층 분석을 수행하지 못해 대학별 핵심역량의 사용 배경 및 의미에 대하여 파악하지 못한 연구임을 밝힌다. 본 연구를 보완하기 위해 후속 연구를 제언하면 첫째, 대학의 핵심역량 결정 과정과 결정 주체에 관련된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각 대학의 핵심역량 사용에 대한 배경, 핵심역량의 구성요소, 핵심역량의 정의에 대해서 자세히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핵심역량 선정에 유의한 차이를 가져오는 더 많은 대학 특성 요인에 대해 탐색적으로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핵심역량의 선정 및 활용과 관련된 연구뿐만 아니라 역량기반 교육이 실제 학생들의 삶에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고찰하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 유아대상 재난안전교육의 체험방법에 따른 효과 분석

        김유민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disaster safety education for 7-year-old children according to the method of experienc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difference in education satisfaction, knowledge acquisition, and evacuation behavior according to the four experience methods, and to derive the best education method and provide the best education method that suits the environment of the learner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160 7-year-old boys (46.9%) and girls (53.1%) in public kindergartens in Songpa-gu, Seoul. The questionnaire was measur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and behavioral observations. Jamovi (The jamovi project) 2.3.21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for the analysis, and frequency and average of each group were checked by technical statistics.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satisfaction questionnaire, reliability analysis using Cronbach's coefficient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items. In addition,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education satisfaction, disaster safety knowledge acquisition, and evacuation behavior of the four groups, and Tukey's test was conducted for post-test. Four comparison groups (online-evacuation behavior practice experience group, online-evacuation behavior video observation experience group, offline-evacuation simulation experience group, offline-evacuation simulation video observation experience group) were designed to conduct the experimental study,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through the study. First, by comparing the effect of the experience method on disaster safety education for 7-year-old children,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group that experienced the behavior practice (online-evacuation behavior practice & offline-evacuation simulation) was more effective than the group that observed the video (evacuation behavior video observation & evacuation simulation video observation).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satisfaction, knowledge acquisition, and behavior change between the online-evacuation behavior practice group and the offline-evacuation simulation environment in the behavior practice experience. In the case of the video observation experience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atisfaction and knowledge acquisition between the group that observed the video only for the evacuation behavior on the online and the group that observed the video presented with the evacuation situation on the offline, bu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behavior change. Second, when we look at the satisfaction, knowledge acquisition, and behavioral change according to the education environment (online, offline),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online and offline environments. However, the group that observed the evacuation behavior in the simulation situation provided offline showed only higher achievement in behavior change than the group that observed only the evacuation behavior provided online. However, these differences are interpreted as the differences in the experiences of vicarious reinforcement and extinction that could be experienced in the offline disaster situation simulation environment, as explained earlier, and the fact that the experience of vicarious reinforcement and extinction could not be experienced in the case of observing only the simple evacuation behavior practice provided online. The reason why the difference between online and offline environments did not affect is because the group that experienced the behavior experience in the online environment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chievement in satisfaction, knowledge acquisition, and behavior change than the group that observed the simulation evacuation behavior in the offline environment. In other word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presence or absence of behavior practice is an important variable rather than the difference between online and offline environments. 유아대상 재난안전교육의체험방법에 따른 효과 분석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평생교육·인재개발 전공김유민본 연구는 유아대상 재난안전교육의 체험방법에 따른 효과 분석으로 유아를 대상으로 진행하는 재난안전교육의 네가지 체험 방법에 따라 교육의 만족도 및 지식습득, 대피행동에 미치는 차이를 알아보고, 나아가 최상의 교육방법을 도출하고, 교육생의 제반 환경에 맞는 최선의 교육방식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서울시 내 송파구에 위치한 국공립어린이집 7세 남아 75명(46.9%), 여아 85명(53.1%), 총 160명에게 개별면접과 행동관찰을 통해 검사지를 측정하였다. 분석을 위해서는 jamovi (The jamovi project) 2.3.21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기술통계를 실시하여 조사 대상자의 빈도와 집단별 평균을 확인하였다. 만족도 검사지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문항내적 일치도를 측정하는 Cronbach’s a 계수를 이용한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네 개 집단의 교육만족도 및 재난안전 지식습득, 대피행동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기 위해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사후검증은 Tukey 검증을 실시하였다. 실험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네 개의 비교집단(온라인-대피행동실습 체험집단, 온라인-대피행동 영상관찰 체험집단, 오프라인-대피 시뮬레이션 체험집단, 오프라인-대피 시뮬레이션 영상 관찰체험 체험집단)을 설계하였고,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체험종류에 따른 유아대상 재난안전교육의 효과를 비교해 보면 행동실습체험을 한 집단(온라인-대피행동실습 & 오프라인-대피 시뮬레이션)이 영상관찰(대피행동 영상관찰 & 대피 시뮬레이션 영상관찰)을 한 집단보다 효과성이 높다는 결과를 확인 할 수 있다. 행동실습체험 중에서 온라인 상에서 이루어진 대피행동실습 집단과 오프라인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이루어진 대피행동실습 사이에는 만족도, 지식습득, 행동변화에 있어서 통계적 차이가 없었다. 영상관찰 체험 집단의 경우, 온라인상에서 이루어진 대피행동에 대한 영상만을 관찰한 집단과 오프라인상에서 이루어진 대피상황과 함께 제시된 영상을 관찰한 집단 사이에 만족도와 지식 습득에서는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지만, 행동 변화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발견되었다. 둘째, 교육을 제공하는 환경(온라인, 오프라인)에 따른 만족도와 지식습득 및 행동 변화를 살펴보면 온라인과 오프라인 환경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오프라인으로 제공된 시뮬레이션 상황의 대피행동을 관찰한 집단이 온라인에서 제공된 대피행동만을 관찰한 집단에 비해서 행동변화에 있어서만 더 높은 성취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환경의 차이라기 보다는 앞서 설명한 것처럼 오프라인에서 제공된 재난 상황 시뮬레이션 환경에서는 대리적 강화와 소거 경험을 할 수 있었고, 온라인에서 제공된 단순 대피행동실습만을 관찰한 경우 대리적 강화와 소거의 경험을 할 수 없었던 것의 차이로 해석된다. 온라인 환경과 오프라인 환경의 차이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근거로는 온라인 환경에서 행동 체험을 경험한 집단이 오프라인 환경에서 시뮬레이션 대피행동을 관찰한 집단에 비해서 만족도와 지식습득, 행동변화 모두 의미있게 높은 성취를 보여주었기 때문이다. 즉, 온라인 환경과 오프라인 환경의 차이보다는 행동 실습의 유무가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다.

      • 도덕교육에 있어서의 양성 평등 내용 분석 : 중학교 도덕 교과서를 중심으로

        신지희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 문 초 록 도덕교육에 있어서의 양성 평등 내용 분석 : 중학교 도덕 교과서를 중심으로 신 지 희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윤리교육전공 ( 지도교수 차 건 희 ) 본 연구는 중학교 도덕 교과서의 양성 평등 관련 내용의 부족과 내용 자체의 성차별에 관심을 두고 시작하였다. 현 교과서가 과연 양성 평등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학생들로 하여금 현실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나아가 발전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지 그 구성별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을 찾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우선 현행 중학교 도덕 교과서의 양성 평등 내용을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와 관련되는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보았고, 양성평등의 철학적・여성학적・심리학적 의미를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양성 평등 교육의 의미, 필요성, 목적에 대해 서술하였다. 교과서 분석은 내용분석의 방법을 사용했으며 분석대상은 중학교 도덕 교과서이다. 분석을 위하여 교과서를 구성에 따라 ‘사진・삽화’, ‘본문’, ‘명언’, ‘함께하기’, ‘동서양고전탐구’, ‘인물학습’으로 나누었고, 새드커의 양성 평등 교육 관점 평가 기준 중 여성의 희소성, 성역할 고정관념, 불균형적 내용 제시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교과서 내용 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진・삽화’를 성에 따른 출현빈도로 분석해 보았을 때, 3개 학년 모두 여성보다 남성출현이 잦다. 여성의 희소성은 여성 역할모델의 부재로 이어질 수 있으며, 사회생활 영역의 남성 비중이 놓은 것은 ‘남성 = 사회생활의 주체’라는 잘못된 생각을 심어주기에 충분하다. 이런 생각은 ‘사진・삽화’를 직업별로 분류해 놓은 결과와도 연결된다. 직업 남성인의 출현빈도가 직업 여성인의 출현빈도 보다 적게는 2배, 많게는 3배 이상 잦다. 또한 직업의 영역에 있어서도 여성보다 남성의 직업표현이 훨씬 다양했고, 직업 표현에 있어서도 여성은 주로 서비스업이나 음악 관련 분야, 은행원 등으로 표현되어 종래 여성적 직업에 대한 편견에 맞춘 것 같은 느낌이 강하다. 이런 성별에 따른 직업 빈도나 편중은 학생들에게 자아개념, 성취욕구 및 직업선택에 대한 기대수준을 차별적으로 형성하는데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사회활동・생산 활동은 남성이 주가 된다는 잘못된 생각을 심어줄 수 있다. 반면 가정생활과 관련된 육아와 가사노동에 대한 ‘사진・삽화’에서는 남성보다 여성의 출현 빈도가 잦았다. 과거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육아와 가사에 대한 이미지가 여성과 연결된다는 사실을 볼 때, 이를 바로잡기 위해서는 여성보다는 남성의 출현빈도를 늘리는 것이 옳을 것이다. 둘째, 분문에서의 차별적 내용 존재이다. 도덕 교과서에서는 본받을 만한 사례나 인물을 예시로 본문을 구성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인물들 대부분이 남성이다. 또한 여성을 표현함에 있어서, 직업여성을 표현할 때조차, 가사일과 연결하여 여성의 사회생활보다 가정생활을 부각시키는 면이 계속적으로 발견된다. 본문 중 성차별적 요소가 가장 강한 단원은 가정생활과 친척생활로 남성 중심의 사회를 반영하는 모습을 많이 볼 수 있다. 전반적으로 남성 위주의 제도를 우리 조상들의 전통으로 표현하고 있는데, 현대 친척생활에 있어서 촌수와 항렬의 의미를 생각해 보고, 실제 우리 역사를 살펴보았을 때, 유교를 받아들인 이후의 모습만을 우리 전통이라 볼 수 없기에, 이 부분은 수정되어야 함이 옳다. 셋째, ‘명언’은 모두 82개가 수록되어 있는데, 이 중 여성이 출처가 되는 것은 하나도 없다는 것을 문제점으로 꼽았다. 이는 사회가 여성의 역할과 업적을 과소평가함으로 인식될 수 있고, 곧 학생들의 사고로 연결된다. 넷째, ‘함께하기’는 교과서 활용을 다양하게 해주는 것으로 교과서의 내용 자체에서 양성 평등의 내용이 부족하여도 함께하기로서 보충할 수 있는 방법이 많다. 하지만 현행 교과서에 제시된 285개의 함께하기 중 양성 평등적 내용을 담고 있는 것은 단 4개뿐이다. 또한 함께하기로 제시된 글 중에는 남성이 주가 되는 것이 많아 양성 평등적 관점에서 함께하기 제재의 보충이 필요하다. 다섯째, ‘동서양고전탐구’는 도덕 교과서 구성 자체에서 존립의 의문이 가는 부분이다. 실제 현장에서 동서양고전탐구는 그 취지와 거리감이 있다. 고전 자체에 대한 설명도 부족하고, 학생들의 흥미를 불러일으키지 못한 채 본문과 유리되어 있다. 이런 구성 자체의 문제점에 양성 평등적 관점에서도 시사 하는 바가 없다. 모든 고전의 저자가 남성이기 때문이다. 여섯째, 도덕 교과서에 제시된 인물은 모두 20명으로 별도의 ‘인물학습’ 코너가 마련되어 있다. 그런데 20명의 인물 중 18명이 남성이다. 제시된 두 명의 여성 중 한명인 신사임당은 현모양처의 모델로서 제시된 것이다. 이는 여성인물의 희소성과 더불어 남성의 눈으로 여성을 해석하였다는 비난을 면치 못할 것이다. 도덕 교과서를 분석해 본 결과 아직도 불평등적 요소가 많았고, 양성 평등 교육에 근접하기 위한 준비가 많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도덕 교과서는 무엇보다도 인간존중의 원리를 담고 있어야 하며 이는 모두의 행복과 연결되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성차별의 문제점은 여성에게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모든 인간의 삶을 제약하는 것이기에, 도덕 교육의 개선이 시급하다. 따라서 성차별적이지 않은 양성 평등한 도덕 교육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우선 교과서 개선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여성 희소성을 해결하기 위해, 여성의 일과 삶이 사회적으로 인정되고 평가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양성 평등의 관점에 기초한 바람직한 여성 인물과 여성을 주인공으로 한 작품의 발굴이다. 둘째, 성역할 고정관념 탈피를 위한 교육내용의 개발이다. 셋째, 불균형적 내용 제시의 해결을 위한 다양한 저자의 참여이다. 다음으로 교사의 바람직한 역할이 필요하다. 교육과정과 학생 사이에 존재하여 그 매개 역할자가 교사이므로, 양성 평등 교육에 있어서 교사의 역할이 크다 할 수 있겠다. 이런 역할을 잘 수행하기 위해 첫째, 양성 평등 연수 실시의 필요성을 들 수 있다. 둘째, 교사의 양성 평등적 언행의 정립이다. 셋째 수업 보충자료의 연구이다. 마지막으로 양성 평등 교육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교사의 과제는 양성 평등적 가치관의 정립이다.

      • 중학교 음악과 특기·적성 교육 활동 실태조사 및 개선방향 : 부천지역을 중심으로

        이인영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47

        오늘날 지식위주의 입시교육으로 인해 학생들은 자신들의 소질과 특기를 찾고 계발하며 발휘할 기회가 줄어들고 있으며, 이에 대한 보완으로 도입된 것이 특기·적성 교육활동이다. 특기·적성 교육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소질·적성 및 취미·특기를 계발할 수 있고 학부모의 사교육비를 절감 시킬 수 있으며, 학교 시설 및 지역사회 인적자원 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특기·적성 교육의 개념과 추진배경, 목적과 방침을 알아보고 특기·적성 교육활동이 실제 교육현장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문제점은 없는지 살펴보고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구체적인 방법과 내용은 부천지역에 재직하고 있는 29개교의 음악교사 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 문항은 특기·적성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개념 이해와 인식도, 실제 학교에서 운영되고 있는 실태와 운영효과, 교사들이 생각하고 있는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한 의견을 확인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조사 분석 결과 대부분 음악 교사들은 특기·적성 교육의 목적을 이해하고 그 필요성에 공감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일선 학교에서는 음악 교과목 특성상 특기·적성 교육효과가 큼에도 불구하고 음악과 특기·적성 교육반이 개설되지 않은 학교도 상당수 있었다. 또한, 특기·적성과 관련한 학교 운영위원회 개최 결과 공개에는 소극적이었으나 홍보에는 적극적이었다. 특기·적성 교육활동의 담당교사는 자격을 갖춘 외부강사를 채용하는 학교가 많았는데 교사들이 지도교사로 참여하지 않은 사유는 수업과 업무 부담 때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기·적성 교육활동의 문제점으로 장소확보와 자료부족을 크게 지적하였으며, 특기·적성 교육에 교사들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수업 업무 경감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앞으로 특기·적성 교육활성화를 위해서는 학생들이 원하는 다양하고 창의적인 프로그램 제공이 필요하고 교육시설도 개선되고 보완해야 될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같은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특기·적성 교육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특기·적성 교사 및 강사 운영의 효율성이 제고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교사와 외부강사 등을 대상으로 특기·적성 교육활동 운영 계획 등의 내용으로 연수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교사들의 업무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해 특기·적성 교육 담당 부장에게 담임을 면제시켜주는 방안 등도 고려할 수 있으며 강사의 자질을 높이기 위해 강사채용시 서류검사를 철저히 하고 정기적인 학부모 공개수업 등 강사 관리를 강화하는 다양한 방안들이 추진될 수 있다. 둘째, 특기·적성 활동의 교육 여건이 충분히 갖추어져야 한다. 특기·적성 교육활동에 필요한 각종 시설 및 자료가 확보되어야 하며 부족할 경우 지역 사회 시설과 연계하여 운영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서 지역 사회의 문화관, 행정관청의 문화교실, 전문기관 등 다양한 시설물을 협의를 통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셋째, 다양한 특기·적성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프로그램의 내용과 학생들의 발달 특성을 고려하여 기초과정, 전개과정, 심화과정 등 수준별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으며, 인접학교와 협력을 통한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운영할 수도 있다. 학생들의 동기 유발을 위해 발표회를 특기·적성교육 프로그램에 포함시키는 것도 중요하다. 넷째, 학부모 및 학생을 대상으로 홍보활동도 열심히 해야 한다. 가정통신문, 학부모회의, 학교방송, 교내게시판 등 다양한 수단을 동원하거나 음악과 특기·적성 연주회를 개최하여서 적극적으로 특기·적성 교육 활동의 필요성을 알리고 참여를 권유할 필요가 있다.

      • 개화기(1880년~1910년) 한국의 장애인교육론과 특수교육의 전개

        정혜진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47

        A Disabled person education which came to the fore at flowering time(1880-1910), education subject is same as a disabled person education of tradition period, but it is modern disabled person education to show definite difference in the goal, contents and method of education. So, in this thesis, all the discussions for modern disabled person education(hereinafter, modern disabled person education) and substantial unfolding were handled preponderantly. Education thought led at flowering time and the core idea of education policy discussion insisted by government and at civil dimension become the thought base of modern disabled person education discussion. Thought of human being respect, equality of education opportunity, education centering around learners, and compulsory education that nation leads etc. form the ideological value of modern disabled person education. As modern disabled person education of foreign country was introduced by the intellectuals of flowering time on a full scale and the article contents of newspaper about the recognition improvement for disabled person education diversified, modern disabled person education theory came to the fore. Especially, the course and result of activity of modern disabled person education(hereinafter, special education) by missionary contributed toward the change of recognition for existing disabled person education decisively. In those days, Korea didn't have given condition to be able to execute special education. Then, the education activity of missionary offered motive power that modern disabled person education quickened and developed substantially. Mrs. Hall and Mr. Rockwell who are the female missionaries of Methodist Church of visual and auditory handicapped female education at Pyoungyang, Mrs. Moffett who is a female missionary of Presbytery and Koreans of visual handicapped male education at Pyoungyang, Miss. Perry and Miss. Pash who are the male missionaries of British gospel association of visual handicapped male education at Soul etc. unfolded special education activity in those days. These trained disabled persons as Christians and executed education by modern method centering around common subject, industry subject, and religion subject, so that they may become independent as members of community. This has meaning in that it presented the equality of education opportunity of disabled persons, education necessity and recognition change, preparation of base of special education, inspiration of independence spirit and job consciousness, and importance and direction nature of integrated education, but it has limit from the viewpoint that it delayed the native tendency of Korean special education by forming religious protective character of education for poor relief and made the level of education stay at the first class. 개화기(1880년~1910년)에 대두된 장애인교육은 전통시대 장애인교육과 교육대상은 같지만 교육목적 및 내용·방법에서 확연한 차이를 보이는 ‘근대 장애인교육’ 이다. 이에 본 논문은 근대 장애인교육에 대한 모든 논의들(이하 근대 장애인교육론)과 실질적인 전개를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개화기에 주도되었던 교육사상과 정부 및 민간차원에서 주장한 교육정책론의 핵심이념은 곧 근대 장애인교육론의 사상적 기반이 된다. 인간존중 사상, 교육기회의 평등, 학습자중심 교육, 국가주도 의무교육 등은 근대 장애인교육의 이념적 가치를 형성한다. 본격적으로 개화지식인들에 의해 외국의 근대 장애인교육이 소개되고 신문에 장애인교육에 대한 인식개선의 기사내용이 다양화되면서 근대 장애인교육론이 대두되었다. 특히 선교사에 의한 근대 장애인교육(이하 특수교육)활동의 과정과 결과는 기존 장애인교육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는 데 결정적으로 기여했다. 당시 한국은 특수교육을 실시할 여건이 되지 못했는데 선교사의 교육활동은 근대 장애인교육이 실질적으로 태동하고 발전하게 되는 원동력을 제공하였다. 평양 시·청각장애여아교육의 감리교 여선교사인 홀과 민간인 록웰, 평양 시각장애남아교육의 장로교 여선교사인 모펫과 한국인들, 서울 시각장애남아교육의 영국복음회 여선교사인 페리와 패쉬 등은 당시 특수교육활동을 전개하였다. 이들은 장애인을 기독교인으로 양성하고 지역사회의 일원으로 자립하도록 보통교과와 실업교과, 종교과목을 중심으로 근대적인 방법에 의해 교육을 실시하였다. 이는 장애인의 교육기회 균등, 교육 필요성과 인식변화, 특수교육의 기반마련, 자립심과 직업의식 고취, 통합교육의 중요성과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데에 의의를 지니며, 교육의 종교적·구빈 보호적 성격 형성을 형성해 한국 특수교육의 토착화를 지연시켰고, 교육의 수준을 초급에 머무르게 했다는 측면에서 한계를 지닌다.

      • 학교음악수업이 학생들의 능동적 감상에 미치는 영향 : 서양고전음악을 중심으로

        박수진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47

        오늘날, 세상에는 수많은 음악이 존재하고, 날로 발전하는 과학 기술은 감상 기자재를 발전시켜 우리로 하여금 음악을 다양한 경로로 접할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음악의 홍수 속에서 인간의 사고력, 통찰력을 증진시켜주는 음악을 잘 선별해 감상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서양고전음악은 다양한 음악 형태 중에서도 음악적 통찰력을 깊게 해주는, 교육적이고 고차원적인 음악이다. 서양고전음악의 많은 효용성에도 불구하고, 서양고전음악에 대한 선호도는 매우 낮아, 학교 졸업 후 서양고전음악을 접하는 기회가 줄어들게 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학교는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서양고전음악 감상 교육을 실시해 서양고전음악에 대한 선호도 개선 및 능동적 감상 능력 향상에 힘써야 한다. 교육은 미숙한 상태를 성숙한 상태로 만든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성숙한 인간은 타인이나 환경에 지배받지 않고 스스로 판단하고 결정하고 행동하는 인간이다. 이에 따라 학교 음악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서양고전음악에 관심을 갖고 스스로 감상할 줄 아는 능동적 감상자로서의 태도가 길러졌는지 살펴보고, 어떻게 하면 능동적 감상태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지 연구해 보았다. 연구는 교과서, 교육과정을 비롯한 각종 관련 문헌 분석, 의정부시에 소재한 고등학교 학생 776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분석 등의 방법으로 진행됐다. 연구 결과 분석 후 수집된 자료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학교음악수업을 통해 다양한 음악 감상 방법을 안내받고 있지 못하고 있었고, 교과서도 실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감상 방법 등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싣고 있지 않았다. 따라서 현재 학교에서 능동적 감상을 위한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음악수업을 통해 다양한 서양고전음악감상 방법을 안내받은 학생들의 능동적 감상태도가 그렇지 못한 학생들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여러 가지 감상법을 다각도로 소개하는 것이 중요함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서양고전음악의 능동적 감상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인터넷을 활용한 감상, TV/라디오와 같은 대중매체를 활용한 감상, 직접 연주회장을 찾아가는 것 등을 생각해 볼 수 있겠다. 또한 학교차원에서는 음악 감상 기자재 보유나 교내방송을 통한 서양고전음악 전문 감상시간 확보 등을 통해, 사회차원에서는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는 다양한 서양고전음악 감상 프로그램 제공 등을 통해 능동적 감상능력 향상을 위한 여건을 마련해야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