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termine the level of private educator’s coaching leadership and the level of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 student’s positive psychological asset,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private educator’s coaching leader...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termine the level of private educator’s coaching leadership and the level of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 student’s positive psychological asset,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private educator’s coaching leader...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termine the level of private educator’s coaching leadership and the level of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 student’s positive psychological asset,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private educator’s coaching leadership on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 student’s positive psychological asset. 400 participants from six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s in S city and Y city attending junior high school and high school were surveyed, and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on 393 surveys. The results are the following. First, the average value for coaching leadership of private educators was 3.72. Second, the average value of positive psychological asset for students of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s was 3.46. Third, for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private educator’s coaching leadership and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 student’s positive psychological asset, the sub factors of positive psychological asset, self-efficacy, hope, resiliency, and optimism all were shown to have a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with priva educator’s coaching leadership. Relationship, a sub factor of private educator’s coaching leadership, had the biggest impact on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 student’s positive psychological asset, Therefore, coach training should aim to develop the instrutor’s coaching leadership as a means to improve students’ positive psychological asset.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학원 강사의 코칭리더십 수준과 학원 수강생의 긍정심리자본의 수준을알아보고, 학원 강사의 코칭리더십이 학원 수강생의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
본 연구의 목적은 학원 강사의 코칭리더십 수준과 학원 수강생의 긍정심리자본의 수준을알아보고, 학원 강사의 코칭리더십이 학원 수강생의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S시와 Y시 소재 학원 6곳에서 중고등학교 수강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이중 회수된 393명의 설문을 빈도분석,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원 강사의 코칭리더십 수준은 전체 평균 3.72로 나타났다. 둘째, 학원 수강생의 긍정심리자본의 전체 평균은 3.46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원 강사의코칭리더십과 학원 수강생의 긍정심리자본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본 결과 학원 수강생의 긍정심리자본의 하위요인인 자기효능감, 희망, 복원력, 낙관주의 모두 학원 강사의 코칭리더십과유의미한 정(+)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원 강사의 코칭리더십의 하위요인인관계가 학원 수강생의 긍정심리자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원수강생의 긍정심리자본을 향상시키는 방안으로써 학원 강사의 코칭리더십에 주목할 필요가있으며, 학원 강사의 코칭리더십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학원 강사의 코칭리더십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코칭 프로그램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미점, "희망과 적응관련 변인의 관계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29 (29): 331-360, 2015
2 정미현, "한부모가족 지원체계로서의 리더십코칭 접근" 2 (2): 69-82, 2009
3 도미향, "한국코칭학회 전문코치 자격연수 1단계 자료집"
4 김진영, "한국인의 정신건강교양 함양을 위한 긍정심리학적 고찰" 인문사회과학연구소 (40) : 5-34, 2013
5 임대성, "학원장의 진성 리더십이 이직의도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2 (22): 75-99, 2015
6 여해숙, "학원교육서비스 마케팅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대학원 2001
7 이명재, "학원교육 서비스 만족도와 품질만족도가 학습성과 및 고객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8 정성령, "학원강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고등학생의 학원 지속수강에 미치는 영향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9 최용희, "학원 강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중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습태도,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10 조혜영, "학원 강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수업만족을 매개로 수학교과의 학습몰입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1 김미점, "희망과 적응관련 변인의 관계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29 (29): 331-360, 2015
2 정미현, "한부모가족 지원체계로서의 리더십코칭 접근" 2 (2): 69-82, 2009
3 도미향, "한국코칭학회 전문코치 자격연수 1단계 자료집"
4 김진영, "한국인의 정신건강교양 함양을 위한 긍정심리학적 고찰" 인문사회과학연구소 (40) : 5-34, 2013
5 임대성, "학원장의 진성 리더십이 이직의도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2 (22): 75-99, 2015
6 여해숙, "학원교육서비스 마케팅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대학원 2001
7 이명재, "학원교육 서비스 만족도와 품질만족도가 학습성과 및 고객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8 정성령, "학원강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고등학생의 학원 지속수강에 미치는 영향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9 최용희, "학원 강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중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습태도,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10 조혜영, "학원 강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수업만족을 매개로 수학교과의 학습몰입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11 이순희, "학교장의 코칭리더십이 교사들의 자아효능감과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2 양일선, "코칭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부하의 감성지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2 (22): 49-72, 2015
13 조은영, "코칭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14 박재진, "코칭리더십과 조직구성원의 성과변인에 관련된 학위 논문 연구동향 분석" 8 (8): 107-132, 2012
15 강영순, "코칭리더십, 기본심리욕구, 혁신행동, 조직시민행동의 구조적 관계" 대한경영학회 26 (26): 1909-1928, 2013
16 조은현, "코칭리더십 척도 개발 및 타당화와 코칭리더십이 조직태도에 미치는 영향"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1
17 전주연, "청소년이 지각한 긍정심리자본이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4
18 청소년백서, "청소년의 사교육 참여율"
19 이재창, "청소년의 낙관성과 우유부단이 진로의사결정유형과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심리학회 17 (17): 633-650, 2005
20 이지연, "청소년의 긍정심리자본에 대한 연구 -부모의 긍정적 강화에 대한 청소년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코칭학회 10 (10): 5-27, 2017
21 최은찬, "청소년의 긍정심리자본과 자살생각의 관계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3
22 정동숙, "청소년의 긍정심리자본, 사회적지지, 사회적 자본과 학교 부적응" 가천대학교 대학원 2018
23 통계청, "청소년 건강형태 온라인 조사: 우울감 경험"
24 최아라, "중학생의 기질, 사회적지지 및 정서조절능력이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37 (37): 57-77, 2016
25 신준섭, "조직문화유형과 코칭리더십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0
26 정윤정, "자기효능감과 학교적응의 상관관계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27 (27): 853-873, 2013
27 구은희, "입시학원 수학강사의 자질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8 이광열, "입시학원 서비스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경영대학원 2001
29 임태홍, "운동이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3
30 하미선, "어린이집 원장의 코칭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8 (8): 5-24, 2015
31 고은지, "어린이집 원장의 코칭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코칭학회 9 (9): 77-99, 2016
32 이동원, "성취목표지향과 학업성취의 관계에 있어서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의 매개효과"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7
33 김윤나, "상사의 코칭리더십이 서비스 접점 직원의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34 이정민, "상사의 코칭리더십이 부하직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코칭학회 10 (10): 5-28, 2017
35 이정민, "상사의 코칭리더십이 부하직원의 개인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코칭학회 11 (11): 5-27, 2018
36 조한익, "사회적 지지와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초등교육학회 22 (22): 65-87, 2009
37 김경희, "보습학원 강사의 교육행동과 학원의 교육적 서비스가 학생만족과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경영대학원 2013
38 원상봉, "리더의 코칭리더십이 구성원의 경력계획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3 (3): 147-157, 2011
39 장옥란, "낙관성 증진 집단상담이 중학생의 낙관성, 대인관계 및 학교적응유연성에 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40 박재진, "기업체 중간관리자의 코칭리더십, 학습조직, 구성원의 문제해결능력 및 조직유효성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기업교육학회 15 (15): 1-28, 2013
41 김혜영, "긍정심리자본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커뮤니케이션만족의 매개효과"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42 김희중, "긍정심리와 주관적 행복감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7
43 한준상, "교육자본론" 학지사 2007
44 김성호, "고등학생의 자기복잡성과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 긍정적 자동적 사고와 긍정 심리자본의 매개효과" 상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45 "경기도 교육청 홈페이지"
46 김수진, "결손가정 중학생의 탄력성. 긍정심리자본과 학교생활 적응간의 관계" 전주대학교 상담대학원 2014
47 도미향, "가족역량 강하를 위한 리더십 코칭에 관한 연구" 1 (1): 21-40, 2008
48 Schunk, D. H., "The self-efficacy Perspective on achievement behavior" 19 : 199-218, 1984
49 Luthans, F., "The need for and meaning of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23 (23): 695-706, 2002
50 Peterson, C., "The future of optimism" 55 (55): 44-55, 2000
51 Menninger, K., "The academic lecture on hope" 109 : 484-491, 1959
52 Luthans, 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Measurement and Relationship With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60 (60): 541-572, 2007
53 Seligman, M. E. P., "Positive education: Positive psychology and classroom interventions" 35 (35): 293-311, 2009
54 Masten, A. S., "Ordinary magic: Resilience process in development" 56 (56): 227-238, 2001
55 Seligman, M. E. P., "Learned optimism" Pocket Books 1998
56 Stowell, S. J., "Leadership and the coaching process in organization" University of Utah 1986
57 Luthans, F., "Human social and now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management: Investing in people for competitive advantage" 33 (33): 143-160, 2004
58 Snyder, C, R,, "Hope Theory: Rainbows in the mind" 13 (13): 249-275, 2002
59 Snyder, C. R., "Handbook of hope" Academic Press 2000
60 Seligman, M. E. P.,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1" Wiley 2002
61 Scheier, M. F., "Effects of Optimism on psychological and physical well-being: Theoretical overview and empirical update" 16 : 201-228, 1992
62 Whitmore, J., "Coaching for performance: growing human potential and purpose: the principles and practice of coaching and leadership" Nicholas Brealey Publishing 2010
63 Erickson, E. H, "Child and Society" W. W. Norton & co 1963
64 Stajkovic, A., "Behavioral management and task performance in organizations: Conceptual background, meta-analysis, and test of alternative model" 56 : 155-194, 2003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개인의일상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영유아교사의 교직윤리의식이 교직헌신과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 진로코칭 프로그램 효과 검증에 기반을 둔커리어코칭 시스템 개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