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낙담한 초등학생들의 공격성을 낮추고 교우관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격려집단상담이 공격성과 교우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초등...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963044
2018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97-409(13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낙담한 초등학생들의 공격성을 낮추고 교우관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격려집단상담이 공격성과 교우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초등...
본 연구는 낙담한 초등학생들의 공격성을 낮추고 교우관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격려집단상담이 공격성과 교우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54명을 대상으로 자기낙담 검사를 실시한 후 상위 30%(16명)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격려집단상담을 실시하고, 공격성(30문항)과 교우관계(20문항)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4.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격려집단상담이 낙담한 초등학생들의 공격성 감소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고, 공격성의 하위요인인 적대감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격려집단상담은 낙담한 초등학생들의 교우관계 향상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주었고, 교우관계의 하위요인인 친구의 유무와 신뢰도, 친구간의 적응, 친구간의 공동생활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사점과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encouragement group counseling on the aggression and peer relationship of discourag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find out the ways of lowering the occurrence of aggression and improving pe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encouragement group counseling on the aggression and peer relationship of discourag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find out the ways of lowering the occurrence of aggression and improving peer relationship. For this study, after administrating the self-discouragement inventory (24 questions) among 54 students of 6th graders from B elementary school in A metropolitan city, top 30%(16 students)of the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After group counseling, the aggression scale (30 questions) and peer relationship scale (20 questions) were administered to find out how encouragement group counseling had an effect on the aggression and peer relationship. To verify the effect of the encouragement group counseling, pre and post-test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SPSS 24.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ncouragement group counseling had a positive effect on lowering the aggression of the discourag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lso,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hostility, a sub-factor of the aggression. Second, encouragement group counseling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peer relationship of discourag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ls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presence and reliability of friends, the adaption between friends, the co-living with friend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counseling implications,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posed.
참고문헌 (Reference)
1 Wedding, D., "현대심리치료" 박학사 2017
2 김영진, "해결중심 단기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립 아동의 교우관계와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3 김경희, "학업성취도 국제비교연구(PISA 2009)"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4 김순혜, "학교폭력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27 (27): 67-85, 2007
5 정현정, "학교관련 심리변인이 초등학생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6 이은아, "초등학생용 공격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1
7 박은영, "초등학생들의 스트레스가 우울 및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자기격려-자기낙담의 매개효과"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8 김은영, "청소년기 우울의 비전형성에 대한 연구 : 공격성(aggression)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치료학회 9 (9): 291-307, 2017
9 김현철, "청소년기 사회화과정의 국제비교 연구 II"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7
10 김기헌, "청소년 핵심역량 개발 및 추진방안 연구Ⅲ"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0
1 Wedding, D., "현대심리치료" 박학사 2017
2 김영진, "해결중심 단기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립 아동의 교우관계와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3 김경희, "학업성취도 국제비교연구(PISA 2009)"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4 김순혜, "학교폭력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27 (27): 67-85, 2007
5 정현정, "학교관련 심리변인이 초등학생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6 이은아, "초등학생용 공격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1
7 박은영, "초등학생들의 스트레스가 우울 및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자기격려-자기낙담의 매개효과"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8 김은영, "청소년기 우울의 비전형성에 대한 연구 : 공격성(aggression)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치료학회 9 (9): 291-307, 2017
9 김현철, "청소년기 사회화과정의 국제비교 연구 II"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7
10 김기헌, "청소년 핵심역량 개발 및 추진방안 연구Ⅲ"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0
11 이서연, "자기낙담과 심리적 안녕감이 아동의 자기격려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치료학회 6 (6): 157-171, 2014
12 이효숙, "자기격려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사회성 향상 및 분노조절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3 노안영, "자기격려-낙담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상담심리학회 19 (19): 675-692, 2007
14 최정윤, "인권교육 프로그램이 장애아동에 대한 초등학교 통합학급 아동의 태도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5 김미란,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에 근거한 격려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6
16 김미화, "아들러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교우관계와 학급 응집력에 미치는 효과"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7 이윤경, "아동의 분노정서가 우울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분노대처방식과 자아존중감의 중재효과" 가톨릭대학교 2015
18 심복심, "부정적 생활사건 경험으로 인한 스트레스, 분노 및 공격행동 간의 관계 : 자기격려와 타인격려의 완충효과"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9 김은애, "또래상담 프로그램이 또래상담자의 교우관계와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0 강해련, "교사의 격려반응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1 박은경, "고등학생의 자기격려-낙담과 자아존중감 및 우울과의 관계"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2 기은혜, "격려집단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의 향상과 자기낙담의 감소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23 김은영, "격려집단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스트레스 감소 및 교우관계 개선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24 우상순, "격려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정서지능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5 정지운, "격려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6 김경희, "격려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7 이은희, "격려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자기격려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8 한유경, "격려집단상담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교우관계 향상에 미치는 효과"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29 서화정, "격려집단상담이 비인기 초등학생의 교우관계와 열등감에 미치는 영향" 전주교육대학교 대학원 2016
30 이영호, "격려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습된 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31 강경미, "격려 프로그램이 아동의 열등감과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32 신봉석, "격려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자아 존중감 향상 및 교우관계 개선에 미치는 효과"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33 최혜조, "격려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주관적 안녕감과 대인관계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치료학회 7 (7): 149-165, 2015
34 노안영, "개인심리학 상담 원리와 적용" 학지사 2011
35 김선애, "가정, 학교, 친구 변인과 학교폭력과의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14 (14): 101-126, 2007
36 金炯泰, "靑少年期 自我正體感의 發達 및 測定에 관한 硏究" 忠南大學校 大學院 1989
37 Dreikurs, R., "Social equality: The challenge of today" Regnery 1971
38 Manaster, G. J., "Individual psychology: Theory and practice" F. E. Peacock 1999
39 Griffith, J., "An Adlerian lexicon" The American Institute of Adlerian Studies 1984
40 Berkowitz, L., "Aggression: Its causes, consequences, and control" Academic Press 1993
41 Watts, R. E., "Adlerian “encouragement” and the therapeutic process of solution‐focused brief therapy" 78 (78): 442-447, 2000
한국 대학생의 열등감과 인스타그램 중독경향성의 관계: 관계적 공격성과 대인관계 문제의 매개효과
학교폭력 방관자 하위유형 탐색: 공감, 자기효능감, 불안, 동조성, 초기부적응도식을 중심으로
기관 상담자들의 교육 수준에 따른역할수행 및 역량인식과 교육요구도 차이-청소년 및 학교상담기관 상담자를 중심으로
ACT를 기반으로 한 스트레스 관리프로그램이 사회복지사의 탈중심화, 자아탄력성 및 직무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4-1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Therapist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33 | 1.33 | 0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 | 0 | 0 | 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