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he) experiences of stress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in simulation-based learning

        고은정 중앙대학교 건강간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687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간호대학생의 시뮬레이션 실습 스트레스 경험에 대해 통찰하고 간호대학생의 시뮬레이션 실습 스트레스 경험에 대한 개념적 모형을 제시하며 효과적인 시뮬레이션 실습 전략으로서 스트레스 관리와 정서적 지지를 포함한 디브리핑 모델을 제안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한 학기 이상 시뮬레이션 실습 경험이 있는 간호대학생으로, 서울, 경기 소재 대학에서 15명의 학생이 자발적으로 연구에 참여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면대면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고 수집된 자료는 Graneheim과 Lundman(2004)의 질적 내용분석방법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의 시뮬레이션 실습 스트레스 경험은 ‘평가에 대한 중압감을 느낌’, ‘나를 지켜보는 시선에 부담감을 느낌’, ‘새로운 교육방식에 당황스러움’, ‘인간관계에 예민해짐’, ‘몸과 마음이 소진됨’, ‘수업만족도가 저하됨’, ‘지지적 관계를 활용함’, ‘스트레스를 긍정적으로 수용함’,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노력함’의 9개의 주제로 도출되었다. 이에 대한 통찰을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시뮬레이션 실습 스트레스 경험에 대한 개념적 모형이 제시되었으며, 간호대학생의 시뮬레이션 실습 스트레스의 부정적 경험을 완화하고 효과적인 시뮬레이션 실습을 위한 전략으로서 스트레스 관리와 정서적 지지를 포함하는 센스(SENSE, Share-Explore-Notice-Support-Extend) 디브리핑 모델이 개발되었다. 총 5단계로 이루어진 이 모델은 나눔(Share) 단계에서 학습자의 시뮬레이션 실습에서의 사건이나 감정을 나누고, 탐구(Explore)단계에서 그 과정 중 힘들었던 부분이 무엇인지 분석한다. 주의(Notice)단계에서 학습자의 스트레스와 불안 및 부정적 정서, 필요한 도움이나 중재에 대해 주목하고, 지지(Support)단계에서 학습자의 학습성과를 격려하고, 교육적인 방향을 제시하며, 정서적 지지 및 스트레스 관리를 제공한다. 확장(Extend)단계에서는 학습한 내용을 향후 실습이나 임상 실무에서 어떻게 적용할지 확장 시키도록 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시뮬레이션 실습 스트레스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통찰을 제시하고 간호대학생들에게 보다 효과적이고 긍정적인 시뮬레이션 실습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in an insight into the experience of stress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in simulation-based learning by applying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o present a conceptual framework of the experience of stress based on the results, and to propose a debriefing model, including stress management and emotional support as an effective simulation practice strateg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who had experience in simulation-based learning for more than one semester, and fifteen participants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study at the nursing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ace-to-face, in-depth interviews and analyzed using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 of Graneheim and Lundman (2004).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nine categories were derived: ‘Fear of the evaluation’, ‘Burden of being observed’, ‘Unfamiliarity with new ways of learning’, ‘Sensitivity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s’, ‘Physical and emotional exhaustion’, ‘Utilization of supportive relationships’, ‘Decline in learning satisfaction’, ‘Positive acceptance of stress’, and ‘Attempts to relieve stress’. Based on these insights, a conceptual framework of the experience of stress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in simulation-based learning was presented and a SENSE (Share-Explore-Notice-Support-Extend) debriefing model, which includes stress management and emotional support, was developed as a strategy for effective simulation practice to reduce the negative experiences of stress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in simulation-based learning. This model is composed of five phases. In the Share Phase, the learners share the events and emotions of the simulation practice, and in the Explore Phase, the instructor analyzes what causes the difficulty with the process. In the Notice Phase, the instructor assesses the learner's negative emotions, such as extreme stress or anxiety, and takes note of any help or intervention that is needed. In the Support Phase, the instructor encourages student learning achievements, offers educational direction, and provides emotional support and stress management. The Extend Phase is a step to aid students in extensively applying their new-found knowledge in future simulation exercises and clinical practice. In conclusion,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present an overall understanding and insight on stress of nursing students in simulation-based learning and to provide a more effective and positive simulation exercise experience to nursing students.

      • 간호대학생의 성격 5요인이 학업스트레스, 우울, 전공만족도 수준에 미치는 영향

        김선주 중앙대학교 건강간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87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성격 5요인, 학업스트레스, 우울, 전공만족도 수준을 확인하고 간호대학생의 성격 5요인이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우울 및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본 조사는 196명의 간호대학생(2학년, 3학년, 4학년)이 참여하였으며, 2022년 11월 30일부터 12월 15일까지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성격 5요인, 학업스트레스, 우울, 전공만족도의 모든 변인들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성격 5요인 중 신경증(β=.435, p<.001), 우호성(β=-.261, p<.001), 성실성(β=-.134, p<.05)이 학업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신경증(β=.496, p<.001)과 우호성(β=-.242, p<.001), 성실성(β=-.196, p<.01)이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우호성(β=.290, p<.001), 성실성(β=.229, p<.01)은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간호대학생의 성격 5요인, 학업스트레스, 우울, 전공만족도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며 성격 5요인이 학업스트레스, 우울,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mpact of the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of nursing students on academic stress, depression and major satisfaction. For this survey, 196 nursing students(2nd and 3rd, 4th year) participated, and it was performed from November 30th to December 15th 2022. In this study,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WIN 21.0 for Windows and as a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academic stress and depression and major satisfaction. Results revealed that the students’ neuroticism(β=.435, p<.001), agreeableness(β=-.261, p<.001), conscientiousness(β=-.134, p<.05)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academic stress. The students’ neuroticism(β=.496, p<.001) and agreeableness(β=-.242, p<.001), conscientiousness(β=-.196, p<.01)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depression. The students’ agreeableness(β=.290, p<.001) and conscientiousness(β=.229, p<.01)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major satisfation. In conclusion, it is implied that nursing students’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academic stress, depression and major satisfaction.

      • COVID-19 상황에서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간호사 이미지와 진로정체감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전현선 중앙대학교 건강간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87

        본 연구는 COVID-19 상황에서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간호사 이미지와 진로정체감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자료수집은 서울, 경기 및 충남, 전북, 경북권 소재 6개 대학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2022년 11월 5일부터 2022년 11월 17일까지 시행하였다. 온라인 설문을 통하여 자가보고 형식으로 진행하였으며, 최종 146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의 간호사 이미지는 5점 만점에 평균 3.73점, 진로정체감은 4점 만점에 평균 2.67점, 간호전문직관은 5점 만점에 평균 3.63점이었다. 간호사 이미지는 전공만족도와 임상실습만족도에 따라, 진로정체감은 간호학과 입학동기, 전공만족도, 임상실습만족도, 성적만족도에 따라, 간호전문직관은 전공만족도와 임상실습만족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변수 간 상관관계에서는 간호전문직관과 간호사 이미지, 진로정체감은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간호사 이미지, 진로정체감, 학년과 연령 순으로 나타났으며 간호전문직관에 대한 설명력은 66.7%였다. 결론적으로 간호대학생의 간호사 이미지가 긍정적일수록, 진로정체감은 높을수록, 그리고 학년과 연령은 낮을수록 간호전문직관이 높았다. 본 연구는 COVID-19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확립을 위한 기초자료가 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전문직관 하위영역을 포함한 연구를 통해 COVID-19 팬데믹 이후 변화된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을 확인하는 반복 연구를 제언한다.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nurse image and career identity on nursing professionalism of nursing students who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in the COVID-19 situation.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November 5, 2022 to November 17, 2022 for nursing students from six universities in Seoul, Gyeonggi, Chungnam, Jeonbuk, and Gyeongbuk regions. It was conducted in the form of self-report through an online questionnaire, and the final 146 copies of data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nursing students' nurse image averaged 3.73 points out of 5 points, career identity averaged 2.67 points out of 4 points, and nursing professionalism averaged 3.63 points out of 5 poin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nurse image according to major satisfaction and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er identity according to application motivation of nursing, major satisfaction,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score satisfac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nursing professionalism according to major satisfaction and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In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nursing professionalism, nurse image, and career identity all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Factors influencing nursing professionalism were in the order of nurse image, career identity, grade and age,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nursing professionalism was 66.7%. In conclusion, the more positive the nurse image, and the higher the career identity, and the lower the grade and age, the higher the nursing pro- fessionalism.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erves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nursing professionalism in nursing students in the COVID-19 situ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 a repeat study to confirm the changed nursing professionalism of nursing students after the COVID-19 pandemic through research including the subdomain of nursing professionalism.

      • 노인의 건강문해력이 건강행위에 미치는 영향 : 인터넷 건강정보 이해능력과 정보적 지지의 매개효과

        성정해 중앙대학교 건강간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71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ealth literacy on health behaviors of the older adults who visited a public hospital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e-Health literacy and Informational support. The samples population for this research comprised older adults on 142 who had visited the outpatient department general hospital B in Seoul and were ≥65 years. Questionnaires were used to measure HLS-EU-Q16 (European Health Literacy Survey-Q16), e-Health literacy, Informational support and health behavio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PROCESS Macro with the SPSS 27.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Health literacy and e-Health literacy, informational support, health behavior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e-Health literacy and health behavior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informational support and health behavior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Health literacy of the older adults directly affected health behavior, and health literacy indirectly affected health behavior through informational support.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higher the level of health literacy and Informational support for the older adults, the higher the health behavior performance. Thus, in order to promote the health behavior of the older adults, this suggests consider the level of health literacy of the older adults and develop a customized education program including informational support from family and health care provider. 본 연구는 공공병원을 내원한 노인의 건강문해력이 건강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인터넷 건강정보 이해능력과 정보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서울시 소재 B종합병원의 외래에 내원한 65세 이상 노인 142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 도구는 건강문해력측정도구(HLS-EU-Q16), 한국판 인터넷 건강정보 이해능력 측정도구(KeHEALS), 정보적 지지 척도, 건강행위 척도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와 Pearson Correlation,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건강문해력은 인터넷 건강정보 이해능력, 정보적 지지, 건강행위에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 관계를 보였고, 인터넷 건강정보 이해능력과 정보적 지지도 건강행위에 유의한 정적 상관 관계를 나타냈다. 노인의 건강문해력이 건강행위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문해력은 정보적 지지를 통하여 건강행위에 간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노인에게 건강문해력과 정보적 지지가 높을수록 건강행위 이행이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노인의 건강행위 증진을 위해서는 노인의 건강문해력의 수준을 고려하고 가족 및 의료인의 정보적지지가 포함된 맞춤형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 COVID-19 유행기간 동안 일개 상급종합병원에서 COVID-19 관련 업무가 간호사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김현옥 중앙대학교 건강간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71

        Background: This study was conceived by a need to investigate the mental health of nurses doing COVID-19-related work at a tertiary general hospital amid the COVID-19 pandemic and provide basic data to offer them treatment support and interventions for their mental health. Objective: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subjects in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characteristics of their COVID-19-related work, and distribution level of depression, anxiety, and sleeplessness and analyze factors influencing their depression, anxiety, and sleeplessness. Methods: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survey with 234 nurses at C, a tertiary general hospital in Seoul, from September 13~19, 2021.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the SPSS 26.0 program. Frequency analysis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the results were presented in frequency and percentage. Cross tabulation analysis and chi-square testing followed to examine differences in the distribution of depression, anxiety, and sleeplessnes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and the results were presented in chi-square values and p-values. In addition,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factors influencing their depression, anxiety, and sleeplessness, and the results were presented in odds ratio and 95% confidence interval. Results: There were more women (94.0%) than men in the subject group. Those who were in their twenties made up the biggest proportion at 43.2%. As for position, common nurses recorded the highest percentage at 67.5%. The biggest proportion of the subjects had nursing work experiences less than 5 years at 45.7% and did shift work at 72.6%. The largest number of nurses worked at a general ward (37.6%), which was followed by an ICU (18.8%), outpatient department (15.8%), negative pressure isolation ward (11.5%), emergency room (8.5%), and operating room (7.7%), in that order. The analysis results of COVID-19 work show that there were more nurses (55.6%) that had experienced frontline COVID-19 work than those who had not (44.4%). The nurse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no COVID-19 work, doing COVID-19 work for less than six months, and doing COVID-19 work for more than six months. As for the health behavior and mental health of nurses, 96.8% did not smoke, and 83.3% consumed alcohol; 60.3% said that they did not exercise or do leisure activities; 11.1%, 15.8%, and 54.9% suffered from depression, anxiety, and sleeplessness, respectively, which shows that the highest proportion of nurses suffered sleeplessness. More nurses recorded a high level of resilience (88.9%) than a low level of resilience (11.1%). In the study, a univariate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cross tabulation analysis to examine the depression of the subjects according to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job characteristics, COVID-19 work, health behavior and mental health, and resilience. The analysis results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depression according to age, educational background, monthly income, marital status, position, nursing career, shift pattern, resilience, and days of service amid COVID-19. Another round of univariate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cross tabulation analysis to examine their anxiety according to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job characteristics, COVID-19 work, health behavior and mental health, and resilience. The analysis results point t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anxiety according to marital status, position, nursing career, shift pattern, department, depression treatment experiences before COVID-19, anxiety treatment experiences before COVID-19, and resilience. In addition, the study carried out a univariate analysis based on cross tabulation analysis to examine their sleeplessness according to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job characteristics, COVID-19 work, health behavior and mental health, and resilience. The analysis results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sleeplessness according to the form of employment and anxiety treatment experiences before COVID-19. The study analyzed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with a multivariate analysis and found that ICU and resilienc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depression. The study then analyzed factors influencing anxiety with a multivariate analysis and found that ICU and resilienc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anxiety. The study carried out another round of multivariate analysis to analyze factors including their sleeplessness and found no factors that had significant impacts on their sleeplessness. Conclusio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study demonstrate differences in mental health, including depression, anxiety, and sleeplessness between the nurses on the frontline of COVID-19 and nurses not on the frontline of COVID-19 based on the duties of nurses on the frontline of medical responses to the spread of COVID-19. The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general characteristics, job characteristics, COVID-19 work, health behavior, and resilience between frontline nurses and non-frontline nurses on their mental health and found that the duties of a nurse had the same significant impacts on mental health between the frontline and non-frontline nurses rather than the relationship with COVID-19 work. These findings imply a need for institutional support to solve the mental health issues of nurses at a tertiary general hospital. 연구배경 COVID-19 유행기간 동안 일 상급종합병원의 COVID-19 업무 관련 간호사의 정신건강 상태 연구하고, 연구결과를 통해 간호사의 정신건강 치료지원 및 개입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목적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고, COVID-19 업무 관련 특성을 파악하, 연구대상자의 우울, 불안, 불면의 분포수준을 파악하고, 연구대상자의 우울, 불안, 불면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서울 소재 C 상급종합병원에 간호사 234명을 대상으로 진행 되었으며 2021년 9월 13일 ~ 2021년 9월 19일까지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 수집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빈도와 백분율로 제시하였다. 연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우울, 불안, 불면의 분포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교차분석과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하였고 카이제곱값과 p-value로 제시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우울, 불안, 불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binary logisti regression)을 시행하여 교차비 (odds ratio)와 95% 신뢰구간(95% confidence interval)으로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성별은 여자가 96.0%로 많았고, 연령대는 20대가 43.2%로 가장 많았으며, 직급은 일반간호사가 67.5%로 가장 많았다. 간호 업무 경험은 5년미만이 45.7%로 가장 많았고, 교대근무는 72.6%로 가장 많았고, 근무부서는 일반병동이 37.6%로 가장 많았고, 중환자실18.8%, 외래15.8%, 음압격리병동11.5%, 응급실 8.5%, 수술실7.7% 순이었다. COVID-19 업무에 대해 분석한 결과, COVID-19 일선 업무를 경험한 간호사(55.6%)는 경험하지 않는 간호사(44.4%)에 비해 많았고, COVID-19 업무관련하여 해당없음(44.4%), 6개월 미만(30.4%), 6개월이상(25.2%)였다. 간호사의 건강행태 및 정신건강은 비흡연 간호사가 98.7%로 높고, 음주는 83.3% 한다고 응답하였다.운동 및 여가는 ‘하지 않는다’가 60.3%로 가장 많았다. 간호사들의 정신건강 상태는 우울이 11.1%이고, 불안이 20.1%, 불면이 59.4%로 불면을 앓고 있는 비율이 가장 많았다. 회복탄력성은 낮음은11.1%,은 높음은 88.9%로 높음이 많았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직무특성, COVID-19 업무, 건강행태 및 정신건강, 회복탄력성에 따른 우울을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이용하여 단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연령대, 학력수준, 월소득, 혼인상태, 직급, 간호경력, 근무형태, 회복탄력성, COVID-19 중 업무기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직무특성, COVID-19 업무, 건강행태 및 정신건강, 회복탄력성에 따른 불안을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이용하여 단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혼인상태, 직급, 간호경력, 근무형태, 근무부서, COVID-19이전 우울진료경험, COVID-19이전 불안진료경험, 회복탄력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직무특성, COVID-19업무, 건강행태 및 정신건강, 회복탄력성에 따른 불면을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이용하여 단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고용형태, COVID-19이전 불면진료경험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다변량 분석을 실시한 결과, 근무부서가 중환자실이고, 회복탄력성이 낮은 경우 우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다변량 분석을 실시한 결과, 근무부서가 중환자실이고, 회복탄력성이 낮은 경우 불안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다변량 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결과는 나오지 않았다. 연구결론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COVID-19 확산 상황에서 의료적 대응의 일선에 있는 간호사와 업무를 기준으로 COVID-19 일선 간호사와 비일선 간호사로 구분하고, 우울, 불안, 불면 등의 정신건강에 대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일선 및 비일선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직무특성, COVID-19 업무, 건강행태, 회복탄력성이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간호사의 업무가 COVID-19와 얼마나 관련성이 있는지보다 일선 및 비일선 간호사 모두의 정신건강에 동일하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일개 상급병원의 간호사들의 정신건강 문제해결을 위해 제도적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신경계 병동 신규간호사의 학습전이 과정에 대한 경험

        이지은 중앙대학교 건강간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간호대학 졸업 후 신경계 병동에 배치된 임상 경력 1년 미만인 신규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대학에서 배운 신경계 교육이 임상실무로의 학습전이 과정에 대한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기 위해 수행된 질적 연구이다. 총 12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질적내용분석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에 따른 연구결과는 ‘과도기 : 경계를 넘기 어려움’, ‘전환기 : 어려움 해결의 실마리를 찾음’, ‘도약기 : 성장할 수 있는 변화를 바람’의 3가지 주제로 도출되었다. 대상자들은 간호대학생 때 신경계 실습교육의 아쉬움을 느꼈고, 간호대학에서 배운 내용을 임상에서 적용하고 응용하기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나 학습전이 과정에서 장애만 겪은 것이 아니라 임상에서 일하면서 간호대학에서의 교육이 기본임을 깨닫게 되었고, 적절한 교수학습방법으로 배웠던 것이 임상에서 도움이 되는 과정을 겪으면서 학습전이 과정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실마리를 찾을 수 있었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대상자들은 간호역량을 키울 수 있고,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으로 배우기를 바라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학습전이 과정에서 이론적인 지식을 여러 방법의 실습을 통해 경험하고 학습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며, 학습자 중심의 학습과정의 변화를 꾀하여 적절한 교육설계로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을 적용하는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이는 지식과 실무의 차이를 줄일 수 있는 효과적인 간호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간호교육에서 학습전이 과정에 대해 연구한 점과 신경계 병동 간호사의 학습전이 과정에 대한 경험을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시도 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또한 임상에서 역량 있는 간호사를 배출하기 위한 효과적인 학습전이 과정을 제안한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is a qualitative research that aims to examin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experience of learning transfer from the neurological education at a nursing college to clinical practice among new nurses with less than one year of clinical practice at a neurological ward after graduation from a nursing college.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with a focus group including 12 individuals, and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on i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ollowing 3 major themes were derived: ‘Transition Period: Challenging to cross the border'; ‘Turning Point: Finding a clue to solve problems'; and ‘Take-off Period: Wishing a change for growth.’ Participants felt that practical education of neurology they had received as a nursing college student was insufficient, and they found difficulties in applying what they had learned at a nursing college to clinical settings. In the course of learning transfer, however, they realized that the education at nursing college was the basis for clinical practice and that the proper teaching/learning methods helped them cope with challenges in clinical settings. The education at a nursing college helped them find a clue to solve problems in the course of learning transfer. As participants could develop nursing capabilities through such experience, they wished to learn with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s in that proces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it is vital and necessary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trainees to learn by experiencing theoretical knowledge through various practical ways in the course of learning transfer and to adopt various teaching/learning methods by designing proper learner-centered teaching courses flexibly. It is expected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 basis for development of effective nursing education programs that can reduce the difference between theory and practice. This study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examines the course of learning transfer in nursing education and analyzes specific characteristics of experience of a learning transfer process among new nurses at neurological wards. Additionally,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proposes an effective learning transfer process to train nurses capable of clinical practice.

      • 정신건강사례관리자를 위한 웹 기반 만성정신질환자 신체건강관리 교육프로그램 개발

        이중수 중앙대학교 건강간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정신건강사례관리자를 위한 웹 기반 만성정신질환자 신체건강관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무자들이 실제 업무 수행에 직접적으로 활용 할 수 있는 신체건강관리 방법을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교육프로그램은 신체건강관리의 필요성, 24개 항목 체크리스트를 잘 활용하기 위한 내용으로 각 항목의 필요성과 의미, 항목의 신체 사정 방법에 대한 교육으로 구성되었다. 2021년 5월 12일부터 5월 30일까지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의 유사 실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시설에서 근무하는 사례관리자로 교육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 26명,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 26명이었다. 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 평가를 위하여 교육프로그램 제공 전, 후에 실무자들의 정신질환자 신체건강 사례관리 수행 정도, 신체건강관리 수행자신감, 신체건강 사례관리 태도(신체건강관리에 대한 태도, 신체건강관리를 이행하는데 대한 자신감, 신체건강관리 전달에 대한 인식장벽, 흡연태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실무자들의 정신질환자 신체건강 사례관리 수행 정도, 신체건강관리 수행자신감, 신체건강 사례관리 태도, 신체건강관리를 이행하는데 대한 자신감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정신건강사례관리자를 위한 웹 기반 만성정신질환자 신체건강관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차후, 신체건강관리에 대한 다양한 교육의 개발과 함께 실제 만성정신질환자들의 신체건강상태가 개선되어 가는지에 대한 관심과 연구들이 필요하겠다.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ment of a web-based physical health care education program for mental health case managers can ready to use in their actual work performance. The program consists of the need for physical health management, the need and meaning of each item in the checklist, and education on how to assess the body. From 12 May to 30 May 2021,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research was conducted.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case managers working at community mental health promotion facilities. The 52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26 experimental groups and 26 control group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e surveyed the participants’ current practice in physical health care(13 items), the confidence in performing physical health care(24 items), the attitudes to involvement in physical health care (9 items), the confidence in delivering physical health care (6 items), the perceived barriers to physical health care delivery (7 items), the attitudes to smoking (5 items)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program and written data. As a result the participants’ current practice in physical health care, the confidence in performing physical health care, the attitudes to involvement in physical health care, the confidence in delivering physical health care in the experimental group to which the program was applied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o which the written data was appli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developed an educational program to strengthen physical health care capabilities for community mental health case managers to verify its effectiveness. Subsequently, various education on physical health care needs to be developed. In addition, attention and research will be needed on whether the physical health status of chronic mental patients is improving.

      • 간호대학생을 위한 다중환자시뮬레이션 개발 및 효과

        남궁혜인 중앙대학교 건강간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다중환자 시뮬레이션(Multiple Patient Simulation;MPS)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행되었다. 교육과정의 개발은 Six step approach(Kern, Thomas,& Hughes,2009)를 따랐으며 사전학습 20분, 시뮬레이션 20분, 두 팀이 함께 진행하는 디브리핑 40분으로 총 80분으로 구성되었다. 우선순위와 환자사정방법, 환자사례 개요에 대한 사전학습을 진행하였으며 오리엔테이션에는 표준화환자에 대한 설명, 물품의 사용방법과 위치, 운영 시 숙지해야할 지침에 대해 안내하였다. 시뮬레이션은 4인의 표준화환자로 구성되었다. 교육 후 표준화환자의 피드백이 제공되었으며 팀별 자가 디브리핑을 가진 후 모두 함께 디브리핑 진행하였다. 개발한 다중환자 시뮬레이션의 효과를 파악하고자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 유사실험연구로 실무준비도, 임상판단능력, 학습에 대한 자기효능감에 대한 효과검증을 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교육 전과 후의 변화량을 비교한 결과, 실험군의 실무준비도(t=6.69 p<.001), 임상판단능력(t=4.95 p<.001)이 대조군의 변화량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학습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변화량의 차이에 대해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t=-.25, p=.801).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다중환자 시뮬레이션은 간호사의 실무준비도를 향상시키고 임상판단력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교육프로그램 활용하여 간호대학생의 임상환경으로 전환 전 실무준비도 향상 및 임상판단력 향상에 도움을 주어 그들의 현장적응과 전문성 함양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Multiple Patient Simulation (MPS) for nursing students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he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followed the Six step approach (Kern, Thomas, & Hughes, 2009), and consisted of pre-learning, orientation, simulation and debriefing, for total of 80 minutes. The pre-learning consisted of the theoretical contents of priorities and patient assessment methods, including patients case overview. Orientation was guided on the description of standardized patients, the use and location of facilities, and simulation guidelines. The simulation consisted of four standardized patients. After education, feedback from standardized patients was provided, and each team had self-debriefing time. Then finally all of them were debriefed togeth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 of the MPS, job readiness, clinical judgment, and self-efficacy on learning were measured. The study us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and pre-post design.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mount of change before and after educa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job readiness of the experimental group (t=6.69, p<.001), clinical judgment (t=4.95, p<.001)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control group.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change in self-efficacy for learning was not significant (t=-.25, p=.801).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MPS developed in this study has an effect on improving nurses' job preparation and improving clinical judgment.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is education program can be used to improve job readiness and clinical judgment before transition to the clinical environment of nursing students to help them adapt to the field and cultivate expertise.

      • 적극적 건강행위 실천과 대사증후군의 관련성 : 제7기 3차년도(2018)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중심으로

        장현경 중앙대학교 건강간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71

        대사증후군과 관련이 높은 뇌혈관 질환, 심장 질환, 당뇨병, 고혈압 등의 만성질환의 발생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현 시대의 급속한 인구 고령화 및 평균 수명 증가와 더불어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더욱 증가한다는 것을 예측해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사증후군 발생과 관련이 있는 요인을 분석하여 개인에게 적용 가능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이나 상담과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활성화를 위해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전 국민을 대표하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서 2018년도 원시자료를 바탕으로 19세 이상 성인 중 대사증후군 진단을 위해 검진조사를 시행한 대상자를 선별하여 6,004명을 최종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대사증후군과 관련된 위험요인, 특히 개인의 적극적 건강행위 실천이 대사증후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크게 인구사회학적요인, 평소 건강행태요인, 적극적 건강행위 실천요인으로 분류하였고, 모든 자료의 통계분석은 SPSS ver.26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카이제곱검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성별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대사증후군 발생에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연령은 높고, 소득수준은 낮을수록 발생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시보다 농촌에 거주하는 사람일수록 발생 위험도가 높았고, 건강보험 종류에서는 의료보호 수급권자가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가장 높았다. 이 외에도, 좌식시간이 많을수록, 아침식사 빈도가 5회 미만일수록, 유산소 신체활동이 적을수록 대사증후군 발생이 높게 나타났고, 마지막으로, 적극적인 건강행위를 실천하는 사람일수록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대사증후군은 평소의 건강행태뿐만 아니라, 개인의 자발적이고 적극적 건강실천 행위에 따라서도 대사증후군 발생 영향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는 현 시점에서 치료중심의 관리를 뛰어넘어, 개인적 차원의 건강증진을 위해 실천 동기를 강화 시킬 수 있는, 교육 및 상담 활동 또한 적극적으로 개발 및 시행되기를 기대한다. The incidence of chronic diseases such as cerebrovascular disease, heart disease, diabetes and high blood pressure, which are highly related to metabolic syndrome, continues to increase. This can be expected to further increase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long with the current rapid aging of the population and an increase in average life expectancy. Therefore, based on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in 2018, this study seeks to find out about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metabolic syndrome and, in particular, the impact of active practice of individual health activities on metabolic syndrome. In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ata representing the entire nation, 6,004 adults aged 19 or older who conducted tests to diagnose metabolic syndrome were selected as the final surveyors. Based on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factors, usual health behavioral factors, and active health practice factors, the association between metabolic syndrome prevalence rates was analyzed. The analysis of the data used SPSS ver. 26.0 to obtain a 95% confidence interval for single-unit analysis,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The results showed that men in gender were more affected by metabolic syndrome than women, the older they are, and the lower the income level, the higher the risk of occurrence. In addition, people living in rural areas had a higher risk of occurrence than in cities, and in the health insurance category, recipients of medical protection had the highest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addition, the more sedentary the time, the less frequent the breakfast, the less the aerobic physical activity, the higher the incid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finally, the lower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for those who practice active health activities. As such, it was confirmed that not only the usual health behavior but also the voluntary active health practice of individuals had an effect on the occurrence of metabolic syndrome. At a time when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s expected to continue to increase, we hope that education and counseling activities that can strengthen motivation to practice for the promotion of personal health beyond early detection and treatment-oriented management will also be actively developed and implemented.

      • 도시지역 성인 남성의 영양 및 건강행태요인이 복부비만에 미치는 영향 : 제 7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6-2018) 중심으로

        양한샘 중앙대학교 건강간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71

        Recently, the prevalence of obesity in South Korea has increased and interest in the management of obesity has increased. Obesity is an important health problem that causes a variety of diseases and therefore obesity-related factors need to be studied. Up until now, most studies hav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mass index and obesity, but the reality is that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aist circumference and obesity is insufficient. Moreover, the frequency of eating out among Koreans is gradually increasing due to changes in lifestyle and eating habits. The frequency of eating out is higher in men than in women and in urban areas than in rural areas. Therefore, this study is examin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obesity prevention programs and establishment of health policy by examining the abdominal obesity rate in urban adult men and analyzing the effects of nutrition and health behavior factors on abdominal obesity. This study analyzed the demographic & sociological factors and the factors of nutrition and health behavior that influence abdominal obesity, targeting 3,452 adult men aged 19 to 69 living in urban areas in Korea, using the raw data of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of the 7th term 2016-2018 conducted by the Disease Control Headquarters.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describe the degree of abdominal obesity by related factors in terms of frequency, rate, mean value and standard deviation using SPSS ver.26. Categorical data were tested for significance with a χ2-test and continuous data with a t-test to verify significance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relevant factors affecting abdominal obesity. Of the total 3,452 participants in this study, 67.9% were in the normal group (waist circumference < 90cm) and 32.1% in the abdominal obesity group (waist circumference ≥ 90cm). However, as a result of uni-variate analysis, the relevant factors that influence abdominal obesity are age, housing type, education level, whether to marry, drinking, smoking, sitting time, eating out frequency, whether to use nutrition labeling, carbohydrate intake, protein intake and fat intake (p<0.05).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the risk of abdominal obesity of married is higher than that of unmarried and the risk of abdominal obesity increased in both past and present smokers. As the sitting time increased, the risk of abdominal obesity increased, and in the frequency of eating out, the more people eat out, the more the risk of abdominal obesity increase. Also when people used nutritional labeling, the risk of abdominal obesity increased and the higher people intake the protein and the fat, the greater the risk of abdominal obesity increa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quitting smoking, shortening the sitting time and reducing the frequency of eating out is recommended to reduce the prevalence of abdominal obesity. In addition, careful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factors of health behavior and nutritional when health policy or programs for preventing abdominal obesity are launched. 최근 우리나라 비만 유병률이 증가하며 비만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비만은 각종 질병을 일으키는 중요한 건강상의 문제로 비만 관련 요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기존에는 체질량 지수와 비만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으로 허리둘레와의 관련성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생활습관과 식습관의 변화로 한국인의 외식 빈도는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외식 빈도는 여성보다 남성에서, 농어촌 지역보다 도시지역에서 많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지역 성인남성의 복부비만율을 알아보고 영양 및 건강행태 요인이 복부비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복부비만 예방 프로그램 개발 및 보건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질병관리본부에서 수행한 제 7기 2016-2018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우리나라 성인 남성(만 19~60세) 3,452명을 대상으로 복부비만에 영향을 주는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영양 및 건강행태 요인을 분석하였다. 통계 분석 방법은 SPSS ver.26을 이용하여 관련 요인별 복부비만도를 빈도와 백분율 및 평균과 표준편차로 기술하고, 범주형 자료는 χ²-test로 연속형 자료는 t-test를 시행하여 유의성검증을 하였으며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복부비만에 영향을 주는 관련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총 연구 대상자 3,452명 중 정상군(허리둘레 <90 cm)은 67.9%이며 복부비만군(허리둘레 ≥90 cm)은 32.1%으로 조사되었다. 단변량 분석 결과 복부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은 연령, 주택유형, 교육수준, 결혼여부, 음주, 흡연, 좌식시간, 외식 빈도, 영양표시 이용 여부, 탄수화물 섭취량, 단백질 섭취량, 지방 섭취량으로 나타났다(p<0.05).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기혼자보다 미혼자인 경우 복부비만의 위험성이 감소하였으며 비 흡연자보다 과거흡연자 그리고 현재 흡연자 모두에서 복부비만의 위험성이 증가하였다. 좌식시간은 증가할수록 복부비만의 위험성이 증가하였으며 외식 빈도의 경우 외식을 많이 할수록 복부비만의 위험성이 증가하였다. 영양표시를 이용할수록 복부비만의 위험성이 증가하였으며 단백질 섭취량이 증가할수록, 지방섭취량이 증가할수록 복부비만의 위험성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복부비만의 유병률을 낮추기 위해 금연을 권장하고 좌식시간을 지양하며, 외식 빈도를 줄여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향후 보건정책이나 복부비만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 개설 시 건강행태 요인과 영양학적 요인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