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독교 무용의 실태와 발전방안 : 기독교 무용 교육 연구를 바탕으로

        김현정 한성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기독교 무용 교육에 대한 13편의 연구논문을 5가지의 주제로 나누어 분석한 연구이다. 그동안의 기독교 무용은 단체의 수적인 증가로 기독교 무용인의 증가 면에서 양적인 발전을 이루어왔는데, 기독교 무용의 질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체계적인 교육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기독교 무용 교육 논문의 주제별 분석을 통해 기독교 무용의 실태를 알아보고 그를 바탕으로 기독교 무용의 발전방안을 모색하였다. 기독교 무용의 실태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교육기관의 측면에서는 신학 대학교 및 정식 대학교에 기독교 무용학부 과정 개설 미진, 기독교 무용 교육기관 안에서 연합의 부족 등이 있었다. 다음으로 교육과정 프로그램의 측면에서는 예술성과 대중성의 확장을 위한 교육과정 미비, 기독교 무용의 다양한 프로그램 미비 등이 있었다. 이어서 무용지도자의 리더십 측면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으로는 리더십의 결여 및 열정의 부재, 비체계적 지도 및 지나친 꾸중 등이 있었다. 또한 교육적 과제의 측면에서는 전문적인 기독교 무용 이론의 부족, 영성 훈련의 미비로 인한 영성의 부족, 신학 및 교육적 기반의 체계가 약함 등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활용 가치 및 가능성의 측면에서는 현대사회의 정신적 불안정 및 심리적 빈곤, 문화 및 공연예술로써의 활용 미진 등이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하여 기독교 무용의 발전을 위한 방안을 네 가지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교의 진리를 바탕으로 대학교 및 대학교 부설 교육기관을 중심으로 한 기독교 무용 교육기관이 보다 확장되고 굳건히 자리를 잡는 것이다. 둘째, 기독교 무용의 이론과 실기가 균형 잡힌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기독교 무용 교육과정의 확립 및 기독교 무용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더욱 활발히 이루어지는 것이다. 셋째, 교육적 과제로써는 무용과 신학, 무용과 영성, 예배 무용론, 기독교 무용사 등의 깊이 있는 기독교 무용 개념의 정립 및 말씀과 영성이 있는 기독교 무용 교육을 통해 전인적인 성장을 이루는 것이다. 넷째, 기독교적 리더십의 강화 및 양질의 기독교 무용 전문 지도자를 양성하기 위한 자격증 제도와 정기적인 워크샵을 통해 기독교적 리더십의 증진을 도모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기독교 무용의 발전을 위하여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할 것은 기독교 무용 교육의 발전이기에 대학을 중심으로 한 기독교 무용 교육기관의 확장과 체계적인 교육과정의 확립이 매우 중요하며 양질의 기독교 무용지도자 양성으로 다양한 교육적 과제를 이루어 가야 할 것이다. 이와 동시에, 일반인들에게도 다가갈 수 있는 전문성 및 예술성을 갖춘 보다 수준 높은 기독교 무용으로까지 나아갈 수 있어야 하겠다. 그리하면 기독교 무용이 양적 및 질적으로 더욱 활성화되어 교회의 예배나 문화행사 및 전도와 선교 등의 기독교 내 다양한 분야에서 더욱더 긍정적인 발전을 이룰 수 있으리라 본다. This study is a study that analyzed 13 research papers on Christian dance education by dividing them into five topics. Until now, Christian dance has achieved quantitative development in terms of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Christian dancers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organizations, and systematic education is most important for the qualitative development of Christian dance. Therefore, through the analysis of Christian dance education papers by subject, the reality of Christian dance was investigated and a plan for the development of Christian dance was sought based on it.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reality of Christian dance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n term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there were insufficient opening of Christian dance department courses at seminaries and formal universities, and lack of associations within Christian dance education institutions. Next, in terms of curriculum programs, there were deficiencies in the curriculum to expand artistry and popularity, and deficiencies in various programs of Christian dance. Subsequently, problems that may generally appear in terms of leadership of dance leaders include lack of leadership and lack of enthusiasm, unsystematic guidance, and excessive scolding. In addition, in terms of educational tasks, there was a lack of professional Christian dance theory, a lack of spirituality due to a lack of spiritual training, and a weak system of theology and education. Finally, in terms of utilization value and possibility, there were mental instability and psychological poverty in modern society, and lack of use as a culture and performing arts, and based on this, four measures for the development of Christian dance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truth of Christianity, Christian dance education institutions centered on universities and university-affiliated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expanded and firmly established. Second, the establishment of a professional and systematic Christian dance curriculum in which the theory and practice of Christian dance are balanced,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of Christian dance programs are more actively conducted. Third, the educational task is to achieve holistic growth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in-depth Christian dance concepts such as dance and theology, dance and spirituality, worship dance theory, and Christian dance education with Bible words and spirituality. Fourth, it is to promote Christian leadership through a certification system and regular workshops to strengthen Christian leadership and cultivate high-quality Christian dance professional leaders. In conclusion, the first priority for the development of Christian dance is the development of Christian dance education, so it is very important to expand Christian dance education institutions centered on universities and establish a systematic curriculum, and various educational tasks should be achieved by training high-quality Christian dance leaders. At the same time,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advance to a higher level of Christian dance with expertise and artistry that can reach the general public. If so, Christian dance will be further activate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nd more positive development will be achieved in various fields in Christianity, such as church worship, cultural events, evangelism, and missionary work.

      • 공간 마케팅을 적용한 학생식당 디자인 제안 : 몽골대학교 학생식당을 중심으로

        오양가 한성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55

        대학 캠퍼스는 학생 뿐만 아니라 교수와 직원을 위한 생활과 업무공간으로 낙후된 교육 환경은 시간이 지날수록 몽골에 있는 대학 수가 감소되고 있는 현상을 야기시켰다. 여러 이유 중에서 몽골 대학교의 편의시설 부족이 가장 큰 이유로 나타났다. 몽골 학생들은 교육시설이 잘 되어 있는 외국대학교를 선택해 유학을 떠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몽골 대학교는 경쟁력 강화를 위해 캠퍼스 편의시설을 개선하여야 한다. 학생들이 식사를 하며 편한 시간을 보낼 수 있고, 여러 활동을 한 곳에 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학생식당을 선정하였다. 조사에 따르면 몽골대학교에서는 편의시설이 부족하여, 학생식당은 학생들이 가장 많은 여유 시간을 보내는 공간이다. 학생식당에서 음식을 개선하고 비용을 줄이는 데 집중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학생식당의 현황과 만족도를 파악한 후 다양한 공간 마케팅을 적용해 학생식당에서 경쟁력을 갖출 필요가 있다. 대학 시설을 효과적으로 마케팅하기 위해서는 공간 마케팅 이론에 대한 철저한 이해가 필요하다. 특히, 이러한 시설의 고유한 공간적 특성을 고려하고 주요 사용자가 학생이라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요소들을 고려함으로써, 우리는 우리의 의도된 청중들에게 어필하고 우리의 대학 공간의 독특한 특징과 이점을 강조하는 표적 마케팅 전략을 만들 수 있다.

      • Web을 이용한 大學圖書館 情報서비스 模型에 關한 硏究

        박경호 漢城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8655

        This study is a model of the web-based Academic Library Information Service Systems. The recent development in the information technology has been rapid, which caused changes in the purposes and roles of the academic libraries. This plan aims to provide and effective information services by the Academic Library. For this plan, I analyzed the previous researches and concepts on the Academic Library Information Service Systems. In order to understand the information services in various academic libraries, I also visited and researched each website to see what kind of services are rendered by each of the universities throughout the world. This study is and attempt to build a model for a realistic and effective web-based information services.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improvements due to the advance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easier access to the electic resources. Most of the academic libraries are thus changing from the traditional aspects of the resource conservation to the information access into the electric library. The web-based Academic Library Information Services are also changing from the simple reference service to you need some specific examples. This fast paces info-technological development requires the academic libraries to acquire more computers and match the demands of the users. Constructing systematic website that meets the demands and maintaining is more than necessary. The following is what the academic library info system should include in its web-based information service. 1. General Information : mission & history, reserves, electronic reserves, hours of operation, announcements 2. Library Services: hold & return service, interlibrary loan, Full-text information, reserve collection, book store 3. Catalog: search engine, such as, on-line database search, keyword search, etc. 4. On-line Database: international database 5. E-Journal: international science journals and international regular journals 6. Directory: staff introductions, phone numbers, and e-mail addresses sorted by the departments 7. Reference Information: Q&A, FAQ, BBS, SDI 8. Personal Information: renewal & library record view, hold request & view, interlibrary loan request & view, Full-text request & view,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As I have briefly mentioned above, the following information service model will fulfill the roles of the academic library more effectively. 1. Providing the support for the research and lecture for the professors: university library website should provide information on source and access to the resources for professors researches and lectures 2. Creating learning atmosphere for information literacy: web-based info-media should satisfy the demands of the graduate students by providing dissertation related materials, job openings, and study abroad programs, etc. 3. Development and conserving the information resource: thematic on-line database, e-journals, e-books, original database, CD-ROM, references, etc. should satisfy the users. The resource should be professional in depth and delivered effectively. 4. Providing user education program: user-friendly program will enable the user to access the information without the help of the librarians, thus benefiting the individuals information research skill and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saving time and effort. 5. Sharing information: networking with other university libraries and other information providers will enable a college library to provide a variety of information. To best utilize the information resour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o-operation program. This will not only satisfy the demands, but also improvement in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6. Supplying copyright related information: increased usage of electric resources and information makes it necessary that the users should be supplied with the importance of the copyright. Academic Library Web pages's purpose is and easy access to the information resources for the students and faculties, and non-Academin users as well. However, the information service should take an active initiation to satisfy the demands. To achieve this goal, the academic library should understand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users and match the service, and develop and accumulate reserve quality information resources.

      • 태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조사 '이/가', '은/는'의 교육 방안 연구

        Ajala, Techapichayapakdee 한성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태국인을 대상으로 한국어 조사 ‘이/가’와 ‘은/는’에 대한 효율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태국어와 한국어의 조사는 체계와 기능이 다르기 때문에 태국인이 한국어의 조사를 학습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특히 한국어 조사 중에서 ‘이/가’와 ‘은/는’은 문맥에 따라서 의미와 기능이 다르기 때문에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 문맥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따라서 태국인 학습자에게 한국어 조사 ‘이/가’와 ‘은/는’을 효율적으로 가르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2장에서는 한국어 조사 중에서 ‘이/가’와 ‘은/는’의 다양한 의미와 기능을 고찰한 후에 태국인 학습자가 두 조사를 이해할 수 있도록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은/는’은 ‘주제, 대조, 구정보, 총칭성’등의 의미와 기능을 가진다. ‘이/가’는 ‘주어, 지정, 특정성, 강조, 배타, 신정보’등의 의미와 기능을 가진다. 3장에서는 태국의 대학교에서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 4종 총 21권을 검토하여 교재의 단원 구성에서 조사 ‘이/가’와 ‘은/는’이 제시된 방식과 내용 기술 방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단원 구성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태국의 대학교에서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는 모두 통합 교재로 ‘이/가’와 ‘은/는’을 독립적인 단원으로 구성하지 않고 특정 단원에서 학습해야 할 학습 요소의 일부로 구성되어 있었다. 따라서 ‘이/가’와 ‘은/는’의 구체적인 설명이 없이 단순하게 조사의 정보만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단원 구성은 조사가 없는 태국 학습자의 특징을 고려하지 않은 것으로 상황이나 맥락에 따라 조사 '이/가‘와 ’은/는‘을 사용하는 것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조사 ‘이/가’와 ‘은/는’만을 가르치는 구체적이고 독립된 교육 내용을 단계적으로 구성해야 한다. 내용 기술의 측면에서는 모든 교재에서 ‘이/가’와 ‘은/는’의 설명 방식은 유사하였다. ‘이/가’는 주어, ‘은/는’은 주제를 나타낸다는 아주 단순한 진술로 이러한 내용 기술 방식은 조사에 익숙하지 않은 태국인 학습자들이 ‘이/가’와 ‘은/는’의 의미와 기능을 충분히 이해하고 사용하게 하는 데 무리가 있다. 따라서 다양한 상황과 맥락에서 적절한 사용이 가능할 수 있게 내용 기술을 세분화하고 구체화해야 한다. 4장에서는 라차팟치앙마이대학교에서 한국어를 공부하는 60명의 태국인 학습자(초·중·고급 각 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초, 중, 고급 학습자들이 잘 이해할 수 있는 ‘이/가’와 ‘은/는’의 의미와 기능은 음운환경, 보격조사, 이중주어문이다. 둘째, 고급 학습자들보다 초, 중급 학습자들이 잘 이해할 수 있는 ‘이/가’와 ‘은/는’의 의미와 기능은 주제 및 총칭성이다. 셋째, 대부분 학습자들이 이해하지 못한 ‘이/가’와 ‘은/는’의 의미와 기능은 지정, 대조, 신정보-구정보, 내포문-내포절이다. 5장에서는 3, 4장의 논의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이/가’와 ‘은/는’의 학습을 위한 단계별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초급 단계에서는 학습자들이 조사 ‘이/가’와 ‘은/는’을 음운환경에 따라 구별하여 쓸 수 있고, 주제의 ‘은/는’과 보격조사의 ‘이/가’를 구별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중급 단계에서는 학습자들이 지정의 ‘이/가’와 ‘총칭성, 대조’의 의미와 기능을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게 교육한다. 끝으로 고급 단계에서는 좀 더 복잡한 문장에서 ‘이/가’와 ‘은/는’을 이해하고 궁극적으로 다양한 의사소통 상황에서 맥락과 의도에 맞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데 초점을 둔다.

      • 招高速情報通信基盤의 조기 확산을 위한 遠隔敎育

        안수영 한성대학교 1995 국내석사

        RANK : 248639

        As the cold war representing the period of ideological conflict ends, the world enter a new era of unlimited competition with a weapon as economy. Complexity, variety and individualism represent the era of unlimited competition. In the era, the world is absorbed in preparing for the coming 2,000. Because he can't secure and consolidate their positions in the world community only with economy. The coming 2,000's is generally expressed as "Information Age" and "Global Age". It means that informationization and globalization will be important as much in the 2,000's society. Informationization is to be owner of information, adapting themselves well to production and extiction of information which have break-neck change and no periodicity. And globalization means to advance toward the world with productive activities in the era of a global village, acquir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Right now, the world is concentrating their efforts on building up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s as a part of efforts to prepare informationization and globlization. Accordingly, he set spurs to constructing information-highway. As a highway is called as an artery of a country, information-highway will contribute greatly to the whole nation including industry, economy, culture, education, etc. as the nerve system. After El Gore, the U.S. vice-president, announced his conception of "Information Superhighway", developed countries are competing in establish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 base of 21C to take the leadership in the century. Constructing superhigh-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will be a cornerstone not only of social advance but also of national development as a foundation of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For an example, an image conference using the superhigh-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can make us respond to the fast changing international situation between even Seoul and New York let alone Seoul and Busan without complex heavy traffic. And the infrastructure will pursue continuous national development, seeking new markets, creating jobs and sharpening competitiveness of industry. For the national development, to cultivate talented manpower commensurate with 21C should be prioritized. However, it is hardly expected under our current uniformly cram-oriented education system to nurture highly skilled manpower for 21C with creativeness. Our government makes the most of constructing the infrastructure which the government concentrates on to match with the trend of globalization in the world. The government also plans to establish "Open education society" and "Continuing education society" and implements it tentatively. It is Distance Education, a new educational form of 21C "Information Age". Since long ago, utilization of the Distance Education system has had little effect in its facilities, curriculum, methods, etc. However, the desirable Distance Education system will be a new form unlike that of the present time. It will make face-to-face education possible. And even urban students and secluded students can take a lesson from the same teacher, at the same time, and exchange opinions each other through it. To be sure, for the desirable system, superhigh-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should be established first. Whether Korea leaps into the advanced group or retrogresses in 21C depends on how well to construct superhigh-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nd to utilize it. Eventhough it has a lot of applicable fields, to cultivate man of ability is the most important above all. Because the more human resources is used, the more it advances and gives out light. While material resources decreases as it is consumed. Accordingly, development of highly skilled technical human resources cannot be emphasized too much.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research Distance Education, a new educational form, basing on the emerging superhigh-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s driving force of national development.

      • 대학도서관 멀티미디어실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 분석 : 서울동북부사립대학교도서관을 중심으로

        박세미 漢城大學校 大學院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대학도서관 멀티미디어실과 관련된 기존 연구의 경우, 대학도서관 멀티미디어실에 관한 각종 요구충족 및 서비스 개선을 위한 연구가 다수 있었으나, 연구 범위와 데이터 분석방법이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주요 미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도서관 멀티미디어실 전공계열 및 이용행태에 입각한 만족도 차이를 식별하지 않았다. ‘둘째, 전체만족도에 영향을 끼치는 도서관 제반 요인의 영역(자료, 자료검색, 장비 및 시설, 서비스 담당자)만족도간의 차이를 식별하지 못하였다. 셋째, 개선방안 도출과 관련하여 ‘이용자’ 집단만을 조사대상으로 하였으며, ‘서비스 담당자’들의 의견을 조사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는 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 멀티미디어실 현황과 이용자 만족도 조사를 통해 현재의 대학도서관 멀티미디어실의 상황을 진단 후, 첫째, 대학도서관 멀티미디어실 이용자 전공계열이 이용행태에 끼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둘째, 멀티미디어실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끼치는 영역만족도 요인들과 전체만족도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셋째, 이용자 및 서비스 담당자가 제시하는 대학도서관 멀티미디어실의 개선점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연구 과정에는 문헌조사 및 현장조사와 이용자 대상의 설문조사, 서비스 담당자 대상의 면접조사를 병행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한 제언 사항은 다음과 관련되는데, 첫째, 장비 및 시설의 확충 필요성, 둘째, 자료의 확충 필요성, 셋째, 이용자 교육의 확대 필요성 등이다. While a number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efforts to meet the requirements for multimedia rooms in academic libraries and improve their service, they have limitations both in the research scope and in the data analysis methods. The principal limitations of th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they didn't investigate the variation in user satisfaction with multimedia rooms in university libraries by users' major areas and utilization behaviors. Second, they didn't investigate the variation in user satisfaction with diverse library areas―for example, resources, search screens, equipment and facilities, service providers―which could affect user satisfaction in general. Third, consideration was only given to the user group, with no consideration of service providers' opinions, in presenting an improvement scheme. Accordingly,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urrent conditions of multimedia rooms in university libraries through a survey on their status and user satisfaction and then, first, to examine how users' major fields and utilization behaviors affect user satisfaction for the multimedia rooms in university libraries; secon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area satisfaction factors affecting multimedia room user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in general; and third, to discover what to improve at multimedia rooms in university libraries, as indicated by users and service providers. This study involved literature review, field research, a survey in users, and interviews with service provider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e suggestions relate to the improvements of the followings: equipments and facilities, resources, and user education.

      • IPA를 활용한 국·공립대학교 기록관리 담당자의 직무분석에 관한 연구 

        이은정 한성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국공립대학교 기록관리 담당자의 직무를 명확히 밝히고 IPA를 활용하여 직무를 분석한 후, 영역별로 각 업무를 살펴보았다. 더 나아가 직종별, 경력별로 업무에 대한 인지의 차이와 특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효율적인 업무 수행과 역량 강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국공립대학교 기록관리 담당자의 직무를 분석하였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통계분석과 IPA Matrix 분석을 실시하였다. IPA를 활용한 국공립대학교 기록관리 담당자의 직무분석에 대한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2016 대학 기록관리 매뉴얼」, 「2017년 대학기록물 관리 지침」 과 ‘2017년도 기록관리 평가결과’ 중 A등급을 받은 대학에 소속된 4명의 기록연구사들의 검토 및 면담을 통해 국·공립대학교 기록관리 담당자의 업무 내용을 6개의 기능, 18개의 업무, 34개의 세부업무요소를 최종으로 도출하였다. 둘째, 업무 중요도-수행도에 대해서 분석한 결과, 18개의 업무와 34개의 업무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여 평균값을 비교해본 결과, 전체적으로 업무 중요도에 비해 수행도가 뒷받침 되지 않음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평균값 대응차가 크게 나타난 ‘기록관리시스템 설치 및 운영’, ‘기록관리시스템 관련 장비구축’, ‘전자기록생산시스템 기록물 인수 및 보존관리’ 는 다른 업무들보다 더 개선이 필요한 업무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IPA Matrix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제 2사분면에는 ‘전자기록생산시스템 기록물 인수 및 보존관리’, ‘대학역사기록물 수집 및 수집결과보고’, ‘중요기록물의 보존매체 수록 및 전자화’, ‘기록관리시스템 관련 장비 구축’, ‘기록관리시스템의 설치 및 운영’ 으로 총 5개의 업무가 위치하고 있었다. 이에 대하여 국공립대학교 기록관리 담당자들은 대부분의 국공립대학교들은 예산확보의 어려움과 인력 부족으로 기록관리시스템이 미도입 된 상태이고, 전자기록생산시스템 사용이 어려웠으며, 다른 업무에 더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중요도에 비해 수행도가 뒷받침 되고 있지 않았다. 대학기록물과 관련된 업무는 행정기록 중심이므로 행정 업무를 우선적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대학역사기록물을 수집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응답하였다. 대학에서 수집 및 보존하고 있는 중요기록물들은 형태가 일정하지 않아 업무 수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라고 응답하였다. 넷째, 제 4사분면에는 ‘기록관리업무 관리자, 담당자 교육 실시 및 이수’, ‘인수기록물 계획 수립 및 통보’, ‘처리과의 생산현황 결과 취합 후 관할 영구기록물관리기관에 통보’, ‘기록물 정수점검 및 상태검사’, ‘서고 보존 기록물의 점검’, ‘재난대비계획 및 보안대책 수립·시행’, ‘기록관 내 재난대비 비상용품 구비’, ‘보존 기록물의 열람 및 대출 관리’ 로 총 8개의 업무가 위치하고 있었다. 이에 대하여 인터뷰한 결과 국가기록원 기관평가 시에도 정량지표로 매년 반영되는 업무이기 때문에 수치와 통계적인 점수로 평가를 하다 보니 다른 업무들 보다 우선적으로 처리할 수 밖에 없으며, 중요도가 더 높은 업무가 있다고 하더라도 평가를 위해 형식적으로라도 업무를 수행하여야 하는 고충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다섯째, 직종별로 두 집단을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한 결과, 행정직이 기록연구직보다 중요도에 비해 수행도가 뒷받침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IPA Matrix 분석을 실시한 결과, 공통 영역에 위치한 업무는 12개였으며, 차이를 보인 업무는 24개로 조사되었다. 세부업무단위별 IPA Matrix 와 비교한 결과, 기록연구직 집단은 3개, 행정직 집단은 24개의 업무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전문적인 자격증을 갖춘 기록연구사가 아닌 행정직이 기록관리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기록연구사 배치가 증가한 국립대와 달리 공립대에는 배치되어 있지 않아 국공립 대학 간 편차가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여섯째, 경력별로 세 집단을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른 집단에 비해 3년미만 집단이 중요도는 높으나 수행도가 뒷받침 되고 있지 않았으며, 6년이상 집단이 중요도에 비해 수행도가 과잉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업무가 가장 많았다. 또한, 전체적으로 모든 집단이 중요도는 높았으나 수행도는 뒷받침되고 있지 않았으며 경력별로 수행도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아 경력이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IPA Matrix 분석을 실시한 결과, 공통 영역에 위치한 업무는 16개였으며, 차이를 보인 업무는 16개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제시한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기록관에 기록관리시스템 및 전자기록생산시스템이 구축 및 설치하여 업무 수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필요한 예산 확보에 주력해야 한다. 둘째, 여러 경로를 통해 대학역사기록물 수집에 집중해야 하며, 행정기록에만 초점을 맞추지 말고 대학역사기록물에도 초점을 맞추어 균형 있는 운영방향성이 제시되어야 한다. 셋째, 중요기록물에 대한 보존매체 수록 및 전자화 대상 기록물을 선별하여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계획을 수립하여 운영해야 한다. 넷째, 국가기록원에서 매년 실시하는 기관평가를 현실성에 맞게 보완 및 수정하여 기록관리 담당자들이 정량적인 수치와 통계에 얽매여 형식적으로 업무를 과잉수행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공립대의 경우 전문적인 자격을 갖춘 기록연구사가 배치되지 않았으므로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공립대뿐만 아니라 국공립 대학교 전체 기록연구사 배치 의무화를 실시해야 하며, 공립대학교 또한 기록관리의 중요성과 기록연구사의 필요성을 인식해야 한다. 여섯째, 경력별로 개선을 달리해야 하며, 특히 3년미만 집단은 중요도에 따른 수행도를 높이기 위해 집중해야 할 업무들을 파악하고 개선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며, 6년이상 집단은 과잉수행을 줄이고 다른 필요한 영역에 더 투자하여야 한다. This study clarified the duties of records management personnel of the national and public universities, analyzed the duties using the IPA, and examined each task by area.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and characteristics of work perception by occupation and care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basic data for efficient work performance and capacity building.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the work of the record manager in charge of national and public universities and conducted a survey. Based on the survey results, statistical analysis and IPA matrix ana 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duties of records management personnel of the national and public universities using IPA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Act on the Management of Public Records,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Act on the Management of Public Records, the 2016 University Records Management Manual, the 2017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University Records, and the Results of the 2017 Records Management Evaluation, through reviewing and interviewing four record researchers belonging to A‐rated universities, the final work specifications of records management personnel of the national and public universities yielded six functions, 18 tasks, and 34 subtasks. Second, in the result of analysis on work importance‐performan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18 tasks and 34 tasks, and from the results of performing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comparing the mean values, overall,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formance was not supported by the importance of the work. In particular, works such as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the records management system, the construction of equipment related to the records management system, and the acquisition and preservation of records of the electronic records production system, whic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 value, were found to require more improvement than others. Third, from the results of the IPA Matrix analysis, in the second quadrant, there were a total of five works, such as ‘acquisition and preservation management of electronic records production system records’, ‘university history record collection and report on collection results’, ‘recording and electronic recording of important records’, 'building of records management system‐related equipment' and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records management system'. In response to this, records management personnel of the national and public universities had most of the national and public universities unintroduced due to difficulties in budgeting and lack of manpower, and had difficulties in using the electronic record production system. As there was more focus on other tasks, it did not support performance compared to importance. Since the work related to university records is administrative record‐oriented, they answered that it was difficult to collect university history records in reality. They answered that as the important records collected and preserved at the university were not uniform in shape, they had difficulty in performing their work. Fourth, in the fourth quadrant, there were a total of 8 works such as ‘training and completion of records management managers, personnel in charge’, 'planning and notifying acquisition records', 'notifying the relevant permanent records management institution after collecting the production status of the processing department', ‘water purification check and state inspection’, ‘checking archive archives’, 'disaster preparedness plan and security measures establishment‐enforcement', ‘emergency supplies prepared for disaster in the archives', and viewing archives and managing rentals. In the results of interviews regarding this, in the evaluation of the National Archives Institute, as it is a task that is reflected annually as quantitative indicators, they had to be coped with prior to other tasks, and even though there were more important tasks, they responded that there was a grievance that they had to carry out their work for formal evaluation. Fifth,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two groups separately by occupation, it was found that administrative jobs were not supported by performance compared to records research jobs. From the results of the IPA Matrix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12 tasks in common areas, and 24 tasks which showed the difference. In comparison with the IPA Matrix by sub‐unit of task, there were three tasks in the records research group and 24 tasks in the administrative group, showing the difference. It demonstrates that administrative personnel, not record certified specialists, perform the records management tasks, and unlike national universities, where record researcher deployments increased, they were not assigned to public universities, so the gap between national and public universities was increasing. Sixth,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three groups by career, the group with less than three years were more important than others, but their performance was not supported compared to other groups, and the group with more than six years had the most overworked tasks in the performance compared to the importance. In addition, all groups were of high importance, but performance was not supported. As performance is performed by career, it is found that career affects performance. In the results of the IPA Matrix analysis, 16 tasks were found to be in common areas and 16 tasks were found to show differe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improvements suggested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focus on securing the necessary budget so that the records management system and the electronic records production system can be built and installed in the university archives in order for the work to be performed smoothly. Second, there should be a focus on collecting university history records through various channels, and a balanced operational direction should be presented, focusing not on administrative records but on university history records. Third, a plan should be established and operated so that the archives of important records and the records subject to electronicization can be selected and processed sequentially. Fourth, the institutional evaluation conducted by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should be supplemented and revised in accordance with the reality to prevent the record managers from overly performing their work in a manner that is tied to quantitative figures and statistics. Fifth, in the case of public universities, no professionally qualified record researcher was assigned, so the entire record researcher should be obliged to deploy not only public universities but also national and public universities based on the 「Act on the Management of Public Records」, and public universities should als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record management and the need for record researchers. Sixth, the improvement should be different for each career, and in particular, the group less than 3 years should try to identify and improve the tasks that need to be concentrated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importance. The group with more than six years should reduce overperformance and invest more in other necessary areas. 【Kewords】 IPA, national and public universities records manager, national and public universities records management, national and public universities, job analysis

      • 우리나라 학점은행제 교육기관의 디자인교육 방향 : 대학부설 학점은행제 실무형 디자인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박보석 한성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639

        고등교육이 보편화되고 지식산업 사회가 도래하면서 대학의 위상과 역할도 변화고 있다. 제도권대학교육이 지식기반을 중심으로 한 학위 독점과 학문연구중심의 체제를 버리고, 교육대상을 학령기 학생부터 고등교육기회를 잃은 성인학습자까지로 확대하여 누구나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된다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런 이유로 선진국들의 교육트렌드는 학령기 때의 정규교육과 평생교육기관 중심의 직업교육으로 양분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도 직업과 취업이 사회적 이슈가 되면서 일부 대학을 제외한 대부분의 제도권대학들이 사회적 요구에 따라 취업률향상을 목표로 한 취업중심 교육을 보편화하는 추세다. 하지만 급변하는 교육시장에서 향후 고등교육의 방향이 어디로 진화해 갈지 예측하기 힘든 상황에서 대학부설 학점은행제 기관들이 교육적정체성을 확립하지 못한다면 제도권대학들의 아류기관으로 전락하거나 학위취득을 위한 우회경로의 기관으로 평가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대학부설 학점은행제가 교육기관으로서 제도권대학과 차별화된 아이덴티티를 구축하고, 디자인교육에 있어 실무교육을 통한 디자인교육의 방향제시 및 역할확립에 그 목적을 둔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부설 학점은행제 교육기관에서 중요한 교육요소중 하나가 실무교육이라는 것을 입증하기 위해 학생들의 입학목적과 진로목표를 파악한 후 학습자들의 목적에 맞는 실무교육요소를 적용하여 학습만족도와 취업효과를 분석해 보았다. 이러한 교육과정을 통해 학습자들이 일정수준의 직무능력에 도달함으로써 학교교육과 산업현장 간 직무불일치 문제를 해소하고 제도권대학과 차별된 대학부설 학점은행제 기관만의 디자인교육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했다. 이제까지 학점은행제 기관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실증연구는 심도 있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대상 교육기관은 지난 10여 년간 실무교육을 바탕으로 디자인전공 관련 학위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며, 대학부설 기관 중 가장 많은 디자인전공을 교육하고 있는 한성대학교 디자인아트 평생교육기관(이하 한디원)으로 선정하였다. 한디원 신입생 504명을 대상으로 입학목적과 진로목표를 조사하였고, 실무 강사중심 전문가 그룹과 현장직무중심 전문가그룹으로 구성하여 Focus Group Interview(FGI)를 실시했다. 또한 실무교육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졸업생들의 정공정합성을 파악해 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부설 학점은행제 교육기관에 입학하는 목적은 학위취득과 취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디원을 선택한 이유로는 응답자의 74.4%가 실무교육과 높은 취업률이라고 답했으며, 졸업 후의 진로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60.3%가 취업을 선택했고 30.8%만이 대학원 및 연구직을 희망했다. 따라서 한디원 입학생의 입학목적은 실무교육과 높은 취업률 이였으며, 진로목표로는 졸업 후 취업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한디원 신입생들의 입학목적과 진로목표가 취업인 것으로 나타난 상황에서 실무교육 요소를 적극적으로 학습자들에게 적용한 결과 학습만족도와 취업률이 상당히 상승하는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한디원은 차별화된 대학부설 학점은행제 기관으로서 자리매김해 나가고 있다. 셋째, 실무 강사진을 대상으로 한 FGI에서 학습자들과 강사 간 친밀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파악됐고, 이런 이유로 실무현장의 트렌드가 자연스럽게 학습자들에게 교육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실무교육을 받은 졸업생 중 86.1%가 실제로 디자인계열에 종사하고 있었으며, 실무교육요소를 적용한 학습자들의 취업성과는 매우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다섯째, 산업체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FGI에서는 실무교육을 받은 졸업생(학습자)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담당자들은 재교육 없이 학생들을 바로 실전에 투입할 수 있다는데 큰 의미를 두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대학부설 학점은행제 기관의 실무교육운영이 학생들의 입학목적에 맞고 졸업 후 진로경로 설정에 맞으며 기업의 요구에도 부합하는 방향으로 향상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대학부설 학점은행제 기관은 실무교육요소를 학습과정에 충분히 적용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디자인교육에 있어 학점은행제에 맞는 교육방법론으로 실무교육이 유효함을 입증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론에서는 연구요약, 연구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을 논의하였고,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