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아전담어린이집에서 만 3세 유아반 교사로 살아가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261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영아전담어린이집에서 만 3세 유아반을 맡은 교사들의 이야기를 질적으로 분석하여 교사들의 애환이 무엇인지를 알아봄으로서 영아전담어린이집에서 만 3세 유아반을 운영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보육교사자격증을 소지하고 있는 보육교사로 현재 영아전담어린이집에서 영아반을 맡고 있는 교사이거나 이전에 유아반을 맡았던 경험이 있는 보육교사 1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2012년 5월 19일부터 2012년 10월 15일까지 5개월 동안 심층 개별 면담, 전화 면담, 연구자 E-mail 저널, 보육일지, 월간보육평가, 관찰일지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생성된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영아전담어린이집에서 만 3세 유아반을 맡은 교사의 어려움은, 혼자라서 ······. / 많은 아이들, 그리고 학부모 / 부담스런 크기의 보육실로 나타났으며, 보람으로는, 잘 키워서 졸업시키기 / 아이들의 형님 노릇 / 선생님과 소통하는 아이들 / 지지해 주는 많은 학부모, 믿어주시는 원장님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영아전담어린이집에서 만 3세 유아반을 맡은 교사들의 이야기를 질적으로 분석하여 교사들의 애환이 무엇인지를 알아봄으로서 영아전담어린이집에서 만 3세 유아반을 운영하는 ...

      본 연구는 영아전담어린이집에서 만 3세 유아반을 맡은 교사들의 이야기를 질적으로 분석하여 교사들의 애환이 무엇인지를 알아봄으로서 영아전담어린이집에서 만 3세 유아반을 운영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보육교사자격증을 소지하고 있는 보육교사로 현재 영아전담어린이집에서 영아반을 맡고 있는 교사이거나 이전에 유아반을 맡았던 경험이 있는 보육교사 1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2012년 5월 19일부터 2012년 10월 15일까지 5개월 동안 심층 개별 면담, 전화 면담, 연구자 E-mail 저널, 보육일지, 월간보육평가, 관찰일지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생성된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영아전담어린이집에서 만 3세 유아반을 맡은 교사의 어려움은, 혼자라서 ······. / 많은 아이들, 그리고 학부모 / 부담스런 크기의 보육실로 나타났으며, 보람으로는, 잘 키워서 졸업시키기 / 아이들의 형님 노릇 / 선생님과 소통하는 아이들 / 지지해 주는 많은 학부모, 믿어주시는 원장님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ose who run infant daycare center by qualitative analysis of teachers’s difficulties and joys who take care of 3 years old nursery in infant daycare. The 10 participants consist of current and past infant daycare teachers who posses teacher certification. During the period of 5 months from May 19th, 2012 to Oct 15th 2012, we collected and analyzed data from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telephone interviews, E-mail journals for researcher, nursery diaries, and monthly child care assessment. Based on the analysis of generated data, the difficulties for teachers taking care of 3 years old are : alone, so / too many children and parents / the size of the nursery burdensome. For rewards, it appeared that : graduation to well-bred / children of brother landscaping / children communicating with teachers / many parents who support me / center director who supports teachers.
      번역하기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ose who run infant daycare center by qualitative analysis of teachers’s difficulties and joys who take care of 3 years old nursery in infant daycare. The 10 participants consist of current and pa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ose who run infant daycare center by qualitative analysis of teachers’s difficulties and joys who take care of 3 years old nursery in infant daycare. The 10 participants consist of current and past infant daycare teachers who posses teacher certification. During the period of 5 months from May 19th, 2012 to Oct 15th 2012, we collected and analyzed data from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telephone interviews, E-mail journals for researcher, nursery diaries, and monthly child care assessment. Based on the analysis of generated data, the difficulties for teachers taking care of 3 years old are : alone, so / too many children and parents / the size of the nursery burdensome. For rewards, it appeared that : graduation to well-bred / children of brother landscaping / children communicating with teachers / many parents who support me / center director who supports teach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및 해석
      • Ⅳ. 논의 및 제언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및 해석
      • Ⅳ. 논의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주영, "한 사립유치원 초임교사의 교직생활과 어려움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3

      2 조갑연, "학부모 만족도 분석을 통한 영아전담보육시설의 정책 발전방안 연구" 경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02

      3 보건복지가족부, "표준보육과정 3세 보육프로그램" 육아정책개발센터 2009

      4 한지혜, "취학 전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조기교육열"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9 (9): 219-251, 2004

      5 이순자, "초등학교 병설유치원 교직문화의 특질"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1

      6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I" 아카데미프레스 2012

      7 조영환, "질적연구: 방법과 사례" 교학사 2005

      8 Seidman, I, "질적연구 방법으로서의 면담" 학지사 2009

      9 송경섭,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생활문화 탐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7

      10 "중앙보육정보센터"

      1 고주영, "한 사립유치원 초임교사의 교직생활과 어려움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3

      2 조갑연, "학부모 만족도 분석을 통한 영아전담보육시설의 정책 발전방안 연구" 경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02

      3 보건복지가족부, "표준보육과정 3세 보육프로그램" 육아정책개발센터 2009

      4 한지혜, "취학 전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조기교육열"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9 (9): 219-251, 2004

      5 이순자, "초등학교 병설유치원 교직문화의 특질"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1

      6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I" 아카데미프레스 2012

      7 조영환, "질적연구: 방법과 사례" 교학사 2005

      8 Seidman, I, "질적연구 방법으로서의 면담" 학지사 2009

      9 송경섭,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생활문화 탐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7

      10 "중앙보육정보센터"

      11 김주영, "유치원 실습지도교사의 어려움에 대한 연구"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9 (9): 187-211, 2010

      12 이경민, "유치원 교사의 생애에 대한 기초연구" 22 (22): 95-114, 2002

      13 배소연, "유아교사의 실천적 지식과 교사교육의 방향" 31 (31): 153-171, 1993

      14 이영미, "우리나라 사회사업가들의 소진(BURNOUT)에 관한 연구" 18 : 25-60, 1991

      15 한숙경,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를 위한 신 교사론" 학지사 2003

      16 강성희, "영아전담 시설의 시설장·보육교사·학부모가 지각한 영아보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관한 연구 : 민간영아전담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7

      17 김혜령, "영아전담 보육시설 프로그램 운영 사례연구" 12 : 1-24, 2006

      18 김춘희, "영아보육의 현황과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 서울특별시 소재 국·공립 보육시설을 중심으로" 延世大學校 行政大學院 1999

      19 신경주, "영아보육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유형과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 분석"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0 노수래,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요인" 안양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11

      21 이근주, "영아반 보육교사의 영아발달지식이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5 (15): 73-94, 2011

      22 한유미, "영아반 교사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291-309, 2010

      23 김지은, "영아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197-216, 2009

      24 탁정화, "영아교사의 어려움과 전문성에 대한 인식 및 지원방안 탐색"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7 (17): 73-103, 2012

      25 김현주, "업무환경과 정서노동이 보육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2

      26 오경란, "어린이 보육공간의 실태와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5

      27 강란혜, "신보육학개론" 창지사 2006

      28 한유진, "시간연장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역할수행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9 이윤정, "서울특별시 공립유치원 에듀케어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30 고선아, "사립유치원 초임교사와 경력교사가 학부모 관계에서 겪는 어려움과 보람에 관한 이야기"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8

      31 조은영, "사립유치원 초임교사 직무현황과 인식에 관한 연구 : 초임교사와 경력교사, 원장을 대상으로"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32 김우진, "사립유치원 교사의 교직생활 보람에 관한 이야기"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9

      33 조형숙, "사립유치원 교사의 교직생활 보람에 관한 연구"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9 (9): 91-117, 2010

      34 보건복지가족부, "보육프로그램 총론" 육아정책개발센터 2009

      35 최진원, "보육시설 자원봉사 활동의 만족도 증진을 위한 방안 모색" 10 (10): 91-111, 2006

      36 보건복지부, "보육사업안내" 이문인쇄 2012

      37 임주희, "보육교사의 직무만족과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07

      38 박소영, "보육교사로 살아가는 힘에 관한 이야기 : 10년 이상 경력교사들의 이야기"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39 임승렬, "발달 초기 교사의 교육 신념과 실제에 관한 연구: 교육실습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24 : 221-236, 1995

      40 심정선, "민간보육시설의 운영실태 분석 :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05

      41 김수희, "민간보육시설 보육교사의 근무환경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사회복지개발대학원 2000

      42 최지현, "미혼 초임교사의 영아반 적응과정 탐색"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43 Spradley, J. P, "문화탐구를 위한 참여관찰방법"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80

      44 이인숙, "동료장학에 참여한 단일학급 유치원 교사의 변화과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45 조선경, "대화모임에서 영아보육교사들의 삶과 정체성에 관한 탐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46 김선희, "단설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47 조부경,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동료장학자료" 교육인적자원부 2005

      48 황경희, "공립유치원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 경상북도 중심으로"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49 정정희, "공립유치원 단일학급 교사의 교직생활이야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50 이유진, "공립유치원 단일학급 교사가 직무수행에서 갖는 어려움"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51 이가은, "경력-초임 유아교사간의 협력적 멘토링 과정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52 권미혜, "감각을 활용한 미술교육이 만 2세 영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1 (11): 1-23, 2012

      53 Spodek, B, "Professionalism and the early childhood practitioner" Columbia University 1988

      54 Katz L. G, "Multiple perspectives on the quality in early childhood program" 93-92, 1993

      55 Swap, S. M, "Developing, Home-school Partnerships From concepts to practies" Teachers College 199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4-2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For Children`S Media -> Korean Association for Children’s Media & Education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al of Children's Media -> Journal of Children’s Media &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 1.6 1.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6 1.85 2.25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