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거절민감성과 공격성의 관계에서 자존감 수준, 자존감 불안정성의 매개효과

        홍예주(Yeju Hong)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6

        본 연구에서는 거절민감성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자존감 수준과 자존감의 불안정성이 매개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남, 여 대학생과 대학원생 312명 (N=312)의 자기보고 자료를 SPSS 22.0과 Amos 18.0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를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한 결과 거절민감성은 자존감 수준에 부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자존감 불안정성에는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또한 자존감 수준은 공격성에 부적인 영향을 주었고, 자존감 불안정성은 공격성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거절민감성이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존감 수준과 자존감 불안정성이 각각 개별적으로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비교적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은 자존감의 또 다른 차원인 자존감 불안정성을 거절민감성이 공격성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검증하여 관련 연구를 확장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상담 및 심리치료 장면에서 거절에 민감한 내담자의 공격성에 개입하는데 유용한 실증자료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의 함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rejection sensitivity on aggression and to determine the mediating role of self-esteem level and its stability. Data based on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a sample of 312(N=312)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2.0, and the Amos 18.0. Results from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dicated that rejection sensitivity had a negative impact on self-esteem level and a positive impact on self-esteem instability. Self-esteem level had a negative impact on aggression. Self-esteem instability had a positive impact on aggression. The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on aggression was fully mediated by self-esteem level and instability. Current findings add to the extent literature on the influence of rejection sensitivity on self-esteem level, self-esteem instability, and aggression. Implications of the present study, limitations of current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also included in the discussion.

      • KCI등재

        성공적 노화와 무용에 관한 연구동향

        최수영 ( Suyoung Choi ),홍예주 ( Yeju Hong ) 한국무용과학회 2021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8 No.4

        본 연구에서는 성공적인 노화와 무용과 관련된 연구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파악하여 차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확인하고자 KCI 등재지 이상 2012년부터 2021년 7월 20일까지 발표된 연구물 총 120편을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연구 연도별 동향에서 성공적인 노화와 무용과 관련된 연구는 2020, 2016, 2013년도에 가장 많이 발표되었고 2012년, 2015년을 제외한 모든 연도에서 10편 이상씩 꾸준히 발표된 것으로 나타났다. 게제학술지별 동향에서는 성공적인 노화와 무용과 관련된 연구 총 120편이 총 32개 학술지에 발표되었으며 한국무용과 학회지에 가장 많이 게제 되었고 대한무용학회논문집, 한국체육과학회지, 한국체육학회지, 한국무용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등에 관련 연구물들이 게제된 것으로 나타났다. 차후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관련 연구가 다양한 학술지에서도 발표되어 무용의 입지를 넓혀가면서 변화를 이끌어낼 필요성이 있다. 둘째, 연구 대상별 동향에서는 여성노인 대상의 연구가 가장 많았고 남성노인 대상의 연구는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질병이 있는 노인 대상의 연구도 활발히 연구되고 있어 남성노인 대상의 연구 필요성과 함께 시대적 변화가 반영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무용 유형별 동향에서는 한국무용이 가장 많이 연구되었고 현대무용은 가장 적게 연구되었으나 댄스스포츠, 라인댄스, 생활무용 등 한국무용외 다양한 무용들이 성공적인 노화관련 연구에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었다, 현재 관련 연구에서 생활무용, 건강무용, 실용무용, 사회무용 등 비슷한 개념을 가지고 있는 무용들이 제시되고 있어 차후 무용 유형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여겨진다. 셋째, 연구 분야별 동향에서는 성공적 노화와 무용관련 연구가 자연과학분야와 인문사회 분야별로 균형감을 가지고 연구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방법별 동향에서는 양적연구가 질적연구보다 두드러지게 많이 연구되어 수치화에 의한 결과 제시로 연구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현상을 볼 수 있었다. 차후 개인차가 많은 노인을 이해하고 노화정보를 심층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질적연구가 지속적으로 요구된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 of research about successful aging and dance. Using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a total of 120 papers published from 2012 to July 20, 2021 were analyz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rends by study year, the papers on successful aging and dance were published the most in year 2020, 2016, and 2013. And more than 10 papers have been released every year consistently except in 2012 and 2015. Total 120 papers were published in 32 journal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has published the most research about successful aging and dance with 18 papers, and The Korean Journal of Dance,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Journal of Korean Dance and The Contents association Review also have published related research. As shown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raw changes while expanding the base of dance by publishing related studies in various academic journals. Second, in terms of trends by study subject, the number of papers on the elderly female was the highest with 54 papers, and the number of papers on the elderly male was the lowest with 3 papers.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24 papers on the elderly with the disease, which shows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male elderly subjects and a phenomenon of the changing times reflected in studies. In terms of trends by dance type, Korean dance was studied the most with 28 papers and modern dance was studied the least with 2 papers. However, 16 papers about dance sports, 15 papers about line dance and 19 papers about life dance were studied, showing that various dances other than Korean dance were being studied actively in papers about successful aging. Recently, dances with similar concepts, such as life dance, health dance, practical dance and social dance are being suggested in recent related research, so it seems necessary to consider the type of dance of future. Third, In terms of trends by study field, successful aging and dance related studies were conducted at a similar rate between natural science field and humanities and social field, suggesting that related studies are being conducted in a balanced way. In terms of trends by study method, quantitative research was significantly conducted more than qualitative research, indicating the tendency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by presenting the results by quantification. It suggests that to understand the elderly with many individual differences and to analyze aging information in depth, qualitative research is needed to be conducted more continuous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