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점토석독구결 용언 부정사의 의미기능

        문현수 국어사학회 2012 국어사연구 Vol.0 No.14

        본고에서는 점토석독구결에 나타나는 용언 부정사의 현토 양상과 그 의 미기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자토석독구결에서는 발견하지 못했던 ‘未<>’ 의 쓰임을 확인하였으며, 현대국어의 ‘못’으로 해석될 수 없는 ‘未’의 용례 를 좀 더 확보할 수 있었다. 이는 석독구결 부정사 ‘未’가 ‘不(未)’ 및 ‘不 (未), 不<>’와 달리 화자의 부정적인 인식이 포함되지 않은 단순한 ‘미완 료’의 의미기능을 가진다고 언급한 문현수(2010)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 로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clarify the semantic function of verbal negatives in point-attached seokdok kugyol texts. As a result, ‘未<>’ which should be interpreted as 'mot못', having known not to exist in Character-attached Seokdok kugyol, is reported. And ‘未’ which could not be interpreted as ‘mot못’ or ‘ani 아니’ but an aspectual negative is reported a little more in Point-attached Seokdok kugyol than character-attached seokdok kugyol.

      • KCI등재

        利 와  令 의 변별성  -점토석독구결의 현토 양상을 중심으로 -

        문현수 구결학회 2022 구결연구 Vol.48 No.-

         본고에서는 동일한 독음을 지니는  利 와  令 가 점토석독구결에서 어떻게 현토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 문현수 (2020)에서는 자토석독구결에서 쓰인  利 와  令 가 서로 별개의 형태적 구성을 표기하기 위해 마련된 구결자로서 철저히 변별적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된 바 있다 . 이러한 주장이 옳다면 , 점토석독구결에서도  利 와  令 는 변별적인 구결점으로 현토될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 이는 나아가 점토석독구결이 표음적인 변별뿐만 아니라 형태적인 변별도 중시하는 문자 체계를 바탕으로 성립하였음을 보여주는 근거의 하나로도 활용될 수 있다 . 본고의 검토 결과 , 점토석독구결에서도 자토석독구결과 마찬가지로  利 와  令 는 철저하게 별개의 점토로 현토됨을 알 수 있었다 . 예를 들어 , 乎利 와  乎令 는 주본  <화엄경 > 점토석독구결에서 각각  31(··)과  13(/)으로 나뉘어 현토되며 , <유가사지론 > 점토석독구결에서는 각각  15(·\)/15(ɔ)와  24(\)로 나뉘어 현토된다 . 이를 고려하면 , 利 와  令 는 서로 별개의 형태적 구성을 표기하기 위해 마련된 구결자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 나아가 동일한 독음을 가진  利 와  令 가 점토석독구결에서도 변별적인 구결점을 이용해 현토되는 것을 볼 때 , 고려시대 점토석독구결의 점토는 표음적인 변별뿐만 아니라 형태적인 변별도 중시하는 문자 체계를 바탕으로 성립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 本稿 では 、同 じ 読音 を 持 つ 口訣字 である 利 [ri]と 令 [ri]を 、点吐釈読口訣 ではどのように 加点 しているのかを 考察 した 。先行 研究 では 、字吐釈読口訣 の 利 と 令 を 、別 の 形態的構成 を 表記 するた めの 口訣字 として 把握 したことがある 。このような 主張 が 正 しけれ ば 、点吐釈読口訣 でも 利 と 令 は 別 の 口訣点 として 加点 する 可能性 が 高 い 。本稿 の 検討 の 結果 、点吐釈読口訣 でも 、字吐釈読口訣 に 同 じ ように 、利 と 令 は 徹底的 に 別 の 点吐 で 加点 された 。例 えば 、乎利 [ho.ri]と 乎令 [ho.ri]は 、周本 華厳経 点吐釈読口 訣 では 各 々31(··)と 13(/)とに 加点 される 。そして 、瑜伽師地論 点吐釈読口訣 では 各 々15(·\)/15(ɔ)と 2 4(\)とに 加点 される 。したがって 、利 [ri]と 令 [ri]は 別 の 形態的構成 を 表記 するための 口訣字 である 可能性 が 非常 に 高 い 。さらに 、同 じ 読音 を 持 つ 利 [ri]と 令 [ri]を 点吐釈読口訣 でも 別 の 口訣点 として 加点 することをみると 、高麗時代 の 点吐釈読 口訣 の 点吐 は 、表音 はもちろん 、形態的 な 弁別性 をも 重視 する 文字 体系 をもとに 成立 したものであると 考 えられる 。

      • KCI등재

        Recurred pneumocephalus in a head trauma patient following positive pressure mask ventilation during induction of anesthesia -A case report-

        문현수,이수경,정승환,정지훈,장인복 대한마취통증의학회 2010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59 No.-

        Pneumocephalus is a condition which usually results from head trauma. It has been known that iatrogenic pneumocephalus can occur as a complication of positive pressure mask ventilation during induction of anesthesia or ventilatory care for head trauma patients. We report a case of mask ventilation during anesthesia induction in a 50-year-old male patient with head trauma. Initial pneumocephalus associated with cerebrospinal fluid leakage was diagnosed immediate following head injury involving facial sinuses. He was managed with emergent lumbar drainage and supportive care. Pneumocephalus recurred following positive pressure mask ventilation (PPMV) during anesthesia induction for surgery on the right arm. Recurred pneumocephalus was managed with high flow oxygen and supportive care. Anesthesiologists should be aware of pneumocephalus as a potential complication of PPMV in head trauma patients, even after resolution of previous pneumocephalus.

      • KCI등재

        석독구결에 쓰인 구결자의 특성

        문현수 국어사학회 2020 국어사연구 Vol.0 No.30

        본고에서는 석독구결에 쓰인 구결자의 특성에 대해서 고찰해 보았다. 지금까지는 각 구결자의 원자와 독법에 대한 연구가 중심이 되어 왔는데, 이를 문자 체계의 관점 에서 거시적으로 파악해 보면 흥미로운 현상이 관찰된다. 첫째, 독음이 겹치는 구결자 는 ‘’와 ‘’처럼 다른 형태소를 표기하거나 ‘’와 ‘’처럼 문헌에 따라 상보적 분 포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둘째, ‘’처럼 독음이 여러 가지인 구결자는 모음조화에 따라 자동적 교체를 보이는 하나의 형태소를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셋째, 구결자 중 에는 ‘’처럼 특정 형태소를 나타내는 표어자도 존재한다. 넷째, 연결어미 ‘-아/어’가 ‘’로 표기되는 것과 달리 모음조화 대립형이 별도의 형태소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와 ‘’처럼 별도의 구결자를 통해 이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다섯째, 말음첨기 자는 ‘[ㄴ](<隱)’처럼 원자의 초성이 없고 핵모음이 [ㅡ]인 경우에 종성을 이용한 것과 ‘[ㄱ](<只)’처럼 원자의 초성이 있고 핵모음이 [ㅣ] 경우에 초성을 이용한 것 이 있다. 여섯째, 조사나 어미에 자주 등장하며 다른 문법 형태소도 나타낼 수 있는 음절구조를 위주로 구결자 체계가 구성되었다. In the article, Characteristics of Kugyol Characters in Seokdok kugyol have been investiga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riting system. First, There are many Kugyol Characters of the same sound value that represent different morphemes such as [ri] and [ri], or have complementary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literature such as [yə] and [yə]. Second, There are many Kugyol Characters having various sound values such as [a/ə] that represent morphemes which have automatic alternation according to vowel harmony. Third, There are some Kugyol Characters like [hʌj] that represent morphemes as a logogram. Fourth, There are some Kugyol Characters such as [do] and [du] that represent different morphemes because they don’t have automatic alternation according to vowel harmony. Fifth, There are some Kugyol Characters representing a coda such as  [n](<隱), of which the original character does’t have an initial consonant and has a nuclues of ㅡ[ɨ] and has a final consonant used to represent the sound value. There are also some Kugyol Characters representing a coda such as [k](<只), of which the original character has an initial consonant used to represent the sound value and has a nuclues of ㅣ[i]. Sixth, the writing system of Kugyol Characters consist of those that are used to represent particles and endings including other grammatical morphemes.

      • KCI등재

        『유가사지론』 점토구결의 수평쌍점에 대한 연구 -선어말어미 ‘-()-’ 포함 여부를 중심으로-

        문현수 반교어문학회 2019 泮橋語文硏究 Vol.0 No.51

        In previous Studies, the horizontal double points in the Yuqieshidilun(瑜伽師地論)'s Point-attached Seokdokkugyol tend to be deciphered having -sʌp[]-. This paper investigated all the horizontal double points in the Yuqieshidilun(瑜伽師地論)'s Point-attached Seokdokkugyol, and verified the deciphers. A summary of this paper is as follows. There are 12 horizontal double points in the Yuqieshidilun(瑜伽師地論)'s Point-attached Seokdokkugyol. Among these, +13(··), 21(··), 22~32(··), and 33(··) have -sʌp[]-. 23~33(··) and +41~51(··) are possible to have –sʌp[]-. On the other hand, 43(··), 41~51(··), 51~52(··), +51~52(··), 54(··), and 54~55(··) don't have -sʌp[]-. Therefore, It is not possible to generalize that all the horizontal double points have -sʌp[]-. However, the tendency that the upper horizontal double points have -sʌp[]- and the lower horizontal double points don't have –sʌp[]- is observed. It is necessary to examine carefully whether the regularization of the horizontal double points having –sʌp[]- is possible according to particular conditions. 본고에서는 『유가사지론』 점토석독구결의 수평쌍점에 대한 해독을 시도함으로써, 수평쌍점은 선어말어미 ‘--’을 포함하는 경향이 있다는 가설을 검토해 보았다. 『유가사지론』 점토석독구결에서는 총 12종류의 수평쌍점이 쓰였는데, 이 중 +13(··)[()], 21(··)[()], 22~32(··)[()], 33(··)[()]은 ‘--’을 포함하는 구결점이 분명하며, 23~33(··)과 +41~51(··)도 아직 해독은 불완전하지만, ‘--’을 포함할 가능성이 있는 구결점이다. 반면에 43(··)[()], 51~52(··)[()], 54(··)[()]는 ‘--’을 포함하지 않는 구결점이며, 41~51(··), +51~52(··), 54~55(··)도 아직 해독이 불완전하기는 하지만 ‘--’을 포함하지 않는 구결점임은 분명하다. 이처럼 총 12개의 수평 쌍점 가운데 적어도 4개의 구결점이 ‘--’을 포함하고 있는 것은 확실하지만 그 이상의 구결점이 ‘--’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모든 수평쌍점이 선어말어미 ‘--’을 포함한다고 할 수는 없다. 하지만 기준사각형 하단선을 기준으로 그 위쪽에 위치하는 수평쌍점은 ‘--’을 포함하고 그 아래쪽에 위치하는 수평쌍점은 ‘--’을 포함하지 않는 경향성은 관찰된다. 이처럼 수평쌍점의 ‘--’ 포함 여부를 특정 조건과 연관을 지어 규칙화할 수 있는지는 앞으로 다른 비단점(非單點) 구결점들의 해독 양상과의 비교․대조를 통해 좀 더 면밀하게 고찰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점토석독구결의 전산 입력 현황과 과제

        문현수 구결학회 2019 구결연구 Vol.42 No.-

        . 본고에서는 점토석독구결의 전산 입력 현황과 향후 과제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2000년대 초반 점토석독구결이 최초로 발견된 후 이에 대한 연구는 많은 성과를 거두었는데, 이는 점토석독구결의 표기 방안의 마련과 전산화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었다. 현재까지 발견된 고려시대 점토석독구결자료는 대다수 전산화가 완료되었다. 하지만 아직 전산화가 되지 못한 자료도 일부 있으며, 전산화가 이루어졌다고 하더라도 자료의 정밀화가 요구되는 자료도 존재한다. 전산화가 이루어지지 못한 자료는 전산화를 하는 한편, 기존에 전산화된 자료도 포함하여 다양한 조명 각도에 따른 고해상도 사진 자료를 최대한 확보하여 전산 자료를 재검토함으로써 정밀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이와 더불어 점토석독구결의 전산화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위해 구결점의 유니코드화도 시급한 과제라 할 수 있는데, 향후 각계의 전문가가 참여하는 공식적인 논의의 장을 통해 이에 대한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미숙아에서 중심 정맥 카테터 삽입 시 발생한 혈관 내 카테터의 꼬임 -증례 보고-

        문현수,이수경,최영실,김만호 대한마취통증의학회 2011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Vol.6 No.2

        Central venous catheterization is of vital importance in the management of critically ill neonates and also premature infants for total parenteral nutrition, hemodynamic monitoring, anesthetic care,transfusion or the administration of a few vasoactive drugs. Various complications of this procedure have been reported, such as arterial puncture, pneumothorax, cardiac tamponade, and catheter related kinking or knotting. Due to narrow safety margins, these complications are more dangerous in extremely premature infants compared to adults. We present a case of left subclavian venous catheterization complicated by U-shaped intravascular catheter kinking in premature infant which was successfully repositioned by insertion of a new guidewire through the previous catheter without secondary skin puncture. (Anesth Pain Med 2011; 6: 182∼185)

      • KCI등재

        ‘-롯’과 ‘-록’의 관계에 대하여

        문현수 구결학회 2016 구결연구 Vol.37 No.-

        본고에서는 고대국어와 중세국어에 사용된 ‘-/롯’과 ‘-/록’의 용례를 검토함으로써 이들이 어떤 관련성을 맺고 있는지 밝혀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5종의 자토석독구결자료와 새로 발견된 자토석독구결자료인 『慈悲道場懺法』 권4에서 쓰인 ‘-’과 ‘-’의 용례는 물론, 점토석독구결자료에 쓰인 ‘-’과 ‘-’의 용례도 모두 살펴봄으로써 이들이 고대국어에서 어떠한 관련성을 맺으며 쓰이고 있는지 고찰해 보았다. 이 과정에서 주본 화엄경 점토석독구결에서 25(.·)이 ‘’으로 해독되는 점토임을 발견한 것은 큰 소득이라고 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고대국어의 ‘-’, ‘-’과 중세국어의 ‘-롯’, ‘-록’을 비교하여 ‘-/롯’과 ‘-/록’이 어떠한 이유로 유사한 쓰임을 보이게 되었는지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본고의 논의 사항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고대국어와 중세국어에서 ‘-/롯’은 거의 대부분 후행하는 체언을 수식하는 예로 쓰이는 반면에, ‘-/록’은 후행하는 체언과 용언을 모두 수식할 수 있었으며 체언을 수식하는 경우의 사용 빈도와 용언을 수식하는 경우의 사용 빈도가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둘째, ‘-/록’은 조사 ‘-/로’와 강세 첨사 ‘/ㄱ’의 통합형으로 볼 수 있는데, 후행하는 체언을 수식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그 체언이 부사어인 ‘NP/록’의 수식을 받을 수 있는 부사성 명사이기 때문이다. 셋째, 후행하는 체언을 수식하는 환경 하에서 쓰인 ‘-/롯’은 언중들에 의해 ‘-/록’의 강세첨사 ‘/ㄱ’가 속격조사 ‘-/ㅅ’으로 재분석된 것이다. 넷째, 강세 첨사 ‘/ㄱ’은 ‘-/록’을 제외하고는 ‘/ㅅ’으로 교체되는 현상이 발견되지 않는데, 이는 이 환경을 제외하고는 강세 첨사 ‘/ㄱ’이 속격 조사로 재분석될 가능성이 현저히 떨어지기 때문이다.

      • SCOPUSKCI등재

        최소침습적 관상동맥우회술 마취 시 유도저혈압과 서맥유발을 위한 Esmolol 단독투여와 Neostigmine 과의 겸용방법의 비교

        문현수,함병문,심우석 대한마취과학회 2000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38 No.3

        Background : Esmolol has been applied to lower myocardial oxygen consumption and creates a quieter operative field by reducing systemic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but can cause a certain amount of hemodynamic instability during minimally invasive direct vision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MIDCAB).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hemodynamic differences between two methods; inducing hypotension and bradycardia between esmolol infusion alone, and concomitant use of neostigmine during MIDCAB anesthesia. Methods : Twenty MIDCAB patients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two groups, group E (n =10) receiving esmolol 0,3 mg/kg/min, group EN (n = 10) receiving esmolol 0.2 mg/kg/min and neostigmine 1.0 mg for induced hypotension and bradycardia during coronary anastomosis. The hemodynamic parameters were evaluated 10 minutes after induction of anesthesia (Tl), 10 minutes after beginning of operation (T2), 5 minutes before the end of anastomosis (T3) and 10 minutes after the end of anastomosis (T4), Data were analyzed by ANOVA test for intragroup comparisons, and by T-test for intergroup comparisons with significance set at a P value of $lt; 0.05. Results : Heart rate significantly decreased at T3 in both groups and more in group EN. Systolic blood pressure decreased at T3 in both groups and there were no group differences but more episodes of extreme hypotension in group E. The cardiac index significantly decreased at T3 in both groups and more in group E. There was a small but significant increase in pulmonary capillary wedge pressure at T3 and T4 in group E and no change of central venous pressure in both groups. Conclusion : Concomitant use of neostigmine during esmolol infusion produces more reliable induced hypotension and bradycardia than esmolol infusion alone for MIDCAB anesthesia in terms of prevention of myocardial ischemia and easiness of anastomosis technique. (Korean J Anesthesiol 2000; 38: 450~456)

      • KCI등재

        Cardiac arrest due to intracranial hypotension following pseudohypoxic brain swelling induced by negative suction drainage in a cranioplasty patient -a case report-

        문현수,이수경,김수련,김선주 대한마취통증의학회 2016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69 No.3

        Pseudohypoxic brain swelling (PHBS) is known to be an uncommon event that may occur during and following an uneventful brain surgery, when negative suction drainage is used. The cerebrospinal fluid loss related to suction drainage can evoke intracranial hypotension that progress to PHBS. The main presentations of PHBS are sudden unexpected circulatory collapses, such as severe bradycardia, hypotension, cardiac arrest, consciousness deterioration and diffuse brain swelling as seen with brain computerized tomography (CT). We present a stuporous 22-year-old patient who underwent cranioplasty under general anesthesia. The entire course of the general anesthesia and operation progressed favorably. However, the time of scalp suture completion, sudden bradycardia and hypotension occurred, followed by cardiac arrest immediately after initiation of subgaleal and epidural suction drainage. After successful resuscitation, the comatose patient was transferred to the neurosurgical intensive care unit and PHBS was confirmed using brain 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