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난임 여성의 생식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이채남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is a descriptive comparative research that compares the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women depending on whether they are infertile or not, identifies the impacts of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on infertility, promotes infertile women's understanding about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thus ultimately provides the baseline data to develop a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program. The study was conducted on total 148 females which consisted of infertile women visiting a infertility clinic in B City after being diagnosed with infertility and mothers of infants visiting the pediatric department on an out-patient basis,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data was analyzed with SPSS Ver 22.0 Program using frequency, percentage, chi-squared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ducation level (χ²=14.23, p=.014), monthly average income (χ²=15.37, p=.004) and number of family members (χ²=93.46, p<.001) for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depending on whether they are infertile or not, as well 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ull term delivery (χ²=94.58, p<.001) and miscarriage (χ²=14.28, p<.001) for reproductive history. 2. The total mean score (out of 5 points) for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was 4.20 (±0.58), the mean score of infertile women was 3.98 (±0.51), and the mean score of women that are not infertile was 4.41 (±0.56), with infertile women showing a lower score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t=-4.96, p<.001). The total mean score for safe sex, which was a sub-category of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was 3.45 (±1.12), the mean score of infertile women was 3.12 (±0.97), and the mean score of women that are not infertile was 3.76 (±1.17), with infertile women showing a lower mean score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t=-3.65, p<.001). The total mean score for sexual responsibility was 4.36 (±0.69), the mean score of infertile women was 4.17 (±0.66), and the mean score of women that are not infertile was 4.54 (±0.67), with infertile women showing a lower mean score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t=-3.35, p<.001). The total mean score for genital health care was 4.18 (±0.79), the mean score of infertile women was 4.00 (±0.77), and the mean score of women that are not infertile was 4.40 (±0.75), with infertile women showing a lower mean score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t=-3.39, p<.001). The total mean score for prevention of sexually transmitted disease (STD) was 4.67(±0.57), the mean score of infertile women was 4.51 (±0.63), and the mean score of women that are not infertile was 4.84 (±0.45), with infertile women showing a lower mean score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t=-3.64, p<.001). The total mean score for genital hygiene care was 4.51 (±0.70), the mean score of infertile women was 4.31 (±0.81), and the mean score of women that are not infertile was 4.71 (±0.51), with infertile women showing a lower mean score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t=-3.54, p<.001). 3. The impact of general characteristics on infertility was significant in the monthly average income of 3 million won to less than 5 million won (p=.027), and infertility was 5 times more likely to occur if the income was 3 million won to less than 5 million won compared to 5 million won or above. 4. The impact of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on infertility was significant (p<.001), and the probability of infertility decreased by 0.8 times as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 increased by 1 point on average, thereby showing significance (p=.011). 5. The impact of the sub-factors of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on infertility showed significance in safe sex (p=.032). The probability of infertility decreased by 0.343 times as safe sex increased by 1 point on average. This study showed that infertile women showed lower scores in reproductive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the sub-categories than women that are not infertile. For factors affecting infertility, it was found that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safe sex among the sub-factor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infertility. Thus, there is a need for an intervention plan about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for infertile women as well as an active intervention about safe sex.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counseling system at the institutional level that is accessible for infertile women to obtain information and seek advice about reproductive health issues from specialists, rather than focusing only on therapeutic interventions at the public level.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establish the foundation to improve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infertile women. 본 연구는 난임 유무에 따른 여성의 생식건강증진행위를 비교하고, 생식건강증진행위가 난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난임 여성의 생식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켜 생식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된 서술적 비교조사연구이다. 연구는 B광역시에 소재하는 난임을 진단받고 난임 클리닉을 방문하는 난임 여성과 소아과 외래를 방문하는 영유아모 총 148명을 대상으로 자가 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였고, 자료 분석 방법은 SPSS Ver 22.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카이제곱 검정, logistic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일반적 특성에서 난임 여성과 난임이 아닌 여성의 월평균소득(χ²=15.37, p=.004), 가족 수(χ²=93.46,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난임 관련 특성에서 분만경험(χ²=94.58, p<.001), 유산의 경험(χ²=14.28,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생식건강증진행위 정도에서 전체 평균점수(5점 만점)는 4.20(±0.58)이며, 난임 여성의 평균 점수는 3.98(±0.51), 난임이 아닌 여성의 평균 점수는 4.41(±0.56)이며 난임 여성이 낮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4.96, p<.001). 생식건강증진행위의 하부영역별인 안전 성행위는 전체 평균점수 3.45(±1.12), 난임 여성은 3.12(±0.97), 난임이 아닌 여성은 3.76(±1.17)으로 난임 여성의 평균이 낮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3.65, p<.001). 성행위 책임감은 전체 평균 4.36(±0.69), 난임 여성 4.17(±0.66), 난임이 아닌 여성 4.54(±0.67)으로 난임 여성의 평균이 낮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3.35,p<.001). 생식기 건강관리는 전체 평균 4.18(±0.79), 난임 여성 4.00(±0.77), 난임이 아닌 여성 4.40(±0.75)으로 난임 여성의 평균이 낮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3.39, p<.001). 성병예방은 전체 평균 4.67(±0.57), 난임 여성 4.51(±0.63), 난임이 아닌 여성 4.84(±0.45)으로 난임 여성의 평균이 낮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3.64, p<.001). 생식기 위생관리는 전체 평균 4.51(±0.70), 난임 여성 4.31(±0.81), 난임이 아닌 여성 4.71(±0.51)으로 난임 여성의 평균이 낮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3.54, p<.001). 3. 일반적 특성이 난임에 미치는 영향에서 월 평균소득 300만원이상 500만원미만에서 유의하였으며(p=.027), 소득이 500만원 이상인 경우에 비하여 소득이 300만원 이상 500만원 미만인 경우 난임이 발생할 확률이 5배로 나타났다. 4. 생식건강증진행위가 난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였으며(p<.001), 생식건강증진행위가 1증가할수록 난임일 확률은 0.8배 감소하였다. 5. 생식건강증진행위의 하부 요인이 난임에 미치는 영향은 안전 성행위(p=.032)가 유의하였다. 안전 성행위가 1증가할수록 난임이 될 확률이 0.34배 감소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난임 여성이 난임이 아닌 여성에 비해 생식건강증진 행위와 하부 영역별 생식건강증진 행위가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난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서는 생식건강증진행위와 하부요인의 안전성행위가 난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난임 여성을 대상으로 한 생식건강증진행위 중재방안과 안전 성행위에 대한 적극적인 중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난임 여성들에게 공적 차원의 치료적 중재에만 치우치지 않고, 생식 건강 문제와 관련된 상담프로그램을 생식전문가를 통한 정보제공과 상담 등에 대해 난임 여성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상담 프로그램을 제도권 내에서 제공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연구를 통해 난임 여성의 생식건강증진행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초기반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난임 여성의 우울 증상 유병과 사회·심리적 특성과의 관련성

        권민경 중앙대학교 건강간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Background : The number of people subject to infertility diagnosis and treatment is increasing every year. As a result, the government's project to support infertility couples is expanding to reduce the financial burden on infertility couples, However, considering that the success rate of in vitro fertilization and assisted reproductive surgery is less than 30 to 50 percent (ESHRE. 2005), the success of the treatment and procedure for infertility is uncertain and not a problem that can be solved within just one to two years. The failure of the infertility procedure leads to conflicts between couples and families, and psychological depression due to social isolation and a decline in self-esteem of infertility women. The technology of in vitro fertilization and assisted reproduction is steadily developing, but there is a lack of support for treatment and treatment for psychological depression in infertility women.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prevalence in infertility women. Objective : Identify the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 cteristics, the infertility characteristics, the social‧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degree of depression prevalence of infertile wome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who are related to depression prevalenc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purpose is to develop programs for psychological support and treatment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infertility medical services. Method : The study collected data through a questionnaire of 257 women who visited C infertility hospital in Seoul.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the SPSS 26.0 program. The differences between the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and the depressive prevalence were tested with chi-square.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analysis of significant factors and social‧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epression prevalence. Results : The average age of those surveyed was 37.60, with those who were "over 40" the most. There were many residents in "Seoul City," "Office workers," "have no religion" and "University graduates," with an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of "more than 5 million won," and more people who did not drink and smoke. Subjective health awareness was the most common. The average marriage period of the subjects was 55.83 months, "36~71 months or less," and many of the subjects had no children and no mental history related to depression, and the average duration of the subjects' infertility was 30.49 months, the cause of infertility was "uncertain" and the burden of treatment was "somewhat burdensome," while the legacy was more experienced, and the subjects with experience of in vitro auxiliary procedures were higher. The level of depression among infertile women surveyed was 42.7% "not depressed," 41.9% "light depressed" and 14.1% "medium depressed." The soci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irrational parenthood cognition, marital intimacy, and resilience scal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pression prevalence.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job status of the subject, the mental history related to depression, the duration of infertility, the cause of infertility, and the experience of miscarriage and in vitro auxiliary procedures. Conclusion :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analysis, the possibility of depression prevalence was high if there was no job, psychiatric history, long periods of infertility, women's factors, and experience in miscarriage and in vitro aids. In addition, the higher the irrational parenthood cognition, the lower the marital intimacy and resilience scale,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depression. Through the analysis results, it is thought that depression of infertile women is not only a factor in a given environment, but also affected by the isolation of negative perceptions and social relationships. To improve the negative perception and isolation of infertile women, the attention of spouses, families and people around them is needed. And education is also needed to provide support for reducing psychological depression in infertile women and the development of treatment programs and accurate information on unreasonable perceptions. It also requires training of psychologists and educators specializing in infertility. 연구 배경 : 매년 난임 대상자는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난임 대상자의 삶의 질 증진과 부담감 감소를 위해 정부지원 사업은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체외 수정 및 보조생식술의 성공률이 30~50% 미만(ESHRE. 2005)임을 고려하면 난임 치료‧시술의 성공은 불확실하며 단 1~2년 내의 해결되어지는 문제는 아니다. 난임 시술의 실패는 아이를 향한 비합리적인 인식의 형성과 부부, 가족 간의 갈등을 초래하고 난임 여성의 사회적 고립과 자존감의 저하로 심리적 우울을 초래하게 된다. 체외 보조 생식술의 의료 기술은 꾸준히 발전하지만 난임 여성의 심리적 우울에 대한 대처방안과 치료에 대한 지원은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난임 여성의 우울 증상 유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목적 : 난임 여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난임적 특성, 사회‧심리학적 특성과 우울 증상 유병의 정도를 파악하며 우울 증상 유병과 관련 있는 대상자의 특성을 확인한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난임 여성의 우울감 감소와 우울증 예방을 위한 심리적 지원과 치료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난임 의료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 방법 : 본 연구는 서울 소재 C 난임 병원에 내원한 난임 여성을 257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2020년 5월 4일 ~ 2020년 5월 29일까지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 수집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난임적 특성, 사회‧심리적 특성과 우울 증상 유병의 차이는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검정결과 분석된 유의한 값과 우울 증상 유병의 관련 요인 분석을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 연구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37.60세로 나타났고 ‘40세 이상’의 대상자가 가장 많았다. ‘서울시’에 거주자, ‘사무종사자’, ‘무교’, ‘대학교 졸업’을 한 대상자가 많았다, 월 평균 가구 수입 ‘500 만원 이상’이 많았으며, 음주와 흡연을 하지 않는 대상자가 더 많았다. 주관적 건강인식은 ‘보통이다’가 가장 많았다. 대상자의 평균 결혼기간은 55.83개월 이였으며 ‘36~71개월 이하’, 자녀가 없고 우울과 관련된 정신과 병력이 없는 대상자가 많았다 또한 대상자의 난임 평균 기간은 30.49개월 이었으며 난임의 원인은 ‘원인 불명’, 치료비 부담정도는 ‘약간 부담된다’가 많았다, 유산은 경험이 없는 대상자가 많았으며, 체외 보조시술의 경험이 있는 대상자가 더 높게 나타났다. 연구 대상자인 난임 여성의 우울 정도는 평균 5.16점으로 나타났으며 ‘우울 아님’ 42.7%, ‘가벼운 우울’ 41.9%, ‘중간정도의 우울’ 14.1%로 나타났다. 사회‧심리적 특성인 비합리적인 부모신념은 평균 27.02±10.61점, 부부 친밀도는 45.05±7.62점, 회복탄력성은 57.76±12.62점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대상자의 직업 유무, 우울 관련 정신과 병력, 난임 기간, 난임 원인, 유산과 체외보조시술 경험 여부, 비합리적 부모신념, 부부 친밀도, 회복탄력성이 난임 여성의 우울 증상 유병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결론 : 본 연구 분석결과 대상자 직업이 없을수록, 우울 관련 정신과 병력이 있을수록 우울 증상 유병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고, 난임 기간이 길수록 원인이 여성요인 일수록 유산과 체외 보조술의 경험이 있을수록 우울 증상 유병의 가능성이 높았다. 또한 비합리적인 부모신념이 높을수록 부부 친밀감이 낮을수록 회복탄력성이 낮을수록 우울 증상 유병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분석 결과를 통해 난임 여성의 우울 증상 유병이 주어진 환경에 대한 요인일 뿐만 아니라 부정적인 인식과 사회적인 관계의 고립으로 인해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된다. 난임 여성의 치료되지 않은 우울 증상을 우울증 유병으로 이어지게 되며 임신에 성공을 한 후 산후 우울증으로 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난임 여성의 우울 증상에 대한 관심은 중요하며 부정적인 인식과 고립감의 개선을 위해 배우자, 가족 그리고 주변사람들의 관심이 필요하다. 그리고 난임 여성의 심리적 우울감 감소를 위한 지원, 치료 프로그램의 개발과 비합리적인 인식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교육도 필요하다. 또한 난임 전문 심리 상담가와 교육자의 양성도 필요하다.

      • 상실감을 겪는 난임여성의 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박서영 차의과학대학교 미술치료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2

        상실감을 겪는 난임여성의 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본 연구는 상실감을 겪는 난임여성이 미술치료를 통해 무엇을 경험하는지, 미술치료는 상실감을 겪는 난임여성의 삶에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탐 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개인의 경험을 중심으로 하여 Clandinin과 Connelly(2007)의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해석하였으며 개인의 경험이 가지는 독특한 의미를 살펴보았다. 연구자는 참여자에게 2023년 6월부터 10월까지 12회기의 미술치료와 1회기 의 사후 개별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는 방법으로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다. 상실감을 겪는 난임여성은 미술치료를 통해 상실을 경험하면서 억압되 어있던 감정과 생각들을 마주하게 되었고, 치료과정을 통해 ‘난임’이라는 미로에 갇혀 있던 자신을 밖으로 이끌었다. 연구자는 이 과정을 ‘삶을 살아 내기(living)’, ‘이야기하기(telling)’, ‘다시 이야기하기(retelling)’, ‘다시 삶을 살아내기(reliving)’의 관점으로 바라보며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9개의 하위 의미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의미 주제를 &lt;불편한 나의 소망&gt;, &lt;삶에서 반복되는 상실감&gt;, &lt;상실감을 태하는 나의 태도&gt;, &lt;성장의 시작&gt;의 4개 범주로 분류하였다. 이에 기반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를 통해 난임여성은 과거의 억압된 상처와, 현재 경험하고 있는 상실감에 대한 무의식적인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고 인지하는 경험을 하 였다. 둘째, 미술치료를 통해 난임여성은 상실감을 수용하고 내적·외적 자원을 발견하였다. 셋째, 미술치료는 난임여성이 정체성을 재정립하고 성장할 수 있는 기회 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가 상실감을 겪는 난임여성이 부정적인 자아을 수용하 고 새로운 자아를 구축하는 것에 대한 미술치료적 개입의 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핵심되는 말 : 상실, 난임여성, 미술치료, 내러티브 탐구

      • 집단 미술치료가 난임 여성의 스트레스,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례연구

        임주현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86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난임으로 심리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여성들의 스트레스, 불안과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M 난임 병원에서 난임으로 진단받고 치료 중에 있거나 치료 받은 경험이 있는 여성 중 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를 희망하는 30~40대 여성 10명의 자발적 신청으로 이루어졌다. 연구의 기간은 2014년 5월 13일~7월 1일까지로, 8주간에 걸쳐 주 1회, 100분씩 총 8회기의 구조적 프로그램을 M 난임 병원에서 진행하였으며, 연구의 검증을 위해 사전・사후 난임 스트레스(ISS), 불안(BAI), 우울(BDI) 척도 질문지와 집-나무-사람(HTP), 그림 이야기(DAS) 검사를 실시하여 그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난임 여성의 스트레스, 불안과 우울의 부정적 정서가 유의미하게 감소되었다. 특히 난임 여성의 스트레스 척도 하위요인 중 가치감과 집착적 사고 요인, 불안 척도의 하위요인 중 주관적 불안과 자율신경학적 불안 요인, 우울 척도의 하위요인 모두를 감소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난임 여성들이 억눌러왔던 정서를 탐색하고 이해하여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에서 벗어나 긍정적인 시각을 회복하였으며, 집단원간의 지지를 통해 공통의 어려움을 나누고 서로를 위로하는 과정을 경험하면서 심리적인 고통이 완화되어 희망을 되찾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난임 여성이 임신에만 집중해 있던 것에서 벗어나 자신을 바라보고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계기를 마련하였으며, 이들의 심리적 중재를 위한 기초 자료로써 사용하는데 그 의미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made in order to examine what effect a group art treatment had on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of women who had psychological health difficulties due to infertility. The subjects of study were composed of 10 30~40-year-old women who spontaneously applied for and hoped to participated in art treatment program among women who were diagnosed as having infertility problem and were being treated or had been treated in M infertility clinic. With regard to the duration of study, the study has been made from 13 May 2014 to 1 July 2014. And 8-session structured program was operated in total, 100 minutes per session, once per week for 8 weeks. And in order to re-evaluate the study, infertility stress scale(ISS), Beck Anxiety Inventory(BAI), and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questionnaire, House-Tree-Person, and Draw-A-Story test was carried out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their change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tudy, through the group art treatment, the negative affect of the infertile women's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particular, it was shown that a positive effect was produced on the sense of worth and obsessive thought factor in stress scale sub-factors, subjective anxiety and autonomic neurological anxiety factor in the sub-factors of anxiety inventory, and all sub-factors of depression inventory. In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verify that infertile women could recover positive viewpoint through getting out of negative perception by investigating and understanding their repressed affect through the group art treatment as mentioned above, and they regained hope because psychological distress was relieved as they experienced the process of sharing common difficulties and mutual consolation through support among the members of group. Therefor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d an opportunity to help infertile women see themselves and grow by getting out of concentration on pregnancy only, and could be used as baseline data for psychological intervention.

      • 무용/동작심리치료가 난임여성의 난임스트레스와 우울 감소에 미치는 영향 : 블랑쉬 에반의 이론을 중심적으로

        부서윤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85

        본 연구는 무용/동작심리치료가 난임여성들의 난임스트레스와 우울 감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서울시에 위치한 M병원(난임전문병원)에 내원하는 난임여성 중 자발적으로 참가를 신청한 5명을 대상으로 2014년 7월부터~8월까지 주 1회 90분씩, 총 8회기에 걸쳐 무용/동작심리치료를 실시한 것이다. 오미나(2001)의 난임스트레스 척도와 Beck 등(1961)이 제작한 것을 이영호·송종용(1991)이 번안하여 표준화한 우울척도 검사와 ㈜바이오센스 크리에이티브에서 제작한 유비오맥파(uBioClip v70)기의 심박변이도(HRV)검사를 사전·사후 측정하여 SPSS 20.0 프로그램으로 t-검증을 하였다. 또한 통계 검증에서 검사지 반응 분석의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집단의 회기별 변화 과정과 집단원의 프로그램 경험 인터뷰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동작심리치료는 난임여성의 난임스트레스를 감소하는데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특히 난임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집착적 사고와 부부만족 스트레스 요인을 감소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무용/동작심리치료는 난임여성의 우울 감소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우울하위요인 중 생리적 증상요인을 감소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신체를 통한 움직임이 난임여성들에게 몸과 마음의 통합이라는 소중한 체험을 제공하고 자신의 신체인식과 내면의 온전성과 힘을 발견하게 해주며, 창의적인 자기표현을 통해 의식이 확장되어 가는 과정을 경험하게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난임여성의 난임스트레스와 우울 감소를 위한 무용/동작심리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활용하는 데에 기초적인 자료로써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dance/movement psychotherapy for women with subfertility on reducing subfertility stress and depression . Research target is five women with subfertility who are visiting to M Hospital (subfertility Hospital) and volunteered to involve in the study understanding the purpose and object of it. From July 2014 to August 2014 each session 90 minutes once a week, dance/movement psychotherapy was conducted as total of 8 sessions. Tools of the present study are the following; Mina Oh(2001)'s subfertility stress scale and a depression scale which was made by Beck et al. (1961), and translated and standardized by Youngho Lee and JongYong Song(1991) were used as a pre-post test; heart rate variability (HRV) data from uBio Pulse Wave (uBioClip v70) of Bio-Sense Creative Inc. were measured at pre and post tests and the data was used for t-test by SPSS 20.0. And the changing process of groups in each session and final interview questionnaire responses were also analyzed to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s of the analysis proc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ance/movement psychotherap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s to reduce the subfertility stress of women with subfertility. In particular, it gave positive impact on reducing obsessed thinking and the couple satisfaction stress which are sub-factors of subfertility stress. Second, dance/movement psychotherap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duction of depression of women with subfertility. In particular, it gave positive impact on reducing the physiological symptoms which are sub-factors of depression. It provides a unified movement through the body of precious experience of body, mind and assists women with subfertility to find the integrity and strength of her body and inner awareness, conscious experience is extended through the process of creative self-expression was. As a conclusion, this study of dance/movement psychotherapy finds the affect of reduction of subfertility stress and depression of women with subfertility. So, this study is meaningful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and utilizing of the dance/movement psychotherapy program to reduce depression and subfertility stress of women with subfertility.

      • 난임 여성의 스트레스 대처 유형과 특성

        최유미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7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불임 여성의 스트레스 대처 유형의 특성과 예측 변수를 파악하는 것이다. 방법: 난임병원에서 난임치료를 받던 여성 120명이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활용해 참여했다. 통계 분석은 기술 통계 분석, K-평균 군집 분석, γ²est, 피셔의 정확한 검정, 일원 분산 분석, 카이검정 및 다항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결과: 약한혼합대처형(1군집)이 30.8%, 강한혼합대처형(2군집)이 35.9%, 소극대처형(3군집)이 33.3%로 나타났다. 약한혼합대처형에 따른 강한혼합대처형(그룹 2)을 비교하고, 난임 적응(OR=17.71, p<.000), 배우자 지지(OR=4.50, p=.021) 난임 상담 경험(OR=7.14, p=010)을 비교했다. 소극대처형(그룹 3)은 극복력이 낮고(OR=0.24, p=.026) 난임 적응(OR=20.39, p<.001)이 높다. 가족 구성원은 배우자를 제외한 다른 구성원입니다(OR=11.80, p=.010). 소극대처형(그룹 3)과 강한 혼합 대처형(그룹 2)을 비교한 결과, 극복력(OR=0.11, p<.000)으로 나타났다. 결론: 난임스트레스에 대처하는 유형이 극복력, 난임 적응, 배우자 지지에 따라 구분되었으며 극복력을 강화하고 난임 적응 측면에서 수용적 태도와 배우자 지지를 통해 적극적 대처에 도움을 제공하고자 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predictors of stress coping types of women with infertility. Methods: The 120 women who were receiving infertility treatment at infertility hospitals agreed to participate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K-means cluster analysis, χ²test, Fisher's exact test, one-way ANOVA, Schéffe's test,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Results: The weak mixed coping type(group 1) was 30.8%, the strong mixed coping type(group 2) was 35.9%, and the passive coping type(group 3) was 33.3%. The strong mixed treatment type(group 2) according to weak mixed treatment type was compared, and the infertility adaptation(OR=17.71, p<.000), spousal support(OR=4.50, p=.021), infertility counseling experience(OR=7.14, p=.010). The passive coping type(group 3) has low resilience(OR=0.24, p=.026) and the infertility adaptation(OR=20.39, p<.001) is high. The family members are other members except spouse(OR=11.80, p=.010). Comparing passive coping type (group 3) with strong mixed coping type (group 2), resilience (OR=0.11, p<.000) was shown. Conclusion: This is because the type of coping with infertility stress depends on resilience, infertility adaptation, and spousal suppor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resilience and provide receptive attitude and spouse support in terms of infertility adaptation to help active coping.

      • 난임 여성의 심리적 불편감과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에 관한 연구 : 부정적 사회적 자기개념과 자기은폐의 조절된 매개효과

        임희정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71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infertile women’s psychological discomfort about their condition on their attitudes towards professional help-seeking, and the second purpose was to identify what effect their negative social self-concept and self-concealment had between the two variables. The research subjects were 297 infertile women who understood the purpose of the study,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had received a diagnosis of infertility, and were undergoing treatment at C infertility center in Seoul Station. With their participation, this study measured psychological discomfort relating to infertility, attitudes towards professional help-seeking, negative social self-concept, and self-concealment. The study’s hypotheses was then tested by conduct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identified that infertile women’s psychological discomfort influenced their attitudes towards professional help-seeking through mediating their negative social self-concept. Second, analysis showed that self-concealment had a negative moder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social self-concept and attitude towards professional help-seeking. Third, moderated mediation analysis, using the Process Macro model presented by Hayes (2013), fou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infertile women’s self-concealment (developed through their negative social self-concept) between their psychological discomfort and attitudes towards professional help-seeking.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when infertile women held negative social self-concepts, they had a stronger tendency toward self-concealment and were therefore less likely to seek professional help to resolve their psychological discomfort. The final section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for further studies. 본 연구의 목적은 난임 여성의 심리적 불편감이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일차적으로 확인하고, 부차적으로 난임 여성의 부정적 사회적 자기개념과 자기은폐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수락한 자로 서울역 C 난임 센터에서 난임 진단을 받고 치료 중인 난임 여성 297명을 대상으로 심리적 불편감,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 부정적 사회적 자기개념, 자기은폐를 측정하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가설을 검증해 보았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난임 여성의 심리적 불편감이 부정적 사회적 자기개념을 매개하여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정적 사회적 자기개념과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와의 관계에서 자기은폐가 부정적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Hayes(2013)가 제시하였던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조절된 매개분석을 실시한 결과, 난임 여성의 심리적 불편감이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부정적 사회적 자기개념을 통한 자기은폐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사회적인 자기개념을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난임 여성이 자신을 드러내지 않고 은폐하려는 경향이 강할수록 심리적 불편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문적인 도움을 찾지 않으려는 경향을 보일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에 대한 의의, 제안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 난임 여성의 불안과 우울 완화를 위한 정서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박지은 차의과학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32319

        본 연구는 난임 여성의 정서조절을 통해 불안과 우울을 감소시키는 정서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룰 정서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은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작성한 것으로 그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개념적 준거 틀을 작성하기 위하여 난임의 개념, 원인, 치료방법, 치료의 한계점, 난임 여성의 정서·신체·사회적 특징에 대한 자료 분석과 난임 대상자 지원에 관한 국제적 동향, 난임 대상자를 위한 심리지원 프로그램에 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공통적으로 설명되고 있는 개념들을 선별하여 본 연구 프로그램의 기본 개념으로 결정하였다. 둘째, 프로그램의 전체 구성은 Greenberg(2003)가 발표한 ‘정서중심치료(Emotion-focused therapy: EFT)'의 삼 단계 접근법에 근거하여 조직하였고, 프로그램의 변인은 문헌고찰에서 언급된 개념인 불안과 우울로 설정하였다. 프로그램의 내용은 정서의 자각과 재구성을 통한 불안과 우울의 완화에 맞추어 고안되었으며, 지지기반을 확립하기 위해 동일집단과의 집단치료형태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매 회 프로그램마다 각각 다뤄질 수 있게 고안되었으며, 각 회기별로 정서중심치료에 입각한 핵심 목표와 방법들을 적절히 적용하여 8명을 대상으로 한 회기에 60분씩, 총 10회기의 정서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셋째, 프로그램은 관계 형성, 정서의 활성화 및 탐색, 정서의 재구성, 총 세 단계로 나누었고, 매 회기마다 도입, 활동, 나눔의 과정으로 진행된다. 프로그램은 정서적 기반을 중심으로 하여, 신체적, 심리사회적 기반까지 통합적으로 적용하여 운영된다. 이상의 연구 과정을 종합하여 보면, 본 연구의 정서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난임 여성의 불안과 우울을 완화하기 위해 정서적 접근방식을 중심으로 개발되었다. 현재 국내에는 ‘인지행동치료(Cognitive-behavioral therapy: CBT)'을 기반으로 한 프로그램이 다수 연구된 바가 있지만, 정서중심치료를 기반으로 한 프로그램은 거의 개발되어있지 않고, 국외에서도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난임 여성의 심리적 문제 해결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에 정서중심치료를 접목함을 통해 심리지원 방법에 있어 보다 더 넓은 접근 방식을 제시함에 의의가 있다. 덧붙여, 본 연구는 보다 효과적인 난임 여성의 불안과 우울의 완화를 위해 난임 진단과 치료과정 동안의 난임 여성의 심리적 특징을 탐색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를 통한 임상장면에서의 적용과 검증은 20만 불임여성이 경험하는 정신과적 문제들을 다루는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난임 여성의 마음챙김 기반 집단미술치료(MBAT) 체험연구

        조정은 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32319

        난임 여성의 마음챙김 기반 집단미술치료(MBAT) 체험연구 우리 사회는 인간의 생애주기 중 결혼과 임신, 출산을 통한 부모가 되는 일련의 과정을 자연스러운 발달단계로 가정한다. 특히 임신과 출산의 전 과정에 있어 해부학적 특성상 여성에게 더 많은 신체적 노 력이 요구된다. 최근 국제적으로 난임 시술을 받는 인구의 증가에 비례하여 이들의 심리치료 필요성도 높 아지고 있다(Maleki-Saghooni et al., 2017). 난임 시술은 성공의 여부가 예측되지 않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치료가 필요하며, 임신 여부가 불확실한 과정으로 만성질환자가 겪는 심리와 유사한 상태를(Kiani & Simbar, 2019) 야기한다. 이에 난임 여성이 경험하는 심리 사회적 어려움을 돕기 위해서는 난임 여성의 심리적 기제를 이해하고 차별화된 심리치료적 접근과 개입의(Podolska, Mariola, 2011) 필요성이 제기되면 서, 마음챙김 또는 예술치료를 활용한 실증적 연구는 난임 여성을 위한 심리적 기제로서의 토대와 임상 개입의 기반을 마련하였으나, 양적 관점이 아닌 포괄적으로 일어나는 심리적 현상을 반영하는 데에는 한 계가 있고,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체험의 현상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지금까지 난임 여성을 대상으 로 마음챙김 기반 미술치료(MBAT)의 통합적 접근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구조화된 개입과 실증적 연구를 통해 난임 여성의 경험을 이해하고 이 과정이 지닌 체험의 현상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난임 여성의 마음챙김 기 반 집단미술치료(MBAT)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밝혀내고, 그들의 경험을 다각적으로 이해하고자 함에 목 적을 두고 있다. 난임을 겪는 여성의 내면을 심도 있게 살펴보기 위한 질적 접근은 그들의 경험에 대한 공감과 이해를 돕고, 향후 난임을 겪는 여성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 또는 심리적 개입 방법의 정보를 제공 하고, 난임 과정 중 치료에 일환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기대한다. 이에 따라 연구자는 본 연구의 문제를 ‘마음챙김 기반 집단미술치료(MBAT)에 참여한 난임 여성들의 경험에 본질과 그 의미는 무엇인가?’로 설 정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참여자들은 경기도 C 종합병원 난임센터에 내원하는 연구자가 선정한 임상적 기준으로 난임을 진단받고 난임 시술을 받고 있으며, 신체적, 심리적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만 25세~35세 여성이 었다. 연구를 진행하기 전 해당 병원 내 인간 대상 연구에 관한 심의를(CHAMC 2023-02-036-002) 통과 한 후 2023년 6월 연구를 참여자 모집이 이루어졌으며, 이상의 조건에 부합하는 연구참여자는 총 4명으로 선정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모집된 연구참여자에게 주 1회 90분~120분 6주간의 마 음챙김 기반 집단미술치료를 제공하고, 총 4명의 연구참여자는 마음챙김 기반 집단미술치료가 종결된 후 연구자와 대면 또는 온라인 플랫폼인 ZOOM으로 일대일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분석에 있 어 인터뷰 자료 및 회기별 나눔 녹취록, 연구참여자들의 창작물 등을 포함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van Menen의 연구 방법을 통해 분석한 결과 총 7개의 본질적 주제와 22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본질적 주제는 다음과 같다. &lt;지친 몸과 마음을 위로하기 위해 참여함&gt;, &lt;‘난임 여성’이라는 이름에 갇혀 사는 나의 몸과 마음의 지침을 알아차림&gt;, &lt;내 마음의 실체가 그림에 나타남&gt;, &lt;수용적 태도로 자신에 대한 입체적 통찰함&gt;, &lt;내 몸과 마음을 타고 흐르는 오랜만에 느끼는 편안함&gt;, &lt;사람들 속에서 느끼는 관계에 대한 만족&gt;, &lt;내 마음을 지키는 나만의 보호 방법을 찾음&gt;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참여자들은 마음챙김 기반 집단미술치료 경험의 의미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들은 마음챙김 기반 집단미술치료를 경험함으로써 자신의 심리적 어려움을 인식하고, 이를 안전하게 표현하는 경험이었다. 즉 마음챙김 과정과 창의적 활동을 경험하고 이 과정에서 신체적 이 완과 심리적 어려움을 알아차리고, 작품에 나타난 자신의 마음에 실체를 거리를 두고 바라보는 기회가 된 것이다. 둘째, 마음챙김 기반 집단미술치료는 연구참여자에게 즐거움과 심리적 여유를 갖고 자신을 돌보 는 경험이 되었다. 유희적 태도로 자유롭게 창작하는 과정에 몰입하며 오랜만에 편안함을 만끽하고, 친절 하고 따뜻한 태도로 스스로를 돌보는 원동력이 된 것이다. 셋째, 난임을 경험하고 있는 연구참여자들은 ‘난임 여성’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다양한 나를 발견하고, 있는 그대로 수용해 보는 경험이 되었다. 이러한 발견은 연구참여자들에게 임신이 되지 않은 삶에 대한 사고가 전환되며, 개인의 삶에 있어서 정립된 평균 과 보편성에 대한 의미를 재정립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넷째, 연구참여자들은 마음챙김 기반 집단미술 치료를 절차에 따라 자신만의 마음챙김 방법을 찾아보고 일상 속 실천을 통해 마음챙김을 유지하는 경험 이 되었다. 이러한 경험들은 연구참여자들에게 일상에서 마음챙김적 태도를 유지하며, 자신을 돌보는 행 위로 이어졌다. 결론을 요약해 보면, 자신의 위로하고 돌보는 행동을 통한 개인의 삶에 대한 주체성을 회 복하는 계기가 되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론을 토대로 연구자가 제시했던 연구 문제를 반성해 보면, 마음챙김 기반 집단미 술치료는 난임 전문 병원에 다니는 여성에게 의료미술치료로써 신체적·심리적 소진을 돕는 치유 적 기제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자기 돌봄의 시간을 제공하고, 궁극적으론 한 개인의 삶을 스 스로 점검할 수 있는 기능을 할 수 있음을 함의하는 바이다. 본 연구의 결론을 통해 연구자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음챙김을 기반한 미술치료 프 로그램의 타당성을 밝히고, 마음챙김을 기반한 미술치료의 이론적 기반과 이를 통한 마음의 적 응력과 강화, 심리적 회복에 어떻게 기여하는지에 대한 효과를 밝히는 후속 연구를 제언한다. 둘 째, 난임 경험의 맥락을 파악하고 의료적 상황에 따라 세분화하여 개입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셋 째, 대상의 확장을 위해 미술치료사들의 전문성과 역량을 향상하는 교육 및 지원이 필요하며 마 음챙김 기반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확대하기 위한 전문성을 갖춘 전문가들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주요어 : 난임, 난임 여성, 마음챙김 기반 미술치료, 집단미술치료, 체험연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