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그림책의 교육적 활용을 통한 인성교육

        박상아 광주교육대학교 초등국어연구소 2022 초등국어과교육 Vol.29 No.-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책의 교육적 활용이 인성교육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전남 M시에 소재한 S초등학교 6학년 학생 24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했다. 본 연구의 효과성 및 참여자의 주관적 인식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KEDI 인성 검사지 및 참여 학생 주관적 반응설문지를 활용했다. 연구 결과, 그림책 읽기는 학생들의 독해력과 공감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그림책 읽고 쓰기를 통해 참여 학생들의 감정과 행동 표현이 보다 적극적으로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학생들의 독서력 및 독서 태도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책은 유아뿐만 아니라 초등학생들에게도 유용한 교육 도구이다. 인간의 삶이나 사회 현상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다루고 있는 그림책을 통한 인성교육은 학생들의 다양한 언어적·정서적 경험을 자극하고, 바람직한 독서 태도와 긍정적인 자아개념 형성뿐만 아니라 사회성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친다. 최근 많은 연구를 통해 그림책을 활용한 인성교육의 효과가 입증되고 있으므로 인성의 주요 덕목을 주제로 한 그림책을 적절하게 선정하고, 이를 활용한 구조화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림책 활용의 효과를 검증하는 후속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2009 개정 초등학교 영어과 교육과정의 운영 방향

        김재혁 光州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3 初等敎育硏究 Vol.28 No.1

        본 연구는 2014년 3, 4학년부터 실시될 예정인 2009 개정 초등학교 영어과 교육과정 운영 방향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영어과 교과서가 아직 출판되지 않은 상황을 고려해서 이 연구는 현재 시행중인 2008 개정 교육과정의 정책 연구학교 운영에서 얻은 결과를 토대로 하였다. 이 정책 연구학교 운영은 2009-2010 기간에 수행되었는데, 본 연구자가 참여한 이 연구는 매우 방대한 자료를 담고 있어서 교실 수업 적용의 측면에서 일부 내용을 선정해서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었다. 사실 2008, 2009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은 기본 틀을 공유하고 있다. 이 두 교육과정은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시수, 평가 등에서 핵심 내용이 거의 동일하다. 따라서 2008 개정 교육과정 운영으로부터 새로운 개정 교육과정 운영 방향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찾는 것도 유의미한 일이라고 사료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 16개 초등학교에서 교사 307명, 학부모 1,916명, 학생 2,087명이 참여한 설문조사 및 면담 분석으로부터 시사점을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주제어: 영어과 교육과정, 초등영어

      • 2015 초등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시조 교육 실태 분석

        이진아 광주교육대학교 초등국어연구소 2021 초등국어과교육 Vol.28 No.-

        2015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시조 교육의 실태 분석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시조의 특성을 먼저 간략하게 알아본 후 2015 교육과정에서의 시조 교육의 내용을 찾아보았다. 교육과정에서는 시조 교육에 대해 명시하고 있지 않아 문학 영역의 목표, 내용, 방법을 기준으로 시조 교육의 목표, 관련 핵심 역량, 학년별 내용체계 및 성취 기준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교과서에서의 시조 수록 현황과 시조 교육의 내용과 방법이 시조 교육의 목표에 부합하는지 분석하였다. 교과서에 수록된 시조 9편을 시조의 내용적 측면, 형식적 측면, 학생 발달적 측면, 교수·학습 활동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내용적 측면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편향적으로 시조 교육이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년별 대표 시조 제재를 골라 시조 제재 및 교수·학습 활동의 적절성 등을 분석한 결과 시조 제재의 적절성은 부합하나, 교수·학습 활동의 적절성 측면에서 시조의 단순한 수용 활동만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내실 있는 시조 교육을 위해 이후 국어 교과서에서는 다양한 형식의 시조 제재를 학년별로 고루 배치하고, 시조의 수용과 생산 활동을 함께 제시하기를 기대해본다.

      • AI 융합교육을 위한 국어과에서의 문식성 교육 방향

        선주원 광주교육대학교 초등국어연구소 2022 초등국어과교육 Vol.29 No.-

        이 글은 AI 인공지능 시대에 부합하는 국어과에서의 문식성 교육 방향에 대한 논의를 하는 연구 목적을 설정하였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AI 교육에 대한 이론적 이해와 교육의 방향, AI 시대의 교육적 패러다임의 변화와 방향, 국어과에서의 문식성 교육 방향 등을 논의하였다. 이런 논의는 사회의 전 부문에서 4차 산업혁명 지식정보화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AI의 급격한 발달에 따른 AI의 비중과 그 교육이 시급한 문제가 되었다는 인식을 기반으로 한다. 논의 결과,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문식성을 증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학생 개인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확장하고, 디지털 리터러시가 학생 개인의 스키마 영역 안에서 발현되는 창의성을 키워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이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갖추어, 다양한 도덕적 딜레마들에 직면하는 상황에서도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학생들을 공부하는 기계가 아닌 쉼과 놀이를 통해 창의적 사고를 할 수 있는 존재로 인식하고, 학생들이 스스로 질문하고 답하는 과정에서 문제의 본질과 그 해결 방안을 탐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아울러 쉼과 놀이의 과정을 통해 창의적 사고로 상상력을 증진하여 미래 사회에 대비할 수 있는 핵심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학생들이 자아 성장을 위한 힘으로서 문식성을 기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지식을 주입하는 강의 내용 전달식이 아니라, ‘파트너 관계 기반 교수법’이 필요하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이 글은 AI 시대에 부합하는 국어과에서의 문식성 교육 방향을 재설정함으로써, 국어과 교육의 외연 확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기초학력으로서 문해력(literacy) 강화를 위한 국가 수준 교육과정과 평가의 방향 탐색 ― 캐나다 British Columbia 주 정책분석을 중심으로 ―

        이경남 광주교육대학교 초등국어연구소 2022 초등국어과교육 Vol.29 No.-

        이 연구는 기초학력으로서 문해력 강화를 위한 국가 수준 교육과정과 평가 체제의 방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기초학력평가를 전수로 시행하고 교육과정에서 문해력을 교과 학습의 토대로 강조하고 있는 캐나다 BC 주의 교육과정과 평가 체제를 분석했다. 캐나다 BC 주는 핵심역량 기반 교육과정이며, 역량으로 사고, 의사소통, 개인과 사회를 설정하고 있다. 최근 개정된 캐나다 BC 주 교육과정은 문해력을 모든 교과 학습의 토대란 점을 강조하면서 교과 학습을 할 때 문해력을 고려한 교육과정 실행을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캐나다 BC 주는 기초학력평가를 전수 표집 시행하고 있으며, 4학년과 7학년을 대상으로 하고 과목은 문해력과 수리력을 설정하고 있다. 평가 결과에 대해 서열화 정보는 제공하고 있지 않고, 교육과정의 질 관리 및 학업 성취 정도를 파악하는 데 활용하고 있다. 또한, 교실 평가체제를 주 단위에서 제시하고 개별화 맞춤형 지도를 위한 노력하고 있다. BC 주의 정책분석을 바탕으로 제시한 시사점과 우리나라의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과 기초학력평가에서 문해력을 기본적인 내용으로 강조하고 있다. 둘째,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개별화 맞춤형 지도를 통한 문해력 향상을 기하고 있다. 셋째, 문해력 강화를 위해 처방적 관점보다 예방적 관점에서 교육과정과 평가 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교육과정에서 문해력을 핵심적인 역량으로 강조하고 여러 평가에서 교과 중심 체제보다 문해력을 중심으로 한 평가 체제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또한, 결과적 처방보다 문해력 부진을 예방할 수 있는 예방적 정책이 필요하다.

      • <독서교육센터>의 교육 프로그램 개발

        천경록,조용구 광주교육대학교 초등국어연구소 2021 초등국어과교육 Vol.28 No.-

        본 연구의 목적은 <독서교육센터>에 대하여 소개하고,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에 대하여 기술하는 데에 있다. Ⅱ장에서는 <독서교육센터>에 대해 간략히 소개하였다. 광주교육대학교 <독서교육센터>는 2020년 3월에 설립되었다. 센터의 목적은 공교육과 사교육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대안적 교육 모델을 실행하는 것이다. Ⅲ장에서는 <독서교육센터>의 교육 프로그램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센터에서 개발한 독서·토론·논술 교육 프로그램의 개요를 제시하고, 교재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비록 설립 초창기이기는 하지만, <독서교육센터>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학생, 학부모, 강사 모두 센터의 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만족감을 나타낸다. 앞으로 센터의 ‘강점과 약점, 기회와 위기’(SWOT)를 면밀히 분석하고 대처한다면, 더욱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실과 전담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김용익,박행모,방기혁 광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1 初等敎育硏究 Vol.16 No.1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justify the need of exclusive responsibility teachers in elementary practical arts subject, and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and problems of practical arts' teacher educa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review of literature and questionnaire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The need of exclusive responsibility teachers in elementary practical arts subject was could be justified in the aspect of social specified trend, special character of practical arts, and use of machine and equipment facilities. 2)Natural disposition needed for exclusive responsibility teachers in elementary practical arts subject was identified as possession of firm belief toward practical arts' philosophy and ideology, enough understanding and competence of practical arts, and complete knowledge and skill of instructional method. 3)The main problems of practical arts' teacher education was identified as the absences of educational goals in program, an unbalance among discipline parts, and the low degree of satisfaction toward teacher education program. 4)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educational goals of program clearly, to coordinate the discipline parts proportionately, an to recommend and experimentation & practice in teaching and performance assessment.

      • 초등 국어교과서 매체단원의 국어자료 분석 : 6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이해리 광주교육대학교 초등국어연구소 2020 초등국어과교육 Vol.27 No.-

        이 연구에서는 국어교과서 매체단원에 제시된 국어자료를 매체의 종류와 언어 사용 목적을 기준으로 분류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서 초등학교 매체교육의 이해제고와 필요성을 논하고자 하였다.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7차 교육과정에서 현재 2015개정 교육과정까지의 교육과정과 6학년 교과서를 범위로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 하였다. 6학년 국어교과서의 매체단원을 선정하여 국어자료를 두 가지의 기준에서 분석하였다. 먼저 국어 자료 본래의 매체나 혹은 자료를 제공하는 매체의 종류를 기준으로 하여 국어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상자료의 비중이 늘어나고 있으며 향후에도 학습자의 흥미유발이나 이해력 제고를 위해 영상자료의 활용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새로운 정보검색매체로‘스마트 폰’이 등장하였다. 셋째, 조사한 내용이나 자신의 생각을 효과적으로 발표하기 위한 매체를 탐색하고 발표하는 활동에서는 글과 그림, 사진 뿐 아니라 영상, 프레젠테이션 등의 점차 다양한 시각자료들이 제공되었다. 또 언어 사용 목적의 기준으로 국어자료를 분석하였다. 7차 교육과정에서부터 2007개정 교육과정까지 모든 매체 단원의 국어 자료는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글이나 담화, 영상, 그림, 사진이 전부였다. 2015개정 교육과정에 이르러서 다양한 언어 사용 목적(정보 전달, 설득, 친교·정서표현)이 나타남은 물론 학생들에게 보다 친숙한 주제의 국어자료가 제공되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교과서 속 매체 교육의 과거와 현재를 살펴 향후 국어교과서에 매체 관련 국어자료를 어떻게 반영해야 하는지에 대한 기초 조사 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본다.

      • 초등 과학과 교육의 새로운 동향

        Yager, Robert E.,최경희,남철우 광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1996 초등 교과 교육 방법의 새로운 방향 탐색 Vol.1996 No.-

        국제적으로 과학 교육에 있어서의 최근의 교육 개혁의 노력은 그 동안 지속되어 온 문제들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한 시도이며, 이러한 문제들은 지난 10여년의 연구와 학력 향상에 관한 새로운 국가적인 관심사에 의해 보다 명료하게 드러나고 있다. 과학 교육과 수학 교육의 개혁을 지원하기 위한 새로운 재정지원 및 지원 노력은 경제 성장을 과학 교육과 수학교육에 연계시키는 정치적인 판단으로부터 나온 것이다. 경제적인 문제 때문에 과학 교육을 향상시키려는 것은 30여년 전인 1957년 소련이 최초로 스푸트닉(Sputnik) 우주선을 발사함으로써 여겨진 소련 과학의 우수성에 대응하기 위해 과학 교육을 향상시키려고 했던 것보다 더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의 과학 교육이 갖고 있는 문제점들은 표준화 검사에서 점수가 낮아지고 있는 것보다 더 독특한 것들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다음과 같다. 1. 대부분의 학생들이 과학 공부를 하지 않아도 된다고 허용되자마자 과학 공부를 거부한다. 2. 자연 과학에 대한 공부보다는 기술에 흥미를 갖는 학생들이 더 많다. 3. 과학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기술들이 교실 수업이외의 다른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잇다는 것에 대한 증거가 부족하다. 4. 전형적인 과학교육프로그램들은 학생들의 자연 세계에 대한 호기심을 감소시킨다는 사실이다. (예를 들어, 학생들이 학교에서 과학 공부를 많이 하면 할수록 그들의 과학에 대한 관심은 더 떨어진다는 것이다. ) 5. 학교에서의 과학 교육의 결과로 학생들이 논리적으로 사고하고 행동하도록 배운 학생들을 배출하지 못한 것이다. 6. 학생들이 과학 시간에 "배운" 개념들을 다른 새로운 상황에 사용할 줄 모른다는 사실이다. 7. 전형적인 과학 교육을 받은 학생들은 과학과 기술에 대한 많은 잘못된 개념들이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과학교육을 받기 이전처럼이나 많은 오개념들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 8. 학생들이 과학에 대한 자신들의 공부를 학교 밖의 일상 생활에서 일어나는 것들과 연계화시키지 못한다는 것이다. 9. 과학 시간에 받은 교육을 자신의 직업 또는 학교 밖의 일의 세계와 연계화 사키지 못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과학을 연구하는 사람들에 대한학생들이 모른다는 것이다. ) 최근의 교육 개혁운동은 과학 교육의 위와 같은 문제들을 바로잡으려는 데 있는 반면에, 재정 지원에 여유가 있는 많은 나라에서는 시험 점수를 높이거나 국가가 처한 경제적인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그 초점이 모아지고 있다. 초등학교 과학 교육에 있어서의 최근 동향은 정치인들에 의해 인식되어지고 있는 문제점들이 아니라 위와 같은 과학교육의 실질적인 문제점들에 초점을 모으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