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CTX-M-3 (β)-Lactamase 및 16S rRNA Methylase 동시생성 Serratia marcescens

        안정연 고신대학교 보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31

        연구배경 및 목적 : 본 연구에서는 부산의 한 대학병원에서 분리된 Serratia marcescens를 대상으로 Ambler class A extended-spectrum β-lactamase의 생성 현황을 조사하고 이들 효소를 생성하는 균주의 16S rRNA methylase 생성현황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 2007년 고신대학교 복음병원에서 분리된 S. marcescens를 대상으로 하였다. 항균제에 대한 감수성을 디스크 확산법으로 시험하였고, ESBL 생성은 double-disk synergy (DDS)시험으로 확인하였다. 한천희석법으로 β-lactam 항균제의 최소억제농도를 측정하였고, 접합으로 ESBL생성균주의 cefotaxime 내성인자의 전달성을 시험하였다. PCR로 bla_(ESBL)과 16S rRNA methylase 생성 유전자를 검출하였고 PCR 산물의 염기서열을 양방향으로 분석하였다. CTX-M-3 유전자를 지닌 균주를 대상으로 enterobacterial repetitive intergenic consensus (ERIC) PCR로 유전형을 분류하고 또한 16S rRNA methylase 유전자 검출을 위한 PCR도 시행하였다. 결과 : cefotaxime, ceftazidime, cefepime, aztreonam 등 광범위 β-lactam 항균제 하나 이상에 중간 혹은 내성인 균주 22주 중 5주(23%)에서 DDS 양성소견을 보였고, 이들 균주들은 모두에서 CTX-M-3 ESBL 이 검출되었으며 이들 중 1주에서 16S rRNA methylase의 유전자 armA가 검출되었다. 결론 : 부산의 한 대학병원에서 분리된 cefotaxime 중간 혹은 내성인 S. marcescens 모두는 CTX-M-3 ESBL을 생성하였고, 그 중 16S rRNA methylase 를 동시에 생성하는 균주도 있어 광범위 항균제의 S. marcescens 감염증 치료가 제한될 것으로 우려되었다. Backgroun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haracterize clinical isolates of Serratia marcescens producing ESBL and/or 16S rRNA methylase from patients in a university hospital in Busan, Korea. Methods: Non-duplicated clinical isolates of S. marcescens from patients admitted in a University Hospital were collected for a year of 2007. ESBL production was examined by the double-disk synergy test (DDST) and the transferability of cefotaxime-resistance determinants were tested by conjugation. MICs of β-lactam antibiotics were determined by the agar dilution method and Ambler class A ESBL genes and 16S rRNA methylase genes were searched by PCR amplification. Enterobacterial repetitive intergenic consensus (ERIC) PCR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epidemiological relationships among bla_(ESBL) gene-carrying S. marcescens isolates. Results: Antimicrobial resistance ratio of S. marcescens isolates (n=69) to ceftazidime, cefotaxime were 31.9%, 10.1%, respectively. Among 22 S. marcescens isolates intermediate or resistant to more than one extended-spectrum β-lactam agent, 5 (23%) showed positive results in DDST. All the 5 isolates harbored bla_(CTX-M-3), while each of them showed different banding patterns by ERIC PCR. Among the 5 S. marcescens isolates carrying bla_(CTX-M-3) gene, 1 isolate produced 16S rRNA methylase, simultaneously. Conclusions: ESBL-producing S. marcescens was not uncommon in a university hospital in Busan, Korea. The types of ESBLs produced by S. marcescens isolates were CTX-M-3. CTX-M-3 ESBL-producing S. marcescens isolates showed diverse ERIC-PCR profiles, indicating that they were not originated from a common source.

      •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삶의 질 예측 요인

        최정숙 고신대학교 보건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615

        당뇨병은 질병의 특성상 일단 발병되면 완치가 불가능한 만성질환으로 일생동안 관리하고 조절하기 위해 생활습관을 수정해야 하며 장기적인 투병생활을 요하므로 대상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주고 있다. 본 연구는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요인들을 규명하여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시도된 요인관련 연구이다. 본 연구대상자는 부산광역시 소재의 S 종합병원에서 진단 및 치료를 받고 있는 등록된 제2형 당뇨병 환자 139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수집기간은 2000년 1월 17일부터 3월 14일까지였으며, 자료수집은 본 연구자와 본 연구를 위해 훈련된 연구보조자에 의해 구조화된 질문지로 면접을 통해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삶의 질 측정도구로는 노유자(1988)가 개발하고 이미라(1995)가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가족지지 측정도구로는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개발한 박오장(1984)의 도구와 우울 측정 도구로는 Zung (1965)이 개발하고 송옥헌(1997)이 번역한 평가도구와 건강통제위 측정도구로는 Wallston and Wallston(1978)이 개발하고 심영숙(1984)이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자기효능감 측정도구로는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개발한 백경신(1996)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 WIN 9.0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 평균평점, t-검정, ANOVA, Scheff 검정,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Stepwis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삶의 질 정도는 평균 123.72점, 표준편차 13.83점(최소값 84, 최대값 171점), 평균평점 2.74±0.77점(최소값 1점, 최대값 4점)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삶의 질 정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이웃관계 영역(2.86점)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자아존중감 영역(2.74점), 경제상태 영역(2.66점), 신체상태 및 기능 영역(2.62점), 정서상태 영역(2.51점), 가장 낮게 나타난 영역은 가족관계 영역(2.45점)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 정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3. 대상자의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삶의 질 정도는 가족 중 대상자에게 도움을 주는 사람(F=3.006, P< .05)의 경우 배우자의 도움을 받는 경우 (124.50점)가 자녀의 도움을 받는 경우(120.93점)보다, 당뇨입원 경험 유무(t=-2.680, P< .01)에서는 당뇨 입원 경험이 없는 경우(127.59점)가 당뇨 입원 경험이 있는 경우(121.59점)보다, 당뇨 입원 횟수 (F= 2.480, P< .05)에서는 당뇨 입원 경험이 1회인 경우가 6회 이상인 경우보다 삶의 질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4. 대상자의 가족지지 정도와 삶의 질 정도와의 관계는 약한 순상관관계(r= .166, P< .05)를, 외적건강통제위와 삶의 질 간의 관계는 약한 순상관관계(r= .396, P< .001)를,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간에는 약한 순상관관계(r= .287, P< .01)를 나타내었다. 한편, 우울과 삶의 질간의 관계에서는 약한 역상관관계(r=- .179, P< .05)를 나타내었다. 5. 대상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요인으로는 외적건강통제위가 15.7%로 가장 설명력이 높았고, 그 다음으로 당뇨입원횟수, 자기효능감의 이들 3개의 변수를 모두 합쳤을 때는 삶의 질에 대한 설명력이 21.7%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삶의 질 정도는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삶의 질을 예측할 수 있는 요인으로 외적건강통제위와 당뇨입원횟수 및 자기효능감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삶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외적건강통제위와 당뇨입원횟수, 자기효능감을 고려한 간호중재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Diabetes is chronic disease that gives negative effect to quality of life in patients. Because it is hard to recover, need long term of time to fight against the disease, and patients have to change all their life style. This study designed to provide an understanding the scores on the quality of life scale and to test the predictive factor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was under taken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the basic data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type 2 diabetic patients.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139 people with type 2 diabetic patients of S hospital in Busan. The period of study was from Jan. 17th to Mar. 14th, 2000. All data was collected from interviews and researches.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quality of life scale developed by Yu Ja No(1988) that modified by Mi Ra Lee(1995), family support scale developed by Ou Jang Park(1984), depression scale developed by Zung(1965) that translated into Korean by Ok Hun Song(1997), Locus of Control scale developed by Wallston and Wallston(1978) that translated into Korean by Young Sook Shim(1984), and self-efficacy scale developed by Kyung Shin Beak. All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a SPSS/Win 9.0 for mean, mean point, percentage, t-test, standard deviation, ANOVA, Scheffe-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cores on quality of life range from 84 Min. to 171 Max. with as mean of 123.72, standard deviations were 13.83, and mean point were 2.74±0.77 (1 Min., 4 Max.). The scores of component factors of the quality of life were the highest neighboring relational status(2.86), self-esteem(2.74), economical status(2.66), physical status and function(2.62), emotional status(2.51), and family support status(2.45) was the lowest. 2.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quality of life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quality of life by disease related characteristics of patients depending on care givers(F=3.006, p< .05), existence of diabetes admission(t= -2.680, p< .01), frequency of diabetes admission(F= 2.480 , p< .05). 4.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upport and quality of lif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r= .166, p< .05), between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r= .396, p< .001), between locus of control and quality of lif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r= .287, p< .01), but betwee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r= -.179, p< .05). 5. The factor which is variable predicting best the quality of life by the subjects was external locus of control of 15.7% of the prediction followed by frequency of diabetes admission, self-efficacy in order all of which totally account for 21.7%.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The quality of life in type 2 diabetic patients score was generally high. Predictive factor on quality of life were external locus of control, frequency of diabetes admission, and self-efficacy. Therefore, in providing a nursing interven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type 2 diabetic patients, there is necessity to assess precisely these factors. Above all, external locus of control was found to be the highest predictional factor in the study, so we need to provide a nursing intervention by considering subjective estimation of external locus of control.

      • 중환자분류도구를 이용한 신경계 중환자의 중증도와 사망예측요인

        양희정 고신대학교 보건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15

        중환자실은 생명이 위독한 환자나, 외상환자 또는 치료도중 합병증이 발생한 환자 치료를 위해 의료진과 의료장비가 특별히 비치되어 있는 간호단위로씨 환자의 간호요구도가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각 환자의 특성에 맞는 개별간호를 필요로 한다. 특히 신경계 중환자는 다양한 상태 변화로 인해 중증도가 변하며 간호요구도가 달라진다. 이에 본 인구는 중환자 분류도구를 사용하여 신경계 중환자의 중증도와 사망관련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신경계 중환자의 효율적인 간호실무와 중환자실 자원이용에 기반이 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으며 연구 설계는 관련요인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B광역시 3차 의료기관인 K 대학교 병원 중환자실에서 신경계 중환자로 입실하여 치료 및 간호를 받은 환자 217명이었다. 연구도구는 1994년 임상간호사회에서 개발한 중환자 중증도 분류도구를 전산화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기간은 2003년 9월 1일부터 2004년 3월 31일까지였으며, 자료수집방법은 신경계 중환자 간호경험이 3년 이상이며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 10명이 중환자실로 입실한 신경계 중환자를 대상으로 전산화된 중환자분류도구를 사용하여 중증도를 측정하도록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PC+10.0을 사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turky-test및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보면 성별은 남자가 51.6%로 여자 47.4%보다 많았다. 연령에서는 평균연령은 54.81±16.22세였고 56세 ~65세가 25.1%로 가장 많았다. 진료과는 신경외과가 84.8%로 신경과 15.2%보다 많았으며, 입실경로는 응급실을 통하여 입실한 경우가 55.0%, 병실에서 전실한 경우가 45.0%였다. 또한 수술하지 않은 경우가 51.7%로 수술을 한 경우 48.3%보다 많았다. 평균 재원 일수는 12.10±15.46일이며 4~7일이 27.0%로 가장 많았다. 2. 대상자의 GCS(Glasgow Coma Scale)상태를 보면 개인반응에는 '자발적으로 눈을 뜬다'가 104명(49.3%)이었고 '전혀 반응이 없다'가 50명(23.7%)였다. 언어반응은 '지남력이 있다'가 76명(36.0%)이었고, '전혀 반응이 없다'가 65명(30.8%)었다. 운동반응은 '명령에 잘 따라 한다' 가 99명(46.9%)이었고 '전혀 반응이 없다'가 10명 (4.7%)였다. 3. 대상자의 중증도는 최소 39점에서 최대 114.5점이었으며 평균중증도는 76.30±14.34이었다. 생존자의 중증도는 평균 73.03±12.34이었으며, 사망자의 중증도 평균은 93.93±11.92로 사망자의 중증도가 생존자의 중증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간호행위 영역별 중증도에서는 '호흡기계치료'영역이 25.01±7.74로 가장 높았다. 또한 생존자와 사망자 사이의 간호행위 영역별 중증도는 호흡기계치료(t=-10.707, p=.000), 치료절차(t=-5.132, p=.000), 일상생활 수행능력(t=-4.566, p=.000), 수액주입/투약(t=-3.597, p=.000), 영양공급(t=3.517, p=.001), 모니터링(t=-2.660, p=.008)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중증도 분류군은 211명 중 3군이 26명(12.3%), 4군 153명(72.5%), 5군이 32명(15.2%)이었다. 생존자의 중등도 분류군은 4군이 131명(61.1%)을 차지하여 가장 많았고, 3군에 26명(12.3%), 5군이 21명(10.0%)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사망자의 중증도 분류군은 4군이 22명(10.4%), 5군이 11명(5.2%)이었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중증도는 연령(f=3.054, p=.011), 재원일수(f=2.982, p=.020), 진료과(t=-2.618, p=.010), 입실경로(t=32.985, p=.003), 수술유무(t=2.705, p=.007)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존자의 중증도는 연령(t=2.895, p=0.15), 재원일수(t=3.845, p=.005) 진료과(t=-3.098, p=.002), 수술유무(t=2.269, p=0.24)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망환자의 중증도는 재원일수(t=5.179, p=.003)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대상자의 사망예측요인으로는 호흡기계치료(p=.000)와 수액주입/투약(p=.009)이었다. 결론적으로 중환자분류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한 신경계중환자의 중증도는 비교적 높았고 분류군은 3군, 4군, 5군으로 분포되어 있었다. 대상자의 사망 예측요인으로 호흡기계치료 영역과 수액주입/투약 영역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신경계 중환자를 대상으로 간호행위정도에 따라 중증도를 평가할 수 있으므로, 중환자 간호실무적용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of the severity and the death Predicting factor severity among Neurology Patient in Intensive Care Uni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1 patients who were admitted into ICU of K university hospital in B cit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 2003 to March 31, 2004 by using patients severity classification tool.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S.D, t-test, ANOVA, Turky-test and stepwis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PC 10.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were as follows : the mean age was 54.81±16.22, admission department was neurology surgery, 84.8%, neurology IS.2%, gender was male 52.6%, female 47.4%, route of admission was emergency room 55.0%, ward 45.0%, operation was no 51.7%, yes 48.3%, mean period of hospital days was 12.10±15.46. 2. The score of GCS were as follow : spontaneous among 4 area of eye response was the highest value 49.3%, oriented among 5 area of verbal response was the highest value 36.0%, and obey commands among 6 area of motor response was the highest value 46.9%. 3. The mean score of severity in subjects were 76.30±14.34 (min 39, max 114.5). The severity score of non-survivors group was be higher than that of the survival group(p=.000). non-survivors group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the survival group, as to area of severity 'Respiration treatment'(t=-10.707, p=.000), 'Tretment'(t=-5.132, p=.000), 'ADL'(t=-4.566, p=.000), 'IV & medication'(t=-3.597, p=.000), 'Feeding'(t=3.517, p=.001), 'Monitoring'(t= -2.660, p= .008). 4. As to, classification group of severity, class Ⅳ were 72.5% and then, class Ⅴ, 15.2%, and class Ⅲ, 12.3% 5. The severity score acceding to characteristics of subjec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ge(F=3.054, p=.011), period of admission (F=2.982, p=.020), department of medical (t=-2.618, p=.010), route of admission(t=32.985, p= .003), operation (t-2.705, p= .007). 6. The predicting factor on death of subjects were 'Respiration treatment'(p=.000) and'tV& medication'(p=.009). In conclusion, the severity classification tool was the effective tool to estimate the severity on neurology Patient in ICU. Therefore, it is helpful tool to improve the nursing application for neurology patient in ICU.

      • 여대생의 여드름 지식정도와 피부건강 행위의 상관성

        심향란 고신대학교 보건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15

        본 연구의 목적은 여대생의 여드름지식정도, 피부건강행위 수준을 파악하고, 변인에 따른 피부건강행위차이, 여드름지식정도에 따른 피부건강행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조사대상자는 부산 · 경북에 소재 하는 대학에 재학중인 여대생을 대상으로, 자료분석은 SPSS WIN 10.0 Program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여대생의 여드름지식정도는 평균 39.36점이었고, 여드름지식정도 23문항에서 19문항에 대해서는 정답률이 높게 나타나서 여드름지식수준이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4문항 '여드름은 짜지 않으면 점이 된다, 변비 때에 여드름이 생긴다, 월경 전에 여드름이 더 악화된다, 여드름은 위장장애 때문에 생긴다'는 항목에서 오답률이 높게 나타나 지식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별에서는 여드름 관리 1.78로 지식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여드름 악화요인 1.65로 낮은 지식수준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대생의 전체적인 여드름 지식 정도는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여대생이 미에 대한 관심과 피부건강을 위해 여드름에 관한 지식을 정보를 통해 많이 알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여대생들의 피부건강행위 수준에서는 평균점수는 5점 만점에 평균 2.84였다. 항목별에서는 세안 등 개인 위생에 철저히 신경을 쓴다, 자극적인 비누나 세제를 사용하지 않는다, 외출에서 집에 들어오자마자 화장을 지운다, 사외선이 강할 때는 그늘을 찾아 걸어다닌다 준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정기적으로 피부관리실을 방문하여 관리를 받는다, 피부건강을 위해 운동을 한다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보였다. 따라서 여대생이 자신이 경제적 능력이 없으므로 개인 위생이나 자극적이지 않는 비누사용, 세안 등의 피부관리에 많은 관심과 피부건강행위가 높게 나타났다. 변인에 따른 여대생의 피부건강행위 차이를 알아본 결과에서는 세안비누 종류에 따른 피부건강행위를 살펴보면 폼 클렌징이 높은 피부건강행위를 보였으며, 건강관심에 따른 피부건강행위를 살펴보면 건강에 관심이 많다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높은 피부건강행위를 보였으며, 음주 유무에 따른 피부건강행위를 살펴보면 전혀 마시지 않는다는 경우가 가장 높은 피부건강행위를 보였으며, 흡연 유무에 따른 피부건강행위를 살펴보면 예전에 피웠지만 지금은 안 피운다의 경우가 가장 높은 피부건강행위를 보였다. 여대생의 여드름지식정도에 따른 피부건강행위 차이를 알아 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와 같이 여대생의 여드름지식수준이 대체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대생의 피부건강행위수준도 중간이상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대생이 여드름 지식에 대하여 잘못 알고 있거나 피부건강행위에 대한 문항점수가 낮은 부분에 대해 정확하고 체계적인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알 수 있으며, 이들과 관련된 정보를 항상 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college women's skin care behaviors according to college women's knowledge level on acne and other variables. The subjects were sampled among the college women, who attend the colleges located in Busan and Kyungbuk, and SPSSWIN 10.0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It is concluded as follows; The college women's knowledge level on acne scored averagely 39.36, and slnce their knowledge level on acne was indicated as high in 19 questions out of 23 questions, it shows that their knowledge level is high. However, in 4 questions such as "If acne is not popped, it becomes a spot.", "acne arises out of constipation.", "acne gets worse right before menstruation.", and "acne arises due to stomach problems.", it was indicated that their ratio of wrong answer was high and their knowledge level was low. In the sub-areas, their knowledge level on acne care was indicated as high(1.78), and their knowledge level on the factors deteriorating acne was indicated as low(1.65). Therefore, the college women's knowledge level on acne was indicated as high on the whole, and we can know from this that college women have much knowledge on acne, which is obtained from mass media or books, together with their interest in beauty and for their skin care. In regard with the college women's skin care behavior level, it scored averagely 2.84 with a full mark of 5. If we look into them by each question, it was indicated as high in the following order, such as "thoroughly take care of personal sanitation including washing, "don't use stimulative soap or washing aid", "remove make-up as soon as getting home", "walk along the shade when ultraviolet ray is strong". And in the cases of "regularly visit skin care shop and receive skin care" and "do exercise for skin care", they showed low score. Thus, since the college women have no financial ability, their much interest and skin care behavior was indicated as high in the items such as "personal sanitation or no use of stimulative soap" or "washing". In the results of examining college women's skin care behavior according to variables, if we look into their skin care behaviors according to the soap kind, foam-cleansing soap showed high skin care behavior, and if we look into their skin care behavior according to their interest in health, the case that they answered they have much interest in health showed the highest skin care behavior, and if we look into their skin care behavior according to whether to drink or not, the case that they never drink showed the highest skin care behavior, and if we look into their skin care behavior according to whether to smoke or not, the case that they smoked in the past but presently don't smoke showed the highest skin care behavior. The skin care behavior among number of washing, height, weight, sleeping time, appearance satisfaction, health status by skin type and satisfaction with body type or appearance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s a result the writer examined the difference of college women's skin care behavior according to their knowledge level on pimple, it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s shown in the results above, the college women's knowledge level on pimple was indicated as high, and also their skin care behavior level was indicated as high over medium. However, if we see the cases that they have wrong knowledge on pimple or they show high level skin care behavior in personal sanitation area, we can know from this the necessity or importance of exact and systematic education on pimple knowledge and skin care behavior, and it suggests that we need to help them access to the information related to skin care at all times.

      • 부산지역 메디칼 스킨케어에서의 여드름 관리 실태와 박피 만족도

        이정희 고신대학교 보건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15

        메디칼 스킨케어의 개념은 단지 질병의 보조적인 역할이나 회복기 환자의 정신적, 신체적 문제를 해결하는 소극적 역할 외에 현재의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고 더욱 더 건강하고 아름다운 피부를 만들기 위한 적극적인 피부 관리이며, 최근 높아진 미적 요구에 따라 과학적이고 전문적인 메디칼 스킨케어의 관심과 이용이 높아가고 있어 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메디칼 스킨케어를 이용하는 여드름 환자의 여드름에 대한 지식 정도와 관리 실태, 그리고 박피 시술에 대한 만족도 및 시술 후 관리 정도를 파악하여 보다 효과적인 여드름 관리 방안과 박피 시술 후 관리 프로그램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2006년 2월 20일부터 3월 20일까지 부산지역 피부과의 메디칼 스킨케어를 이용하는 성인 여드름 환자 309명을 대상으로 직접 기입 방식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메디칼 스킨케어 이용 대상은 여성 73.8%, 20-30대가 88.1%, 지성 피부타입이 42.4%, GradeⅡ(면포성+구진성)단계가 35.3%이며, 대부분 여드름 발생에 대한 스트레스(93.2%)를 받고 있었다. 그리고 이용 대상자의 여드름 발생원인 인지도는 정답률 37.5%-93.9%(평균 76.7%), 관리 인지도는 정답률 56.5%-90.6%(평균 78.7%), 악화 인지도는 정답률 44.3%- 93.2%(평균 69.5%)로 대체로 높은 지식 정도를 나타내었다. 2. 피부타입 중 지성타입이 여드름 발생 비율과 GradeⅡ-Ⅳ의 비율에서 각각 47.6%와 43.1%-59.1%로 가장 높았고, 또한 여드름 발생 스트레스(52.4%)도 매우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001의 수준에서 유의한 통계적 차이를 나타내었다. 3. 여드름 관리 실태를 살펴보면, 하루 평균 세안 횟수는 2회가 73.8%로 가장 많았고, 세안제로는 57%가 폼 클렌징을 쓰며, 여드름 정보원과 피부 관리 매체는 피부과 의원이 각각 54.4%, 64.1%로 가장 높았다. 4, 여드름 치료를 위한 박피 종류와 치료 실태를 살펴보면, 박피 종류는 성별, 연령, 직업, 학력, 결혼 여부와 피부 타입, 여드름 정도, 스트레스 정도에 관계없이 화학 박피술(79,6%)을 가장 많이 선호하며, 시술 횟수는 3-4회(37.9%), 시술 중 피부 반응은 약간 민감(57.6%), 박피 시술 후 반응은 약간 따끔(67.0%), 시술효과는 2-3회 시술(37.9%), 시술 후 부작용은 없음(61.8%)이 각각 가장 높았다. 5. 박피 시술 후 만족도에서는 여드름 증세 호전이 5점 만점에 평균 3.87점으로 가장 높았고, 시술 후 피부가 전보다 좋아짐(3.85점), 박피시술 결과 만족(3.76점), 외모 개선 도움(3.65점), 치료목적으로 박피시술 다시 받음(3,65점), 주변사람들 권유(3.65점), 자신감 향상(3.58점), 박피시술 기간 적당(3.40점), 박피 시술 가격 적당(3.12점) 순으로 높게 나타나, 시술 가격을 제외하고는 박피 시술에 대체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박피 종류와 여드름 정도에 따른 박피 효과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6. 여드름 치료를 위한 박피 시술 후 관리 정도를 살펴보면, 외출 시 자외선 차단 제를 바름이 5점 만점에 평균 4,20점으로 가장 높았고, 보습크림을 바름(3.95점), 박피 후 재생 관리(3.92점), 박피 후 홈 케어 구입(3.76점), 각질을 억지로 제거하지 않음(3.67점)순으로 대체로 높은 반면, 찜질 방 및 사우나는 피함(3.29점), 뜨겁고 매운 음식을 피함(3.06점)은 다소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메디칼 스킨케어를 이용하는 연구대상자의 여드름에 대한 지식 정도는 다소 높았고, 박피시술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 여드름 관리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대체로 박피시술 후 관리는 대체로 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드름 치료를 위하여 박피 시술방법을 이용한 치료효과를 극대화하고 관리 부주의로 발생하는 여러 가지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박피시술 후 재생 관리에 대한 후속 프로그램의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The ultimate purpose of medical skincare exceeds treating of illnesses and solving mental and physical problems of patients in recovery and extends into maintaining healthy skin and making healthier and more beautiful skin. With the increasing demands in beauty and interests in scientific and professional medical skincare, it is necessary to study medical skincare. In this respect, this study understood acne patients' knowledge in and control of acne and satisfaction with and post-management after peeling at medical skincare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effective acne control and peeling programs. For this purpose, survey forms were distributed to 309 adult acne patients using medical skincare at dermatologists' in Busan between February 20 and March 20, 2006. The following lists results: 1. It was found that 73.8% of medical skincare users were women, 88.1% were in between their 20s and 30s, 42.4% had oily skin, 35.3% were in Grade II (blackhead/whitehead + papular acne), and 93.2% were stressed by their acne problems. Also, users gave 37.5%-93.9% (average 76.7%) of correct answers to questions regarding cause of acne, 56.5%-90.6% (average 78.7%) to questions regarding acne control, and 44.3%-93.2% (average 69.5%) to questions regarding worsening. Overall, subjects were generally knowledgeable about their skin. 2. As for skin type, oily type took 47.6% of all subjects and 43.1%-59.1% in Grades Ⅱ-Ⅳ. Also, many of them were very stressed by their acne (52.4%) and showed a statistical significance when p<.001. 3. As for acne control, 73.8% washed their faces twice a day in average and 57% used foaming cleansers. Also, 54.4% gathered information from dermatologists and 64.1% regularly visited dermatologists' for skincare. 4. As for the types and use of peeling for acne control, a majority of subjects preferred chemical peeling (79.6%) regardless of their sex, age, occupation, education, marital status, skin type, severity of acne, and stress. Many of them responded that they have had three to four peelings (37.9%) and experienced minor sensitivity (57.6%) during peeling and minor sting (67.9%) after peeling. In addition, many of them saw positive effects after two to three times (37.9%) and experienced no reverse effects (61.8%). 5. Satisfaction with peeling received an average of 3.87 out of 5 possible points for positive effects on acne control. Many subjects responded that they were satisfied by their skin after peeling (3.85), were satisfied by overall effect of peeling (3.76), were satisfied by their appearance after peeling (3.65), received additional peeling for treatment purposes (3.65), were recommended to peeling by acquaintances (3.65), enhanced confidence after peeling (3.58), were satisfied by the length of peeling treatment (3.40), and were satisfied by the price of peeling (3.12). Overall, they were mostly satisfied by the peeling treatment, except for its pric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different types of peeling and the severity of acne did not impact the effect of peeling and the subjects' satisfaction with peeling. 6. As for the post-management after peeling for acne control, a majority of responders said that they use sun block cream before going out (4.20), use moisturizing cream (3.95), receive reproduction control (3.92), purchase home skincare system (3.76), and gently remove cuticles (3.67). Other responses included: avoid hot massages and sauna (3.29) and avoid hot and spicy food (3.06). As shown above, it was found that subjects who have used medical skincare have above-average knowledge on acne and satisfaction with peeling for acne treatment and use appropriate post-management measures after peeling. To maximize the effect of peeling for acne control and avoid any further problems, however, it is necessary to study reproduction control and other post-management programs that may follow peeling treatment.

      • Acinetobacter species의 cargapenem 내성 획득 기전

        김명은 고신대학교 보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15

        연구배경 및 목적 : 본 연구에서는 부산의 한 대학병원에서 분리된 carbapenem 내성 Acinetobacter spp.를 대상으로 carbapenem에 대한 내성획득기전을 조사하고 이들 내성세균이 생성하는 carbapenemase의 유전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 2007년 4월부터 11월까지 부산의 한 대학병원에서 분리된 cabapenem 내성 Acinetobacter spp.를 수집하였다. Carbapenem에 대한 감수성 시험을 디스크 확산법으로 확인하고 carbapanemase 생성균주 선별은 cloverleaf test, metallo-β-lactamase (MBL) 생성균주 선별은 EDTA+SMA (sodium mercaptoacetic acid) synergy법으로 시험하였다. 최소억제농도는 한천희석법으로 하였다. PCR과 염기서열로 유전형을 분석하였고 ERIC-PCR에 의한 역학적 연관성과 16S rRNA methylase 유전자 검출도 조사하였다. 결과 : Carbapenem 내성 Acinetobacter spp. 총 38주는 carbapenemase를 모두 생성하였고 MBL생성균주는 4주(10.5%)로 나타났다. PCR산물의 염기서열 분석으로 bla_(IMP-1) 유전자 6주(15.8%), bla_(VIM-2) 유전자 2주(5.3%), bla_(OXA-23) 유전자 1주(2.6%)를 검출하였고 이들 9주의 carbapenem에 대한 MIC는 16 mg/L-32mg/L 및 16 mg/L-64 mg/L를 보였으며, 내성유전자가 검출되지 않은 29주에 대한 MIC는 이들 유전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다. 16S rRNA methylase 유전자 검출을 위해 수행한 PCR에서는 31주가 armA 유전자에 양성반응을 보였다. 그중 각 1주는 OXA-23과 IMP-1 유전자를 동시 보유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본 연구의 대상이 된 병원에서 분리되는 carbapenem 내성 Acinetobacter spp. 는 carbapenemase를 흔히 생성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armA 유전자 동시 보유로 인하여 MBL, 16S rRNA metlylase 등을 동시에 생성하는 세균에 의한 감염증 치료시 항균제의 선택범위가 제한될 것으로 생각되며, 따라서 carbapenemase를 생성하는 Acinetobacter spp.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속적인 조사와 감시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Background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 of carbapenem-resistant Acinetobacter isolates in a university hospital in Busan, and to determine the mechanism. Methods : During the period of April to November, 2007, carbapenem resistant Acinetobacter spp. isolates from patients in a university hospital were collected. Antimicrobial susceptibilities to carbapenem were hospital were collected. Antimicrobial susceptibilities to carbapenem were tested by the disk diffusion method. Screening for product of carbapanemase and metallo-β-lactamase were performed by the modified cloverleaf test and EDTA+SMA (sodium mercaptoacetic acid) synergy test. MICs were determined by the agar dilution method. Search for 16S rRNA methylase genes was conducted by PCR amplification, and the genotypes were determined by direct nucleotide sequence analysis of the amplified products. Epidemiologic study was performed by enterobacterial repetitive intergenic consensus (ERIC)-PCR. Results : A total of 38 carbapenem-resistant Acinetobacter isolates showed positive results in the modified cloverleaf test and 4 isolates (10.5%) showed positive results in the EDTA+SMA synergy test. PCR experients for the detection of bla_(IMP-1), bla_(VIM-2), and bla_(OXA-23) gene showed positive results in 6 (15.8%), 2 (5.3%), and 1 (2.6%) isolates, respectively. MIC ranges of imipenem and meropenem were 16 mg/L ~ 32 mg/L and 16 mg/L ~ 64 mg/L, respectively, The armA gene was detected in 81.6% from 16S rRNA methylase. Conclusion : Our carbapenem-resistant Acinetobacter isolates produced carbapene- mases frequently, many of them harbored armA gene, simultaneously. Periodical surveys are necessary to monitor spreading of carbapenem resistant isolates.

      • 내·외복사근 탄력테이핑요법의 요통의 개선효과

        고성근 고신대학교 보건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15

        연구배경 및 목적 : 요통은 사람이 살아가면서 한번쯤 경험하며 대부분의 경우 그 원인은 신체의 노령화 현상에 의한 것으로 노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형의학적 테이핑을 활용하여 요부의 굴곡과 신전에 따른 내 ∙ 외복사근 탄력테이핑요법을 실시한 후, 요부통증 기능장애(Oswestry Disability Index: ODI)와 유연성에 대한 시각적 통증 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 2012년 3월부터 4월까지 양산시내 소재 노인정, 노인 대학 및 노인 복지관 의 60대 이상 남 ․녀 방문객 102명을 대상으로 치료 전, 1회 치료, 2회 치료, 3회 치료 후 설문조사 외 ODI와 VAS측정을 하여 빈도분석,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결과 : 내 ∙ 외복사근 탄력테이핑요법의 굴곡과 신전방향의 유연성에 대한 VAS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01). 내․외복사근 탄력테이핑요법의 치료에 따른 유연성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001). 내 ∙ 외복사근 탄력테이핑요법이 일상생활 활동 시 ODI의 항목별 변화에서 통증정도, 개인위생, 물건들기, 걷기, 앉기, 서있기, 잠자기, 사회생활, 여행 등의 9개 문항에서 굴곡과 신전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01). 내 ∙ 외복사근 탄력테이핑요법이 일상생활 활동 시 ODI의 통증정도에 따른 굴곡과 신전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01). 결론 :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요부의 굴곡과 신전에 따른 내․외복사근 탄력테이핑 요법은 요통의 경감과 허리 유연성을 증가 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중심단어 : 탄력테이핑요법, 요통, 유연성, 시각적 통증 척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