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프리셉터의 멘토링 기능이 신규간호사의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최은경 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47

        [Abstract] Effects of the Preceptor's Mentoring Function on the Self-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ew Nurses Eunkyung Choi Department of Nursing CHA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Soyoung Yoo Ph.D)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receptor's mentoring function perceived by new nurses, and examine the influence of mentoring function on self-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Methods : The study subjects were 160 nurses who are within a year of completing the preceptorship from university hospitals in S city and G province. Data was collected by a self-administers questionnaire. Data was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version 25.0 program. Results : The mean scores of the preceptor's mentoring function, self-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ew nurses were 3.87±0.61, 3.71±0.46 and 3.46±0.54 , respectively. In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preceptor's mentoring function showed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r=0.48, p=0.00)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r=0.59, p=0.00) on new nurses. Also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ew nurse showed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receptorship training period(r=0.23, p=0.00).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preceptor's mentoring function have the positive effect on the self-efficacy(β=0.50, p=0.00)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β=0.54, p=0.00) on new nurses. The preceptorship training period(β=0.13, p<0.05) also have the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new nurses. Conclusion :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o develop and apply systematic mentoring program to preceptor nurses for promoting self-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ew nurses but also to provide the preceptor training period of 8 weeks of longer. Keywords : mentoring function, self-efficacy, organizational commitment, new nurse, preceptor, preceptorship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가 지각하는 프리셉터의 멘토링 기능 정도를 파악하고, 멘토링 기능이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본 연구의 대상은 S와 G도에 소재한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신규간호사로 각 부서에 배치되어 프리셉터십을 끝낸 총 근무경력 1년 이내인 간호사 16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2020년 10월 12일부터 10월 23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지로 수집하였다. 멘토링 기능은 Kram(1983)의 멘토로서의 역할 기능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Noe(1988)가 개발한 Mentoring Fuction Scale을 곽인정(2004)이 번역하여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자기효능감은 Sherer와 Maddux 등이 1982년에 개발한 자기효능감 측정도구를 정애순(2007)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조직몰입은 Allen & Meyer(1993) 가 개발한 조직몰입 도구에서 감정적 몰입과 지속적 몰입에 대한 척도와 Poter & Steers(1997)이 개발한 척도를 바탕으로 하여 손상엽(2014)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기술통계를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 중에서 성별, 결혼여부, 프리셉터의 직위에 따른 멘토링 기능과 자기효능감, 조직몰입의 차이는 independent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령, 종교, 최종학력, 현 근무부서, 총 근무경력, 프리셉터십 교육기간, 프리셉터의 근무경력에 따른 차이는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Scheffe test로 사후검정 하였다. 멘토링 기능, 자기효능감, 조직몰입 간의 관계는 Pearson 상관계수로 분석하였으며, 프리셉터의 멘토링 기능이 신규간호사의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신규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160명의 대상자 중에서 성별은 여자가 134명(83.8%), 연령은 25세 이하 85명(53.1%), 25세 이상 30세 미만이 61명(38.1%)이었으며 결혼상태는 미혼이 155명(96.9%), 종교는 무교가 101명(63.1%)이었다. 최종학력은 학사학위가 136명(85%), 현 근무부서는 일반병동이 51명(31.9%), 중환자실 42명(26.3%), 수술실 32명(20%) 순이었다. 총 근무경력은 6개월 이상에서 1년 미만이 101명(63.1%) 이었으며 프리셉터십 교육기간은 4주 이상 8주미만이 99명(61.9%)이었다. 프리셉터의 특성으로 프리셉터의 근무경력은 3년 이상 5년 미만이 66명(41.3%), 5년 이상 10년 미만이 63명(39.4%)이었고 프리셉터십 당시의 프리셉터의 직위는 일반간호사 80명(50%), 책임간호사 80명(50%)이었다. 2. 프리셉터의 멘토링 기능은 평균 5점 만점에서 3.87±0.61점으로 멘토링 기능의 3가지 하위 항목별로는 경력 개발 기능 3.89±0.59점, 심리 사회적지지 기능 3.77±0.69점, 역할모델 기능 4.07±0.70점으로 나타났다. 신규간호사의 자기효능감은 평균 5점 만점에서 3.71±0.46점, 조직몰입은 3.46±0.54점으로 나타났다. 3. 프리셉터의 특성에 따른 멘토링 기능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멘토링 기능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는 없었으나 프리셉터의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는 프리셉터의 근무경력과 직위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프리셉터의 근무경력이 5년 이상 10년 미만인 경우 3.84±0.46점으로 가장 높았고 프리셉터의 직위가 책임간호사인 경우 3.83±0.43점으로 가장 높았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조직몰입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결혼상태, 총 근무경력, 프리셉터십 교육기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결혼상태에 따른 조직몰입은 기혼이 3.94±0.49점으로 더 높았으며 총 근무경력 간에는 3개월 이상 6개월 미만인 경우 3.70±0.55점으로 가장 높았고 프리셉터십 교육기간은 8주이상인 경우가 3.62±0.51점으로 가장 높았다. 4. 프리셉터의 멘토링 기능, 자기효능감, 조직몰입간의 상관관계는 다음과 같이 분석되었다. 프리셉터의 멘토링 기능은 신규간호사의 자기효능감(r=0.48, p=0.00), 조직몰입(r=0.59, p=0.00), 프리셉터십 교육기간(r=0.18, p=0.02)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총 근무경력(r=-0.16, p<0.05)과는 역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신규간호사의 자기효능감은 조직몰입(r=0.50, p=0.00), 프리셉터의 멘토링 기능(r=0.48, p=0.00), 프리셉터의 근무경력(r=0.20, p=0.01)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신규간호사의 조직몰입은 자기효능감(r=0.59, p=0.00), 프리셉터의 멘토링 기능(r=0.50, p=0.00), 프리셉터십 교육기간(r=0.23, p=0.00)과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총 근무경력(r=-0.21, p=0.01)과는 역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5. 프리셉터의 멘토링 기능은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신규간호사의 자기효능감(β=0.50, p=0.00)과 조직몰입(β=0.54, p=0.00)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리셉터의 멘토링 기능이 증가하면 자기효능감도 증가하였다. 프리셉터십 교육기간 또한 조직몰입(β=0.13, p<0.05)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프리셉터의 멘토링 기능은 신규간호사의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에 영향을 주며 프리셉터의 멘토링 기능과 신규간호사의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 사이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멘토링 기능이 멘티의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에 영향을 준다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지지하면서 신규간호사의 자기효능감 상승과 조직몰입을 위해 프리셉터십과 멘토링을 개별적으로 분리하여 고려하지 않고 프리셉터가 멘토로서의 기능을 활용하여 신규간호사의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신규간호인력 뿐만 아니라 신규간호사를 교육하는 인력 또한 효율적으로 관리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프리셉터 간호사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에 멘토링 기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내용의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프리셉터의 멘토링 기능이 멘티인 신규간호사 뿐만 아니라 멘토링을 제공하는 멘토인 프리셉터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프리셉터의 멘토링 기능 이외에도 프리셉터십 교육기간은 조직몰입에 영향을 주며 조직몰입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므로 신규간호사에게 8주 이상의 프리셉터십 교육기간을 적용할 필요가 있으며 각 병원의 임상현장 사정을 고려하여 향후 적절한 프리셉터십 교육기간을 밝히는 연구 또한 제언한다. 핵심 되는 말 : 멘토링 기능, 자기효능감, 조직몰입, 신규간호사, 프리셉터, 프리셉터십

      •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불확실성, 사회적 지지, 양육부담감과의 관계

        정경은 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불확실성, 사회적 지지, 양육부담감의 정도와 양육부담감에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18세 미만의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 111명이었으며, 경기도 H시 장애인부모회, 복지관, 아동발달 센터와 O시 장애인 복지관, 경상남도 J시 정신의학과, S시 아동발달센터에서 2019년 9월 25일부터 11월 30일까지 자료 수집을 하였다. 자료수집은 발달장애자녀를 둔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 6문항, 발달장애 자녀의 일반적 특성 8문항과 Mishel(1998)의 불확실성 도구, 송미순(1991)의 사회적 지지도구, 권중돈(1984)의 부양부담감 측정도구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대상자에게 연구목적 및 절차를 설명하고 서면동의서를 작성한 후 실시하였다. 연구계획과 서면동의서, 설문지는 차의과학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의 심의를 거쳤다(IRB No. 1044308-201906-HR-034-01).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을 이용하여 평균, 백분율, 빈도, 표준편차, t-test, ANOVA, S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 회귀분석 방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불확실성은 2.85±0.51점으로 보통수준이었으며, 하위요인 중 불예측성이 가장 높았으며(3.3±0.69점), 복잡성이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2.35±0.57점). 2.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는 1.99±0.39점으로 보통수준이었으며, 가족에 의한 지지가 가장 높았고(2.70±0.63점), 공공기관의 지지가 가장 낮았다(1.43±0.46점). 3.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부담감은 3.12±0.69점으로 보통수준이었으며, 기관부담(4.17±0.94점)과 미래부담(3.87±1.00점)이 높은 수준을 보였다. 4.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불확실성과 사회적 지지는 음의 상관관계(r=-.292, p<010), 사회적 지지와 양육부담감은 음의 상관관계(r=-.245, p<.010), 불확실성과 양육부담감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r=.576, p<.001). 5.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부담감에 미치는 요인은 불확실성, 발달장애 자녀의 연령, 발달장애 자녀의 이상소견 의심시기, 바우처 대상 선정 및 금액에 대한 만족 여부였으며, 이들 요인의 설명력은 40.8%였다. 본 연구결과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는 공공기관에 의한 사회적 지지를 낮게 인지하고 있었으며, 자녀의 교육과 치료를 위한 기관 부족 및 미래에 대한 부담과 불예측성이 높았다. 또한 불확실성이 어머니의 양육부담감에 영향하고 있어, 발달 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불확실성 감소와 사회적 지원수준을 다양화하고 지속화할 수 있는 정부차원의 정책과 구체적 프로그램의 제공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among uncertainty, social support, care burden of mothers having children with developmetal disabilities.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to November in 2019 though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which were consisted of mother’s general characteristics, children’s characteristics, uncertainty, social support, care burden. Eligibility criteria were mothers with children who had autistic spectrum disorder or intellected disability. And childrens' age should be under 18 years old. The study was selected the 111 participants from a Parents' Association for the Disabled, Child Development Center, Welfare Center, Psychiatric hospital in a Gyeong-gi do and Gyeong-sang nam do. Uncertainty tool is a translated version of Mishel scale by Oh(1999). Social support was measured by the scale of social support by Song(1991) and care burden using the instrumnet modified by Gwon(2007).. The colledted data were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WIN 23.0. in the study. Result: Findings from the analysis are summerized as below. 1. The score of uncertainty was 2.85 ± 0.51, Social support 1.99 ± 0.39, Burden of caring 3.12 ± 0.69 2. Uncertainty, Social Support were all significantly correlated to Care Burden affected positively uncertainty(r=.576, p<.001), care burden affected negatively social support(r=-0.245, p=.010), uncertainty affected negatively social support(r=-.292, p=.002). 3.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actor affecting Care Burden was childrens' age, the expense for caring, the period Suspected child abnormalities, uncertainty. These factors accounted for 40.8% of Care Burden. (Adjusted R²= 0.408, P < .001) Conclusion: The relationship among uncertainty, social support, and parenting efficacy of mothers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identified. More research is needed to provide basic data for ongoing, specific programs that reduce parenting burden by providing uncertainty and social support for mothers with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Key word: Uncertainty, Social support, Care burden, Developmental disabilities.

      • 병원간호사의 그릿, 환자안전문화, 감염예방 환경, 표준주의 인지도가 표준주의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김은지 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47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grit, patient safety culture, environment for infection control and awareness of standard precautions on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in hospital nurses. Method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design was carried out with 166 hospital nurses in a hospital.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from September 23 to October 20, 2019.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WIN 25.0. Results: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in hospital nurse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grit (r=.27 , p=.001), patient safety culture (r=.49, p<.001), environment for infection control (r=.38, p<.001) and awareness of standard precautions (r=.78, p<.001). The factor influencing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was awareness of standard precautions (β=.69, p<.001). Awareness of standard precautions explained 60.0% of variances of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in hospital nurse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the nursing intervention for increasing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should include educational programs for enhancing awareness of standard precautions. Key words : Hospital Nurses, Grit, Patient Safety Culture, Environment for Infection Control, Awareness of Standard Precautions,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의 그릿, 환자안전문화, 감염예방 환경, 표준주의 인지도가 표준주의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이를 바탕으로 병원간호사의 표준주의 수행도를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진행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도 소재의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병원간호사 중 환자와 직접 접촉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 참여에 동의한 자이다. 각 부서의 간호사중 직접 환자 간호에 종사하지 않고 관리업무를 담당하는 수간호사는 제외하였다. 2019년 9월 23일부터 10월 20일까지 166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병원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그릿, 환자안전문화, 감염예방 환경, 표준주의 인지도, 표준주의 수행도를 측정하였다. 그릿은 Duckworth 등 (2007)이 개발한 Original Grit Scale(Grit-O)을 이수란과 손영우(2013)가 한국어로 번안한 측정도구로 측정하였다. 환자안전문화는 이순교(2015)가 개발한 한국형 환자안전문화 측정도구로 측정하였다. 감염예방 환경은 한은옥(2009)이 개발한 예방환경 측정도구를 안진선 등(2015)이 수정 보완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표준주의 인지도와 표준주의 수행도 측정도구는 2007년 개정된 미국 CDC의 표준주의지침을 정선영(2008)이 번안한 내용을 홍선영 등(2011)이 수정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릿, 환자안전문화, 감염예방 환경, 표준주의 인지도, 표준주의 수행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그릿, 환자안전문화, 감염예방환경, 표준주의 인지도, 표준주의 수행도가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 및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과 Scheffe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그릿, 환자안전문화, 감염예방 환경, 표준주의 인지도 및 수행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Pearson's correlat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표준주의 수행도에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표준주의 인지도와 수행도의 영역별 분석은 IPA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그릿은 평균 3.03점, 환자안전문화는 평균 3.53점, 감염예방 환경은 평균 4.00점, 표준주의 인지도는 평균 4.70점, 표준주의 수행도는 평균 4.47점으로 나타났다. 병원간호사의 표준주의 수행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것은 그릿(r=.27, p=.001), 환자안전문화(r=.49, p<.001), 감염예방 환경(r=.38, p<.001), 표준주의 인지도(r=.78, p<.001)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표준주의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표준주의 인지도(β=.69, p<.001)가 영향요인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60.0%이었다. 표준주의 인지도와 수행도를 IPA 실시한 결과, 3사분면의 점진적 개정이 필요한 영역으로 손 위생, 호흡기에티켓, 개인보호구, 린넨이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표준주의 수행도를 높여 병원내의 감염을 줄이기 위하여 표준주의 인지도를 높일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 유기농 배추와 세척탈수 천일염으로 제조된 김치의 항암 및 항비만 효과

        유정 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유기농 배추와 세척·탈수 천일염을 이용하여 제조된 김치의 대장암 억제 효과 및 항비만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첫 번째로 HT-29 인체 유래 대장암 세포에서 유기농 배추로 제조된 김치의 항암 기능성 효과를 확인하였다. 일반 배추로 제조된 김치(SK), 암탁배추로 제조된 김치(AmK), 유기농 배추로 제조된 김치(AK)로 나누어 MTT assay, RT-qPCR 및 western blotting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AK는 Bim, Bax, Bak, caspase-8, -9, -3 및 p53과 같은 세포 사멸 관련 유전자의 mRNA 발현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지만 Bcl-xL 및 Bcl-2와 같은 anti-apoptotic 유전자의 mRNA 발현을 감소시켰다. 또한, AK의 단백질 발현도 mRNA 발현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caspase-3의 발현은 유의적으로 증가시키고 Bcl-2의 발현은 현저히 감소시켰다(p<0.05). 따라서, 유기농 배추로 제조된 김치(AK)는 세포 사멸 유전자를 활성화시켜 HT-29 세포의 증식을 현저하게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번째로 AOM/DSS로 대장암을 유도한 C57BL/6마우스에서 SK, AmK, AK의 대장암 예방 효과를 확인하였다. AK 군은 control 군에 비해 체중의 감소를 억제하고 간과 비장의 무게 증가를 억제하며, 대장의 길이가 증가하였고 종양 수는 감소하였다. H&E staining을 통한 조직의 병리학적 관찰 결과 조직의 침윤이나 종양 생성도 현저하게 줄어든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대장의 apoptosis와 cell cycle 관련 유전자(p53, Bid, Bak, Bax, caspase-3 및 caspase-9)의 mRNA 및 단백질 발현을 크게 증가시켰으며 anti-apoptotic 유전자(Bcl-2, Bcl-xL)의 mRNA 및 단백질 발현 수준을 감소시켰다. 대사체 분석 결과, 배추의 차이로 인해 AK가 SK, AmK보다 활성 성분(pheophorbide A, sphondin)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n vitro와 in vivo에서, 김치 제조시 유기농 배추를 사용한다면 대장암 예방 효과가 우수한 기능성 김치를 제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세 번째로 in vitro에서 소금의 종류를 달리하여 제조한 김치의 대장암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HT-29 세포에서 대장암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일반 천일염으로 제조한 김치(CSK), 여과해수 천일염으로 제조한 김치(FSK), 탈수 천일염으로 제조한 김치(DSK), 세척·탈수 천일염으로 제조한 김치(WDSK)으로 구성하여 실험하였다. 그 결과, WDSK 군의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평가에서 우수하게 나타났다. HT-29 세포에서 실시한 MTT, RT-qPCR 결과 전반적으로 WDSK가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냈다. WDSK는 다른 김치에 비해 apoptosis 및 세포 주기 관련 유전자(Bax, Bim, caspase-3, caspase-9 및 p21)의 mRNA 발현의 발현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WDSK 군은 Con 군에 비해 Bcl-2 단백질 발현을 크게 감소시켰으며 Bax, caspase-3, caspase-9, p53의 단백질 발현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ICP-OES 결과, WDS는 다른 세 개의 천일염(CS, FS, DS)과 비교했을 때, 미네랄 성분이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WDS는 Mg(9.3g/kg)과 S(4.7g/kg)의 함량 낮아 WDSK의 발효 특성, 맛, 그리고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in vivo에서 소금의 종류를 달리하여 제조한 김치의 대장암 억제 효과 및 항비만 효과를 확인하였다. 정제염으로 제조한 김치(PSK), 일반 천일염으로 제조한 김치(CSK), 세척·탈수 천일염을 제조한 김치(WDSK), 세척·탈수 천일염과 Lactobacillus plantarum를 스타터로 첨가하여 제조한 김치(WDSK-S)로 실험하였다. WDSK와 WDSK-S는 다른 김치에 비해 발효 특성과 관능평가에서 우수하게 나타났다. C57BL/6 마우스에 고지방 식이(HFD)로 비만을 유도하고 AOM/DSS로 대장암을 함께 유도하였다. WDSK 군과 WDSK-S 군은 대조군에 비해 부고환 지방/체중 비율, 간/체중 비율, 대장 길이/체중 비율, 대장의 종양의 수가 감소하였고 대장의 길이는 증가하였다. H&E staining을 통한 조직의 병리학적 관찰 결과 WDSK 군과 WDSK-S 군의 간, 부고환 지방 및 대장 조직의 손상을 현저하게 완화시켰다. WDSK 군과 WDSK-S 군은 apoptosis와 세포 주기 관련 유전자의 mRNA 및 단백질 발현을 조절하여 대장암을 억제하였다. 또한, WDSK 군과 WDSK-S 군은 adipogenesis, lipogenesis 및 lipolysis 관련 유전자의 mRNA와 단백질 발현을 조절하여 비만을 억제하였다. 마우스 분변에서 장내 미생물 변화를 next-generation sequencing(NGS)를 통해 확인한 결과 WDSK 군의 Bacteroidetes는 증가하였고 Firmicutes는 감소하였다. 따라서, 세척·탈수 천일염을 이용하여 김치를 제조한다면 발효 품질, 맛뿐만 아니라 대장암 억제 효과와 항비만 효과가 있는 김치를 제조할 수 있으며 다른 발효식품에도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overall objective of this dissertation was to develop new functional kimchi based on different functional ingredients, and investigate the anti-colorectal cancer and antiobesity effects of kimchi. The whole research consists of study 1 and study 2. Study 1 contains chapter 1 and chapter 2, focuses on the functionality of kimchi developed based on different types of baechu cabbage, and determine the health benefits of organically cultivated (OC) baechu cabbage prepared kimchi against colorectal cancer. Three types of kimchi were prepared for study 1: standardized kimchi brined with general commercial baechu cabbage (SK), Amtak baechu cabbage brined kimchi (AmK), and anticancer kimchi brined with OC baechu cabbage (AK). In chapter 1, kimchi-induced apoptosis in HT-29 human colon carcinoma cells was investigated. MTT assay, RT-qPCR, and western blotting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show that AK significantly increases mRNA expression of apoptosis-related genes Bim, Bax, Bak, caspase-8, -9, -3, and p53 and suppresses Bcl-xL and Bcl-2 expressions. Additionally, AK strongly up-regulates protein expressions of caspase-3 but strikingly reduces the protein expression of Bcl-2 (p < 0.05). The in vitro data suggest that AK can markedly inhibits the proliferation of HT-29 cells via activation of apoptosis. The in vivo part of study 1 (chapter 2) determined the anti-colorectal cancer effect of SK, AmK, and AK through AOM/DSS-induced colorectal cancer in C57BL/6 mice. AK treated group markedly suppresses body weight loss, mitigate the increases in liver and spleen weight, while prevents colon length shortening and tumor numbers in mice. Hematoxylin and eosin (H&E) staining demonstrate that AK treated group protects the colon and spleen tissues from pathological damage. Results of RT-qPCR and western blotting display that AK treated group significantly increases the expressions of p53, Bid, Bak, Bax, caspase-3, and caspase-9, while reduces Bcl-2 and Bcl-xL levels. Additionally, the metabolites analysis result indicate that AK contains higher amounts of bioactive compounds (pheophorbide A and sphondin) than that in SK and AmK, which may be due to the OC baechu cabbage, and it seems to contribute to the anti-colorectal cancer activity of AK. Taken together, study 1 indicates that AK can effetely prevent colorectal cancer development by promoting apoptosis in vitro and in vivo, suggest that OC baechu cabbage can be used as an ideal ingredient for preparing new functional kimchi with potential anticancer effects. Study 2 contains chapter 3 and chapter 4, focuses on the functionalities of kimchi prepared with different kinds of salt, and verified the anti-colorectal cancer and antiobesity effects of kimchi prepared with washed-dehydrated solar salt (WDS) in vitro and in vivo. In chapter 3, a cellular system of HT-29 human colon carcinoma cells was utilized to investigate the anticancer effect of kimchi. Conventionally manufactured solar salt brined kimchi (CSK), filtered sea water solar salt brined kimchi (FSK), dehydrated solar salt brined kimchi (DSK), and washed-dehydrated solar salt (WDS) brined kimchi (WDSK) were prepared. Results indicate that WDSK exhibits the best fermented quality and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WDSK exhibits significant growth inhibition of HT-29 cells in MTT assay. mRNA and protein expressions of apoptosis and cell cycle arrest related factors reveal that WDSK meaningfully increases the mRNA expressions of Bax, Bim, caspases-3, caspases-9, and p21 as compared to other kimchi samples. In addition, WDSK treatment strongly decreases the Bcl-2 protein expression, as compared to control group (no kimchi treatment) and meaningfully increases the protein expressions of Bax, caspases-3, caspases-9, and p53. 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meter (ICP-OES) reveals that WDS possesses a different mineral composition than other three solar salts; notably, the lower Mg (9.3 g/kg) and S (4.7 g/kg) content of WDS may cause better taste, fermented characteristics, and functionality of WDSK. The in vivo part of study 2 (chapter 4) aimed to determine the anti-colorectal cancer and antiobesity effects of kimchi prepared with different salt. Purified salt brined kimchi (PSK), CSK, WDS brined kimchi (WDSK), and WDS brined kimchi with a starter of Lactobacillus plantarum (WDSK-S) were prepared. An AOM/DSS-induced colorectal cancer model in C57BL/6 mice fed with high-fat diet (HFD) was constructed. WDSK and WDSK-S exhibit better fermented and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WDSK and WDSK-S consumed mice exhibit lower epididymis fat/body weight ratio, liver/body weight ratio, colon length/weight ratio, colon polyp numbers, and higher colon length as compared to control groups. H&E staining results demonstrate that WDSK and WDSK-S treated notably alleviate pathological damage in liver, epididymal fat, and colon tissues. Additionally, WDSK and WDSK-S groups strongly inhibit the development of colorectal cancer by regulating apoptosis and cell cycle arrest pathways in both mRNA and protein levels. Meanwhile, those two groups demonstrate significantly obesity inhibitory effect through adipogenesis, lipogenesis, and lipolysis signaling pathways. Furthermore, next-generation sequencing (NGS) of mice fecal indicated the gut microbiota changes in each group, WDSK group up-regulate Bacteroidetes and down-regulate Firmicutes levels. In summary, study 2 indicate that WDS could increase the fermented quality and taste of kimchi, and WDS brined kimchi has potential anti-colorectal cancer and antiobesity effects. Hence, WDS can be employed as an idealized salt in kimchi fermentation, also in other fermented food product.

      • 과채주스의 항산화 효과 및 C57BL/6 마우스에서의 대장암 억제효과

        박찬우 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31

        Recently, as interest in antioxidants has increased, the number of people who want to consume vegetables or fruits containing a lot of phytochemicals in the form of raw foods such as salads has increased. However, eating cooked vegetables rather than eating them as raw improves the absorption rate of nutrients and phytochemicals that are good for health. In this study, fruits and vegetables containing various phytochemicals, such as apples, cabbage, tomatoes, carrots, and broccoli, were mixed to prepare the fruit and vegetable juices with or without heat treat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juices showed antioxidant effect and the effect of suppressing colorectal canacer in C57BL/6 mice. Total polyphenol content, total flavonoid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bility were measured to find out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fruit and vegetable juice. The anticaner effect of the juice with or without heat treatment was confirmed in C57BL/6 mice induced with AOM/DSS for colorectal cancer. The sample was divided in the following groups: AIN-93G diet group (Normal, Nor), colon cancer induced with AIN-93G diet group (Control, Con), colon cancer induced and 10% heat treated the fruit and vegetable juice diet group (A), colon cancer induced and 10% the raw fruit and vegetable juice diet group (B). The effect on colon length, colon weight/length ratio, numbers of tumor, colon pathological analysis, and expression of apoptosis-related genes were studied.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increased with concentration gradient in all samples, and in particular, heat-treated fruit and vegetable juice (A) showed significantly the highest value at a concentration of 10 mg/mL to 25.0±0.29 mg galic acid equivalent (GAE)/g. It was confirmed that the total flavonoid content also increased in a concentration gradient of 2-10 mg/mL, and group A showed the highest amount of total flavonoid content. In addition, the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of the juice was increased with a concentration gradient in both sample at 2, 5, and 10 mg/mL concentration. The antioxidant effect in the heat-treated juice group (A) was higher than in the group B at all concentrations.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lso showed that group A had a significantly higher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an group B at a concentration of 5 mg/mL, 87.8±3.03 (%). In case of the length and weight of the colon, the group that consumed the heat-treated juice showed the almost same level of the Nor that did not induce colorectal cancer, and the tumor numbers also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mice. As a result of tissue pathological observation through H&E staining, it was confirmed that tissue infiltration and tumor formation were also significantly reduced. In addition, protein expression of Bcl-2, and Bcl-xL, which are factors related to colon apoptosis, was lowest in the heat-treated juice group. Protein expression of Bax, caspase 3, and caspase 9 was the most highly expressed in the heat-treated juice group. Also, protein expression of p53, cell cycle-related fators, was also the most expressed in the heat-treated juice group, and proinflammatory cytokine of IL-6 and inflammation-related genes such as iNOS, COX-2 were the lowest in the heat-treated juice group.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antioxidant and anticancer effects of the fruit and vegetable juice were changed according to the process of heat treated. Functional substances such as lycopene from tomatoes and beta-carotene from carrots are converted into forms that can be easily available in the mice body through the heat treatment, which resulted in high antioxidant and anticancer effects. It is thought that the production of fruit and vegetable juice and especially by the process showed excellent anticancer effects, increased apoptosis, arrested the cell cycle, inhibited colon cancer induction. The juice doesn’t regulated cytokine IL-6 and inflammation related proteins of iNOS and COX-2. 최근 항산화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면서 파이토케미컬(phytochemical) 등이 많이 함유된 채소나 과일 등을 샐러드와 같은 생식의 형태로 섭취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채소를 생으로 먹는 것보다 익혀 먹는 것이 파이토케미컬 등 건강에 좋은 영양소의 흡수율을 증진시킨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양배추, 브로콜리, 토마토, 당근, 사과, 바나나 등 여러 파이토케미컬을 함유하는 과일과 채소를 혼합한 과채주스의 효과를 알아보고, 특히 과채주스의 열처리 유무에 따른 항산화 효과뿐 아니라, AOM/DSS로 유도된 염증성 대장암 동물실험 모델을 이용하여 대장암을 억제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과채주스의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고자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AOM/DSS로 대장암이 유도된 C57BL/6 마우스에서 전처리 조건에 따른 과채주스의 항암 효과를 확인하였다. AIN-93G 일반 사료를 섭취한 대조군(Normal), AOM/DSS로 대장암을 유도하고 AIN-93G 일반 사료를 섭취한 대조군(Control), AOM/DSS로 대장암을 유도하고 10%의 열처리 과채 주스가 함유된 사료를 섭취한 실험군(A), AOM/DSS로 대장암을 유도하고 10% 열처리 하지 않은 과채 주스를 섭취한 실험군(B)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대장의 길이와 대장 무게/길이 비율, 종양 개수, 대장의 병리학적 분석, apoptosis 관련 유전자의 발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과채주스를 함유한 모든 샘플에서 농도 구배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열처리 과채주스(A)가 10 mg/mL 농도에서 25.0±0.29 mg gallic aicd equivalent (GAE)/g으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역시 과채주스 함유 2-10 mg/mL 농도에서 농도 구배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A가 가장 많은 양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과채주스의 DPPH radical 소거 효과는 2, 5, 10 mg/mL 농도에서 과채주스를 포함한 두 샘플 모두 농도 구배로 증가하였다. 열처리 과채주스(A)군에서 항산화 효과는 모든 농도에서 B 군보다 높았다. ABTS 라디칼 소거능 역시 A군이 5 mg/mL 농도에서 87.8±3.03 (%)으로 B군 60.2±1.49 (%) 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ABTS 라디칼 소거능 효과를 나타내었다. 15주간의 대장암 억제 동물 실험 결과, 대장의 길이와 무게의 경우, 과채주스를 함유한 사료를 먹인 군들 모두가 일반사료만을 섭취한 대조군보다 정상군 수준에 가깝게 억제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열처리를 한 과채주스를 섭취한 군이 대장암을 유도하지 않은 정상 대조군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종양 또한 상당히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은 H&E 염색을 통한 조직의 병리학적 관찰 결과에서도 조직의 침윤이나 종양 생성도 현저하게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대장의 apoptosis 관련 인자인 BcL-2, BcL-xL의 단백질 발현이 과채주스 함유 사료를 섭취한 군들에게 모두 낮게 나타났으며, 열처리를 한 과채주스 군에서 가장 낮게 발현되었다. pro-atoposis 관련 인자인 Bax, caspase 3, caspase 9의 단백질 발현은 열처리를 한 과채주스 군에서 가장 많이 발현되었다. Cell cycle 관련 인자인 p53의 단백질 발현 역시 열처리를 한 과채주스 군에서 가장 많이 발현하였으며 pro- inflammatory 관련 인자인 IL-6와 inflammation 관련 인자인 iNOS, COX-2의 단백질 발현은 과채주스 함유 사료를 섭취한 군들에서 많이 억제되었으며, 특히 열처리를 한 과채주스 군에서 가장 낮게 발현되었다. 따라서, 전처리 조건에 따라 과채주스의 항산화 및 항암효과의 변화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토마토의 라이코펜, 당근의 베타-카로틴과 같은 기능성 물질들이 열처리를 통해 체내에 쉽게 사용될 수 있는 형태로 전환되어 높은 항산화 효과와 항암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생각된다. 이 연구의 결과로 양배추, 토마토, 브로콜리, 당근, 사과, 바나나를 열처리하여 과채주스를 제조하면 항암 효과가 우수하여 apoptosis(세포사멸)를 유도하고 세포주기를 정지시키며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조절하여 대장암의 발생 및 증식을 억제 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 감염관리 수행에 대한 NICU 간호사의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통제감, 의도가 감염관리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계획된 행위이론 기반-

        이엄지 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31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al model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for NICU nurses,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subjective norms, perceived control, and intention on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ICP). The study subjects were 94 NICU nurses at three general hospitals in the metropolitan area, excluding nursing managers who did not participate in direct nursing.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a questionnaire from October 31 to November 30, 2022, and the SPSS/WIN 23.0 program was utilized to analyze data. Frequency, percentage,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main contents of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Out of 7, NICU nurses' mean score of intention was 6.15±1.0, the mean score of subjective norms was 6.47±0.72 points, the mean score of perceived control was 5.73±1.02, and the intention was 5.9±0.83 points. Regarding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the mean score was 3.71±0.20 points out of 4. 2. The intention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3 years' and '6-9 years' than in '3-6 years' and '>9 years' (F=3.57, p=.0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ean ICP score and recognition of NICU infection management guidelines (t=2.15, p=.03). 3. The subjective norms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perceived control (r=.404, p<.001), intention (r=.339, p=.001), and ICP (r=.272, p=.008). The perceived control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ubjective norms (r=.404, p<.001), intention (r=.339, p=.001), and ICP (r=.272, p=.008). Also, the intention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ubjective norms (r=.339, p=.001), perceived control (r=.484, p=.001), and ICP (r=.460, p<.001). The ICP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ubjective norms (r=.272, p=.008), perceived control (r=.425, p<.001), and intention (r=.460, p<.001). 4. The subjective norm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intention (β=.334, p=.001) and ICP(β=.270, p=.008). There was mediationg effect of intention between subjective norms and ICP(z=2.818, p=.002). The intention and perceived control significantly affected ICP (β=.482 p<.001; β=.425 p<.001, respectively). In addition, there was a mediating effect of intention between perceived control and ICP (z=3.303, p<0.001). Overall, the NICU nurses had better ICP scores when they were aware of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In addition,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ubjective norms, perceived control, intention, and ICP. Moreover, there was a mediating effect of intention between perceived control and ICP, subjective norms and ICP. Therefore, to increase the ICP of NICU nurses, not only providing the information is needed, but also strategies for enhancing perceived control and subjective norms are need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primary data for developing an intervention program to enhance the ICP of NICU nurses. 본 연구는 NICU 간호사를 대상으로 계획된 행위이론을 바탕으로 감염관리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해, 감염관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를 마련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 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수도권에 위치한 3개 종합병원 NICU 간호사를 대상으로 본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이해하며 자발적으로 참여에 동의한 9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22년 10월 31일부터 11월 30일까지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최종분석은 94명이었고,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매개회귀분석(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NICU 간호사의 감염관리에 대한 태도는 7점 만점에 평균 6.15±1.0점이었다. 감염관리에 대한 주관적 규범은 7점 만점에 평균 6.47±0.72점이었다. 지각된 통제감은 평균 5.73±1.02점이었고, 의도는 7점 만점에 평균 6.00±0.83점이었다. 수행도는 4점 만점에 평균 점수는 3.71±0.20점으로 나타났다. 문항별 수행도의 평균점수는 소독과 멸균 3.89±0.19점, 삽입기구관련지침 3.82±0.21점, 방문객관리 3.81±0.36점이었으며, 표준주의와 전파 경로별 지침은 3.80±0.25점, 수유 관련지침은 3.80±0.21점, 피부 및 배꼽관리 3.70±0.31점, 환경관리 3.68±039점, 시설관리 3.65±0.67점, 손위생이 3.62±0.32점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는 NICU 감염관리에 대한 의도가 3년미만과 6년이상-9년미만이 3년이상-6년미만, 9년이상 보다 유의하게 점수가 높았다(F=3.57, p=.02). NICU 감염관리 수행도는 NICU 감염관리 지침 인지 유무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2.15, p=.03). 셋째, 감염관리에 대한 주관적 규범은 지각된 통제감(r=.404, p<.001), 의도(r=.339, p=.001), 수행도(r=.272, p=.008)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통제감은 주관적 규범(r=.404, p<.001), 의도(r=.339, p=.001), 수행도(r=.272, p=.008)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도는 주관적 규범(r=.339, p=.001), 지각된 통제감(r=.484, p=.001). 수행도(r=.460, p<.001)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행도는 주관적 규범(r=.272, p=.008), 지각된 통제감(r=.425, p<.001), 의도(r=.460, p<.001) 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NICU 감염관리에 대한 주관적 규범은 의도와(β=.334, p=.001) 수행도에(β=.270, p=.008)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주관적 규범과 수행도 사이의 의도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z=2.818, p=.002). 지각된 통제감 또한 의도와(β=.482, p<.001) 감염관리 수행도에(β=.425, p<.001)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각된 통제감과 수행도 간에 의도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z=3.303, p<0.01). 본 연구 결과, NICU 간호사가 감염관리 지침을 인지하고 있으면 수행도가 높았고, 감염관리에 대한 주관적 규범, 지각된 통제감, 의도와 수행도 간의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계획된 행위이론에 근거하면 주관적규범, 지각된 통제감과 감염관리 수행간의 사이에 의도의 매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NICU 간호사의 감염관리 수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주관적 규범과 지각된 통제감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NICU 간호사의 감염관리에 대한 의도와 수행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부서의 분위기와 관리자 및 동료들의 감염관리수행에 대한 독려와 NICU 감염관리 지침을 기반으로 한 프로토콜을 개발할 때, 감염관리 지식을 전달하는 교육에서 그치는것이 아니라, 지각된 통제감을 높이기 위한 전략으로 물적 자원을 마련하는 것이 선행되고 양적인 인력 배치 뿐 아니라 숙련도가 있는 간호사들이 그만 두지 않도록 제도를 마련하여 적절한 인력배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감염관리 지침을 수행하는데 방해되는 요소들을 스스로 통제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높이기 위해 지각된 통제감의 증진 중재 전략을 포함한 프로그램을 개발해 적용한다면 간호 실무적 의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 결과는 NICU 간호사의 감염관리에 대한 의도와 수행을 높이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노년층 해외 개별여행객에 대한 여행의 심리적 효과 : 심층면접법을 바탕으로

        김미래 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31

        전 세대 모두가 가장 원하는 여가활동은 단연 여행이다. 여행은 우리의 인생에서 다양한 긍정적 역할을 해왔다. 1989년 해외여행 자유화 조치를 기점으로 해외여행을 떠나는 국민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여가시간 확대와 저가항공의 증편으로 국민의 해외여행은 앞으로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해외여행의 형태는 크게 패키지여행과 개별여행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오늘날의 여행자들은 패키지여행보다 여행사의 개입이 없는 자유로운 개별여행을 훨씬 선호한다. 이러한 현상은 젊은 세대 뿐 아니라 60세 이상 시니어 해외여행객도 마찬가지이다. 시니어는 개별 자유여행을 선호하지만 현실적인 제약으로 여행사 패키지 상품에 의존해왔다. 그러나 시니어의 여행형태가 점차 패키지여행에서 해외 개별여행으로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는 오래되지 않았으며, 시니어의 여행형태 변화에 따른 시니어 해외 개별여행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60세 이상 시니어 해외 개별여행객의 여행 경험을 연구하기 위하여 10인의 연구참여자를 모집하여 일대일 심층면접을 진행하였으며 현상학적 분석 절차 중 하나인 Giorgi의 분석 절차에 따라 자료를 수집, 분석 및 기술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낸 60세 이상 시니어의 해외 개별여행 경험 및 심리적 효과는 3개의 주제에 대한 8개의 구성요소, 20개의 하위 구성요소로 구성되었다. 3개 주제와 8개의 구성요소에 따른 개별 연구참여자들의 상황적 구조를 기술하고, 전체 연구참여자들의 관광경험을 일반적 구조로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첫 번째 주제 ‘해외 개별여행 경험’에 대한 구성요소는‘기억에 남는 개별여행 경험’, ‘추구편익’, ‘관광제약’, ‘여행기술 증가’로 구성되었다. ‘기억에 남는 개별여행 경험’에 대한 하위 구성요소는 ‘새로운 경험’, ‘의도치 않은 우연’으로 구성되었다. 두 번째 구성요소인 ‘추구편익’에서는 ‘이동의 편리 추구’, ‘숙소의 편안 추구’, ‘목적 달성 추구’로 구성하였다. 세 번째 ‘관광제약’의 하위 구성요소는 ‘관광정보 접근 제약’으로 도출되었으며, 마지막 구성요소인 ‘여행기술 증가’에서는 ‘경험 축적에 따른 여행기술 증가’가 하위 구성요소로 도출되었다. 두 번째 주제인 ‘해외개별여행 전·후 차이’에서는 ‘여행 전 심리적 상태’와 ‘여행 후 심리적 변화’그리고 ‘개별여행의 효능’으로 구성되었다. 첫 번째 구성요소인 ‘여행 전 심리적 상태’에서는 ‘여행 전 일상에서 느낀 감정’과 ‘여행 전 느낀 감정’의 하위 구성요소로 구성되었으며, ‘여행 후 심리적 변화’에서는 ‘재충전’, ‘자아효능감 향상’, ‘일상에서의 이해의 폭 확대’의 하위 구성요소가 구성되었다. 마지막으로 ‘개별여행의 효능’ 구성요소에서는 ‘탈일상’, ‘자아정체성 찾기’, ‘사회적 교류’, ‘신기성의 이해와 적응’의 하위 구성요소로 구성되었다. 세 번째 주제인 ‘60세 이전·이후의 여행 차이’에서는 ‘연령 증가에 따른 여행의 변화’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으며, 이에 따른 ‘ 신체적 약화’, ‘정신적 약화’, ‘경제적 약화’, ‘자유 획득’의 4가지 하위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그 동안 많은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던 시니어 해외 개별여행객의 경험과 해외 개별여행의 심리적 효과를 다뤘으며, 시니어 해외 개별여행객의 여행경험이 젊은 세대와 크게 다르지 않다는 점과 시니어가 해외 개별여행의 심리적 효과를 탐색하였다는 것에 의의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연구참여자 선정을 수도권 지역에 국한하여 진행하였고, 10인의 연구참여자들이 진술한 해외 개별여행 경험에 의거하여 재구성한 질적 연구로, 60세 이상 시니어 해외 개별여행 경험을 일반화하기 어렵다. 또한 의도하지 않았지만 연구참여자가 높은 연금을 받는 직종의 종사자였기 때문에 시니어 해외개별여행객 전체에 일반화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 가상현실을 이용한 몸통과 골반 운동이 척주옆굽음증 환자의 척주 정렬, 가동범위, 균형에 미치는 영향

        한지현 차의과학대학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31

        Effects of Pelvic and Trunk Exercise using Virtual Reality on Spine Alignment, Range of motion, Balance in Scoliosis Patients Ji Hyun Han Department of medicine (Doctor’s degree in integrative medicine) The Graduate school, CHA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Byung-Sun Ko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for finding out effect on spinal column alignment, range of motion, and balance by applying a virtual reality torso and pelvic exercise program and a trunk and pelvic stretching program, which performed for 8 weeks to adults with scoliosis in the thear This study was proposed to provide a variety and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s for physical therapy for scoliosis. In this study, 20 adult in their 20s in the were recruited selection criteria. After informed consent authn divided 2 groups: Group 1 (torso and pelvic exercise using virtual reality) 10 people and group 2 (general stretching exercise) 10 people participated in this study Randomization was performed using the random numbering method used. The medical characteristic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ho completed the consent form were investigated, and then an initial evaluation of spinal column alignment, range of motion, and balance was performed. After the evaluation, each group received the appropriate intervention 3 times a week, 30 minutes per session for 8 weeks, and 2 therapists (total of 4) with more than 3 years of experience. Each group performed the same test as the initial evaluation after 8 weeks by the same measurer,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fter statistical processing. As a result, there was an effect after the intervention in all variables except Trunk inclination(TIn) in the group that implemented the virtual reality torso and pelvic exercise program for postural alignment, and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Scoliosis angle(SA) and Dimple distance(DD) in the group that performed the stretching. Regarding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change between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change than the control group in Pelvic tilt(PTi), Surface rotation(SR) and Lateral Deviation(LD). In static balance,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in all factors, the control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in Ellipse area(EA) and Standard deviation(Forward-Backward) (SD (F-B)) and in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change between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e control group in Perimeter(Peri). In the dynamic balance,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in all factors after the intervention, and in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change between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greater amount of change than the control group in Medial-Lateral axis stability index(MLSI). In the sitting posture,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and in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change between the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larger change than the control group in MLSI.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joint range of motion, and in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change between the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xtension(E), Right Rotation(Rot(R)), Right side bending(SB(R)), Pelvic anterior tilting(PT(A)), Pelvic Poster tilting (PT(P)) than the control group. appear. Considering these results, the exercise program of the trunk and pelvis and general stretching of the trunk and pelvis using virtual reality conducted for 8 weeks in this study wa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postural alignment, joint range of motion, and balance in patients with lateral curvature of the spine. In particular, it is considered that the exercise program of the trunk and pelvis using virtual reality is more effective than the general trunk and stretching. Key words: Alignment, Balance, Pelvic, Range of Motion, Scoliosis, Stretching, Trunk, Virtual reality 가상현실을 이용한 몸통과 골반운동이 척주옆굽음증 환자의 척주 정렬, 가동범위, 균형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의 목적은 척주옆굽음증이 있는 성인을 대상으로 8주간 실시한 가상현실 몸통 및 골반운동 프로그램과 체간 및 골반 스트레칭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척추정렬, 운동범위,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 연구는 척추측만증의 물리치료를 위한 다양하고 효과적인 중재방법을 제시 하고자 제안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20대 성인 20명을 선발기준으로 모집하였다. 사전 동의 후 2개 군으로 나눴다. 1군(가상현실을 이용한 상체 및 골반운동)10명, 2군(일반스트레칭 운동)10명을 참여, 무작위 방법을 사용한 난수 배정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 되었다. 동의서 작성을 완료한 대상자들의 의학적 특성과 일반적 특성을 조사하였고, 이후 척주 정렬과 가동범위, 균형에 대한 초기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이후 각 집단은 각각 해당되는 중재를 주 3회, 회당 30분 8주간 경력이 3년 이상인 치료사 2명 (총 4명)에 의해 진행되었다. 각 집단은 8주 후에 초기 평가와 동일한 검사를 동일 측정자에 의해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통계처리 후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세정렬에서 가상현실을 이용한 몸통과 골반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에서 몸통기울기(Trunk inclination; TIn)를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중재 후에 효과가 있었고, 스트레칭을 실시한 집단에서는 척주 측만증 각도(Scoliosis angle; SA)와 골반의 움푹 페인 왼쪽과 오른쪽의 거리(Dimple distance; DD)에서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 집단 간 변화량의 차이에서는 골반기울임(Pelvic tilt; PTi), 표면회전(Surface rotation; SR), 측면 편차(Lateral Deviation; LD)에서 대조군 보다 유일 하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정적균형에서 실험군은 모든 요인에서 유의하게 향상 되었고, 대조군은 타원영역(Ellipse area; EA), 표준편차 전-후(Standard deviation Forward-Backward;SD(Ⓕ-Ⓑ))에서 유의하게 향상 되었으며 군간 변화량의 차이에서는 둘레(Peri)에서 실험군이 대조군 보다 유의하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동적 균형에서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중재 후 모든 요인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군간 변화량의 차이에서 내측-외측 안정성지수(Medial-lateral axis Stability Index; MLSI)에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변화량이 유의하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앉은 자세에서는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군간 변화량의 차이에서는 MLSI에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변화량이 유의하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 다. 관절가동범위에서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군간의 변화량 차이에서는 실험군이 대조군 보다 폄(Extension ;E), 오른쪽 회전(Rotation right; RotⓇ), 오른쪽 측면 굽힘(Side Bending; SBⓇ). 골반전방경사(Pelvic anterior tilting; PTⒶ), 골반후방경사 (Pelvic posterior tilting; PTⓅ)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본 연구에서 8주간 실시한 가상현실을 이용한 몸통과 골반의 운동프로그램과 일반적인 몸통과 골반의 스트레칭은 척주옆굽음증 환자의 자세정렬과 관절가동범위, 균형에 있어서 효과적인 중재라고 할 수 있으며, 특히 가상현실을 이용한 몸통과 운동프로그램은 일반적인 몸통과 스트레칭보다 효율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핵심되는 말: 균형, 골반, 관절가동범위, 가상현실, 몸통, 스트레칭, 척주옆굽음증

      • 불쾌증상이론에 근거한 교대근무 간호사의 월경전불편감 영향요인

        주유리 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31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urvey aiming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n intervention to reduce premenstrual discomfort in shift nurses. For this, we examined eating behavior, menstrual attitude, self-esteem, sleep quality, job stress, and premenstrual discomfort in shift nurses and identified the influencing factors of premenstrual discomfort. The data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140 female shift nurses at C general hospital in S-city, Gyeonggi-do, South Korea, during the period from October 21 to November 16, 2022. The participating nurses were recrui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The final data analysis included questionnaires completed by 118 participants, after excluding those with unreliable respons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25.0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for analyzing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menstrual characteristics, and questionnaire responses. The differences in premenstrual discomfort according to the general and menstru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 and analysis of variance (ANOVA), followed by Scheffe test as the post-hoc test. The correlation of premenstrual discomfort with relevant variables was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To identify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premenstrual discomfor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total score, total mean, and item mean were 235, 96.38, and 2.04, respectively, for premenstrual discomfort, implying a moderate level; 128, 87.12, and 2.72, respectively, for eating behavior implying higher than moderate level; 147, 79.41, and 3.78 for menstrual attitude indicating a moderate level; 40, 25.56, and 2.56 for self-esteem implying a moderate level; 84, 43.83, and 1.57 for sleep quality implying a moderate level; and 115, 92.69, and 4.03 for job stress indicating a relatively high level. Premenstrual discomfort vari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work department (t=2.69, p=.008) and the increase in premenstrual alcohol consumption and frequency (F=4.23, p=.018)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o the menstrual cycle (t=2.35, p=.021) among menstrual characteristics. The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d positive correlations of premenstrual discomfort with eating behavior (r=.24, p=.008), sleep quality (r=.33, p<.001) and job stress (r=.18, p=.048).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here the input variables for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the work department and the increase in premenstrual alcohol consumption and frequency and for menstrual characteristics, the menstrual cycle, showed that the following factor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remenstrual discomfort: work department (β=23.70, p=.001), increase in premenstrual alcohol consumption and frequency (β=30.79, p=.004), menstrual cycle (β=14.52, p=.042), self-esteem (β=1.86, p=.020), and sleep quality (β=1.15, p=.002).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29.9% regarding premenstrual discomfort (F=6.12, p<.001). The results collectively suggested that, considering the influencing factors of premenstrual discomfort determined in this study, shift nurses’ work type should be improved to minimize changes in the circadian rhythm to prevent irregular menstrual cycle; improving the working environment at each department, establishing government-led policy, system improvement and hospital-led specific supports should be made to reduce the level of premenstrual discomfort; and the stress management or response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reduce premenstrual alcohol consumption and frequency. Follow-up and repeated studies should investigate a variety of influencing factors toward the reduction of premenstrual discomfort in shift nurses. 본 연구는 교대근무 간호사의 섭식행동, 월경태도, 자존감, 수면의 질, 직무스트레스, 월경전불편감 정도를 파악하고, 월경전불편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월경전불편감을 완화시키기 위한 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한 서술적 상관성 조사 연구이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22년 10월 21일부터 11월 16일까지 경기도 S시 소재의 C종합병원에 교대근무하고 있는 여성 간호사를 대상으로 140명을 편의 표집 하였고 설문에 불성실한 응답을 한 설문지를 제외한 나머지 118명의 설문지를 최종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월경특성, 섭식행동, 월경태도, 자존감, 수면의 질, 직무스트레스 및 월경전불편감은 기술통계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월경특성에 따른 월경전불편감의 차이는 Independent t-test와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Scheffe test로 사후 검정하였다. 월경전불편감과 관련 요인들과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월경전불편감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월경전불편감은 총점 235점 만점에 합산 평균 96.38점, 문항 평균 2.04점으로 중등도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섭식행동은 총점 128점 만점에 합산 평균 87.12점, 문항 평균 2.72점으로 중간 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났고, 월경태도는 총점 147점 만점에 합산 평균 79.41점, 문항 평균 3.78점으로 중간 정도의 수준으로 나타났고, 자존감은 총점 40점 만점에 합산 평균 25.56점, 문항 평균 2.56점으로 중간 정도의 수준으로 나타났고, 수면의 질은 총점 84점 만점에 합산 평균 43.83점, 문항 평균 1.57점으로 중간 정도의 수준으로 나타났고, 직무스트레스는 총점 115점 만점에 합산 평균 92.69점, 문항 평균 4.03점으로 중간 이상의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월경전불편감은 근무 부서(t=2.69, p=.008), 월경 전 음주량과 횟수의 증가(F=4.23, p=.018)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월경특성에 따른 월경전불편감은 월경 주기(t=2.35, p=.02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관관계 분석결과 월경전불편감은 섭식행동(r=.24, p=.008), 수면의 질(r=.33, p<.001), 직무스트레스(r=.18, p=.048)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일반적 특성에서 근무 부서와 월경 전 음주량과 횟수의 증가, 월경특성에서 월경 주기를 투입하여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 결과 근무 부서(β=23.70, p=.001), 월경 전 음주량과 횟수의 증가(β=30.79, p=.004), 월경 주기(β=14.52, p=.042), 자존감(β=1.86, p=.020), 수면의 질(β=1.15, p=.002)이 월경전불편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모델의 변수는 월경전불편감을 29.9% 설명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F=6.12, p<.001).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월경전불편감의 영향요인으로 확인된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고 불규칙한 월경 주기를 감소하기 위하여 교대근무 간호사의 일주기 리듬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근무 형태 개선 고려, 근무 부서에 따른 월경전불편감 정도를 완화하기 위하여 근무 부서환경의 개선, 정부 차원의 정책 추진 및 제도 개선, 병원 차원의 구체적인 지원 고려, 월경 전 음주량과 횟수의 감소하기 위하여 스트레스를 관리하거나 스트레스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개발 고려, 교대근무 간호사의 월경전불편감 정도의 완화를 위해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를 포함한 후속 연구와 반복 연구가 필요하다.

      • NICU간호사의 극소저출생체중아를 위한 인공호흡기 간호에 대한 지식 및 교육요구도

        방미경 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인공호흡기치료가 필요한 극소저출생체중아를 다루는 NICU 간호사를 대상으로 인공호흡기간호에 대한 지식 및 교육요구도를 조사하여 NICU 간호사를 위한 효율적인 인공호흡기관리 및 간호 지침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20년 10월 13일부터 11월 30일까지 서울, 경기도 소재의 level 2~3수준의 NICU 간호사 8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지식과 교육요구도를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3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인공호흡기 간호 관련 지식과 교육 요구도는 평균, 표준편차를 이용하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공호흡기 간호 관련 지식과 교육 요구도 비교는 t-test, ANOVA로 분석하고, Scheffe test로 사후검정 하였다. 대상자의 인공호흡기 간호 관련 지식 및 교육 요구도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대상자의 인공호흡기 간호 관련 지식은 평균 3.13점, 인공호흡기 간호 관련 교육요구도는 평균 3.2점이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상자의 인공호흡기 간호 관련 지식에서는 ‘연령’(F=2.80, p=.045),‘직위’(t=2.90, p=.005),‘근무경력’(F=4.36, p=.007), ‘VLBWI 인공호흡기간호 경험 유무’(t=2.20, p=.030), ‘인공호흡기 교육받은 경험 유무’ (t=5.71, p<.001), ‘인공호흡기 교육받은 횟수’ (F=14.28 p<.001), ‘교육희망주기(회/년)’(F=4.44, p=.015), ‘주로 정보를 얻는 곳’(F=5.27, p=.007)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상자의 인공호흡기 간호 관련 교육 요구도에서‘주로 정보를 얻는 곳’(F=3.28, p=.043)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의 인공호흡기 간호 관련 지식과 교육요구도와의 상관관계 결과, 통계적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r=.02, p=.857), 인공호흡기 간호 관련 지식과 교육요구도의 하위영역별 상관관계에서는 지식 하위영역에서 ‘인공호흡기 관련 감염예방간호’와 교육요구도 하위영역의 ‘인공호흡기 적용 의한 2차문제 예방간호’(r=.23, p=.037),‘호흡기제거를 위한 간호’(r=.22, p=.045)간의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상의 본 연구 결과로, 극소저출생체중아를 위한 인공호흡기 간호 질 향상을 위해선 극소저출생체중아 및 미숙아의 특성에 대한 인공호흡기 치료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간호사들의 인식을 증진시켜 학습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는 교육제공이 우선시 필요하다. 또한 응급상황 대처에 대한 중점적인 교육과 극소저출생체중아에게 적극적이고 효과적인 인공호흡기 간호제공을 위해서 간호사의 수행자신감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지식 습득을 위한 교육은 물론 실습중심의 임상교육프로그램으로 개발하여 효과적인 교육주기 및 시간을 고려한 교육 제공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