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강압적 양육을 경험한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송아연 차의과학대학교 미술치료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의 목적은 강압적 양육을 경험한 북한이탈주민 자녀가 미술치료를 경험하면서 자신의 삶을 어떻게 이야기하고 재구성하는지 알아보고, 어떤 의미를 주는지 탐구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13세 여아로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아동센터를 내방하고 있다. 연구 참여자에게 2017년 03월 23일부터 2017년 04월 27일까지 주 2회, 화요일과 목요일마다 진행되었고, 매 회기는 1시간 소요되었다. 본 연구는 강압적 양육을 경험한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미술치료 경험에 대하여, 아버지의 양육 태도에 대한 참여자의 삶을 들여다보고 작품으로 재구성하여 새로운 의미를 찾아가는 과정을 Clandinin & Connelly(2000)가 제시한 내러티브 탐구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내러티브 탐구를 바탕으로 연구 참여자가 미술치료를 통해 얻은 경험의 의미는 자신의 감정을 눈으로 확인하여 <짜증의 감정>, <분노의 감정>, <감정의 해소>, <아버지를 향한 첫걸음>의 네 가지 의미주제로 범주화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이는 미술치료를 통하여 시각화된 감정을 직접적으로 확인하고 자신의 삶을 되돌아 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이러한 경험은 아버지에 대한 감정을 비언어적으로 표현하여 거부감 없게 재경험 할 수 있게 했다. 그리고 미술치료를 통해 감정을 표출하여 아버지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과 문제뿐만 아니라 긍정적인 감정을 경험할 수 있었다. 둘째, 강압적 양육을 경험한 청이에게 있어서 미술치료는 아버지에게 다가갈 수 있는 노력과 조금씩 이해해 나가는 방법을 깨달았다. 자신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수용하는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기회는 아버지를 있는 그대로 바라보려는 노력을 할 수 있게 했으며, 긍정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먼저 노력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강압적 양육을 경험한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미술치료 경험을 내러티브 탐구로 접근하여 한 사례에 대해 깊이 있는 연구가 가능하며, 북한이탈 부모-자녀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위하여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임상적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초기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형성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최윤정 차의과학대학교 미술치료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703

        Adolescence is a period time which breaks out of childhood and reaches adulthood where it goes through the drastic changes in physical, emotional, mental and social aspects. Early adolescence is the beginning of rapid change in the entry stage of adolescence, and confusion, conflict, and disarray for self-identification are natural during this peri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young people develop a healthy sense of self-identification through self-expression through art therap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adolescence. The study target was four sixth-grade students with no psychiatric problems or any special problems, which were proceeded for general early teenager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youth that everyone generally experienced, rather than the study aimed at the early teenagers with special characteristics. Prior to the commencement of the art therapy, the self-identity test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base points and identify the tendency of the participants. The self-identity test shows that among the six sub-fields of self-identification, the level of uncertainty about the future of adolescents is a common part of this period as well as a concern that begins from early adolescence. Therefore, it points out that art therapy is needed to create a sense of self-identity that can be prepared for thinking about the future in early adolescence. In this study, we conducted self-identification therapy in the sixth sessions with a detailed goal of six areas:, identity which is under area of self-identity, self-sufficiency, future certainty, goal orientation, initiative and intimacy. The first and second sessions are aimed at confirming rapport and freely self-expression for the emotion of a recent experience. It makes the next session more intimate. The third session had a time for self-praise and fourth sessions helped for forming self-reliance and self-identity which is a subfactor. It causes them to explore and find themselves through writing letters from outer to inner mind. The fifth session was to make business cards as an approach for future certainty and goal orientation, one of the causes of anxiety in adolescence. I think it positively influenced to make them not only think about themselves but also prepare for the future and create goals, not the purpose of finding a job and art expression. Lastly, the sixth session was a benefit of collective art therapy, which provided an opportunity for social member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o create a world where they live together. It was time to think about their position in order to create a harmonious worl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o form closeness and initiative which was the under area of self-identity. This study is that it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formation of self-identity through art therapy for the detailed self-identity in the sixth session, in terms of experience of deeper, more meaningful self-expression and smooth communication. I consider that the positive experience from the art therapy which is aimed at creating a sense of self-identity in early adolescence can be a valuable resource for developing the right sense of self-identity in the chaos, conflict, losing a way in youth. Key words : early adolescence, group art therapy, case studies, self-identification 청소년기는 아동기에서 벗어나 성인기에 도달하기 전 시기로 신체, 정서, 정신, 사회적인 면에서 급 변화를 겪는다. 초기청소년기는 청소년기의 진입단계로 급변화가 시작되는 시기로 자아정체감 형성을 위한 혼란, 갈등, 방황은 이 시기에 자연스러운 일이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기의 특징들을 고려하여 초기청소년을 대상으로 미술치료를 통한 자기표현으로 건강한 자아정체감 형성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정신과적 질환이나 문제적 사항이 있지 않은 초등학교 6학년 학생 4명으로, 이는 특이사항이 있는 초기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아닌, 누구나 겪게 되는 청소년기의 특징을 고려하여 일반초기청소년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미술치료 회기를 시작하기 전 자아정체감 검사는 기저점 확인과 참여자에 대한 성향 파악을 위하여 진행되었다. 자아정체감 검사는 자아정체감 하위영역 6가지 중 미래확실성과 목표지향성이 다른 영역에 비하여 공통적으로 낮게 나온 점은 청소년기의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은 이 시기의 공통적인 부분이며, 초기청소년부터 시작되는 고민인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건강한 청소년기를 보내기위해서는 초기청소년기에 미래를 생각해보며 준비 할 수 있는 자아정체감 형성을 위한 미술치료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6회기 미술치료 진행에 있어서 자아정체감 하위영역인 주체성, 자기수용성, 미래확실성, 목표지향성, 주도성, 친밀성 6가지영역을 세부목적으로 하여 자아정체감 형성을 위한 미술치료를 진행하였다. 1.2회기는 라포형성과 현재의 상태를 자유롭게 자기표현과 최근의 겪은 감정들을 확인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하며, 다음 회기 진행을 더욱 친밀하게 할 수 있게 하였다. 3회기는 자기자랑 놀이, 4회기는 자신의 겉마음이 속마음에게 보내는 편지쓰기를 통하여 자신을 탐색하고 자아를 찾아가는 계기가 되었으며, 자아정체감 하위요인인 주체성, 자기수용성 형성에 도움이 되었다. 5회기는 청소년기에 불안 원인 중 하나인 미래확실성과 목표지향성을 위한 접근으로 명함 만들기를 진행하였다. 이것은 직업을 탐색, 미술표현의 목적이 아닌 자신에 대해 생각해보며 미래를 준비하고 목표를 만들어가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6회기는 집단미술치료의 장점으로 사회구성원이 서로 소통하고 함께 사는 세상을 만들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서로가 조화로운 세상을 만들기 위해 자신의 위치를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이었으며, 서로 관계 속에서 소통하며 자아정체감 하위영역인 친밀성과 주도성 형성에 부합되었다. 본 연구는 6회기의 구체적인 자아정체감 형성을 위한 미술치료를 통하여 보다 깊이 있고 의미 있는 자기표현과 원활한 상호소통을 경험하면서 자아정체감 형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것에 의미를 갖는다. 초기청소년기에 자아정체감 형성을 목적으로 한 미술치료의 긍정적인 경험은 청소년기의 혼란과 갈등, 방황 안에서도 올바른 자아정체감을 형성해 나갈 수 있는 자원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자살에 대한 국내 미술치료연구 동향 분석

        김범준 차의과학대학교 미술치료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703

        An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gain an understanding of the format, setting, directives, materials, and approaches being used to treat attempted suicide and committed suicide with art therapy. A total of 42 articles with a primary focus on art therapy. A literature matrix was used to organize 42 of the publications for comparison and to identify themes among the content. First, the domestic art therapy study for those who attempted suicide and committed suicide showed that more than one episode was continuously conducted every year. Second, the analysis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n the study, 16 cases of mixed sex (42.1%) were found, 22 cases (57.9%) were analyzed for ages 10 to 19, and 8 cases (21%) were reported for those aged 20 to 29 (15.8%) were selected for age 60 or older. There is a need for an increase in research for each age. Third, the analysis results by research method are as follows. Thirty experimental studies (71.4%) and five case studies (12%) were designed, with 35 experimental and case studies combined (83.4%). Three literature studies (7.1%), three other studies (7.1%), one empirical research (2.4%), and zero research studies. This study has a limitation of 42 national literature. However, since Korea's suicide rate is more serious than any other country in the world, it needs to accumulate research data to sui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 and needs to re-establish the data accumulated over 20 years, so it is meaningful that it will present the data based on the existing data in future research. Keywords : Suicidal Thoughts, Suicide attempt, Art therapy, Trend Analysis, Suicide 1995년부터 2019년 4월까지 발표된 KCI등재 학술지 문헌과 국내 석·박사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자살시도자·자살사고자를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 연구의 발행 편수와 발행기관, 연구대상, 연구 방법, 연구 내용, 미술치료 구조와 프로그램에 따라 동향을 분석하였다. 첫째, 자살시도·자살사고 경험자를 대상으로 한 국내 미술치료 연구는 매년 1편 이상씩은 지속적으로 이루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연구대상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의 성별은 혼성의 경우가 16편(42.1%)으로 가장 많았으며, 연령 별 분석 결과는 10세~19세 대상 22편(57.9%)으로 과반수를 나타냈으며, 20세 ~29세 대상은 8편(21%) 60세 이상 대상연구가 6편(15.8%)순이었다. 각 연령별에 따른 연구의 증가가 필요하다. 셋째, 연구방법별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설계는 실험연구가 30편(71.4%), 사례연구가 5편(12%)로 실험연구와 사례연구를 합친 비중이 35편(83.4%)이었다. 문헌연구 3편(7.1%), 기타연구 3편(7.1%), 체험연구 1편(2.4%), 조사연구 0편(0%)의 비중을 나타냈다. 양적 분석방법이 7편(18.4%)을 차지했고, 대상자의 질적 분석방법이 6편(15.8%),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을 함께 사용한 통합 분석방법이 25편(65.8%)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연구도구에 따른 결과는 한 연구에서 여러 개의 도구와 척도를 사용한 경우 개별 합산하여 총 빈도수는 116회였다. 그림검사 분야 16개 항목의 사용빈도가 36회(31%)로 가장 많았으며 자아분야 13개 항목의 사용빈도는 32회(28%), 정서 분야 11개 항목은 25회(22%)로 다음이었다. 넷째, 미술치료의 구조를 분석한 결과 미술치료의 형태는 개인치료가 48% 집단치료가 52%로 비슷한 비율을 나타냈다. 미술치료 프로그램 유형에서는 매회기마다 한 가지 프로그램만을 사용하는 단일프로그램 1편(3.4%), 여러 가지 기법을 사용하는 복합프로그램 21편(72.5%)으로 대다수를 차지했고 통합프로그램은 7편(24.1%)으로 나타났다. 매체 분석결과로는 종이매체의 사용빈도가 113회(43.3%)로 가장 많았다. 사인펜, 크레파스, 마카 등을 사용하는 평면건식매체가 94회(36%)로 다음의 비중을 차지했다. 수채물감, 아크릴 물감 등을 사용하는 평면습식매체는 25회(9.6%), 공예 재료들인 입체건식매체 17회(6.5%), 찰흙, 점토 등을 사용하는 입체습식매체 8회(3.2%), 비정형매체 4회(1.4%)의 순서의 비중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국내의 문헌 42편을 대상으로 한 제한점을 가진다. 하지만 세계 어느 나라보다도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심각한 상황이므로 우리나라의 특성에 맞는 연구 자료의 축적이 필요하면서 20여년의 시간동안 축적된 자료들의 재정립 또한 필요하므로 향후 연구에 있어 기존의 자료들을 토대로써 제시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 소아암 생존 청소년의 미술치료 사례연구

        배지연 차의과학대학교 미술치료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703

        This study was a qualitative case study aimed at carrying out art therapy programs for an adolescent childhood cancer survivor. The adolescent had been experiencing the after-effects following recovery from cancer and regaining normal life due to diseases during development. This study examined how art therapy ultimately affected the quality of life through the course of the therapy. The participant was an adolescent boy under the age of 13, who had been diagnosed with acute promyelocytic leukemia in 2010 and had undergone surgery and follow-up treatment. The participant had been completely treated by 2017. Following treatment, the patient had experienced difficulties in adapting to routine life due to the after-effects. Thus, art therapy was conducted ten times between March and May of 2018. Art therapy programs considers the patients’ personal problems and helps patients adapt to daily life and these programs are flexibly adjusted in the course of addition or revision of therapy.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 from this study. First, art therapy provided opportunities to re-perceive the past disease experiences that have been negative reminiscences to accomplishing experiences. This brought about positive changes that served as a motive for changing ideas of victims into people who overcame diseases, helping the participant becoming aware of internal power, and improving self-efficacy. Second, art therapy positively influenced the self-control capability of adolescent boy. The participant who revealed stress in responsible work and showed vulnerability in cognitive and emotional control capabilities gradually performed self-expression and demonstrated positive attitudes in adjusting behaviors and emotions by identifying motives to constantly conduct given works through self-understanding. This indicated the effectiveness of art therapy through both pre-test and post-test. Third, art therapy promoted self-expression more authentically by approaching the adolescent who had low emotional expression by applying non-verbal art work. In addition, it helped him experience self-understanding and contemplation through experiencing and exploring inner expression. In this way, art therapy provided opportunities of exploring oneself in an adolescent childhood cancer survivor who experienced difficulties in adapting to routine life due to the after-effects and improved self-efficacy and self-control capability by reinforcing successful experiences that overcame diseases and by perceiving and improving internal power. Accordingly, the constant development of art therapy programs is required to help psychosocial adjustment of adolescent childhood cancer survivors who experience difficulties in adapting into the course of returning to daily life after suffering from diseases. Keywords: Childhood cancer survivor, Self-efficacy, Adolescent art therapy, Case study 본 연구는 발달과정에서 경험한 질병으로 인하여 완치 후 돌아온 일상에서 후유증을 호소하는 소아암 생존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위하여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시도하고 이러한 과정이 궁극적으로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진행된 질적 사례연구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만 13세의 청소년으로 2010년 소아암의 일종인 급성전골수성 백혈병을 진단받아 수술과 치료를 병행하였고 2017년 완치판정을 받았다. 그러나 치료가 종료된 이후에도 후유증으로 인해 일상에서 적응의 어려움을 호소하였고 이를 위해 2018년 3월부터 5월까지 주 1회, 총 10회기의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일상에서의 적응을 돕고자 참여자의 호소문제와 성향을 고려하여 구성하였으며 추가하거나 수정의 과정을 거쳐 유동적으로 조정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미술치료는 부정적인 기억으로만 존재하던 과거 질병경험을 성취경험으로 재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이는 스스로를 피해자에서 질병을 극복한 사람으로 의미변화의 계기가 되어 내적인 힘을 깨닫게 하고 자기효능감이 향상되는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둘째, 미술치료는 소아암 생존청소년의 자기조절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책임감을 요구하는 일들에서 스트레스를 호소하며 인지적, 정서적 조절능력에서 취약한 모습을 보였던 참여자는 점진적으로 자기표현을 거듭하며 자신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주어진 과업을 지속적으로 수행해야하는 동기를 찾음으로써 행동과 감정을 조절하는 부분에서 긍정적인 태도변화를 보였다. 셋째, 미술치료는 감정표현이 둔마된 청소년에게 비언어적 방식의 미술작업을 적용하여 접근함으로써 방어를 감소시켜 자기표현이 보다 진솔하게 이루어질 수 있었다. 또한 내면표출의 경험과 탐색을 통하여 자기이해와 성찰을 경험하도록 도움을 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후유증으로 인해 적응의 어려움을 경험하는 소아암 생존청소년에게 자기탐색의 기회를 제공하고 질병을 극복한 성공경험을 강화하여 내적인 힘을 인지하고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에 의의가 있다.

      • 집단미술치료가 성인자폐스펙트럼 장애인의 사회성과 자기 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 푸드 매체 중심으로

        김은영 차의과학대학교 미술치료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푸드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성인 자폐스펙트럼 장애인에게 흥미로운 미술표현 활동을 경험함으로 사회성 관계에서 자기표현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푸드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성인 자폐스펙트럼 장애인이 가지고 있는 사회적 상호작용 결여 문제를 감소 시키고 정서행동 변화 및 의사소통의 경험을 확장시켜 자기표현력과 사회성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성인 자폐스펙트럼 장애인의 자기표현력 증진과 사회성 향상을 위해 푸드매체를 활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푸드매체를 활용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해 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 대상의 프로그램 실시는 실험집단 서울에 위치한 ㄱ장애인 종합복지관 성인 자폐스펙트럼 청장년 만19세부터 45세까지 6명씩 2집단 총 12명에게 주 1회 60분씩 14회기로 각각 진행하였다. 통제집단의 경우 실험집단과 동일하게 서울에 위치한 ㄴ장애인 종합복지관 성인 자폐스펙트럼 2집단 총 12명에게 사전·사후 검사만 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성 평가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사전.사후검사 변화를 비교하였으며,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를 위하여 연구 검사도구로는 자아존중감 척도(Rosenberg Self-Esteem Scale, RESE), 사회적 기술 평정척도(Social Skills Rating System), 사회성기초기능척도(Sociality Basic Functional Scale), 자기표현 평정척도(Self-Directed Assertiveness Scale)를 실시 하였으며, 실험집단은 매회기 미술치료프로그램 이후 치료만족도(Treatment Satisfaction Rate)를 평가하여 기존 선행 연구들에서는 볼 수 없었던 성인 자폐스펙트럼 장애인에게 미술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자발적 평가의 기회를 준다는 점에서 의미를 더한다. 본 연구에서는 푸드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성인자폐스펙트럼 장애인의 사회성, 자기표현력,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위해 수집된 검사자료는 SPSS 22.0(Window)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 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성인자폐스펙트럼 장애인의 사회성, 자기표현력, 자아존중감에 대한 정규성을 검토한 결과 통제집단의 경우 사회성, 자기표현력, 자아존중감 모두 정규분포가 가정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비모수검정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성인 자폐스펙트럼 장애인의 사회성, 자기표현력, 자아존중감 수준이 동질한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Mann-Whitney U 검정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성인자폐스펙트럼 장애인의 사회성, 자기표현력, 자아존중감을 사전과 사후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Wilcoxon의 부호순위검정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회성, 자기표현력, 자아존중감을 사전과 사후점수 변화량의 차이를 통해 푸드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사회성, 자기표현력,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Mann-Whitney U 검정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통계적 검증은 유의수준 α=.05에서 실시하였다. 그 결과 푸드매체를 적용시켜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성인 자폐스펙트럼 장애인의 사회성, 자기표현력, 자아존중감을 향상시켰다. 즉, 그들이 스스로 창조적인 표현을 해내고 사회성과 정서적 행동들이 긍정적인 변화를 보이며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으로 내재되어 있는 감정표출을 하여 그에 따른 자기수용을 경험함으로 적극적이며 자발적인 자기표현력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음을 알 수 있었다.

      • 청소년의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 체험연구

        김수인 차의과학대학교 미술치료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자기이해 및 자기 치유의 욕구를 가진, 자발적으로 집단미술치료에 참여한 인문계 고등학생이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에서 어떤 경험을 하는지, 그 체험의 의미와 본질이 무엇인지 이해하는 데 목적을 둔다. 청소년은 정상적인 발달 과정에 있다 하더라도 달라진 사회적 요구와 역할변화, 급격한 개인적 변화와 성장에서 비롯된 혼란을 겪을 수 있으나 그 시기를 건강하게 보낼 수 있도록 돕는 사회적 여건은 부족한 실정이다. 미술치료는 감각성ㆍ유희성을 가진 미술 매체를 활용하여 자기표현을 촉진하고, 미술 작품과의 상징적 의사소통을 통해 내면과의 대화를 이끈다. 이 과정은 자발적으로 자기를 표현하고 그 의미를 찾게 하며 자연스러운 통찰로 이어져 자기성장을 이끈다. 청소년의 정신건강은 개인적인 삶의 질뿐 아니라 사회문제의 감소와 예방에 도움이 된다는 점에서 건강한 사회를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점에서 미술치료는 청소년 개인뿐 아니라 건강한 사회를 위한 수단이 된다. 본 연구는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연구참여자의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 체험과 체험의 의미와 본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자발적인 지원을 통해 집단미술치료에 참여한 S시 소재 여자 고등학교 심리 반에 소속된 예비 고3으로 총 6명이다. 본 연구자는 2019년 12월 16일부터 2020년 4월 7일까지 약 4개월 동안 사전 면담, 6회기의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 두 번의 심층 면담을 수행하여 연구참여자의 언어와 표현으로 구성된 생생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여 16개의 하위 주제와 5개의 본질적 주제를 도출하였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심리적 안정감>. <자기 탐색 경험>, <다양한 감정 수용>, <집단 소속감과 상호관계 함양>, <미래에 대한 용기>.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연구참여자의 체험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는 연구참여자에게 자신을 치유할 수 있는 체험이 되었다. 둘째,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는 연구참여자에게 자기를 탐색하는 체험이 되었다. 셋째,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는 연구참여자에게 자신의 다양한 감정을 수용하고 통합하게 되는 체험이 되었다. 넷째,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는 연구참여자에게 타인의 시각을 수용하고 자신을 바라보는 관점의 확장을 이루는 체험이 되었다. 다섯째,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는 연구참여자에게 미래에 대한 용기를 가지게 하는 체험이 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을 바탕으로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발달적 독특성과 욕구를 이해하고, 이들의 건강한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전문성을 가진 청소년 미술치료사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둘째, 학교 기반 집단미술치료의 시행을 제언한다. 셋째,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을 위한 사회적 관심과 국가적 차원에서의 지원과 협력을 제언한다. 마지막으로, 청소년 미술치료연구에서의 대상 확장을 통해 다양한 청소년을 포용할 수 있는 집단미술치료 후속 연구를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what the high school students who voluntarily participate in group art therapy with the desire for self-understanding and self-healing experience in personal growth group art therapy, and what the meaning and nature of this experience are. Even if they are in the normal course of development, adolescents may experience emotional strain caused by social demands, role changes, and rapid personal changes and growth, but there are lack of social conditions to help them stay healthy. Art therapy promotes self-expression using art media with sensory and playfulness, and leads dialogue with the inside through symbolic communication with art works. This process leads to personal growth by expressing oneself and finding its meaning, leading to natural insight.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is very important for a healthy society in that it helps not only to improve the quality of personal life but also to reduce and prevent social problems. In this regard, art therapy is a means for adolescents and a healthy societ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articipants’ personal growth group art therapy experience, and the meaning and nature by applying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search. A total of 6 participants who voluntarily participating in group art therapy are high school students belong to the psychological class in the girls' high school located in S City. From December 16, 2019 to April 7, 2020, the researcher collect a data consisting of the participants’ language and expressionsby conducting prior interview, six personal growth group art treatments, and two in-depth interviews. As a result of analyzing this collected data, sixteen sub-themes and five essential themes were derived. The contents are as follows. <Psychological stability>. <Self exploration experience>, <Accommodation of various emotions>, <Cultivate a sense of belonging and mutual relations with the group>, <Courage for the futu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clusions of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are as follows. First, self-grown group art therapy has become an experience that can heal oneself to study participants. Second, personal growth group art therapy became an exploration experience for participants. Third, personal growth group art therapy became an experience in which participants accept and integrate their various emotions. Fourth, personal growth group art therapy became an experience to accept the perspectives of others and to expand their perspectives on themselves. Fifth, personal growth group art therapy has become an experience that encourage participants for the future. The following are suggestions based o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First, it suggests the necessity of adolescent art therapists who understand the developmental uniqueness and needs of adolescents and have expertise to support their healthy growth. Second, it suggests the implementation of school-based group art therapy. Third, it suggests social interest for the healthy growth of youth and the need for support and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 departments. Lastly, I propose to expand the subject in the study of adolescent art therapy that can embrace various adolescent.

      • 포항지진을 홀로 겪은 초등학생 미술치료 사례연구

        안예슬 차의과학대학교 미술치료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국내 발생 지진 중 역대 가장 큰 피해가 발생한 포항지진을 홀로 겪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외상경험에 대하여 미술 치료적 접근을 통한 영향을 알아보고자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Herman(1992)의 외상성 치유3단계를 참고하여 연구자가 사전·사후 검사를 포함한 9회기의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재난으로 인한 외상아동에게 다양한 매체경험과 활동으로 정서·긴장이완과 스트레스 대처능력을 향상시키고 주도권을 획득하여 미술 치료적 접근을 통한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하였다. 미술치료는 2018년 3월 27일부터 2018년 5월 8일까지 사전·사후검사를 포함하여 9회기 진행하였으며 연구 측정도구로는 IES-R-K(한국판사건 충격 척도 개정판)와 PITR(빗속의 사람)을 사용하였다. 치료 후에 녹취된 자료와 관찰 내용, 작품, 사전·사후 검사를 바탕으로 회기별 사례 분석과 단계별 아동의 변화과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 재난을 통한 외상아동은 미술치료를 통해 내적 자원을 활용할수 있는 스트레스 대처 능력이 향상되었음을 보고 한다. 둘째, 부분적인 PTSD이지만 미술치료를 통해 과거 충격사건을 수용하고 전환하는 기회가 되었음을 보고 한다. 셋 째, 충격을 줄 수 있는 외상상황에 경직되지 않고 주도적으로 건강한 방법을 이용해 대처할 수 있는 기회가 만들어졌음을 보고 한다.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자는 재난으로 인한 외상경험 아동에게 다양한 매체경험과 활동으로 정서·긴장이완과 스트레스 대처능력을 향상시키고 주도권을 획득하여 미술 치료적 접근을 통한 변화를 알아보았다. 그러나 연구에 참여한 아동이 포항지진으로 인하여 외상을 경험한 다수를 대표 할 수 없다는 제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지진의 안전지대라고 여겨졌던 한반도의 지진 발생으로 인하여 외상을 경험한 많은 사람들을 위해 더 많은 미술치료 활동으로 후속연구가 이루어져 많은 사례결과를 통해 재난상황에서 미술치료의 효과성과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길 바란다.

      • 국내외 청소년 미술치료 연구동향분석 : 2010-2019년 논문을 중심으로

        최지원 차의과학대학교 미술치료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최근 10년 동안의 국내와 해외의 청소년 미술치료의 연구동향을 살피고 비교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청소년(adolescent)과 미술치료(Art therapy) 등을 검색어로 학술연구정보(RISS), 누리미디어(DBpia), 학술교육원(E-article), 한국학술정보원(KISS), Science Direct, Taylor & Francis Online에서 자료를 수집한 후 등재 학술지 게재 논문을 선정해 국내논문 130편, 해외논문 42편을 최종으로 선정하였다. 분석의 기준은 연도별 & 연구 영역별, 연구대상별, 연구방법별, 연구내용별이며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연구동향에서 국내는 2015년에 29편(22%)으로 가장 논문의 빈도수가 증가한 후 감소하였고 해외는 2016년까지 비슷한 빈도로 연구가 되다가 그 이후로 감소하였다. 연구유형별 동향에 따르면 미술치료 과정 및 성과 연구가 국내 97편(75%), 해외 25편(60%)으로 가장 빈도수가 높았다. 둘째, 연구대상별 연구동향에서 국내는 97편(75%)으로, 해외는 24편(81%)으로 연구대상이 집단으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가 많았으며, 국내외 모두 10명에서 29명 사이의 집단 크기가 각각 54편(44%), 10편(25%)으로 많게 나왔다. 연구대상의 특성에서 국내외 모두 일반 청소년 대상이 가장 많았으나 두 번째로 높은 수를 보면 국내는 문제행동 특성이 40편(30%), 해외는 외상경험 특성이 12편(28%)으로 결과에 차이를 보였다. 연구를 실행한 기관은 교육기관이 국내 69편(56%), 해외 14편(33%)으로 가장 많았다. 셋째, 연구방법별 연구동향에서 국내는 혼합연구가 46편(35%), 해외에서는 경험적 연구가 9편(21%)으로 가장 많았다. 치료 총 회기에서 국내는 10에서 19회기 진행이 74편(60%)으로 해외는 1에서 9회기 진행이 14편(35%)으로 높게 나타났다. 국내외 모두 주 1회 치료를 진행한 논문이 각각 49편(46%), 15편(43%)으로 나왔으며 국내는 60분이 30편(28%)으로, 해외는 알 수 없음을 제외하면 90분이 4편(11%)으로 높게 나왔다. 국내와 해외 모두 투사검사보다 객관검사를 측정도구로써 많이 사용하였으며 심리 정서와 관련된 주제를 다룰 때 가장 측정도구가 많이 사용되었다. 국내외 모두 미술치료 단일기법을 사용한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며 자료 내용분석과 독립표본 t 검정을 자료분석 방법으로 주로 사용하였다. 넷째, 연구내용별 연구동향에서 국내는 자기 관련 변인이 45회(28%), 해외는 심리 정서 변인이 18회(39%)로 가장 빈도수가 많게 나왔으며, 연구주제에 따른 치료기법에서 국내는 자기 관련과 심리 정서 관련 주제를 다룰 때 각각 15회(34%), 해외에서는 심리 정서 관련 주제를 다룰 때 4회(67%) 치료기법을 주로 사용하였다. 국내와 해외의 청소년 미술치료에는 차이를 보이는 분류항목들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국내외 청소년 미술치료의 흐름을 봄으로써 앞으로의 청소년 미술치료의 발전에 방향을 제시한 것에 의의를 둔다.

      • 미술치료학 석사학위 논문작성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심예지 차의과학대학교 미술치료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학 전공 대학원생이 초심 미술치료사이자 연구자로 석사학위 논문을 작성하며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그 체험의 의미와 본질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미술치료학 석사학위 논문작성을 완료한 졸업예정자 또는, 현재로부터 3년 이내의 졸업자를 대상으로 모집하였으며, 최종 6인이 선정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2020년 12월부터 2021년 5월까지 연구참여자와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가 포화 될 때까지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을 바탕으로 하였으며, 해석학적 현상학의 반성을 통해 25개의 하위 주제와 8개의 본질적 주제를 도출하였다. 본질적 주제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논문을 쓰고자 하는 의지를 갖게 됨>, <연구방법과 대상을 구하는 과정에서 좌절을 느낌>, <어려움을 맞서기 위한 도움을 구함>, <고민하고 탐구하는 과정에서 소진과 성장을 경험함>, <논문 완성에 대한 부담과 압박이 책임감과 자신감으로 변화함>, <미술치료의 정체성에 확신을 가짐>, <인고의 과정을 겪어 만들어 낸 결과물에 성취감을 얻음>, <미술치료라는 학문을 깊이 있게 배우며 더욱 발전하고자 함> 연구결과를 토대로 내린 결론은 첫째, 미술치료 대학원 석사학위과정에서 논문작성의 동기는 졸업과 박사과정 진학을 위한 외적 동기 외에도, 개인적 성장과 미술치료학의 발전에 기여를 위한 내적인 동기로 논문작성을 시작한다. 둘째, 미술치료학의 논문작성 경험은 인간에 대해 총체적 이해와 심리적 개념을 탐구하며 내담자를 대하는 미술치료사의 태도를 형성한다. 이 경험은 미술치료사로 자신의 정체성을 견고히 하는 데 도움을 준다. 셋째, 석사과정에서 논문작성 경험으로 연구를 실제에 적용하는 법을 익히고, 연구자적 태도를 형성한다. 이 태도는 연구자로서의 정체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넷째, 대학원 석사학위 교육과정에서의 논문작성 경험은 보다 나은 미술치료 전문가로 성장하는 데 도움이 된다. 논문을 작성하며 연구자 또는 치료사의 두 정체성을 구분 짓기보다는 통합되어가는 과정을 겪으며 단지 논문작성 결과물에서 만의 성취감이 아닌 석사과정 전체에 대한 성취감을 느낀다. 다섯째, 논문작성의 결과물은 성취감과 더불어 자신감을 갖게 하고 지속적인 배움의 동기를 부여한다. 또한 석사학위과정에서 논문작성 경험은 후속연구를 이끌어 내는 데 도움이 된다. 이는 미술치료학의 질적인 성장과 함께 전문분야로의 정체성 확립에 기여한다. 본 연구는 연구의 수행 주체로서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 대학원생이 배움의 주체이자 학문 후속세대로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와 전문적인 미술치료사로 성장하고 변화하는 과정을 체험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또한, 이러한 미술치료학 석사학위 논문작성에 관한 체험연구는 그들의 경험을 이해하며 논문 작성 지도를 위한 교수법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what the experience of a graduate student majoring in art therapy to write a master's thesis as a beginner art therapist and researcher. As the in-depth interviews are the key research method to collect the data for this study, participants are recruited who are prospective graduates with their completed master’s thesis and the graduates in three years after their graduation in art therapy. The interview had been conducted from December 2020 to May 2021 until the data can saturate through the participants. The data analysis derived twenty-five sub-themes and eight essential themes, based on the theory of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search. The essential themes from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flection are as follows: <Becoming motivated to write a thesis>, <Feeling frustrated in process of finding research methods and subjects>, <Seeking help in confronting difficulties>, <Experiencing exhaustion and growth in the process of agonizing and exploring>, <The burden and pressure of completing the thesis transforms into responsibility and confidence>, <Acquiring a sense of accomplishment through the process of suffering>, <Being confident in the identity of art therapy>, <Being develop further by learning the study of art therapy in depth.>. The conclusions of this research can summarize into five subjects. First, the thesis study begins not only with external motivation for the graduation degree and to the futher doctoral studies but also with internal motivation for their personal growth and the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to the theory of art therapy from their first motivation of personal experience of the heals in art therapy. Second, writing papers in art therapy explores the holistic understanding and psychological concepts of human beings and forms an attitude of art therapists toward the client. This experience helps to solidify one's identity as an art therapist. Third, knowing how to apply the studies in practice from writing a thesis experience in master coursework and making the researcher’s attitude. This attitude then has significant effects on the researcher’s identity. Fourth, the experience also helps ones to grow into a better expert in art therapy. It goes through a process of integration in between as a researcher and a therapist rather than separating into two different fields. Thus it makes to feel the success not only from the result in one’s thesis but also from the master coursework itself. Lastly, the master’s thesis gives a sense of achievement as well as one’s confidence and makes motivation for constant learning. In addition, this experience helps to bring out the follow-up research, and it will attribute the field of art therapy to qualitative growth and will contribute to firm up into specialties. This study places significance on that one graduate student in art therapy has experienced the process to grow up as the next research generation and a professional art therapist. Furthermore, this research basis on the master students’ experience in their thesis writing helps to understand them in their perspectives and provide a reference for teaching methods to guide these writing.

      • 가정폭력 미술치료 연구 동향 :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김수민 차의과학대학교 미술치료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70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s of domestic art therapy related to domestic violence over the last 10 years. For this purpose, we searched domestic major electronic journals for domestic violence, art therapy, etc., and collected materials from 2010 to August 2021. As a result, a total of 24 academic journals registered in KCI were finally selected. The papers were analyzed based on the issuing institution, year, research subject, research method, and research content.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research trends by issuing institution, arts / art-related fields (75%)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of which art therapy research (58.3%) had the highest proportion. As for the trend by year,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were published in 6 (25%) in 2017, and it was confirmed that continuous research is not progressing every year. Second, as for the research trend by study subject, women (45.8%) were more numerous than men (16.7%), and in terms of age, infants and children (44.2%)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According to the abuse types, double abuse (88.7%) was the overwhelming proportion, with emotional abuse (49.1%) and physical abuse (37.7%) accounting for the highest proportion of the four abuse types. Third, as for the research trend by research method, qualitative research (66.7%) occupied the largest proportion, and the psychological test (61.8%), which is a questionnaire item test, was the most used test tool. Fourth, as for the research trends by research content, individual art therapy (54.2%) appeared at the highest rate, and the art therapy environment was the most researched at welfare facilities (37.5%). It was confirmed that all but one study was less than 30 times (95.8%) during the art therapy general meeting, and the time required per session was most often 60 minutes or less (54.2%). As for the art expression method, the mixed expression method (87.5%) occupies an overwhelmingly high proportion, and the art therapy goals are high at 23.6% for emotional and psychological health recovery, and 14.3% for problem behavior and maladaptation improvement. By investigating the flow of domestic violence art therapy research in Korea, this study will be utilized as basic material for future domestic violence art therapy research and research, and had is significance to present a developmental direction.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21년 8월까지 게재된 가정폭력 관련 국내 미술치료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국내 주요 전자 저널베이스에 가정폭력, 미술치료 등을 검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그 결과 KCI에 등재된 학술지 총 24편을 최종으로 선정하였다. 이를 대상으로 발행기관과 연도,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내용을 기준으로 논문을 분석하였다. 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행기관별 연구 동향은 예술·미술 관련 분야(75%)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그 중 미술치료연구(58.3%)가 가장 많았다. 연도별 동향은 2017년에 6편(25%)으로 가장 많은 연구가 게재되었으며, 매년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연구대상별 연구 동향은 여성(45.8%)이 남성(16.7%)보다 많았고, 연령은 유·아동(44.2%)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학대유형에 따르면 중복학대(88.7%)가 압도적인 비율을 보였으며, 4가지의 학대유형 중에서는 정서적 학대(49.1%)와 신체적 학대(37.7%)가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셋째, 연구방법별 연구 동향은 질적 연구(66.7%)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연구에 사용된 검사도구는 설문 문항검사인 심리검사(61.8%)가 가장 많았다. 넷째, 연구내용별 연구 동향은 개인미술치료(54.2%)가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미술치료 환경은 복지시설(37.5%)에서 가장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미술치료 총회기는 1개의 연구를 제외하고는 모두 30회기 이하(95.8%)임이 확인되었고, 회기당 소요시간은 60분 이하(54.2%)가 가장 많았다. 미술표현방법은 혼합표현방법(87.5%)이 압도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미술치료 목표는 정서 및 심리 건강 회복이 23.6%, 문제행동 및 부적응 개선이 14.3%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 가정폭력 미술치료 연구의 흐름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가정폭력 미술치료 학문과 연구의 기초자료로써 활용되고 발전적인 방향을 제시하는 데 의의를 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