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중 사군자 문화의 미적비교 연구

        JIANG YIYI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4 국내박사

        RANK : 250687

        본 논문은 주로 한·중 양국의 사군자(매·란·국·죽) 심미문화와 회화작품을 비교·분석하였다. 특히 사군자는 한·중 양국 문화예술사에서 높은 지위와 연구 기반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사군자의 심미문화 역사에서부터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에 4장(한국 특유의 매·란·국·죽에 해당하는 봄·여름·가을·겨울 순으로)에서는 한·중 양국의 매·란·국·죽 각각의 심미문화 발전 역사와 그 역대 회화 작품을 순서대로 정리하였다. 사군자 역시 동아시아 각국의 정신세계에 깊은 뿌리를 박고 있다. 동아시아 각국의 관점에 있어서 약간의 이견이 있더라도, 사군자에 대한 이해는 모두 일관되어 전해왔다. 즉, 매·란·국·죽은 예부터 문인들의 깊은 사랑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오늘날에도 동아시아 각 민족이 보편적으로 인정하는 문화의 상징이 된 것이다. 또한, 이는 바로 동아시아 각국의 수천 년 전통문화의 미적 의식과 정취를 드러내는 힘과 함축적이면서도 자강불식(自強不息)의 민족정신을 드러내는 것이다. 작금의 글로벌 문화시대는 세계 각국의 문화 교류와 홍보 활동이 점점 빈번해지고 있다. 이에 다양한 문화가 서로 마찰하고 충돌하며 사회 환경과 생산 및 생존 상태가 급변하면서 문화는 서로 영향을 미치고 융합하는 것이 대체적인 흐름이라고 할 수 있다. 사군자 문화도 서로 교류하면서 끊임없이 발전하고 갱신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사람들의 심미적 취향과 심미적 의식도 필연적으로 변화하게 될 것이다. 이는 자국의 전통문화에 새로운 활력을 더하고 자국의 문화발전과 지속을 촉진할 것이다. 한편, 이미 서양문화는 동아시아 각국의 각 분야에 침투하여 동양의 전통문화에 큰 충격을 주고 있다. 아울러 사람들은 전통예술정신과 문화적 함의에 대한 해석마저 잃어가고 있다. 그러나 이럴 때일수록 동아시아의 문화적 맥락이 비슷한 각국이 동아시아 문화공영권(文化共營權)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동양 문화권에 있는 한·중 양국은 동일한 문화적 저력을 가지고 있으며, 밀접한 지역적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문화권의 설립이 용이할 것이다. 이는 양국의 경제, 정치적 협력을 진행하는데 있어서도 더욱 조화로운 환경과 분위기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양국의 민간 문화교류와 이해를 촉진하고, 문화와 사상의 소통을 통해 가치지향의 수렴을 형성할 것이다. 양국의 이견과 마찰을 줄임으로써 양국 백성의 친선과 양국 경제문화의 발전을 이롭게 할 것이다. 이는 동양문화가 세계문화시대에서 서양문화에 동화되는 흐름을 막고, 동양문화를 보존하면서 자국만의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한·중 양국의 경제·정치적 교류는 물론 아시아·태평양 지역을 넘어 세계의 평화·안정·발전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사군자는 동양전통문화의 독특한 문화기호로서 동아시아인이 보편적으로 공감하는 도덕수양, 인격요구, 미적정취 등 일련의 정신적 요구를 담고 있다. 예의충효를 비롯한 군자의 도리뿐만 아니라 정직함과 강인함, 고아함 등 고상한 정조와 완벽한 인격에 대한 사회 각 계층의 폭넓은 공감대를 담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군자는 동아시아 각국을 소통하는 가교 역할을 하고, 공통의 군자문화를 담아 한·중 양국에 평화의 길을 열어줄 수 있다고 본다. 그리고 사군자가 나타내는 문화 메시지는 철학, 윤리, 예술 등 여러 방면에서 동양문명의 인문학적 성과를 반영하고 있다. 또한, 그 속에 담긴 전통문화 이념과 미적 사상은 동아시아인의 우수한 민족정신이며, 한중 양국의 동양문화 정체성과 민족자긍심을 높이고, 동양문화가 세계문화의 숲에 우뚝 설 수 있는 견고한 초석을 마련하였다. 本篇論文主要對比研究韓中兩國的四君子審美文化及其繪畫作品。鑒於其在兩國文化藝術史上的地位和研究基礎,本文從四君子的審美文化曆史入手。本文分四章(順序按照韓國特有的以梅蘭菊竹對應的春夏秋冬來排列)縱向梳理韓中兩國梅蘭竹菊各自的審美文化發展曆史及其曆代繪畫作品。 四君子可以說是深深地紮根在東亞各國人的精神世界裏,地位大約稱得上是核心象征物,不論東亞各國人在觀點上出現怎樣的分歧,但大家對這一核心象征的理解卻是一致的——花中“四君子”=梅蘭竹菊。可以說四君子不僅在過去受到了文人雅士的厚愛,今天依然是東亞各民族普遍認同的文化象征,構成了東方文化中不可或缺的印象,而這正是彰顯出東亞各國幾千年傳統文化的審美意念、情趣形態的張力和含蓄又自強不息的民族精神。 自從世界文化時代開始,世界各國的文化交流與傳播活動越來越頻繁,不同文化的互相摩擦碰撞,社會環境、生產及生存狀態激變,文化相互影響與融合是大勢所趨。四君子文化也在相互交流的過程中不斷地發展更新,人們的審美情趣與審美意識也必然會因此而產生變化,這會爲本國的傳統文化增添新的活力,促進本國文化發展和延續。 另一方面,西方強勢文化越來越多地滲透於東亞各國的經濟、政治和生活等領域,傳統東洋文化已然受到巨震,今人漸漸失去了對傳統藝術精神與文化內涵的解讀。這時東亞文化語境相似的各國建立東亞文化共榮圈就非常有必要了。同處於東方文化圈的韓中兩國有著相同的文化底蘊,對有著密切地緣關系的兩國來說建立東方文化圈會爲兩國進行經濟、政治合作提供更加和諧融洽的環境和氛圍,從而促進兩國人民之間的文化交流與理解,通過文化的交流、思想的溝通,形成價值取向的趨同,避免了兩國經濟、政治合作中的重重障礙,減少雙方的分歧和摩擦,從而利於兩國人民的友誼和兩國經濟文化的發展。這不僅可以使東方文化在世界文化時代抵禦被西方文化同化的洪流,保留東方文化的同時發展屬於本國的獨特文化;還可以作為韓中兩國在經濟、政治交流中的潤滑劑,也有利於亞太地區乃至世界的和平、穩定和發展。 四君子作爲東方傳統文化一種獨特的文化符號,承載了東亞人普遍認同的道德修養、人格要求、審美情趣等一系列精神需求。既包含知識階層倡導的禮義忠孝的君子之道,又有社會各階層對正直、堅韌、高雅等高尚情操與完美人格的廣泛共識,它是徘徊在整個東方人民心靈深處的、足以引起所有東亞人共鳴的圖騰。因此四君子能夠作爲溝通東亞各國的橋梁,承載著共同的君子文化,爲韓中兩國建立和平之路。而其所釋放出來的文化信息更是折射出東方文明在哲學、倫理、藝術等多方面的人文成果,其中包含的傳統文化理念和審美思想是東亞人民優秀的民族精神,提升韓中兩國的東方文化認同感和民族自豪感,爲東方文化立於世界文化之林打下堅固的基石。 This paper mainly compares and studies the aesthetic culture and painting works of the Four Gentlemen in South Korea and China. Given its position and research foundation in the cultural and artistic history of both countries, this article starts with the aesthetic cultural history of the Four Gentlemen. This article is divided into four chapters (arranged in order according to the unique Korean style of plum blossom, orchid, chrysanthemum, and bamboo corresponding to spring, summer, autumn, and winter) to vertically sort out the aesthetic and cultural development history of plum blossom, orchid, bamboo, and chrysanthemum in Korea and China, as well as their historical painting works. The Four Gentlemen can be said to be deeply rooted in the spiritual world of people in East Asia, and their status can be considered as the core symbol. Regardless of the differences in views among people in East Asia, everyone's understanding of this core symbol is consistent - the "Four Gentlemen" in the flower=plum, orchid, bamboo, and chrysanthemum. It can be said that the Four Gentlemen were not only favored by literati and scholars in the past, but they are still a cultural symbol widely recognized by various ethnic groups in East Asia today, forming an indispensable impression in Eastern culture. This precisely demonstrates the aesthetic ideas, emotional tension, and subtle yet self-improvement national spirit of thousands of years of traditional culture in East Asian countries. Since the beginning of the world cultural era, cultural exchange and dissemination activities among countries around the world have become increasingly frequent, with different cultures rubbing and colliding with each other. The social environment, production, and survival status have undergone drastic changes, and cultural mutual influence and integration are the trend. The culture of the Four Gentlemen is also constantly developing and updating in the process of mutual communication, and people's aesthetic taste and consciousness will inevitably change as a result. This will add new vitality to the traditional culture of our country, promote the development and continuation of our own culture. On the other hand, the dominant Western culture is increasingly permeating the economic, political, and life fields of East Asian countries, and traditional Eastern culture has been greatly shaken. Today, people have gradually lost their understanding of the spirit and cultural connotations of traditional art. It is necessary for countries with similar cultural contexts in East Asia to establish an East Asian cultural co prosperity circle. South Korea and China, both located in the Eastern cultural circle, share the same cultural heritage. For the two countries with close geopolitical relations, establishing the Eastern cultural circle will provide a more harmonious and harmonious environment and atmosphere for economic and political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reby promoting cultural exchange and understanding between the two peoples. Through cultural exchange and ideological communication, a convergence of values is formed, avoiding various obstacles in economic and political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Reducing differences and friction between the two sides is beneficial for the friendship between the two peoples and the development of their economies and cultures. This can not only help Eastern culture resist the assimilation of Western culture in the world cultural era, but also preserve Eastern culture while developing its own unique culture; It can also serve as a lubricant for economic and political exchange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and is conducive to peace, stability, and development in the Asia Pacific region and even the world. As a unique cultural symbol of Eastern traditional culture, the Four Gentlemen carry a series of spiritual needs widely recognized by East Asians, including moral cultivation, personality requirements, and aesthetic taste. It embodies the noble principles of propriety, righteousness, loyalty, and filial piety advocated by the intellectual class, as well as the broad consensus among various social classes on noble sentiments and perfect personalities such as integrity, resilience, and elegance. It is a totem that lingers deep in the hearts of the entire East Asian people and resonates with all East Asians. Therefore, the Four Gentlemen can serve as a bridge to communicate with East Asian countries, carrying a common culture of gentlemen and establishing a path of peace for South Korea and China. The cultural information it releases reflects the humanistic achievements of Eastern civilization in philosophy, ethics, art, and other aspects. The traditional cultural concepts and aesthetic ideas contained in it are the excellent national spirit of the East Asian people, enhancing the sense of Eastern cultural identity and national pride of South Korea and China, and laying a solid foundation for Eastern culture to stand among the world's cultures.

      • 중국 H섬의 지역 문화 요소를 활용한 관광콘텐츠 디자인 연구

        초산산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50671

        Characteristics of regional culture expressed and conveyed the details of a local culture effectively integrating individual elements of the region. Regional culture refers to the national culture of a specific region, which was created and formed by the people of the region through long-term production and living customs, and has three major factors. The first is the geographical environment, natural conditions, and seasonal climate of the region. The second is the historical customs, the teachings and lifestyles of our ancestors. The third is the folk manners and rituals, local culture, climate and sentiments, and materials used locally. Each regional culture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an in-depth study and accurate summary of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al culture helps better grasp the development laws of the regional culture and modernize tourism construction. This thesis systematicall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implications of H Island's local culture by taking the cultural elements of H Island as a starting point for tourism planning and designing. It explored the convergence of local culture and tourism planning and design to realize design strategies and methods that complement each other. Major subjects such as factors affecting the local culture of H Island, awareness and design expression of local cultural elements, comparison of domestic and foreign tourism cultures, and application of H Island's local cultural elements to tourism planning and design were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are largely divided into five topics. First, it discussed the interaction and relationship between local culture and tourism through in-depth excavation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ultural elements of H Island. It understood the meaning and role of local culture. and effectivel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local culture by extension. Second, we explored the meaning of the local cultural elements of H Island and analyzed in-depth cultural elements such as the Leigiong World Geopark, Luobi Cave, the cultural climate of the Li and Miao tribes, the Maritime Silk Road, and Lady Xian. Third, it analyzed the design expression of the cultural elements of the H Island region and provided theoretical guidelines for the innovative design of the H Island region culture. Fourth, the specific comparison of domestic and foreign tourism culture is not only an extension of previous theoretical research but also a verification of theoretical results. Fifth, a study on tourism service design by cultural elements of H Island was conducted by extract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H Island and selecting the core of the design. H Island Tropical Rainforest National Park is located in the mountainous area of central H Island. It reached as far east as Diaoluoshan National Forest Park on H island, as far west as Jianfengling National Nature Reserve, as far south as Maogan Township in Baoting Li and Miao Autonomous County and as far north as Limushan Provincial Nature Reserve. Its total area is about 4,400 square kilometer, accounting for about 1/7 of the land area of H Island. The scope covers 9 cities and counties, including Wuzhishan, Qiongzhong, Baisha, Changjiang, Dongfang, Baoting, Lingshui, Ledong, Wanning. Tongguling scenic spot is located in Longlou Town, Wenchang City on H Island, 40 kilometers away from Wenchang City. Tongguling National Nature Reserve consists of Tongguling as the center, Qishuiwan, Yuelianwan, Shitou Park, Baoling River, Yunlongwan, Da’aowan and so on. Tongguling borders the inland in the west and the South China Sea in the east. Tongguling stretches away more than 20 kilometers and is the easternmost point of H Island. Its mountains are beautiful, its rocks are strange, and its legend is touching. It is known as “the first peak of Qiongdong”. The main peak of Tongguling is 338 meters above sea level, surrounded by the sea on three sides, with strange terrains and overgrown vegetation. There are historical remains such as temples, Buddhist monks’ hermitages, and Buddhist nuns’ hermitages and strange rocks such as taoist hermit’s temple and cave, wind-moving rock, silver snake rock, sea turtle rock in Tongguling’s sceninc area. I studied terrain, climate, vegetation, geology and culture around the scenic spot as the ecolog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formed by the natural environment are different. I performed the follow-up research and development by preserving the on-site environment via photography. The approaches such as referring to literature, field investigation, chart analysis, inductive comparison and practical analysis are adopted in this study. Taking the H Island Tropical Rainforest National Park as an example, applied research was conducted to integrate the local culture and characteristics of H Island into the design composition of the tourism services and clearly show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meaning. It promoted the construction of tourism and ecological use and restored the rainforest environment of H Island, increasing the green area and adding beautiful scenery to the construction of a free trade port, giving the island more significance. Taking the tourism plan for Tongguling as an example, tourism plans and design methods were described in the fields of Tongguling’s sculptures, architentural design, landscaping props, tourism products, tourism symbols, and tourism performances according to the natural enviroment, climate, and humanistic chracteristics of Tongguling. The Tongguling National Nature Reserve’s plan not only focused on sustaining the local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contexts, but also used modern design techniques and building materials scientifically to better handl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tection and development. Transforming product values contained in regional culture into economic value has practical significance through service design in tourism. With the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tourism has become one of the strongest development momentum and the largest scale in H Island. The industrial status and role of tourism in urban economic development are gradually increasing. Tourism plays an important role in stimulating urban economy, accelerating social employment, and promoting culture and environment is increasingly apparent. Rational development of cultural tourism projects not only promotes local economic development, but also guides the flow of external funds. Under the premise of protecting environments, not over-exploiting and using it, and ensuring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ourism resources, the policy support for cultural tourism industry will be expanded, and inexhaustible impetus for the development of the tourism industry market will be provided. This thesis discussed the design strategy and model of H Island's tourism services, provided plans and implications for H Island planning and design with combining various forms such as discovering cultural elements and expressing culture and arts. We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H Island tourism industry, and made H island a shining and splendid scenery in the forest of the global tourism industry, and go out of China to the world. 지역 문화의 특성은 한 지역 문화의 상세한 내용을 표현하여 전달한 것으로, 지역의 개별 요소를 효과적으로 통합한 것이다. 지역 문화란 특정 지역의 민족문화를 말하며 그 지역의 사람들이 장기간의 생산과 생활관습 속에서 창조하고 형성한 것으로, 크게 세 가지 요소가 있다. 첫째는 지역의 지리적 환경, 자연조건, 계절적 기후이고, 둘째는 역사적 풍속, 선조들의 가르침과 생활 방식이며, 셋째는 민속 예절과 의식, 지역 문화, 풍토와 정서, 현지에서 사용하는 재료이다. 각 지역 문화는 서로 다른 특성을 보이며 지역 문화의 주요 특성을 심층적으로 연구하고 정확하게 요약하면 지역 문화의 발전 법칙을 더 잘 파악하고 관광 건설을 현대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본 논문은 관광 계획과 디자인에 H섬의 문화요소를 활용하는 것을 출발점으로 하여 H섬의 지역 문화의 특성과 문화적 함의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지역 문화와 관광 계획과 디자인의 융합을 탐구하여 서로 보완하는 디자인 전략과 방법을 실현한다. H섬의 지역 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지역 문화 요소에 대한 인식과 디자인적 표현, 국내외 관광문화 비교, 관광계획 디자인에 H섬의 지역 문화 요소를 적용하는 등의 주요 문제를 분석했다. 연구내용은 크게 다섯 가지 주제로 나뉘는데 첫째, H섬의 문화요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심층적 발굴을 통해 지역 문화와 관광의 상호작용과 관계를 논의하고, 더 나아가 지역 문화의 의미와 역할을 이해하고 지역 문화의 특성과 함의를 효과적으로 분석했다. 둘째, H섬의 지역 문화 요소의 의미를 탐색하고 뇌경(雷瓊) 화산, 낙필(落筆) 동굴, 려족(黎族)과 묘족(苗族)의 풍토, 해상 실크로드, 승(冼)부인과 같은 문화요소를 심층 분석했다. 셋째, H섬 지역 문화 요소의 디자인적 표현을 분석하고 H섬 지역 문화의 혁신적인 디자인에 대한 이론적 지침을 제공했다. 넷째, 국내외 관광문화에 관한 구체적인 비교는 선행 이론 연구의 연장선일 뿐만 아니라 이론적 결과의 검증이기도 하다. 다섯째, H섬의 지역 특성을 추출하고 디자인의 핵심을 선정하여 H섬의 문화요소에 의한 관광서비스 디자인 연구를 수행했다. H섬 열대우림 국립공원은 H섬 중부 산악지대에 있으며, 동쪽으로 H섬의 적라산 국립삼림공원, 서쪽으로 첨봉령 중국자연보호구역, 남쪽으로 보정 려족묘족자치현의 모감향, 북쪽으로 려모산 성급 자연보호구역까지이며, 총면적이 4,400㎢ 정도로 H섬 육지 면적의 약 1/7을 차지한다. 범위는 오지산, 경중, 백사, 창강, 동방, 보정, 능수, 낙동, 만녕 등 9개의 시와 현을 포함한다. H섬 동고령 관광지구는 H섬 문창시 용루진에 위치하고 문창 시내에서 40㎞ 떨어져 있으며, 동고령을 중심으로 기수만, 월량만, 석두공원, 보릉하, 운룡만, 대오만 등이 동고령 중국자연보호구역을 구성하고 있다. 동고령은 서쪽으로 내륙, 동쪽으로는 남중국해와 접해 있으며, 이것은 약 20㎞에 걸쳐 뻗어 있으며 H섬의 동쪽 끝이다. 이곳의 산은 아름답고 바위는 기이하며 전설이 감동적이어서 ‘경동제일봉’으로 알려져 있다. 동고령 주봉은 해발 338m로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어 지형이 특이하고 식생이 무성하다. 동고령 명승지에는 신전, 승려들이 머무는 집, 비구니를 위한 암자 등의 고적과 신선전, 신선동, 풍동석, 은사석, 해구석과 같은 기암 이석이 있다. 자연환경에 의해 형성된 생태적, 문화적 특성이 다르므로 연구자는 명승지 주변의 지형, 기후, 식생, 지질, 문화적 특성을 조사하고 사진을 촬영하여 현장 환경을 보존해 후속 연구 개발을 수행했다. 여기에는 문헌 참조, 현장조사, 그래프 분석, 귀납적 대조, 실증분석과 같은 연구방법이 사용되었다. H섬 열대우림 국립공원을 예로 들어 응용 연구하여, H섬의 지역 문화와 특성을 관광서비스 디자인 구성에 통합하고 지역 특성과 문화적 의미를 분명하게 보였다. 관광 및 생태 이용 건설을 촉진하고 H섬의 열대우림 환경을 복원하여 녹지 면적을 늘리고 자유 무역항 건설에 아름다운 경관을 추가하여 섬에 더 많은 의미를 부여했다. H섬의 동고령(銅鼓嶺) 관광지 관광계획을 예로 들면 동고령의 자연환경, 기후, 인문적 특성 등에 따라 동고(銅鼓) 조각, 건축디자인, 조경 소품, 관광 상품, 관광 상징, 관광 공연 등의 분야에서 관광 계획과 디자인 방법을 자세히 설명했다. 동고령 풍경 지구 계획은 지역 문화 특성과 역사적 맥락을 지속하는 데 중점을 두었을 뿐 아니라 현대 디자인 기법과 건축 자재를 과학적으로 사용하여 보호와 개발 간의 관계를 더 잘 처리했다. 관광서비스 디자인을 통해 지역 문화에 담긴 제품 가치를 경제적 가치로 바꾸는 것은 실질적인 의미가 있다. 경제 및 사회발전과 함께 관광은 H섬에서 강력한 발전 동력과 규모가 큰 산업 중 하나가 되었다. 도시 경제 발전에서 관광산업의 지위와 역할은 점차 강해졌으며 도시 경제를 활성화하고 사회적 고용을 촉진하며 문화와 환경을 촉진하는 등 관광이 주도하는 역할이 점점 더 두드러지고 있다. 문화관광 프로젝트의 합리적인 개발은 지역 경제 발전을 촉진할 뿐 아니라 외부 자금 흐름을 안내하는 역할도 한다. 환경 보호, 과도한 개발 및 이용 자제, 관광 자원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보장한다는 전제하에 문화 관광산업에 대한 정책 지원을 확대하고 관광산업 시장의 발전을 위한 끊임없는 동력을 제공한다. 본 논문은 H섬의 관광서비스 디자인 전략과 모델을 논의하고 문화요소를 발굴, 문화예술 표현 등 다양한 형식을 결합하여 H섬 계획과 디자인에 관한 방안과 시사점을 제공하고 H섬 관광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하여 H섬을 세계 관광 산업의 숲에서 함께 빛나고 화려한 풍경이 되도록 하여 중국을 벗어나 세계로 나가게 할 것이다.

      • 한국과 중국 연변 조선족 민요의 문화사적 비교 연구

        양조흔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50671

        This dissertation stands on the ground of the regional view of artistic ecology, studies and analyses the values in the folk culture of South Korea and the Korean ethnic minorities living in Yanbian Autonomous Prefecture in China (hereby referred to as Yanbian Korean Chinese minorities). This dissertation makes a comparative study o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popular folk culture in the process of cultural development of the two places. By observ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folk culture development among South Korea and Yanbian Korean Chinese minorities, this research makes evaluation against the artistic tension and cultural significance caused by such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Koreans and Korean nationalities have been living in both China and South Korea for generations. Due to the social changes and historical events, it is bound to lead to unpredictable differences i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value of folk songs that are born and spread there. The changes brought about by the fact that both cultures derive from the same clan but thrive on different soil have a profound impact on the music, culture and social development of the two places, and have contributed wisdom and strength to the prosperity of Northeast Asian folk culture. This research is divided into five parts. The first part is the introduction. This part introduces the research purpose and direction of the research, and explains the preliminary research, research scope,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contents. It emphasizes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the research, and makes clear the research ideas, steps and key contents. The second part states the process of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folk songs of South Korea and Yanbian Korean Chinese minorities. Based on the time span recognized by the academic community, this part describes the stages of historical development of folk songs in the two places. The development of Korean folk songs can be divided into five stages: folk songs before the Three States Period, folk songs during the Three States Period, folk songs during the Goryeo Dynasty, folk songs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folk songs after modern tim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Korean folk songs of Yanbian Korean Chinese minorities can be divided into five stages, namely, the folk songs during the immigration period, the folk songs during the People's War of Liberation, the folk songs in the early days of the founding of new China, the folk songs during the Cultural Revolution and the folk songs after the reform and opening-up. The third part is the presentation and analysis of the cultural history of Korean folk songs of South Korea and Yanbian Korean Chinese minorities. This part mainly analyzes and compares the values in folk songs in the two places, and then points out that the appeal of Korean folk songs is to looking from the perspective of life, pursue equality, advocate freedom, and unite friendship, while the appeal of folk songs among Korean Chinese in Yanbian area is to seek development, strive for self-improvement, pursue harmony, and forge ahead in unity. Based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ultural ecology and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two places, this part make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ultural significance of the folk songs of the two places. The similarities of the values in folk songs between the two places is mainly reflected in three aspects: the existence of the subject, the consideration of human nature and the emotional connection. The reasons for the differences in the values in folk songs between the two places are mainly reflected in two aspects: first, the formation of the cultural significance of folk songs of South Korea and Yanbian Korean Chinese minorities is impacted by different value demands advocated by the philosophy of the two places. Second, the formation of the cultural significance of folk songs is impacted by the differences in the emotional identity of the two ethnic groups. The fourth part describes the re-development of the cultural identity on folk culture among South Korea and Yanbian Korean Chinese minorities. This part analyz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cultural identity of contemporary folk songs between the two places, as well as the synchronization of thes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e similarities of the cultural identity are mainly reflected in three aspects: the identification of folk identity, the value of freedom, and the identification of authenticity. The differences of cultural identity are mainly reflected in the differences of identity of "community" and criticism of reality. Through the synchronic analysis of such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is part considers tha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existing in the cultural identity of contemporary folk songs between the two places will inevitably exist in different natural and social environments, and will continue to exist. If there is "identity", there will be "identification" and "divergence". However, no matter what kind of "identification" and "divergence", it is the acknowledgement of "cultural value". Therefore, the identity of "cultural value" determin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folk culture, and such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constitute the basic attributes and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folk culture in the two places . The fifth part is the conclusion. This part emphasizes that on a general perspective, folk songs and cultures of the two places coexist and grow together. Different cultural identities grow on different soils and present different forms. What stays the same in the folk song of South Korea and Yanbian Korean Chinese minorities is that they faithfully send out the voice from the people and spread the cry from the earth. They sing human nature, express human feelings and embody human taste. The main body of the songs is "people", the perspective starts out from "people", and the core is "culture". Under the guidance of "cultural identity" between the two places, it will move towards the future. 본 논문은 예술생태의 지역적 시각에서 출발하여 한국과 중국 연변 조선족 민요 문화의 가치 체계를 연구 분석함에 그 목표를 둔다. 다시 말해서 이들 두 지역에서 유행하는 민요의 문화적 발전 과정과 이동(異同)을 비교 연구하고, 한국과 중국 연변 조선족의 민요문화 발전 이동(異同)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이러한 이동(異同)이 만들어내는 예술적 장력과 문화적 의의를 판단하고자 한다. 한국과 중국은 모두 한민족(韓民族)과 조선족이 대대로 거주한다. 사회변화와 역사적 만남에 따라 중국과 한국에서의 민요의 문화적 가치 추이는 예측할 수 없는 차이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동종(同宗)이며 서로 다른 발전상황을 가져온 유동적인 변화가 두 지역의 음악과 문화 내지 사회 발전에 심대한 영향을 미치며 동북아시아 민요문화의 번영에 기여하였다. 본 논문은 총 5장으로 나누었다. 제Ⅰ장 서론은 연구의 목적, 연구 방향, 선행연구, 연구 범위, 연구 방법, 연구 내용을 설명하고 연구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강조하며, 연구의 절차 및 중심 내용을 명확히 한다. 제Ⅱ장은 한국과 중국 연변 조선족 민요의 형성과 발전 과정이다. 이 장은 학술계에서 인정받는 기간의 단절을 근거로 두 지역의 민요가 발전한 역사적 과정을 단계적으로 기술하고 있다. 이 중 한국 민요의 발전 과정은 삼국시대 이전의 민요, 삼국시대의 민요, 고려시대의 민요, 조선시대의 민요, 근대 이후의 민요, 이처럼 다섯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중국 연변 조선족 민요의 발전 과정도 이민 시기의 민요, 해방 전쟁 시기의 민요, 신중국 창립 초기의 민요, 문화대혁명 시기의 민요, 개혁개방 이후의 민요, 이렇게 5단계로 나눌 수 있다. 제Ⅲ장은 한국과 중국 연변 조선족 민요의 문화사적 의미와 축적이다. 우선 주로 두 지역에 전해지는 민요의 가치 추이를 살펴보고 비교한다. 한국의 민요문화 의미는 생명 관조, 평등 추구, 자유 신봉, 우정 쌓임의 문화 정체성, 중국 연변 조선족 민요문화 의미는 발전 모색, 면력(勉力) 자강(自强), 화목 추구의 문화 정체성, 단결분진(團結奮進)의 문화 정체성을 포함한 것으로 제시한다. 다음으로 중국과 한국의 문화 생태와 역사 발전의 차이에 출발하여 두 지역 민요문화 의미와 역사에 대해 분석하여 주로 한국과 중국 연변 조선족 민요문화 정체성의 유사성과 차이성을 분석한다. 한국과 중국 연변 조선족 민요의 문화 정체성의 유사성은 주로 주체의 존재, 인성 관조, 감정연결 등 세 가지 측면에서 나타난다. 그의 차이가 발생한 원인은 주로 두 가지 면에서 나타난다. 첫째, 두 나라의 공식 철학이 내세우는 가치 소구의 차이가 두 지역의 민요 문화적 의미 형성에 다른 영향을 미쳤다. 둘째, 공간 구성의 정서적 공감대의 차이가 두 지역의 민요 문화적 의미 형성에 다른 영향을 미쳤다. 제Ⅳ장은 한국과 중국 연변 조선족 민요의 문화적 정체성 제고이다. 이 장은 한국과 중국 연변 조선족 민요의 문화적 정체성의 유사성과 차이성, 그리고 한국과 중국 연변 조선족 민요의 상호발전 방향을 제시 하도록 한다. 한국과 중국 연변 조선족 민요의 문화 정체성의 유사성은 주로 민간 신분, 자유 가치, 유진유실(唯真唯实)의 정체성 세 가지 면에서 나타난다. 한국과 중국 연변 조선족 민요의 당대 문화 정체성의 차이성은 주로 '공동체' 인지의 차이성과 현실 비판의 차이성 두 가지 면에서 나타난다. 이러한 유사성과 차별성의 동기성 분석에서 두 지역의 당대 민요문화가 존재한다는 유사성과 차이성은 자연과 사회 환경에 따라 존재할 수밖에 없고 또한 계속 존재할 것이라고 본다. 문화 정체성은 두 지역 민요의 유사성과 차이성을 결정하며, 유사성과 차이성은 두 지역 민요의 기본 속성과 본질적 특징을 이룬다. 제Ⅴ장은 결론이다. 이 장은 전반적으로 두 지역의 민요는 두 지역의 문화와 공생하면서 문화적 토양에 따라 문화 정체성이 달라지고, 문화적 형상이 달라지는 것을 강조한다. 두 지역의 민요가 변함없는 것은 충실한 민간의 시각으로 민중으로부터의 목소리를 내고, 대지에서 온 노랫소리를 전한다는 것이다. 인성을 노래하고 인간미를 표현하며, 주체는 '인(人)'에, 시각은 '민(民)'에, 핵심은 '문화'에, 그리고 두 지역의 '문화 정체성'에 의해 미래로 나아간다.

      • 사회문화교육에서의 서예교육 교안연구

        박성옥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고에서는 우리의 정체성을 찾고 아울러 날로 심각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다양한 문화예술교육의 프로그램 개발의 일환으로 서예교육의 방안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는 민족문화에 긍정적 변화를 이끌어 내고, 문화적 공감대를 만들기 위한 보다 발전적인 대안의 하나이다. 아울러 날로 새로워지는 사회교육현장에서 서예교육의 교안(敎案)을 제시하여 중구난방(衆口難防)의 기존 교육방법에 대하여 체계화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에 사회문화예술교육의 16주 수업을 원칙으로 아래의 방법으로 서예교육과정 교안을 작성하였다. 첫째, 한문서예와 한글서예로 나눈다. 둘째, 한문서예는 전서, 예서, 해서, 행·초서로 분류한다. 셋째, 한글서예는 판본체와 궁체, 그리고 흘림체로 분류한다. 넷째, 전 과정은 이론과 실기로 분류하여 작성한다. 다섯째, 많은 도판과 슬라이드를 활용하여 이해도를 높인다. 문자의 응용과 붓의 운용에서 자아를 실현시키고, 인성을 함양하며 이를 바탕으로 창의성을 발현시키는 것이 서예교육이다. 그러므로 서예교육이 급변하는 우리사회에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일환으로 활성화되어야 하며 그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서예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교육의 목적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은 매우 시급한 과제이다. 이에 아래 두 방향으로 서예교육 교안을 작성하여 보았다. 첫째, 이야기 형식으로 쉽게 다가섬이다 둘째, 서예의 미감을 선질(線質)의 변화로 보았다 결론적으로 본고에서는 흥미를 이끌 수 있는 서예교육의 스토리텔링이 우리의 전통문화인 서예를 발전시킬 수 있는 대안임을 알았다. 이러한 체험을 활용한 서예문화예술교육은 다양한 서예형식에 대한 이해와 감상을 향상시키고, 또한 인지교육과 감성교육의 조화로운 발전을 통해서 전인교육을 지향하는 교육목표를 이룰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고식된 기능중심의 도제교육을 탈피하여 다양한 영역의 과정을 체험 소통함으로써 발전된 문화예술과 윤택한 삶을 영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nsider a teaching plan for calligraphy education as a part of program development of new type of various cultural art education in order to seek after our identity and solve serious social problems. It is an alternative developmental idea to lead affirmative change of national culture and evoke bond of sympathy. This study arranges systemization of existing disordered teaching methods by bringing up a teaching plan for calligraphy in the social education field renewing day by day. A teaching plan for calligraphy education curriculum in the sociocultural art education field on a basis of 16 weeks. First, education is divided into Chinese Characters Calligraphy and Hangeul Calligraphy. Second, Chinese Characters Calligraphy is classified into seal character, ornamental seal character, printed style of writing and running-hand· cursive style. Third, Hangeul Calligraphy is classified into wood block-printed style, court style and cursive character. Fourth, all the courses ar divided into theory and practice. Fifth, understanding level should be enhanced by utilizing plates and slides. Calligraphy education helps to realize self through application of characters and handling of writing brushes, cultivate human nature and reveal creativity. Therefore, calligraphy education should be revitalized as a part of sociocultural art education in our rapidly changing society and a plan should be sought for. Programs should be urgently developed in a range not departing from the essence of calligraphy in order to maximize the ends of education. Sop two plans for calligraphy education are drawn up as follows:. First, an easy approach method in a story type Second, treating sense of beauty of calligraphy in quality of stroke In conclusion, it has been revealed that interest-attracting storytelling of calligraphy education is an alternative plan to develop calligraphy as our traditional cuunderstanding appreciation of various calligraphy types thlture. Calligraphic cultural art education enhances rough utilization of experiences and achieves education goals for whole-person education through harmonious development of awareness education and emotional education. Developed cultural art and rich life can be secured by growing out of function-centered apprentice education and experiencing and communicating with various field courses.

      • 전통민화의 문화적 기능에 관한 연구 : 17·18세기 화조화를 중심으로

        권청자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50671

        This study aims to clarify how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folk paintings (Minhwa) in the Joseon Dynasty influenced the formation of our nation's culture, and how modern artists inherited folk paintings.to newly transform them into an art work. Based on the examination, this study is intende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Korean folk paintings of the 21st century. Minhwa is a painting of the people that embody the diverse emotions of commoners during the Joseon Dynasty such as joy, anger, sorrow and pleasure, as well as human life phases such as birth, aging, disease and death, in addition to hope, and faith. In sum, it is a style of painting that accurately expresses emotions, spirits and wits of our nation. Minhwa in our country has been maintaining its existence since ancient times, and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made a rapid growth due to the economic progress of the people and the rise of social status. Thus, a number of works still remain to date. However,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Minhwa underwent a noticeable decline due to the policy of eradication of national culture. As the spirit of restoring traditional culture was spreading throughout society during the course of the National Study (Gukhak) Movement or Gukhak Movement, which is a movement to recover our intrinsic national spirit occurred in the 1970s, the re-evaluation of Minhwa was made leading to its drastic rise in demand and supply. Minhwa can be considered an artistic folk painting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was particularly popular as a painting depicting commoners. In Ojuyeonmunjangjeonsango of Lee Gyugyeong, Minhwa was referred to as “Sokhwa,” which was used to decorate the home interior design of the common people with folding screens, scrolls, and wall hangings. Minhwa has a symbolic connotation of longing for good fortune, codes of conduct and fertility wished by the common people. To be specific, Minhwa is strongly based on strong wishes, and it carries an iconographic symbol system of a country. Therefore, the stories that appear in Minhwa are not only the old myths and tales of our nation, but also the hopes aspired by the inner psychology of the people. When it comes to the traditional Minhwa production method, its way of reproduction is being criticized. However, it has great advantages in that it is easy for the common people to apply it to daily life and anyone with a talent for art, and not necessarily an expert in art, can participate in Minhwa production only with a short period of training. Nevertheless, the recent tendency to reflect the new aesthetic needs and the emotion-oriented life of modern people through traditional Minhwa brings about the movement to transform it into a modern format by appropriating, reinterpreting, and recreati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folk painting. From the point of view of what Benjamin Franklin states, “Tradition has the right to live and move in the present in an incessant manner, and it has the power to save the wishes required to us,” the new hope toward Minhwa is assumed to be a due wish. This study explored the production method, formative, symbolic,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our traditional Minhwa and reviewed the achievement of artists who had influenced new artists by appropriating the traditional Minhwa works to recreate them as a new type of works during the process ranging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to the present.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inquired into the cultural functions of the paintings of flowers and birds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as well as the current status of collections and the cultural functions of the four representative museums out of 55 in our country that actively exhibit and promote Minhwa at home and abroad.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e that traditional Minhwa excels in the aesthetic awareness and aesthetic sense of our nation.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re are a large number of works that highlight the chromatic features while juxtaposing the contrast between intense primary colors and complementary colors based on the five cardinal colors on a single canvas. Regarding the materials used for Minhwa, it counted on the paint used for dancheong, the traditional multicolored paintwork on wooden buildings, and artificial stone powder paint and Chinese paint. It is presumed that the intense appearance created based on the 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materials will give a great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modern Minhwa. Based on the tradition established by previous generations, it is judged that a variety of aesthetic senses and emotions perceived from traditional Minhwa must be developed into modern Minhwa that reflects even the national spirit imbued with it, rather than the mere transformation or appropriation of such elements in terms of appearance. As a policy of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that commenced from 1994 onward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began to officially teach Minhwa as a way of instructing old paintings of Korea. This contributed to popularization of Minhwa to some extent. During this period, re-evaluation of Minhwa was actively carried out, leading to a sudden increase of lovers of this genre. Novelty is based on tradition, but it also boldly creates something new by breaking the framework and restraints that are confined in tradition. Today’s modern transformation of Minhwa should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oday's era and formativeness from today's point of view, not from the Joseon Dynasty, the period when Minhwa was popular. The possibilities of Minhwa could be envisioned through the works of artists such as Park Saenggwang, Kim Kichang, Lee Jongsang, Hwang Changbae, Lee Waljong and Hong Inho, who appropriated Minhwa to transform it into a modern concept.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the projects in connection with Minhwa and active research related to the folk paintings conducted by Sosong Museum of Kyonggi University, Haengso Museum of Keimyung University, Joseon Minhwa Museum of Youngwol, and Mirine Icon Maoro Museum, which are organizations engaged in conservation of Minhwa will greatly contribute to developing Minhwa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조선시대(朝鮮時代) 전통민화(傳統民畫)의 성장과 발달이 우리 민족의 문화형성(文化形成)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와, 현대 화가(畫家)들이 민화를 어떻게 계승(繼承)하여 새롭게 작품화(作品化)하였는지를 밝히고 이를 통해 21세기 한국민화(韓國民畫)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민화는 조선 시대 일반 서민의 희로애락(喜怒哀樂), 생로병사(生老病死), 희망(希望), 신앙(信仰) 등을 조형화한 민중(民衆)의 그림으로 민족의 감성(感性)과 기지(氣志)가 잘 표현되어 있는 양식의 그림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민화는 고대로부터 명맥을 이어 오다가 조선 후기에 와서 민중의 경제적 성장과 신분의 상승으로 급속하게 성장 발전하였고, 수많은 그림이 지금까지 남아 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에는 민족 문화 말살 정책으로 민화는 크게 쇠퇴하였다. 1970년대에 일어난 민족성 회복 운동인 국학운동 과정에서 전통문화 회복 정신이 사회적으로 확산하면서 민화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져 급격히 수요와 공급이 확대되었다. 민화는 조선 시대의 민예(民藝)적인 그림이라 말할 수 있다. 조선 후기에 일반 민중의 그림으로 특히 유행하였는데 이규경의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에는 민화를 속화라고 하여 서민가정에 병풍, 족자, 벽걸이로 가정을 장식화(裝飾化)하였다. 민화는 서민들의 염원인 수복(壽福), 강령(降靈), 다산(多産) 등이 상징적으로 내포되어 있다. 그것은 구체적으로 염원(念願)에 대해 줄기를 가지고 있으며 이것은 나라의 도상학적(圖像學的), 기호체제(記號體制)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민화 속에 나타난 이야기는 우리 민족의 오랜 설화(說話)이고 민중의 내면에서 요구하는 희망(希望)이기도 하다. 전통적인 민화 제작방식은 재연하는 방법으로 인해 그 속성을 지적받고 있으나 서민들이 실생활에 이용하기가 쉽고, 미술전문가가 아니어도 미술에 소질이 있는 이는 단기간의 수련으로 민화제작에 참여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다. 그러나 근래에 들어 전통민화를 통한 현대인들의 새로운 미적 욕망과 정서 생활을 반영하는 경향으로 민화의 조형적 특성을 차용, 재해석, 재창조로 현대적으로 변용을 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벤저민 프랭클린이 ‘전통은 현재 속에서 면면히 살아 움직여 나갈 권리(權利)가 있고, 우리에게 요청되는 소망을 구제할 힘이 있다.’라고 말한 관점에서 본다면 민화의 새로운 바램은 당연한 욕망이라고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 전통민화의 제작방식, 조형적, 상징적, 미학적 특성을 고찰하고 조선 후기에서부터 현대에 이르는 과정에서, 전통민화 그림을 차용하여 새로운 유형의 그림으로 재탄생 시켜 신진작가들에게 영향을 끼친 작가들의 업적을 고찰하였다. 한편으로는 17, 18세기의 화조화의 문화적 기능과 우리나라 55개 박물관 중 대표적인 4개 박물관을 찾아 소장 작품 현황과 민화를 국내외에 전시, 홍보하고 있는 문화적 기능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결과 전통민화는 우리 민족의 미의식(美意識)과 미적 감각(美的感覺)이 뛰어난 것으로 고증(考證)되었다. 특히 오방색(五方色)을 기초로 강렬한 원색과 보색대비를 하나의 화면에 병치하면서 색채의 특성이 돋보이는 그림들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사용된 재료를 살펴보면 단청(丹靑) 물감과 인공 석채, 당채 등을 사용하였는데 이러한 재료의 특성을 이용하여 나타난 강렬한 모습은 앞으로 현대 민화의 발전에 크게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이제 이전 세대들이 확립한 전통을 발판삼아 전통적 민속 회화인 민화의 다양한 미감과 정서를 단순히 외형적인 변용, 차용보다는 그 속에 담긴 민족의 정신성까지 그림에 반영되는 현대적 민화로 발전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문화관광부 정책으로 1994년부터 초, 중, 고 학교에서 우리나라 옛 그림 배우기 차원에서 민화를 정식으로 가르치기 시작한 것이 대중화에 일정 부분 영향을 미쳤으며 이 시기 민화의 재평가가 활발히 이루어져 애호가(愛好家)들이 급속히 증가하였다. 새로움은 전통을 바탕으로 하되 전통에 고정된 틀과 굴레를 벗어던지고 과감히 새로운 것을 만들어 가는 것이다. 민화도 마찬가지이다. 민화의 조형적 특성들을 차용은 하되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민화를 현대인의 감성에 맞게 재해석, 재창조하면서 새롭게 만들어 가는 것이 중요하다. 오늘날 민화에 대한 현대적 변용은 민화가 유행하던 조선 시대가 아니라 오늘의 시점에서 오늘의 시대 특성과 오늘의 조형성이 반영되어야 한다. 민화를 차용하여, 현대적인 의미로 되살린 박생광(朴生光), 김기창(金基昶), 황창배(黃昌培), 이종상(李鍾祥), 이왈종(李曰鍾), 홍인호(洪仁浩)의 그림을 통해 그 가능성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민화를 보존 발전시키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경기대학교 소성박물관. 계명대학교 행소박물관, 영월 조선민화박물관, 미리네 이콘마오로박물관 등의 민화를 통한 연계사업, 활발한 관련 연구는 앞으로 현대 민화발전에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판단된다.

      • 노인문화복지 프로그램 만족도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 문화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형석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50671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들의 문화복지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심리적 복지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노인문화복지 프로그램과 심리적 복지감과의 관계에서 문화자본의 매개효과에 대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노인들의 노후생활의 삶의 질 향상과 행복감 증진을 영위하는데 필요한 정책적ㆍ실천적 개입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 노인종합사회복지관 10개소의 노인문화복지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2015년 9월 6부터 2016년 2월 5일까지 5개월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할당 무작위 표집 방법에 의거 대면설문을 통한 자기기입식 질문지 조사방법을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450부를 배부하여 불성실한 응답자 16부 제외한 후 총 434부를 통계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도구는 노인문화복지 프로그램, 심리적복지감, 문화자본을 측정도구로 사용하였다. 노인문화복지 프로그램 도구는 건강․체육, 문화예술․교양, 사회교육, 사회봉사, 취업활동 5개 부문 30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심리적 복지감에 대한 도구는 생활만족도와 행복감으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매개변수인 문화자본 도구는 문화소양, 문화활동, 문화지식으로 구분하여 설계하였다.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와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단순·다중회귀분석 및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p<0.05에서 검증하였고,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문화복지 프로그램 만족도가 심리적 복지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심리적 복지감 하위요인인 생활만족도는 현재만족에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생활만족도의 과거 및 미래만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리적 복지감 하위요인인 행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문화복지 프로그램 만족도가 문화자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인문화복지 프로그램은 문화자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화자본은 심리적 복지감의 하위요인인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 복지감의 하위요인인 행복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화자본은 심리적 복지감에 간접적인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심리적 복지감의 하위요인인 생활만족도 및 행복감에 간접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노인들의 문화복지 프로그램 만족도가 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으며, 문화자본이 심리적 복지감에 매개역할을 한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들의 다양한 문화복지 프로그램을 통한 생활만족도 및 행복감을 높여 노인의 심리적 복지감 증진에 대한 실천적 개입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노인문화복지 프로그램이 노인들의 심리적 복지감의 생활만족도 향상 및 행복감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인문화복지 프로그램이 심리적 복지감에 매우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노인문화복지 프로그램과 관련된 교육이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남녀․지역별 특성에 맞는 다양한 맞춤형 교육을 실시, 노인의 욕구와 특성에 맞는 창의적인 교육․교양프로그램 개설, 홍보 및 참여기회 확대, 노인을 위한 심리적인·신체적·정신적 치유․예방 프로그램 개발 등이 필요하다. 이에 정부차원에서 노인복지 프로그램 개발, 노인문화 인프라 구축, 시설운영, 홍보 등 다양한 측면에서 실천 개입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노인문화복지 프로그램 만족도는 문화자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인문화복지 프로그램이 문화자본에 매우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노인문화복지 프로그램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문화소양, 문화활동, 문화지식 등의 문화자본 개입에 대한 다각적인 활성화 방안들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여가활동의 적극적인 참여 프로그램 개발, 문화적인 경험과 지식의 사회 환원, 지역사회 봉사 등 문화자본들이 시너지 효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시설·기관과의 네트워크 구축이 요구된다. 또한 지역 특성 맞는 문화복지 모델 활성화 방안 등 노인들의 욕구에 부합되는 생활만족도 및 행복감 결정 모형을 구축․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노인문화복지 프로그램 만족도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문화자본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노인문화복지 프로그램 만족도와 심리적 복지감에 문화자본이 매우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심리적 복지감의 생활만족도 및 행복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문화자본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효과적인 방안에 대하여 깊이 있는 연구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 사회 가치관 및 인식 변화에 따른 노인들의 심리적·정신적 안녕, 자아 실현감, 유능감, 즐거움 등 문화자본을 향상시키고 긍정적 정서를 높일 수 있는 심리·정서적 프로그램 개발․운영이 필요하다. 또한 문화자본에 다양한 변인들을 분석하여 심리적 복지감과 연계하여 직․간접적으로 최대의 매개효과로 나타날 수 있는 폭넓은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atisfaction of cultural welfare program on the psychological well -being of the elderly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ultur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 cultural welfare progra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ased on this, I have proposed policies and practical intervention plan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enhance the happiness of the elderly.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the elderlies who use the elderly cultural welfare program at the 10 elderly social welfare centers in Seoul for 5 months from September 6, 2015 to February 5, 2016. Based on the random sampling metho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method was conducted face-to-face. A total of 4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434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fter excluding 16 cases of insincere respondents. The cultural welfare program for the elderly, psychological well -being and cultural capital were used as the measurement tools for the research. The elderly cultural welfare program tools consisted of 30 programs in five categories: health and physical education, culture and arts, social education, social service, and employment activities. The tools for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divided into life satisfaction and happiness. The cultural capital tool, which is the parameter, was distinguished between cultural literacy, cultural activities, and cultural knowledge. Sobel Test was used as a method of analysis in order to perform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reliability and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impl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All the statistical analysis were performed at significance level of p <0.05 and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atisfaction of the elderly cultural welfare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In other words, life satisfaction, a sub-factor of psychological well-being, has a positive effect on present satisfaction only. On the other hand, it did not affect past and future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it showed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which is a sub-factor of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satisfaction of cultural welfare program of the elderl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ultural capital. In other words, elderly cultural welfare programs have a positive effect on cultural capital. In addition, cultural capital has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which is a sub-factor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t has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which is a sub-factor of psychological well-being as well. Third, cultural capital has an indirect mediating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In other words, it has indirect mediating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and happiness which are sub -facto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satisfaction of cultural welfare program of the elderly is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ir psychological well - being, and it is proved that cultural capital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 have suggested practical intervention plans for the improvement of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by raising life satisfaction and happiness through various cultural welfare programs of the elderly as follows. First, the study showed that the cultural welfare program for the elderly improves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life satisfaction and happiness of the elder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lderly cultural welfare program is very important factor for psychological well-being. Therefore, education related to the elderly cultural welfare program should be more systematically and effectively implemented. To this end, we should provide various customized education programs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men and women and regions. We should also provide creative education and cultural programs that meet the needs and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expand opportunities for public relations and participation, and develop psychological, physical and mental healing and preven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government to action intervention plan in various aspects such as development of elderly welfare program, construction of elderly cultural infrastructure, facility operation, and marketing. Second, satisfaction of cultural welfare program of the elderly has a positive effect on cultural capital. This indicates that the elderly cultural welfare program is a very important factor for cultural capital.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cultural welfare program, various ways of activating cultural capital intervention such as cultural literacy, cultural activities, and cultural knowledge should be sought. To this end, we should build a network of facilities and institutions to create synergistic effects with cultural capital, such as the development of programs for active participation on leisure activities, the return of cultural experience and knowledge to society, and community servic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build and develop life satisfaction and happiness decision models that meet the needs of the elderly, such as a plan to activate the culture welfare model that suits local characteristics. Third, there were mediating effects of cultural capital on the effects of elderly cultural welfare program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indicates that cultural capital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satisfaction of the elderly cultural welfare program and their psychological welfare.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and happiness of psychological well-being, in-depth research into effective plan relating to cultural capital is needed.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operate a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rogram that can enhance cultural capital and enhance positive emotions such as psychological and spiritual wellbeing, self-realization, feelings of happiness, and enjoyment of the elderl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various variables within cultural capital and to have a wide range of research that can create the greatest mediating effect directly or indirectly in connection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 영산재의 장엄 미학과 활용방안 연구

        진광희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50671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jestic aesthetics of the 'Yeongsanjae(靈山齋)' and the ‘BeophwaYukseo[法華六瑞, Six auspicious things]’ in the Lotus Sutra and also to try to look into how to apply its cultural contents plans. Today, Buddhist rituals in Northeast Asia are one of the common key words of Northeast Asian Buddhist culture. It is because the 'Yeongsanjae' combined Buddhism from India with Chinese culture to create a very unique religious culture called Buddhist rituals and it also influenced neighboring countries and it was spread widely. The 'Yeongsanjae,' the essence of Buddhist art, is one of the important Buddhist rituals symbolizing ‘Yeongsanhoisang(靈山會上, the Vulture Peak assembly)’ which means a re-enactment of the Buddha’s preaching of the Lotus Sutra on Grdhrakuta in India, in which offerings are made to the Buddha and Bodhisattvas in attendance. 'Yeongsanjae' is a ceremony that prays for the unity of the living and the deceased in the Dharma throughout the universes. The significance of the 'Yeongsanjae’ lies in raising utmost delight of the participants in the Buddha’s preaching space and also in helping the living and the dead lead to the world of truth through worshipping and admiring the Buddha: the world of emancipation from suffering. Actually, 'Yeongsanjae' was designated as UNESCO’s Cultural Heritage Intangible of Humanity in 2009. As a preserver and transmitter of the 'Yeongsanjae' (Rep. of Korea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 50), Bongwonsa Temple's Yeongsanjae Preservation Association conducts regular performances for the world peace and national reunification. Above all, 'Yeongsanjae', which has universal cultural values, contains the essence of comprehensive Buddhist art. In other words, 'Yeongsanjae' is referred to as a comprehensive art because it contains various Buddhist majestic elements such as musical elements of Beomeum Beompae, dance elements of butterfly dance, beopgo dance, ostrich dance, and art elements of Gwaebul and Gamrotaeng, etc. In particular, Buddhist music, dances, paintings, and verses(gesong, gatha ) play an important role in performing 'Youngsanjae'. Their exquisite combination of performing elements and literary elements shows a greater sense of magnificent and splendid beauty. These series of majestic elements reenact the overwhelminhg moment of the Yeongsan preaching and praise the Buddha’s virtue. In addition, they are the core of the 'Youngsanjae' that enables the spiritual family and the participating public to listen to Buddha's preaching and to attain enlightenment. Especially, ‘Yeongsanjae’ which preserves Buddhist aesthetic as a cultural subject shows the height of majestic aesthetics through various ritual verses, sounds, and gestures that praise Buddha’s virtue and teachings. Also, there are many metaphors and symbols in the process of the ‘Youngsanjae.’ Ritual statements(verses), Beompae, dances that are accompanied by ritual procedures for the 'Youngsanjae' contains the admiration for the Buddha and the desire of communication with Him. This ritual structure brought about the development of Buddhist music like Beompae, Buudhist dances like butterfly dance, Beopgo dance, and Buddhist art like aesthetics of Bodhi-mandala majesty(道場莊嚴). In that, ‘Yeongsanjae’ effectively combines the religious rituals with the structure of rituals and attains the artistic functions in the ritual proceedings. ‘Yeongsanjae’ begins with a ritual reception for the Buddha and all the saints: First of all, Sakyamuni Buddha and all the saints were invited to the ritual space, and after worshiping, offering, and admiring all saints and the attendants are required to participate in the Yeongsan Hoisang(靈山會上). Through these series of procedures, the virtues created by the spirits of Yuju and Muju are reverted to the spirits of Yuju. Finally, the ritual concludes with a farewell ritual representing manners of the otherworldly realm of the Buddha, with singing, ceremonial adornment and various ritual dances such as the cymbal dance, drum dance and ceremonial robe dance. Above all, the basic structure of the process of 'Youngsanjae' is a symbolic expression of bodhi-mandala sanctuary while overlapping repetitions. The magnificent objects such as Gwaebul, banners(幡), flowers, Yeon(輦), etc. reenact the overwheleming-touch moment of the Yeongsan Hoisang, and then praise the virtues of the Buddha. Therefore they have a significant meaning in the process of the ritual performance because they promote communication and empathy between the spiritual and the participating public. In this vein, I emphasized that these elements are important methods which can sanctify ritual behaviors and majesticize the culture as well. Through repeated ceremonial activities such as cleanliness of Bodhi-mandala, repentance, praise for the Buddha, offerings, and worship etc., Yeongsanjae’s ritual space and time are beautifully decorated and far more sanctified. Moreover, monks and lay people together are immersed in such majestic sanctuary space and time to experience it and return to the Buddhist world. In order to preserve and spread ‘Yeongsanjae’ worldwide, I think that more in-depth research on the cultural value of ‘Youngsanjae’ will be urgently needed from various perspectives, especially based on its content application. The global 'Corona 19' crisis was caused by human greed, and the influenza epidemic has spread throughout the world. So the strategies for more efficient content-application of ‘Youngsanjae’ to solace people are required. Until now, books and papers from various perspectives on ‘Youngsanjae’ have been published mainly based on its procedures, composition, but in-depth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jestic aesthetics with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Youngsanjae’ and ‘BeophwaYukseo’(法華六瑞) is not much to be found. Therefore, I tried to examine ‘Youngsanjae’s acceptance of the elements of the ‘BeophwaYukseo’ in the Lotus Sutra, how they are reflected in the composition and ritual activities of ‘Yeongsanjae’ and I also attempted to look into what magnificent aesthetics they produce, and what message it sends us today. In addition, I tried to examine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ustainable cultural contents of ‘Youngsanjae’ as a cultural heritage of mankind. 본 논문의 목적은 ‘영산재’ 의식 절차에 내재된 장엄미학과 ‘법화육서’의 관계성 및 문화콘텐츠 활용방안을 살펴보는 데 있다. 오늘날 동북아시아 불교권의 불교의례는 동북아 불교문화의 공통 키워드 중의 하나라 할 수 있다. 그것은 인도에서 전래된 불교가 중국문화와 결합하여 불교의례라는 매우 독창적인 종교문화를 탄생시켰고, 또한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쳐 널리 확산되었기 때문이다. 불교예술의 꽃으로 불리는 ‘영산재’는 인도의 영취산에서 석가모니 부처님의 『법화경』 설법을 듣는 장면을 의미하는 영산회상(靈山會上)을 상징화한 의식이다. 이러한 의미를 지닌 ‘영산재’는 설법도량에 모인 일체 중생들로 하여금 환희심을 불러일으키고 법열(法悅)에 충만 된 분위기를 극적으로 재현한 것으로, 산 자와 망자가 다 함께 부처님의 설법을 듣고 진리를 깨달아 이고득락(離苦得樂)하여 정토에 이르게 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할 수 있다. ‘영산재’는 1973년 11월 '범패’라는 이름으로 대한민국 중요무형문화재 제50호로 지정되었다가 1987년 11월 대한민국 중요무형문화재 제50호 ‘영산재’로 단체지정 되었다. 그 후로 봉원사가 주축이 되어 운영하고 있는 ‘영산재보존회’에서 ‘영산재’의 원형보존에 노력을 기울여 온 결과, ‘영산재’는 2009년 9월 30일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 목록에 등재되었다. 무엇보다도 인류 보편적인 문화적 가치를 지닌 ‘영산재’는 종합적인 불교예술의 정수를 내포하고 있다. 다시 말해, ‘영산재’는 범음 범패의 음악적 요소, 바라춤. 나비춤. 법고춤, 타주춤 등 작법의 무용적인 요소, 불보살의 모습을 그린 괘불과 감로탱화 등 미술적인 요소, 그리고 불보살을 찬탄하는 의식문 등 다양한 불교적 장엄 요소를 내재하고 있어 종합예술로 지칭되고 있다. 특히 ‘영산재’ 설행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불교음악과 작법, 회화, 게송 등의 연희적인 요소와 문학적 요소의 절묘한 조화는 장엄하고 화려한 미의식을 한결 잘 보여준다. 이러한 일련의 장엄 요소는 영산설법의 감격을 재연하면서 불덕(佛德)을 찬탄하고, 또한 영가와 참여 대중으로 하여금 부처님 설법을 듣고 깨달음에 이르게 하는 재의(齋儀)의 핵심적 내용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불교적 미의식을 문화적 주체로 보존하고 있는 ‘영산재’는 불덕과 가르침을 찬탄하는 다양한 의식문과 소리, 그리고 몸짓의 표현으로 장엄 미학의 극치를 보여 주고 있다. 아울러 ‘영산재’의 재의절차에는 많은 비유와 상징성이 내포되어 있다. 가령, ‘영산재’ 의식절차에 수반되는 각 의식문[게송]과 범패, 작법무 등은 불덕 찬탄과 소통 기원의 의미를 담고 있다. 이러한 의례구조는 범패 등의 불교음악, 나비춤(作法舞), 법고춤(法鼓舞) 등의 불교무용, 그리고 도량장엄 등에 의한 불교미술의 발전을 가져왔다. 즉 ‘영산재’는 의례구조를 가지는 신앙의례이나 그 진행절차에 예능적 기능이 효과적으로 어우러져 의례문을 정연한 대본으로 한 가극의 형식을 지닌 예술적 요소의 장엄미를 지니게 되었다는 것이다. ‘영산재’의 절차는 우선 석가모니 부처님과 성중제위를 영산회상인 재도량(齋道場)으로 초청, 이운해 모시고, 이어 성중제위를 예배, 공양, 찬탄한 후 부처님께서 『법화경』을 설하는 영산회상에 참예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일련의 절차를 거치면서 조성된 공덕을 유주, 무주의 영가들에게 회향하여 천도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초청해 모신 성중제위를 봉송하고 소대(燒臺)함으로써 마치게 된다. 무엇보다도 ‘영산재’의 진행절차의 기본구조는 중첩적으로 반복을 하면서 도량의 성역화라는 상징적 표현을 하고 있다. 작법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의문(儀文)과 괘불, 번, 꽃, 연(輦) 등의 장엄물은 영산설법의 감격을 재연하면서 불덕을 찬탄하고, 영가와 참여 대중의 소통과 공감을 고취시키는 재의의 과정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것들은 의식행위를 신성시하고 도양을 장엄케 하는 의미를 지니고 있음을 연구자는 강조하였다. 그것은 도량청정과 참회, 찬탄 및 공양, 그리고 예불 등의 거듭되는 의례행위를 통하여 의식공간과 시간은 아름답게 꾸며져 한결 성역화 되고, 승속이 다함께 그러한 장엄한 성역공간과 시간에 몰입하여 그 세계를 체험하고 귀의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인류의 보편적이며 세계적인 문화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불교예술의 꽃인 ‘영산재’를 보존하고 세계적으로 널리 알리기 위해서는 ‘영산재’의 문화적 가치에 대하여 다양한 시각에서 조명과 연구가 절실히 요구된다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인간의 탐욕에서 빚어진 글로벌 ‘코로나 19’의 위기 상황과 이후의 시대[Post Corona19]에 있어 '영산재'의 효율적인 콘텐츠화의 전략이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지금까지 '영산재'에 대한 다양한 시각에서의 저서와 논문이 주로 영산재의 절차와 구성, 작법을 중심으로 발표되었지만, ‘영산재’의 중요한 특성을 지닌 장엄 미학과 ‘법화육서(法華六瑞)’와의 관계성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는 그다지 찾아 볼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연구자는 ‘영산재’의 『법화경』의 ‘법화육서(法華六瑞)’ 장엄 요소 수용과 그것이 영산재 구성과 의례 행위에 어떻게 투영되어 장엄미학을 낳고 있으며 그것이 오늘날 우리에게 던져주는 메시지가 무엇이며, 또한 인류문화유산으로서의 ‘영산재’의 지속 가능한 문화콘텐츠의 개발과 활용 방안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 한국인의 장례문화에 대한 의식구조 연구 : 매장, 화장, 수목장을 중심으로

        박대수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50671

        The fundamental problem of the jangmyo burial culture is the supply problems of the cemetery. Since the 1970s, urbanization, industrialization, such as the cemetery as the city expanded to the rapid changes in the social structure was relocated to the suburbs. Moreover, land prices rising is more aggravating the problem of supply cemetery. These changes in the social structure, encourages countries to the narrowing of the cemetery funeral policy direction, grouped at the cemetery and funeral culture into the makeup change so decided, conspired to the funeral more pressure to change a culture factor for people. The scope of the branch of this study contents, burial, cremation, natural burials, analyzing the problems of the derived and resolution of these problems and attempted to present a ways of improving. The various members of society, funeral ceremonies in the survey conducted by conducting a funeral that meet the needs of institutional understanding the flow and embrace practical to do was carried out. I.e. the funeral ceremony in the flow of rapidly changing society feel by type preferences, to study and compare their funeral to help lead the system's policy direction based on, after that, into the purpose of providing basic data that allows conducts a funeral form about the preferences of the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Overall, of the three (burial, cremation, and natural burials), natural burials appeared to favor the ratio is high. Looking for a traditional approach that recognizes the percentage of negative, women were higher than men, the proportion of people below university were higher than otherwise, the proportion of business and office workers were higher than otherwise, the proportion of Christians were higher than otherwise, income ratio of less than 4 million won was relatively high. On the other hand much more than graduate education, the civil service and the professions, Buddhist Confucianism or Shamanism, by religion, more than 5 million won per monthly income, if the residence and birthplace of the metropolitan city the more people recognize the positive about the traditional way, a relatively higher proportion of preferred burial. Regardi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there was a case of sex with a woman more than half of 58.6%, a man was found in 41.4%, for the 50 -60 years old age, the majority were close to 40.8%, with the following 40-50 years old, 24.2%, 19.3%, 30-40 years old, 20-30 years old, 15.7% were in order. In the case of education, the school has the highest with 34.4%, 33.8% university graduation, professional college graduates is 20.8%, graduate or higher in the order of 10.9% was found, in the case of a job, the worker is 32.9%, 22.7% businessman, funeral workers are 20.5%, 17.8% professions, civil servants and construction was 6.0 percent. If religion has got Confucianism or Shamanism is the highest 37.5%, followed by Christianity 32.9%, 21.1%, Buddhism, Catholicism is showed in the order of 8.5%, in the case of marital status, most were married by a 71.3%, 25.1% are unmarried, divorced was 1.8 percent. In the case of average income, 1000000-3000000won a close majority was 46.8%. 3000000-5000000won the 34.4%, 9.7% more than five million won, 1 million won was found in 9.1% . And, Seoul metropolitan area other than the 18.1 percent, metropolitan cities is 12.4 percent. In the case of the birth area, Seoul showed the highest at 30.5% and 23.6% of the Other tha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Buk District showed 20.5%, for the funeral cultural awareness, the response that I do not fit in the current period 32.9% was found in the highest, and then hope that in the normal transmission of 29.9%, Slightly positive of 22.4%, it is very good of 14.8%. In addition, people with higher preferences for the funeral facilities management and funeral form was a large proportion of thinking about the expansion of public natural forest funeral facilities and assistance may be needed, on the other hand, people with higher preferences for awareness of the customs and traditional rituals do not was a small proportion of thinking about the expansion of public natural forest funeral facilities and assistance may be needed. It was predicted that a large proportion of people with higher preferences for awareness of the environment-friendly aspect thinks the area of grave and the stone decoration need strict regulations be needed, that people with higher preferences for strengthening the penalty of luxurious grave, integrated funeral system(from the cradle to the grave) may be needed, funeral system should be managed by national authorities or a public institution. Finally, a proportion of people with higher preferences for others recommended late, awareness of the favorite place, which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through a network of operations are needed are increasing. On the other hand, a proportion of people with higher preferences for preference attributes funeral, which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through a network of operations are needed are decreasing. 장묘문화의 근본 문제는 묘지의 수급문제이다. 1970년대 이후 도시화, 산업화 등 급격한 사회구조의 변화로 도시가 팽창됨에 따라 묘지가 교외로 이전되었다. 더욱이 토지가격의 상승은 묘지 수급의 문제를 더욱 가중시켰다. 이러한 사회구조의 변화는 국가에게 장묘정책의 방향을 묘지의 축소, 묘지의 집단화, 화장으로의 장묘문화 변화를 결정하게 했고, 국민들에게 장묘 문화의 변화에 대한 압력요인으로 작용했다. 본 연구의 내용적 범위는 매장, 화장, 수목장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여, 매장, 화장, 수목장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방안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사회의 다양한 구성원을 대상으로 장묘의식에 관한 조사를 실시하여 시대가 요구하는 장묘제도의 흐름을 이해하고 실천적 수용을 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즉, 급변하는 사회의 흐름 속에서 장묘형태별로 느끼고 있는 선호도를 비교·연구하여 이를 바탕으로 장묘제도의 정책적 방향을 이끌어갈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장묘형태 선호도에 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매장, 화장, 수목장 선호비율은 전반적으로 수목장 선호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성별로 여자, 학력별로 대학교 졸업이하, 직업별로 사업가, 회사원, 종교별로 기독교, 소득별로 400만원 이하, 전통방식에 대해서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경우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학력별로 대학원이상, 공무원과 전문직, 종교별로 불교, 유교 또는 무교, 월소득별로 500만원 이상, 거주지와 출생지가 광역시인 경우 전통방식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매장의 선호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대해 살펴보면 성별의 경우에는 여자가 58.6%로 과반수 이상 이었고 남자는 41.4%로 나타났으며 연령의 경우에는 50-60세가 40.8%로 과반수 가까이 되었고 다음으로 40-50세가 24.2%, 30-40세가 19.3%, 20-30세가 15.7% 순으로 나타났다. 학력의 경우에는 고졸이 34.4%로 가장 높았고 대학교졸이 33.8%, 전문대졸이 20.8%, 대학원 이상이 10.9% 순으로 나타났으며 직업의 경우에는 회사원이 32.9%, 사업가가 22.7%, 장례종사자가 20.5%, 전문직이 17.8%, 공무원이나 공사가 6.0% 순으로 나타났다. 종교의 경우에는 유교 또는 무교가 37.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기독교가 32.9%, 불교가 21.1%, 천주교가 8.5% 순으로 나타났으며 혼인상태의 경우에는 기혼이 71.3%로 대부분이었고 미혼이 25.1%, 이혼이 1.8% 순으로 나타났다. 평균소득의 경우에는 100-300만원이 46.8%로 과반수 가까이 되었고 300-500만원이 34.4%, 500만원 이상이 9.7%, 100만원이 9.1% 순으로 나타났으며 거주지역의 경우에는 서울이 60.4%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서울 이외의 수도권이 18.1%, 광역시가 12.4% 순으로 나타났다. 생지역의 경우에는 서울이 30.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서울 이외의 수도권이 23.6%, 광역시가 20.5% 순으로 나타났으며 장례문화 인식의 경우에는 현 시대에는 맞지 않다 생각한다는 응답이 32.9%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보통 전승되기를 바란다 29.9%, 약간 그렇다 22.4%, 매우 좋다고 생각한다 14.8%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타인추천 정도, 안치형태 및 관리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 공설수목장 시설의 확충 및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정도도 높아지고 반면에 관습 및 전통의식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 공설수목장 시설의 확충 및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정도는 낮아질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었다. 친환경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 묘지면적과 석물장식의 엄격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정도도 높아질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었으며 타인추천 정도가 높아지면 호화분묘의 벌칙강화가 필요하다 인식과 사망에서 장례까지 종합장례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정도, 국가기관 또는 공공기관에서 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정도도 높아질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었다. 끝으로, 타인추천 정도, 선호장소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 필연적으로 중앙정부와 지자체간의 네트워크를 통한 운영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정도도 높아지고 있다. 반면에 장례 선호속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 중앙정부와 지자체간의 네트워크를 통한 운영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정도는 낮아질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