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종양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암성통증 관리에 대한 지식과 태도 비교

        권은주 고신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암은 전 세계적인 건강 문제로 급속한 의학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사망 원인 중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종양병동 간호사는 암환자를 간호 할 기회가 많고, 암환자 간호에 대한 교육 횟수나 암환자 교육 이수 시간이 일반병동 간호사보다 많아, 암성통증 관리에 대한 높은 지식과 긍정적인 태도가 요구된다. 또한 암은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에 있어 암환자를 간호하는 시간이 늘어나고, 암환자 간호는 급·만성질환자 간호와는 다른 특성을 보이며, 암환자를 위한 종양병동이나 전문 간호사가 부족하여, 암환자들이 일반 병실에서 입원하고 있으면서 각 과의 일반 간호사에 의하여 통증 관리를 받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일반병동 간호사 역시 암환자에게 환자 중심의 질 높은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서 암성통증 관리에 대한 높은 수준의 지식과 긍정적인 태도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종양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암성통증 관리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비교해 봄으로서 효과적인 암성통증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가 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종양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암성통증 관리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비교하기 위한 서술적 비교 조사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종양병동을 갖춘 B광역시 소재 3개 대학병원과 K시 소재 D종합병원 그리고 P시 소재 S종합병원과 U시에 소재한 U대학병원에서 각각 6개월 이상 근무한 종양병동 간호사 125명과 일반병동 간호사 137명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09년 1월 6일부터 동년 2월 2일까지였다. 자료수집 방법은 연구자와 두 명의 연구 보조원이 B광역시 소재 3개의 대학병원과 K시 소재 D종합병원, P시 소재의 S종합병원, U시에 소재한 U대학병원의 간호부에 직접 방문하여 연구의 목적과 취지를 설명하고 허락을 얻은 후 관련된 각 병동 수간호사를 통해 간호사들에게 배부하였다. 작성된 설문지는 다시 수간호사를 통하여 연구자와 두 명의 연구 보조원이 회수하였다. 연구의 도구로 암성통증 관리에 대한 지식은 신영희, 박영숙(1995)이 개발하고 김성자 등(1997)과 이선희(2003)가 수정한 통증지식 측정도구를 본 연구자가 간호학 교수의 3인의 자문을 받아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암성통증 관리에 대한 태도는 Watt-Watson 등(1992)이 개발하고 현 주(1998)가 번역하여 남미숙(2003)이 수정한 통증관리 태도측정 도구를 본 연구자가 간호학 교수의 3인의 자문을 받아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PC WIN 1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t-test, χ2-test, Fisherʼs exact 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두 군의 제 특성을 비교한 결과, 연령, 학력, 종교, 결혼, 직위, 총 근무경력, 현부서 근무경력, 암환자 간호경력, 통증교육 이수 횟수, 이수시간 및 필요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두 군의 현재근무 부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X²=159.875, p= .000), 종양병동 간호사는 내과계가 100%(125명)로 모두 내과 병동에 근무하고 있었으며, 일반병동 간호사는 내과계 23.4%(32명)로 내과 병동과 신경과 병동에 근무하고 있었고, 외과계는 76.6%(105명)로 정형외과 병동이 가장 많았고, 다음이 산부인과 병동, 외과 병동, 이비인후과 병동, 성형외과 병동의 순으로 나타났다. 2. 두 군의 암성통증 관리에 대한 총 지식 정도는 종양병동 간호사의 평균이 20.33±2.851로 일반병동 간호사의 평균 18.93±2.755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t=4.023, p= .000). 암성통증 관리에 대한 영역별 지식 정도는 진통제 투약(t=4.781 p= .000)과 진통제 약물작용(t=4.888, p= .000)에서 종양병동 간호사가 일반병동 간호사보다 점수가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통증사정에 대한 지식 정도 중 ‘중정도의 통증이 있어도 수면을 취할 수 있다’(χ²=14.660, p= .000), ‘환자가 통증을 호소할 때 이를 그대로 믿는다’(χ²=6.538, p= .011)는 문항에서 종양병동 간호사가 일반병동 간호사보다 점수가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진통제 투약에 대한 지식 정도 중 ‘진통제는 환자가 통증을 호소할 때마다 투여하는 것이 일정한 시간을 정해 놓고 투여하는 것보다 낫다’(χ²=7.616, p= .006), ‘종양성 통증 조절을 위해 비마약성 진통제를 사용하였으나 그 효과가 충분하지 않을 때 다음 단계로 마약성 진통제를 경구 투여한다’(χ²=6.382, p= .012), ‘정맥주사로 진통제를 투여 받는 환자가 오심과 구토 증세를 보이면 진통제는 계속 투여하면서 진토제를 투여한다’(χ²=22.130, p= .000)는 문항에서 종양병동 간호사가 일반병동 간호사보다 점수가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진통제 약물작용에 대한 지식 정도 중 ‘Demerol은 Morphine보다 부작용이 적다’(χ²=22.310, p= .000), ‘마약성 진통제에 대한 내성의 증가는 곧 중독을 의미한다’(χ²=7.186, p= .007), ‘통증 조절을 목적으로 Morphine을 장기적으로 다량 투여했을 경우 호흡곤란으로 사망할 가능성이 높다’(χ²=19.268, p= .000), ‘경구용 진통제 용량은 정맥용 진통제 용량의 약 2-3배를 투여해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χ²=20.499, p= .000)는 문항에서

      • 암성통증 환자 대상 간호사의 인간중심돌봄 영향요인

        김소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Cancer pain is one of the most critical issues in cancer patients' nursing care and significantly impacts their treatment and quality of life. Nursing care for patients with cancer pain is a specialized nursing area that requires a holistic nursing approach. Nurses who care for patients with cancer pain must have specific competencies and expertise to provide appropriate care. Hence, nurses must honor the individuality of patients experiencing cancer pain and deliver nursing care using a person-centered care. While research on person-centered care has primarily focused on elderly care in nursing homes, there is limited research on person-centered care among general hospital nurses who provide theory-based care for patients with cancer pai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person-centered care provided by general hospital nurses caring for patients with cancer pain, explore the influential factors on person-centered care, and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To elucidate the person-centered care provided by nurses for patients with cancer pain, this study employed a conceptual framework grounded on McCormack and McCance's Person-centered Care Theory and Swanson's Caring Theory. Based on this conceptual framework, the major study variables included cancer pain management attitude, cancer pain management knowledge, empathy,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caring efficacy. The study utilized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research study, and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from February 6 to February 19, 2023. The data collected from 169 participants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5.0 program.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empathy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r=.27, p<.001), empathy and caring efficacy (r=.16, p=.042),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caring efficacy (r=.62, p<. 001). In addition, person-centered care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empathy(r=.18, p=.020), communication competence(r=.52, p<.001), and caring efficacy (r=.57, p<.001). The study identified that communication competence(β=.26, p=.001) and caring efficacy (β=.38, p<.001)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person-centered care by nurses caring for patients with cancer pain. The regression model explained 38.4% of the variance.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serve as a basis for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a person-centered care education program to enhance the person-centered care of nurses caring for patients with cancer pain.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the further development of theory-based research on person-centered care and the improvement of both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cancer pain and the quality of nursing care. 암성통증은 암환자 간호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 중 하나이고 암성통증 환자의 치료와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암성통증 환자의 간호는 전인적 간호를 필요로 하는 전문적인 간호 영역으로, 암성통증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는 전문성을 가지고 암성통증 환자에 맞는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간호역량을 갖추어야 한다. 따라서 간호사는 암성통증을 호소하는 암환자의 개별성을 존중하여 인간중심돌봄 행위를 통해 간호하는 것이 필요하다. 간호사의 인간중심돌봄에 대한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노인간호에서 수행되어 왔으며, 이론에 근거하여 암성통증 환자를 간호하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인간중심돌봄과 관련된 요인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암성통증 환자를 간호하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인간중심돌봄을 확인하고, 인간중심돌봄에 미치는 영향요인과 요인들간의 상관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암성통증 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인간중심 돌봄을 설명하기 위해 McCormack과 McCance의 인간중심돌봄 이론과 스완슨의 돌봄 이론을 근거로 변수를 선정하여 개념적 기틀을 구성하였 다. 선행연구를 근거로 개인적 특성, 암성통증 관리 태도, 지식, 공감, 의사소통 능력, 돌봄효능감이 인간중심돌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개념적 기틀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횡단적, 서술적 조사연구로서, 자료는 2023년 2월 6일부터 2월 19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 방식을 통해 수집되었고, 총 169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변수들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공감과 의사소통능력(r=.27, p<.001), 공감과 돌봄효능감(r=.16, p=.042), 의사소통능력과 돌봄효능감(r=.62, p<.001) 간에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인간중심돌봄은 공감(r=.18, p=.020), 의사소통능력(r=.52, p<.001), 돌봄효능감(r=.57, p<.001)과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암성통증 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의 인간중심돌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확인한 결과, 의사소통 능력(β=.26, p=.001), 돌봄효능감 (β=.38, p<.001)이었으며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38.4%이었다. 암성통증 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들의 인간중심돌봄은 인간중심돌봄 과정이자 스완슨의 돌봄 이론의 행하기 영역인 의사소통 능력, 돌봄 효능감이 유의한 예측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암성통증 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의 인간중심돌봄을 증진시키기 위한 인간중심돌봄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할 때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며 향후 후속 연구에서 암성통증 환자의 삶의 질 증진과 간호서비스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임상간호사의 암성통증 관리 지식

        박재성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암성통증 관리에 대한 지식을 확인함으로써 간호사를 위한 암성통증 관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2개의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267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는 2012년 11월 1일에서 11월 30일까지 편의표집하였다. 연구도구는 Ferrell과 McCaffery(2008)가 개발한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s survey regarding pain을 김미라(2008)가 번역하여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0.0 WIN program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및 Scheff 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호사들의 암성 통증 관리에 대한 지식의 평균은 20.53점 이었고, 하위영역별 점수는 통증사정 영역의 평균이 2.99점, 연령에 따른 통증간호영역의 평균은 2.23점, 약물의 작용과 부작용, 투약경로 및 간호영역의 평균은 10.74점,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 간호영역의 평균은 4.13점, 그리고 위약항목의 평균은 0.4점 이었다. 2. 일반적 특성 및 근무관련 특성에 따른 암성 통증관리에 관한 지식의 차이에 서 간호사의 연령(F=7.810, p=.001), 학력(F=7.241, p=.001), 직위(F=9.226, p<.001), 근무년수(F=12.812, p<.001), 교육경험(t-3.756, p<.001), 교육 횟수(F=11.551, p<.001)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실무 현장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암성 통증관리에 대한 지식이 부족함을 알수 있었다. 따라서 암성 통증 관리 지식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basic data in the development of cancer pain management program for clinical nurses by confirming their knowledge of the pain management. The subjects were 267 nurses working at 2 hospitals in Busan, Korea. Period for the data from Nov. 1st through Nov. 30th, 2012. The original instrument was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 survey regarding pain" by Ferrell and McCaffery(2008) but in this research the one was used translated and revised by Kim mi-ra(2008). The data were analysed by real number,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one way ANOVA and Schaff test using SPSS 20.0 WIN. program.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The subjects' mean score of the management knowledge for cancer pain was 20.53 points. And here are other mean scores of main questions. 2.99points for the questions of pain assessments, 2.23points of pain nursing according to age, 10.74points of nursing and administration, side effects of drug, 4.13points of nursing the patients who are complaining pain and 0.4points of placebo.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knowledge of cancer pain management according as nurses' age (F=7.810, p=.001), educational background(F=7.241, p=001), status(F=9.226, p<.001) years of service(F=12.812, p<.001), educational experience(t=3.756, p<.001) and frequency of education(F=11.551, p<.001). With the findings above, it has been revealed that nurses in the working field generally are not fully aware of the cancer pain management. It is therefore needed for them to have a systematic education program for the pain management and its application.

      • 암성통증관리 교육이 간호사의 암성통증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박정자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암성통증관리 교육이 간호사의 암성통증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단일군 전후 유사실험 연구이다. 연구기간은 2009년 6월 2일부터 7월 27일까지 전라북도 전주시 종합병원 간호사 25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교육 1차는 70분씩 2일 동안 2팀으로 나누어 실시하고, 2차는 한 달 후에 1차와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남미숙(2003)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1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가설검정을 위해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암성통증관리 교육을 받은 대상자는 암성통증관리 지식점수가 교육 전 보다 높아져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2. 암성통증관리 교육을 받은 대상자는 암성통증관리 태도 점수가 교육 전 보다 높아져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 암성통증관리 교육이 간호사의 암성통증관리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유용한 교육 프로그램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효과적인 암성통증관리를 위해 간호사를 대상으로 지속적인 암성통증관리 교육이 필요하다. 주요어 : 암성통증관리 교육, 간호사, 암성통증지식, 태도.

      • 간호사의 암성통증관리 지식, 태도, 장애요인, 간호사-의사 협력이 암환자 통증관리 수행에 미치는 영향

        이수빈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Unlike in the past, where only the patient’s disease was treated, emphasis on holistic nursing has heightened the focus on symptoms affecting the lives of cancer patients, especially in relation to pain. Pain can be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the cancer treatment itself due to its close association with patients’ quality of life. While the importance of pain management is increasingly being recognized, many cancer patients still do not receive adequate pain management, despite heightened awareness on its importance.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formance of cancer pain management, knowledge, attitude, barriers, and the degree of nurse-physician collaboration among nurses caring for cancer patients; as well as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the performance of cancer pain management. Thus, the study ultimately sought to contribute to alleviating pain in cancer patients and enhancing their quality of life.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25 to October 2, 2023, using online questionnaires administered to oncology nurses across 10 medical institutions in Korea. The performance of cancer pain management was measured using an assessment tool developed by Jo, Eun Kyung (2009). The knowledge component was assessed using Jo, Eun Kyung’s (2009) tool, modified and supplemented in 2023 to align with the 7th edition of the revised Cancer Pain Management Guideline. The attitude component was measured using a decision-making scenario tool developed for this study, based on the Nurse Knowledge and Attitudes Survey Regarding Pain (NKASRP; Ferrell & McCaffery, 2014). Barriers to cancer pain management were assessed using a tool developed by the National Cancer Center (2014), and Nurse-Physician collaboration was measured using the Nurse-Physician Collaboration Scale (NPCS; Ushiro, 2009) adapted into Korean (Mun, 2015). One hundred twenty nurses participat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with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performance of cancer pain management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attitude (r=.127, p>.05) nor barriers (r=-.076, p>.05). However, it had a weak negative correlation with knowledge (r=-.216, p=.018) and a moderate positive correlation with nurse-physician collaboration (r=.511, p<.001). The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cancer pain management performance revealed that age (β=.19, p=.034), experience in pain management education (Ref. None: β=.25, p=.003), and nurse-physician collaboration (β=.44, p<.001) had a positive impact on performance. In contrast, the clinical unit (Ref. Internal & Surgical: β=-.20, p=.041) had a negative impact. Their explanatory power was 41.8%. To enhance nurses’ performance of cancer pain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based on various cases of cancer patient pain, enabling nurses to fully understand and experience cancer pain. Rather than providing uniform education, a systematic and differentiated educational approach to pain management,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linical unit, is required. To strengthen the nurse-physician collaboration that positively influences the performance of cancer pain management, an emotional education program where nurses and physicians can share their opinions in the same setting is essential. Additionally, there is a need for institutional changes at the healthcare facility level to enhance their relationship. 환자의 질병만을 치료했던 과거와는 달리 전인적 간호가 당연해진 현재에 와서는 암환자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증상들, 특히 통증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통증은 환자의 삶의 질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점에서 암 치료 이상으로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통증관리 중요성은 나날이 높아지고 있으나 그러한 높은 인식에 비해 여전히 많은 암환자들은 적절한 통증관리를 받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24시간 암환자 곁을 지키고 있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암성통증관리 수행, 지식, 태도, 장애요인 그리고 간호사-의사 협력 정도를 조사하고, 암성통증관리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는 궁극적으로 암환자가 호소하는 통증 정도를 유의하게 감소시키고 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것이다. 본 연구는 서술적 상관성 조사연구로서, 자료수집은 2023년 9월 25일부터 10월 2일까지 10개 의료기관의 종양간호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지를 통해 수집하였다. 암성통증관리 수행은 조은경(2009)이 개발한 수행 실태 측정도구로, 지식은 조은경(2009)의 도구를 2023년에 개정된 암성통증관리지침 7판의 내용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측정하였다. 태도는 Nurse Knowledge and Attitudes Survey Regarding Pain (NKASRP; Ferrell & McCaffery, 2014) 도구를 근간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의사결정 시나리오 도구를 사용하였다. 암성통증관리 장애요인은 국립암센터(2014)에서 개발한 도구로, 간호사-의사 협력은 Nurse-Physician Collaboration Scale (NPCS; Ushiro, 2009)을 문은회(2015)가 한국판으로 번안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종양간호사 120명의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program를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T-test, one-way ANOVA, Pearson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전체 대상자들의 암성통증관리 수행은 4점 만점에 평균 3.33±0.38점으로 높은 수준이었다. 통증 지식은 26점 만점에 평균 20.68±2.63점, 태도는 3점 만점에 평균 2.54±0.44점으로 두 요인 모두 높은 수준이었다. 대상자의 암성통증관리 장애요인은 4점 만점에 평균 2.24±0.49점으로 중간 수준이었으며, 간호사-의사 협력은 5점 만점에 평균 3.49±0.78점으로 중간 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암성통증관리 수행은 태도(r=.127, p>.05)와 장애요인(r=-.076, p>.05)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식과는 부(-)의 상관관계(r=-.216, p=.018)였으며, 간호사-의사 협력과는 정(+)의 상관관계(r=.511,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성통증관리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연령(β=.19, p=.034), 통증관리교육경험(Ref.무: β=.25, p=.003), 간호사-의사 협력(β=.44, p<.001)은 암성통증관리 수행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고, 근무병동(Ref.내ㆍ외과계: β=-.20, p=.041)은 부 (-)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모델의 설명력은 41.8%였다.

      • 암성통증관리 교육이 재가암환자의 암성통증관리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김난희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암성통증관리 교육이 재가암환자의 암성통증관리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의 유사실험 연구이다. 연구기간은 2010년 3월 1일부터 4월 20일까지이고, 연구대상은 N지역의 재가암환자로 실험군 31명, 대조군 31명 이었다. 연구도구는 정성희(2007)의 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χ²-test, t-test, ANCOVA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 1가설 ‘암성통증관리 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교육을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암성통증관리에 대한 인식이 더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암성통증관리 인식은 실험군과 대조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제 1가설은 지지되었다. 2. 제 2가설 ‘암성통증관리 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교육을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암성통증관리에 대한 태도가 더 긍정적일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암성통증관리 태도는 실험군과 대조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제 2가설은 지지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암성통증관리 교육이 재가암환자의 암성통증관리 인식을 높이고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재가암환자의 효과적인 암성통증관리를 위해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암성통증관리 교육이 필요하다. 주요어 : 암성통증관리, 재가암환자, 인식, 태도 Objective : This study evaluated the impact of cancer pain management education on home care cancer patients' perception and attitudes using 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Method : Between March 1, 2010 and April 20, 2010, we approached total 62 home care cancer patients (31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31 patients in the control group) in N area. We used the modified Jung's method as a research tool. Statistical comparisons between groups were performed using analysis of variance (ANCOVA) and student's t test. Standard statistical processing software (SPSS version 12.0; SPSS, Inc., Chicago, IL) was used. Results : The first hypothesis-'the experimental group's patients who received education about cancer pain management may have more perception than the control group patients who did not received education.'- was verifi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wo groups. Second hypothesis-'the experimental group's patients who received education about cancer pain management may have more positive attitudes than the control group patients who did not received education.'- was verifi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wo groups. Conclusion : Upon the results Through experiments, it was confirmed verified that the cancer pain management education to home care cancer patients can improve the patients' perception and attitudes. So we should need the continuous and systemic cancer pain education for the home care cancer patients' effective cancer pain management. keywords : Cancer pain management, Home care cancer patients, Perception, Attitudes

      • 종양병동과 일반병동 간호사의 암성통증 관리에 대한 지식과 수행 비교

        이은미 고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2

        암환자의 가장 주된 문제는 통증으로 보고되고 있어 통증관리가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의 주요 과제가 되고 있다. 그런데 암환자의 증가로 인해 암환자가 종양병동이 아닌 일반병동에 입원하여 치료를 받는 경우가 많다. 여러 연구들에서 일반병동 간호사는 종양병동 간호사에 비해 암성통증 관리에 대한 교육 횟수 및 교육 이수시간이 적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또한 암성통증 관리에 대한 지식 정도가 높을수록 암성통증 관리를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일반병동에 입원해 있는 암환자들이 통증관리를 적절히 받고 있는지 또한 암환자들만을 돌보고 있는 종양병동 간호사들도 암성통증 관리에 대해 높은 지식을 가지고 수행을 잘 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종양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암성통증 관리에 대한 지식 정도와 수행 정도를 비교하는 것은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종양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암성통증 관리에 대한 지식 정도와 수행 정도를 비교하기 위한 탐색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J시, U시 소재 각 1개의 대학병원과 B시, D시 소재 각 2개의 대학병원에서 각각 6개월 이상 근무한 종양병동 간호사 129명과 일반병동 간호사 131명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0년 10월 25부터 동년 11월 7일까지였다. 자료수집 방법은 B시에 소재한 2개 대학병원과 D시, U시에 소재한 각 1개 대학병원은 본 연구자가 전화로 간호부서 담당자에게 연구목적과 방법을 설명하고 설문에 협조를 얻은 후 간호부서를 통해 대상자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그런 다음 연구에 참여를 동의하는 대상자의 서면동의를 받은 후 설문지를 작성토록 하였다. D시, J시에 소재한 각 1개 대학병원은 본 연구자가 전화로 간호부서 담당자에게 연구목적과 방법을 설명하고 설문에 협조를 얻은 후 수간호사의 허락을 받은 후 연구 보조원을 통해 대상자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그런 다음 연구에 참여를 동의하는 대상자의 서면동의를 받은 후 설문지를 작성토록 하였다. 작성된 설문지는 연구 보조원을 통해 회수하여 우편으로 수거하였다. 연구 도구는 암성통증 관리에 대한 지식 측정도구는 조은경(2009)이 개발한 통증관리 지식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암성 통증관리 수행 측정도구는 보건복지가족부의 암성 통증관리지침 권고안(2008)을 조은경(2009)이 수정, 보완하여 사용한 수행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Window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test 및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대상자의 제 특성을 비교한 결과, 연령, 총 근무경력, 현부서 근무경력, 종교, 학력, 결혼 상태, 암 환자 간호경력, 통증교육 필요성에서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직위, 현재 근무부서, 암성통증관리 교육 이수 경험 유무 및 암성통증관리 교육 횟수 에서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암성통증관리 교육 이수 경험 유무에서는 종양병동 간호사가 교육받은 비율이 더 높았으며, 암성통증관리 교육 횟수도 종양병동 간호사가 더 많았다. 2. 대상자의 암성통증 관리에 대한 총 지식 정도는 종양병동 간호사가 일반병동 간호사보다 정답율이 유의하게 더 높았다(χ2=105.890, p< .000). 대상자의 암성통증에 대한 지식 정도는 종양병동 간호사가 일반병동 간호사보다 정답율이 유의하게 더 높았다(χ2=5.820, p= .032). 약물요법에 대한 지식 정도는 종양병동 간호사가 일반병동 간호사보다 정답율이 유의하게 더 높았다(χ2=54.600, p< .000). 비약물요법에 대한 지식 정도는 종양병동 간호사가 일반병동 간호사보다 정답율이 유의하게 더 높았다(χ2=20.643, p< .000). 한편, 암성통증 관리에 대한 지식 정도를 문항별로 비교하였을 때 일반병동 간호사와 종양병동 간호사 간에 전체 30개 문항 중 20개 문항은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10개 문항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10개 문항 모두 종양병동 간호사가 일반병동 간호사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 3. 대상자의 암성 통증관리 총 수행 정도는 종양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1.406, p= .161). 통증사정 수행 영역은 종양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1.618, p= .107). 통증중재 수행 영역은 종양병동 간호사가 일반병동 간호사보다 통증중재 수행 정도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t=-2.331, p= .021). 통증평가 수행 영역은 종양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0.751, p= .453). 한편, 종양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암성 통증관리 수행 정도를 문항별로 비교해 보았을 때 21개 문항 중 5개 문항은 종양병동 간호사가 일반병동 간호사보다 수행 정도가 유의하게 더 높았으며, 2개 문항은 일반병동 간호사가 종양병동 간호사보다 수행 정도가 유의하게 더 높았고, 14개 문항은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특히 일반병동 간호사가 종양병동 간호사보다 수행 정도가 유의하게 더 높았던 문항은 ‘환자 스스로 통증을 관리할 수 있도록 PCA의 작동 원리, 사용방법 등을 교육한

      • 간호사의 암성통증 관리역량의 중요도와 수행도 분석

        허재연 중앙대학교 건강간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2

        연구목적: 암성통증 관리역량의 중요도-수행도 분석(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을 통해 간호사의 암성통증관리 교육요구도의 우선순위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단면적 서술적 조사연구로 간호사 230명을 편의 표출하였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암성통증관리 역량의 중요도와 수행도, 교육요구도를 자가보고식 설문조사를 활용하여 자료수집하였다. 암성통증 관리역량의 중요도와 수행도 차이는 Paired t-test, 교육의 최우선 순위 영역은 암성통증 관리역량 지표의 중요도와 수행도 matrix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사의 암성통증 관리 역량은 임상 조건, 통증사정과 측정, 통증관리와 통증의 다차원적 속성의 4개 요인이었으며 설명력은 68.44%이었다. 중요도-수행도 분석결과 4개 요인에서 중요도와 수행도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중요도와 수행도 matrix 분석결과 역량 집중 구역에 임상조건과 통증관리 요인이 확인되었다. 간호사들이 가장 선호하는 암성 통증관리의 교육 형태는 시뮬레이션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결론: 간호사들이 통증의 임상조건, 통증사정과 측정, 통증관리와 통증의 다차원적 속성을 포함한 암성 통증관리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 특히 임상조건과 통증관리 역량이 중요도에 비해 수행도가 부족하므로 향후 이들 영역에 대한 시뮬레이션 기반 역량향상 강화 프로그램이 간호사의 암성통증 관리 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Purpose: To identify the priority of nurses' cancer pain management education needs through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cancer pain management competency. Research Method: This study wa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research study and 230 nurses were conveniently express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nurses,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cancer pain management competency, and educational needs were collected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cancer pain management competency was analyzed by using the paired t-test, and the priority and priority areas of education were analyzed using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matrix of the cancer pain management competency index. Results: The nurse's ability to manage cancer pain was four factors of clinical conditions, pain assessment and measurement, pain management and multidimensional attributes of pain,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68.44%. As a result of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in four factor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matrix, clinical conditions and pain management factors were identified in the competency concentration area. The most preferred form of education for cancer pain management, which nurses prefer was the highest in simulation. Conclusion: Strategies are needed for nurses to improve their cancer management capabilities, including clinical conditions of pain, pain assessment and measurement, and pain management and multidimensional nature of pain. In particular, since the clinical condition and pain management competency are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importance,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effect of the simulation-based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 for these areas on the cancer pain management competency of nurses in the future.

      • 간호사의 암성통증관리 지식, 공감역량, 간호근무환경이 암환자 통증관리수행에 미치는 영향

        김유진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2

        This i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s’ knowledge of cancer pain management, empathic capacity,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performance of cancer pain management among nurses caring for cancer patient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between September 1 and October 31, 2022, utiliz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methods. The target group for the research comprised 136 nurses employed in wards and intensive care units at S University Hospital, which are situated in cities C and B and admit cancer patients. The measurement instruments used were the knowledge of cancer pain management instrument developed by Jo (2009), based on the Cancer Pain Guideline (2008) develop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of Korea; the Compassionate Competence Scale developed by Lee and Seomun (2016); the Korean Version of the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Nursing Work Index for Korean Nurses (PES-NWI) translated by Cho (2011), based on the PES-NWI developed by Lake (2006) for nurses; and the performance of cancer patient pain management instrument developed by Jo (2009), based on the Cancer Pain Guideline (2008) develop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of Kore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7.0 for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é’s tes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demonstrated that nurses’ level of cancer pain management knowledge was 16.18±4.99, the level of empathic capacity was 3.74±.38, the level of nursing work environment was 2.52±.39, and the level of cancer patient pain management performance was 3.09±.35. Empathic capacity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nursing work environment (γ=.455, p<0.01) and pain management performance (γ=.561, p<0.01). Nursing work environm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ain management performance (γ=.515, p<0.01). When the effects on cancer patient pain management performance were investigated, empathic capacity (β=.414, p<0.01)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β=.288, p<0.01) had significant effects, indicating that empathic capacity had a greater influence on pain management performance than did work environment, with the explanatory power of this regression equation being 41.6%.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empathic capacity and the perception of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the higher the level of cancer patient pain management performance to a significant extent. Thus, it is necessary to develop empathic capacity and improve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Further, as the level of perception of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differs according to the medical department, expanded studies are needed to measure the various environments that nurses work in. Moreover, empathic capacity development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accompanied by follow-up studie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 본 연구는 암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사의 암성통증관리 지식, 공감역량, 간호근무환경과 암환자 통증관리수행의 관계를 파악하는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22년 9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C시와 B시에 소재한 S 대학병원의 암환자가 입원하는 병동 및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 136명을 대상으로 자기 기입식 설문지법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도구는 조은경(2009)이 보건복지부의 암성통증관리 지침 권고안(2008)을 바탕으로 개발한 암성통증관리지식과 통증관리수행 측정도구, 이영진(2014)이 개발한 간호사 공감역량 측정도구, Lake(2006)가 개발한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Nursing Work Index(PES-NWI)를 조은희(2011)가 번역한 한국어판 간호근무환경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사의 암성통증관리 지식 정도는 16.18±4.99점, 공감역량 정도는 3.73±.38점, 간호근무환경 정도는 2.51±.39점, 암환자 통증관리수행 정도는 3.08±.35점으로 나타났다. 공감역량은 간호근무환경(γ=.447, p<.001), 통증관리수행(γ=.557, p<.001)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간호근무환경은 통증관리수행(γ=.510, p<.001)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암환자 통증관리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공감역량과(β=.41, p<.001)간호근무환경이(β=.29, p<.001)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공감역량이 근무환경에 비해 암환자 통증관리수행에 더 높은 영향력을 주었으며 본 회귀식의 설명력은 39.1%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공감역량과 간호근무환경의 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암환자 통증관리수행 정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므로 공감역량을 개발하고 간호근무환경을 개선하려는 시도가 필요하다. 또한 근무부서에 따라 간호근무환경의 인식수준이 달랐으므로 여러 환경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근무환경을 측정하는 확대 연구를 시행하고 공감역량 개발 교육이 필요하며 교육의 효과검증에 대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