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영아 기질, 어머니 양육행동, 교사-상호작용과 영아의 언어능력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들 변인이 영아의 언어능력을 예측해 주는 정도와 설명력에 대해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439063
김현 (순천제일대학)
2010
Korean
영아 ; 기질 ; 언어능력 ; 양육행동 ; 상호작용 ; toddler ; temperament ; language ability ; mother's rearing attitude ; teacher interaction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67-93(27쪽)
1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영아 기질, 어머니 양육행동, 교사-상호작용과 영아의 언어능력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들 변인이 영아의 언어능력을 예측해 주는 정도와 설명력에 대해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영아 기질, 어머니 양육행동, 교사-상호작용과 영아의 언어능력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들 변인이 영아의 언어능력을 예측해 주는 정도와 설명력에 대해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5~36개월 미만 영아 206명, 그들의 어머니, 교사를 대상으로 영아의 언어능력과 영아의 기질, 어머니 양육행동, 교사의 상호작용 행동을 알아보았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 양육행동, 교사의 상호작용은 영아의 언어능력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의 기질은 하위변인인 활동성, 적응성, 반응강도에서만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영아의 언어능력에 대한 기질, 양육행동, 교사의 상호작용 행동의 상대적 설명력의 크기를 살펴본 결과, 교사의 상호작용 행동의 하위변인인 적극적인 활동참여가 가장 많은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영아 기질의 하위변인인 반응강도와 어머니 양육행동 하위변인인 합리적 지도 순으로 유의미한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태희, "혼합연령집단과 단일연령집단간 교사-유아와 유아-유아의 상호작용 유형 비교"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2 김영태, "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척도" 장애인종합복지관 2003
3 홍혜경, "이야기책읽기 과정에서 유아-어머니와 유아-교사간의 언어상호작용비교" 36 (36): 97-115, 1998
4 김연, "유아의 정서지능,인지능력,기질과 문제행동의 관계성 및 영향력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277-298, 2004
5 모인선, "유아의 성격, 부모 만족도와 양육태도의 관계" 한국아동교육학회 14 (14): 131-144, 2005
6 이명숙, "유아의 기질과 정서능력이 어머니와의 상호작영에 미치는 영향" 7 : 163-181, 2003
7 원영미, "유아의 기질과 가정환경 및 유아의 부적응행동 간의 관계: 연변 조선족과 한국 유아의 비교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311-333, 2004
8 홍계옥, "유아의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모자 애착행동간의 관계" 고려대학교 1995
9 홍혜경, "유아와 어머니 및 교사의 이야기책 읽기 유형 분석" 16 : 25-51, 1998
1 김태희, "혼합연령집단과 단일연령집단간 교사-유아와 유아-유아의 상호작용 유형 비교"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2 김영태, "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척도" 장애인종합복지관 2003
3 홍혜경, "이야기책읽기 과정에서 유아-어머니와 유아-교사간의 언어상호작용비교" 36 (36): 97-115, 1998
4 김연, "유아의 정서지능,인지능력,기질과 문제행동의 관계성 및 영향력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277-298, 2004
5 모인선, "유아의 성격, 부모 만족도와 양육태도의 관계" 한국아동교육학회 14 (14): 131-144, 2005
6 이명숙, "유아의 기질과 정서능력이 어머니와의 상호작영에 미치는 영향" 7 : 163-181, 2003
7 원영미, "유아의 기질과 가정환경 및 유아의 부적응행동 간의 관계: 연변 조선족과 한국 유아의 비교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311-333, 2004
8 홍계옥, "유아의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모자 애착행동간의 관계" 고려대학교 1995
9 홍혜경, "유아와 어머니 및 교사의 이야기책 읽기 유형 분석" 16 : 25-51, 1998
10 이미경, "유아기질이 유아의 다중지능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09
11 한국사전연구사, "유아교육사전" 양서원 2000
12 강숙현, "유아교육 프로그램 평가척도의 이해와 활용" 동문사 1994
13 백경숙, "영유아의 종일제 보육시설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6
14 McGee, L. M, "영유아의 문해발달 및 교육" 학지사 1996
15 오애순, "영아의 언어 발달을 위한 그림책 관련 표상활동의 구성 및 적용 효과"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16 이영자, "영아의 문해행동 발달과 영아·부모의 상호작용 유형의 변화" 16 (16): 23-48, 1996
17 양수정, "영아의 기질에 따른 또래간 상호작용의 차이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8 장유경, "영아의 기질과 초기 어휘 습득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27 (27): 263-276, 2006
19 김민화, "영아기 정서단어의 습득에서 기질과 양육태도의 영향"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6 (16): 39-55, 2003
20 김금주, "영아-어머니의 상호작용 유형과 영아의 언어발달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21 김경옥, "영아-교사의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30개월 영아의 언어표현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5
22 Boysson-Bardies, B, de, "영아 언어의 이해" 학지사 2005
23 김정아, "영아 언어발달을 위한 상호작용적 그림책 읽기 모형의 적용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6
24 Hoff-Ginsberg, E, "언어발달" 시그마프레스 2001
25 박성연, "어머니-영아간의 상호작용방식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26 (26): 15-30, 2005
26 이영, "어린이집과 가정에서의 양육환경과 유아의 언어행동, 애착 어떻게 다른가?" 1994
27 김지연, "어린이집 교사의 언어적 행동과 영아의 언어발달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28 이영자, "보육시절 경험이 1, 2, 3,세아의 구어 및 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10 : 31-74, 1997
29 조현희, "보육 시설 아동과 어머니 양육 아동 간의 언어 수행 능력에 관한 연구: 3-4세 아동을 대상으로" 경성대학교 대학원 1996
30 오진희, "그림책 읽기에서 나타난 교사의 언어적 유형에 따른 영아의 반응 분석"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31 임혜련, "그림책 읽기 상황에서 영아와 교사 간 상호작용에 대한 문화 기술적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32 장혜경, "교사의 질문 유형에 따른 아동의 언어적 반응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1986
33 Snow, C. E, "Turn the page please: Situation specific language acquisition" 10 : 551-569, 1983
34 Coplan, R. J, "The role of child temperament as a predictor of early literacy and numeracy skills in preschoolers" 14 (14): 537-553, 1990
35 NICHD Early Research Network, "The relation of child care to cognition and language development" 71 (71): 960-980, 2000
36 Ainsworth, M. D, "The development of infant-mother attachment. in: Review of child development research, 3"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4, 1973
37 Snow, C. E, "The development of conversation between during the preschool years" 549-565, 1977
38 Bruner, J. S, "The asquisition of pragmetic commitments. in: The transition from prelinguistic to communication" Erlbaum 1978
39 Schrader, T. C, "Teaching children while they play: Cultivating emergent writing and reading" 22-25, 1990
40 Kontos, S, "Teachers' interactions with childern: why are they so importment?" 52 (52): 4-12, 1997
41 Bloom, B. S, "Ssability and change in human characteristics" John Wiley & Sons Inc 1964
42 Wachs, T. D, "Specificity of environmental action, as seen in environmental correlates of infant's communication performance" 57 : 1464-1474, 1986
43 Burchnal, M. R, "Relation quality of center-based child caref to early cognitive and language development longitudinally" 71 : 339-357, 2000
44 Honig, A. S, "Quality infant toddler caregiving: Are there magic recipes?" 44 (44): 66-73, 1989
45 Kagan, J, "Personality development" Harcourt Brace Jovanovich. Inc 1971
46 Clarke- Stewart, K. A, "Nonparental caregiving. in: Handbook of parentin" Erlbaum 2002
47 McCall. R. B, "Nature-nurture and the two realms of development: A proposed integration with respect to mental development" 55 : 1-2, 1981
48 Hart, B,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everyday experiance if young american children" Brooks 1995
49 Baumwell, L, "Maternal verbal sensitivity and child language comprehension" 20 : 247-258, 1997
50 Dixon, W, "Links between early temperament and language acquisition" 46 (46): 417-440, 2000
51 De Jong, P. F, "Lasting effects of home literacy on reading achievement on school" 39 (39): 389-414, 2001
52 Ninio, A, "Joint book reading as a multiple vocabulary acquisition device" 19 : 445-451, 1983
53 Bus, A. G, "Joint book reading across cultures: A comparison of Surinamese-Dutch and Dutch parent-child dyads" 32 : 53-76, 2000
54 Craes, S. P, "Iowa Parent Behavior Inventory Manual" Iowa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Inc 1978
55 Miceli. P. J, "Individual differences in infant information processing: The role of temperamental and maternal factors" 21 : 119-136, 1998
56 Bornstein, M. H, "How infant and mother jointly contribute to developing coghitive competence in child" 82 : 7470-7473, 1985
57 Tizard, B, "Environmental effects of language development: A study of young children in long-stay residential nurseries" 43 : 337-358, 1972
58 Huttenlocher, J, "Early vocabulary growth: Relation to language input and gender" 27 : 236-248, 1991
59 Saxon, T. F, "Dyadic interaction profiles infancy and preschool intelligence" 38 (38): 9-25, 2000
60 Bloom, L, "Developments in the expression of affect" 11 : 169-186, 1988
61 Rothbart, M. K, "Development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temperament. in: Advances in developmental psychology, Vol, l" Erlbaum 37-86, 1981
62 Bater, E, "Concepts and measures of temperament. in: Temperament in childhood" John Wiley & Sons 1989
63 Abbott-Shim, M, "Assessment profile for early childhood programs: Preschool, toddler, infant, school age and administration" Quality Assist, Inc 1987
64 Wells. G, "Apprenticeship in meaning. in: Children's Language 2" Gardner Press 1981
65 Pellegrini, A, "A speech analysis of dyad interaction" 12 (12): 205-216, 1981
66 Elardo, R, "A longitudinal study of the relation of infant's home environment's to language development at age three" 48 : 595-603, 1977
67 이영자, "1,2,3,세 유아의 의미-통사론적 발달 연구" 17 (17): 55-75, 1997
초등학생용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교육이 남·여 초등학생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유아들의 식습관 개선을 위한 “위험한 먹거리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7 | 1.7 | 1.8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86 | 1.87 | 2.161 | 0.3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