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중등 교육여건 변화의 현황과 전망

        전우수 公州敎育大學 敎育硏究所 2010 公州敎大論叢 Vol.47 No.1

        이 연구는 출생률 급감에 따라 초등학생수가 급감하는 현 상황에서 출생자 통계와 초, 중, 고 학생수 및 교사수 변화를 분석하여, 미래를 전망하고 문제점과 해결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초등학생수는 2003년 417만여 명으로 고점을 기록한 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09년 347만여 명이다. 초등 학급당 학생수는 1999년 35.4명에서 2009년 27.8명으로 감소하였고, 초등교사 1인당 학생수는 1999년 28.6명에서 2009년 19.8으로 감소하여 초등교육 여건이 지난 10년 사이에 크게 개선되었다. 2008년부터 2013년의 5년 사이에 약 85만 명 이상의 초등학생이 감소하여 년 평균 17만 명 이상씩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초등학생은 2014년까지 계속 감소할 것이다. 중학생수는 2006년 207만여 명으로 고점을 기록한 이후 다시 감소하고 있다. 학급당 학생수는 1999년 38.9명에서 2009년 34.4명으로 감소하였고, 교사 1인당 학생수는 1999년 20.1명에서 2009년 18.4명으로 감소하였다. 중학생수는 2019년까지 계속하여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고등학생수는 2004년 175만여 명으로 저점을 기록한 이후 다시 증가하여 2009년 197만여 명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2010년부터는 다시 감소로 돌아서 2022년까지 계속하여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반계 학생수는 2002년 저점을 기록한 이래 계속 증가하고 있으나, 실업계 고등학교의 학생수는 계속하여 감소하고 있다. 일반계 고등학교의 학급수와 교사수는 계속 증가하였고, 실업계 고등학교의 학급수는 계속 감소하고 있으나 교사수는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1999년 학급당 45.8명이던 학생수는 2009년 34.2명으로 감소하였고, 교사 1인당 학생수도 1999년 35.8명에서 2009년 22.1명으로 크게 감소하여 고등학교의 교육 여건이 가장 크게 개선되었다. 고등학교 졸업자의 진로는 일반계의 경우 최근 10년 평균 87%의 학생이 진학하고 있으나, 실업계는 2000년 42%가 진학하고 51% 정도가 취업했으나, 취업률이 급감하여 2009년 16.7%만이 취업하고 73.5%의 학생이 진학하고 있다. 급격한 초등학교 입학생수의 감소는 중, 고, 대학은 물론 취업 시장으로까지 연결되며 많은 문제를 야기할 것이다. 이의 완화와 아동들의 발달을 고려하여 초등 취학 시기를 3개월씩 4년간 앞당겨 만 5세에 취학하도록 하는 정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2010년 3월 현재 6천여명의 초등 임용시험 불합격자가 대기하고 있다. 이렇게 임용적체가 심각하게 된 원인은 교과부의 입학정원 책정 정책의 실패 때문이다. 따라서 교과부는 초등학교에 대하여 교과전담교사의 확대와 증치교사 제도의 부활 등의 초등교사 정원 증원 정책을 추진하여 이 문제를 해결하여야 한다. This research has been aimed for an insight into the future and suggest possible problems and solutions based on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sharp decrease of elementary students by analyzing the birth rate and changes in the number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The number of elementary students has continuously declined from the highest mark of 4.17 million in 2003 to 3.47 million in 2009. The numbe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 class has declined from 35.4 in 1999 to 27.8 in 2009. The number of elementary students per teacher has declined from 28.6 in 1999 to 19.8 in 2009, which resulted the high improvement of elementary education environment in last 10 years. In 5 years, between 2008 and 2013, the numbe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expected to decline by 0.85 million, which is average of more than 0.17 million students a year. The declining will keep until 2014. The number of middle school students peaked in 2006 with 2.07 million and has decreased since.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has fallen from 38.9 in 1999 to 34.4 in 2009. The number of students per teacher has fallen from 20.1 in 1999 to 18.4 in 2009. The number of middle school students is expected to keep declining until 2019. The number of high school students were the lowest in 2004 with 1.75 million and then increase to 1.97 million in 2009. However,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turn again to decrease again in 2010 and continue till 2022. The number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recorded the lowest level in 2002 and the number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has constantly decreased. The number of general high school classes and teachers have constantly increased. The number of vocational high school classes has been declining while the number of teachers has increased. Therefore,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has decreased from 45.8 in 1999 to 34.2 in 2009 and the number of students per teacher has greatly decreased from 35.8 in 1999 to 22.1 in 2009 which resulted in the greatest improvement of school environment. The high school graduates' courses in recent 10 years show us that the average of 87%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move into higher education. In 2000, 42%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moved into higher education while 51% were employed. However, in 2009, only 16.7% were employed while 73.5% moved into higher education. The rapid drop of students entering elementary school entrees will cause problems for secondary school and universities, as well as the job market. To ease the problem and consider the development of children, the government needs to proceed with a policy that advances the entering of elementary school by 3 months for a period of 4 years. As of March, 2010, about 6,000 certificated teachers are waiting to pass the National Elementary Teacher Selection Examination. The cause of severe accumulation in certificated teachers without job prospects is due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s failure to project the number of students entering the Universities of Education. For this reason,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should proceed with a policy to increase the number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by adapting systems such as increasing the number of Content Specific Teachers and reviving Full-time Substitute Teachers.

      • 대학생의 과학 추론 능력

        전우수 공주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0 과학교육연구 Vol.22 No.-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cientific reasoning skills of 809 students of teachers' college. ‘The test of scientific reasoning’ developed by Lawson was used as a scientific reasoning test. The cognitive stage of students is the last of the 4th or the beginning of the 5th stage by the theory of Lawson. Students showed high score in proportional and probability reasoning tasks. However, students showed low score in conservation reasoning tasks, especially volume conservation. Students showed a notably poor performance in hypothesis-testing skills comparing with other scientific reasoning skills, which supported the theory of Lawson that hypothesis-testing skills are more advanced ones than other scientific reasoning skills. There is no gender difference in the synthetical scientific reasoning skills, but women showed lower score in the conservation reasoning tasks, higher in the proportional reasoning tasks. The older students are, the lower scientific reasoning skills are. K 교육대학교 재학생 809명을 대상으로 Lawson이 개발한 과학 추론 능력을 검사 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학생들은 12점 만점에 평균 8.11 점을 얻어 Lawson의 사고 발달 이론을 적용하면 제 4단계의 마지막 또는 5단계 초기에 있음을 알 수 있다. Lawson이 주장한 경험-귀납적 사고 단계에 있는 대학생이 3.5%, 전이단계인 대학 생이 50.4%이고,가설 연역적 사고 단계에 있는 대학생은 46.1%이다. 대학생들은 수학적 연산과 관련이 깊은 비례,확률 논리에서 우수한 능력을 갖고 있다. 그러나 과학 추론 능력을 평가하는 과제 중 가장 하위 단계의 사고로 여겨지는 보존 논리 능력에서 낮은 정답률을 나타내고, 특히 부피 보존 논리 능력이 매우 낮다. 가설 연역 논리를 묻는 문항에 대한 정답률은 평균 21%에 불과하고 모든 문제를 다 맞춘 학생은 0.7%에 불과하다. 따라서 Lawson의 가설 검증 능력을 평가하는 과제 들이 Piaget식 형식적 조작 능력을 평가하는 과제보다 고등한 사고 능력이라는 Lawson의 이론은 타당하다. 남 * 여의 과학 추론 능력은 차이가 없다. 그러나 보존 논리에서 남학생아 높은 정 답률을 보이고 특히 부피 보존 논리에서 남학생이 높다. 그러나 비례 논리와 가장 상 위의 사고로 여겨지는 가설 연역 논리에서 여학생이 높은 정답률을 기록했다. 대학생은 나이가 들수록 과학 추론 능력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20세 이상 의 경우 신체적인 성숙이 과학 추론 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지 않음을 의미한다. 대학생들은 학년이 높아 과학을 더 많이 공부하였다고 하여 과학 추론 능력이 향상 되는 것은 아니다.

      • 문항 구성이 오개념 조사 결과에 미치는 효과

        전우수 공주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1998 과학교육연구 Vol.2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questionnaire types on inducing the results of the misconception research. I made two types of questionnaire (type A, type B) which has 10 problem, and each problems asks the same concep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misconception. One students group took test the A type and the other group took test the B type. 4-6 weeks later, students took test the other typ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type of misconception and cognitive character of the students are the same results which have been studied. There are different answers to the some problems, but the others are answered the same. When the type of questionnaire is different, the type of misconception is also changed. So if we use various types of questionnaire, we will find various types of misconception. The problems which have been used to investigate the misconceptions are proper.

      • 북한 핵무기에 대한 교대생들의 견해 추이

        전우수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4 敎育論叢 Vol.51 No.1

        이 연구는 공주교육대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북한의 핵무기 개발에 대한 학생들의 생각을 조사 분석한 것이다. 조 사는 2005, 2006, 2007, 2013년에 총 1,45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북한의 핵무기 개발에 찬성, 반대하는 학생들의 비율이 2005, 2006, 2007년 조사 때는 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2013년 조사에서는 크게 변하였다. 찬성하는 비율이 1/3정도로 감소하고 반대하는 비율이 크게 증가하였다. 북한의 핵무기 개발에 찬성하는 이유는 ‘미국의 위협으로부터 자신을 지키려고’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나 2013년 조사에서는 그 이전에 비 하여 크게 감소하고, 대신에 ‘우리가 못하니 북한이라도 해야 한다’는 비율이 크게 증가하였다. 북한의 핵무기 개발을 반대하 는 학생들의 생각은 4차례의 조사에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북한의 핵무기 개발에 대한 우리의 대응방안은 ‘다른 나 라들과 힘을 합쳐 북한이 핵무기를 폐기하도록 하여야 한다’는 응답자의 비율이 2005년 전체 응답자의 1/4 수준이었던 것이 2013년에는 1/2 수준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북한과의 화해와 협력을 통하여 우리에게 사용하지 않도록 하면 된다’는 학생들은 2005년 53% 이상에서 2013년 37% 이하로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2007년과 비교하여 2013년에 북한이 핵무기를 폐기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하는 학생들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 Master 방정식에 관한 연구

        田尤秀 공주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1990 과학교육연구 Vol.13 No.-

        Master equation has been studing for understanding the dynamic properties of the many perticles sy- stem. Mechanical equation of motion of the microscopic particles (Newton’s or Schrödinger’s equation) is time reversal, but phenomenological equation of the macroscopic system is irreversible of time. We can derive the master equation which is represented by the microscopic variables and reversible of time as the middle level of the macroscopic phenomenological equation and the microscopic equation by the way of some hyphothesis. I have studied the deriving process of master equation and the possibility of the transformation from the dynamics of chaotic system to the master equation.

      • 초등학생의 과학선호도 변화에 미치는 요인

        전우수 공주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4 과학교육연구 Vol.26 No.-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to find out the causal factors and to suggest the way to reduce of the gap of the preference for science by the gender difference. The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660 students randomly selected one class per 4th, 5th,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the Daejeon, Gyunggi and Choongnam province. The preference for science of male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The main factor of the gap of the preference for science by the gender difference was a thought of parent. Female students thought their parent didn't want to go scientific area to their children. The most important thing to reduce of the gap of the preference for science by the gender difference is to remove the prejudice of parent. Students had tendency to favorite answer to their sex. Especially, male students had more strongly this tendency. Boys have strong prejudice to man oriented thought. There is needed to teach reducing this biased thought.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의 과학선호도

        전우수,임성민,윤진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03 초등과학교육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up the promoting plan of science preference by survey and analysis of the preference for science of the elementary students. The preference for science is defined theoretically with three categories ; they are emotional response, behavioral response and value establishment. Casual factors of the science preference were composed of individual factor, educational factor and social factor. According to this theoretical model,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administered to 696 students of 4,5,6 grade of randomly selected eight elementary schools all over the nation. Elementary students liked science, but they didn't want to select their future job in science-technology area. The science preference of boys was higher than that of girls. The science preference of 4th grade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5th and 6th grade students. Individual factor affected the curiosity, learning interest, subject accomplishment on the science and course selection in life. Educational factor not only directly affected the curiosity, learning interest, value establishment and belief of the science but also indirectly affected the individual factor and social factor. Therefore, educational factor was the most important on the science preference. Social factor only affected the value establishment and belief on the science. Elementary students wanted to learn science through experiment and they wanted science to be easier than that of now. On the analysis of result, the promoting plan of the science preference was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