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체육교육전공 교육대학원생들이 임용고사 준비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 탐색

        조인진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교육전공 교육대학원생들이 임용고사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을 탐색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체육교육전공 교육대학원생의 삶을 이해하고 진로의 제약 문제들의 대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교육대학원 졸업생 중 임용고사를 준비 중인 준비생 2명, 임용고사를 합격한 교사 2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는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수집 된 자료는 귀납적 범주분석을 통해 요인들을 추출하였다. 연구결과 체육교육전공 교육대학원생들이 임용고사 준비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은 ‘실기수업 부재’, ‘교육과정 혼재’, ‘심리적 불안감’으로 범주화 되었다. 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에 실기수업이 부족하여 2차 실기시험을 준비하는데 어려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재교육과 교사양성교육의 교육과정 혼재로 인해 교사재교육에 관련된 수업을 듣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로 인해 인터넷 강의와 사설학원을 통해서 임용고사에 관련된 내용을 보충하고 있었다. 또한 인터넷 강의와 사설학원 등록비와 학부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나이로 인해 심리적인 불안감을 격고 있었으며, 이로 인해 임용고사를 준비하는데 어려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참여자들의 어려움은 교육대학원생 개인적인 수준에서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체육교육전공 교육대학원생이 임용고사를 준비하는데 경험하는 어려움의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의 교육과정에 실기교육과정 추가와 교사양성과정과 교사재교육의 분리하여 운영 할 것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graduate students who major in physical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the process to prepare for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understanding life of graduate students who major in physical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preparing alternatives career constraint issues through thi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2 students who are preparing for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and 2 teachers who passed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of the graduates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factors were extracted from the collected data through an inductive analysis of categories. I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graduate students who major in physical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the process to prepare for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were categorized as 'absence of practice classes', ‘the mixture of curriculums’, and‘psychological anxiety.’Lack of practice classes in curriculums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s found that the subjects experience difficulties in preparing for the second practical examination. The mixture of teachers' reeducation and education curriculums has found that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take classes related to teachers' reeducation and supplement contents related to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through lectures on the internet and private institutes due to this. And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suffer psychological anxiety due to tuition fees of lectures on the internet and private institutes and their older age than undergraduates and have found to experience difficulties in preparing for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due to this. These difficulties of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have found to have limits to be solved on an individual level of graduate students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Finally, the study suggested the addition of practice classes to curriculums for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separation and operation of teachers' education from their reeducation as plans to solv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graduate students who major in physical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ile preparing for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 日本語敎育と敎科書硏究 : 일본어교육과 교과서연구

        김 성균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抄錄) 日本語教科書에 대한 分析硏究는 敎育人的資源部에서 정한 “敎育課程”을 準用하고 있는 高等學校 日本語教科書에 集中되고 있다. 본 論文은 이러한 狀況을 直視하면서 日本語와 日本에 관한 一般的인 敎養의 習得을 目標로 하는 大學校 日本語敎養教科書 使用語彙의 バラツキ를 實證하고 語彙選定의 妥當性의 度合い를 明確히 하는 것을 目的으로 하고 있다. 지금 까지, 語彙分析에 있어서 先行硏究의 對象은 私立大學校의 日本語敎養教科書에 限定되어 있었지만, 본 論文는 2007年 現在 日本語 關聯學科가 設置되어 있는 國立 5個 大學校 즉, 慶北大學校(KB), 慶尙大學校(KS), 釜山大學校(PS), 全南大學校(CN), 全北大學校(CB)의 教養科目 『日本語Ⅰ』과 『日本語Ⅱ』를 對象으로 했다. 一般的으로 前者는 1學期, 後者는 2學期에 使用하는 敎科書를 意味한다. 大學校 日本語敎養敎科書는 高等學校 日本語敎科書와 달리 日本語 關聯學科의 敎授의 主觀的인 觀點에서 執筆한 敎材나 特定 出版社가 製作한 敎材를 그대로 敎科書로 使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使用語彙의 選定基準이 없기 때문에, 語彙分析의 基準으로 삼을 만한 根據가 없다. 따라서, 본 論文에서는 2007年3月 敎育人的資源部가 第7次 敎育課程을 修整・補完한 『2007年 改訂敎育課程』의 基本語彙1,023字를 語彙分析의 基準으로 設定하여, 大學校 日本語敎養敎科書의 使用語彙와 함께 名詞, 動詞, 形容詞, 形容動詞, 副詞, 連體詞, 接續詞, 感動詞, 助動詞, 助詞, 連語, 接頭語, 接尾語 등의 13品詞로 分類한 後, 兩者의 語彙를 總語彙一致數와 總語彙一致率, 品詞別一致數와 品詞別一致率, 換算品詞別一致率과 偏差値, 種數別共通語彙數와 種數別共通語彙率 側面에서 各各 比較分析하였다. 以下 본 硏究을 통해서 얻은 結果를 敍述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総語彙一致數에서 얻은 総語彙一致率를 보면, 慶北大學校(KB)ー釜山大學校(PS)ー慶尙大學校(KS)ー全北大學校(CB)ー全南大學校(CN) 順이고, 各各의 數値는 「54.1%」「49.5%」「39%」「35.3%」「26.2%」이며, 平均的으로는「40.8%」程度이다. 이 結果는, 各教養教科書 使用語彙의 総語彙數에 따른 順序, 釜山大學校(PS)ー慶北大學校(KB)ー全北大學校(CB)ー慶尙大學校(KS)ー全南大學校(CN)와는 一致하지 않는다. 이것은 各教養教科書 使用語彙의 総語彙数와 改訂教育課程 基本語彙와의 一致語彙數는 반드시 比例하지 않는다는 것을 意味한다. 즉, 教養教科書의 使用語彙數가 많다고 해서 改訂教育課程의 基本語彙와의 一致語彙數가 많아 진다고는 断定할 수 없는 것이다. 다음으로, 品詞別一致數로 얻은 品詞別一致率을 보면,「名詞」「形容詞」「形容動詞」「副詞」「連体詞」「感動詞」「接頭語」「接尾語」의 8個 品詞에서는慶北大學校(KB),「動詞」「助動詞」「助詞」「連語」의 4個 品詞에서는 釜山大學校(PS)、「接続詞」에서는 慶尙大學校(KS)가 各各 가장 높은 一致率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結果를 基準으로 判斷하면, 総語彙一致數와 品詞別一致數는 대체로 比例한다고 말할 수 있다. 다음으로, 品詞別偏差値の合計を基準으로, 가장 偏差値가 작은 것부터 順序대로 敍述하면, 慶北大學校(KB)ー全北大學校(CB)ー慶尙大學校(KS)ー全南大學校(CN)ー釜山大學校(PS)이고, 各各의 數値는「0%」「-0.1%」「0.2%」「-2.1%」「3%」가 된다. 이것은 総語彙一致率에 의한 妥当性에 따른 順序와는 전혀 一致하지 않으며, 특히, 釜山大學校(PS)의 경우, 総語彙一致率에 따른 順序에서는 2位임에도 불구하고 여기서는 最下位에 位置하고 있다. 이와 같은 現象은 教養教科書 使用語彙의 品詞別構成比率에도 バラツキ가 存在하고 있다는 좋은 證據라 말할 수 있다. 또한, 平均偏差値을 보면,「接尾語」ー「動詞」ー「形容動詞」ー「助詞」ー「名詞」ー「感動詞」ー「副詞」ー「接続詞」ー「連体詞」ー「接頭語」ー「連語」ー「形容詞」ー「助動詞」順이며, 各各의 數値는 「-1.3」「+0.8」「-0.8」「+0.7」「-0.7」「-0.4」「+0.3」「+0.2」「-0.2」「+0.1」「-0.1」이 된다. 이것을 合計하면 플러스数値「+2.8%」, 마이너스数値「-2.9%」이고, 兩者의 差를 計算하면, 마이너스「-0.1%」로、基準數値「0%」에서 보면, 教養教科書 使用語彙속의 改訂教育課程 基本語彙의 採用程度가 各 品詞別側面에서도 여전히 마이너스傾向을 띄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다음으로, 教養教科書 使用語彙의 種数別共通語數에 있어서는, 3種,4種,5種 語彙數는 적고, 2種과 1種 語彙數가 차지하는 比率이 3.5%로 半 以上이나 된다. 이 數値는, 가령, 種數別共通語率87.7%를 100%로 換算할 경우, 61%에 이르고, 3種,4種,5種 語彙數는 극히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結局, 各 大學校 日本語教養教科書 使用語彙에 バラツキ가 그 만큼 크다는 것을 意味한다. 以上과 같은 結果에서 国立 5個 大學校의 教養教科書 使用語彙는, 그 選定基準이 없기 때문에 使用語彙의 種類나 數에 있어서 큰 差가 생긴다는 것을 確認할 수 있었다. 이것은 國立 5個 大學校의 敎養敎科書는 使用語彙에 バラツキ가 큰 教材를 授業에 使用하고 있다는 것을 意味한다. 이와 같은 教材를 使用해서는 教養科目 本来의 目的에 適合한 授業은 期待하기 어렵기 때문에 教材의 改善이 시급히 要求되고 있다. 따라서, 教養教科書 使用語彙의 現況을 直視하고, 이와 같은 諸問題를 解決하기 위해서라도 第7次 改訂教育課程 基本語彙를 大學校 日本語教養教科書 使用語彙의 選定基準으로 삼는 것을 하나의 方案으로 들 수 있을 것이다. 以上과 같이, 大學校 日本語教養教科書의 語彙分析을 中心으로 多樣한 分析方法을 利用하여, 使用語彙의 バラツキ를 實證하고 語彙選定의 妥當性의 度合い를 明確히 하고자 努力하였다. 그러나, 본 論文의 對象을 벗어난 그 밖의 大學校 日本語敎養敎科書에 대한 보다 폭넓고 深度있는 分析硏究가 이루어질 必要가 있다고 思料되지만 이 部分은 今後의 課題로 남기고 싶다.

      • 대학 기술이전 체계 개선방안 : 경북대학교를 중심으로

        손영수 경북대학교 산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case of technology licensing transfer, such as patents and/or intellectual rights, from universities to industries has recently increased every year, but it hasn't been actively done yet except a few case in some universities. So far, it has been done only recently for the government and universities to enforce the policies of technology licensing, and moreover the government and universities have enforced many different sorts of policies.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for the officers in charge of technology licensing to facilitate in universities on doing their projects, since there are not enough practical case-oriented analyses data of the universities' technology licensing projects.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provide some useful practical information to policy makers and hands-on staffs in charge of technology licensing projects in universities. So, various data related to technology licensing systems, such as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labor forces in the related office, and their activities for 3 years (2006~2008) of other universities in Korea and those of th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as the major source are reviewed, and some ideas are suggested how to improve their activities effectively. 대학의 지적재산인 신기술이나 특허 등이 산업체로 이전(이하 “기술이전”이라 함)되는 건수는 최근 들어 매년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일부 대학을 제외하고는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기술이전에 관한 정부와 대학 자체의 정책이 시행된 것은 얼마 되지 않았다. 그 동안 정부와 대학은 기술이전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 정책을 추진해 오고 있으나, 이에 관한 사례 중심의 실증적 분석이 충분치 않아서 업무 담당자들이 기술이전을 촉진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대학에서 기술이전 업무를 담당하는 정책입안자와 실무자들에게 실무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기술이전과 관련된 3년 동안(2006~2008)의 각종 자료들을 재정리하여 경북대학교를 중심으로 기술이전 전담부서의 조직 구조 및 인력, 제도에 대한 실증적 비교 􍾳 분석을 통하여 기술이전 체계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초등학교 미술 현장학습과 연계한 경북대학교 박물관 셀프가이드 연구

        김아라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A museum can be said to be a treasure house of educational resources and a field of history and culture class to awaken a viewer's intelligence and emotion and enhance the level of culture and the quality of life through the exhibition, a collection of art works and relics. Recently, the educational role of the museum tends to get bigger and the museum gets its function emphasized as a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 and cultural institution for all walks of people, and especially becomes a place of field study connected to school education. The strongest merit of museum field study lies in that students can see the works directly instead of seeing them only through subject illustrations, and the museum presents the environment of appreciation to understand the arts in a big context through ‥exhibition…. Therefore, the museum needs to grope for positive and diverse methods to reflect students' tastes and dispositions and induce their interest in developing the appreciation program and educational materials considering students' interest. What is most important for the activation of the educational function of the museum is to prepare and use the educational materials to induce an active participation in appreciating and understanding the exhibitions and collections of the museum. Hence the museum requires 'a Self-guide' fitted for the students' eye level as an educational means placed in the museum for the service. The Self-guide plays the role to help the students themselves to become the study subjects, learn to be fitted for their own level and necessity and make a meaningful view in their field trips. The field trips using a Self-guide will help the students understand the museum themselves and also make out the exhibitions and collections of the museum in the social cultural context. This student's problem awareness starts from here. Usually schools make field trips of the museum to get over the limitation of the appreciation activities in the school classrooms, but the museum and the schools have neglected the efforts for the systematic appreciative education. This student hereby intended to personally develop a Self-guide as an educational means for the students to express and criticize the reason of their favorite works through a field study and approach them closely. The Self-guide of this research is to help the students learn the museum and understand the appreciation widely and draw students' originative and creative ideas, and focus on their diverse activities with an active attitude to express ?E appreciate the works fully and evaluate themselves together with aesthetic experiences. In addition, this Self-guide aimed at analyzing the self-guide previously developed by the art gallery and the museum at diverse angles, complementing and differentiating insufficient parts in the museum appreciation activities, first of all, developing an integrating class to induce a creative idea and thinking as well as history study based on objective facts.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argue the necessity of a Self-guide as an educational means to heighten the importance of the museum field trips and the appreciation effects thereon, design ?E develop the Self-guide of the museum of Kungpook National University with a high educational value as a district museum and find out a method of the use of the Self-guide. In addition, it intended to analyze the problems of the self-guide of the existing art gallery and museum and seek for the progressive direction of the self-guide to be developed in future. It also attempted to contribute to arousing viewers' interest and lifting the efficiency of the appreciative education of the museum through a fresh self-guide development needed in inducing a variety of activities in the museum field trips.

      • 경북지역 조사료 생산 활성화 방안

        서원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23

        This study aims to find ways to expand the product base and the usage of high quality roughage and by analyzing the importance of forage crops in raising ruminants, the current situation and cultivation conditions roughage in the Gyeongsangbukdo region, obstacles in growing roughage and the current and future policies related to roughage. Acquring land to cultivate forage in Gyeongsangbukdo region is difficult especially has harsher conditions both geologically and climatically compared to other regions and therefore until recently, rye, which has strong wintering abilties, has been the dominant crop cultivated in the winter. Hereby this paper examines the business effectiveness and the future direction of roughage policies by analyzing the current situation of irg test seed dissemination and business analysis of each cultivation area in gyeonsangbukdo region and comparison of profitabilty of rye.

      • 익사체에서 나비 굴내 액체 확인의 중요성

        류광우 경북대학교 수사과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23

        수중시체를 발견하였을 때 익사로 진단하기가 쉽지 않으며, 아직 확실한 부검소견이나 검사실 검사법이 존재하지 않아 익사 진단의 어려움이 있는 게 현실이다. 이를 위해 익사의 진단에 있어 나비 굴내 액체 확인의 중요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경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의과대학) 법의학교실에서 최근 10년 간의 부검 자료를 이용하여, 총 54건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구강 및 비강 내 포말은 7건 (13%), 기도 및 기관지 내 포말 15건 (28%), 폐의 과팽창 및 부종은 47건 (87%), 위 및 십이지장내 익수는 28건 (52%), 측두골 암석부위속(추체유돌부) 출혈은 50 건 (93%) 이 관찰 되었다. 나비 굴내 액체는 45건 (83%) 이 관찰 되었다. 플랑크톤 검사에서는 총 33건 (87%) 이 검출되었으며, 이 중에서 폐에서만 나타난 경우는 26건 (68%) 이었다. 나비 굴내 액체 확인은 부검의들이 잘 확인을 하지 않으며, 문헌에서 또한 상세한 기술이 부족하며 국내 연구 또한 미흡한 수준이다. 이러한 현실과 익사의 진단이 쉽지 않음을 고려한다면 본 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나비 굴내 액체의 양성률은 상당히 의미 있는 수치이며, 익사의 진단에 유용한 부검 소견으로 판단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國內 國立大學校 敎授 採用制度에 대한 比較分析

        양재용 경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23

        2004년 12월 발표한 교육인적자원부의 대학구조개혁계획은 학생정원을 줄이고 이 기준에 도달하지 못하는 대학에 대하여 행정적, 재정적 제재를 하겠다는 것이다. 교수정원도 각 대학의 구조개혁 성과에 따라 차등 배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지방대학혁신역량강화사업(New University for Regional Innovation)은 사업 유지 조건으로 교원 충원율을 배정정원 대비 98%이상 충원하는 것으로 이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면 사업을 탈락시키는 등 재정적 지원 사업을 축소한다는 등의 사업규정에 따라. 각 대학들은 교수 배정정원의 한도 내에서 2004년부터 대규모적인 채용을 실시하고 있다. 지금도 일부 국립 대학교에서는 교수채용과 관련한 민원, 소송 등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에서 본 연구는 각 국립 대학교별 교수채용 제도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교수채용 제도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제2장에서 교수채용의 이론적 배경에 대하여 교수의 개념과 역할, 채용의 정의 및 이론적 배경 및 교수채용 제도의 법적 연혁을 고찰하고 교수채용이 법적으로 규정화되는 법적 연혁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제3장에서는 국립대학교 교수채용제도 전반에 대하여 지역 거점 국립 대학교 6개 대학의 채용규정 및 지침을 중심으로 비교하였으며, 그 세부적 비교 내용은 먼저, 교수채용 임용자격기준과 특별채용에 대하여 법률적 검토와 대학별 규정을 비교 한 후, 공개채용 제도의 심사절차의 비교분석을 ①채용절차 개요, ②서류심사위원회 구성과 역할, ③학과(부) 심사위원회, ④단과대학별 인사위원회 등 각종 심의위원회 등 ⑤ 기타 채용제도 부분으로 나누어 비교하였고, 공개채용 제도의 심사기준을 심사기준의 결정과정과 심사항목, 심사기준의 세부항목 및 심사기준 항목별 배점의 편차 및 주/객관성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대학별 특징 및 문제점을 요약하였다. 그리고 제4장에서는 앞장에서 비교한 결과를 토대로 대학 교수채용 제도의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대학 교수채용 제도의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의 임용자격기준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박사학위 소지자로 규정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여 현실에 맞게 교수자격인정기준 등에 관한 규정(대통령령)을 조정하는 것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둘째, 특별채용의 대상, 범위 및 절차를 명확히 규정하여 대학발전에 필요한 우수한 국내·외 학자를 유치하는데 필요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여 적극적으로 우수한 교수요원을 유치하여 대학발전에 기여하는 교수채용제도의 한 축으로 그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셋째, 교육인적자원부는 고등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해 정부재정의 어려움을 감안하더라도 대학별 배정정원을 최소한 법정정원 대비 80%수준의 교수정원을 대학에 배정하도록 적극 노력하여야 하며, 대학에서는 특별한 이유 없이 채용을 하지 못하는 학과(부)에 대하여 강력한 제재를 취하는 등의 정책을 구사하여야 한다. 넷째, 우수한 인력을 모집하고 채용 관리하는 외형적 성격과 창의적인 업무처리와 전문적인 업무를 처리하는 내형적 성격을 함께 고려한 전문 인력채용관리 부서를 만들어 고급인력을 합리적으로 채용할 수 있는 제도를 확립하여야 한다. 다섯째, 교수채용 심사절차의 개선방안으로 ① 대학의 서류심사위원회를 대체하고 국립대의 교수채용의 전 단계로서 교수자격관리 기구인 국가적 차원의 “교수자격심사위원회” 신설을 검토하여야 하고, ② 공개강의 심사 시 학과 학생들을 공개강의에 참여시켜 공개강의 하는 지원자에게 강의에 대한 질문 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도화를 검토하고 ③ 또한 다양한 성격의 위원회의 기능을 현실성 있게 보완 확충하고 그 역할을 다할 수 있게 실제적으로 심의할 수 있는 전문적인 위원회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전문화된 위원회를 구성을 검토하여야 한다. 여섯째, 교수채용 심사기준의 합리성을 제고하여야 하며, 심사위원의 권한을 어느 정도 적정하게 부여할 것인지를 신중하게 판단하여 심사기준을 설정하여야 한다. 모든 심사항목을 객관화 시키는 것은 우수한 인재를 채용하는 데에 한계점이 있을 수 있다. 학문분야별 특수성을 감안하고 표준화의 장점을 가미하여 계열별 또는 단과대학별로 심사기준을 표준화하는 방안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일곱째. 교수의 자질은 어느 공무원 보다 중요하다. 교수는 지식만 전달하는 지식제공자가 되어서도 아니 되며, 인격적으로만 우수한 사람이 되어서도 아니 되기 때문에 전문적 지식과 인격적으로 일정 부분 도야된 자를 선별하기 위해서는 심사위원의 역량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심사위원의 임명 시 해당 학과 교수라는 것만으로 모두를 임명하는 것은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학문적으로 일정한 수준을 가진 자를 심사위원으로 임명하는 방안도 심도 있게 검토해 볼 필요성이 있다. 여덟째, 교수공채와 관련하여 임용권만 총장이 가지고 그 외의 모든 사항에 대하여 단과대학 학장에게 채용 권한을 위임함으로써 채용의 분권화를 유도하고 채용의 질적인 관리 측면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 거점국립대학 캠퍼스 도서관 휴식공간 유형 분류 및 사용특성 분석

        신재윤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23

        오늘날 대학 캠퍼스들은 학습과 지역사회와의 교류 등 많은 기능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캠퍼스 내 도서관은 다른 시설물 보다 학생들 및 지역 주민이 공통적으로 이용하는 시설에 속하고 이용자들 간에 의사소통의 장이 될 수 있으며 상호접촉의 기회가 보다 많은 시설물 이다. 대학 캠퍼스 도서관의 휴식공간은 보행, 휴식, 만남 등의 다양한 활동이 일어나는 장소이며 휴식의 효율을 증가시키게 되는 휴식공간을 계획 하게 되면 학습효과도 높아지게 될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중요성이 부각 되고 있는 휴식공간과 이용자들을 분석하여 이용하기 쉽고 쾌적한 공간을 계획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 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a university campus, the library's rest room, and an analysis was performed as follows to: First, the resting place of the University Library to study and relaxation were classified into the four major types. And the rest of the space elements include floors, walls, ceilings, pillars, air, color, sound and lighting was limited. Second, each university libraries around the campus of the University that examined the practice of relaxation. Third, as a survey among users of the behavior and preferences were identified. Fourth, a survey of the elements of relaxation with a preference for a comfortable and easy to use comprehensive analysis to plan the space to give reasons.

      • 대구경북지역 섬유산업의 우수기업 육성방안에 관한 연구

        김원식 경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 논문은 지역 섬유업계의 우량기업군 정의를 내리고, 섬유기업의 경영전략과 시사점을 도출하여, “3단계 밀라노프로젝트”사업의 주요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는 우량기업군의 표준화 형태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대구광역시에서 추진하고 있는 「스타기업 100 육성계획 및 섬유스타기업 추진현황」에 대해 연구 분석하였다. 본 연구 내용은 대구·경북지역 섬유업체를 대상으로 잠재적인 우량기업군을 발굴하고 이들 기업군들이 스타기업으로 발돋움 하도록 표준화된 기업 경영형태를 조사하였으며, 지역에 산재해 있는 섬유산업의 제직, 염색, 비의류 분야의 3개 업종 80업체를 표본분석대상으로 삼았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지역 우량섬유기업이 성장·발전하여 잠재적 스타기업 또는 글로벌 스타기업으로 발전하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스타기업 육성체계에 관한 배경, 필요성, 육성목표, 추진전략, 추진체계 그리고 지원내용 등을 주 연구내용으로 다루고 있다. 우량기업군의 정의는 한국섬유개발연구원(KTDI)과 대구경북섬유산업협회(Daegu Gyeongbuk Textile Industries Association)간의 정의가 조금씩은 차이가 있으나, 이는 연구자의 관점에서 어느 요소를 우위에 두느냐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고 생각된다. 본 논문에서는 상기 한국섬유개발연구원의 정의를 바탕으로 우량기업을 선정하기 위해 「티몬스 모형(Timmonse Model)」에 의한 “기업가의 특성(Characteristics of Entrepreneurs)”과 “업무수행에 필요한 요건(Role Demands and Requirements)”을 기준으로 지역(Daegu Gyeongbuk Region) 표본 섬유업체(Sample) 80개 업체를 대상으로 우량기업군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섬유산업에서 3개 업체가 스타기업으로 선정되기 위한 과정 및 육성전담기관 및 PM의 역할 등에 관하여 활성화 방안에 대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1. 우량기업군 정의(한국섬유개발연구원 기준)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금융권 차입(Borrowings)이 적고 건실한 재무구조(Financial Structures)를 유지하고 있는 기업 둘째, 기업 전체 연구개발(R&D)비 대비 매출액(Research and Development Costs to Sales)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기업 셋째, 시장지배력(Market Share)이 높은 기업, 해외마케팅(Overseas Market) 활 동을 전개하는 기업 넷째, 제직(Weaving)·염색(Dyeing)·무역 등 일관된 공정을 보유한 기업 다섯째, 모기업에 의존하지 않은 구조의 기업 여섯째, CEO의 경영이념과 기업 활동이 여타기업에 영향을 확산시키는 기업 일곱째, 혁신적 기업조직 및 기업가정신(Entrepreneurship)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실천하고 있는 기업으로 정의내리고 있다. 2. 대구·경북지역 표본(Sample) 80개 섬유업체를 분석한 결과 우량기업군의 표준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설립 역사가 일천하기보다는 창업한지 오래된 기업, 종업원에게도 재 무제표(Financial Statements)의 공개를 통한 투명성, 건실한 기업경영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둘째, 상시종업원 규모가 51~100명, 연간 매출액(Sales) 규모가 100~500억원이다. 셋째, 수출시장 지배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11~30개사의 협력업체 보유하고 있다. 넷째, 제직·염색·무역 등 일관된 공정을 갖춘 기업군 분포도가 높다. 다섯째, 연구개발(R&D) 능력을 보유, 4~6명의 연구전담 인력을 확보하고 있다. 여섯째, 연구개발부서는 타 부서와 차별화된 성과보상 실시하고 있다. 일곱째, 지적재산권(특허, 실용신안, 의장등록, 상표권) 등을 다양하게 보유하고 있다. 여덟째, 직수출의 무역기능을 보유하고 있다. 3. 섬유산업에서 선정된 3개 스타기업은 다음과 같다. 섬유산업의 2007년도(1차년도 선정) 선정된 기업들은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전문기업인 서광무역(주)(Seokwang Trading Co., Ltd), 고기능성 스포츠의류 소재기업인 신풍섬유(주)(Shinpung Textiles Co., Ltd), 섬유가공소재 기업인 미광다이텍(주)(Mikwang Dyetech Co., Ltd) 등 3개 기업이 선정되었다. 선정된 스타기업이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육성전담기관의 지원책 이외에도 수주량(Order) 확보 및 자금의 원활한 운용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PM(Project Manager)과 스타기업간의 네트워킹 강화” 및 “신뢰를 구축”해가는 일이 더욱더 중요하다고 본다. 대구광역시(Daegu Metropolitan City)에서는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최초로 시장 공약사항으로 추진하고 있는 「2007 스타기업 100 육성 계획」이 1차년도 24개 스타기업을 탄생시켰으며, 육성전담기관과 스타기업간 MOU 체결을 완료한 상태에서 육성전담기관의 PM과 스타기업간 활발한 네트워킹과 수요조사를 진행 중에 있다. 가장 중요한 구체적인 지원계획은 대외비적인 성격으로 말미암아 밝힐 수 없음을 아쉽게 생각한다. 이상으로 본 논문의 연구자는 상기의 연구경험을 토대로 향후 섬유산업의 우량기업군 분석을 격년도 마다 표본업체를 확대하여 조사·분석함으로써 신규 우량섬유업체가 증가 될 것을 기대해본다. 따라서 이들 섬유 우량기업이 대구광역시에서 추진하고 있는 잠재적 스타기업에 속하고 더 나아가 글로벌 스타기업으로 성장 발전하는데 본 연구가 첨병역할을 하리라 확신한다.

      • 국내·외 대학도서관의 정보리터러시 교육 비교·분석

        이은주 경북대학교 정책정보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리터러시 교육 부분에 대해 외국 및 국내 대학의 사례를 통하여 대학 도서관에서 정보리터러시교육의 현황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키워드분석법을 통해 진행되었고, 국내·외 대학도서관의 정보리터러시 교육을 전 세계적으로 표준이 되는 ACRL 5 기준에 의거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정보리터러시란 필요한 자료를 요청할 수 있고, 스스로 부족한 부분이 무엇인지를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는 부분으로서 비판적인 사고(critical thinking)와 자발적인 학습 및 능동적 학습(active learning)을 키우고 실현할 수 있으므로 더욱 의의가 있다. 정보리터러시는 사상적 기반으로서 교육학의 구성주의 이전의 교육은 교수의 지침이 중요하게 생각된 반면에, 구성주의가 정보리터러시 교육에 적용이 되면서 학생 스스로의 문제 제기 혹은 관심 있는 연구 주제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시되었다. 도서관 이용자 교육은 정보를 추구하는 이용자들에게 효율적으로, 질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지침(instruction)이 되고, 이용자들에게 좀 더 유연하게 정보를 찾는 데에 도움이 되어왔다. 국내의 대학도서관 정보리터러시 교육의 경우는 이용자 및 목적에 따라 나뉘어 있어 리포트나 논문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현장 교육을 위주로 일회적인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또한, 국내의 정보리터러시 교육의 내용을 ACRL 5기준에 따라 분석해 본 결과, 구체적인 내용으로 갈수록 목록을 나누는 데 있어 국외의 대학도서관의 경우에 비해 단계별 기준과 더욱 상이하게 나누어지는 것을 볼 수가 있었다. 국외 대학교의 정보리터러시 교육은 국내의 대학도서관 정보리터러시 교육이 ACRL 5기준으로 분석되는 것과는 달리, 구체적인 내용 또한 분석 기준에 더 적합한 형태를 띠고 있었다. 또한, 온라인 형태로 제공되고 있었으며, 정보리터러시 주제면에서도 더 다양하고 기준에 맞게 구성되어 체계적이었다. 국내 대학교의 정보리터러시 교육이 지금 보다 더 이용자의 요구에 알맞게 제공되어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정보리터러시 교육이 더욱 발전해나가야 한다. 첫째, 정보리터러시 교육은 국내 교육 시스템에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체계적인 정보리터러시 교육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해 준비해나가야 한다. 둘째, 미래대학도서관에서 정보리터러시 교육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에 이를 위한 유연한 자세와 대처가 필요될 것이며, 정보리터러시 교육에 지속해서 변화가 반영되어야 한다. 셋째, 도서관 이용자들 간의 정보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정보리터러시 교육의 과정에서 교육내용이 반복 가능하고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없어야 한다. 점차적으로 대학도서관 이용자는 기존의 면대면 형태의 서비스만 제공하는 것보다는 온라인 교육 형태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지만, 복합적인 방법이 더욱 효율성이 있다는 결과를 얻거나 이용자의 선호를 받고 있었다. 더욱이 기존의 교육서비스 방식이 새로운 방법을 적용하는 식의 교육 형태보다 더 적합할 수도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끝으로, 효율적인 정보리터러시 교육은 연구와 준비를 통한 방법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정보리터러시 교육은 비판적인 사고, 논리적인 추론, 자발적인 학습 등을 통하여 그 과정에서 더 가치 있고 질적인 결론에 도달할 수 있게 한다.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s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ILI) in university libraries through cases of foreign and domestic universities about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Keyword analysis methodology and compares and analyzed ILI of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y libraries based on the ACRL 5 standard which is a standard worldwide. ILI develops the ability to know what is lacking by oneself and to request for the necessary information and to promote the critical thinking, and voluntary learning and active learning can be developed that is realized. The previous of the constructivism thought that the professor instruction is important in ILI, But now it became important to students are aware of problem consciousness or to form research topics of interest themselves. Library ILI helps users to obtain qualitative information efficiently and to help users find information in various ways. The contents of domestic university library ILI are composed for the purpose of writing a report or a paper. And it conducted mainly one shot instruction and field instruction. Further, as a result of analyzing according to the standards, Domestic University Library ILI’s specific details are more different from the standard than the foreign university libraries. And ILI analysis result at foreign universities by the standard is different from the domestic's. Online instruction is common there, the subject and contents of ILI was also more inclusive and relatively systematic. Therefore, in order for ILI in domestic university libraries to be more development than the present, First, ILI should not be confined to the domestic instruction system and should be prepared to provide systematic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Second, it is expected that ILI will play a key role in the future university library, so it should need a flexible mind and coping to reflect changes of ILI continuously. Third, to be able to reduce the information gap between library users, there should be repeatable, timely, and no difficulty in the process of ILI. Gradually, university library users have been changed tend to be prefer online instruction forms rather than only face-to-face instruction, but it is revealed both methods have been more favored by users. In addition, it needs to keep in mind that the existing instruction methods are likely to be more appropriate than using and adopting only new methods. Lastly, it requires that effective ILI methods based on research and preparation. ILI must be able to reach more valuable and qualitative conclusions in the process through critical thinking, logical reasoning and voluntary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