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소년의 비합리적인 신념 및 정서와 학교적응 간의 관계에서 성취동기의 매개효과 검증 = A Test of the Mediating Effects of Achievement Motiv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Irrational Belief, Emotion and School Adapt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555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 비합리적인 신념과 정서가 성취동기를 매개하여 청소년들의 학교적응을 예측할 수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성취동기의 매개효과 분석을 통하여 학교적응을 향상시...

      본 연구의 목적 비합리적인 신념과 정서가 성취동기를 매개하여 청소년들의 학교적응을 예측할 수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성취동기의 매개효과 분석을 통하여 학교적응을 향상시키는 개입 기제로서 성취동기의 역할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대구지역 중학생 1, 2학년 38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부트스트랩 방법을 적용한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성취동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상의 자료 분석을 위하여 SPSS 18.0과 SPSS PROCESS-macro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합리적인 신념이 학교적응을 예측할 때 성취동기가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긍정 정서가 학교적응을 예측할 때 성취동기가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부정 정서가 학교적응을 예측할 때 성취동기는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한 본 연구의 이론적 함의는 청소년의 비합리적인 신념, 긍정 정서, 부정 정서, 성취동기, 학교적응에 대한 이론의 정교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학교적응 향상을 위한 개입기제로서 비합리적인 신념, 정서 및 성취동기가 매우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측면을 밝혔다는 점에서 실천적 의의가 있다. 한편 결론에서는 연구의 한계를 밝히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an adolescent can adapt school by the mediating effect of achievement motivation on the association between irrational belief, emotion, and school adaptation. It was also to investigate the role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an adolescent can adapt school by the mediating effect of achievement motivation on the association between irrational belief, emotion, and school adaptation. It was also to investigate the role of achievement motivation as an intervention mechanism to improve school adaptation through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achievement motivation. For the purpose, the mediating effect of achievement motivation was verified by conducting questionnaire survey. 386 middle school students who were in the 1st and the 2nd grade in the city of Daegu responded the questionnair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bootstrap method was perform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achievement motivation. Data were analyzed by SPSS 18.0 and SPSS PROCESS-macro.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hievement motivation was fully mediated when irrational belief predicted school adaptation. Second, achievement motivation was partially mediated when positive emotion predicted school adaptation. Lastly, achievement motivation was partially mediated when negative emotion predicted school adaptation. The theoretical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can contribute to elaborating theories about youth's irrational belief, positive emotion, negative emotion, achievement motivation, and school adaptation. There is a practical significance of this study in that irrational belief, emotion, and achievement motivation were found to be very important as an intervention mechanism to enhance adolescents’ school adaptation. Meanwhile, a limit of this study and a suggestion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in the conclusion sec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평, "희망과 자기조절학습이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성취목표를 매개변인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 서수균, "한국판 일반적 태도 및 신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21 (21): 113-130, 2009

      3 교육부, "학업중단 학생 현황조사" 교육부 2015

      4 염영옥, "폭력청소년의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REBT 집단치료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9

      5 주애경, "청소년의 비합리적 신념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6 정경아, "청소년의 비합리적 신념과 불안의 관계에 관한 연구" 明知大學校 社會敎育大學院 1998

      7 김병수, "청소년 성취동기역량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5

      8 김지경, "지능에 대한 신념이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 자기구실 만들기와 자아탄력성을 매개변인으로-" 교육연구원 26 (26): 99-116, 2010

      9 노숙영, "중학생의 학교적응, 학업성취, 정서 및 문제행동의 관계" 延世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10 이규미, "중학생의 학교적응 구성개념에 관한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17 (17): 383-398, 2005

      1 유평, "희망과 자기조절학습이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성취목표를 매개변인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 서수균, "한국판 일반적 태도 및 신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21 (21): 113-130, 2009

      3 교육부, "학업중단 학생 현황조사" 교육부 2015

      4 염영옥, "폭력청소년의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REBT 집단치료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9

      5 주애경, "청소년의 비합리적 신념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6 정경아, "청소년의 비합리적 신념과 불안의 관계에 관한 연구" 明知大學校 社會敎育大學院 1998

      7 김병수, "청소년 성취동기역량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5

      8 김지경, "지능에 대한 신념이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 자기구실 만들기와 자아탄력성을 매개변인으로-" 교육연구원 26 (26): 99-116, 2010

      9 노숙영, "중학생의 학교적응, 학업성취, 정서 및 문제행동의 관계" 延世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10 이규미, "중학생의 학교적응 구성개념에 관한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17 (17): 383-398, 2005

      11 배현정, "중학생의 갈등해결전략과 학교적응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성취목표의 매개효과"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12 김선민, "중학생들의 비합리적 신념과 인간관계 및 학교적응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3 안신능, "자기 개념에 따른 자기 불일치와 삶의 만족도의 인과적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14 임창수, "일반학교와 재적응형 대안학교 학생들의 비합리적 신념과 우울에 관한 비교"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5 Kendall. P, C., "인지, 행동적 접근-아동, 청소년 심리치료" 학지사 2010

      16 강은주, "위기청소년의 정서조절력 향상을 위한 집단영화치료프로그램의 효과"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1

      17 박수진, "아동이 지각하는 가족기능과 학업 성취동기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9

      18 한미현, "아동의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 지각과 행동문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6

      19 이은해, "아동의 또래지위 및 친구관계와 학교적응의 관계" 22 (22): 1-18, 2001

      20 최선남, "아동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 변인과 동적가족화에 의한 우울판별 연구" 嶺南大學校 大學院 1996

      21 김향숙, "심리치료에서 동기의 역할에 대한 고찰"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2 (32): 37-52, 2011

      22 유안진, "시설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사회적지지 지각과 공격성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 40 (40): 67-82, 2002

      23 강경미, "소아기 우울증 : 소아기 우울증의 개관과 발달학적 측면" 5 (5): 3-11, 1994

      24 임선아, "성취동기측정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27 (27): 575-593, 2013

      25 서영석, "상담심리 연구에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검증: 개념적 구분 및 자료 분석 시 고려 사항" 한국상담심리학회 22 (22): 1147-1168, 2010

      26 최정훈, "사회적 불안에서의 비합리적인 신념과 상황요인" 6 (6): 21-47, 1994

      27 朴在滉, "비행청소년과 정상청소년의 합리적신념의 차이 : Ellis의 합리적 정의이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1

      28 최리나,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정서와 내적동기가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1

      29 장혜진, "농촌아동의 가정환경자극과 학교적응관계에서 성취동기의 매개효과" 한국아동복지학회 (33) : 7-36, 2010

      30 송준호, "국민학교 학생들의 비합리적 신념과 부적응행동" 漢陽大學校 敎育大學院 1994

      31 임윤경,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지적능력에 대한 신념을 예측하는 변인 탐색 : 지능, 동기 및 자기조절 학습전략, 부모의 학업성취 압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32 이성미, "고등학생의 비합리적 신념이 대인관계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33 이숙남, "각급 학교 학생 간 비합리적 신념 수준 비교"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34 鄭求範, "正常集團과 不適應集團間의 合理的 信念의 差異" 공주사범대학 교육대학원 1985

      35 韓裕眞, "兒童과 靑少年의 憂鬱性向 및 歸因樣式과 學業成就"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3

      36 Cohen, J., "Things I have learned(so far)" 45 (45): 1304-1312, 1990

      37 Diener, E., "The personality structure of affect" 69 (69): 130-141, 1995

      38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51): 1173-1182, 1986

      39 Birch, S. H., "Social motivation: Understanding children's school adjust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25, 1996

      40 Ellis, A., "Reason and emotion in psychotherapy" Lyle Stuart 1962

      41 라만교,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학교폭력 예방효과 분석 : 중등학생을 중심으로" 동신대학교 대학원 2015

      42 Bukowski, W. M., "Peer relations in child development: Wiley series on personality processes" Wiley 15-45, 1989

      43 Hayes, A. F., "PROCESS: A versatile computational tool for observed variable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modeling"

      44 McClelland, D. C., "N Achievement and entrepreneurship : A longitudinal study" 1 (1): 389-392, 1965

      45 Ladd, G. W., "Having friends, keeping friends, making friends, and being liked by peers in the classroom: Predictors of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61 (61): 1081-1100, 1990

      46 Ladd, G. W., "Friendship quality as a predictor of young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67 (67): 1103-1118, 1996

      47 Mayer, J. D.,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Implications for educator" Basic Books 3-31, 1997

      48 Kendler, K. S., "Clinical characteristics of major depression that predict risk of depression in relatives" 56 (56): 322-327, 1999

      49 Herman, H. J., "A question are measure of achievement motivation" 54 (54): 353-363, 1970

      50 Jones, R. G., "A factored measure of Elliss irrational belief system with personality and maladjustment correlates" Texas technological college 1968

      51 Lohr, J. M., "A disconfirm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ear of public speaking and irrational beliefs" 48 (48): 795-798, 198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51 2.51 2.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84 2.89 3.162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