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회불안 아동에 대한 격려중심 집단놀이치료의 효과

        김난희 대구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사회불안 아동에게 격려중심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사회불안을 감소시키는데 목적을 두고 실시되었다. 연구문제는 첫째, 격려중심 집단놀이치료는 아동의 사회불안을 변화시키는가, 둘째, 격려중심 집단놀이치료는 사회불안 아동의 행동적 특성을 변화시키는가이다. 연구대상은 U시에 소재한 지역아동센터 아동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3명, 2명씩 배치하였다. 격려중심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은 집단 내에서의 격려, 지지를 통해서 자신뿐 아니라 다른 사람의 삶에 대한 낙관적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하여 공동체감을 높임으로 사회불안을 감소시키는 데 목적이 있으며, 사회불안이라는 이들의 열등감을 찾아내어 잘못된 목표를 수정하고 자신의 장점과 노력에 초점을 맞춰서 자신의 능력을 믿고 자기 자신에게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주 2회, 1회기 60분, 총 10회 기로 실시하였으며 매 회기는 도입, 활동, 마무리로 실시되었다. 아동의 사회불안 변화는 사전, 사후에 아동이 보고한 사회불안 척도와 교사가 보고한 사회불안 척도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측정된 점수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사회불안 아동의 행동적 특성의 변화는 프로그램 초반인 1회기와 마무리 단계인 10회기에 관찰자 척도검사에서 측정된 점수로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격려중심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은 아동의 사회불안을 변화시켰다. 둘째, 격려중심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은 사회불안 아동의 행동적 특성을 변화시켰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수사례 실험연구로 일반화의 제한점이 있으나, 격려중심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불안을 변화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n encouragement-centered group play therapy program for children with social anxiety in an effort to ease their social anxiety. Two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First, Does an encouragement-centered group play therapy change the social anxiety of children? Second, Does encouragement-centered group play therapy change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ocially anxious childre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five selected children who used a local children's center located in an urban community.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ere organized with three and two children respectively. The encouragement-centered group play therapy program used in this study aimed to help children to be encouraged and supported from their group to take an optimistic attitude toward not only the lives of their own but of others to become more community-minded to relieve social anxiety. The program was designed to remedy their inferiority complex, namely social anxiety, in order for them to correct their improper goals, to focus on their own strengths and efforts, to believe in themselves and ultimately to solve their problems. The program was conducted in 10 sessions, twice a week, 60 minutes each, and each session consisted of orientation, activity and wrapping-up stages. As for changes in the children's social anxiety, two different scales were utilized. One was to have the children make a report of their own social anxiety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the other was to have their teacher report on their social anxiety. A comparative analysis was made after the scores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collected. Regarding changes in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ly anxious children, an observer scale was used in the 1st session and the 10th session, which were respectively the beginning and wrapping-up stage of the program, to measure their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then a comparative analysis was made to compare their scor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ncouragement-centered group play therapy program served to change the social anxiety of the children. Second, the encouragement-centered group play therapy program served to change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ly anxious children. The findings of the study might not be generalizable as only a small number of cases were selected to make an experimental research. but the findings illustrated that the encouragement-centered group play therapy program contributed to the changes of the children's social anxiety.

      • 광주 하남산업단지 사업장별 악취물질 관리방안 연구

        김난희 조선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47

        In this study was analyzed substances that high contribute to odor strength degree which emitted from the painting, the plating, the casting, the rubber manufacturing , and the used oil refining facilities in Gwangju Hanam industrial complex. In order to this, we analyzed two types of nitrogen compounds, five types of sulfur compounds, thirteen types of the aldehyde, and ten typ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discharged from an outlet for antipollution facilities.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high contribution rate sustances to odor strenth was ordered butylaldehyde(73.8%)>acetaldehyde(17.7%)>propionaldehyde(4.9%) at painting facilities. At plating facilities, it was ordered Acetaldehyde(59.0%)> ammonia(19.1)>hydrogen sulfide(13.1%). At casting facilities, it was ordered Hydrogen sulfide(65.9%)>acetaldehyde(17.2%)> sulfur dioxide(5.2%). At rubber manufacturing facilities, it was ordered i-valeraldehyde(35.0%)> butylaldehyde(32.0%)>n-valeraldehyde(13.3%) and at used oil refinery facilities, it was ordered Acetaldehyde(36.8%)> butylaldehyde(33.6%)> sulfur dioxide(14.5%). Key Words : Gwangju Hanam Industrial Complex, painting facilities, plating facilities, casting facilities, rubber manufacturing facilities, used oil refinery facilities, odor contribution rate. 본 연구에서는 광주 하남산업단지 내 도장, 도금, 주물·주조, 고무제조, 폐유정제사업장을 대상으로 사업장별로 발생되는 악취물질 중 악취기여도가 큰 물질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방지시설 배출구에서 질소화합물 2종, 황화합물 5종, 알데하이드류 13종, 휘발성유기화합물 10종, 총30 항목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악취기여도가 큰 물질은 도장사업장에서는 뷰틸알데하이드(73.8%)〉아세트알데하이드(17.7%)〉프로피온알데하이드(4.9%) 순으로 나타났고, 도금사업장에서는 아세트알데하이드(59%)>암모니아(19.1%)>황화수소(13.1%)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주물·주조사업장에서는 황화수소(65.9%)>아세트알데하이드(17.2%)>이산화황(5.2%) 순으로 나타났으며, 고무제조사업장에서는 I-발레르알데하이드(35.0%)>뷰틸알데하이드(32.0%)>n-발레르알데하이드(13.3%)으로 나타났다. 폐유정제사업장에서는 아세트알데하이드(36.8%)>뷰틸알데하이드(33.6%)>이산화황(14.5%) 순으로 나타났다. 주제어 : 광주 하남산업단지, 도장사업장, 도금사업장, 주물·주조사업장, 고무제조사업장, 폐유정제사업장, 악취기여도

      • 북한 통치이데올로기의 형성·변화와 사상교육에 대한 연구

        김난희 강원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47

        This study is designed to analyze Juche Idea, for which it examines the methodological problems of Juche Idea research, and the nature and development of Juche Idea. It investigates how Juche Idea as a ruling ideology has effected on North Korea political system and what functions and status Juche Idea has maintained. Moreover it focuses on how idea education has been carried out in order to establish Juche Idea as a ruling ideology in North Korea. Juche Idea is a ruling ideology which emphasizes the cause, the protection of North Koreans and socialist regime. As a matter of fact, it is impossible to have a thorough grasp of North Korea without understanding Juche Idea. Juche Idea is a ruling ideology which has been continuously reformed by the demands of times and realities. Juche Idea reflects a power-oriented will of Kim Il-Sung, and plays a role of political guidance in North Korea. However, Juche Idea is neither permanent nor unchangeable. Juche Idea has to change according to domestic and foreign situation. In spite of the rapid transition of political and social system in the Soviet Union and the European socialist countries, North Korea government has succeeded in protecting its system by emphasizing the excellence and originality of socialism of their own style.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this has been possible wholly due to Juche Idea. It will be meaningful to analyze the status and development of Juche Idea, and also to understand the substance and essence of North Korea system by accounting transition process of Juche Idea. Every communist regime has a ruling ideology based on Marxism-Leninism. The ruling ideology, which all the members are forced to support and obey, controls the whole aspects of social system. In the case of a communist system, a ruling ideology plays a significant role in pursuing existence and development. North Korea Communist Party also has been founded on Marxism-Leninism, but since Kim Il-Sung advocated 'Juche in the Party Project' in 1955, Kim's new idea became theoretically elaborated, systemized and then evolved into Juche Idea. And then 'Red Flag Idea' appeared after the death of Kim Il-Sung, and 'Kangsong Taeguk (Strong and Prosperous Country)' and 'Songun Chongchi (Military-First Politics)' did after the establishment of Kim Jung-Il regime. They are practical ideologies that were derived from Juche Idea, which means that they were modified versions of Juche Idea in terms of contents and framework. They are also dominant logics that regulate North Koreans' lives. Therefore we can see Juche Idea has been developed according to domestic and foreign affairs, and the nature and character of Juche Idea as a ruling ideology in North Korea has been transformed by KIm Il-Sung and Kim Jung-Il's political objectives. However the weakest point of Juche Idea is the argument that supreme leader, the party, and people need to be united as one entity and to be guided by supreme leader's instructions in order to complete the revolution and construction projects. This leads to cult of personality and personal dictatorship, which neglect North Koreans' subjectivity and force them to show only loyalties and blind obedience. It might be mainly due to the supreme leader's instructions that Juche Ideas is shunned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t is a matter of common knowledge that political idea education has played a crucial role in maintaining political system peculiar to North Korea and insuring its legitimacy. In spite of the fall of socialist countries and internal conflicts, long sustenance of socialist regime is owing to political idea education based on Juche Idea and its role as an effective control mechanism. Therefore Juche Idea will be used as ideological base for idea education and thought control in order to protect its own socialist system and continue to add theoretical reinterpretation in accordance with change of surroundings. North Korea government needs to solve the problems such as social unrest by financial difficulties, decreasing social productivity by the downside of bureaucracy, and anxiety about the sustenance of own political system after the fall of Eastern Europe and the Soviet Union. North Korea government seems to concentrate its energies on political surveillance and idea education based on Juche Idea, which has been translated into Suryng Ideology (Supreme Leader Theory), Organic Socio-Political Body Theory, Urisik Socialism (Socialism of Our Own Style), and Songun Chongchi (Military-First Politics) and suchlike. 본 논문은 주체사상에 대한 분석을 위해 먼저 주체사상 연구의 방법론적 문제를 검토하고, 주체사상의 본질과 성격이 어떠한 것인지, 주체사상이 역사적으로 어떠한 변화과정을 겪어왔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또한 변화과정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주체사상이라는 통치이데올로기가 북한체제에 미친 영향과 북한 체제 유지를 위하여 어떤 기능과 위상을 지녔는지 그리고 주체사상이라는 통치이데올로기를 유지하기 위하여 실시한 사상교양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의 문제들에 초점을 맞춰 고찰하고자 한다. 주체사상은 북한 주민들의 삶 자체의 수호라는 대의명분을 강조하며 사회주의 체제의 수호를 추구하는 통치이데올로기이다. 그러므로 주체사상에 대한 이해 없이 북한 사회에 대한 파악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하겠다. 북한의 주체사상은 시대적 상황과 현실의 변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새롭게 만들어지는 통치이데올로기이다. 김일성의 권력적 동기와 현실정치의 지도적 지침으로 제기되었던 주체사상은 사회주의발전의 성공과 좌절을 동시에 경험하게 하는 이데올로기로 발전하였다. 그러나 주체사상은 북한의 통치이데올로기로서 김일성과 김정일이 말한 것처럼 영원·불변의 것이 아니다. 대내외적 여건이 변하고 시대가 변함에 따라 주체사상은 변해갈 수밖에 없다. 북한이 소련 및 동유럽 사회주의 국가들의 급격한 체제전환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우리식’ 사회주의의 우월성과 독자성을 강조하며 체제수호에 성공한 것은 주체사상이라는 이데올로기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하여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 주체사상의 이러한 변천과정에 대한 체계적인 기술을 통해 북한체제에서 주체사상의 위상변화와 그 추이를 분석하는 것은 의미있는 일이며, 북한의 실체를 파악하기 위한 본질적 이해의 측면이 될 것이다. 모든 공산주의 체제는 마르크스-레닌주의의 기초를 둔 통치이데올로기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 체제 성원 모두가 지지하도록 강요된 통치이데올로기는 사회 체제의 모든 영역을 통제한다. 공산주의 체제의 경우, 생존과 발전을 지향함에 있어서 통치이데올로기가 차지하는 역할은 매우 크다. 북한의 공산당은 마르크스-레닌주의에서 시작하였으나 1955년 12월 김일성이 ‘당 사상 사업에서의 주체’를 내세운 이래, 차츰 구체적 내용을 담게 되고, 이론적으로 다듬어지고 체계화되면서 ‘주체 사상’으로 전개되었다. 김일성 사망 이후에는 ‘붉은기사상’, 그리고 김정일 체제가 공식화됨에 따라 ‘강성대국’ ‘선군사상’이라는 실천이데올로기가 등장하였다. 이러한 실천이데올로기들은 주체사상의 이론체계로부터 파생된 것이지만 그 내용과 구성으로 볼 때 주체사상의 변용을 시도하였고 이는 오늘날 북한사회의 유일한 통치이데올로기로서 북한 주민들의 삶 자체를 규율하는 지배논리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북한의 주체사상가들이 제시하고 있는 주체사상은 과거 북한 사회와 국제사회의 여러 가지 사회변수에 의해 영향을 받아 변화되어 왔지만 그것의 본질과 성격은 북한 통치자들, 특히 김일성의 정치목적에 따라 하나의 이데올로기로 작용하면서 변화해 왔음을 알게 된다. 그러나 주체사상의 가장 큰 맹점이며 약점이 되는 것은, 수령·당·인민이 일체로 통일되고 수령의 ‘지도’를 받아야만 혁명과 건설사업을 제대로 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이는 결국 개인 숭배와 일인 통치로 귀결되며, 인민대중의 주체성이 무시된 채 충성과 복종만을 요구하는 지배자의 통치 사상 논리가 되기 때문이다. 아마도 국제사회에서 주체사상이 배척받거나 호응을 얻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그러한 수령의 ‘지도’원리 때문일 것이다. 이러한 북한의 독특한 체제 유지와 정통성 확보에 정치사상교육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 왔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주변 사회주의 국가의 붕괴와 내부적 모순에도 불구하고 장기간 사회주의 체제를 지속하고 있는 것은 주체사상에 기초한 철저한 정치사상교양과 주체사상교양이 사회통제기제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해내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도 주체사상은 대내외적 환경과 조건 변화에 따라 이론적 재해석을 새롭게 더하면서 우리식 사회주의를 지키기 위한 사상교양과 사상통제의 이념적·사상적 기초로 활용될 것이다. 북한은 경제난으로 인한 주민들의 사회불만, 관료제의 병폐로 결과된 사회적 생산성의 저하, 동구와 소련의 붕괴로 인한 체제유지의 불안 등의 과제를 해결하고 대외개방을 준비하는 데 있어서 수령론, 사회·정치적 생명체론, 우리식 사회주의, 선군정치 등으로 재해석된 주체사상을 바탕으로 정치사업과 교양사업에 전력을 다할 것으로 보인다.

      • 창의, 인성 함양을 위한 특성화 고등학교 영어 수업 모형 연구 : 공업계열 학생을 중심으로

        김난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특성화 고등학교의 영어 교육과정과 영어수업은 기존의 수능시험을 위한 일반계 고등학생들에게 맞추어져 있는 영어교육과정과 영어수업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특성화 고등학교의 특수성에 적합하면서도 학생들의 창의, 인성을 함양할 수 있는 영어 수업에 대한 필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도 높다. 이에 현 연구에서는 특성화고 학생들을 중심으로 창의, 인성을 함양 할 수 있는 수업모형을 연구하여 실제 수업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수업 지도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성화 고등학교에 적용될 수업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창의 인성 교육의 개념들과 구성요소 그리고 수업연구 모형의 바탕이 되는 과업 중심 언어 교수법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이 연구가 대상으로 하는 특성화 고등학교의 특수성과 영어교육의 현실에 대해 살펴보고 이 연구 대상 학생들의 수준과 학습 환경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창의, 인성 함양을 위한 특성화 고등학교 영어 수업모형을 pre-, during-, post-의 총 3단계로 제시하였고 이에 따라 고등학교 1학년, 2학년을 대상으로 하는 영어I과 공업영어 교과서를 활용하여 총 7개의 수업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교과서에서 선정한 각 단원마다 학생들의 창의 인성을 최대한으로 함양할 수 있는 방법을 고려하여 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이 주어진 환경에 맞게 다양한 수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수업 지도안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연구 제한점으로 현재 개발된 수업모형을 통해 제시된 수업 지도안의 효과성 검증이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 그리고 아직까지 특성화고 학생들을 위한 영어 교과서가 미비하여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초점이 맞추어진 교과서를 통해 수업 지도안이 제시되었기에 그 내용상에 한계점으로 존재한다. 그러나 내년부터 적용될 NCS 교육과정과의 연계성과 포트폴리오 활용 가능성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앞으로 특성화 고등학교의 영어 수업이 직업영어와 창의 인성교육 요소를 다 어우를 수 있는 수업으로 발전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협동학습을 활용한 과학수업에 관한 연구 : 중학교 3학년 생식과 발생 단원에서

        김난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21st century requires a whole new paradigm of every field in the society including education. It is expected that diverse information should be provided to the students. Moreover, the students-centered class which requires their active participation is preferred to the teacher-centered class. In reality, however, most classes are designed in the traditional way, which means the teacher is the main focus and driving force of the class and students are the passive object of the class. This is why cooperative learning is designed in this study to promote students' motivation and interest ,to lead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and to train their problem solving skills.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students'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and attitude toward the science will be observed. The subjects were 172 male and female students who were third graders of a middle school and they were taught 'Reproduction and Development' for 5 weeks. The control group was taught in the traditional lecture centered style while the other experimental group was taught in the cooperative learning style, Jigsaw Ⅲ. Each group was divided further into three levels based on the scores that students received on the previous science achievement test. Before and after the class, science achievement and science attitude between the groups and in the group were ascertained. The results were analyzed with ANCOVA(an analysis of covariance) by SPSS.This study can be concluded as follows. Neither the control group nor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tremendous improvement in the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Three levels in each group also did not show much improvement. In the consideration of students' attitude toward the science, little difference was founded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Internally, high and middle level students in the group did not show much differences toward the science. Lower level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however, showed elevated difference, which suggests that the cooperative learning was more effective to the lower level students in improving their attitude toward the science. 학생들은 변화하는 사회를 반영하듯이 다양한 정보를 원하고 있고, 정적인 수업이 아닌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수업을 원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학교 수업에서 학생은 교사와 교과서가 정해준 동일한 주제로 수동적인 입장에서 학습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에 효과적인 교수 방법으로서 학생들의 능동적인 참여를 기반으로 문제 해결력 향상의 결과를 얻을 수 있는 협동학습이 제안되었다.본 연구는 JigsawⅢ 협동학습과 전통적 수업을 적용하여 학업성취도 및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아 수업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는 중학교 3학년 남녀 학생 17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연구 단원은 중학교 3학년 과학 <생식과 발생> 단원으로 5주간 7차시에 걸쳐 수업처치를 하였다. 수업처치 전, 후에 학업성취도 검사와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를 실시하였는데, 우선, 전체 집단을 대상으로 통제 집단인 전통적 수업 방식을 실시한 학급의 결과와 협동학습을 실시한 학급의 결과를 비교하였고, 사전 성취 수준의 차이에 따른 변화 정도를 파악하고자 사전에 조사한 성적을 기초로 나눈 상, 중, 하 세 개의 집단으로 나누어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분석은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하였다.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전체 집단 및 사전 성취 수준별 집단 모두 학업 성취도의 유의미한 변화는 일어나지 않았다.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 결과에서는 전체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고, 상위, 중위 학생들의 사전, 사후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하위수준의 학생들의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 공항 내 푸드코트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 유희적 표현요소를 적용하여

        김난희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Along with economic growth, exchanges between nations and personal economics have increased. People using the airport have already been generalized and using the airport for traveling and work has been acknowledged as an extension of daily life for a long time. The airport industry is part of a crucial foundation industry of a nation, and is the first impression that visitors face upon arrival in a country which shows the nation's competitiveness as well as its technology industry, making it a complex service industry that is in charge of playing a leading role in international trade, cultural art and science technology. Recently, the definition of the airport, which is a melting pot of new technology is changing towards a concept of an airport city equipped with various facilities, and the amenities within it must be comfortable, pleasant and user friendly. Among such, the passenger terminal, as a core facility of an airport is the place where travelers spend most of their time, using various service facilities and commercial facilities, and the development of the airport industry contributes to the activation of commercial facilities within the airport. However, F&B space within the airport has been applied with an indiscreet concession which does not reflect the distinct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causing excessive competition and a decline in service, and is being looked away by users, leading to a decline in the general airport competitiveness. The F&B space within the airport is an important essential facility for travelers using the airport and workers who are stationed at the airport. Moreover, aside from its simple function of providing F&B, it must be acknowledged as a place that executes independent functions such as providing exotic cultural experiences and information acquisition to foreigners who are visiting the country, along with relieving the exhaustion of traveling, proving sufficient and pleasant rest area. Thus, there is a need for a differentiated image that actively welcomes and satisfies the desires of diversified customers. New consumers have an emotional tendency and their desires are gradually becoming diversified and hyper complex. The desires of such customer requests for not one but multiple special experiences and new senses within a space, and the purchase actions of a consumer are not satisfied with one simple purpose, but it has reached a point whereby the purchaser selects the desired service, purchases, and evaluates. The research proposes new features that travelers require by analyzing the distinct spatial and management characteristics through documentary survey and actual case study researches. Moreover,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proposing an effective space plan of a food court within the airport and proposing a new design direction by playfully applying the basic 5 visual expression elements of design. The parts of this dissertation are presented below. Chapter 1 reveals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is research and proposes the range of research and its method. Chapter 2 defines the airport and the facilities within the airport, and among them, the importance of food industry within the airport has been verified through documents. Chapter 3 compiles the characteristics of a food court within the airport's food industry, analyzes the essential elements of a space through current status case research, and proposes a new function. Chapter 4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playful expression elements, extracts elements that are applicable to the space, and analyzes the effects applied to the space through actual application case, and established standards which could be applied to the space. Chapter 5 applies the contents analyzed in the preceding chapter and newly planned food court space within Gimpo International Terminal. Chapter 6 identified and proposed the results based on the above-mentioned contents. Through the research as stated above, the commercial facilities of public facilities have to analyze the purpose and the desires of visitors using the facilities, and needs to graft the necessary elements that meet such desires. A result will be identified in that once these are playfully expressed and the users in the space react positively with new emotion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ring a new direction to food courts within the airport, and be of assistance to the new design efforts, leading to various researches in the related fields in the future. 경제성장과 함께 국가 간의 교류, 개인 경제는 상승하였으며 일반인의 공항 사용은 이미 보편화가 되었고, 항공을 이용한 여행, 업무는 일상생활의 연장으로 인식된 지 오래이다. 항공 산업은 국가의 중요한 기반산업의 일환으로 자국을 방문하는 외국인에게 국가경쟁력과 기술 산업을 보여주는 첫 인상이며 국가 간의 통상이나 문화 예술, 과학기술 발달의 선도 역할을 담당하는 복합 서비스 산업이다. 신기술의 집합체인 공항은 여러 가지 시설이 혼재하고 있는 공항도시의 개념으로 최근 그 의미가 바뀌고 있으며 공항 내 시설물은 편리하고 쾌적하며 사용하기 편리 하여야 한다, 그 중 여객터미널은 공항의 핵심 시설로써 공항을 이용하는 여객은 이곳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머무르며 각종 서비스시설과 상업시설을 이용하게 되고, 항공 산업의 발달은 공항 내 상업시설의 활성화에도 기여한다. 하지만 공항 내 식음공간은 공항이라는 환경적 특수성은 반영하지 않은 무분별한 컨세션의 도입으로 인한 과다 경쟁과 서비스의 저하로 이용자의 외면을 받고 있으며 이는 전반적인 공항의 경쟁력을 저하시키는 문제로 까지 발달하였다. 공항 내 식음공간은 공항을 이용하는 여객과 공항 상주 근로자를 위해서 중요한 필수 시설이며, 단순 식음의 기능뿐만이 아닌 여객의 피로와 긴장감의 완충과 충분한 휴식, 쾌적하고 편리한 대기공간과 더불어 자국을 방문하는 외국인에게 이국적 문화 체험과 정보습득 등의 독자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장소로 인식되어야 하며 적극적인 환대의 모습과 다양화된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차별화된 이미지 수립이 필요하다. 신 소비자는 감성적인 경향을 가지고 있으며 요구 또한 점차 다양화·다원화 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고객의 욕구는 공간 안에서도 하나의 목적이 아닌 특별한 경험과 새로운 감각을 요구하게 되었고 소비자의 구매행동은 단순히 하나의 목적을 이루는 것으로 만족하는 것이 아닌 구매자 본인이 스스로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하여 구매하고 평가하는 수준에까지 도달하였다. 본 연구자는 공항의 식음공간에 대한 문헌조사와 실제 사례조사를 통해 공간적·경영적 특수성을 파악하고 여객에게 필요한 새로운 기능을 제안하며 더불어 디자인의 기본적인 다섯 가지 시각적 표현요소를 유희적으로 적용하여 효율적인 공항 내 푸드코트의 공간계획과 새로운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논문의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 하였다. 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을 밝히고 진행할 연구의 범위와 방법을 제시한다, 2장에서는 공항과 공항 내 시설에 대해 정의하고 그 중 공항 내 외식업의 중요성에 대해 문헌을 통해 입증 하였다. 3장에서는 공항 내 외식업 중 푸드코트의 특징을 종합하고 현황사례조사를 통한 공간의 필요요소를 분석, 종합하여 새로운 기능을 제안하였다. 4장에서는 유희적표현요소의 특성을 파악하고 공간에 적용 가능한 요소를 추출하여 실제 적용사례를 통해 공간에 적용한 효과를 분석하고 공간에 적용 가능한 기준에 대해 수립하였다. 5장에서는 선행 장에 분석한 내용을 적용하여 김포공항 국내선 여객청사 내 푸드 코트 공간을 새롭게 계획하였다. 6장에서는 상기 내용을 토대로 결과를 도출하고 제언을 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를 통해 공공시설안의 상업시설은 시설을 이용하는 방문자의 목적과 욕구를 파악하고 그 욕구에 부응하는 필요 요소들을 공간에 접목시켜나가야 하며, 그것들이 유희적으로 표현되었을 때 사용자는 공간 안에서 새로운 감성과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공항 내 푸드코트의 새로운 방향과 더불어 새로운 디자인적 시도의 도움이 되길 바라며 향후 관련 분야의 다양한 연구를 기대해 본다.

      • 유아를 위한 구강 보건 애니메이션 표현연구 : 작품<사각사각 이를 닦는 알렉스>

        김난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유아 3~6세의 미취학 아동을 대상으로 어린이가 재미있고 쉽게 접근하여 올바른 이 닦기 지식, 태도, 습관을 형성 할 수 있도록 유아 치아우식증예방을 위한 애니메이션 교육 자료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올바른 이 닦기'를 주제로 한 애니메이션은 동물을 의인화한 주인공 알렉스와 세균들로 구성된다. 주제는 치아우식증 예방을 위한 이 닦기의 중요성을 일깨워 주기 위한 것이다. 플롯은 이 닦기를 싫어하는 알렉스가 이를 잘닦기 까지의 일상의 사건을 대구 형식으로 주고받는 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더불어 입속에서 일어나는 세균에 대한정보 및 치과에서 바른 이 닦기를 배우는 학습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애니메이션이라는 콘텐츠는 어린이들에게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는 효율적인 교육용 매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올바른 이닦기 교육이 가장 효율적으로 실행 될 수 있는 장소인 치과에는 현재 대기시간이나 진료 시에 구강 보건과는 관련 없는 애니메이션을 보여주고 있다. 지금까지의 어린이 관련 구강 보건 교육은 소책자, 포스터, 리플렛 등에 국한되어 있었을 뿐이다. 이러한 현 상황에서 캐릭터 애니메이션을 활용한다면, 어린이 구강 보건 관련 교육에 높은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어린이 이 닦기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기 위하여 교육적 메시지가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스토리텔링하여, 학습 내용을 확보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어린이들에게 병원 및 보건소 및 교육현장, 일상적으로도 구강보건관련 콘텐츠가 제공된다면, 어린이 치아건강에 생산적이고 효율적인 교육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targets preschool children from 2 to 7 years old and aims to develop animated educational contents in order to prevent the formation of dental caries among children by providing easy access to fun material that teaches them the correct knowledge, attitudes, habits regarding brushing teeth. In this paper, we created an animated film of a story with the theme of “correct brushing” using animated animals and bacteria as main characters. The goal of the story is the prevention of dental caries by making them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brushing. The main character, Alex is not fond of brushing teeth. He learns the importance of brushing after talking to the bacteria that live inside of his mouth after not brushing. Then he visits the dentist where he learns the proper way of brushing. This episode is made of the string of two-way conversation in the form of comments. Use of the animated film as the communication medium to children is thought to be the most familiar, thus the most effective, way to educate children. Currently, most dentists’ offices show videos that are irrelevant to oral health while young patients wait and get treated. So far, children ‘s oral health education has been done using only brochures, posters, leaflets, and etc. Using animations with characters will be very effective in raising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brushing among young population. To emphasize the significance of brushing to the young population, we chose to use animated film so the message can reach them more effectively through story telling to ensure quality education. Showing this video to children when they are waiting or getting treated in the hospitals and health centers will contribute to the oral health of children in a more effective way.

      • 충청북도 중학교 기술실 현황과 활용 실태

        김난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술 교육은 학생들의 경험과 실생활에의 유용성을 중시하며, 실천적이고 문제해결적인 학습활동을 통하여 인간 본래의 조작적 욕구를 충족시키며 학생들에게 기술적 소양을 갖게 해주고 기술적 이해 능력, 조작 능력, 문제해결 능력, 평가 능력을 길러주는 교과이다. 또한 기술의 개념과 원리, 기술의 특성과 중요성, 기술의 발전과 변화 등을 이해하게 하고 실생활에서의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며 기술에 대한 지식을 활용하는 능력을 함양시키는 교과이다. 이는 기술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기술 교과의 수업형태가 체험 활동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8228;가정과 체험활동 수업을 위한 충청북도 중학교 기술실 현황과 활용 실태를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충청북도 중학교 기술&#8228;가정 담당 교사에게 131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모두 회수하였고, 답변이 불성실한 응답지 4부를 제외한 127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실의 현황은 학교 성별 형태별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도시 지역이 69.84%, 읍면 지역이 33.38%로 두 지역 간의 기술실 보유 정도 차이가 컸고, 성립 형태별 로는 국립학교 100%, 공립학교 86.24%, 사립학교 37.50%의 학교에서 기술실을 보유하고 있었고, 학급 수별은 10학급 미만인 학교는 35.59%, 10학급 이상 30학급 미만은 학교 62.11%, 31학급 이상인 학교에서는 85.71%로 차이가 나타났다. 기술실이 없는 이유를 조사한 결과, 기술실을 갖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기술실을 다른 공간으로 전환했다는 학교가 88.52%를 차지하고 있었다. 기술실이 없는 학교 중에서 앞으로 기술실의 설치 계획을 묻는 질문에 설치 계획이 있다고 응답한 학교는 5개교(8.19%)에 불과했다. 둘째, 기술실 활용 실태는 기술실 유형에 대한 질문에 종합 실습장이라는 응답이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기술실 규모에 대한 질문의 응답에는 근무 지역별, 설립 형태별, 성별 형태별로는 큰 차이 없이 교실 1칸(66㎡) 넓이의 기술실이 62.12%로 나타났고, 기술실 활용 시간을 묻는 질문의 응답에도 근무 지역별, 설립 형태별, 성별 형태별, 학급 수별에 큰 차이 없이 대부분의 학교에서 연중 1회에서 2회 정도를 활용하고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또한, 기술실 실습 수업의 배정 예산 결과를 살펴보면 학생 1인당 3천원 이상 5천원 미만이 36.36%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 이 연구의 수행한 결과를 토대로 하여 기술 교과 교육 목표를 보다 더 효과적이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달성하기 위해 학생들의 충분한 체험활동을 위한 기술실 확보가 시급하고, 교사들이 기술실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기존에 있었던 기술실을 다른 장소로 전환되지 않도록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기술실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다양한 체험활동 과제가 많이 개발되어야하며, 각 학교는 체험활동을 위한 충분한 예산 확보가 필요하다. 기술 교육의 질 저하를 막기 위해 기술실의 확보가 어려운 학교의 보통 교실에서도 활동할 수 있는 체험활동 과제와 예산 확보가 충분하지 않은 학교의 적은 예산으로도 활동할 수 있는 체험활동 과제의 개발 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