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가상현실 프로그램과 운동심상훈련이 정상 노인의 족저압과 균형능력, 우울 및 낙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소현 남부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가상현실 프로그램과 운동심상훈련이 정상 노인의 족저압과 균형능력, 우울 및 낙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소현 지도교수 : 조성현 물리치료학과 남부대학교 대학원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화 사회에서 낙상의 위험이 높은 노인에게 가상현실 프로그램과 운동심상훈련을 적용하여 족저압과 균형능력, 우울 및 낙상효능감을 비교함으로써 재활 분야에서 노인의 낙상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중재방법으로 타당한지 알아보고자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정상 노인 36명을 대상으로 가상현실군 12명, 심상훈련군 12명, 대조군 12명을 무작위로 배치하였으나 심상훈련군 탈락자 2명으로 가상현실군 12명, 심상훈련군 10명, 대조군 12명 총 3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가상현실군은 6주 간 주당 3회 30분, 심상훈련군은 6주 간 주당 3회 20분 치료 중재를 실시하였으며, 대조군은 어떠한 치료 중재도 하지 않았다. 각 그룹은 훈련 전 평가를 시행하였고, 훈련이 종료되는 6주 후에 평가를 시행 후 2주 뒤인 8주 후 추적조사를 실시하여 집단 간 · 내의 치료 중재 효과를 알아보았다. 족저압과 정적 균형능력인 몸 중심 이동 면적, 개안 및 폐안 균형 감각을 측정하기 위해 Gaitview(Alfoots Co., Korea)를 사용하였고, 동적 균형능력은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Timed up and go, TUG)를 시행하였다. 노인 우울 척도(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를 사용하여 우울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낙상효능감 척도(Falls efficacy scale, FES)를 사용하여 낙상효능감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에 대한 자료분석은 SPSS 23.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측정된 각 변인에 대한 기술통계치인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각 집단 내 사전, 사후, 추적검사 사이의 기간에 따른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이원배치 반복측정 분산분석(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집단의 주 효과가 있는 경우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사용하였고, 시기의 주 효과가 있는 경우 일원배치 반복측정 분산분석(one-way repeated measures ANOVA)을 사용하였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에 대한 사후검정은 Tukey 검정으로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α)은 .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사전조사(0주), 사후조사(6주), 추적조사(8주) 세 기간과 집단의 상호작용은 모든 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5). 기간에 따라 가상현실 프로그램은 족저압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5), 운동심상훈련은 좌 · 우 정적 족저압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5), 좌 · 우 정적 족저압을 제외한 족저압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정적 균형능력은 가상현실군과 심상훈련군 모두 몸 중심 이동 면적에서 훈련 전보다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또한 개안 및 폐안 시 균형 감각 모두 가상현실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05) 심상훈련군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TUG와 우울, 낙상효능감에서 두 집단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5). 집단 간 개안 균형 감각은 사후조사(6주)에서 가상현실군과 대조군, 심상훈련군과 대조군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5), TUG는 사후조사(6주)에서 가상현실군과 대조군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우울은 사후조사(6주)와 추적조사(8주)에서 가상현실군과 대조군, 심상훈련군과 대조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이러한 결과를 미루어 볼 때,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운동심상훈련보다 정적 균형능력 향상과 낙상 예방에 더욱 효과적인 중재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운동심상훈련 또한 족저압과 균형능력, 우울 및 낙상효능감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기 때문에 향후 낙상 예방에 효과적인 중재방법으로써 가상현실 프로그램과 운동심상훈련에 대하여 다양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특히 본 연구는 노인에게 가상현실 프로그램과 운동심상훈련을 적용하여 정량화되고 객관적인 족저압 측정을 시행하여 노인의 보행과 균형능력에 긍정적 효과를 보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노인의 낙상 예방에 대한 질적인 연구에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며, 추후 지속적으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한국 초등학생의 영어 무성마찰음 오류 분석

        김소현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paper addresses the error types of English voiceless fricatives spoken by Korean elementary students. For this purpose, 31 words which include voiceless fricatives were collected from the elementary school textbook based on the basic word list issu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in 2011. They were class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fricatives: onset and coda. Six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with no special pronunciation training in advance. They were 5th and 6th graders aged 12~13. The students read the words right before recording to make sure that they could read the words. Their production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The transcribed data were divided into correct and incorrect productions. The incorrect productions were subclassified in accordance with the error types such as replacement and insertion. From this experiment, the following results were drawn. The overall error rate of the Korean elementary students' productions of the English voiceless fricatives was not very high and accounted for 26.8%. Considering the error types, almost all of the students substituted target fricatives with other sounds except for just one, insertion. There was a big positional difference. That is, the subjects performed worse in the onset positions showing 62.7% of error rate than in the coda position (37.3%). Investigating each phoneme, Korean students showed a high error rate for the inter-dental and labio-dental fricatives (/ɵ/: 59.5%, /f/: 49.3%), in contrast with a very low error rate for the alveolar and palato-alveolar fricatives (/s/: 6.9%, /ʃ/: 3.5%). This suggests that the fricatives which are not in the inventory of the Korean fricatives are harder for Korean students to acquire than those which exist in Korean as phonemes or their variants. This study shows that it is not quite easy for Korean elementary students to acquire English voiceless fricatives. Thus, it is necessary that Korean elementary students need to be provided with more systematic pronunciation training. The effective pronunciation teaching could help to improve the ability of understanding the target language and to increase their communicative ability with more acceptable pronunciation in real situations.

      • 대나무의 활성 성분 연구

        김소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Phyllostachys bambusoides and Sasa borealis are two species belonging to bamboos, which are perennial grasses distributed widely in Asian countries including Korea, China and Japan. These plants have also been used in folklore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arthritic pain, rheumatism and for their antidiuretic, antitussive, antipyretic activity. The culms of Phyllostachys bambusoides and the leaves of Sasa borealis were extracted with 80% MeOH and the concd extracts were successively partitioned with n-hexane, CHCl3, EtOAc and n-BuOH, respectively. In the course of searching for bioactive compounds, six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the n-hexane and CHCl3 extracts of bamboos, as guided by their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The structures were determined as coniferaldehyde (1), vanillin (2), 2-hydroxy-4-methoxycinnamic acid (3), coniferyl alcohol (4), p-coumaric acid (5) and syringic acid (6). The structures of these compounds were identified by analysis of spectral data including 1D- and 2D-NMR spectra as well as by comparison of their data with the published values. Antioxidant activities of compounds 1-6 were evaluated for their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s, and compounds 5 and 6 showed similar activities compared with vitamin C. 대나무는 다년생 풀로서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그 중 한국 남부지방에는 Phyllostachys와 Sasa 속이 자생하고 있다. 대나무는 예로부터 민간에서 약재로 사용하였으며, 특히 전통적으로 항산화 능력과 관계가 깊은 병의 치료에 이용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왕대 줄기와 조릿대 잎에서 항산화 활성이 있는 물질을 탐색하였다. 왕대줄기와 조릿대 잎을 80% MeOH로 추출한 후, n-hexane, CHCl3, EtOAc, n-BuOH과 aqueous 분획으로 나누고, 항산화 활성을 나타낸 분획에 대해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6종의 화합물을 분리, 정제하였다. NMR, UV, IR, MS 등 각종 분광분석법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이 화합물들의 화학구조를 coniferaldehyde (1), vanillin (2), 2-hydroxy-4-methoxycinnamic acid (3), coniferyl alcohol (4), p-coumaric acid (5) 및 syringic acid (6)로 동정하였다. 이 중에서 2-hydroxy-4-methoxycinnamic acid (3)와 coniferyl alcohol (4)은 대나무에서 처음으로, 그리고 syringic acid (6)는 조릿대에서 처음으로 분리되었다. 6종 화합물의 항산화 활성은 DPPH를 이용한 라디칼 소거능으로 측정하였으며, 이 중에서 p-coumaric acid (5)와 syringic acid (6)가 vitamin C와 비슷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 특수학급 교사의 교권침해 경험 실태 및 교권보호에 대한 인식과 지원방안

        김소현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ntends to find out the current status and causes of educational authority infringement of special classes teachers in secondary school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s well as the recognition and support plans for the protection of teachers educational authority.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correlationship in perceptions on educational authority infringement, educational authority protection and its support plans upon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eachers. To verify the research problem, this study distributed a questionnaire was to a total of 127 special class teachers in 55 middle schools and 79 schools in 24 schools belonging to the Gwangju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and requested responses to such questionnaire. The total collected questionnaire was 92 copies and the recovery rate was about 73%, which was used for analysis of the results. Using SPSS 22.0 program, this study used technical statistics such as mean, standard deviation, and frequency for the status about awareness and support plan for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educational authority infringement practice, and its educational authority protection of teachers in charge of special classes, and analyzed by conducting independent sample t-ttest for verification and mean difference among groups through crossover analysis. First, the actual state of the educational authority infringement can be divided into the subject and the cause, degree, place, and time of occurrence according to the subject. Parents accounted for the most subject of educational authority infringement, followed by students. The degree of severity was more than five times higher for those who said they were more serious than those who said they were not. Teachers are experiencing serious trauma due to violent language and physical assault. Classrooms were most of the places where teacher educational authority infringement occurred with other opinions such as the classroom, the principal's office, and SNS. The occurrence time appeared in various forms such as class time, parent interviews, and student guidance, but the notable point is that the frequency of occurrence after work is high, so countermeasures are needed. Second, it is possible to summarize the awareness degree of special teachers about the current educational authority protection policy and additional support plans. First, when asked if they knew the basic plan for the educational authority protection of teacher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don‘t know about it. In particular,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who say they don't know in their 30's and younger teachers seems to need policy education for low-career teachers. In the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policy for infringement of teachers' authority, there were high responses to reflect the opinions of special teachers. For the question about the counseling institution and groups for handling of educational authority infringement to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response was in the order of the school educational authority protection committee, the Gwangju Metropolitan City Teacher Rights Healing Support Center, and the educational authority counseling place of Korean Teachers and Educational Workers Union. On the other hand, the response that they do not know also shows a number that cannot be ignored, suggesting that there is a need to actively promote active publicity to counseling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dealing with teacher rights infringement, and to actively develop programs in connection with front-line schools. When asked how to deal with infringement of teaching authority, the response methods were different for each group. In the group with less than 10 years of educational experience and total teaching experience, they said that they would tolerate or do not take action, and in the group with more than 10 years, they follow the instruction after they report to their managers. In regard to this, in response to the reason why it is difficult to actively cope with and resolve the infringement of teachers' authority, the recognition of they being a special teacher was the highest. Nex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insufficient coordination by school managers, and that it was to maintain a trust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students. As for support plans related to the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it was found that first of all, a social atmosphere that respects teachers should be strengthened to prevent and protect the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In the subgroup analysis for the subject to provide support necessary for the teachers who experienced infringement of teaching authority, schools were selected most in the teachers in their under 30s, and the Office of Education and related organizations in the teachers in their over 30s. As for the efforts of teachers to prevent educational authority infringement and protection of educational authority, it was found that enhancement of expertise should be strengthened, while establishment of a department in charge of teaching rights and the coordination role of school managers. Therefore, this study came to the conclusion that in order to improve pride and self-esteem as a special teacher, it is necessary in reality to strengthen the role of coordination of school administrators by establishing a department in charge of educational authority as well as the Office of Education and related organizations in order to intensify the coordination role of school managers.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중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의 교권침해 실태 현황 및 원인 그리고 교권보호에 대한 인식과 지원방안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교권침해 실태, 교권보호에 대한 인식과 지원방안에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를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 문제 검증을 위해 광주광역시 교육청 소속 중학교는 55개교, 고등학교는 24개교 총 79개 학교의 특수학급 교사 총127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설문 응답을 요청하였다. 총 회수한 설문지는 92부, 회수율은 약 73%이었고 이를 결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SPSS 22.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특수학급 담당교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교권침해 실태, 교권보호에 대한 인식과 지원방안에 대한 현황에 대하여 평균, 표준편차, 빈도 등 기술 통계를 이용하였고, 교차분석을 통한 검증과 집단 간 평균 차이 검증을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과정을 종합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권침해의 실태는 그 주체와 주체에 따른 발생 원인, 정도, 장소, 시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교권침해의 주체는 학부모가 가장 많았고 그다음으로 학생이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심각함의 정도는 심각하다는 응답이 그렇지 않다는 응답보다 5배 이상 높았다. 교사는 폭언, 물리적 폭행으로 인한 심각한 트라우마를 겪고 있다. 교권침해가 이루어지는 장소로는 교실이 대부분이었으며 교무실, 교장실, SNS 등의 기타 의견도 있었다. 발생 시간은 수업 시간, 학부모 면담, 학생지도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으나 주목할 만한 점은 퇴근 이후의 발생빈도가 높게 나타나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둘째, 현재 시행되고 있는 교권보호 정책에 대한 특수교사들의 인식 정도와 추가적인 지원방안에 대해 정리하여 볼 수 있다. 먼저 광주광역시 교육청 교권보호 기본계획을 알고 있느냐에 대한 질문에 절반 이상의 응답자가 모른다고 대답하였다. 특히 30대 이하의 교사집단에서 모른다는 응답비율이 높아 저경력교사 대상의 정책 교육이 필요해 보인다. 교권침해 교육정책 수립 시 특수교사의 의견반영을 요구하는 응답도 높게 나왔다. 특수교육 교사의 교권침해 발생 시 처리 상담기관 및 단체에 대한 질문에 학교교권보호 위원회, 광주광역시 교권치유 지원센터, 전교조 교권상담마당의 순서로 응답하였다. 한편 모른다는 응답도 무시할 수 없는 수치를 나타내 교권침해 처리 상담기관 및 단체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와 일선 학교와의 연계 프로그램 등을 적극적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현재 교권침해가 발생했을 경우 어떻게 대처하고 있냐는 질문에 집단별로 그 방법이 달랐는데 교육경력과 총 교직경력 10년 미만 집단에서는 묵인 또는 조치하지 않는다였고, 교육경력과 총교직경력 10년 이상 집단에서는 관리자 보고 후 지시를 따르는 것이었다. 이와 관련하여 교권침해 발생 시 적극적인 대처와 해결이 어려운 이유에 대한 응답에서 특수교사라서라는 인식이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학교관리자 조정 미흡, 학부모와 학생과의 신뢰관계 유지를 위해 등으로 나타났다. 교권침해 발생과 관련된 지원방안으로는 우선 교권침해 예방과 보호를 위해 교사를 존중하는 사회적 분위기를 강화해야 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권침해 경험 교사에게 필요한 지원을 제공해야 할 주체로는 하위 집단별 분석에서는 30대 미만의 교사에서는 학교, 30대 이상에서는 교육청과 관련 기관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 교권침해 예방과 교권보호를 위한 교사의 노력으로는 전문성 향상, 학교의 노력으로는 교권 업무담당부서의 설치와 학교관리자의 조정 역할 강화되어야 한다고 나타났다. 따라서 특수교사로서의 자부심과 자존감 향상을 위해 교육청과 관련기관은 물론 학교 내 교권 업무를 담당할 부서를 설치, 학교 관리자의 조정 역활에 대한 강화가 현실적으로 필요하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다.

      • 특수교육대상학생과 함께한 담임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김소현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began with collection of data with participants in non-structured interview. After being allowed to consent from participants of the research, I conducted interviews from July to October in 2015. These interviews were recorded using a cell phone recorder by me after they agreed to this recording in advance. There are four section as 'fear of homeroom teacher in inclusion classes', ‘helpers for inclusion classes', 'conflict and consideration of inclusion classes’ and 'teacher education for the duality of special education students’. Furthermore, it was divided into 2-3 sub-themes under four big themes. First, teachers who manage inclusion classes tend to recognize this disabled students as a member of a special class in special education. In this logic, we can guess that many disabled students can not have any sense of belonging though we have tried to adapt many methods to inclusion classes for changing the awareness in reality. Seco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want to learn general awareness lessons and practical training program for understanding special education students. For adding general understanding programs for the teachers, we need to coach them with practical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in the classroom. Third,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are their feeling with each other for smooth classroom management. They can cooperate and share their information because they have special students in their classes. Fourthly, general education teachers need to modify and reform the curriculum for special education students in terms of their professionalism . Fifth, teachers had a special experience in the inclusion classes to compare other regular classes. Futhermore it can change prejudices about the concept of 'disability'. These are my conclusions after I finish this study. First, we need to various training programs and learning programs about special education students for helping teachers in general education. Second, we need to establish administrative systems that can allow to decrease the capacity of student when homeroom teachers teach general students and special students in inclusion classes. Third, homeroom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need closely cooperate in the inclusion classes. With reflecting the realistic problems, we need a cooperation system to share the curriculum for general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들에 대한 비구조화 된 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참여자에게 면담을 통해 동의를 얻은 후 2015년 7월부터 10월까지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접은 사전에 연구 동의자의 양해를 구하고 휴대폰 녹음기를 이용하여 녹음하였다. 중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통해 얻은 결과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우선 교사들의 특수교육대상학생에 대한 생각을 알 수 있었다. 특수교육대상학생이 자신의 반에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교사는 ‘장애’에 대해 관심이 생겼다. ‘통합학급 담임에 대한 두려움’, ‘통합학급 운영을 위한 조력자들’, ‘통합학급 수업에 대한 고민과 갈등’, ‘특수교육대상학생에 대한 교사 교육관의 양면성’으로 크게 4개의 범주로 나눴다. 그리고 4개의 큰 주제 밑으로 2∼3개의 하위주제로 분류하였다. 첫째, 통합학급을 운영하는 교사는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소속을 특수학급이라고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 그런 이유에는 아직도 많은 인식 개선을 통해 학교에서 다양한 방법의 통합교육이 시도되어왔지만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소속감이 명확하게 정착하지 못한 현실을 반영한다. 둘째, 일반교사는 장애이해교육 연수뿐만 아니라 보다 실질적인 도움을 받고 싶어 한다. 장애이해교육연수 보완책으로 일반교사는 보다 실질적으로 교실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정보들을 코칭해주기를 바란다. 셋째, 일반교사와 특수교사는 원활한 학급 운영을 위해 서로 동질감을 느낀다. 자신의 반에 특수교육대상학생이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통합학급 교사는 특수교사와 공유와 협조를 필요로 한다. 넷째, 일반교사는 특수교육대상학생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교과 수업의 전문성을 위해 교육과정의 수정 및 개편을 필요로 한다. 다섯째, 통합학급의 담임교사는 일반학급과 다른 장애에 관한 특별한 경험을 했고, 그것이 자신의 ‘장애’에 대한 편견을 바꿔주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교사에게 특수교육대상학생에 관한 다양한 연수나 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통합학급 담임교사의 학급 정원을 좀 더 줄여주는 행정적 시스템이 뒷받침 될 필요가 있다. 셋째,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교사의 긴밀한 협력체계가 필요하다. 현실적인 문제를 반영하여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교과 운영 시스템에 대한 협력체계가 그 모습을 갖추어야 할 필요가 있다.

      • 평생교육사의 프로그램운영 직무와 수행역량에 관한 연구

        김소현 동의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평생교육학의 영역 중 프로그램개발과 운영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평생교육 실천현장에서 교육프로그램이 양적으로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프로그램의 질적 성장과 더불어 학습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프로그램의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성공적인 프로그램운영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제까지 선행연구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운영이 전개되는 과정에서 평생교육사가 수행하는 직무에 대해 명확한 개념이 정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평생교육 프로그램운영 직무 가운데 일부 혹은 선택적인 직무만을 연구의 범위에 포함시킴으로써 프로그램운영에 대한 성격을 제한시키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평생교육 실천현장에서 이루어지는 프로그램운영과 관련된 평생교육사의 직무를 종합적으로 탐색한 결과를 토대로 설정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운영 직무 모델에 대한 타당성을 확인 및 검증하고, 평생교육사의 프로그램운영 수행역량을 진단한 후 프로그램운영 전문성과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평생교육사의 프로그램운영 직무 수행을 위한 향상방안과 프로그램운영 전문성을 제고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 비구조화된 면담, 경험채집방법, 조사연구가 적용되었다. 문헌연구, 비구조화된 면담, 경험채집방법은 평생교육 프로그램운영 직무를 객관적으로 탐색하는 과정에서 적용되었으며, 조사연구는 설정된 평생교육 프로그램운영 직무 모델의 타당성을 실증적으로 확인, 검증하고, 수행역량과 프로그램운영 전문성과의 관계를 밝히는데 적용되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운영 직무 모델을 실증적으로 확인하고, 현재 수행역량 정도를 측정하기위해 제작된 조사도구는 일반적 특성, 프로그램 전문성 인식, 평생교육 프로그램운영 직무 모델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수행역량정도로 구성하였고, 전문가의 안면타당도 검사 및 예비조사를 거쳐 수정 보완되었으며 신뢰도는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수집은 현장에 근무하고 있는 240명의 평생교육사를 대상으로 on/off-line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11.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일원변량분석, 회귀분석, 요인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연구결과 및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았다. 첫째, 본 연구에서 설정된 평생교육사의 프로그램운영 직무 모델은 타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66개의 프로그램운영 과업에 대해 평생교육사는 1개의 요인(factor)으로 공통된 인식을 하고 있다 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운영이란 단순히 매체를 지원하고 관리하는 기능적인 직무가 아닌 그 이상의 의미를 가지는 영역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프로그램운영 직무를 유형화시키기 위해 프로그램운영 계획, 프로그램 경영, 프로그램 실행 준거에서 설정된 평생교육 프로그램운영 직무 모델 즉, '프로그램운영 계획', '프로그램 마케팅', '프로그램 예산관리', '고객관리 및 지원', '프로그램 통합적 관리', '프로그램 준비', '관계조성', '학습자 멘토 및 지원', '강사관리 및 지원', '평가 및 사후관리', '교수-학습 실행' 직무와 여기에 속하는 과업에 대한 타당성이 계량적으로 확인·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볼 때, 프로그램운영 직무의 개념을 세 가지 준거인 프로그램운영 계획, 프로그램 경영, 프로그램 실행이라는 영역으로 확장시켜 새롭게 인식해야 할 뿐만 아니라, 실천현장으로도 확산시켜야 할 것이다. 셋째, 현재 11개 프로그램운영 직무에 대한 평생교육사의 수행역량은 보통의 수준이었고, 이 중에서 ‘프로그램 준비’ 에 대한 수행역량과 ‘강사관리 및 지원’에 대한 수행역량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평생교육 실천현장에서 특별한 전문성이 없어도 누구나 할 수 있는 평이한 직무로 간주된 원인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평생교육사의 담당경력, 연수참여 정도, 평생교육관련 모임참여 정도 등에 따라 프로그램운영 직무의 수행역량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중앙 평생교육센터에서는 다양한 연수참여의 기회를 제공하고, 평생교육기관 장은 평생교육관련 모임에 대한 참여를 적극적으로 조장하며, 평생교육사 개인도 담당 분야에 대한 수행역량의 향상 및 전문성 제고를 위해 지속적인 노력과 연구를 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프로그램운영의 전문성을 설명하고 의미 있는 영향력을 미치는 직무로 '프로그램운영 계획'과 '프로그램 통합적 관리'로 확인되었다. 향후 프로그램운영 전문성을 확보해 나가는데 있어서 우선적으로 프로그램 실행에 속하는 과업에서 벗어나 좀 더 확장된 프로그램운영 계획과 프로그램 경영 측면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프로그램운영 계획, 프로그램 경영, 프로그램 실행의 측면에서 평생교육사가 수행해야 할 프로그램운영 직무를 가시화시켰을 뿐만 아니라 평생교육사의 프로그램운영 직무 수행역량을 향상시키고 프로그램운영 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는 유용한 근거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한편, 평생교육 프로그램운영 영역의 학문적 발전과 보다 나은 향후 연구 수행을 위해 다음 몇 가지를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 밝혀진 평생교육사의 프로그램운영 직무를 바탕으로 표준화된 역할, 과업, 기술에 대한 심도 깊고 광범위한 후속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평생교육사 자격증을 소지한 자로 한정하였지만, 향후 연구에서는 자격증이라는 특수성에서 벗어나 실천현장에서 평생교육 프로그램운영을 담당하고 있는 종사자와 프로그램운영 직무 수행역량에 관한 비교연구를 통하여 평생교육사의 전문성을 밝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셋째, 평생교육사의 프로그램운영 수행역량이 프로그램의 성과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증명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As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has improved in quality recently, the importance of the program operation is increasingly emphasized as an area that satisfies the learner's needs. However, the program operation has been considered as a very limited and a simple technical job, even though it is a core competency of the lifelong educat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ed at representing the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lifelong educator's competencies of program operation in lifelong education practice. To this end, the objectives were to review the concept and the theories of program operation, to draw the lifelong educator's job and tasks which have been performed in lifelong education practice, to assess the validity of the program operation job model, to measure their performance competencies,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professionalism and the performance competencies. The research methods were as follows. Literature review, unstructured interviews, and the experience sampling method. The data has been collected by the off-line and the on-line survey from the licensed lifelong educators working in the practice field. 240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for the final result. Frequency analysis, one-way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 by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for windows(SPSSWIN) 11.0. In addition, with the application of Cronbach's coefficient alpha,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test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test of the questionnaires. The result of the research wa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ogram operation jobs developed in this study were proved to be valid statistically. Sixty six jobs among a variety of jobs were recognized commonly as lifelong program operation jobs. Second, the validity of the following 11 program operation jobs developed in the study was empirically assessed and verified: 'program operation plan', 'program marketing', 'management of program budget', 'customer management and support', 'integrated management of program', 'program preparation', 'relationship establishment', 'learner mentor and support', 'instructor management and support', 'evaluation and post management', and 'teaching and learning practice'. Based on these results, the concept of program operation should not only be expanded to three references such as program operation plan, program management and program implementation but also be spread to the practice fields of lifelong education. Third, the lifelong educators' current performance competency with regard to 11 program operation jobs was found to be average level. The lifelong educators showed relatively better performance competency in 'program preparation', 'instructor management and support' among the jobs. This appears to cause people to consider that lifelong program operation can be carried out even by non professionals. Fourth, the lifelong educators display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in their competency to perform program operation jobs, according to their program operation career, training participation,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related meeting, and the type of institutions they belonged to. Fifth, the jobs exert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lifelong program operation included 'program operation plan' and 'integrated management of program'. This indicates that program operation jobs raised in research question sector are not simple functions but professional functions with respect to program operation plan and program manage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not only showed the lifelong educator's program operation jobs in terms of program operation plan, program management, and program implementation but also provided useful materials that improve the lifelong educator's competency to perform lifelong program operation and secure professional program operation.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academic development of lifelong program operation and a following research. First, on the basis of the lifelong educator's program operation jobs, future studies should deeply and extensively examine the lifelong educator's standardized roles, jobs and skills. Second, this study confined its subjects to licensed lifelong educators. Future studies is needed to compare the licensed educators and those who are engaged in lifelong education operation in practice field to emphasize the professionalism of the lifelong educator.

      • 종합병원 간호사의 치매케어관련 지식과 인간중심접근법에 대한 인식

        김소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종합병원 간호사의 치매케어관련 지식 정도와 치매환자 간호 시 인간중심접근법의 사용에 대한 인식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다. 인간중심접근법이란 치매환자의 간호에서 치매환자의 존엄과 능력을 유지시키고 그들의 관점을 이해하기 위해 상호관계의 의사소통을 강조하고 공감을 통해 치매노인을 치료하는 개념이다. 이에 반해 현실중심접근법은 더 전통적으로 사용된 접근법으로 치매가 있는 사람이 다시 현실로 돌아오도록 계속적으로 현실에 대해 알려주고 감각적으로 자극을 함으로서 노인 대상자의 혼란을 낮추는 전략이다. 최근 연구에서 인간중심접근법은 간호사의 직무 만족도와 가족의 간호부담감에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 국내 임상 간호사들이 활용하는 치매간호접근법에 대한 인식은 무엇인지 규명해 볼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치매노인 환자 간호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시내 일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이다. 전체 18개의 일반병동 중 노인환자가 입원하지 않는 소아과와 산부인과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제외하고 나머지 16병동의 간호사 중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동의한 간호사 19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5년 3월 10일부터 2015년 4월 10일까지였으며 설문지를 이용한 자가보고방식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치매케어관련 지식 도구는 Lin et al. (2012)이 개발한 도구를 활용하고, 치매간호접근법의 인식 정도는 Normann et al. (1999)이 개발한 도구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ASW statistics 22.0을 이용하여 연구 목적에 따라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Pearson's correlation, t-test와 one-way ANOVA, Scheffe 사후 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치매케어관련 지식 총점의 평균 점수는 11.39점(16점 만점)으로 정답률이 평균 71%이었다. 치매간호접근법 총점의 평균 점수는 8.77점(13점 만점)이었다. 각 문항은 인간중심접근법 혹은 현실중심접근법으로 답할 수 있는데 67%의 항목에 대해 현실중심접근법을 선택하였다. 이는 현재 간호사들이 치매 대상자의 간호에 인간중심접근법보다 현실중심접근법을 사용해야 한다고 인식하는 정도가 높다는 의미이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매케어관련 지식 정도는 현 근무병동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정신건강의학과 병동의 근무자가 그렇지 않은 병동 근무자보다 치매케어관련 지식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인간중심접근법 인식 정도는 정신건강의학과 병동, 응급 병동, 신경과 병동 근무자가 다른 병동 근무자보다 더 높았다. 치매교육을 받은 사람이 치매케어관련 지식이 높았고 인간중심접근법에 대한 인식도 높았다. 또한 정신건강의학과 병동 간호사들은 졸업 후 임상에서 치매환자 간호에 대한 교육을 받을 기회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이 치매환자 케어에 대한 지식 정도와 인간중심접근법에 대한 인식 정도가 높은 이유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종합병원 간호사들의 치매케어관련 지식점수 정도는 상당히 높은 편이지만 치매 대상자에게 인간중심접근법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인식 정도는 낮은 편이었다. 치매관련 임상교육을 받은 유 경험자는 인간중심접근법에 대한 인식이 높아 일반 간호사들에게 치매환자에 대한 인간중심접근법에 대한 교육을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주요어: 치매노인, 종합병원 간호사, 치매케어관련 지식, 인간중심접근법, 현실중심접근법

      • Victor Hugo의 시에 의한 Franz Liszt의 4개의 M?lodie에 관한 연구

        김소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헝가리 낭만주의를 대표하는 작곡가인 Franz Liszt(1811~1886)는 피아노 작품들과 많은 기악 작품들로 유명하다. 작곡가이기 전에 유명한 피아니스트이기도 했던 그는 특히 400여곡의 피아노곡들을 작곡하였다. 리스트는 가곡 작곡가로는 큰 명성을 떨치지는 못했지만, 여러 나라의 언어를 사용하여 82곡에 달하는 많은 가곡을 작곡하고 편곡하였다. 본 논문은 ‘Victor Hugo의 시에 의한 Franz Liszt의 4개의 Mèlodie에 관한 연구’로 먼저 Franz Liszt의 생애와 작품, 가곡들을 살펴보고, Victor Hugo의 생애와 작품을 살펴본 뒤 4개의 Mélodie인 ‘S'il est un Charman gazon(매혹적인 풀밭이 있다면)’, ‘Comment, disaient-ils(어떻게 하면?)’, ‘Oh, quand je dors(오, 내가 잠들었을 때)’, ‘Enfant, si j'étais roi(내가 만약 왕이라면)’의 각 곡별 시와 운율, 형식, 조성 및 음역 등 노래하는 성악가로서 이 곡들을 노래할 때 알아야 할 것들을 위주로 연구해 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