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일본어 교과서의 평가 영역에 관한 일고찰

        장윤선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2009年改定教育課程『高等学校日本語』教科書の評価領域に関する一考察 本研究は現行の2009改定教育課程『高等学校日本語Ⅰ、Ⅱ』教科書の評価領域を分析し、問題点を考察して教室内の授業で有用な評価資料としての活用を可能とする改善案を提案することを目的とする。 研究範囲は現行の高等学校の日本語教科書、計9種のうち'確認してみましょう'、'やってみよう' などのタイトルとして提示された部分にする。 評価問題の分類基準は、李ジェソン(2013)の研究で提示された評価問題の分析基準を参考にし、2009改定教育課程の中で提示されている言語の4機能別の評価指針と評価方法に従って提示する。 分類基準によって評価問題を分類し、出現頻度及び問題類型の特徴を確認する。分析を通して挙げられた問題点は以下の通りである。 1. できるだけ統合的評価の割合を高めていくという2009改定教育課程の評価指針とは異なり、単独評価問題が圧倒的に多くの割合を占めている教科書がある。 2. 聞くこと、話すこと、読むこと、書くこと、文化の各領域別に評価問題が均等に分布されておらず、かたよっており、評価問題として提示されていない項目が存在する。 3. 聞くことの台本や提示文の長さが短く、難易度が低い水準にとどまっている問題が多い。 4. 実生活でのコミュニケーション能力よりも単純な読み、書く能力を評価するなど、文法内容の習得のレベルを把握している問題が多い。 5. 問題内の統制が多い問題だけが提示されており、学習者が自らの意見や考えを自由に考えられる問題は出現していない。 上の問題を補完するための方案として、学習者が自らの習得レベルを把握することができる自己評価表の作成および学習者の参加割合を高め、難易度の高い統合評価問題の提示を提案する。 自己評価表の活用を通して、教科書の評価問題だけでは正確な評価が難しい話す機能に関する問題が持つ弱点を補うことができ、成就水準の把握における学習者の参加度を高めることができるであろう。 また既存の評価問題をもとに難易度を高めた統合評価問題を追加することにより、学習者が習得した内容を様々な状況の中で適切に適用できるかについても評価できるであろう。 教科書は教室内の授業の中で学習者が最も多く接している主な教材であるため、教科書の評価問題は最も基本的な評価道具であると言える。したがって、各問題が学習者の不足な点を把握するのに効果的に活用されなければならないであろう。 本論文では問題の類型による構成比率とこれに関する適切性についての考察が行われていなかった。よって、これに対する分析基準を設け、検証することを今後の課題として残したい。

      • 불교문화를 활용한 콘텐츠 개발 방안 연구

        장윤선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일찍부터 종교는 인류문화의 원천이 되었다. 이는 현존하는 세계 문화유산 가운데 종교문화유산이 절대적 지위를 차지하고 있음에서도 증명된다. 또한 직접적으로 종교적 색채를 드러내지 않는 문화유산이나 문화재의 경우에도 종교적 세계관의 영향을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우리나라 문화산업은 문화콘텐츠가 처음 등장하기 시작한 2000년을 그 출발점으로 하여 매우 가파른 속도로 시장 점유율을 확장해 가고 있다. 우리나라 콘텐츠사업의 매출 규모는 2003년 442억 달러에서 2012년 879억 달러로 8년 사이에 2배 가까이 성장했으며 2017년에는 2016년 대비 5.9% 성장한 111조 4,000억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국내 문화콘텐츠산업은 드라마, K-POP을 중심으로 한 생성기에서 영화, 게임, 캐릭터 등도 함께 성숙해 가는 성장기를 지나 한식, 관광, 전통문화 등에도 관심이 확대되는 다양화기로 접어들었다. 국내 문화콘텐츠산업 수출 규모는 2003년 6억 3,000만 달러에서 연평균 26.4%로 성장, 2012년 말에는 52억 1,000만 달러, 2017년에는 전년대비 8.5% 성장한 68억 5,000만 달러로 전망하고 있다 그럼에도 우리나라에서는 문화콘텐츠산업에서 종교전통과 종교문화의 원형이 차지하는 비중은 결코 높지 않은 실정이며, 종교문화 원형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한 것도 최근의 일이다. 그 이유는 종교문화 원형이 문화콘텐츠산업으로 발전하기에는 특정 종교에 대한 편향이라는 선입견이 강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작금의 현실에서는 문화의 연구와 더불어 종교문화 원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더구나 다문화·다종교의 시대에 종교 간의 교류를 통해 타 종교인을 이해하고, 더 나아가 문화콘텐츠 창작의 성공을 위해서 원천자료를 확보하려는 노력은 매우 바람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종교문화 원형의 연구 중에서도 특히 불교 문화원형에 대한 연구는 쉽게 발견할 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불교문화 중에서도 사찰음식, 불교음악, 템플스테이에 관해서 불교신자와 비 불교신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에 불교문화대중화를 비롯한 6개 세부지원 내용에 대한 불교인과 비불교인간의 인식의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서 T-Tes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문자격증, 교육기관 육성, 홍보방안, 보조금지급, 정부개입 등에서 인식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불교문화 대중화 인식에서는 불교인과 비불교인 사이의 인식차이가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설문조사를 거쳐 그 결과에 따라 아래와 같이 불교문화콘텐츠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한다. 첫째, 불교문화영향평가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불교문화 영향평가는 정책 및 사업에 대하여 시행 전 사전평가로 진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시행의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화적 가치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 요소를 최소화하는 한편 긍정적 영향이 증진될 수 있도록 개선하여 시행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콘텐츠 마케팅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필요가 있다. 셋째, 승가대학의 기능을 확대하여 각 사찰에 맞게 다양한 문화프로그램을 추가하여 불교음악, 불교철학 등 다양한 학위가 가능하도록 승가대학의 기능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넷째, 콘텐츠전문가를 육성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불교문화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이 필요하다. 모든 학문의 중심에는 DB의 구축이 필수적이다. It is undeniable that religion has been the spring of culture. Among World Heritage Site in existence, religious heritage holds a prominent position. We can easily find the influence of the religious world view even from cultural heritage or assets hiding religious colors. Since 2000, when cultural contents appeared for the first time, Korea’s cultural industry has been rapidly expanding its market share. Its sales have nearly doubled in 8 years from 44.2 billion dollar in 2003 to 87.9 in 2012 and are expected to reach 111.4 trillion won in 2017, which is 5.9% growth over 2016. Starting from the generating period oriented towards drama and K-POP, Korea’s cultural contents industry has past the growth period, showing maturity of movies, games, and characters, and entered diversifying period where the interest is magnified towards Korean food, tourism, and traditional culture. The export scale of the industry has annually grown 26.4% in average since 630 million dollar in 2003, reached 5.21 billion dollar at the end of 2012, and is expected to become 6.85 billion won in 2017, which is 8.5% growth over the previous year. Nevertheless, religious tradition and cultural archetypes are not of great importance in culture contents industry and it is only recently that some interest towards archetypes have been shown. And this seems to be due to the strong prejudice about bias towards certain religions, which interrupts the development of the archetypes into cultural contents industry. However, research on culture along with the archetypes have been briskly ongoing in these days. And it is highly desirable to understand other religions through mutual exchange and, by extension, strive to secure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for the success of cultural contents creation in multi-cultural, multi-religious era. But still, it is difficult to find research on cultural archetypes of Buddhism, in particular. Hence, this study conducted survey targeting believers and non-believers in Buddhism on temple cuisine, music, and temple stay of Buddhistic culture. After executing T-Test to analyze perceived gap between believers and non-believers on 6 kinds of specific support details including popularization of Buddhistic culture, we found difference in professional license, promotion of educational institutions, PR measure, subsidy, government intervention, and so on. However, we could not fin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in awareness of Buddhistic culture popularization between them. Thus, activation plans to vitalize Buddhistic cultural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introduction of Buddhistic culture impact assessment system is necessary. We should make it a rule to carry it out as preliminary evaluation before implementing policies or operations and guide the continuous improvement to minimize negative impact and enhance positive influence in cultural value during the process of enforcement. Secondly, we should effectively utilize contents marketing. Thirdly, we should expand the functions of monk college and add various cultural programs suitable for each temple to enable study for various degrees such as Buddhistic music and philosophy. Fourthly, we should foster monks that specialize in contents. Finally, the establishment of Buddhistic culture database is necessary as it is essential for all studies.

      • 보험상품의 가입 여정에서 나타나는 소비자 유형별 경험요인의 차이 : VALS2 모델 활용을 중심으로

        장윤선 한성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modern world, it is necessary to design and conduct service on the consumer side to support rational decision making of consumers. For this, general understanding how consumers do decision making, which problems are in decision making process, and which strategy is used to solve these problems should be preceded. This study conducts a study on decision making process of onsumers by applying insurance service with insufficient service design on the consumer side in comparison to the market breadth of many products. Based on this critical mind, a context of phenomenon consumers experience in decision making process of insurance service is wholly understood by using customer journey map, one of service design methodologies. Furthermore, after typing consumers according to value orientation and lifestyle in this context, the researcher is to give shape to theoretical basis of decision making process of insurance consumers by comparing and finding which difference of design making process by consumer types is, and experience factors arousing this difference.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tudy uses the following research methods. First of all, customer journey map is made by conducting the first interview with ten consumers experiencing joining insurance. Through this, the researcher wholly examines how insurance consumers do decision making, and cognitive and emotional phenomenon they experience in the process. In addition, purchase intention determining process model of insurance consumers is suggested. Next, a standard of consumer typing is established to offer typed theory of characteristics on the process of various decision making of consumers. As the standard, VALS2 Model, the most frequently used theory to mentality research of lifestyle of consumers in marketing, is used, and 8 consumer type groups are divided by conducting VALS2 Survey targeting 200 consumers experiencing joining insurance. five characterful consumers of each group are selected, so the second interview is conducted targeting 40 final consumers. The second investigation examines the importance of experience factors according to insurance service journey by developing questions based on customer journey map drawn in the first investigation. Hereby, decision making process of insurance consumers is wholly examined, and the researcher reveals which difference is between experience factors affecting decision making by consumer types, and what characteristics are through an actual analysis. As a result, consumer experience factors of insurance service are advertisement, brand, reliability of insurance sales man, opinion of friends, belief of insurance, insurance premium, coverage, selection of applicable group, and trend, and importance ranking is offered depending on consumer journey whether each experience factor is applied to consumer types of 8 groups with certain importance.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First, service design visualizes and standardizes unseeable target, so is to increase the value of general service experience. Therefore, insurance service with formless characteristic needs capability of designers forecasting and analyzing consumer needs in design viewpoint more than quantitative access in marketing viewpoint. Therefore, it is valuable for this study to define and analyze consumer decision making process of insurance service in viewpoint of designers. Second, customer journey map is made by adding an empirical study with consumer interview to existing fragmentary results of research work of consumer decision making process, so the researcher offers theoretical foundations to understand decision making process of insurance consumers synthetically and systematically. Third, a difference between experience factors of decision making process by groups is established by typing consumers, so implications are offered to prepare consumer-discriminative approach in pol icy and operational aspects of provision of not only insurance service but also service of various industries. 현대 사회에서 소비자의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입장에서 서비스를 설계하고 시행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실제 소비자가 어떠한과정을 통하여 의사결정을 하며 의사결정 과정에서 어떠한 문제를 경험하고 있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어떤 전략을 활용하는지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수많은 상품들 중에서 그 시장규모에 비해소비자 입장의 서비스 설계가 부족하다고 판단되는 보험서비스를 적용하여 소비자 의사결정 과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중의 하나인 고객여정맵을 활용하여 소비자가 보험서비스의 의사결정과정에서 경험하는 현상의 맥락에 대하여 포괄적으로 이해한다. 나아가 이러한 맥락 안에서 소비자를 가치추구 및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유형화한 후, 소비자 유형별 의사결정과정은 어떠한 차이를 보이 며, 차이를 발생시키는 요인인 경험요인을 비교하고 탐구함으로써 보험소비자의 의사결정과정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구체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먼저, 보험에 가입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 10명을 대상으로 1차 인터뷰 조사를 실시하여 보험서비스 고객여정맵을 작성하였다. 이를 통하여 보험소비자가 어떻게 의사결정을 하고 그 과정에서 경험하는 인지적/감정적 현상에 대해 포괄적으로 살펴본 후 보험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과정 모형을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소비자들의 다양한 의사결정 과정상 특성에 대하여 유형화된 이론을 제공하기 위하 여 소비자 유형화의 기준을 정하였다. 기준으로는 마케팅 분야에 있어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심리 연구에 가장 자주 활용되는 이론인 VALS2 모델을 활용하였으며, 보험가입 경험이 있는 소비자 200명을 대상으로 VALS2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8그룹의 소비자 유형을 나누었다. 이들 그룹 중 개성이 뚜렷하게 나타난 소비자를 5명씩 선별하여 최종 40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2차 인터뷰 조사를 진 행하였다. 2차 조사는 1차 조사에서 도출된 고객여정맵을 토대로 설문문항을 개발하여 보험서비스 여정에 따른 경험요인 중요도를 조사하였다. 이로써 보험소비자의 의사결정과정을 총체적으로 살펴보고 소비자 유형별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경험요인에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특성은 무엇인지를 실증분석을 통해 밝혔다. 그 결과 보험서비스의 소비자 경험요인으로는 광고, 브랜드, 보험설계사 신뢰도, 지인의 소견, 보험에 대한 소신, 보험료, 보장 범위, 준거집단의 선택, 트렌드로 정의 할 수 있으며 8그룹의 소비자 유형에게 각각의 경험요인이 어느 정도의 중요도를 가지고 적용 되는지 소비자 여정 단계에 따라 중요도 순 위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첫째, 서비스디자인이라는 것은 눈에 보이지 않는 대상을 가시화 하고 표준화 하는 것과 같이 전체적인 서비스 경험의 가치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때문에 무형성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 보험서 비스는 마케팅 관점에서 정량적으로 접근하는 것 이상으로 디자인 관점에서 소비자의 니즈를 예측하고 분석하는 디자이너의 역량이 많은 부분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디자이너의 관점에서 보험서비스의 소비자 의사결정 과정을 정의하고 분석한 본 연구는 그 가치가 있다. 둘째, 소비자의 의사결정과정에 관한 기존의 단편적인 연구결과에 소비자 인터뷰를 동반한 실증 연구 조사를 더하여 고객여정맵을 작성함으로써 보험소비자의 의사결정과정에 대하여 보다 더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였다. 셋째, 소비자를 유형화하여그룹 별 의사결정과정에서 경험하는 경험요인의 차이를 규명함으로써, 보험서비스 뿐만이 아닌 나아가 다양한 산업의 서비스 제공에 정책적 및 실무적 측면에서 소비자 차별적 접근방안을 마련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한다.

      • 소규모 상업공간에서의 계단에 관한 연구 : 갤러리, 패션몰, 카페, 레스토랑을 중심으로

        장윤선 水原大學校 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간은 인공 구조물인 건축물에서 공간을 의식하며 살아가고 있다. 공간에서 생활하는 인간의 활동 중 수직이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은 수평면의 변화를 자연스럽게 연결시켜주고 기능적으로 그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일련의 전이공간이라 할 수 있다.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지 않으면 그냥 지나칠 수 있는 바로 그 공간인 계단을 디자인적 측면과 기능적 측면을 가지고 본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고, 단지 상승을 위한 매개체로서의 역할이 아닌 다방면의 의미를 충분히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주요 논제 중의 하나이다. 특히 본 논문에서 다루어지는 계단은 건축물 자체의 계단이 아니라 2층이상의 같은 기능(성격)을 가진 공간 속에서 나타나는 계단을 다루는 것이고 그런 계단을 직접 사례조사하여 공간을 분석하고 계단의 유형을 분류하여 실내공간 구성에 있어서 계단의 의미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장에서는 실내공간과 계단에 대한 일반적인 고찰로서 공간과 공간에서의 동선개념, 계단의 의미와 역할, 계단의 구성요소 및 고려사항, 계단과 관련된 공간 구성요소에 대하여 살펴 본다. 3장에서는 실내공간 구성에서의 계단에 대하여 조사한 사례들을 통해 계단의 유형을 분류하고, 분류하는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형태별로 직선형, 꺾인형, 곡선형으로 나누어보고, 벽과 관련된 분류로 위치상(내부형, 벽부형, 코너형), 막힘정도(개방형, 반 개방형, 폐쇄형)에 따라 나누어 보았다. 또한 공간구성 방법별 분류로 시각적(공간의 역동성, 조형성), 구성적(공간의 연결, 분할, 접근) 연출로 분류하여 공간과 계단과의 상관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4장에서는 2장, 3장에서 언급한 내용들을 기준으로 계단을 유형별로 조합하여 표를 만들어 분포현황을 알아보고 그에 따른 이유와 결과를 분석한다. 사례조사는 주로 같은 기능(성격)이 연결된 실내공간 중에 갤러리, 패션몰, 카페, 레스토랑을 선정하였으며, 선정 배경으로는 중소규모의 상업건물 안의 공간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특성들을 돌출하려는 의도록 분석하기 위함이다. 분석을 통하여 계단이 실내공간의 구성요소로 사용되어지는 데 있어 앞으로의 전개방향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5장에서는 이제까지의 모든 의견들을 모아 결론을 내린다. 이러한 계단이 소규모 상업공간(갤러리, 패션몰, 카페, 레스토랑)에서 갖는 특징들을 앞에서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결론을 맺으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직이동이라는 연결기능이 주목적으로 사용되는 계단들이 많았다. 소규모 공간에서 계단을 세운 가장 큰 이유는 공간을 연결하는 목적이므로 공간의 연결성을 가장 중요시하고 있다. 둘째, 공간의 기능별로 계단마다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계단이 놓여지는 위치, 형태, 디자인 등에 따라 차이점이 나타나는데, 갤러리에서는 전시공간을 고객이 이동하는 동안 동선상에 불편함을 주지 않는 범위인 B와 C부분에 직선형, 꺾인형의 계단이 가장 많았고, 패션몰에서는 계단의 미(시각적 연출)를 쉽게 나타낼 수 있는 공간의 중심부에 개방형의 형태로 위치하고 있고, 카페·레스토랑에서는 출입구 가까이(C부분)에 주로 위치하며 꺾인계단이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다. 이와 같이 공간별로 위치와 형태에 따른 차이점을 볼 수 있다. 셋째, 계단들은 공간구성의 요소로서 사용되고 있다. 각 공간들마다 개성을 가지고 있는데 계단으로 하여금 공간을 시각적으로 역동성과 조형성이 나타나도록 하였는가 하면, 구성적으로 공간의 연결, 분할, 접근성을 나타내고 있다. 넷째, 형태별로 직선형, 꺾인형, 곡선형으로 분류하였는데, 직선형은 계단참이 있는가, 없는가에 따라 다시 분류되고, 꺾인형은 꺾인형태에 따라 U자형, L자형, ㅁ자형, ㄷ자형으로 나뉘고, 곡선형은 자유곡선계단, 나선계단으로 나뉘었다. 다섯째, 실내의 벽과 관련시킨 위치에 따라 계단을 분류하였다. 벽과 떨어져서 단독으로 존재하는 내부형, 한쪽을 벽면에 기댄 벽부형, 벽면의 코너에 위치한 코너형이 있는데 내부형은 패션몰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벽부형이나 코너형은 갤러리, 카페·레스토랑에서 주로 많이 사용되었다. 여섯째, 실내의 벽의 막힘정도에 따라 계단을 분류하였다. 계단의 어느쪽도 벽에 접해있지 않으면 개방형, 한쪽편이 접해 있으면 반 개방형, 양쪽편이 모두 접해 있으면 폐쇄형으로 나누었는데, 패션몰은 주로 개방형 계단을 많이 사용하며, 갤러리와 카페·레스토랑은 반 개방형의 계단이 많이 사용된다. 이상과 같이 본 논문은 소규모 상업건물의 실내계단에 있어서 각 공간들의 기능별로 계단의 특성을 결정할 수 있는 요소와 공간계획의 조건들을 정리한 것으로서 현재의 상황들을 기초로 더욱더 발전된 인테리어 공간을 계획할 수 있을 것이다. Mankind have been living to the building that was made of artifact with conscious of space. Space that can shift vertically relate to the variation of horizontal aspect when we are act in the space and functionally can be transference-space which make the most of effect. To this thesis, one of the main focus deal with stair that have standpoint of design and function ,that can be overlooked, if we don't have special meaning and that have not medium with vertical role but variation of mean. Especially, treated flight of steps in thesis is not stair by natually but that appear in the spatial feature such like function with over two story building and through case study analyze that spatial mean, classify type of stair, and understand the mean of stair as structure of inner space. To the chapter 2, as universal mean about inner space and stair, consider the circulation between space and space, the construction factor of stair, and that spatial factor connected with stair. To the chapter 3. through study stair to inner space structure classify the type of stair and sever shape as criteria with classification : linear type, round type, corner type position as relation to wall : inner type, wall type, corner type ,and enclosed situation : open type, semi-open type, enclosure type. Also as classfication to the method of space structure divide into visiable : dynamic and plastic of space and structure feature : connect, seperat, and access of space. To the chaper 4. based on the chaper2, 3 combine with type of stair, make the diagram, and analyze cause and effect. Because of analysis to the appearence of differentiation Among the inner space which is connected by almost same functional aspect gallery, mall, caf'e, restasurant is selected for case study in the middle of process that relate to space of commerical building vertically. Through the analysis of stair, this study intend to the develop of process in the stair that is applied to structure factor in the inner space. To the chpter 5, conclude the the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 : First, most of the stair is mainly used to the function of connection as vertical shift. Second, the stair has the differentiation with function of space. Third, the stair is operated by factor of spatial structure. Fourth, to classify the type of shape has liner, corner, round style : liner style has landing or not, corner style divide into U-shape, L-shape, ㅁ-shape, and ㄷ-shape, round style has spiral type and free type. fifth, the stair is classified by the position of inner wall connection with stair. finally, the stair is seperated by the enclousre of inner wall. The result of this thesis conslidate the conditions of spatial design and factor with having feature of stair as functional aspect in the stair of small commercial building. And to the basis of current condition, more developed inner space will be designed.

      • 사이버범죄에 관한 연구 : 인터넷사기의 형사법적 고찰 중심으로

        장윤선 延世大學校 法務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장루이 마르탱은 호언한다. “나는 인터넷을 이용해 생각만으로 세계적 사건이 일어나게 할 수도 있습니다.” 그는 사고로 전신마비가 된 전직 은행원이다. 왼쪽 귀로 듣고 오른쪽 눈으로 볼 수 있을 뿐이다. 하지만 눈 깜박임 하나로 인터넷 바다를 헤엄쳐 수많은 전문지식을 축적한다. 결국엔 자신을 치료하던 의사를 죽음으로 몰고 환자들을 조종해 병원을 자신이 지배하는 성으로 만든다.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소설 [뇌] 이야기다. 하지만 소설 속 허구로만 치부하기엔 꺼림칙하게 남는 구석이 있다.인터넷의 발달은 사이버 공간이라는 새로운 가상의 생활공간을 만들었고 사이버 문화라는 새로운 사회현상을 낳고 있다. 인터넷의 다양한 편리함은 우리 삶의 질을 높이는 한편, 우리의 생활을 더욱 편리한 유비쿼터스 사회로 이끌고 있다. 하지만 사이버 문화의 발달 속도에 상응하여 법적 보호장치가 따라가지 못한 결과 사이버도박, 인터넷사기, 사이버폭력이 범람하는 등 신종 사이버범죄가 등장하게 되었다.사이버범죄는 컴퓨터 네트워크 기술을 매개로 하는 점에서 종전의 범죄와 다르다. 사이버범죄는 몇 세대를 거쳐 기술의 발전에 따라 진화해 왔으며, 시스템 통합성에 대한 범죄, 범죄를 위한 컴퓨터의 사용, 컴퓨터 콘텐츠와 관련된 주요 범죄 행동 영역으로 구성되는데 사이버범죄는 정보적, 세계화적, 네트워크적 특성, 특히 편재성으로 인해 수사 및 형사사법절차에 있어 많은 어려움을 제기한다.그러나 사이버범죄를 창출한 그 동일한 기술이 그 범죄를 규제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 우리에게 유용한 법집행 도구를 제공하게 되는데 개인의 안전과 정보의 보호가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는 점에서 새로운 법적, 제도적 어려움이 있다.이에 사이버범죄의 이해와 규제에 대한 법규의 문제점 고찰과 대응방안을 살펴보며 사이버범죄의 다양한 유형중 온라인 환경에서 사기의 위험은 점차 늘어나고 있고, 인터넷 접속자의 급증으로 많은 사람들이 속임수에 노출되는 환경속에서 사기범죄의 수법이 여러 형태로 계속 진화하고 지능화됨에도 불구하고 기본 유형은 변하지 않는다는 점에 사기수법 연구와 더불어 인터넷사기에 관해 금융사기 중심으로 각 유형별 조직화된 범죄 활동의 증가 가능성을 파악하여 법적 대응의 분산을 막을 수 있는 다양한 대응전략등을 살펴본다. Jean Louis Martin declares, 'I can only use the Internet to make a global accident occur.' He is a former banker whose whole body has been paralyzed by accident. He can only hear with the left ear and see with the right eye. Nevertheless, he swims on the Internet ocean by blinking one of his eyes to accumulate extensive professional knowledge.After all, he drove his doctor into death, while manipulating the patients to make them into the sex dominated by him. It is a story 'Brain' written by Bernard Werber. Nonetheless, there is a lingering effect which cannot be dismissed as a fictitious story. Development of the Internet has led to a new virtual space of life called 'cyber space,' and the resultant cyber culture is giving birth to new social phenomena. Diversified convenient uses of the Internet help to enhance our life quality, leading our life to a more convenient ubiquitous society. However, as the legal protection mechanism does hardly catch up with the speedy development of the cyber culture, such various new cyber crimes as cyber gamble, Internet fraud and cyber violence prevail.Cyber crimes differ from the conventional crimes in that they use the computer network technologies as intermediary tools. Cyber crimes have evolved through several technological generations. They may be divided into crimes related to system integrity, those related to uses of computer and those related to computer contents. Hence, it is very difficult to handle the cyber crimes in terms of criminal justice procedures due to their informative, globalized, networked and, particularly ubiquitous characteristics.However, the conventional criminal skills which have evolved into the cyber crime skills may be used to check the cyber crimes, while providing for useful law enforcement tools. Nevertheless, since individuals' safety and information should be protected, it is difficult to apply such skills as new legal and institutional anti-crime tools.This study addressed the legal problems related to identification and regulation of the cyber crimes and suggested their solutions. In particular, among the diverse types of cyber crimes, the risks of fraud increase, while much more people are exposed to the fraud because they must use the Internet. In such circumstances, the skills of the on-line fraud continue to evolve in diverse forms, being more and more intelligent, but their basic types remain unchanged. With such basic conceptions in mind, this study aimed to survey the various organized cyber crimes centering around the financial frauds and examine diversified counter-measures to check them concentratingly.

      • 西堂 李德壽의 碑誌類 散文 硏究

        장윤선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Seo-dang Lee Duk soo (1673-1744, character : In-no, pen name : Seo-dang, Byeok-gye) was an intellectual who took two times the Myun-hyeon g(the governmental position of greatest scholars) in the Yeong-jo era, at the end of Chosun dynasty. He wrote 169 biji proses, which are Sindobimyung (18 pieces), Myogalmyung(63 pieces, inscriptions on a gravestone), and Myojimyung(88 pieces, which are put in graves) in his collection of works. Because of the distortion of factions and the intensification of the party strife, the bijiryu prose was broken away from practical writings and degraded to the tool for political fights at that time. Recognizing the evil of the literary world, Seo-dang tried to recover it in a right way. So he wanted to present the right direction of the prose by means of the bijiryu prose which formally changed little for long among the oldest proses. We are going to see the features of the bijiryu prose of Seo-dang. The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ost of his bijiryu works were written in an original form. That is, under the existing stylistic cognition that demands both historiographers' talent and a historical view and at the same time calls for a person to write as based on the truth, he organized them with the reason he writes bijiryu proses, one's native place and family line, officers' career, Biju's personality(Biju, a dead man, a star in his prose), family relations, simple arguments, the date of one's death, funerals , and burial places. So, his works can be regarded as featureless proses that have nothing to get from a literary point of view, and were written only from a practical aspect. Once we examine closely the conditions of that time, however, we can see that the bijiryu proses were being broken away from the scope of the practical literature. Nevertheless, at this situation, it rather seems that the works of Seo-dang who left so many graceful works of original form are worth enough to be illuminated at a new point of view. Second, when someone asked him to write about a dead man he didn't know well, as he made clear that he couldn't refuse it because of the humanity he tried to make the construction of the prose most strict and fair. I think he did so because he worried that he would be spotted as Yumyo(a man who highly flatter). So while he wrote about Biju with the help of the people he is familiar with he made an great effort to find a way to intensify the objectivity of the works. Third, Seo-dang left so many bijiryu pieces about the family members and the close acquaintances who died early. As time goes on, the bijiryu works were pulled out from the means for writing about Biju's lifetime and were used to express writers' opinion and feeling. Then maybe biji was enough for Seo-dang who endlessly reflected on and was worried about sentences to express his own opinion. And he And he tried to put the trueness to composition of description ordinary anecdote and memorial scenes, and once expressed sorrows extremely by describing the situation of death very sincerely. Four, the object of the Bijiryu prose work of Seo-dang was most the man who he admired associated. We know that the men were deep in Hyo-woo (to act with duty their parent and brothers and sisters), not swept in their party policy and were scholastically superior person. He had a firm belief that not swept in a faction according to the teaching of the departed of his father. He was annoyed by the prevailing state of society of present generlation scholars that did Guijihak(shallow study of quoting another person) and had Ahngosubi (a good critical eye with no executive skill). And Seo-dang sometimes criticized the politician chasing his rich and honor who didn’t think of politics for common people. So Seo-dang was tried to put his world of thought to "Biji" space. So for coming to deliver to descendant people, he expressed by composing Ui-non(a subject argument) especially on Biju who has moral influence and good conduct, who was possible to leave his name behind in his achievement

      • 색도계를 이용한 자외선 차단제의 차단효과 평가

        장윤선 고신대학교 보건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간의 정상적인 활동을 위해서는 일광에의 노출은 피할 수 없으며 스포츠나 오락 등 야외활동의 빈도가 늘어나고 환경오염으로 지표에 도달, 인간에게 조사되는 자외선 양이 증가하기 때문에 이러한 일광손상의 예방을 위해서라도 자외선 차단제가 필요하다. 현재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자외선차단제의 차단 치수 즉 sun protection factor(SPF)가 정확한지에 대해서 많은 의구심이 제기 되었다. 그래서 자외선 차단제에 적혀있는 차단 치수와 실제 자외선 차단치수가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비교하여 소비자가 좀더 정확한 효과를 알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외선 차단제의 차단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30명을 대상으로 등에다 자외선차단제를 도포 후 인공 선탠기로 1시간, 1시30분, 2시간씩 자외선 조사 후 각각의 색도 명도 채도를 측정하여 자외선 차단제의 차단효과를 비교하였다. 자외선 차단제별 자외선 조사에 의한 색도 의 변화에서 차단효과가 있는 차단제로는 20개중 7개로 35%가 자외선 차단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외선 조사 후 명도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차단효과가 있는 차단제로는 20개중 2개로 10%가 자외선 차단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외선 조사 후 채도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차단효과가 있는 차단제로는 20개중 11개로 55%가 자외선 차단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단지수에 따른 색도, 명도, 채도의 변화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자외선 차단지수가 높다고 해서 차단효과가 높다고 볼 수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외선 차단효과를 자외선 조사시간별로 측정한 결과 시간이 경과할수록 차단효과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p<0.001), 시간이 경과할수록 차단제의 차단효과는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자외선 차단제의 차단효과를 비교해 봄으로서 자외선 차단제의 차단치수가 실제 차단효과 보다 차이가 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해서 자외선차단지수로 차단제를 선택하기보다는 차단효과가 있는지를 검정한 후 에 사용할 필요가 있다. For human normal activities, human don't avoid sunlight exposure. Because the frequency of outdoor activities such as sports and entertainment, and the amount of shined ultraviolet rays with the environmental pollution, have been increasing, sun cream is needed to prevent the damage of ultraviolet rays especially. There aren't many concrete researchs about ultraviolet rays protection ability of sun cream that is sold in korea. There are many doubts about correctness of sun protection factor(SPF) of sun creams that is sold usually. It was researched to compare SPF of sun cream to actual SPF and for cussumer to use with knowledge of correct effect. This research is that we painted sun cream on the back of thirty people, suntain for 1hr, one-haif hr and 2hr with man-created suntan machine surveyed hue, value and chroma, compare the protection effect of sun cream to look up the protection effect of sun cream. In change of hue about ultraviolet rays research, sun cream that there is protection effect, is 7 of 20(35%), in change of value about ultraviolet rays research, sun cream that there is protection effect, is 2 of 20(10%), in change of chroma about ultraviolet rays research, sun cream that there is protection effect, is 11 of 20(55%). In change of hue, value and chroma according to SPF, because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high SPF is not equal to high protection effect. In ultraviolet rays protection effect each time, because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tection effect, the result is that the protection effect of sun cream has been less effect in the more time. This research explains that SPF of sun cream is not equal to actual protection effect, in comparision the protection effect of sun cream. In result of this research, it is necessary to use after check protection effect, not to choice sun cream with SPF.

      • 한국 창작 뮤지컬 극본의 다양성 연구 : 뮤지컬 <라디오스타>, <대장금>, <남한산성>, <궁>을 중심으로

        장윤선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paper, other genres apply original in writing process of a play that is the basic foundation of the creative musical in Korea and try to study the diversity of musical script that is the basic foundation of creative musical through the analysis and research of utilizing works. For this examine character of other genre and character and structure of musical and having the original musical in other medias among the creative musical after 2000s analyzed the cases of creative musical. A study case works are based on the research when original work with its value and awareness among creative musical of Korea to have original were re-created by musical, were recognized its value and long-run hit and the possibility of re-performing in the future is high work. Thus, analyzed that to be-musical examples of the original film is <Radio Star>, to be-musical examples of TV drama <Dae Jang-gum>, to be-musical examples of a novel is <Namhansanseoung> and to be-musical examples of cartoon is <Goong>. What making a creative musical with original have strengths and weaknesses together, but well-structured and awareness of story with the original, in having a material not looking for new materials can be reborn to revises, can choose more variety materials and have less hazardous factors, in recent years are preferences musical creation utilizing in the original works of existing. However, even took advantage of original is not a box-office success all creative musical. Therefore, lots of consideration need about which originals will change for musical and how to transform. First, when you are selecting the original work, the material of drama should be judged on suitability for the musical. Just it is popular with the public in many box-office success, has too much risks for selection so, when the drama materials of the original transit to a musical, try to determine about the proper materials. Second, when the depicted way of the original media changed to the musical stage, must determine to be possible. Representation by the medias are all the different and because the case of musical consider technical aspects of motion on the stage, lighting and special effects in limited stage, the appeal that feel in the original works takes to the stage and then, can express, in other worlds, theatrical script and stage of musical should be judged for available. Third, it should be judged the possibility about the expression of original dramas and descriptions way for the musicals. The developing way of story per media are the different and representations are different, you consider, when the presentation and description to be shown in the original media is converted to the musical, should be judged that can feel again the factor of impression and appeal enough like original. The reason that popular original of existing present on the musical stage intended to reduce the lack of materials and the risk of creative work but as an alternative for the diversity materials of creative musical can not make a finiding material utilizing original. Therefore, for the creative musical development of Korea First, in material development sides of the creative musical is required the effort of re-creation rather than replicating about original. Because Musical and other genre movies, TV dramas, novels, cartoons, internet novel have the difference in genre characteristics, it should be re-creating to consider about the original when transformed to musical. Second, the attractive of unique musical genre in terms technological development should be find and should make an effort the material development as well as cultivating of professional writers. Simply reason the audience has recognized, The level that the original replicate on the stage can not be guaranteed in current musical markets. The audience already know about originals but finally, the musical will be shining due to making impressions when added attraction only stage. In addition, several production or planners is working to appoint on productions that have already announced the name of staff among the professionals with acquaintance. However, this known staff is not participating only one work so, it may be possible to make less-quality work because of losing their concentration. Therefore, musical planners and producers think first the capacity of production as much as arrange the production' conditions to create high-quality work so, finding a staff should not be overlooked. Third, the methods that is already known in terms of marketing have limitations to promote the creative musical so have to find a new way of marketing. There are original works but does not create one musical immediately. the creative process may be more difficult in different ways to express with concepts frame of existing rather than is developing new materials because of original works. Thus, try to find marketing and promoting ways of more brilliant and new ideas.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e musical is required lots of effort but is the most important the material development of creative musical into production points like first button. Through this paper, by studying how can be used as materials for musical works to the meaning of dramatization in the musical creative process of the script and original materials of various media and would like to help in the development of creative musical of Korea. 본 논문은 뮤지컬 극본 집필과정에서 타 장르를 원작으로 활용한 작품들의 분석과 연구를 통해 한국 창작 뮤지컬의 기본 토대가 되는 뮤지컬 극본의 다양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에 타 장르와 뮤지컬 특성을 알아보고 2000년대 이후 창작 뮤지컬 중에서 타 매체에 원작을 두고 있는 작품 사례를 연구, 분석하였다. 연구사례 작품으로는 원작이 있는 국내 창작 뮤지컬 중 작품성과 인지도를 지닌 원작으로 뮤지컬로 재창작되어 작품성과 흥행을 인정받고 앞으로도 재공연 될 가능성이 높은 작품을 토대로 연구하였다. 따라서 영화의 뮤지컬화 사례로는 <라디오스타>, TV드라마의 뮤지컬화 사례로는 <대장금>, 소설의 뮤지컬화 사례로는 <남한산성>, 만화의 뮤지컬화 사례로는 <궁>을 분석하였다. 대중들에게 이미 친숙한 소설, 희곡, 영화, TV드라마, 만화 등을 뮤지컬로 다시 만드는 것은 많은 이점과 함께 약점도 지니고 있다. 따라서 강점과 약점을 비교함으로서 강점은 살리고 약점은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강점을 살펴보면 크게 세 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 타 장르와의 결합으로 소재와 이야깃거리가 다양해진다. 소재를 채택할 수 있는 선택의 폭이 넓어지며 뮤지컬 시장은 다양한 이야기를 관객들에게 선보일 수 있다. 또한 소재 개발에 있어서 더욱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될 수 있다는 강점을 지닌다. 둘째, 원작의 작품성에 영향을 받아 작품의 질을 높일 수 있다. 소설과 같은 문학작품, 대중에게 많은 인기를 받은 영화, 드라마 등은 뮤지컬과 같이 스토리와 등장인물들이 있고 갈등에 의해 이야기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미 한 번의 창작 과정을 거치고 대중에게 검증 받은 탄탄한 스토리를 가지고 있다. 이런 원작의 소재를 뮤지컬 특성을 살려 재구성한다면 작품성을 보장 받을 수 있다. 셋째, 홍보·마케팅 분야에 이점을 지니고 있다. 이미 흥행성이 검증된 원작을 바탕으로 제작자들에게 투자 받을 수 있는 확률이 높으며 관객들에게는 다른 매체를 통해 이미 접한 작품이라는 점에서 친근감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원작이 없는 창작 뮤지컬에 비해 투자자와 관객들과의 접근성이 용이하다. 강점과 함께 원작을 바탕으로 한 창작 뮤지컬들은 약점도 지니고 있다. 첫째, 비교대상이 있다는 부담감이 있다. 창작자 입장에서는 원작을 지키면서도 보다 나아야한다는 부담감이 있다. 창작자뿐만 아니라 대중들도 원작에서 느낀 감동과 뮤지컬에서의 새롭고 신선한 무엇인가를 기대한다는 점에서 비교대상에 대한 부담감을 느낄 수 있다. 둘째, 뮤지컬은 무대예술이 지닌 한계점 때문에 원작을 충분히 살리지 못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만화의 판타지한 상황이나 TV드라마, 영화에서의 클로즈업을 통한 전달을 어떤 식으로 무대로 표현해야 하는지 많은 고민과 연구를 필요로 한다. 또한 소설과 같이 독자에게 많은 상상을 하게 만드는 문학 장르는 그 상상까지도 무대로 표현해야 한다. 따라서 뮤지컬은 무대라는 공간의 한계를 극복해야하는 숙제가 있다. 원작을 지닌 창작 뮤지컬 제작은 강점과 함께 약점도 지니고 있다. 하지만 원작이 지닌 스토리의 탄탄함과 인지도, 새로운 소재를 찾지 않고 재료가 있는 상태에서 다듬어서 재탄생 시킬 수 있다는 점, 위험요소가 적다는 점에서 근래에는 기존에 있는 원작을 활용한 창작 뮤지컬 제작을 선호하고 있다. 따라서 타 장르인 영화, TV드라마, 소설, 만화, 인터넷 소설의 매체 특징을 알아보고, 타 매체에서 뮤지컬화 하는 각색방법과 타 장르의 원작을 활용한 작품들 분석을 통해 뮤지컬 대본의 다양성을 알아보자.

      • 고등학교 과학 수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수업 자료 개발

        장윤선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 rapid development of computer based technology leads an information-oriented society, which results in the heavy usage of computers in many aspects in our everyday life.It is natural that multimedia including computers become inevitable tools for education for an efficient way of teaching students who face enormous amount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The main advantage of using multimedia based teaching methods offers an interactive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by offering many channel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hrough vast and various resources of education materials. The needs for improved ways of teaching methods can be far more important in learning science than the other subjects since students need in general deep understanding of given materials for studying science. Therefore it becomes important of science teachers trying to develop a new way of teaching by utilizing the current state of art technologies, computer based multimedia. We have developed teaching materials that utilize the visualization of various motions of a particle, for example, a pendulum motion and a projectile motion, by using a computer program called ‘Maple’, a symbolic computation mathematics package, and ‘Excel’, a data sheet manipulating program. These two programs are chosen for its validity of making teaching materials for ‘Maple’ and accessibility on the software for ‘Excel.’ We also gave a lecture to the 43 senior students in high school and we made a survey on their understanding of what we have taught using the present methods. We confirm that more than two thirds of students are more focused and interested in the new way of teaching, and naturally better understanding of the subjects, while less than one thirds of students do not feel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 of the present computer based teaching, it is reasonable to think our methods are to be applied to the high school science teaching through more systematic test to the larger sampling of students for generalization. We also suggest that new computer programs other than present ones are also being tested and developed for better science education in the near future. 컴퓨터에 바탕을 둔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빠른 속도로 정보화 사회로의 전환을 가져오게 되면서 컴퓨터는 우리의 일상생활의 어디에서나 많이 쓰이는 결과에 이르게 되었다. 막대한 양의 지식과 정보에 직면한 학생들에게 보다 효과적인 교육적 방법을 찾는다는 면에서 컴퓨터가 중심이 된 멀티미디어의 사용이 불가피하다는 것은 어쩌면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를 이용하는 교수방법의 주된 장점은 방대하고 다양한 교육적 자료의 자원을 통해 교사와 학생 사이에 많은 연결을 제공함으로써 상호작용하는 교수 학습 환경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생들이 과학을 공부하는 데에는 깊은 이해가 필요하기 때문에, 과학교육에 있어서 개선된 교육방법의 필요성은 타 과목보다 더 중요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필요는 컴퓨터에 기반을 둔 멀티미디어와 같은 첨단기술을 이용한 새로운 교수방법을 개발하는 것이 과학 교사들에게 중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입자의 다양한 움직임을 시각화하며 보기 위하여 이용하는 예를 들면 기호를 사용하여 계산하는 ‘Maple’과 데이터 시트 프로그램인 ‘Excel’이라고 불려지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한 진자의 움직임과 포물선 운동을 하는 물체의 움직임과 같은 수업 자료를 개발하였다. ‘Maple’프로그램은 수업자료를 만들 때 애니메이션을 비롯한 다양한 응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고 ‘Excel’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널리 쓰인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이 두 가지 프로그램을 선택하였다. 제작한 학습자료를 가지고 고등학교 3학년 학생 43명을 대상으로 강의를 하였고 강의한 것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 조사를 하였다. 2/3 이상의 학생이 본 연구에서 개발한 수업 자료에 대해 관심도와 집중도가 높았고 자연스레 교과목에 대해 더 잘 이해하게 된 반면에 차이를 느끼지 못했다는 학생은 1/3 미만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멀티미디어 수업에 대해 조사된 결과에 의하면 본 연구의 방법의 보편화를 위해서는 학생들의 더 큰 표본에 대해 더 체계적인 검증을 통해 고등학교 과학교수방법에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가까운 장래에 보다 개선된 과학교육을 위해서는 본 연구의 방법 이외의 다른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한 방법들도 검증되고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