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부모의 보육시설 신뢰와 교사의 정서적 기질이 영유아의 보육시설 적응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arental Trust to Child Care Centers and Teachers` Emotional Temperaments on the Infant`s Adjustments to Child Care Cent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1506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보육시설 신뢰와 교사의 정서적 기질이 영유아의 보육시설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경북·경남 지역에 있는 민간어린이집의 만1세∼만5세 영유아 270명을 대상으로 영유아의 부모와 담임교사 41명에게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생태체계이론에 기반하여 설정된 영유아의 개인특성(성별, 출생순위), 부모특성(연령, 맞벌이 유무), 교사특성(보육경력, 연령, 정서적 기질)과 부모의 보육시설에 대한 신뢰 변수가 영유아의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영유아와 부모의 개인특성은 보육시설 적응에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교사의 개인 특성인 보육경력, 연령, 정서적 기질 모두 영유아의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보육경력이 높을수록 영유아의 적응이 어려웠으며, 보육교사의 연령이 높을수록 영유아의 보육시설 적응수준이 높았다. 또한, 보육교사의 기질이 정서적으로 안정 될수록 영유아의 보육시설 적응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보육시설 신뢰와 영유아의 적응수준은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어 신뢰가 높을수록 적응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부모, 교사, 보육시설 수준에서 영유아의 보육 시설 적응을 도울 수 있는 함의를 기술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보육시설 신뢰와 교사의 정서적 기질이 영유아의 보육시설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경북·경남 지역에 있는 민간어린이집의 만1세∼만5�...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보육시설 신뢰와 교사의 정서적 기질이 영유아의 보육시설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경북·경남 지역에 있는 민간어린이집의 만1세∼만5세 영유아 270명을 대상으로 영유아의 부모와 담임교사 41명에게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생태체계이론에 기반하여 설정된 영유아의 개인특성(성별, 출생순위), 부모특성(연령, 맞벌이 유무), 교사특성(보육경력, 연령, 정서적 기질)과 부모의 보육시설에 대한 신뢰 변수가 영유아의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영유아와 부모의 개인특성은 보육시설 적응에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교사의 개인 특성인 보육경력, 연령, 정서적 기질 모두 영유아의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보육경력이 높을수록 영유아의 적응이 어려웠으며, 보육교사의 연령이 높을수록 영유아의 보육시설 적응수준이 높았다. 또한, 보육교사의 기질이 정서적으로 안정 될수록 영유아의 보육시설 적응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보육시설 신뢰와 영유아의 적응수준은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어 신뢰가 높을수록 적응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부모, 교사, 보육시설 수준에서 영유아의 보육 시설 적응을 도울 수 있는 함의를 기술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al trust to child care centers and nursery teachers’ emotional temperaments on the infants’ and toddlers’ adjustment to child care centers. The sample included 270 infants and toddlers between 1 and 5 years old, who were cared for at child care centers in Gyeongbuk and Gyeongnam province, and the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on 41 people comprising of parents and class teachers through a survey. Using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variables such as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infant (e.g., sex, birth or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ents (e.g., age, single- or dual-income fami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acher (e.g., child care work experience, age, emotional disposition) and parental trust about the child care center on the adjustment of the infants and toddler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infants and toddlers and their parents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adjustment to the child care center, whereas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teacher, such as child care work experience, age, and emotional disposition, all had a significant effect. That is, the adjustment of the infants and toddlers was harder when the teacher had more years of work experience in child care, and the adjustment level was higher when the teacher was older. Also, the adjustment level of the infants and toddlers was found to be higher when the emotional disposition of the teacher was stable. Lastly, parental trust about the child care center and the adjustment level of the infants and toddlers exhibit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indicating higher adjustment level in infants and toddlers for higher level of trust in parents.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al trust to child care centers and nursery teachers’ emotional temperaments on the infants’ and toddlers’ adjustment to child care centers. The sample included 270 infants and toddl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al trust to child care centers and nursery teachers’ emotional temperaments on the infants’ and toddlers’ adjustment to child care centers. The sample included 270 infants and toddlers between 1 and 5 years old, who were cared for at child care centers in Gyeongbuk and Gyeongnam province, and the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on 41 people comprising of parents and class teachers through a survey. Using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variables such as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infant (e.g., sex, birth or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ents (e.g., age, single- or dual-income fami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acher (e.g., child care work experience, age, emotional disposition) and parental trust about the child care center on the adjustment of the infants and toddler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infants and toddlers and their parents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adjustment to the child care center, whereas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teacher, such as child care work experience, age, and emotional disposition, all had a significant effect. That is, the adjustment of the infants and toddlers was harder when the teacher had more years of work experience in child care, and the adjustment level was higher when the teacher was older. Also, the adjustment level of the infants and toddlers was found to be higher when the emotional disposition of the teacher was stable. Lastly, parental trust about the child care center and the adjustment level of the infants and toddlers exhibit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indicating higher adjustment level in infants and toddlers for higher level of trust in parents.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희, "저소득가정 유아의 보육시설 적응에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교사-유아관계가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2 (22): 679-688, 2011

      2 고영희,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관련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1

      3 박희숙,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유치원 적응력간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337-356, 2007

      4 안선희, "유아의 유치원 초기적응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9 (9): 201-220, 2002

      5 이영환, "유아의 어머니에 대한 애착표상과 아버지에 대한 애착표상이 유아의 사회정서발달 및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33 : 69-91, 2003

      6 조맹숙,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이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443-459, 2011

      7 정영미, "유아의 기질과 적응에 관한 연구" 淑明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96

      8 김현진,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교사의 성격특성과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과의 관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9 김은경, "유아의 기질 및 어머니 양육행동이 유아의 문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13 (13): 35-45, 2009

      10 송진숙,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의 적응과유아의 사회적 능력 및 문제행동에 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8 (8): 207-225, 2003

      1 김영희, "저소득가정 유아의 보육시설 적응에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교사-유아관계가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2 (22): 679-688, 2011

      2 고영희,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관련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1

      3 박희숙,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유치원 적응력간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337-356, 2007

      4 안선희, "유아의 유치원 초기적응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9 (9): 201-220, 2002

      5 이영환, "유아의 어머니에 대한 애착표상과 아버지에 대한 애착표상이 유아의 사회정서발달 및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33 : 69-91, 2003

      6 조맹숙,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이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443-459, 2011

      7 정영미, "유아의 기질과 적응에 관한 연구" 淑明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96

      8 김현진,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교사의 성격특성과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과의 관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9 김은경, "유아의 기질 및 어머니 양육행동이 유아의 문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13 (13): 35-45, 2009

      10 송진숙,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의 적응과유아의 사회적 능력 및 문제행동에 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8 (8): 207-225, 2003

      11 천향숙, "유아교사의 교수스트레스와 갈등적 교사-유아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회 (72) : 87-103, 2012

      12 구희정, "유아교사의 교수 스트레스와 유아와의 관계가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3 (13): 279-297, 2009

      13 기은옥, "영유아의 교사 애착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25-48, 2013

      14 구수연,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5

      15 구자심, "영아의 어린이집 생활적응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3

      16 오종은, "영아의 애착안정성과 어린이집 초기적응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7 전미경, "영아의 기질과 어린이집 초기적응간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8 이현숙, "영아의 개인 변인과 어린이집의 환경 변인이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교육학회 18 (18): 179-192, 2009

      19 이정주, "영아와 어머니 및 교사의 기질이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20 이정희, "영아·어머니·보육교사의 특성에 따른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학회 33 (33): 63-81, 2012

      21 신희남, "영아 및 어머니의 특성, 어머니의 적응지원전략이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 단기종단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2

      22 김혜선, "어머니의 취업여부 및 양육태도와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3 김기홍,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영아의 기질 및 조화적합성이 보육시설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6 (6): 47-65, 2010

      24 장성덕,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취업이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5 이미희, "어머니의 양육 태도 및 영아의 개인변인과 어린이집 초기 적응간의 관계" 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10

      26 양숙경, "어머니의 분리불안, 교사-영아관계가 만 1․2세반 아동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28 (28): 131-146, 2010

      27 유민아, "어머니의 격리불안 및 양육태도가 영아의 보육시설적응에 미치는 영향"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11) : 333-356, 2011

      28 김지혜, "어머니가 어린이집을 선택하고 신뢰를 형성해 가는 과정"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2 (12): 169-202, 2013

      29 김유환, "어머니-교사관계, 유아-교사관계 및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문제 간의 관련성"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1 (11): 87-104, 2012

      30 김보민, "어머니-교사 관계와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간의 구조적 관계 - 교사-유아 관계와 유아 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77) : 123-150, 2013

      31 이은경, "어린이집에서의 영아 초기 적응프로그램 실시 현황"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32 Berk. L.E., "생애발달Ⅰ" 시그마프레스 2007

      33 조형숙, "사립유치원 교사의 교직생활 보람에 관한 연구"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9 (9): 91-117, 2010

      34 정명경, "부모의 맞벌이 여부가 유아의 자아개념 및 보육시설 적응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35 손인숙, "부모와 교사간의 연계교육 및 유아-교사간의 상호작용의 질에 따른 유아의 적응에 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39) : 111-128, 2004

      36 장지원, "부모-교사의 협력적 관계형성 및 상호이해를 위한 부모참여 활동" 35 (35): 47-64, 2005

      37 최광희, "부모-교사의 동반자적 협력관계로서의 부모 참여에 대한 교사의 인식"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38 고혜진, "부모-교사 협력행동과 부모-교사 신뢰관계가 영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9

      39 현온강, "보육환경의 질과 영유아의 적응" 28 (28): 25-42, 2000

      40 신현정, "보육시설 초기적응에 대한 보육교사 인식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41 임명희, "만 1세아의 어린이집 초기 적응에 관한 소규모 연구" 한국보육학회 7 (7): 1-32, 2007

      42 송영선, "국공립어린이집 신뢰에 관한 연구 : 신뢰 측정지표 개발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4

      43 신유림, "교사-유아관계와 유아의 사회적 행동특성 및 유아교육기관 적응의 관련성: 유아 및 교사 지각의 비교" 한국유아교육학회 29 (29): 5-19, 2009

      44 Datler, W., "Toddlers’transition to out-of-home day care : Settling into a new care environment" 35 (35): 439-451, 2012

      45 Jewsuwan, R., "The relation between parent’s perception of temperament and children’s adjustment to preschool" 8 : 33-51, 1993

      46 Henderson, A., "The evidence continues to grow; Parent involvement improves student achievement" National Committee for Citizens in Education 1987

      47 Buss, A., "Temperament; Early developing personality traits" Erlbaum 1984

      48 Hair, J. F., "Multivariate Date Analysis" Prentice Hall 1998

      49 Andersen, B. E., "Effect of public of public daycare" 60 : 857-886, 1989

      50 Bronfenbrenner, U., "Developmental science in the 21st century:Emerging theoretical models, research designs and empirical findings" 9 : 115-125, 2000

      51 박성옥, "3세 이하의 자녀를 둔 어머니의 격리불안" 慶熙大學校 大學院 1993

      52 박은미, "3세 유아의 유치원 생활적응에 관한 질적연구 ­교사와의 사회적 관계형성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7 (7): 9-234,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2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4 1.64 1.9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5 2.11 2.512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