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우울증 대학생들에 대한 인지적 독서치료와 정서수용의 효과

        정지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연구는 인지적 독서치료가 대학생 우울증 치료에 적합한지 확인하고, 인지적 독서치료의 치료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검증을 위해 주요우울장애 진단에 부합된 대학생을 모집하였고, 모집된 대학생들은 세 집단에 할당되었다. 집단은 독서치료 집단(실험집단A)과 인지적 독서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해 정서수용 과제를 접목시킨 독서치료 집단(실험집단B) 그리고 대기 집단이다. 연구는 총 5주간 시행되었고, 실험집단 참여자들은 첫 주에 정서수용 관련 과제를 시행한 후, 인지적 독서치료에 참여하게 된다. 정서수용 과제는 부정적인 경험을 적는 글쓰기 과제이고, 인지적 독서치료는 Burns(1980)의 Feeling good을 활용하였다. 프로그램 치료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우울수준(BDI-II), 부정적 자동적 사고 정도(ATQ-N)와 정서수용 수준(정서수용척도)은 프로그램 시작, 중간, 종료시점에 측정되었다. 사전-사후 측정값을 분석한 결과, 인지적 독서치료에 참여한 우울한 대학생들의 우울수준과 부정적 자동적 사고 정도가 유의미하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유의미한 감소는 대기집단과 비교했을 때 또한 지지되었다. 그리고 우울수준과 부정적 자동적 사고의 변화가 정서수용 수준의 변화와 상관관계임이 확인되었지만, 정서수용 수준이 치료효과 증가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은 지지되지 않았다. 결과를 종합해 보았을 때, 우울한 대학생들에게 인지적 독서치료가 효율적인 치료 대안책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으며, 인지적 독서치료의 치료효과를 증가시키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cognitive bibliotherapy for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and to investigate the therapeutic effect of cognitive bibliotherapy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emotional acceptance level. For verification, college students who met the diagnosis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were recruited and the college students who were recruited were assigned to three groups. The group is the bibliotherapy group (experimental group A) and the bibliotherapy group (experimental group B) which combined the tasks to raise emotional acceptance level and the waiting group. The study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5 weeks.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asked to complete their emotional tasks in the first week and then participate in cognitive bibliotherapy. Depression(BDI-II), negative automatic thought(ATQ-N), and emotional acceptance (emotional acceptance scale) were measured at the beginning, middle, and end of the program.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e-post test scores, it was confirmed that depressed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cognitive bibliotherapy significantly decreased the level of depression and negative automatic thought. Significant reductions were also supported when compared to the waiting group. Depression level and negative automatic thought were correlated with changes in emotional acceptance level, but the hypothesis that emotional acceptance level would affect the treatment effect was not support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gnitive bibliotherapy can be an effective treatment for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and that the level of emotional acceptance does not increase the therapeutic effect but it correlates with the level of depression and negative automatic thought.

      • 기계학습 기반 모바일 라이다 데이터의 분류

        정지희 서울시립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55

        자율주행차량 관련 기술 발달에 따라 대규모 공간정보 구축을 위해모바일 매핑 시스템(Mobile Mapping System)으로 활용되던 라이다 센서는 차량의 주행 환경 탐지 목적으로도 활용 범위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센서 데이터를 활용함에도 사각지대가 발생하게 되었고, 기존의 내비게이션 정밀도 및 정확도 개선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정밀도로지도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라이다는 고밀도의 포인트 클라우드를 제공하기 때문에 정밀도로지도 구축 및 MMS 측량에 적합하다. 이에 본 연구는 정밀도로지도 구축의 요구사항을 조사하고 분류 대상을 선정하여 기계학습 기반으로 해당 객체들을 분류한다. 분류 대상을 선정하기 위하여, 먼저 문헌조사를 통해 정밀도로지도에 대한 개념과 요구사항을 파악한다. 또한 MMS 활용 범위와 비교하여 정밀도로지도 구축을 위한 라이다의 활용 적정성을 파악한다.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실험을 수행할 대상을 선정한 다음 기계학습 기반의 분류를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포인트 클라우드에 대한 특징 추출을 수행하고 특징 추출 결과를 학습 및 분류에 사용한다. 특징 추출은 점의 위치 좌표로부터 계산된 고유값 비율 기반의 방법과 포인트 클라우드를 위한 특징 기술자인 Fast Feature Point Histogram을 사용한다. 학습 및 분류 알고리즘은 선형 Support Vector Machine을 사용한다. 검증 방법은 분류 결과를 실제 항목과 비교하는 Confusion matrix를 생성하고 이로부터 분류 정확도(Recall)와 재현율(Precision)을 비교한다. 연구 결과 데이터 셋 구성에 따라 고유값 비율 기반으로 추출된 특징을 분류한 결과 평균적으로 약 63%의 분류 정확도를 나타내었고, 지면점과 지면점 내 세부 객체인 도로면, 노면표시, 보행로 등은 최고 99% 이상의 정확도로 분류 되었다. 그러나 FPFH 기술자를 이용하여 여러 항목을 동시 분류한 결과는 평균 분류 정확도가 약 16%로 오분류율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의 라이다 데이터 필터링 및 분할 알고리즘을 사용하지 않고 기계학습 방법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3차원 포인트 클라우드에 대한 기계학습 기반의 객체 분류 연구에 기여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향후 다양한 변인 요소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정확도가 개선된다면 정밀도로지도 구축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mands for a highly precise map grows up with development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The highly precise map includes a precision of centimeters level unlike an existing commercial map with the precision of meters level.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road environments and make a decision for autonomous driving. Lidar is an appropriate sensor for generating a map with high precision because it provides highly dense point cloud data with three dimensional position, intensities and ranges from the sensor to targe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mobile LIDAR data based on machine learning for generating a highly precise roadway map. To classify point cloud data related to the highly precise roadway map, requirements for the map are examined and target objects on the roadway are selected. Those selected targets are classified by machine learning. The process of this study consists of two steps. The first step is feature extraction. In this stage, the eigenvalues of point cloud data is calculated and the Fast Point Feature Histogram (FPFH) descriptor is applied. Next, the Support Vector Machine (SVM) classifier is used to train and classify the extracted features. The results of the classification is analyzed by a confusion matrix with recall and precision values. The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d that the classification based on feature extraction from the eigenvalues represented higher accuracies than from the FPFH descriptor. In the case of ground point classification, the accuracy was about 99% with the features based on the eigenvalues. However, both feature types were not appropriate for multi-class classification of the SVM classifier. This study can be contributed to classification of point cloud data based on machine learning and generating the highly precise map if the total accuracy is improved by future works.

      • 법.제도 기반의 개인정보 보호 및 제어 모델 설계 및 구현

        정지희 성신여자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55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생활의 편리함과 유익성이라는 혜택이 제공되고 있지만, 이에 따른 역기능 문제로 인한 피해는 계속 증가하면서 정보화 사회에 대한 사람들의 우려가 가중되고 있다. 특히 개인정보 측면에서 정보의 오남용 및 불법 유출 등의 크고 작은 범죄의 표적이 되면서 개인의 정신적, 금전적 피해뿐 아니라 정보화 사회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지는 심각한 상황을 야기하고 있다. 이에 국회와 행정부에서는 개인정보 관련 법안을 발표하고 있지만, 각처에 흩어져 있어 법규 간에 상충되는 부분이나 보호받지 못하는 부분이 존재하고, 더욱이 기술적 측면에서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표준화 대안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존하는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을 기반으로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엔진을 제안한다. 특히 본 논문에서 개인정보보호 정책 엔진과 개인정보 접근제어 기능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룬다. 이를 위해 현존하는 개인정보의 정의 및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제도적, 법적, 기술적인 방안을 연구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개인정보를 다루는 기관 및 기업의 주체별 구분과 해당 법률 및 국외 정책 분석하고, 법률 보호 하에 개인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방안 구축하였다. 또한 개인정보의 중요도에 따른 등급 구분과 이에 접근하는 사용자를 목적과 역할에 따라 차별화된 권한을 부여하여 개인정보를 접근제어 하도록 한다. 본 시스템을 통해 분산 환경 내 개인정보의 유통 및 관리가 법 기반으로 보다 안전한 환경에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오∙남용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다.

      • 범죄사건 보도가 어린이들의 정서와 현실인식에 미치는 영향

        정지희 동국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55

        In 2012, the report of cruel incidents such as torso murder of Suwon woman in her twenties, murder of Ulsan sisters, etc. gave a shock to the whole nation. It's problem that the report of those shocking incidents doesn't set any limit on the age, so children also can encounter the report unintentionally. Especially, the report of news reflecting reality's cruelty as it is, such as general service channel with strong attribute of report, etc. is recently increased, so there are worries that children watching those news can be mentally damaged. It's natural that the report of news delivers 'the truth'. It is to accept people's right to know, form the foundation of journalism reporting 'the truth' and be the substructure of democracy. However, the problems are that today's news become more vivid everyday for the sense of realism and their sensational scenes are increased. Therefore, this research intends to investigate following problems for elementary children in Korea. The first, basic investigation of the actual status children watch news is conducted. In other words, current situation and actual status for children's watching of news, such as frequency, motives, course, etc. will be examined. The second, this research will examine which emotional reaction news make for children. To achieve it, it investigated which news make negative reaction (sadness, fear, anger, etc.) for children and then, examined the effects of the exposure of crime's report on negative emotion. The third, it examined the effects of the exposure of crime's report on the perception of reality for crime. In here, the perception of reality for crime includes frequency of crime, seriousness, fear for crime, etc. This research hereby will analyze which effect the report of all kinds of crime makes on children's emotion and perception of reality.

      • 트레이시 에민(Tracey Emin)의 작품에 나타난 자기고백적 표현

        정지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thesis is a study regarding the self-confessional expression in Tracey Emin's work. Tracey Emin(Born in 1963) started her career as a member of the ‘yBa(young British artists)’ emerged in the 1990s, and emerged as an artist representing British contemporary art through her work that openly shows the traumatic events in her life in an unconventional way. But until now, the studies about her work were mostly weighted toward the simple form of analysis, and tended to highlight its suggestive aspect of the subject overlooking the implications of her personal confession. Accordingly, this writer intended to shed light on her work world over the last 20 years, focusing on the point that the self-confessional expression consistently revealed in Emin's work is a favorite subject of artists in art history and at the same time its expression method is a shared characteristic of contemporary art. The self-confessional expression in art history has been developed along with the history of self-portrait. And it has been gradually expanded as the subject that reveals an artist's life and his/her inner world, as the artist's self-consciousness grows. By the late 20th century, in a broader sense, self-confessional art showed the work that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subject as artist is revealed. That is, it means the method that 'the body as subject' is revealed; the artist's body is directly shown through performances, photos, images, etc. Particularly, using such a way of working actively, feminist artists tried to rethink the position of women subjects by expressing her own body. Emin also has a shared aspect with them in the point that as a woman artist, she has continued the work that her autobiographical content is visualized. But Emin's work focuses on expressing her life itself, unlike other women artists who show gender differences. For this reason, we cannot narrow down her work to feminism art only. Meanwhile, her work is also connected to the context of British culture of the day. Emin expressed the atmosphere of the region where she was born and raised, using her life experience as the subject matter of work, while she included the social context of the period she was engaged with the yBa. Also, using the reproduction method borrowed from the reality show of the mass media at the time, she revealed her life more dramatically. Ultimately, Emin's work is that the life itself is nothing but a work of art; it expresses an individual's daily life and its social ․ cultural context through content and form. First of all, the confession of her sexual trauma directly expressed by her own body, makes Emin rethink her wounded identity through the work that objectifies herself. The pain and scar due to improper sexual experience was the motive and nourishment that spurred her to art, and at the same time it continuously appears in her work as the trauma is constantly repeated in her life. Meanwhile, the work such as appliqué, neon, etc. using the materials and techniques of decorative art or commercial art, is evocative of the sensibility that has been excluded from mainstream art, particularly femininity. At the same time, such work is used as a path to self-confession by conveying the story of an artist via fragmentary texts. She also speaks about her life through the work of objects that the things remembered or placed in memory are transferred to the art museum. Thus, Emin is continuing the self-confessional expression through various forms and media. In her recent work, she expresses her life more tridimensionally, while expressing the open structure possible for flexible interpretation. As mentioned above, it has significance in the point that the self-confessional expression revealed throughout her work meets both art history and contemporary cultural trends. Ultimately, Emin's work situates her personal life on the historical ․ social horizon. 본 논문은 트레이시 에민(Tracey Emin, 1963~)의 작품에 나타난 자기고백적 표현을 살펴본 연구이다. 에민은 1990년대 미술계에 등장한 ‘yBa(young British artists)’의 일원으로 출발하여 삶에서 겪은 충격적인 사건들을 솔직하고 파격적인 방식으로 드러내는 작업을 통해 영국 현대미술을 대표하는 작가로 부상하였다. 그러나 지금까지 그녀 작업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단순한 형식의 분석에 치우쳐 있었으며, 작가의 개인사적 고백에 내포된 의미는 간과된 채 그 주제의 선정적인 측면만이 부각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에 필자는 에민의 작업에 일관되게 드러나는 자기고백의 내용이 미술사의 오랜 주제이며 그 표현의 방식은 동시대 미술의 특징을 공유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지난 20여년에 걸친 그녀의 작품 세계를 총체적으로 조명해 보고자 했다. 미술사에서 자기고백적 표현은 작가가 스스로를 주제로 삼는 자화상의 역사와 함께 전개되어 왔으며, 작가의 자의식이 성장함에 따라 점차 작가의 삶과 그의 내면을 드러내는 주제로 확장되어 왔다. 20세기 후반에 이르러 자기고백적 미술은 보다 넓은 의미에서 예술가의 주체 형성 과정을 드러내는 작업으로 나타났다. 퍼포먼스, 사진, 영상 등으로 예술가의 신체를 직접 보여주면서 ‘주체로서의 몸’을 드러내는 방식이 그것인데, 특히 페미니스트 미술가들은 이러한 작업방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여성으로서의 자신의 몸을 제시함으로써 여성주체의 위치를 재고시키고자 하였다. 에민 역시 여성작가로서 자서전적 내용을 시각화하는 작업을 지속해왔다는 점에서 이들과 공유하는 측면을 가진다. 그러나 에민의 작업은 다른 여성 작가들처럼 성적 차이를 보여주기보다 작가의 삶 자체를 표현하는 데 집중되어 있다. 이는 그녀의 작업을 페미니즘 미술로만 한정할 수 없는 측면이다. 한편, 에민의 작업은 당대 영국의 문화적 맥락과도 연결된다. 그녀는 삶의 경험을 작품의 소재로 삼으면서 자신이 나고 자란 지역의 분위기를 담아내는 한편, yBa 작가들과 같이 활동하던 시기의 사회적 정황 역시 작품의 일부로 끌어들였다. 또한 당시 성행한 대중매체의 리얼리티 쇼에서 따온 재현 방식을 이용하여 자신의 삶을 더 극적으로 드러내기도 하였다. 결국 에민의 작업은 개인의 일상과 그것에 얽힌 사회적, 문화적 맥락을 내용과 형식을 통해 드러냄으로써 삶 자체를 작품화한 것에 다름 아니다. 먼저 에민은 자신의 몸을 직접 제시하면서 스스로를 대상화하는 작품을 통해 자신이 겪은 성적 트라우마를 고백하고 상처 입은 자신의 정체성을 재고하게 한다. 부적절한 성적 경험에 의한 고통과 상처는 그녀를 예술로 이끈 동기이며 자양분이 되는 동시에, 그녀의 삶에서 반복되는 트라우마로서 끊임없이 작용하듯이 작업에서도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한편 아플리케나 네온 등 장식미술이나 상업미술의 재료와 기법을 이용한 작업은 주류 미술에서 배제되어온 감수성, 특히 여성성을 환기한다. 동시에, 이러한 작업은 단편적인 텍스트를 통해 작가의 이야기를 전달함으로써 자기고백의 통로가 된다. 에민은 또한 추억이 깃든 물건이나 기억 속의 장소에 있던 사물들을 미술관으로 옮겨놓은 오브제 작업들을 통해서도 자신의 삶을 이야기한다. 이처럼 에민은 다양한 형식과 매체를 통해 자기고백적 표현을 지속하고 있는데, 최근의 작업에 가까워질수록 점차 자신의 삶을 입체적으로 제시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유동적인 해석이 가능한 열린 구조로 제시한다. 이상과 같이 트레이시 에민의 작업 전반에 나타나는 자기고백적 표현은 미술사적 전통을 계승할 뿐 아니라 당대의 문화적 동향에도 부응한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그녀의 작업은 결국 예술가 개인의 삶을 역사적ㆍ사회적 지평 위에 위치시키는 작업인 것이다.

      • 재활용 암면, 마사토 및 원예용 상토의 혼합비율에 따른 딸기 자묘의 생육 특성

        정지희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Seolhyang' runner plants an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mixed medium according to the mixing ratio of reused rockwool, decomposed granite and horticultural media. The mixing ratio of media (horticultural media:decomposed granite:reused rockwool) has a control=100:0:0, M1 =80:0:20, M2=60:30:10, M3=40:30:30, M4=30:40:30 and M5=0:50:50 that are filled in plastic pots, then situated randomly. As for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oils before cultivation, most of the horticultural media were control and M1, and the volume density was comparably the lowest at 0.07 to 0.08 (g/cm3). On the other hand, the total porosity appeared a has 92.75% to 94.5%. The bulk density of the media, which was a mixture of reused rockwool and decomposed granite, was higher as the mixing ratio was greater. The total porosity and air porosity ratio were the lowest, which is considered to be due to the high density characteristics of decomposed granite. Thus, the horticultural media and decomposed granite showed clear differences in bulk density, total porosity ratio, air porosity, and optimal matric potential, it was considered that water management during use as a single medium was difficult. On the EC, except for 0.8dS‧m¯1 of M1, the other treatment were EC 0.43 to 0.5dS‧m¯1, and the pH was 5.5 to 6.5, which was in an appropriate range during crop cultivation. As a result of runner growth, the initial length of M1 was 32.1cm longer than that of Control 31.9cm, and M4 was the smallest at 28.4cm.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leaf number, leaf shape, leaf area, crown diameter, SPAD value and above-ground tissue weight, dry weight, underground tissue weight, and dry weight. M1, which had the highest EC, P2O5, and NH4+-N, had a longer plant length than other treated plants, but the crown diameter, which is an index of strawberry native growth, showed no difference. As a result, there was a slight difference in growth between the media mix ratios, but no statistical difference. Therefore, in terms of irrigation, when the mixing ratio of the reused rockwool and decomposed granite is 30 to 40%, it is advantageous for moisture management due to physical buffering such as bulk density, total porosity, air porosity, and optimal matric potential, and it is considere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economic efficiency by recycling. 본 연구는 재활용 암면, 마사토 및 원예용 상토를 활용한 혼합비율에 따른 ‘설향’자묘의 생육 특성과 혼합배지의 물리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상토의 혼합비율은 원예용 상토+마사토+재활용 암면을 Control=100:0:0, M1=80:0:20, M2=60:30:10, M3=40:30:30, M4=30:40:30 및 M5=0:50:50 이었으며 육묘용 플라스틱 포트에 충전하여 완전임의배치 하였다. 재배 전 상토의 물리성은 원예용 상토가 대부분인 Control과 M1에서 용적밀도가 0.07~0.08(g/cm3)로 가장 낮았다. 반면 공극률은 92.75%~94.5%로 높게 나타났다. 재활용 암면과 마사토가 혼합된 상토는 혼합비율이 높아질수록 용적밀도는 높았으며, 공극률과 기상률은 가장 낮았는데 마사토의 높은 밀도 특성에 의한 영향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이 원예용 상토와 마사토는 용적밀도와 공극률, 기상률 및 수분장력에서 반대되는 결과로 뚜렷한 차이를 보여 단일배지로 사용 시 수분 관리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EC 측면에서는 M1의 0.8dS‧m-1 을 제외하고 다른 처리구는 EC 0.43~0.5dS‧m-1 이었으며, pH는 5.5~6.5로 작물 재배 시 적정한 범위에 수용되었다. 자묘의 생육 결과 Control 31.9cm에 비해 M1의 초장이 32.1cm로 길었고, M4는 28.4cm로 가장 작았다. 엽수, 엽장, 엽면적, 크라운 직경, SPAD value와 지상부 생체중, 건물중 및 지하부 생체중, 건물중은 통계적 차이가 없었다. EC, P2O5, NH4+-N가 가장 높았던 M1은 초장이 다른 처리구에 비해 길었으나 딸기 자묘의 생육 지표인 크라운 직경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상토의 혼합비율 간 약간의 생육의 차이는 있었으나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관수의 유리한 면에서는 원예용 상토 단일배지보다는 재활용 암면과 마사토의 혼합비율이 각각 30~40% 되었을 때 용적밀도, 공극률, 기상률, 수분장력 등의 물리성 완충작용으로 수분 관리하기에 유리하며 암면의 재활용에 따른 경제성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환경심리행태를 고려한 종합병원 건강검진센터 실내 공간 계획 연구

        정지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문요약 현대사회에서 인간의 수명은 점차 연장됨에 따라 건강한 삶에 대한 관심이 높 아지면서 이에 따른 쾌적하고 수준 높은 의료 환경에 대한 요구가 더해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건강검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사전적 질병 예 방서비스를 통해 질병을 미리 예방하는 것이 질병을 치료하는 것보다 경제적인 면에서 효율적이며, 의료비 절감으로 인한 국가 경제에도 큰 장점으로 작용된다는 관점이 대두되고 있다. 건강검진센터는 질병으로 인한 치료목적이 아닌 예방목적의 측면에서 단순의료 행위가 일반병원과는 다르다는 점에서 다양한 기능과 목적에 따라 공간구성과 동 선이 달라 질 수 있고, 이러한 새로운 인식이 새롭게 증축 개축되는 검진센터환경 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며 거시적인 관점에서 의료시장 개방으로 인한 양적 국내 의료시장의 경쟁에 보다 나은 대처 방안으로 제시 될 수 있다. 따라서 건강검진센터의 공간구성 및 배치 등 실내현황 등을 파악하여 사용자 요 구를 반영한 공간계획의 방향을 제시하고 이에 따른 물리적 계획과 환경 심리적 공 간계획을 바탕으로 이용자를 중심으로 한 공간계획이 이루어질 때, 건강검진센터 를 방문한 이용자들은 더욱 편안하고 주체적인 치료예방의 효과를 거두게 될 것 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종합병원의 건강검진센터의 실내 공간 계획 단계에서 요 구되는 전반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건강검진공간의 물리적 공간구성을 통한 건축 계획적 특성을 파악하고 환경심리 행태적 관점에서 바라본 공간특성을 파악하여 건강검진센터의 공간을 건강을 주는 환경으로의 접근 필요성을 가지고 종합병원 건강검진센터 계획에 필요한 자료제시를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건강검진 센터의 이론적 바탕과 실질적 건강검진센터의 공간 계획의 일반적 요소의 특징을 살펴본 후 현장방문을 통한 사례조사와, 인터뷰 조 사, 도면분석 순으로 진행되었다. 환경심리 행태 요소의 경우는 체크리스트를 바 탕으로 건강검진센터 관련 환경심리행태, 치유환경 등 심리적 접근방법으로의 특 성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ix - 1. 종합병원 건강검진센터의 공간은 크게 공용공간, 관리공간, 검진공간, 진료지 원공간으로 구성되는데 조사결과 공용공간 > 검진공간 > 진료지원공간 > 관리공 간 순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검진센터에서 공용공간의 면적이 가장 넓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센터 면적대비 가장 높게 나타난 곳은 52.14% C병 원 검진센터(2009), 작게 나타난 곳은 39.77%로 나타난 E병원 검진센터(1994)로 이는 이전과 다른 건강검진센터의 변화로 프로그램의 세분화로 인한 실의 증가로 동선이 복잡해지고 복잡한 복도 및 대기공간이 생기므로 이용자 중심의 공용공간 에 대한 배려와 다양한 서비스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조사대상의 실 구성비교에서는 규모가 상대적으로 큰 A, C, F 병원 검진센 터의 경우 대부분의 실이 갖추어져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 검사실에서 두 가지 이상의 검사가 행하는 경우도 있었다. 검진센터의 기초검진과 기본검진을 위한 대부분의 실들이 갖추어져있었고 다만 치과 검사실의 경우 규모면에서 큰 A, C, F 병원 검진센터만 그 실들이 갖추어져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CT, MRI 선택 검진실의 경우 중앙 진료부와 연계하여 검진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특 히 MRI 검진의 경우 C병원 검진센터에서만 계획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관리 공간인 회의실의 경우 A, F병원 검진센터 만이 구성되어있음을 알 수 있었다. 나 머지의 검진센터의 회의 및 미팅의 경우 공용공간인 대기공간이나 휴게실에서 이 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조사대상의 평면 및 동선을 비교분석하면 크게 수검자의 동선과 직원의 이동 동선으로 구분되는데 수검자의 동선은 검진 시 동선과 판정시의 동선으로 구분되 어진다. 이 동선은 일정한 순환체계가 되도록 공간을 구성하여 검사와는 직접관련 이 없는 사람과는 가급적 분리시키는 것이 좋으며, 도면분석결과 A, C, F 병원 검 진센터의 경우 공간을 완전히 분리시켜 검진 수검자와 판정 시 결과 상담을 위한 방문수검자와 동선에 혼잡이 없었고 나머지 B, D, F 병원 검진센터 경우는 안내 공간에서 접수 후 멀지 않은 곳에 배치되어있어 최소한의 동선을 유지하고 있었 다. 또한 A, C, D, F 병원 검진센터의 경우 평면구성을 크게 남녀 공간으로 분리 하여 계획한 동선 및 공간이 마련되어있어 수검자의 프라이버시 보호에 의한 평 면 계획을 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복도의 형태와 실의 배치에 따라 부분 복 도형, 단순 순환형, 중앙 섬형, 직선형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전반적으로 조사대 상의 병원의 경우 대규모의 종합병원이므로 2가지 이상의 복합적인 형태로 구분 되었다. 이전의 직선 배치형의 경우 수검자들의 동선교차와 혼잡이 우려되어 직원 동선과 검사실의 연계가 불분명하고 대기 홀과 많이 떨어져있어 수검자 제반관리 가 부족했다면 본 연구 대상의 병원의 A, C 병원의 검진센터의 직선배치형의 경 - x - 우 중간에 또 다른 안내 공간 및 2차 관리공간이 있어 수검자의 안내 및 관리가 효율적이고 진선형의 평면의 단점인 긴 동선의 경우 최소한의 동선을 위해 휴게 공간과 남녀 검진공간을 분리하여 직선형을 보다 효율적으로 계획한 사례를 볼 수 있었다. 또한 중앙 섬형의 경우 수검자로 하여 공간구분을 쉽게 하며 검진공간 을 순회하는 방식의 평면으로 중앙에 실을 두어 양방향 서로 마주하는 실의 형태 를 가지게 되며 각 실과 실이 마주한 곳의 경우 복도의 혼잡이 우려 되었지만 이 를 보안하기 위해 맞은편에 별도의 휴게실, 탈이실 또는 검진시간이 길지 않은 실 을 계획하여 혼잡을 방지하였다. 단순 순환형의 경우 홀 중심으로 외각을 따라 실 이 배치되는 구성의 형태로 중앙에 휴게 공간을 두어 수검자의 제반 관리에 효율 적이나 동선의 중복현상과 대기공간의 혼잡이 우려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부분 복도형의 경우 크게 E 검진센터의 구조로 돌출된 복도로 인해 동선의 혼잡 우려 되는 공간이 있으나 규모면에서 사람이 적고 그 부분에 대기공간을 두는 계획을 하였으며 A병원 검진센터의 부분 복도형의 유형의 경우 수검자의 수가 적게 몰리 는 여성 검진 공간, 또는 검사 시간이 길지 않은 실의 배치로 수검자 지체로 인한 혼잡을 피하는 계획을 하였다. 넷째, 조사대상의 디자인 특성의 경우 안내공간과 대기공간의 경우 다른 공간보 다 검진센터의 아이덴티티를 부곽 시기는 표현 등이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조사대 상의 종합병원의 다른 곳 보다 검진센터의 서비스 측면이 강하게 나타났다. 공용 공간 중 대기공간의 마감재 및 색채를 조사한 결과 대부분이 대리석과 무늬목 카 펫, 화이트계열과 브라운계열의 색채를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건강검진센 터 대기공간의 마감재 및 색채는 주로 호텔과 비슷한 고급스러운 형태로 표현되 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검진센터의 서비스 측면을 강하게 표현하는 것으로 의료서비스 일환으로 검진에 대한 두려움과 심리적 불안감 주기보다는 자신의 건 강을 확인하는 서비스 측면이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검진공간의 마감재 및 색채를 조사한 결과 PVC 바닥마감과, 도장, 벽지, 화이트계열의 색채와 바닥의 경우는 그레이 계열의 색채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검진공간의 경우 수검자의 배려보다는 기존의 의료공간의 기능적 의료공간의 디자인특성으로 나타났으며 각 검진의 기능을 바탕으로 수검자의 심리를 반영한 효율적인 디자인 계획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다섯째, 건강검진센터의 환경심리행태 특성을 길 찾기, 쾌적성, 프라이버시, 커 뮤니케이션, 친자연성으로 구분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여섯째, 길 찾기의 특성의 경우 대부분의 정확한 각 실의 인지를 위한 돌출 형 실명사인 및 번호사인이 구분되어 있었고 C, F병원 검진센터의 검진실의 경우 모 - xi - 니터, 또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을 설치한 전자태그 시스템이 계획되어 있어 본인 확인이 정확하고 오 검진 및 수검자의 개별 안내 시 소모되 는 인적자원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계획이라 판단된다. 또한 각 검진실의 실의 증 가에 따른 혼선을 줄이고 길 찾기에 효율적인 계획 위해서는 공간별 위치 지도 및 대기 및 휴게공간의 랜드 마크 적 표시를 해두거나 복도 공간의 방향유도 사 인물에 대해 정확한 인지 표현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2) 쾌적성의 특성을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팬, 디퓨져 등의 환기시설 설치는 양호 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연광이 충분히 들어오는 창의 설치의 경우 A, B, C병원 검진센터를 제외하고는 모두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명기구 의 눈부심 방지를 위한 적합한 조명사용은 대체적으로 적절하게 나타났으나 C병원 검진센터 의 경우 조명으로 인한 디자인 계획으로 눈부심 현상으로 조명기구 및 조도조절 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3) 프라이버시의 특징을 살펴보면, 기본적인 탈의실의 개인 소지품등 개인용 잠금 장치 등 의 계획은 모두 적절하게 계획되어있었고, 화장실과 체뇨실 에 관한 계획 도 적절하게 나타났으며 대기공간의 시각적 시선 차단 등으로 프라이버시가 보장 되는 것으로 평가되어졌다. 그러나 B, E 병원 검진센터의 경우 여성검진 공간에 대한 계획이 부족하여 여성 수검자의 프라이버시계획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으 며 A, C, E, F병원의 검진센터 경우 여성전용공간이 계획되어있거나 동선상 분리 계획 되어있었다. 다면 공간의 규모와 경제성을 고려한다면 이중의 공간이 계획되 어야 한다는 단점이 될 수 있으나 검진센터의 프라이버시 계획 중 여성검진수검 자와 프라이버시 계획은 공간구성상 가장 중요한 요소이므로 적절한 동선 계획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4) 커뮤니케이션 특성을 살펴보면 모든 검진센터경우 대기 수검자들로 인해 가구 나 TV, 책, 잡지 등이 마련되어있어 의료서비스 및 정보 교환 커뮤니케이션 공간 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료공간의 기본적인 의료서비스를 병행하여 검진 이외의 의료정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수검자와 보호자를 위한 적절한 가구 배치와 복도공간에 그림 및 액자를 설치하여 다양한 벽의 볼거리를 제공하는 것 이 바람직하다. 5) 친자연성 특성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복도공간에 그림 및 액자와 화분을 배치하 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으며 전반적 발코니 테라스 조경 수공간의 직접적인 자연 활용사례는 다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A병원 검진센터의 경우 옥상 층의 전망 - xii - 으로 로비공간의 전면에 조망권 을 확보하여 자연을 유입하는 방식과 B병원 검진 센터의 로비공간의 테라스와 연결된 휴게 공간 확보와 로비 공간의 전창으로 인 한 자연도입의 로비 공간 배치 C검진센터의 복도공간의 전면 창을 이용한 조망권 확보와 지하에 위치한 F병원 검진센터의 실내정원과 썬큰(Sunken)을 계획하여 휴 게 공간 및 대기공간에 자연을 유입하는 계획으로 다소 소극적 계획이 이루어졌 으며 대부분이 로비 공간의 입구에서 자연적 특성이 나타났으며 한정된 공간과 오랜 대기 시간을 위해서 보다 적극적인 자연적 특성을 계획 하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사료 된다. 건강검진센터의 경우 의료공간에서 질병에 걸려 병원을 찾는 환자의 개념이 아 니라 건강의 상태 확인과 질병의 예방 및 조기 발견을 목적으로 방문하는 이용자 중심으로 그 의미가 일반적 의료 공간과는 다르다고 판단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 였다. 종합병원의 건강검진센터 대부분이 한정된 공간과 세분화된 검진실의 빠른 동선을 유도하는 계획으로 이루어져있다. 좀 더 효율적이고 수검자 중심의 건강검 진센터 공간이 되기 위해서는 물리적인 요소인 일반적 검진센터 계획의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수검자 중심적인 환경심리행태인 길 찾기, 쾌적성, 프라이버시, 커뮤니케이션, 자연성 요소를 적절히 계획한다면 더 나은 접근이라 판단된다. 본 연구는 종합병원 건강검진센터 실내공간계획에 관한연구로 이론적 고찰과 사례조사를 중심으로 공간 계획에 필요한 공간적 특성과 디자인분석을 하였으며, 환경심리행태 평가에서는 선행 이론을 바탕으로 환경행태 요소를 추출하였다. 기 존의 건강검진센터는 환경심리행태 및 치유 환경 등의 관련 선행연구가 없으므로 일반적 의료공간의 환경행태를 바탕으로 한 검진센터 관계자의 인터뷰조사를 통한 자료이므로 사용자 모두를 대표할 수는 없다고 판단하며, 검진센터 이용자의 환경 심리행태 관련 요구를 알기 위해서는 객관적이고 심층적인 수검자의 면접이나 설 문조사를 통한 연구가 필요하고 또한 서울소재의 종합/대학병원(6곳)의 건강검진 센터를 연구대상으로 비교분석하였기에 건강검진센터 모두를 적용할 수는 없으므 로 건강검진센터 실내공간계획에 있어 세부적이고 일반화된 방법론을 얻기 위해서 는 앞으로 더 많은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공간구조분석을 통한 HCI 적용 방법 연구 : 입체/복합공간 활성화를 중심으로

        정지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현대의 대도시는 여러 가지 기능이 집중하여 종합 도시로서의 성격을 가지는 것이 많아짐에 따라 복합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복합개발은 현대의 상업 공간이 고도로 자본화되는 사회의 사회 구성원들의 삶의 변화가 투영됨에 따라 수많은 변이와 변종을 경험, 상업 시설의 대형화와 함께 여가 및 문화 공간과의 결합을 통한 입체복합시설로 변화하는 추세다. 하지만 도시의 공공공간 역할을 하는 입체/복합공간이 길찾기가 어렵고 공간인지에 어려움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회적 흐름이 디지털 사회로 변화되어 사회적 변화가 공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시점에서 이용자와 컴퓨터 간의 상호작용을 하는 HCI 기술의 도입은 입체/복합공간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가능성을 열어준다. 이용자는 길을 헤매거나 무미건조하고 의미 없는 공간보다는 좀 더 즐거운 체험을 하되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 이러한 요구는 입체/복합공간에 HCI를 도입함으로써 공간을 활성화 하는데 효과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입체/복합시설을 대상으로 공간구조분석을 통한 공간특성에 따라 공간 구조적 기능을 보완해줄 HCI를 적용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진행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첫째, 입체/복합공간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현실적으로 공간에 적용 가능하고 활성화 할 요소인 HCI 개념에 대한 기초연구를 진행한다. 둘째, HCI 사례를 통하여 공간, 컨텐츠를 유형화하여 공간의 특성에 맞는 HCI를 적용하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셋째, 실제 입체/복합시설의 공간구조분석을 통하여 층간, 공간별 연계성을 분석하고, 유형화한 공간에 해당하는 실제 입체/복합공간을 추출한다. 그에 따른 HCI 적용 방안을 제시한다. 최종적으로 HCI기술을 도입하여 입체/복합공간 전체의 활성화시키는 방안으로 단위 HCI 서비스를 집적화하거나 네크워크하는 HCI 기술의 적용을 고려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입체/복합공간에 HCI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향후 입체/복합공간에 HCI를 적용시켜 활성화 하는데 방법론을 사용하여 타당한 적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방향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데 의의가 있다.

      • 학교급식에서 연의 활용방안 모색

        정지희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영양적으로 좋은 식품임에도 불구하고 기호도가 낮은 연근을 사용하여, 학생들의 기호도를 높힐 수 있는 메뉴개발에 중점을 두었다. 식품의 기호도는 식품 자체가 가지고 있는 성질만이 아니라 조리법에 따라서도 크게 차이가 나므로 기호도가 낮은 연을 다양한 조리방법에 적용해 보았으며, 영양교육을 병행하여 특정 식품에 대한 편식을 줄여나가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학교급식에서 실제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조리 및 시식의 예비 실험단계를 거쳐서 초등학생 100명분에 맞는 표준 조리법(standard recipe)으로 조절하였으며 재료명과 100인 분량, 조리방법, 요리 tip으로 명시하였다. 100인 분 대량생산 표준 레시피를 이용함으로써, 단체급식에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각 단체 급식에서 기구, 시설, 조리인력 등에 맞게 조리법을 수정, 보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서 메뉴의 기호도에 관련된 논문을 중심으로 연근을 이용한 메뉴의 기호도를 조사, 정리, 분석해 봄으로써 본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참고하였다. 전체적인 내용으로 볼 때 튀김류에 대한 기호도는 높은 반면에 조림류에 대한 기호도는 낮은 것을 알 수 있다(변관인 외 2006). 또한 학교급식에 만족하지 못하는 이유에 있어 요리방법이 다양하지 않아서(28%), 아이들의 기호에 맞지 않아서(28%), 식단이 다양하지 못해서(21%), 단가에 비해서 질이 낮아서(15%), 기타(11%)의 결과가 나왔다(이효지 2003). 이상의 결과들을 보았을 때 연근을 이용한 주 메뉴로는 연근조림을 들 수 있는데 연근과 조림 모두 기호도가 낮음에도 불구하고 조리법을 반복함으로써 학생들에게 편식을 더 증가시킬 수 있는 이유가 된다고 생각한다. 남·여에 따른 기호도에서도 모두 연근요리가 낮은 기호도를 보였다. 기호도가 낮은 음식의 섭취를 건강을 위해 증가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기호도가 높은 조리방법을 선택하여 전체 음식의 기호도를 높임으로써, 적극적인 섭취를 유도할 수 있다(임경숙 외 1998). 채소를 주로 한 메뉴라도 채소류튀김(남학생 3.59, 여학생 3.93) 채소샐러드류(남학생 3.51, 여학생 4.08), 채소류조림(남학생 3.47, 여학생 3.68) 등은 채소국·찌개류(남학생 3.14, 여학생 3.41), 숙채무침류(남학생 3.21, 여학생 3.42), 생채무침류(남학생 3.32, 여학생 3.36), 채소류볶음(남학생 3.15, 여학생 3.48)보다 높은 선호도를 나타냈다. 이는 같은 채소라도 조리 방법에 따라 선호도가 다름을 나타내며, 섭취율을 높이기 위해 학생들이 선호하는 조리법을 개발하기 위한 영양교사의 노력이 중요함을 나타낸다. 학교 급식에서 다양한 조리법을 통해 특정 식품에 대해 학생들이 갖고 있는 거부감을 상당부분 완화시킬 수 있고 또한 상대적으로 선호도가 낮으나 건강증진을 목적으로 섭취율을 증가시키고자 할 경우 선호도가 높은 조리방법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정현혜 2007). 특히 한국음식은 여러 식품을 혼합하여 조리하게 되며, 기호도는 음식의 모양, 색, 향미, 질감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좌우되므로 음식의 기호성을 높일 수 있는 여러 전략을 모색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학생들의 급식메뉴에 대한 기호도 조사를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연근을 이용한 메뉴에 대한 기호도가 전반적으로 낮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기호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메뉴 개발에 대한 논문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메뉴를 밥류, 조림류, 전류, 튀김류, 볶음류, 기타류, 빵류로 나누어서 총 49종류의 메뉴를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연 메뉴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CD를 만들어 많은 학교급식 영양사들이 손쉽게 메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번 연구를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연 요리를 접해 봄으로써 연을 이용한 요리에 대한 편식이 줄어들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In the process of this · study, the author referred to the theolog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by looking into, sorting . out and analyzing the taste of menu using a lotus root based on the thesis related. In a general view, the thesis indicates that the taste for a fried food is higher , while one for a hard boiled food is lower. In addition, the results for why the school meal service is unsatisfactory are as follows (Lee, Hyo J i, 2003); (1) the recipe is not various (28%), (2) it is not suitable for children 's taste (25%), the menu is not various (21%), the qua lity is lower compared with unit price 05%), others (11%). As a result, the main menu using a lotus root includes a hard boiled lotus root, and the use of recipe continuously becomes a reason to increase children's unbalanced diet even if the taste for both a lotus and a hard boiled food is lower. In the view of taste by male and female student, a lotus food indicates the lower taste tendency. To increase the use of taste lowered foods in taking nutrition for health, should choose the high taste recipe and increase the taste for all foods. With this, it is possible to lead children to take a food positively With various recipes in school meal service, it is possible to reduce student's aversion about any food fairly. And, it is needed for choosing the high taste recipe to increase the use of taste lowered foods in taking nutrition for health . In particular, they can find various strategies to increase the taste in food as Korean food is cooked by mixing a kinds of goods and the taste depends on various factors such as food shape, color, flavor and texture. The result of taste search for student's meal service in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taste of menu using a lotus foot is lower than the others on the whole. However, there is few thesis for developing menu to improve the taste. Therefore, the 49 kinds of menu are developed by dividing the menu into rice , hard boiled, pan-fried, fried, pan-broiled, bread foods and others. In addition, the e-book is created to activate the lotus menu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and which allows many dietitian who are providing for school meal service to use the menu.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