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예술과 키네틱아트에 관한 연구-비디오아트를 중심으로

        배영애 ( Young Ae Bae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08 예술과 미디어 Vol.7 No.1

        키네틱 아트 작가들은 오브제 개념을 도입할 시기에는 털레비전이라는 매체을 찾아볼 수 없었지만 비디오는 텔레비전 매체로 탄생되었다. 그래서 예술가들은 비디오의 새로운 이미지를 담는 도구로서 공간 제시를 위한 창작요소 등으로 사용하게 됐으며 진보적 각동 하이 테크놀로지와 작가 개인의 기법 및 표현개념의 성숙으로 말미암아 작품의 질적 수준도 크게 향상되었다. TV의 부정에서 시작한 비디오 예술은 영화에서 나 마찬가지로 다양한 표현 방법을 제공하는 색채유희, 빛의 유희 같은 키네틱적인 발명들이다. 영상이라는 ``시각성``과 음악·영희라는 ``시간성`` 그리고 ``공간성``을 총체적으로 구성하는 양태의 예술로 발전하게 된 비디오 아트를 통한 창작표현과 그 잠재력은 무한할 수밖에 없다. 특히 이를 매체로 삼은 미술가들의 창작 행위는 더욱 다양한 표현과 예술의 영역을 만들어 내며, 이것은 영화, 회화, 조각, 음악 등의 제 영역과 관계를 얽혀 장르의 구분도 모호 하게 만들게 된다. When Kinetic artic introduced the concept of objet, we didn`t have television media. However, now video is came from television, which is one of the representing electric images of 20century. Thus, artists used video as a tool for making new image, which contained temporally or specific behavior so that it would present space as creative element. As a result, qualify of art works has been hugely increased by various hi-technology and highly improved techniques and expressed concept of individual artists. Video art, which has started from denying TV, is kinetic invention such as plays of colors and lights, which provide various ways of expression as it does in movie. It is natural that creativity from video art, which has developed as an total art from visuality of image, time of music and space of banquet, and its potential is limitless. Among other things, artists creation through videos as its media, forms more various ways of expression and field of arts, and makes movie, painting, sculpture and music interrelated so that it would hard to tell each genres.

      • KCI등재

        『黃昏歌』의 서정성과 전환적 의미

        배영애(Bae Young-ae) 한국시학회 2001 한국시학연구 Vol.- No.5

        In modern history of poem poet Kim kwang-gyun is considered as a modernist who created poems on the basis of sensitive image and picturesque method Such reputation, however, is only true of his early works such as 『Wasadung』, 『Kihwanggi』. In his latter part of life, he published three poetry, which are very important in studying his entire poetic characteristics and to study his poems diachronically. In this thesis, I studied the transitional meaning of his poetry.『Hwanghonga』, which was written in the middle period of his poetic history. The main characteristic of his early poems before the 『Hwanghonga』 was sensitive and picturesque technique, but the third poetry 『Hwanghonga』 showed delineation of his feeling and deep emotion, which was due to uneasy and desolate agony of life. The sad emotion caused by the death of friends and lost hometown were described in the poetry of 『Hwanghonga』. So in this poetry, the nihilistic meditation of life and destiny was expressed as a dominent emotion. As the poetic there was to express his own sorrow and nihility caused by the death of friends and neighbor, he used the autobiographical and confessional discourse rather than picturesque method which made a distance between himself and object Though such discourse weakened the poetic tension and aesthetic effects, it had a strong meaning in revealing his inner consciousness properly. In other words, the reason why his technique to describe object and feelings changed was due to social changes and the feeling of crisis in life. Kim's feelings on such crisis was expressed in the form of retrospect of past titre and space and sometimes in direct delineation of emotion. He recognized helplessness as a poet when he saw the negative social reality deprived of universal human value. His recognition of society was expressed in his poetry 『Hwanghonga』. His deep agony on life made him contemplate theme of a poem and caused him to think highly of the importance of the inner sense or emotions rather than poetic skill and artificial aspect of object. This attitude of Kim kwang-gyun enabled him to change his poetic mood and allowed him to change his poetic tendency. So he described his transitional feelings in this poetry. In the poetry of 『Hwanghonga』, he was a delineator of emotion rather than of poetic technique. In respect of his poetic changes, 『Hwanghonga』 had a transitional meaning of his poetic history which caused him to change his poetic tendency not only in his lyrical mode but also in poetic emotion.

      • KCI등재

        대학 통일교육의 현황과 개선방향 연구

        배영애 ( Bae Young-ae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7 통일과 평화 Vol.9 No.1

        본 연구는 대학 통일교육의 현황을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고, 대학 통일교육의 강화와 활성화를 위한 바람직한 방향들을 모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최근 우리 구성원 중에서 20대인 대학생들이 대체적으로 통일에 대한 관심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통일문제에 대해서 당위성보다는 실리주의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는 우리 사회가 대학생들의 통일문제의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한 대학 통일교육을 소홀히 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대학 통일교육은 통일을 준비하고 통일미래 세대를 양성하는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현재 대학 통일교육은 학교 통일교육과 사회 통일교육에서 두 가지 영역 어디에서도 교육 대상으로서 위치를 명확히 확보하지 못하고 있어 그 위상이 매우 미약하다. 따라서 대학 통일교육의 위상 강화와 활성화를 위한 몇 가지 개선방향이 필요하다. 우선 대학 통일교육은 북한·통일 관련 교과목의 확대와 다양화를 통해 많은 학생들에게 통일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체제 중심의 내용에서 벗어나 사람, 생활세계의 사회통합을 중심으로 교육내용의 변화가 필요하다. 또한 대학생들의 관심과 참여를 높일 수 있고, 세대의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교육 방법을 활용해야 한다. 무엇보다 대학이 자율적으로 통일교육 프로그램이나 교육 과정과 교육 콘텐츠 개발, 북한·통일관련 강좌 개설을 운영하고, 대학생들의 자발적인 선택과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도록 법적·제도적 지원 확립과 다양하고 현실적인 인센티브제의 도입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problems through status of university`s unification education and seeks to improve the way in order to strengthen and activate of university`s unification education. Recently, university students showed the lowest interest in unification. They is recognized as a more realistic necessity of unification. Because our society was neglecting the unification education of university students in order to form a consensus unification. university`s unification education can be a very important step to prepare for unification and foster future generations. University`s unification education did not get the position and the weak phase. Therefore, it is expanding the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many students through a quantitative expansion and diversification of the curriculum in order to strengthen and activate the phase of university`s unification education. The content of education must change from the system to the social integration of people, living world. In addition, to increase the students` interest and participation and should use a variety of teaching method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generation. The government is required to introduce a proactive administration, financial support and various incentives to operate autonomously university education programs and training content development, North Korea or unification opening lecture of university.

      • 현대시에 나타난 불교의식 연구 : 한용운·서정주·조지훈 시를 중심으로

        배영애 숙명여자대학교 1999 숙명語文論集 Vol.- No.2

        This thesis aims to review modern poetry considering a poetic feature of Han Young-con, Suh Jung-joo, and Cho Ji-hoon in the epistemological aspect of Buddhist consciousness. The Buddhist consciousness means general aspects of individual response on Buddhism such as Buddhist ideas and experiences appeared in three poets' poems. In this thesis, an intention to study three poets' works begins with an assumption which Buddhist consciousness affects their poetry directly or indirectly, because they are deeply connected with Buddhism. As all poems ought to be made from a poet's own ideas, inner orders and experiences, an immanent consciousness in poetry reflects the poet's world view. Therefore this thesis analyzes three poets' works in the two aspects of a discordant structure against reality and a concord one for ideal world. The second chapter in this thesis cites as follows: how the discordant situation against the reality is embodied by each poet who accepts the Buddhist consciousness in his poems, defining its characteristic as an affirmative response for the reality: how this expression is related with the Buddhist consciousness. The third chapter focuses how the ideal world sought by each poet is expressed in his poems, concentrating the Buddhist consciousness on a solution against the discord and a pursuit for the ideal world. First, Han Young-oon endures his anguish by denying a parting with "Nim" (lover) and giving more affirmative meanings over death. On the basis of this consciousness is karma' and an idea which oneself and others are not separate. The parting cited by Han does not mean gloomy feeling or grief, rather than it is made to be linked to process of fervent love and waiting, and it is possible that restraint means freedom. Leaving lover is replaced by re-rneeting, which gets together with all things and realized the ideal world. Therefore a poetic narrator keeps on pursuing self-realization in order to arrive at the ideal world and to unite into one. These aspects, in Han's works, appear as poetic literature of Buddhist emancipation, not as that of traditional "Han" (恨 : hatred and grief). So the process of meeting with "Nim" is that of self-realization, and come to change into various figures. So it is represented that "Nim" gets over-layered meanings such as a symbol of hope and a way of individual existence. In such a process of embodiment is transcendence of Buddhist consciousness applied. As the Buddhist transcendence is characterized by making sense with "indirection", such as 'negative of negative' or an oxymoron. Han shows the affirmative idea for the world and the transcendence for comprehensive attitude through the oxymoron(which is mainly used). Then in Suh Jung-joo's poetry. the physical and sensual desire and the discord are transfigured in Suh Jung-joo's poetry, the Buddhist consciousness is accepted. Such a poetic acceptance is a real alternative to work out the real discord and desire. As a poetic narrator transfigures the world of 'flower', where was the object of desire, into Seo-Youk, or Jung-To(the Buddhist Elysium), he moves up to the place of transmigration from the early burning life-recognition. To be short, Suh's Buddhist consciousness is concentrated on "eternalism" of the Shilla Dynasty. There is Buddhist consciousnes in his poems as a confrontation between physical sense and spirit, death and life keep on being focused on his poetic world, and human's life comes to be the center of the poetic change and extension. Therefore human's death means not an abandonment or a despair, but a change up to the holy place, and it is possible for the departed to appear as main characters of the poetic world. In the result, the world of death reconstructed in Suh's poems means the eternal transmigratory life in Buddhism, and a semantic integration is accomplished as a sign implied by a poet in a poem. Accordingly, as human's birth and death turn into qualities of myth composing a' set of Buddhist consciousness, they are embodied as implied meanings, that is, universal cycle of time, and life and death. For Suh, the Buddhist consciousness as a storage representing the world experienced by him is motivated into a meaning of the real discord and integration, and it forms a inner meaning, The Buddhist consciousness on the bottom of changing poetic world makes Suh overcome his instinctive desire and discord, and gives spirit tranquillity to realize the ideal which is searching hometown and life-archetype. According to this fact, forSuh, the poetic acceptance of Buddhist consciousness means one of ways inquiring profoundly for his own existence. Expressed into Heaven like Seo- Youk, or Jung- To, the Buddhist consciousness shows a range of transmigratory lifes in Suh's poems. This means the trial to search his own self, life-archetype, and the desire to imitate universal order. He tries to explain the principle of the universal order, that is, cycle of nature and that of human's life and death in the same structural dimension. So his poetry is characterized by correspondence and repeat, and an aspect of transition toward the opposite world appears. Such a characteristic of poetic expression gets an order changing into a ring of Buddhist transmigration. Last, Cho Ji-hoon, also, embodies a discord of those days and negative consciousness which an intellectual could have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through the process of "appearing and disappearing", and responds to the reality. Although all these aspects do not begin from the Buddhist consciousness, it is Buddhist. at least, for poetic narrator to overcome the discord and to embody this. Cho's poetic expression does not aim for only nature, but an union between the nature and the self arrives at a stage of the "meditation"(禪) through the aspect of Buddhist emancipation, not through an usual aim for nature. The nature in Cho's poems is the object to symbolize simplicity rather than the nature of Do-Ka(道家) to be free and easy, and is the object of the secondary spirit world, too. Therefore his poetic world is more 'complicated aspect, the stage of the "meditation" rather than a structural ornament. This "meditation" means the phase which the border of everything disappears, and it is represented simply and shortly into the ideal world where is no pain, and no thought or no idea. The world represented with this way, however, overcomes the actual limit with 'minus-device' which has a simple structure but can respond to each different reality, and keeps a lot of implied meanings. First of all, Cho's Buddhist consciousness, however, stems out of an affirmative recognition. The principle of poetic structure pursued by Cho is the world of the "meditation", where a leap and an imagination are enabled. For Cho, this "meditation" is the process of the indirection and the center of the poetic structure. He realizes the "meditation" in his poems through the nature, but he does not just duplicate the nature, but arrives at the stage of "the meditation" showing a Buddhist emancipatory process. Accordingly, it is explained that his poetry is not understood as only the nature of Do-Ka, rather it is affected from the Buddhist consciousness accepting reality and being affirmative about it. Now the Buddhist consciousness, for three poets, has influence, directly or indirectly, upon representing the poetic theme and the poetic form as a catalyst and a mechanism of expression laid on a basis of verse. It is a mechanism which responds to an era, and plays a role as a prospect and a vision for the future, too. Han converts a parting into a meeting, Suh gives life to physics and sensuality, and Cho converts loneliness and anguish into tranquillity and stability. It is clear that three poets uses the Buddhist consciousness as the catalyst in order to sublime the risk and the discord of those days and to aim for a new ideal world. Therefore the Buddhist consciousness represented by these poets is not accepted as a technique for a time, but· appears as depth of poetic immanence, an awe for life, a generous attitude and an affirmative recognition about the life. To be short, Han's poetry can be summarized to. "united poetry", Suh's to "transmigratory poetry", and Cho's to "Buddhist emancipatory poetry". Although this Buddhist consciousness is different from the time and the way of poetic acceptance, it is embodied as a way overcoming tragic reality, an alternative principle and a way searching self-realization and life-archetype.

      • KCI등재

        Psycholinguistic Universality in English and Korean

        Bae, Young Ae 釜山大學校 師範大學 1986 교사교육연구 Vol.12 No.-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와 국어의 심리적인 보편성을 보여주는 증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전제는 언어는 사고의 거울이라고 정의하면서 인간의 사고과정은 동일하기 때문에 이 심리적 보편성이 자연언어에 보편성을 부여한다는 것이다. 이 전제를 뒷받침 해주는 이론적 근거는 두 가지 측면에서 제시할 수 있으니 첫째는 르네버그(Lenneberg)의 주장대로 언어는 모든 인간이 일반적으로 공유하는 생물학적인 특성의 하나인 사고구조에 속해있으므로 모든 언어에는 보편성이 존재하며 언어의 표면구조의 차이는 그 사고구조를 선택하는 양상의 차이에 의해 기인될 뿐 언어에 내재하는 심층적 원리는 같다는 생물학적인 언어관에 입각했다. 둘째 유아의 언어습득 과정에서 언어적 환경이라 할 수 있는 일차적 언어자료는 어린이가 성인으로서 성숙한 언어 능력을 소유하도록 해주는 직접적인 근원이 되기에는 세 가지의 내재적인 결함이 있으므로 행동주의자가 주장하듯이 환경에 의해 언어를 습득하는 것이 아니라 선험적이며 내재적인 능력에 의해 습득된다는 이론에 입각했다. 위의 일차적 언어자료의 결함은 1) 언어습득 입력으로서 언어 수행상의 결함으로 오염되어 있으며 2) 어린이에게 노출되는 언어자료는 유한하며 3) 문법성, 중의성, 동의성등등을 판단할 수 있는 주요한 언어지식이 일차적 언어자료에는 전적으로 결여되어 있다. 이런 결함에도 불구하고 어린이는 문법적 문장과 들어보지 못했던 문장을 창조적으로 발화하며 또 일차적 자료에는 전혀 없는 문법성, 중의성, 동의성 등등의 문법지식을 소유한다. 때문에 경험이나 환경에 의해 언어가 습득되기 보다는 선험적 능력에 의해 언어가 습득되며 선험적 언어능력은 자연언어의 표면적 다양성과 또 어떤 어린이도 언어를 습득할 수 있기 때문에 개별문법이 아닌 보편문법이다. 이 보편문법은 개방된 매개변수를 지니고 있으며, 이 매개변수를 가설로 내세워서 일차적 언어자료에 의해 검증되서 개별문법으로 구현되는 특성을 갖고 있다. 고로 일차적 언어 자료의 역할은 이 내재적 능력을 촉발게하는 데에 국한될 뿐 언어습득의 근본적인 근원일 수는 없다. 이렇게 생물학적인 언어관과 언어가 선험적인 언어습득의 산물인 점을 고려한다면 인간의 사고구조는 동일하므로 자연언어의 보편성을 가설로 내세울 수 있다. 이러한 심리언어적 측면에서 국어와 영어의 공통성을 찾고자 한다. 그러나 사고가 언어를 지배한다는 이론에 상치하는 학설이 있는데 이는 Sapir-Whorf Hypothesis로서 언어구조가 그 언어를 사용하는 화자의 세계관을 형성하며(Linguistic Determinism) 각 언어는 다르기 때문에 각 언어화자의 세계관은 다르다고(Linguistic Relativity)가정한다. 물론 언어는 어휘범주화와 문법범주화에서 형태상의 상이점이 있지만 Sapir-Whorf Hypothesis의 이론처럼 언어 형태의 존재여부에 의해 인간의 사고가 지배된다는 것은 과학적인 사실로 받아들이기 힘들다. 어떤 자연현상을 나타내는 단어가 단독 형태로 한 언어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그 화자는 그 자연현상을 관찰 할 수 있는 능력이 없는 것이 아니다. 문장이나 구(句)로 그 자연현상을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어휘범주화가 언어마다 상이하다는 것은 Codability의 용이성의 문제이지 기본사고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언어가 다르다고 말할 수 없으며 문법범주화의 상이성도 문법형태의 상이성 때문에 사고구조가 다르다고 규정할 수는 없다. 한 언어에 어떤 개념을 표현하는 문법형태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그 개념을 그 언어화자가 갖고 있지 않는 것은 아니다. 이 가설을 반증하는 실험을 살펴보면 Whorf의 주장처럼 색채 명칭이 수(數)에 따라 색채에 대한 감각이 다르다는 일반적 인식이 Berlin과 Kay가 발견한 색채어 사용의 범언어적 현상에 의해 부정되었다. 세계 각 언어는 11가지 원색에서 그 기본 색채어를 빌어오며 또 색채어의 선택에도 보편적인 체계가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로써 보편적인 인지과정에 의해 언어가 지배되는 것이 밝혀졌다. 또 Heider와 Oliver의 실험에서 색채어가 빈약한 언어화자와 풍부한 언어화자가 색깔 알아 맞추는 실험에서 다 성적이 비슷한 것이 발견되어서 언어구조가 인지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며 또 Lantz와 Steffire의 실험에서는 한 피험자가 색깔을 다른 피험자에게 설명하여서 알아 맞추게 하여 언어의 창조성을 이용하였더니 정확히 설명된 색채가 더 잘 암기되고 알아 맞히게 되었다. 이 인지과정에서 언어구조가 영향을 미치는 게 아니고 언어의 창조적 사용여부에 따라 그 인지과정이 영향을 받으므로 Whorf의 가설은 부인되었다. 또 문법적 범주가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가의 여부가 Carroll과 Casagrande의 실험에 의해 밝혀졌으니 명사가 지시하는 물체의 형태에 따라 동사에 접사를 첨가하는 Hopi語 상용 Hopi 어린이와 그렇지 않은 영어 상용 Hopi 어린이와의 물체 형태 분류 실험에서 Hopi語 상용 어린이가 물체를 형태로 분류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문화적 배경이 다른 영어상용 백인 어린이와 흑인 어린이를 상대로 같은 실험을 한 결과 백인 어린이는 Hopi語 상용 Hopi 어린이와 같이, 흑인 어린이는 영어 상용 Hopi 어린이처럼 행동을 하여 화자가 사용하는 언어가 사고를 지배하기 보다는 문화적 요인이 사고를 좌우하는 더 중요한 요소라는 것이 밝혀졌다. 이상과 같은 실험에서 Whorf가 예측한대로 어휘나 문법구조가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사고가 언어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과학적으로 증명되었다. 그러면 사고에 의해 언어가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인정할 때 계보적으로 서로 연관이 없는 국어와 영어의 범언어적 보편성이 두 가지 범주에서 입증될 수 있었다. 첫째는 인간의 공통적인 기본 사고구조가 보편적인 언어구조를 형성하게 하며, 둘째 인간의 정보처리장치는 시간적으로 공간적으로 제한을 받는 언어부호를 효율적으로 처리해야 하는 제약이 있기 때문에 자연언어의 어순이 가질 수 있는 다양성을 제한한다. 이 두 범주에서의 먼저 인간사고의 기본적인 유형에 의한 보편적인 특징은 (1) 인식의 현저성 영어나 국어에서 주어가 목적어에 선행하는 것은 주어는 대체로 생물체인 인간으로서 행동주가 되어 목적어에 영향을 주므로 화자에게 중요하게 인식되어서 목적어에 선행하는 보편성이 있다. 또한 어떤 물체가 그 물체가 속해있는 배경보다 더 현저하게 부각되어 두 언어 구조에서 표현되는데 이는 물체의 형상이 배경보다 더 중요하다고 인식되기 때문이다. (2) Sensory-motor metaphor 멀고 친숙하지 않는 추상적인 경험을 가깝고 친숙한 구상적인 경험을 연장시켜 표현하는 경향이 언어에 있는데, 주로 인간의 신체 부분을 비유로 사용하여서 추상적인 경험을 표현한다. 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사물의 형태를 표현할 때도 신체 일부분을 비유하여 표현하는 데 이는 인간이 자연을 우주의 중심으로 보는 견해때문이다. (3) 사고의 복합성의 표현 복합적인 사고구조는 그 언어구조도 비례적으로 복잡하게 표현된다. 부정이 긍정보다, 복수가 단수보다, 상태의 변화가 상태의 정지보다 사고가 복합적이기 때문에 그 개념을 표현하는 형태소가 더 길고 복잡하다. (4) 언어구조의 배열과 화자의 견해와의 상호작용 서로 상반되는 의미를 가진 단어 둘을 대칭으로 배열하는 관용구에서 인간은 자신에게 시간적, 공간적 또는 물질적, 정신적 세계에 가깝거나 친숙한 상태, 또는 좋은 상태를 표현하는 단어를 그렇지 않는 단어보다 선행하여 표현한다. 이것은 인간의 자기 중심적인 사고의 반영이다. (5) 공간적 개념을 표현하는 무표 형용사의 배열 공간적으로 범위가 있는 것을 표현하는 형용사가 그렇지 않는 형용사보다 자연스러우며 그 의미가 중립적이어서 무표이며 범위가 없는 것을 표현하는 형용사는 부자연스러우며 그 의미 전달이 중립적이지 못해서 유표이다. 이 두 종류의 형용사가 함께 나열될 때는 무표형용사가 선행하는 것이 언어에서 공통적이다. 또한 수직성, 공간성을 나타내는 형용사가 수평성, 시간성을 나타내는 형용사보다 어순상 선행하는 것도 언어적으로 공통성을 갖고 있다. 다음 정보처리 제약에 의한 심리언어적인 보편성은 인간의 지각능력이 정보처리에 능률성을 가져야 하므로 지각 책략이 쉬우면 쉬울수록 지각이 쉽게 이뤄지므로 언어의 어순이 심리적인 제한을 받는다. (1) 개념구조 간의 최소 통사적 거리 개념적으로 인정한 구조는 통사상 최소의 거리를 두고 배열되어야 단기기억에 부담을 주지 않는다. 영어나 국어에서 공통적으로 동사와 목적어는 그 중간에 개입되는 요소가 없이 서로 인접해 있는데 이는 두 요소가 서로 한 개념구조를 이루어서 정보처리가 용이하게 진행되도록 하기 위한 자연적인 결과이며 각각의 수식구도 또한 그 수식하는 요소와 통사상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열되어 정보처리를 용이하게 한다. 이렇게 볼 때 동사와 목적어 명사, 동사와 동사 수식어, 목적어 명사와 그 수식어는 각각 하나의 개념구조로 형성되어 분리되지 않고 위치해야 하므로 영어와 국어의 어순은 이 요소들이 분리되지 않는 유일한 두 가지 어순이 되므로 두 언어의 어순은 우연적으로 형성된 것이 아니라 깊은 심리언어적인 원리하에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두 언어의 어순은 서로의 구조를 거울처럼 반영하는 mirror image를 갖고 있다. (2) 자연적인 연속화 표면구조에서 그 위치가 상반되게 보이는 영어의 전치사와 국어의 후치사는 동일한 심리 언어적인 원칙하에서 결정된 어순이다. 어순의 다양한 매개변수에서 operator와 operand가 일정한 순서로 일어나게 하기 위한 노력의 결과로 영어는 operand+operator 이므로 전치사가 명사에 선행하며 국어는 opertor+operand이므로 후치사가 명사에 후행한다. 위와 같이 심리적인 측면에서 언어의 공통성을 고찰해 볼때 계보적으로 연관성이 없는 영어와 국어가 깊은 심층적 원리에 의해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 증명되었으므로 이에 본 연구의 실적이 평가될 수 있으며 언어는 심리의 산물이라고 결론 지울수 있다. 더 나아가서 음운론적, 담화론적 보편성이 연구되길 기대해 본다.

      • KCI등재

        Lexidal semantic universality in English and Korean and its pedagogical implication : A Quantificational Approach

        Bae , Young Ae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1985 교사교육연구 Vol.11 No.-

        언어는 무한정 다르지 않다. 비록 세계의 언어가 예측할 수 없을 정도로 무한정 다르게 보이나 같은 인간종에 의해 사고와 의사전달을 위한 동일한 목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공통적인 특질이 있다. 만약 언어가 사고의 표현수단으로 생각된다면 그것은 인간에게 생물학적으로 주어진 두뇌장치에 의존, 제한을 받을 것이다. 언어가 두뇌의 제한을 받는 것은 유아의 언어 습득과정이나 범언어적 현상에서 찾아볼 수 있다. 언어습득과정은 경험주의자들이 주장하듯이 모방, 반복, 강화에 의해 이뤄지는 것이 아니고 일차적 언어자료를 분석하여 언어구조를 형성하도록 하는 선천적인 언어습득장치에 의해 가설-검증을 통해 이뤄진다. 또한 사고의 복잡성에 따라 언어표현도 비례적으로 복잡하게 되는 범언어적 현상을 언어가 사고의 지배를 받는 예로서 간주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만약 언어가 사고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면 인간의 인지구조에 부과되는 동일한 생물학적인 제약때문에 언어의 보편성이 있을 수 있으므로 영어와 한국어 간에서도 보편적인 의미론을 발견할 수 있음을 증명하려는 것이다. 만약 두 언어의 단어의 의미를 처리하는 심층적 인지 과정이 유사하다면 그것은 두 언어의 동일한 의미구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의미는 심리적 실체가 있다는 것도 증명될 수 있다.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서 르네버그(E.H. Lenneberg)가 주장하는 생물학적인 의미론과 오스굿(C.E. Osgood)이 발견한 정적(情的) 의미의 보편성이 사용되었다. 르네버그(Lenneberg)는 단어란 조건화에 의해서 사물에 부과하는 이름표가 아니라 인간이 환경을 처리하는 인지과정에 명명되는 것이라고 했으며 만약 단어가 인간의 인지과정을 명명한다면 인간의 인지구조는 동일하기 때문에 자연 언어간의 보편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동일한 의미구조를 가정할 수 있다. 그 반면 인간의 인지구조에는 어느정도의 자유성이 있어서 독특한 개념화도 개인간, 언어간에 존재하지만 이것은 문화적 정보가 주어진다면 의사전달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르네버그(Lenneberg)는 인간의 감정, 태도를 표현하는 정적의미 영역에는 언어간 큰 격차가 있다고 한다. 이 영역에 범언어적 보편성을 발견한 사람은 오스굿(Osgood)인데 Semantic Differential이라는 계량적 접근방법을 써서 세계 각 언어의 정적의미구조를 조사한 결과 세가지 의미요소, 평가적, 잠재적. 활동적 의미요소가 범언어적으로 존재하는 것을 발견했다. 그 중 평가적, 잠재적 요소는 분명히 피험자간에 범언어적 보편성이 있고 활동적 의미요소는 약간 변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위의 두 이론을 전제로 영어와 한국어에 의미론적 보편성이 있음을 가설로 세워보았다. 비록 두 언어가 판이한 사회적, 역사적, 언어적인 변화를 거쳤지만 위의 두 이론이 두 언어의 의미구조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본 연구의 가설이다. 본 연구의 실험기법은 오스굿(Osgood)의 Semantic Differential을 사용했다. 한국인과 미국인의 피험자를 각 집단의 모국어로 테스트하기 위해 같은 내용을 가진 테스트를 이중언어로 작성하였다. 취급된 단어는 15개로서 강, 아들, 어린소녀, 야채등 4개의 구상어와 현대예술, 어린시절, 모성애, 학문, 자유, 직업, 언어, 휴가, 숫자, 시간, 윤리 등 11개의 추상어를 임의 추출하였다. 양극 형용사틀은 오스굿(Osgood)의 연구 결과 각 의미소를 가장 많이 함축하고 있는 형용사를 선택해서 각 의미요소마다 3개씩, 한 단어에 모두 9개, 전 단어에 도합 135개의 양극형용사틀을 사용하였다. 피험자는 한국인은 부산대학교 부설 통신대학에 수강했던 국, 중학교 교사로, 미국인은 미팔군 소속 메릴랜드대 분교 재학생으로 구성되었다. 통계적 처리방법은 7구분으로 나눠진 형용사틀에 대한 피험자의 반응을 숫자화하여 평균치를 산출하여서 1) 전 단어에 대한 135개의 양극형용사틀의 전체 평균치 및 각 의미요소별 전체평균치, 2) 추상어, 구상어군별 전체 평균치 및 각 의미요소의 어군별 평균치, 3) 한 단어에 대한 전 형용사틀의 전체 평균치, 의미요소별 평균치, 개개의 양극형용사틀의 평균치를 계산하였고 또 그평균치를 두 피험자집단간에 비교하여 t價와 유의미 수준을 산출하였다. 실험결과는 1) 전 단어에 대한 두 피험집단의 반응은 서로 상이하였지만 (t=3.50) 의미요소별로 볼 때 평가적 요소에 대한 두 집단간의 반응은 유사했다(t=-1.40). 이는 비록 전 단어에 대한 두 언어가 의미론적 보편성을 가지지 못한다 하더라도 평가적 요소는 보편성이 있음을 입증함으로 평가적, 잠재적요소에 보편성이 있다는 오스굿(Osgood)의 발견을 부분적으로 증명했으므로 의의가 있으며 2) 추상어군의 세 의미요소에 다 두 피험집단이 대단이 유사한 반응을 보였다. (t=-1.23). 이는 영어와 한국어는 정적의미에 보편성이 분명히 있음을 입증하므로 피험집단의 언어가 다르고 문화가 틀려도 추상적 경험을 다 동일한 방법으로 언어속에 조직화 시킴을 밝혔다. 3) 구상어에 대한 두 집단의 반응은 활동적요소와 잠재적요소는 상이했지만 평가적 요소는 동일했다. 구상어군에서 두 피험집단간의 반응의 차이는 추상어군에 대한 피험집단의 반응과 대조되는데 이는 추상어는 실세계에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대상이 없으므로 보편적 의미체계가 가능하나 구상어는 물리적 존재가 있으므로 지각에 영향을 끼쳐 의미체계에 차이가 있는 것처럼 보인다. 위의 실험결과는(Lenneberg)가 주장했듯이 인간의 사고는 생물학적으로 주어진 범위내에서만 작용하므로 보편적 인지과정이 영어, 한국어 두 언어학자간에 존재하며 그런고로 평가적 의미요소와 추상 어군에서는 전 의미요소에 두 언어에 정적의미의 일반성이 있음이 입증되었는데 큰 의의가 있다. 이는 언어가 사고를 지배하는 것이 아니라 사고가 언어에 영향을 주면 의미의 심리적인 실재성을 증명했다. 본 연구가 영어교육에 시사하는 바는 추상어군에서는 보편적 인지과정이 작용하므로 영어 학습자가 영어의 추상어의 정적의미체계를 배울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그 의미체계는 모국어 습득시 형성되어 인지구조 속에 존재하고 있으므로 학생은 모국어의 의미체계와 관련시켜 목표언어인 영어의 의미체계를 일반화시키는 것을 배울 필요가 있다. 이런 인지책략을 학습자가 사용하면 인지구조에 영어의 새로운 형태만을 융합시키는 학습방법이 효율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학습자의 인지구조를 이용하는 인지적 학습책략이 권장된다. 즉 학습내용의 무의미한 반복, 모방, 강화 나아가서는 모국어 사용을 언어학습 시간에 금지하는 구두청각적 교수법보다는 학습자가 모국어 습득시 사용되었던 기존 인지구조를 외국어 학습시 활용하여 학습내용을 의미있게 인지구조에 연결시키는 인지주의적 학습방법이 권장되고 있다. 이 인지적 학습방법을 사용하여 보편문법이 연역적으로 학습자에게 제시될 때 학습자의 모국어의 표층구조와 목표언어의 표층구조가 인지적으로 중개될 수 있다. 개별언어적 특성, 즉 추상어 형태, 구상어, convergence, divergence 등 idiosyncracy에 속하는 부분은 기계적 학습방법으로 습득될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기계적 학습방법의 활용범위는 제한된다. 의미체계외에도 언어의 다른 층위에서 보편문법이 연구된다면 모국어를 배울때 사용되었던 인지구조에 외국어의 새로운 형태만을 융합시키는 인지적 측면과 외국어학습으로 긴장된 학습자의 언어자아를 이미 알고 있는 인지구조를 사용해서 이완시킬 수 있는 정적 측면에서 외국어 학습의 보다 나은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겠다.

      • KCI등재

        Tensification in Sino-Korean Words in Korean

        Bae, Young Ae 釜山大學校 師範大學 1984 교사교육연구 Vol.8 No.-

        종래에 경계부호, 의미, 기능, 형태 등을 기준으로 7, 8종으로 분류되었던 국어에서의 된소리(硬音化) 현상을 음운적, 형태어휘적, 통사의미적으로 지배되는 몇가지 유형으로 재정리 한다. 특히 한자(Sino-Korean) 어휘에 있어서 한편으로는 법(法), 수(數)와 같이 독립형(free morpheme)으로 나타날 수 있는 단음절 한자와 범(犯), 자(者)와 같이 구속형(bound morpheme)으로만 나타나는 단음절 한자를 구별하여 독립형에서만 경음화가 일어났음을 밝혔으며(예 : 문?j, 권쑤 對 공범, 병자). 또 한편으로는 幸福과 人福, 感氣와 狂氣를 구별, 행복과 감기는 한 형태소로 구성된 단어로 간주하고 인뽁, 광끼는 두 형태소로 구성된 복합어로 취급함으로써 여기에 나타나는 경음화 현상을 설명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