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가 인식하는 남성보육교사의 역할과유아의 성역할 개념 = Children’s Understanding on the Roles of Male Childcare Teachers and Children’s Gender Role Concep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464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가 인식한 남성보육교사의 역할과 남성보육교사의 역할 수행에 따른 유아의 성역할개념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유아교사의 역할을 분석하기 위해 수도권에 위치한 어린이집 유아 34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과 그림 그리기를 실시하고, χ2 검증 및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유아 38명을 대상으로 유아의 성역할 개념의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가 인식한남성보육교사의 역할은 가르치는 역할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일상을 돌보는 역할, 놀이자의 역할이그 다음으로 많이 나타났다. 반면에 환경을 조직하는 역할, 업무를 지원하는 역할, 컴퓨터로 일하는역할은 낮게 나타났다. 성역활 개념에서는 남성보육교사의 역할 수행에 따라 남성보육교사의 유아가여성보육교사의 유아보다 성역할 개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아동권리협약에 명시된유아의 참여권을 보장하기 위해 유아와의 인터뷰뿐만 아니라 유아의 그림 자료도 분석에 활용하여유아가 인식하는 남성보육교사의 역할을 심층적으로 분석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유아가 인식한 남성보육교사의 역할과 남성보육교사의 역할 수행에 따른 유아의 성역할개념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유아교사의 역할을 분석하기 위해 수도권에 위치한 어...

      본 연구는 유아가 인식한 남성보육교사의 역할과 남성보육교사의 역할 수행에 따른 유아의 성역할개념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유아교사의 역할을 분석하기 위해 수도권에 위치한 어린이집 유아 34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과 그림 그리기를 실시하고, χ2 검증 및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유아 38명을 대상으로 유아의 성역할 개념의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가 인식한남성보육교사의 역할은 가르치는 역할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일상을 돌보는 역할, 놀이자의 역할이그 다음으로 많이 나타났다. 반면에 환경을 조직하는 역할, 업무를 지원하는 역할, 컴퓨터로 일하는역할은 낮게 나타났다. 성역활 개념에서는 남성보육교사의 역할 수행에 따라 남성보육교사의 유아가여성보육교사의 유아보다 성역할 개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아동권리협약에 명시된유아의 참여권을 보장하기 위해 유아와의 인터뷰뿐만 아니라 유아의 그림 자료도 분석에 활용하여유아가 인식하는 남성보육교사의 역할을 심층적으로 분석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 여성개발원, "취학전 아동의 양성평등의식 교육프로그램"

      2 박재정, "초등학교에서 교사의 성이 편중된 체육수업을 경험한 학생의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0 (10): 83-124, 2002

      3 김남지, "초등학교 담임교사 역할수행의 성차 분석" 교육과학연구소 42 (42): 51-76, 2011

      4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동문사 2006

      5 최수아,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에 관한 교사 및 학부모의 인식조사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6 박신연,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 역할수행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에 관한 연구 : 호남지역 직장보육시설을 중심으로" 광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8

      7 최영주, "유치원내 남자 체육교사가 유아의 성역할 발달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8 박향숙, "유치원 교사의 역할지각과 역할수행에 관한 연구"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5

      9 이윤정, "유아의 성별에 따른 어머니 성역할 인식과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 및 리더십의 관계" 한국보육학회 13 (13): 113-132, 2013

      10 성소영, "유아교육에서의 성의 불균형 : 남자 교사의 부재" 27 (27): 231-244, 2008

      1 한국 여성개발원, "취학전 아동의 양성평등의식 교육프로그램"

      2 박재정, "초등학교에서 교사의 성이 편중된 체육수업을 경험한 학생의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0 (10): 83-124, 2002

      3 김남지, "초등학교 담임교사 역할수행의 성차 분석" 교육과학연구소 42 (42): 51-76, 2011

      4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동문사 2006

      5 최수아,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에 관한 교사 및 학부모의 인식조사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6 박신연,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 역할수행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에 관한 연구 : 호남지역 직장보육시설을 중심으로" 광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8

      7 최영주, "유치원내 남자 체육교사가 유아의 성역할 발달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8 박향숙, "유치원 교사의 역할지각과 역할수행에 관한 연구"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5

      9 이윤정, "유아의 성별에 따른 어머니 성역할 인식과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 및 리더십의 관계" 한국보육학회 13 (13): 113-132, 2013

      10 성소영, "유아교육에서의 성의 불균형 : 남자 교사의 부재" 27 (27): 231-244, 2008

      11 조경자, "유아교사가 되려는 남자 대학생에 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187-214, 2004

      12 임옥경, "유아·부모 대상 성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양성적 성역할태도 변화에 미치는 효과"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3 박성남, "예비 보육교사와 현직 보육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과 역할수행"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0

      14 정옥분, "영아보육의 실태 및 질적 특성 평가에 기초한 보육의 질 제고" 대한가정학회 42 (42): 123-136, 2004

      15 양지영, "영아반 미혼초임교사의 역할과 갈등"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6 심영희, "영아교사와 유아교사 역할수행에 관한 보육교사의 인식 차이" 한국아동교육학회 22 (22): 121-138, 2013

      17 나윤경, "여성주의 질적 연구방법이 평생교육학 연구에 주는 시사점" 한국평생교육학회 17 (17): 143-164, 2011

      18 오선영, "어린이집 교사의 역할인식과 역할수행의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35 (35): 23-45, 2003

      19 고유진, "양성평등의식 교육 활동이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0 김은정, "양성평등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1 김완신, "양성평등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성 역할 인식 변화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2 김정순, "양성 평등 프로그램 활동의 유아 적용 효과 연구"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3 김정순, "양성 평등 프로그램 활동의 유아 적용 효과 연구"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4 황해익, "아동연구방법(개정판)" 정민사 2010

      25 우민정, "성역할 평등 개념에 기초한 교육내용 및 교수방법이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 변화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1996

      26 좌현숙, "성역할 고정관념 발달궤적의 성차와 예측요인 -아동·청소년기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18 (18): 237-263, 2011

      27 김경미, "성역할 개념의 발달과 분화: 다차원적 관점"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8 (18): 1-20, 2005

      28 최종미, "성불균형 현상과 관련한 남성유아교사에 대한 인식 조사"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29 조방제, "보육시설의 교사역할에 대한 교사와 시설장의 인식비교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9 (9): 101-122, 2004

      30 김경애,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에 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비교 연구" 강남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1

      31 김현진, "보육교사의 기관변인에 따른 역할수행 인식에 관한 연구 -보육교사교육원 졸업생을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 12 (12): 47-66, 2012

      32 백혜리, "보육교사론" 동문사 2008

      33 박지영, "보육교사가 지각한 조직 내 의사소통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34 김종숙, "반편견 그림동화 활동과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 및 자아존중감"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35 성용구,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표상활동을 통한 유아들의 지식구성" 한국열린교육학회 17 (17): 155-181, 2009

      36 최지훈, "남자유아교사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비교" 한국아동학회 33 (33): 165-183, 2012

      37 최종문, "남자영유아교사와의 근무 경험 유무에 따른 유아교육기관 교직원의 남자영유아교사에 대한 인식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38 채진영, "남자영유아교사 관련 경험 유무에 따른 어머니, 아버지, 여교사, 여원장의 남자영유아교사에 대한 인식의 차이"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3 (13): 37-57, 2009

      39 안경하, "남자 임상간호사의 경험에 관한 내용분석" 성인간호학회 21 (21): 652-665, 2009

      40 임자영, "남자 유치원 초임교사의 허물벗기"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4 (14): 229-261, 2013

      41 홍연애, "남자 유아교육실습생이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에 미치는 효과" 12 (12): 19-30, 2009

      42 이나미, "남자 유아 교사에 대한 어머니들의 인식" 호서대학교 대학원 2006

      43 최연철, "남자 유아 교사로 살아가기"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8 (8): 25-43, 2003

      44 류왕효, "남성보육교사 선호에 대한 부모인식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41 (41): 477-491, 2005

      45 박종필, "교직의 여성화 현상에 관한 논쟁 분석" 24 (24): 279-293, 2013

      46 정혜정, "가족과 젠더" 신정 2010

      47 Sanders, K., "Viewpoint men don`t care?" 57 (57): 44-48, 2002

      48 Elicker, J., "Viewpoint More me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hy?" 49 (49): 50-54, 2002

      49 Cunningham, B., "Recruiting male teacher" 49 (49): 10-15, 2002

      50 나정, "OECD 검토보고서: 한국 유아교육과 보육정책에 대한 총괄적 진단과 대정부권고" 교육개발원 2004

      51 Darbyshire, P., "Multiple methods in qualitative research with children: More insight or just more?" 5 (5): 417-436, 2005

      52 Marantz, S. A., "Maternal employment of sex-role stereotyping in five-to-eleven year-old girls" 48 (48): 668-673, 1997

      53 Sumsion, J., "Male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Issues and case study" 20 (20): 109-123, 2005

      54 Harris, K., "Male teacher, female teacher : Exploring children's perspectives of teachers' role in kindergartens" 179 (179): 167-181, 2009

      55 Diamond, K., "Children's perspectives on the roles of teachers and therapists in inclusive early childhood programs" 11 (11): 203-216, 2000

      56 보건복지부, "2013년 보육통계" 보건복지부 2014

      57 보건복지부, "2012년 보육통계" 보건복지부 2013

      58 보건복지부, "2011년 보육통계" 보건복지부 2012

      59 보건복지부, "2010년 보육통계" 보건복지부 2011

      60 보건복지부, "2009년 보육통계" 보건복지부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 1.7 1.8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6 1.87 2.161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