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용전공대학생의 자아개념이 창의력과 진로의식에 미치는 영향

        박미나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7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self-concept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art on their creativity and career awareness. There is a trend that the number of high schools and colleges that offer beauty art education is on the rise along with the quantitative growth of the beauty industry, but this industry is still confronted with manpower problem, and workers in the industry usually don't take their job seriously. Therefore it's meant in this study to discuss the importance of self-concept among beauty art majors and to boost their creative thinking and career awarenes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beauty art majors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North Jeolla Province.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impact of their self-concept on creativity and career awareness, the answer sheets from 506 respondents were analyzed by a SPSS 17.0 program. The response rate stood at 84.3 percent. A reliability analysis was made to check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variables, and a factor analysis was utilized to check their construct validit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were investigated by obtaining statistical data on percentage and making a frequency analysis. Besides, regression analysis and T-test were carried out to look for any possible gaps in the influence of the variables, and two-way ANOVA was employed to look for any possible gaps among the variable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ncerning differences in career awareness according to self-concept, the dimension of achievement self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career awareness(p<.001). That was negatively affected by career purposiveness that meant to make a career choice not by internal motivation but for employment or good prospects(ß=-.13, p<.01), and career barriers(ß=-.24, p<.001) exerted a negative influence on it as well. Second, whether the self-concept of the beauty art majors made any differences to their creativity was checked, and self-concept was found to exert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creativity (F=196.37, p<.001). Third, whether the creativity of the beauty art majors made any differences to their career awareness was investigated, and creativi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career awareness(F=47.43, p<.001). Fourth, as for the relationship of the interaction between self-concept and creativity to career awarenes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wo affected career barriers only in a significant manner(F=4.17, p<.05). The group that put higher value on achievement self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other that didn't in career awareness. The group that set higher value on their own imaginative thinking were relatively ahead of the other that didn't in career assurance(from a high of M=3.65 to a low of M=3.21) and career determination(from a high of M=3.53 to a low of 3.22). The group that prized their own divergent thinking better was relatively ahead of the other that didn't in career assurance(from a high of M=3.71 to a low of M=3.23) and career determination(from a high of M=3.67 to a low of 3.13). There were more career barriers(from a high of M=2.75 to a low of M=2.98) and stronger career purposiveness(from a high of M=2.61 to a low of M=2.84) in the latter than in the former. The group that had a higher opinion on their own social ego and imaginary thinking were relatively ahead of the other that didn't in career assurance(from a high of M=3.65 to a low of M=3.22) and career determination(from a high of M=3.54 to a low of M=3.22). Fifth, whether the interaction between self-concept and general characteristics made any differences to career awareness was analyzed, and gender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areer assurance(p<.05). Self-concept and academic year had an interaction effect on career barriers and career determination(p<.05), and self-concept and motivation of college choice had a significant interaction impact on career purposiveness(p<.01). In the group with better self-concept, the women (M=3.73) excelled the men in career assurance, but in the other group with worse self-concept, the men(M=3.48) outdid the women in that aspect. As for career barriers, the seniors(M=2.89) encountered more career barriers in the group with better self-concept, but in the other group with worse self-concept, the sophomores were confronted with more career barriers. Sixth, whether the interaction between creativity and general characteristics made any differences to career awareness was checked,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s just in career purposiveness (p<.05) according to gender. Concerning the impact of the interaction between creative thinking and each general characteristic on career awareness, the men(M=3.07) were ahead of the women in career purposiveness in the group with better creative thinking. In the other group with worse creative thinking, the women(M=2.80) were ahead of the men in that aspect. Seventh, in regard to the relationship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o self-concept, creativity and career awareness, whether the motivation of college choice made any differences to self-concept was analyzed,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s were found in achievement self according to that(F=4.08, p<.01). Specifically, the motivation of college choice was most related to their experiences at beauty art academies(M=3.77). As to differences in creativity by academic year,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s only in imagination according to that(F=3.02, p<.05). The seniors(M=3.59) were most imaginative, followed by the juniors(M=3.37), sophomores(M=3.35) and freshmen(M=3.26). Thus, the students whose academic year was higher were more imaginative. Whether their creativity varied with a post-college career plan was analyzed, and those who were going to keep studying their current major field of study at graduate school(M=3.57) were most imaginative. Those who were going to go to graduate school(M=4.02) were the best in terms of divergent thinking as well. Whether their creativity varied with the degree of difficulty of major was checked, and there was a difference only in imagination according to that(F=4.97, p<.01). Whether their academic year made any differences to career awareness was investigated,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s were found in career assurance according to that(F=2.61, p<.05). In particular, the seniors(M=3.66) excelled the others in that aspect, which showed that a higher academic year led to more career assurance. Whether the motivation of college choice made any differences to career awareness was analyzed, and career assurance was most bound up with their experiences at beauty art academies(M=3.57). Whether their career awareness differed with a post-college career plan was checked, and those who didn't ever think of it(M=3.17) faced the most career barriers(F=5.52, p<.001). The students who were going to keep studying their major field of study at graduate school(M=3.72) were the best in terms of career assurance, and those students(M=3.72) were the best in terms of career determination as well.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of the self-concept of beauty art majors to their creativity and career awareness, and self-concept was identified as one of the variables to affect creativity and career awareness in a significant manner. Creativity and career awareness were significantly linked to each other and varied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ed that a positive view of beauty art and confidence were two primary variables to design one's future. Therefore beauty art majors should wake up to the importance of the right self-concept, and beauty art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to improve their creative thinking and career awareness. 본 연구는 미용을 전공하는 대학생의 자아개념 차이에 따라 창의력과 진로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 것이다. 미용분야의 양적인 팽창과 함께 미용관련 고등학교와 대학 및 대학교가 늘어가는 추세이지만 여전히 겪고 있는 인력난과 직업의식의 결여가 문제되고 있기에 미용전공대학생의 자아개념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하며 창의적 사고와 진로의식을 향상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미용전공 대학생의 자아개념이 창의력과 진로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경기도, 전라북도에 거주하는 미용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 506부, 84.3%를 SPSS 17.0의 프로그램으로 변수간의 내적 일관성을 조사하기 위한 신뢰성 분석을 하였으며 변수들의 구성개념 타당성을 위한 요인분석, 표본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백분율과 빈도분석 이용하였다. 또한 결과 분석을 위해서 변수들 간의 영향력 차이를 검증위한 회귀분석, T-test와 관련변수간의 차이검증을 위한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하여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개념에 따른 진로의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취자아 차원은 유의한 정적(+)영향(p<.001)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선택의 요인이 내적동기가 아닌 취업을 목적으로 하거나 경제적으로 전망이 높은 진로선택의 요인으로 보고 있는 문항으로 보고 있는 진로목적성(β=-.13, p<.01)과 진로장애(β=-.24, p<.001)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개념에 따른 창의력에 차이를 분석한 결과 미용전공 대학생들의 자아개념이 창의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F=196.37, p<.001)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의력에 따른 진로의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대학생들의 창의력이 진로의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F=47.43 p<.001)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아개념과 창의력의 상호작용에 따른 진로의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진로장애 요인에서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F=4.17, p<.05). 또한 성취자아를 높게 지각한 집단의 경우, 진로의식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상상력 사고는 높게 지각하는 집단이 낮게 지각하는 집단보다 진로확신성(고:M=3.64, 저:M=3.21)과 진로결정성(고:M=3.53, 저:M=3.22)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확산적 사고를 높게 지각한 집단이 낮게 지각한 집단보다 진로확신성(고:M=3.71, 저:M=3.23)과 진로결정성(고:M=3.67, 저:M=3.13)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고, 낮게 지각한 집단이 높게 지각한 집단보다 진로장애(고:M=2.75, 저:M=2.98)와 진로목적성(고:M=2.61, 저:M=2.84)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또 사회자아를 높게 지각하고 상상력 사고가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보다 진로확신성(고:M=3.65, 저:M=3.22)과 진로결정성(고:M=3.54, 저:M=3.22)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다섯째, 자아개념과 일반적 특성의 상호작용에 따라 진로의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이 진로확신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p<.05), 자아개념과 학년이 상호작용하여 진로장애와 진로결정성에 영향을 미쳤으며(p<.05), 자아개념과 대학선택 동기가 상호작용하여 진로목적성에 유의한 영향(p<.01)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개념이 높은 집단의 경우, 여자(M=3.73)가 진로확신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낮은 집단의 경우, 남자(M=3.48)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장애에 있어서 자아개념이 높은 집단의 경우, 4학년(M=2.89)이 진로장애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낮은 집단의 경우 2학년이 진로장애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창의력과 일반적 특성의 상호작용에 따른 진로의식의 차이에서는 성별이 진로목적성(p<.05)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적 사고가 세부적 일반적 특성과 상호작용하여 진로의식에 미친 효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높은 집단의 경우 남자가(M=3.07) 진로목적성이 더 높았으며, 낮은 집단의 경우 여자(M=2.80)가 진로목적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아개념, 창의력, 진로의식의 차이에 대해서는 대학선택 동기에 따라 자아개념에 차이가 있는 가를 파악한 결과 성취 자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4.08 p<.01). 구체적으로 대학선택 동기는 미용학원에서의 미용경험(M=3.77)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년에 따라 창의력에 차이가 있는 가를 파악한 결과 상상력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3.02, p<.05). 특히 4학년(M=3.59), 3학년(M=3.37), 2학년(M=3.35), 1학년(M=3.26)순으로 학년이 높을수록 상상력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졸업 후 진로에 따라 창의력에 차이가 있는 가를 파악한 결과 상상력에서는 학과 전공과 관련된 대학원 진학(M=3.57)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확산적 사고에서도 학과 전공과 관련된 대학원 진학(M=4.02)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 전공과목 난이도에 따라 창의력에 차이가 있는 가를 파악한 결과 상상력에서만 차이가 나타났다(F=4.97, P<.01). 학년에 따라 진로의식에 차이가 있는 있는가를 파악한 결과 진로확신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2.61, p<.05). 특히 4학년(M=3.66)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학년이 높을수록 진로에 관한 확신성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선택 동기에 따라 진로의식에 차이가 있는 있는가를 파악한 결과 진로 확신성은 미용학원에서의 미용경험(M=3.57)익 가장 높게 나타났다. 대학졸업 후 진로에 따라 진로의식에 차이가 있는 있는가를 파악한 결과 진로장애(F=5.52, p<.001)는 생각해 본 적이 없음(M=3.17)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진로 확신성은 학과 전공과 관련된 대학원 진학(M=3.72)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진로결정성은 학과 전공과 관련된 대학원 진학(M=3.86)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미용 전공 대학생의 자아개념에 따른 창의력과 진로의식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고 그 결과 자아개념에 따라 창의력과 진로의식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또한 창의력과 진로의식 또한 서로 유의한 관계를 형성하며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도 변화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결과는 미용전공 대학생들에게 미용을 통해 자신의 미래를 설계하는데 있어 보다 미용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자신감이 무엇보다 중요한 변수 임을 밝혀냄으로써 미용전공 대학생들의 올바른 자아개념 형성의 중요성과 미용 교육의 방향이 보다 창의적 사고를 촉진 시키며 미용전공 대학생의 진로의식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가야 할 것이다.

      • 중국 여성들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피부관리행동 및 외모만족도에 대한 연구

        유배봉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skin care behavior and appearance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model was divided into four parts: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skin care behavior,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appearance satisfac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skin care behavior and appearance satisfaction,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In this study, 418 copies of the study were selected as the final data for women over 20 years of age in Shanghai, China,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variance analysis using SPSS 23.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ffects of lifestyle on skin care behavior were shown in conspicuous consumption type (β=.206, p<.01), epidemic pursuit type (β=.126, p<.05), and individual pursuit type (β=.137, p<.05) had a positive effect, and the economic pursuit type (β=-.254, p<.01) had a negative effect. Second, according to the lifestyle, the effect on appearance satisfaction was shown in conspicuous consumption type (β=.193, p<.01), epidemic pursuit type (β=.141, p<.05), and individual pursuit type (β=.137, p<.05) had a positive effect, and the economic pursuit type (β=-.136, p<.01) had a negative effect. Third, the effects of skin care behavior on appearance satisfaction were positively affected by both home care (β=.233, p<.01) and professional care (β=.341, p<.01) were all had a positive effects. Fourth, it can be said that it plays a role of mediating skin care behavior in relation to the effect of lifestyle on appearance satisfaction. Fifth, the effects on appearance satisfaction according to lifestyle and general characteristics was shown in marital status (β=-.115, p<.01) had a negative effect, and education (β=.219, p<.01), monthly income (β=.098, p<.05), and lifestyle (β=.307, p<.01)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Sixth, the effects on skin satisfaction according to skin care behavior and general characteristics was shown in age (β=-.162, p<.01) had negative effects, and education (β=.180, p<.01) and skin care behavior (β=.366, p<.01) had a positive effect. Seventh, age, marital status, educational background, and monthly income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festyle, by age 20-29 (4.02), unmarried (3.56), graduate school and graduation (3.53), and more than 15000 yuan (3.61) were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and monthly income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kin care behavior, by age 20-29 years (4.08), unmarried (3.69), graduate and graduate school (3.62), and more than 15000 yuan (3.79) were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Therefore, This study found that among the lifestyle factors conspicuous consumption type, fashion pursuit type and personal pursuit type on skin care behavior, appearance satisfaction and appearance satisfaction on skin care behavior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Lifestyle factors The economic pursuit type has a negative effect on skin care behavior and appearance satisfaction.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and monthly income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festyle, skin care behavior and appearance satisfaction.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The study was conducted by constructing a sample of women in some parts of China,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limited in generalizing or expanding the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In addition, using the questionnaire method the responsive stereotypes or subjective values ​​may distort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본 연구는 라이프스타일, 피부관리행동 그리고 외모만족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라이프스타일과 피부관리행동의 관계, 라이프스타일과 외모만족도의 관계, 피부관리행동과 외모만족도의 관계, 그리고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각 변수의 관계라는 네 부분으로 구분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으면, 중국 상하이 지역에 거주하는 20세 이상의 여성들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연구 자료를 적합하다고 판정된 418부를 최종자료로 채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회귀분석,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피부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면 과시소비형(β=.206, p<.01), 유행추구형(β=.126, p<.05), 개성추구형(β=.137, p<.05)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제추구형(β=-.254, p<.01)이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외모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면 과시소비형(β=.193, p<.01), 유행추구형(β=.141, p<.05), 개성추구형(β=.137, p<.05)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제추구형(β=-.136, p<.01)이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피부관리행동에 따라 외모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면 홈케어(β=.233, p<.01)와 전문케어(β=.341, p<.01)가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라이프스타일이 외모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피부관리행동의 매개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다섯째, 라이프스타일과 일반적 특성에 따라 외모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면 결혼여부(β=-.115, p<.01)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력(β=.219, p<.01), 월수입(β=.098, p<.05), 라이프스타일(β=.307, p<.01)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피부관리행동과 일반적 특성에 따라 외모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면 연령(β=-.162, p<.01)이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력(β=.180, p<.01), 피부관리행동(β=.366, p<.01)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의 연령, 결혼여부, 학력, 월수입은 라이프스타일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29세별로(4.02), 미혼(3.56), 대학원 재학 및 졸업(3.53), 15000위안 이상(3.61)은 유의한 차이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의 연령, 결혼여부, 학력, 월수입은 피부관리행동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29세별로(4.08), 미혼(3.69), 대학원 재학 및 졸업(3.62), 15000위안 이상(3.79)은 유의한 차이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의 연령, 결혼여부, 학력, 월수입은 외모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29세별로(4.08), 미혼(3.91), 대학원 재학 및 졸업(3.85), 15000위안 이상(3.89), 10000∼15000위안(3.89)은 유의한 차이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라이프스타일 요인 중의 과시소비형, 유행추구형, 개성추구형은 피부관리행동과 외모만족도 및 피부관리행동은 외모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라이프스타일 요인 경제추구형은 피부관리행동과 외모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의 연령, 결혼여부, 학력, 월수입은 라이프스타일, 피부관리행동과 외모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갖고 있다. 중국 일부지역의 여성들을 대상으로 표본을 구성하여, 진행한 연구로 본 연구의 결과가 중국의 전체 여성에게 일반화 하거나 확대 해석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또한, 설문지 방식을 이용하여 응답자의 고정관념이나 주관적인 가치 등으로 인해 변수들 사이의 관계가 왜곡될 수도 있다.

      • 프랜차이즈 미용 종사자의 이커머스 OTT 교육이 직무활용, 직무성과,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태진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47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과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의 보급은 사회에 많은 변화를 불러왔다. 시각 콘텐츠를 중점으로 하는 OTT 서비스의 등장으로 정보화 시대에 있어 다양하고 원하는 정보를 쉽고 빠르게 얻을 수 있게 되었으며 이에 미용 산업에서도 OTT 서비스를 이용한 교육 및 마케팅이 자연스럽게 활용되고 있다. 과거부터 이어져 오는 오프라인 방식의 교육과 더불어 언제든지 스스로 공부할 수 있는 온라인교육의 발전은 다양한 헤어트랜드 및 기술정보의 흐름을 빠르게 습득할 수 있는 필수 전략이 되고 있으며 개인의 실무능력을 빠르게 성장하기 위한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프랜차이즈 미용 종사자의 OTT 서비스교육이 직무활용과 직무성과,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조사 대상은 온라인플랫폼을 통해 OTT 서비스교육을 시청한 경험이 있고, 경기도와 충청도에 소재하고 있는 프랜차이즈 미용 종사자들에 한하여 10대~50대 남녀를 편의추출 하였으며, 설문지 606부(97.7%)를 IBM SPSS Statistics 26.0 통계프로그램과 AMOS 26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일반적 특성과 OTT 이용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AMOS를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OTT 교육특성, 직무활용, 직무성과, 교육만족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분산분석이 유의한 경우 사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후분석으로는 Scheffe의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정규성과 등분산성을 만족하지 않은 경우는 비모수 검정(Kruskal-Wallis의 H)을 실시하여 같이 제시하였다. OTT 교육특성, 직무활용, 직무성과, 교육만족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OTT 교육특성이 직무활용, 직무성과,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직무활용이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직무성과가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OTT 교육특성이 직무활용과 직무성과를 매개로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AMOS를 이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의 내적 신뢰도는 Cronbach's α를 산출하였으며 유의수준 α는 .05이하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OTT 교육특성의 직무활용, 직무성과와 교육만족도차이를 분석한 결과, 직무활용은 직책(F=12.490, p<.001), 학력(F=5.281, p<.001), 근무기간과(F=6.190, p<.001) 연령(F=3.133, p<.05) 순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직무성과는 직책(F=27.630, p<.001), 근무기간(F=21.288, p<.001), 연령(F=16.579, p<.001), 학력(F=7.105, p<.001) 순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교육만족도는 직책(F=14.841, p<.001), 근무기간(F=5.789, p<.001), 학력(F=4.413, p<.01), 연령(F=3.020, p<.05) 순으로 유의한 차이로 나타났음을 확인했다. 둘째, 프랜차이즈 미용종사자의 OTT교육특성이 직무활용, 직무성과, 교육만족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OTT 교육특성은 교육만족도(r=.83, p<.01), 직무활용도(r=.82, p<.01), 직무성과(r=.66, p<.01)와 가장 높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활용은 교육만족도(r=.80, p<.01)와 가장 높은 정적 상관으로 나타났다. 직무성과는 교육만족도(r=.76, p<.01)가 가장 높은 정적 상관으로 나타났다. 셋째, 프랜차이즈 미용 종사자의 OTT 교육특성이 직무활용, 직무성과,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직무활용에 OTT 교육특성은 정적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순위는 OTT 교육특성 하위변인 정보성(=.28)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편의성(=.26), 신뢰성(=.22), 유희성(=.18) 순으로 나타났다. 직무성과에 OTT 교육특성은 정적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순위는 OTT 교육특성 하위변인 편의성 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정보성, 신뢰성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만족에 OTT교육특성은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순위는 OTT 교육특성 하위변인 편의성(=.27)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신뢰성(=.26), 유희성(=.24), 정보성(=.17) 순으로 유의한 차이로 나타났음을 확인했다. 넷째, 프랜차이즈 미용 종사자의 직무성과가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직무성과를 독립변인, 교육만족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귀모형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F=781.894, p<.001) 모형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수정된 결정계수(Adj)는 .57로 나타났다. 교육만족에 직무성과(B=.68, t=27.962, p<.001)는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만족에 직무성과 하위요인 직무할당(B=.23, t=4.720, p<.001), 업무수행(B=.45, t=9.134, p<.001)는 정적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영향력을 살펴보면 업무수행(=.51), 직무할당(=.23) 으로 업무수행의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프랜차이즈 미용 종사자의 OTT 교육특성이 직무활용과 직무성과를 매개로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구조방정식 모형에 대한 절대적합지수의 경우 값(=189.538, df=38)의 p 값이 .000로 ‘모형은 자료를 완벽하게 설명한다’ 라는 영가설이 기각됨으로 연구모형의 적합도에 충족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절대적합지수 중 RMR .01, GFI .94로 기준치를 충족 하였으고, 증분적합지수의 경우 표준적합지수(NFI)가 .97로 기준치(≥0.9)를 충족하였으며, 비교준적합지수(IFI)는 .98으로 기준치(≥0.9)를 충족하였다. 또한 상대적합지수(CFI) 역시 .98로 기준치(≥0.9)를 충족함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성이 검증되었다. OTT 교육특성은 직무활용에 경로계수.91(p<.001)로 유의한 정적 영향하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활용은 직무성과에 경로계수 .49(p<.001)로 유의한 영향이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OTT 교육특성은 직무성과에 경로계수 .28(p<.01) 나타남에 유의한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성과는 교육만족에 경로계수.32(p<.001) 나타남에 유의한 정적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직무활용, 직무성과, 교육만족은 일반적 특성에 따른 OTT 교육특성에 차이가 나타났다. 프랜차이즈 종사자들의 연령, 학력, 근무기간, 직책에서 OTT 교육특성의 (정보성, 신뢰성, 유희성, 편의성)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OTT 교육특성은 직무활용, 직무성과, 교육만족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활용과 직무성과는 교육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OTT 교육특성은 직무활용과 직무성과를 매개로 교육만족에 직간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미치고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OTT 서비스교육을 통해 미용 종사자들에게 알맞은 차별적인 시각적 전략과 최신트랜드 컨텐츠를 중점으로 하는 OTT 교육특성을 활용하여 미용종사자의 교육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품질향상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ttempted to The development of networking technology and the spread of smartphones and tablet PCs have brought about many changes in society. With the advent of OTT services that focus on visual content, various and desired information can be easily and quickly obtained in the information age, and education and marketing using OTT services are naturally being used in the beauty industry. Along with offline education that has been going on since the past, the development of online education that allows students to study on their own at any time is an essential strategy to quickly learn various hair trends and technical information flows. Therefore,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OTT service education for franchise beauty workers on job utilization, job performance,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For this study, men and women in their teens to 50s were conveniently extracted only from franchise beauty workers in Gyeonggi-do and Chungcheong-do, and 606 (97.7%) of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6.0 statistics program and AMOS 26.In addition,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OTT usage characteristic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ool, we conducte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AMO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o find out if there was a difference in OTT education performance, job utilization, and job satisfaction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If the variance analysis is significant, a post-analysis was conducted, and a post-test of Scheffe was conducted in the post-analysis. If you are not satisfied with normality and equality, we conducted a nonparametric test (H of Kruskal-Wallis) and presented it together.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job utilization, job performance,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impact of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on job utilization, job performance,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We conducted a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the impact of job utilization on educational satisfaction.We conducted a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the impact of job performance on educational satisfac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on educational satisfaction through job utilization and job performance. First of all, the difference in job utilization, job performance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of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utilization (F=12.490, p<.001), academic background (F=5.281, p<.001). Job performa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rder of responsibility (F=27.630, p<.001), working period (F=21.288, p<.001), age (F=16.579; p<.001), educational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in the order of responsibility (F=14.841, p<.001), and age (F=3.05, p<).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job utilization, job performance,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of franchise beauty workers,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be the highest static correlation with educational satisfaction (r=.83, p<.01), r=.82, p<.01). Job performance was found to have the highest static correlation with educational satisfaction (r=.76, p<.01). Third, the impact of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on job utilization, job performance,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of franchise beauty workers showed that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had a static impact on job utilization. OT education characteristics have a static impact on job performance, and the ranking that affects job performance has the highest convenience of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subvariables, followed by information and reliability.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had a static impact on education satisfaction, and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subvariable convenience (=.27) was the highest, followed by reliability (=.26), playability (=.24), and informationability (=.17) Fourth, the effect of job performance on educational satisfaction of franchise beauticians was analyzed an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job performance as independent variable and education satisfaction as dependent variable. (F=781.894, p<.001) model had a modified coefficient (Adj) of .57. Job performance (B=.68, t=27.962, p<.001) was found to have a static effect on educational satisfaction. Job performance sub-factor job assignment (B=.23, t=4.720, p<.001) and job performance (B=.45, t=9.134, p<.001) were found to have a static effect on education satisfaction. Looking at its influence, it showed a high impact on work performance (=.51) and job assignment (=.23).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act of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of franchise beauty workers on educational satisfaction through job utilization and job performance, it is the p-value of the absolute fit index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s (=189.538, df=38).In 000, the English hypothesis that "the model explains the data perfectly" was rejected, which does not meet the suitability of the research model. However, RMR.01, GFI.94 of the absolute conformity index met the reference value, and in the case of incremental conformity index, the standard conformity index (NFI) met the reference value (±0.9) with .97, and the comparative quasi-conformity index (IFI) was .98. The relative fit index (CFI) is also .98, which meets the reference value (±0.9), and the conformity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has been verified. The characteristics of OTT education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job performance with a path coefficient of .28 (p<.01). Job performance is a route factor of .32 (p<) for educational satisfaction.001)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static effect. Taken together, the above results showed that job utilization, job performance, and education satisfaction differed in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information, reliability, playability, convenience) in the age, educational background, working period, and responsibilities of franchise workers.Job utilization and job performanc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educational satisfaction. In addition,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have a direct and indirect significant impact on educational satisfaction through job utilization and job performa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beauty workers by utilizing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that focus on discriminatory visual strategies suitable for beauty workers and latest trend contents through OTT service education.

      • 종합병원 외래환자의 진료서비스 만족 및 재이용에 관한 연구

        윤대호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ajor factors influencing satisfaction with ambulatory care in a general hospital. The study also aimed to provide basic data to help hospitals offer better medical service to patients, determine directionality to improve their management environments, and take competitive advantage over rival hospitals by presenting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outpatients using a general hospital in Jeollabuk Province. The research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more men (139, 51.9%) than women (129, 48.1%) according to the gender characteristic; there were the most subjects (86, 32.1%) in the age range of 20~29; those who graduated from college were the most at 102 (38.1%); those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were the most at 97 (36.2%); those who received the second medical examination (179, 66.8%) were more than those who received the first medical examination (89, 33.2%); and those who described their health state as "good in overall" and "average" were the most both at 104 (38.8%). As for the hospit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more hospitals located in city (189, 70.5%) than in gun (79, 29.5%); the highest 106 (39.6%) subjects said that their hospitals had 300~499 beds; the highest 110 (41.0%) said that their hospitals provided medical service in fewer than 15 departments; there were more non-training hospitals (218, 81.3%) than training hospitals (50, 18.7%); and there were more private hospitals (189, 70.5%) than public hospitals (79, 29.5%). Second, differences in the elements to assess satisfaction with ambulatory care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general and hospital characteristics. As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doctor's care service, hospital environment, and others turned out to be significant related factors according to gender; the reception procedur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the reception procedure and doctor's care servic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and hospital environments and othe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medical departments. As for the hospital characteristics, doctor's care service, examination and prescription, hospital environment, and others turned out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ed factors according to the hospital location; examination and prescrip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bed; doctor's care service, examination and prescription, hospital environment, othe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medical departments; and doctor's care servic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t a training hospital. Third,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ambulatory care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general and hospit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ambulatory care according to such general characteristics as age, number of visits, and health state.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mbulatory care according to the hospital characteristics. Fourth, differences in the intention for recommendation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general and hospit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ention for recommendation according to such general characteristics as gender and medical departments. There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ention for recommendation according to such hospital characteristics as hospital location, number of bed, and number of medical departments. Fifth, differences in reuse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general and hospital characteristic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use according to such general characteristics as number of visits and such hospital characteristics as hospital location, number of bed, and number of medical departments. Finally, doctor's care service, hospital environment, and other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impacts on satisfaction with ambulatory care, intention for recommendation, and reuse. It is required to provide doctors with an opportunity for ongoing education and training to improve outpatients' satisfaction with care, intention for recommendation, and reuse based on those research findings. It is also needed to monitor the state of internal cleanness constantly and deploy guidance helpers and signposts. Finally, there should be efforts to find ways to reduce waiting time by simplifying the reception procedure and install an institution device such as professional counselors to provide patients with clear explanations about the causes and results of examin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종합병원의 외래진료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문제점 및 개선 방안을 제시하여 환자에게 보다 나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병원의 경영환경 개선의 방향성과 타 병원과의 경쟁에서 우위에 설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소재 종합병원을 이용하는 외래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과 병원 특성에 대해 살펴보면 일반적 특성에서 성별은 남자가 139명(51.9%)으로 여자 129명(48.1%)보다 많았다. 연령은 20~29세군이 86명(32.1%)으로 가장 많았으며, 학력은 대학교 졸업이 102명(38.1%)로 가장 많았다. 진료과는 내과가 97명(36.2%)으로 가장 많았고, 방문횟수는 재진이 179명(66.8%)으로 초진 89명(33.2%)보다 많았다. 건강상태는 “좋은 편이다” 와 “보통 이다”가 각각 104명(38.8%)으로 가장 많았다. 병원 특성에서 병원 위치는 시 지역이 189명(70.5%)으로 군 지역 79명(29.5%)보다 많았다. 병상 규모는 300~499병상이 106명(39.6%)으로 가장 많았으며, 진료 과목은 15개 미만이 110명(41.0%)으로 가장 많았다. 비수련 병원이 218명(81.3%)으로 수련병원 50명(18.7%)보다 많았으며, 운영 형태는 민간병원이 189명(70.5%)으로 공공병원 79명(29.5%)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일반적 특성과 병원 특성에 따른 외래진료만족 평가요소 차이 분석을 살펴보면 일반적 특성에서는 성별에 따라 의사진료서비스와 병원환경 및 기타 영역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연령에서는 접수절차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학력에서는 접수절차와 의사진료서비스, 진료과목에서는 병원환경 및 기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병원 특성에서는 병원위치에 따라 의사진료서비스와 검사 및 처방, 병원환경 및 기타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병상규모에서는 검사 및 처방이, 진료과목 수에서는 의사진료서비스와 검사 및 처방, 병원환경 및 기타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수련병원에서는 의사진료서비스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일반적 특성과 병원 특성에 따른 외래진료만족도 차이 분석을 살펴보면 일반적 특성에 따른 외래진료만족도는 연령과 방문횟수, 건강상태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반면, 병원 특성에 따른 외래진료만족도 차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요인은 없었다. 넷째, 일반적 특성과 병원 특성에 따른 추천의향 차이 분석을 살펴보면 일반적 특성에 따른 추천의향 차이에서는 성별과, 진료과목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병원 특성에 따른 추천의향을 분석한 결과, 병원위치와 병상규모, 진료과목 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다섯째, 일반적 특성과 병원특성에 따른 재이용 차이 분석을 살펴보면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재이용 차이에서는 방문횟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병원특성에 따른 재이용 차이에서는 병원위치와 병상규모, 진료과목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여섯째, 외래진료만족도와 추천의향, 그리고 재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의사진료서비스와 병원 환경 및 기타 영역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기초로 외래환자 진료만족 향상과 추천의향과 재이용의 향상을 위해 의사의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의 기회를 마련해야 한다. 또한 내부 청결상태의 지속적 모니터링과 안내도우미, 표지판 등의 배치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접수절차의 간략화를 통해 대기시간을 줄이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하며, 검사 이유와 결과에 대한 명확한 설명 위해 전문상담사 등의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겠다.

      • 섬유근통증후군 환자의 통증, 피로, 지각된 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문애진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47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pain, fatigue, perceived stress, and quality of life to identify the correlations among them, and to identify their impact on quality of life. Methods : Data were collected from 126 outpatients diagnosed with fibromyalgia at W University Hospital in I City. The survey was carried out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is study used Visual Analogue Scale (VAS) to measure pain,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Fatigue (MAF) developed by Tack (1991) to measure fatigue, Perceived Stress Scale (PSS) developed by Cohen et al. (1983) to measure perceived stress, and Kim's (1994) 44 items adopted from Noh's (1988) 47 items to measure quality of life. Data were analyzed through PASW 18.0 for frequency, percentage, means,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as follows: the majority age group was 40-49 years (49, 38.9%) and the average age was 49.01 (±8.08) years, 60 (47.6%) graduated from high school, 78 (61.9%) had spouses, 108 (85.7%) had family and the average family size was 1.86 (±1.31) members, 117 (92.9%) had children and the average number of children was 1.87 (±0.88), 46 (36.5%) were Christians, 83 (65.9%) were housewives, and 60 (47.6%) earned less than 1 million won a month. In terms of disability, 28 (22.2%) had disabilities in daily life caused by the disease, 23 (18.3%) had disabilities in physical activity, 17 (13.5%) had pain, and 17 (13.5%) had disability in working. The most common period of sickness group was 5-10 years (45, 35.7%) and the average period was 95.33 months (±75.40). The most common period of treatment group was 1-5 years (96, 76.2%) and the average period was 35.93 months (±30.89). In terms of hours of sleep, 92 (73.0%) slept less than 6 hours, whereas 34 (27.0%) slept more than 6 hours, and the average was 274.29 minutes (±100.81). 2.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subject's pain, fatigue, and perceived stress, the average scores were 7.79 (±1.65), 39.81 (±8.53), 23.78 (±5.62), 122.77 (±14.80), respectively.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ducation (F=4.082, p=.008), occupation (F=4.584, p=.002), monthly income (F=4.337, p=.003), hours of sleep (t=2.704, p=.008) in pain and education (F=3.751, p=.013), marital status (t=-2.159, p=.033), occupation (F=3.423, p=.011), monthly income (F=2.531, p=.044), period of sickness (F=5.751, p=.004), and hours of sleep (t=4.231, p<.001) in fatigue, family status (t=-2.353, p=.020), monthly income (F=5.925, p<.001), period of sickness (F=3.272, p=.041), duration of treatment (F=7.029, p=.001), and hours of sleep (t=5.285, p<.001) in perceived stress, and marital status (t=5.009, p<.001 ), family status (t=4.003, p<.001), monthly income (F=10.741, p<.001), period of sickness (F=3.727, p=.027), and hours of sleep (t=-4.199, p<.001) in quality of life. 4.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correlations among subject's pain, fatigue, perceived stress, and quality of life,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ain and fatigue (r=.616, p<.001), pain and perceived stress (r=.430, p<.001), and fatigue and perceived stress (r=.494, p<.001), whereas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pain and quality of life (r=-.446, p<.001), fatigue and quality of life (r=-.544, p<.001), and perceived stress and quality of life (r=-.653, p<.001). 5. The following were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effect of pain, fatigue, perceived stres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on the quality of life. 1) In model Ⅰ, pain (ß=-.342, p<.001) and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ß=.274, p=.005) significantly affected quality of life (R²=.313). 2) In model Ⅱ, fatigue (ß=-.434, p<.001) and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ß=.305, p=.001) significantly affected the quality of life (R²=.373). 3) In model Ⅲ, perceived stress (ß=-.551, p<.001) and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ß=.209, p=.016) significantly affected the quality of life (R²=.466). 4) In model Ⅳ, pain (ß=-.079, p=.356) was not significant whereas fatigue (ß=-.215, p=.016), perceived stress (ß=-.436, p<.001), and number of family members (ß=.192, p=.022) affected the quality of life (R²=.507). Among them, perceived stress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that affected quality of life. Conclusion : This study found that patients with fibromyalgia had been experiencing moderate to severe pain, fatigue, and perceived stress. These symptoms that correlated with one another were important factors that reduced the quality of life. Among them, perceived stress, fatigue, and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significantly affected the quality of life. Consequently, in order to promote quality of life, nursing interventions focusing on the management of stress and the development of family support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목적 : 본 연구는 섬유근통증후군 환자들의 통증, 피로, 지각된 스트레스, 삶의 질을 확인하고,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와 통증, 피로, 지각된 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 본 연구 대상자는 I시에 위치한 W대학병원에서 류마티스 내과 전문의에 의해 섬유근통증후군 진단을 받은 여성 외래 환자 126명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로 통증은 시각상사 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를 사용하였고, 피로는 Tack(1991)이 개발한 다차원적인 피로척도(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Fatigue: MAF)를 이경숙과 이은옥(1998)이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지각된 스트레스는 Cohen 등(1983)이 개발한 전체 10개 문항으로 구성된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Perceived Stress Scale: PSS)를 사용하였다. 삶의 질 측정도구는 노유자(1988)가 개발한 47개 문항의 도구를 김종임(1994)이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44개 문항으로 수정한 삶의 질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18.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 연령은 40-49세가 49명(38.9%)으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 49.01세(±8.08)이었고, 학력은 고졸이 60명(47.6%)으로 가장 많았다. 배우자가 있는 경우 78명(61.9%), 가족이 있는 경우 108명(85.7%)으로 평균 가족수는 1.86명(±1.31)이며, 자녀가 있는 경우 117명(92.9%)으로 평균 자녀수는 1.87명(±0.88)이었다. 종교는 기독교가 46명(36.5%), 직업은 주부 83명(65.9%), 월수입은 100만원 미만이 60명(47.6%)으로 가장 많았다. 질병으로 인한 불편감으로 일상생활 장애가 28명(22.2%)으로 가장 많았고, 신체활동 장애 23명(18.3%), 통증 17명(13.5%), 직장생활 장애 17명(13.5%)순 이었다. 투병기간은 5-10년 미만이 45명(35.7%)으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 투병기간은 95.33개월(±75.40)이었고, 치료기간은 1-5년 미만이 96명(76.2%)으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 치료기간은 35.93개월(±30.89)이었다. 대상자의 수면시간은 6시간 미만이 92명(73.0%), 6시간 이상은 34명(27.0%)으로 평균 274.29분(±100.81)이었다. 둘째, 대상자의 통증은 평균 7.79점(±1.65), 피로는 평균 39.81점(±8.53), 지 각된 스트레스는 평균 23.78점(±5.62), 삶의 질은 평균 122.77점(±14.80)이었다. 셋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통증은 학력(F=4.082, p=.008), 직업(F=4.584, p=.002), 월수입(F=4.337, p=.003), 수면시간(t=2.704, p=.008)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피로는 학력(F=3.751, p=.013), 배우자 유무(t=-2.159, p=.033), 직업(F=3.423, p=.011), 월수입(F=2.531, p=.044), 투병기간(F=5.751, p=.004), 수면시간(t=4.231, p<.001)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지각된 스트레스는 가족 유무(t=-2.353, p=.020), 월수입(F=5.925, p<.001), 투병기간(F=3.272, p=.041), 치료기간(F=7.029, p=.001), 수면시간(t=5.285, p<.001)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삶의 질은 배우자 유무(t=5.009, p<.001), 가족 유무(t=4.003, p<.001), 월수입(F=10.741, p<.001), 투병기간(F=3.727, p=.027), 수면시간(t=-4.199, p<.001)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대상자의 통증, 피로, 지각된 스트레스, 삶의 질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통증과 피로(r=.616, p<.001), 통증과 지각된 스트레스(r=.430, p<.001)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증과 삶의 질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446, p<.001)가 있었다. 피로와 지각된 스트레스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494, p<.001)가 있었고, 삶의 질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544, p<.001)가 나타났다. 또한 지각된 스트레스와 삶의 질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653,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통증, 피로, 지각된 스트레스, 일반적 특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모형 Ⅰ에서 통증과 일반적 특성을 검정한 결과 통증(ß=-.342, p<.001) 과 가족수(ß=.274, p=.005)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립변수가 종속변수를 31.3% 설명하였다(R²=.313). 2) 모형 Ⅱ에서 피로와 일반적 특성을 검정한 결과 피로(ß=-.434, p<.001) 와 가족수(ß=.305, p=.001)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립변수가 종속변수를 37.3% 설명하였다(R²=.373). 3) 모형 Ⅲ에서 지각된 스트레스와 일반적 특성을 검정한 결과 지각된 스 트레스(ß=-.551, p<.001)와 가족수(ß=.209, p=.016)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립변수가 종속변수를 46.6% 설명하였다(R²=.466). 4) 모형 Ⅳ에서 통증, 피로, 지각된 스트레스와 일반적 특성을 검정한 결과 통증(ß=-.079, p=.356)은 유의하지 않았으며, 피로(ß=-.215, p=.016), 지각된 스트레스(ß=-.436, p<.001), 가족수(ß=.192, p=.022)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가 종속변수를 50.7% 설명하였으며(R²=.507), 삶의 질을 가장 잘 설명해 주는 요인은 지각된 스트레스로 나타났다. 결론 : 섬유근통증후군 환자는 중등도 이상의 통증, 피로, 지각된 스트레스를 동시에 경험하고 있으며, 이러한 증상들은 상호 연관성을 가지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 중 지각된 스트레스, 피로, 가족수가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삶의 질을 가장 잘 설명해 주는 요인은 지각된 스트레스이었다. 따라서 섬유근통증후군 대상자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해서 스트레스 관리에 초점을 둔 간호중재와 가족지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 중국 초등 무용교육 실태에 따른 초등 무용교사 인식에 관한 연구

        왕우미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47

        이 연구는 중국 초등 무용교육 실태에 따른 초등 무용교사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중국 초등 무용교육을 개선할 수 있는 발전적인 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국 하북성에 소재한 4개 시에 분포되어 있는 초등학교 무용교사 200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고 성실하게 답변한 184부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목적을 규명하기 위하여 사용한 조사도구는 설문지법으로 국내•외 선행연구에서 신뤼도 및 타당도 검증을 실시한 설문지를 요인 분석 등을 통하여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코딩한 설문문항을 통계 프로그램인 SPSS Windows 24.0 Version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독립표본 T검정(t-test)과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으며, 특히 초등 무용교사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유층집락무선표집법을 실시하였다. 이에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중국의 초등학교 무용실태는 첫째, 중국의 초등 무용교육의 정과 교육과정은 지식과 기술, 과정과 방법, 감정과 태도 목적으로 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방과 후 무용교육은 대표성, 체계성, 수준별 수업, 고난이도 동작, 시설 및 교구재 등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셋째, 타 문화와의 교류 차원인 공연 중심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움직임을 통한 생활미와 예술미에 대한 느낌, 감상, 창의적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지도자 양성 및 관련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중국 초등 무용교사의 교육시설의 일반적 사항, 교육과정, 교수학습의 각 영역별 인식 수준은 첫째, 시설 등 일반적 사항 인식에 있어 남교사가 여교사보다 긍정적이었으며, 나이가 적을수록 긍정적 인식을 보였다. 경력이 높을수록 긍정적 인식을 보였으며, 사립 교사가 공립 교사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내고 있었다. 사범대학 출신 교사가 전문대학, 대학원 이상의 출신 교사보다 긍정적이었으며, 음악 전공 교사가 타 전공교사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국가 자격을 취득한 교사가 일반 자격의 교사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내고 있었다. 둘째, 교육과정 인식에 있어 남교사가 여교사보다 긍정적이었으며, 나이가 많을수록 긍정적 인식을 보였다. 경력이 많을수록 긍정적 인식을 보였으며, 공립 교사가 사립 교사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내고 있었다. 사범대학 출신 교사가 전문대학, 대학원 이상의 출신 교사보다 긍정적이었으며, 체육 전공 교사가 타 전공교사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국가 자격을 취득한 교사가 일반 자격의 교사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내고 있었다. 셋째, 교수학습 인식에 있어 여교사가 남교사보다 긍정적이었으며, 나이가 많을수록 긍정적 인식을 보였다. 경력이 많을수록 긍정적 인식을 보였으며, 공립 교사가 사립 교사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내고 있었다. 사범대학 출신 교사가 전문대학, 대학원 이상의 출신 교사보다 긍정적이었으며, 무용 전공 교사가 타 전공교사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국가 자격을 취득한 교사가 일반 자격의 교사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내고 있었다. The research's purpose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lementary dance teacher's realization according to Chinese elementary dance education reality to suggest the basic data which is necessary for developed policy to improve the Chinese elementary dance education. To achieve the aim, distribute the questionnaires to 200 dance teachers of the elementary school in four cities of Hebei province, China and use the 184 questionniairs which are answered sincerely. To investigae the reacher's purpose, use the reseach toll of survey method to modify and supplement by factor analyzing the questionnaire which is verified the credibility and validity in advanced research of home and abroad. Carry out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anova by frequency analysis and demography's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 by using survey question with statistical program SPSS Windows 24.0 Version for data analysis. Specially, set as elementary dance teacher population to implement the oil cluster radio sampling method. Deduct the conclusion below according to this. Chinese elementary school’s dance reality is below. Firstly, Chinese elementary dance education’s required course is constituted of the contents which regard knowledge and technology, process and method, emotion and attitude as purpose. Secondly, the dance education after school concludes the problems of representative nature, organization, differentiated education, difficult action, facility and teaching material, and so on. Thirdly, as other culture’s communication level, performance central’s cultural art education program mainly features. And it needs Systematic leader training and relating program development to cultivate feeling, thought, creation ability to life beauty and art beauty through movement. Chinese elementary dance teacher’s education facility general item, education progress, teaching learning each area recognition level is below. Firstly, about the quality and so on usual item recognition, male teacher is more positive than female teacher and the younger is more positive. The one who has more experience has more positive recognition. The private school teacher shows more positive recognition than public teacher. The teacher graduated from college of education is more positive than the teacher graduated from junior college and over university. Sport major teacher shows more positive recognition than other major teacher. The teacher who has national qualification shows more positive recognition than the teacher who has usual qualification. Thirdly, about the teacher learning recognition, female teacher is more positive than male teacher and the older is more positive. The one who has more experience has more positive recognition. The public school teacher shows more positive recognition than private teacher. The teacher graduated from college of education is more positive than the teacher graduated from junior college and over university. Dance major teacher shows more positive recognition than other major teacher. The teacher who has national qualification shows more positive recognition than the teacher who has usual qualification.

      • 동물교감치유 인식 및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유지현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647

        동물교감치유 서비스 수요자인 일반인과 동물교감치유에 참여한 사회복지시설, 의료시설, 특수학교 등 기관의 특성을 파악하고, 동물교감치유 인식 및 이용의도 각 변수들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동물교감치유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동물교감치유 인식과 이용의도 간의 관계를 밝혀 수요자에게 좀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정책 수립 및 결정 시 뒷받침할 수 있는 자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동물교감치유 수요자인 일반인과 기관의 특성을 파악하고, 인식 및 이용의도 각 변수들간의 관계를 설정하여 일반인 521명과 기관 25개소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5.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교차분석, 변량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가설검증 결과로 첫째, 일반인의 동물교감치유에 대한 호감도, 가치가 이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인지도는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일반인의 동물교감치유에 대한 인지도, 호감도, 가치가 비용지불의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일반인의 동물교감치유에 대한 호감도, 가치가 프로그램에 자녀를 참여시킬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인지도는 영향관계에 있지 않았다. 넷째, 기관의 동물교감치유에 대한 정신적, 인지적 효과가 전반적인 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신체적 효과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기관의 참여자 몰입도가 전반적인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치유사 전문성, 차별화된 서비스 프로그램 질은 전반적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기관의 동물교감치유에 대한 만족도가 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곱째, 기관의 동물교감치유에 대한 효과가 이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만족도, 가치, 비용은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여덟 번째, 동물교감치유 효과는 타기관 추천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왔다. 반면에 만족도, 가치, 비용은 타기관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동물교감치유가 사회복지서비스로서 활용될 수 있는 타당한 근거로 제시할 수 있으며, 심리치료기법으로써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과 정신적인 효과 검증을 위한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호감도와 체감효과를 높일 수 있는 홍보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향후 동물교감치유를 통한 국민의 삶의 질 개선, 정서적 안정, 치유농업 정책 수립 등 증거기반 정책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하고 동물교감치유를 양질의 서비스로 발전시키는데 폭넓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institutions such as social welfare facilities, medical facilities, and special schools that participated in Animal Asssisted Interventions(AAI) with the general public, who are consumers of AAI servic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provide better services to consumers by revea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wareness of AAI and intention to use it, and can be usefully used as data to support policy establishment and decision-making.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targeting 521 general public and 25 institutions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eral public and institutions, who are consumers of AAI, and establish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for perception and intention to use. The collected data were cross-analyzed, randomized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 25.0 statistical program. As a result of the main hypothesis testing, first, it was found that the general public's liking and value for AAI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it. However, awareness did not affect intention to use. Second, it was analyzed that the general public's awareness, favorability, and value of AAI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willingness to pay. Third, it was analyzed that the general public's favorability and value toward AAI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involve children in the program. However, awareness was not affected.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mental and cognitive effects of institutions on AAI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overall effect. On the other hand, it was analyzed that the physical effect had no effect. Fifth, it was found that the participation level of participants in the institu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overall satisfaction.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professionalism of the healer and the quality of the differentiated service program did not affect the overall satisfaction. Sixth, it was confirmed that the satisfaction with the institution's AAI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ffect. Seventh, the effect of the institution on AAI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However, satisfaction, value, and cost did not affect the intention to use. Eighth, the effect of AAI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recommend other institutions. On the other hand, satisfaction, value, and cost did not appear to affect the intention to recommend other institutions. This study results can be presented as valid grounds for using AAI as a social welfare service, suggesting that research is needed to develop a customized program as a psychological treatment technique and to verify the psychological effec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ublic relations marketing strategy that can increase favorable feelings and sensible effects. In the future, it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evidence-based policies such as improvement of people's quality of life, emotional stability, and establishment of healing agriculture policies through AAI, and it will be widely used to develop Agro-healing into quality serv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