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친환경 지역농업 관련주체의 역할과 성과 - 전남 순천시 우리밀 사례를 중심으로 -

        정은미,정원각,Jeong, Eun-Mee,Jeong, Won-Gak 한국유기농업학회 2009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17 No.2

        Although many local governments are supporting the environment-friendly regional agriculture(hereafter EFRA), the EFRA is not wildly extended since the marketing and consumption of th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re still limited. This study aims at finding out the new development source of Korean agriculture and strategies for establishing regional agriculture. For these purposes, Sunchon-si cases of EFAP development are introduced and the functions and roles of bodies in charge of regional agriculture are looked over. In order to establish the EFRA, production, processing and consumption needs to be intimately linked all together. As preconditions for developing the EFRA, four points should be satisfied. Firstly, production organizations need to be built and stabilized for developing the EFRA and consumers' organizations and partnership are to be formed. Secondly, the government should support for building consumers' organization. Thirdly, social consensus for developing the EFRA needs to be formed. And finally with the appropriate local and central governmental support the partnership among producers, consumers, and government should be formed.

      • KCI등재

        북한주민의 의식주 생활과 사회변동

        정은미(Jeong, Eun-mee)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4 亞細亞硏究 Vol.57 No.4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North Korea’s social changes through analysis of food, clothing and housing of the residents. The changes of food, clothing and housing in a society is associated with the grand changes of social and economic structure. Understanding North Korea’s residents’ food, clothing and housing requires a comprehensive insight for marketization, differentiation of income and social class, corruption, privatization, etc. Data used in the study is part of survey data of North Korea’s social change conducted for three years(2012~2014).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analysis of survey data, food, clothing and housing of North Korea’s residents is quickly moving from the state sector to the private and market sector. Although the special group guaranteed food, clothing and housing by political or bureaucratic coordination and distribution still exists in North Korean society, most of people’s food, clothing, and housing is different in grades by the economic capital, the political capital and the social network capital. In result, dietary life is most quickly transforming into the hierarchical structure, clothing is becoming a means for showing off, and hosing is also becoming the culture capital for social distinction. Further, inequality is gradually expanding to regional level as well as the individual level.

      • 대북식량지원의 사회적 분배효과와 순환적’ 농업생산구조

        정은미(Jeong, Eun-Mee) 국제고려학회 서울지회 2009 국제고려학회 서울지회 논문집 Vol.12 No.-

        The external food assistance toward North Korea has played an importance role to reduce the famine of North Korean population. However, as it involves vulnerability that has been influenced by political factors. The food assistance, meanwhile, has an indirect or direct effect on the system of food distribution through the market as intermediary mechanism after the markets have extended in North Korea society. Therefore, we need to approach North Korean food problem from a new perspective that a relationship between the external food assistance and the markets involves an effect of social distribution.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social distribution effect of food assistance toward North Korea. Kim Jong Il, the chairman of National Defense Committee taken over After Kim Il-sung’s demise attempted a series of policies to solve food crisis through the reform of agricultural production system. Especially, agricultural policies suggested after a ‘march of hardship’ represent the discriminate production system of agriculture from the existing production system. North Korean authorities should solve simultaneously the serious imbalance of nutrition in the population’s the dietary life and the vulnerable infrastructure of farming such as shortage of chemical fertilizers and acid soil to solve the food problem fundamentally. For solving two-level problem, North Korea sought for an organic combination of livestock sector, fish culture, and potato farming. The second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ain a new production system, that is, ‘circular’ production system of three sectors.

      • KCI등재

        개성공단 북한 근로자의 정체성 인식과 행동 양식의 메커니즘

        정은미 ( Eun Mee Jeong ) 북한연구학회 2014 北韓硏究學會報 Vol.18 No.2

        이 연구는 개성공단에서 일하는 북한 근로자들의 정체성 인식과 행동양식의 메커니즘을 분석한다. 이 연구의 자료는 개성공단에서 수년간 상주하면서 북한근로자들과 일상적 생활을 공유한 5명의 남한 근로자들을 심층면접하여 획득하였다. 연구 결과, 개성공단의 북한 근로자들은 사회주의와 자본주의를 모두 경험하면서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스스로의 이익을 창출하고 새로운 정체성을 형성해 나가고 있다. 개성공단의 북한 근로자들의 정체성 인식과 행위는 주로 사회주의 규율체계와 노동제도에 제한받는다. 그들은 남한 기업에 고용된 노동자가 아닌, 북한의 개성공업총국에 소속된 노동자로서 남한 기업에 파견된 노동자로 자신의 정체성을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정체성의 인식은 조금씩 균열되고 있다. 개성공단의 북한 근로자들에게 나타나는 다양한 일탈행위의 발생 원인은 순수하게 개성공단의 문제에서 기인하는 것이 아니라 북한체제의 결핍과 모순에서 상당부분 배태된 것이다. 마찬가지로 남한기업이 자발적으로 북한 근로자들에게 제공하는 다양한 물질적 인센티브는 단순히 온정주의적 발로가 아닌 저임금의 이점을 지속하면서도 노동생산성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려는 자본주의적 노동통제의 한 전략임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This study analyzes recognition of identity and mechanism of behavior pattern of North Korean Workers at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The research materials were obtain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South Korean workers stationed and spent everyday life with North Korean workers at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at least for a few years. I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North Korean workers at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experience both socialism and capitalism and respond actively the changes, and, in the process, they make themselves` interest and form a new identity. Recognition of identity and behavior of North Korean workers at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are regulated by socialist discipline and labor laws. They define themselves` identity not as workers employed in South Korean company but as ones belonged to North Korean company. But Cracks appear gradually in their thinking and identity. North Korean workers` living forms of deviant actions are embedded in North Korean society`s deficiency and contradiction not originate in the problems of Kaesong industrial complex. That South Korean companies supply North Korean workers with various incentives voluntarily is simply not a paternal good-will but a strategy of capitalist labor control to improve labor productivity and to sustain a low-wage policy.

      • KCI등재

        연구논문 : 북한의 시장경제로의 이행과 체제적응력

        정은미 ( Eun Mee Jeong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09 통일과 평화 Vol.1 No.1

        이 연구는 북한의 경제환경의 변화(시장경제화)와 체제적응력 간의 상호관계를 설명하고 있으며, 복잡계 이론의 핵심 개념들인 창발성, 자지조직화, 공생을 적용하여 북한사회의 변화를 설명해보려 한다. 무질서의 증가와 동시에 새로운 질서가 생성되듯이, 북한의 지난 10여 년 동안의 급격한 사회변동을 거치면서 시장경제로의 이행이라는 기로에 서있다. 북한체제의 적응력 또는 생존은 새로운 현상인 시장경제화가 기존 시스템인 사회주의체제에 적응하느냐에 마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다시 말해서, 진행되고 있는 시장경제화가 북한식 사회주의체제와 얼마나 잘 공생하는가의 여부가 북한체제의 미래를 결정짓는 결정적인 요소가 될 것이다. 이 연구는 북한경제가 초기 공급부족에 따른 자생적 시장화를 넘어 제도적 변환을 동반한 시장경제로의 이행의 과도기에 놓여있다는 가정 위에서 출발한다. 북한의 시장은 국내뿐만 아니라 외부세계의 시장과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으며, 시장네트워크의 확산은 다양한 사회성원들을 시장으로 끌어들이고 있는 동시에 다양한 유형의 시장 행위자들을 양산한다. 심지어 북한의 기근은 네트워크와 시장이라는 두 요인과 밀접한 관계성을 지니고 있다. 이 연구는 국내외의 급격한 환경변화와 국제사회로부터의 고립, 만성적인 기근과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북한체제가 그럭저럭 버티기(muddling-through)를 할 수 있는 이유 중 하나로 시장경제화의 인해 사회적 네트워크가 활성화되고 다양하게 분화되는 동시에 네트워크 간의 상호연결성(또는 상호의존성)과 복잡성이 증대하여 북한체제의 적응력이 높아질 수 있다는 견해를 제시한다. This study explains the relationship between new economic order(namely, a transition toward market economy) and systemic adaptability in North Korea. And I try to apply the complex system theory to explain the relationship. As a new order emerges simultaneously with the increase of disorder, North Korean socialism faces the crossroads of transition to market economy through the rapid social changes during the previous 10 years. The survival of North Korea depends on how a transition to market economy as a new phenomenon will adapt itself to the existing socialist system. In other words, Whether ongoing transition to market economy is in symbiosis with the existing socialist or not will become a crucial factor to determine the future of North Korea This study suggest the opinion that the reason which North Korea have muddled through in spite of the rapid changes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circumstances, the isolation from international societies, and chronic famine and economic recession may be the increase of complexity of interdependence among social networks influenced by the progress of marketization and differentiation of social networks.

      • 농가 소규모 식품가공에 관한 지자체 조례(안) 연구

        정은미(Jeong, Eun-Mee)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정책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는 농가의 소규모 식품가공 지원·육성을 위해 지자체가 해당품목의 시설 기준을 포함한 조례 제정에 필요한 사항을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현재 농가에서 소규모 가공으로 판매하고 있는 장류, 떡류, 과즙류등을 대상으로 시설 및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지자체의 조례 제정에 필요한 사항과 조례(안)를 제시하였다. 1차 농산물을 원료로 하는 농가의 소규모 가공사업은 그 부가가치가 생산자에게 귀속됨으로써 농업소득 증대에 기여하고, 고령자나 여성 노동을 활용하여 지역특유의 맛을 제공하는 문화상품이라는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고 있다. 식품가공업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비록 소규모라도 식품위생법에서 규정한 시설을 갖추어야 하지만, 식품위생법에 특례 규정을 두어 지자체가 농업인의 소규모 식품가공 사업의 시설 기준을 설정하는 조례를 제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이 연구는 지자체가 농가 소규모 식품가공에 관한 조례를 제정할 때 필요한 사항을 검토하였다. 주요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류, 과즙류, 떡류 가공 사례로 살펴본 농업인 사업장은 대부분 공간이 협소하므로 입실전실, 원료 전처리실, 제조가공실, 충전실(포장실 포함) 등 시설을 구분하는 것이 어렵다. 특히 대부분의 농업인 식품가공 업소에는 전실이 없어 기본적인 손세척, 작업복 청결 문제 등 위생 관리에 대한 기준이 필요하다. 또한 대부분의 작업공정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수동식 작업도구를 이용하고 있는데 작업공정이나 위생관리에 대한 매뉴얼을 갖춘 곳이 거의 없는것도 문제이다. 둘째, 경북 문경시와 같이 일부 지자체는 지역 농특산물의 가공 등으로 지역자원의 활용을 높이기 위해 적절한 전문인력 양성 등 조직적인 지원체계를 갖추고 있다. 식품가공 창업을 희망하는 농업인에게 가공사업의 창업부터 자립경영 단계까지 지원하기 위해 농산물가공지원센터를 설립하여 지역농산물의 가공기술 개발과 교육, 기술이전, 창업컨설팅, 창업보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지역농산물의 가공산업을 활성화하고 있다. 셋째, 지자체는 「농업인 등의 농외소득 활동 지원 법률」과 「식품안전기본법」에 따라 농외소득 활동의 지원·육성에 대한 책임과 농업인이 식품을 가공하여 판매하는 행위에 대해서도 관련 사항을 규정할 책임이 있다. 따라서 지자체의 「농가 소규모 식품가공 사업에 관한 조례(안)」는 다음 4가지를 기본으로 하여 조항을 제시하였다. ①농가 소규모 식품가공에 관한 지원의 책무, ②농가 소규모 식품가공 시설에 관한 관리 지도, ③소비자 신뢰 확보를 위한 안전성 관리, ④지역농산물의 식품가공 지원·육성에 지역민의 참여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quirements that are needed to be covered in a municipal statute designed to foster small food-processing businesses of farmers. To do this, we examined the current infrastructure and management by farmers for the manufacture of fermented condiments, rice cakes and fruit juices that are currently sold in the market. We proposed a sample statute with contents that need to be covered in the statute. The main contents of our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we looked into some of the workplaces for processing the mentioned items and found that they are not spacious enough. The workplaces are difficult to divide into several areas with different functions, such as pre-entrance space and rooms for storing, processing, and packaging. Especially since most of the workplaces do not have pre-entrance space, it is necessary to set up hygiene standards to address basic hygiene issues such as washing hands and cleaning workwear. Second, we examined some examples of administrative support, like fostering of professional workforce, by some local governments such as Mungyeong City, that have established a systemic support system for small-scale farmers to raise the utilization of local resources by means of processing their specialty crops as raw materials. Third, local governments are responsible for supporting non-farm income earning activities as stipulated by related laws, and accordingly they are also responsible for making rules related to the activities of farmers processing and selling food. Therefore, we have proposed the following four components as the basic pillars of the drafted sproposed tsmall-scale ffourprocessing businesses of farm households: ①a rm housponsibility to support small-scale ffourprocessing by farm households, ②r provision of guidance on the management of small-scale ffourprocessing facilities of farmers, ③ safety management to secure consumer confidence, and ④ partile ftion of local residents for the promotion of food processing of local agricultural crops.

      • 생협 경제사업의 성과와 정책과제

        정은미(Eun-Mee Jeong),김동훈(Dong-Hoon Kim),김문명(Moon-Myoung Kim)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는 우리나라 생협이 경제사업에서 이룬 인적·물적 인프라 구축등의 성과와 농업, 농업인에 미치는 영향과 변화를 분석하여 우리 사회에서 생협 경제사업의 의의를 도출하고 지속가능한 농업 생산과 소비를 추구하기 위해 필요한 정책과제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우리나라 생협은 친환경농산물을 조합원에게 공급하는 경제사업과 안전한 먹거리를 위한 소비자운동을 비롯하여 친환경농산물 소비의 조직화라는 조직활동을 두 축으로 활동해 왔다. 생협 경제사업에 나타나는 지속가능한 농업생산과 소비의 관계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생협은 생산자와 거래 관계에서 생산계약재배를 하고 소비자와 공동으로 생산 및 가격안정기금을 운영하며 생산의 안정성을 높이고 전국 물류시스템을 구축하는 한편 물류효율화를 추구하여 불필요한 유통비용을 절감하는 등의 경제성을 확보하고 있다. 이를 통해 생산자는 안정적인 생산이 가능해지고 조합원도 보다 안정적인 가격으로 상품 구입이 가능해졌다. 둘째, 생협은 소비자와 거래관계에서 취급상품은 친환경농산물의 공급을 우선하고 자주인증, 유통인증시스템 등 투명하고 공정한 신뢰체계를 구축하여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다. 소비자는 생협의 상품 취급과 관리의 내용을 보고 상품을 신뢰하며 생산자는 신뢰를 확보한 상품으로 인해 판매홍보 없이도 충성도 높은 소비자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셋째, 생협은 지역생협의 조직활동을 통해 친환경농업 소비 확대를 위한 홍보, 식품안전 활동 등 안전한 먹거리 운동, 환경운동 등 환경보호 활동에 적극 앞장서고 있다. 사실 우리나라에서 생협이 조직되고 활동하게 된 원인은 소비자가 환경의 문제점을 인식하였기 때문이다. 환경 의식이 깨인 소비자는 생산자의 경제성과 소비자의 안전성이라는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를 주장한다. 생협은 지난 20여년간 경제사업과 조직활동을 통해 생산자와 소비자의 상생 구조를 구축했다. ‘신뢰를 바탕으로 하는 생산자와 소비자의 조직화’의 인적 결합과 효율적인 물류시스템으로 ‘생산-유통-소비를 수직통합’하여 자기완결적인 인적·물적 경제체계를 구축하였으며, 소비주체 육성으로 친환경농산물을 생산계약하고,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생산을 위해 생산 및 가격안정기금을 조성하여 친환경농업 생산 확대와 거래의 지속성에 기여했다. 생협 경제사업의 성과는 향후 지속가능한 농업 생산과 소비를 지향하는 사회가 갖추어야 할 농업정책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거래의 지속성을 추구해야 한다. 생산자 및 유통주체는 생산 및 품질 관리에 주력하여 질좋은 농산물을 생산하고 소비주체는 적정 농산물 가격 형성을 위해 홍보하며 생산 및 소비주체를 조직화해야 한다. 둘째, 가격안정과 직거래를 확대하기 위해 생산계약재배를 권장·지원해야 한다. 생산계약은 인적 신뢰를 전제로 형성되는 것이므로 신뢰구축에 장시간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생산자단체인 농협의 조직구조는 사업방식에 따라 조정이 필요하다. 품목 전문농협은 수급조절과 생산 기술정보교류 등 생산의 관리와 생산자의 연대 발휘에 유리하며, 지역농협은 소비자 교류 거점, 농촌공동체 유지 사업에 유리하므로 각자의 역할에 맞는 기능을 찾도록 해야 한다. 셋째, 농산물 생산 위험을 생산자가 단독으로 부담하는 현행 농산물 가격체계를 보완하여 정부, 생산자, 소비자가 생산 위험을 공동 부담하도록 가격안정기금을 운영해야 한다. 현재 지역농협이 수행하고 있는 계약재배는 품목 전문농협 위주로 재편하여 수급안정자금으로 이용하도록 하고 농산물가격안정기금을 생산위험에 따른 가격 변동을 완화하는 데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전국 농산물 물류체계 정비와 농산물 물류 효율화를 통해 사회적 비용을 줄여야 한다. 예전에는 직접 만나 상품을 보고 가격을 결정하였다면 이제는 간단한 통화만으로 가격을 정하고 상품만 거래하는 관계이다. 상류와 물류의 분리는 물류 효율성을 높이는 중요한 단서이므로 이를 전제로 새로운 정보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다. 수요와 공급에 대해 믿을 수 있는 정보가 한정되어 있다면 거래는 위축되므로 거래 활성화를 위한 신뢰할 수 있는 수급정보의 적극적인 개발과 활용이 강구되어야 한다.

      • KCI등재

        논문 : 남북한 주민들의 통일 의식 변화: 2011~2013년 설문조사 분석을 중심으로

        정은미 ( Eun Mee Jeong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통일과 평화 Vol.5 No.2

        통일의식은 남북한 주민이 통일에 대해 갖는 사상·관념·감정뿐만 아니라 통일에 대한 의지와 열망을 포함한다. 이 연구는 남북한 주민 간 통일의식의 공통점과 차이점, 그리고 통일의식의 형성과 변화에 영향을 미친 주요 요인들을 남북한 주민을 대상으로 실시된 3년간의 설문조사 데이터를 통해 설명해보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 분석 자료로 사용된 조사 데이터는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이 2011년~2013년에 실시한 『통일의식 조사』와 『북한이탈주민 의식조사』이다. 설문조사 데이터 분석을 통해 남북한 주민의 통일의식을 비교해 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한 주민이 느끼는 통일의 필요성은 점차 약화되는 반면에 북한 주민이 느끼는 통일의 필요성은 절대적으로 높다. 남한 주민의 통일 인식은 전반적으로 남북관계의 상황적 요인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성을 보이는 반면에, 북한 주민의 경우 일관되게 통일에 대한 높은 열망을 보였다. 둘째, 통일이 가능한 시기에 대해서는 남한 주민에 비해 북한 주민이 더 가까운 미래에 통일이 실현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하지만 남북한 주민 모두에게서 통일이 불가능하다고 보는 견해의 비중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셋째, 통일이 가져다 줄 이익에 대해 남한 주민에 비해 북한 주민이 훨씬 더 기대감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남북한 주민 모두 상대방을 협력대상으로 보는 인식이 지배적이었다. 하지만 최근 몇 년 동안 남북관계가 악화되고 군사적 충돌이 발생하면서 경계대상, 적대대상으로서의 인식이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상호 수용성의 격차는 통일 이 후 사회통합을 방해하는 주요한 걸림돌로 작용할 것이다. 이는 북한 주민보다 오히려 남한 주민의 배타성이 문제가 될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다섯째, 오랜 분단체제는 남북한 간의 상이한 정치체제의 수준을 넘어 실제 살고 있는 사람들의 삶의 양식을 크게 변화시켰다. 남한 주민의 북한 문화 접촉 경험 수준은 북한 주민이 남한 문화 접촉 경험 수준보다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주변국에 대해 남북한 주민이 상이한 인식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한반도 평화를 위협하는 국가로서 남한 주민은 북한을, 북한 주민은 미국을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Attitude toward reunification includes not only thoughts, ideas, and feelings about reunification, but also the will and desires for reunification. The surveys conducted over the last three years using the sample of North and South Koreans try to examine the main factors that affect the changes of and the development of the attitude toward reunification and its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ns. In this study, the data of “Unification Attitude Survey” and “Attitude of North Korean Defectors Survey" conducted by Institute of Peace and Unifi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from 2011 to 2013 are used. According to the data, first, while the need for reunification by South Koreans has gradually been decreased, North Koreans have shown a strong desire and the need for reunification. Second, North and South Koreans have a different opinion about the time for the re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In comparison with South Koreans, North Koreans are more likely to expect to unify the two Koreas in the near future. However, North and South Koreans see the once-conceivable prospect of reunification on the peninsula as increasingly unrealistic. Third, not surprisingly, the findings show that North Koreans have higher expectations of reunification benefit. Forth, North and South Koreans recognized each other as a cooperative partner. But, with the antagonistic rhetoric and nuclear threats from North Korea reaching unprecedented heights, a hostile attitude has significantly been increased in the last couple of years. Fifth, political and social differences have been developed between the North and South since the division of the peninsula. Finally, North and South Koreans have a different view of the neighboring countries. Note that North and South Koreans are likely to consider the United States and North Korea respectively as a nation which threatens the peace of the Korean peninsula.

      • KCI등재후보

        북한 중간계층의 결정요인과 특성 북한이탈주민의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정은미 ( Eun Mee Jeong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5 통일과 평화 Vol.7 No.2

        이 글은 북한이탈주민들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북한의 중간계층을 결정하는 요인과 특성을 찾아내고, 중간계층의 생활양식에 나타나는 독특한 사회적 속성이 존재하는가를 밝혀보고자 한 것이다. 북한사회에서 계층 분화 및 사회 불평등이 상당히 진행되고 있음이 밝혀졌다. 객관적 지표로서 측정된 계층과 주관적 귀속의식으로서 계층간 불일치 현상이 매우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불일치 현상은 중간계층에서 가장 심하게 나타났다. 게다가 북한사회의 계층분화는 상층과 하층이 동시에 증가하는 추세이다. 계층 위치를 결정하는 사회경제적 요인 중에서 직업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특히, 객관적 계층에서보다 주관적 계층에서 직업이 계층 간 차이를 뚜렷하게 보여줬다. 관리직, 전문직, 사무직과 같은 직업은 북한에서는 중층이 아닌 상층에 속하는 현상이 특징적이다. 사회문화적 요인에 의한 계층 분화도 뚜렷하게 나타났다. 의식주 생활은 물론 소비생활과 정보 환경에 이르기까지 계층 간 격차가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객관적 계층 내에서 보다는 주관적 계층 내에서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또한 상층의 생활양식은 상당히 일관되고 동질적인 양상을 보이고 있는 반면에, 중간계층의 생활양식은 상대적으로 이질적인 양상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북한사회에 경제적 지위로서 중간계층은 존재하지만 동질적인 구성 요소나 사회적 속성을 가진 중간계층은 아직 형성되지 못했다. This article aims to find out the factors to determine the middle class in North Korea and to explain the constitutive characters of social classes and social attributes appearing in lifestyle of the middle class. As a result of analysis, it was founded that social differentiation and inequality is significantly underway in North Korea. Discordance between social strata measured by the objective indicators and ones classified as subjective belonging appears very clearly, especially the discordance is heavily on the middle class. In addition, hierarchical differentiation of North Korean society is a tendency to increase at the same time, upper and lower layers. Job variable is a significant one of social and economic factors that determine the class position. In particular, job variable shows clearly the difference between social layers in the subjective strata than in the objective ones. Hierarchical differentiation due to socio-cultural factors appears evidently. A gap between social tiers appears clearly in consumption and information environment as well as life. The lifestyle of the upper class is fairly consistent and homogeneous, while the lifestyle of the middle class shows a relatively heterogeneous aspect. As a result, there is a mid-tier as economic status in North Korea, but the middle classes with homogeneous components and social attributes have not been formed y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