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현황 및 전공 신설에 대한 기초 연구

        최성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7 No.2

        The graduate school for special education in Daegu University is established with seven study courses such as kindergarten, elementary, therapeutic special education and visual impaired hearing impaired, mental retraded, and physical disability before 10 years. However the recent school environment is changed rapidly. One of the phenomena is full inclusion education. Because of the full inclusion all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nt to study at regular clas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status and establishment of study courses at the graduate school for special education in Daegu University. The questionnaire with 32 questions was developed for this study. Thirty questions were developed with 5-Likert scale and two questions were selected from examples. Twenty eight questions among thirty questions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The reliability of the twenty eight questions was .91. Five hundr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or regular school teachers who are working in the five cities and provinces. Four hundred and fifty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 number of the candidates to study at the graduate school for special education in Daegu University has been decreased until now from 10 years; (b) the teachers want to open the study courses for children with emotional and behavior disorder and learning disability.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graduate school for special education has to consider to open the study courses after calculation the break-even point with decreasing numbers of the candidates who are working for regular schools to study special education.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이 특수교사의 양성과 재교육을 실시한지 올해로 10년이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사의 전문성과 일반교사의 효율적인 통합교육 운영 등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특수교육대학원의 현황과 미래지향적 발전을 위한 정원 조정 등을 구상하기 위함이다. 1998년부터 2007년까지의 특수교육대학원을 지원한 인원과 입학생 등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에 지원하는 교사들의 인원은 줄어들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부산, 대구, 울산, 경남, 경북에 근무하는 일반학교 교사 450명을 대상으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에 대한 인식,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의 인식 관련 변인 간 관계, 특수교육 전공 요구 분석을 위하여 설문조사하였다. 대구대학교와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의 위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긍정적이었다. 그리고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에 진학을 희망하는 교사들의 변인은 교직경력이 적은 여교사를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에 진학을 희망할 경우에 선택할 전공은 초등특수교육, 정서ㆍ행동장애, 학습장애, 정신지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시대적 요청에 따라 새로 개설할 전공의 타당성에 대한 시사점 등을 또한 제시하였다.

      • KCI등재

        예비과학교사의 통합교육 태도와 과학 교수효능감 연구

        백상수 ( Baek Sang-su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7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6 No.1

        본 연구는 예비 과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Cochran(1990)이 고안한 통합교육태도 측정도구와 Rigg과 Enochs(1990)이 개발한 과학교수 효능감척도를 활용한 설문조사를 통해 사범대학과학교육학부에 재학 중인 2,3,4학년 156명을 대상으로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와 과학교수 효능감을 알아보았다. 특히 특수교육학 수강, 장애 가족 및 친척 유무 등의 배경변인이 통합 교육에 대한 태도에 차이를 보이는지를 알아보고, 과학교수효능감과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후 이러한 과학교수 효능감 정도의 차이에 따라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의 차이가 나타나는지 분석하여보았다. 연구 결과 통합교육의 철학적 측면(M=3.17)과 통합교육의 유익성(M=3.14)에 대해서는 다소 높게 평정을 하였으나 통합교육의 전문가적 측면(M=2.74)과 통합교육의 지원적 측면(M=2.42) 낮게 평정하였다. 예비과학교사의 과학교수 효능감과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 사이에는 약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r=.168, p<.05). 특히 과학교수 효능감의 하위영역인 과학교수 자기효능감은 통합 교육에 대한 태도의 하위영역인 통합교육의 전문가적 측면과도 약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r=.302, p<.01)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적 연구를 위한 제언, 그리고 교사 연수 및 양성에 관한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pre-service science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attitudes toward inclusion and their Science teaching efficacy. Scale for Teachers` Attitudes Toward Inclusive Classroom(STATIC) by Cochran(1990)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Instrument(STEBI) by Riggs and Enochs(1990) were adapted for this study. Statistical Analyses were used to compare responde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orrelations analysis between STATIC and STEBI was also conducted. Overall, Only pre-service science education teachers who took special education class rated them higher than their counter partners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re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STATIC and STEBI. A discussion of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re suggeste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teacher preparation also are discussed.

      • KCI등재

        통합과학교육을 위한 교수내용지식(ISE-PCK)의 요소

        김용성,문동오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2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1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모든 학생에게 유의미한 통합과학교육을 실천하는 데 필요한 교사의 전문적 지식인 통합과학교육 교수내용지식(ISE-PCK)의 구성 요소를 제안하고 각 요소를 설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통합과학교육 교수-학습 전략 등과 관련된 선행연구 및 문헌을 분석하였다. ISE-PCK는 ‘통합과학교육 교수 지향’, ‘통합과학교육 관련 교육과정 및 교수 내용에 대한 지식’,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지식’, ‘통합과학교육 교수-학습 전략에 대한 지식’, ‘학습 환경에 대한 지식’, ‘통합과학교육 수업 평가에 대한 지식’의 6가지 요소로 제안하였다. ‘통합과학교육 교수 지향’은 통합과학교육을 진행하려는 동기와 연관이 있으며, ‘학생 중심 활동’, ‘구체적 조작 중심의 학습’, ‘실생활 연계 학습’, ‘인성 함양’의 네 가지로 구분하였다. ISE-PCK는 통합과학교육을 설계하고 진행하는 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다루고 있어 이를 바탕으로 예비 및 경력 교사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예비 교사 양성 교육과정 등이 개발되어 교사들의 통합과학교육 실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새로운 교육 목표 분류 체계에 의한 7차 초등학교 과학과 수업 목표 분석

        임청환 대구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8 과학·수학교육연구 Vol.31 No.-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교육 목표 분류 체계에 의한 현행 7차 초등학교 과학과의 교육 목표를 분석하는데 있다. 기존의 교육 목표 분류 체계가 갖고 있는 문제점 분석을 통하여 새로운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 목표 분류 틀을 제시하였고 이를 통하여 3학년부터 6학년까지 수업 목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적 영역의 비중이 다른 영역에 비해서 월등히 높은 빈도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지식, 이해, 적용 능력과 같은 저수준의 교육 목표가 대부분을 차지하여 상대적으로 분석, 종합, 평가 능력과 같은 고수준의 목표가 차지하는 빈도와 비율이 매우 적다. 둘째, 탐구 과정 영역의 수업 목표 빈도와 비율이 낮고, 특히 대부분이 관찰, 측정, 분류와 같은 저 수준의 영역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문제 발견 및 해결 능력이나 이론적 모델의 설정 검증 및 수정 능력과 같은 통합적인 탐구 능력에 대한 비중이 낮다. 셋째, 대단원의 수업 목표와 차시별 수업 목표가 상급 학년으로 갈수록 각 영역의 목표가 하위 수준에서 상위 수준으로 빈도수와 비율이 적절히 높아져야 되지만 초등학교 과학과의 수업 목표에서는 이런 현상을 찾기 어렵다. 넷째, 대단원과 차시별 수업 목표 간에 일관성이 결여되어 있어서 교육 과정에 제시된 교육 목표를 구체적으로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 KCI등재

        최근 10년간의 중등특수교육대상학생의 진로직업교육 현황 및 개선 방안 고찰

        강종구,김영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0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9 No.2

        본 연구에서는 중등학교(전공과 포함) 특수교육대상학생의 교육환경별 진로직업교육 현황 및 개선 방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0년부터 2019년까지 10년 동안 ‘특수교육통계’에 나타난 중등특수교육의 진로교육 여건 및 취업 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상학생은 중학교에서 전공과까지 학년이 올라갈수록 더 많이 특수학교에 배치되는 경향이 있었으며, 경력 특수교사들은 일반적으로 일반학교보다는 특수학교에 더 많이 배치되어 있음을 보여주었다. 둘째,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상학생은 고등학교 졸업 이후의 취업에서 여전히 많은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전공과와 같은 추가적인 지원만으로는 이러한 어려움을 대처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진로직업교육을 위한 방법들로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것들을 제안하였다. 첫째, 특수학교는 진로직업교육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일반학교는 보다 많은 경력 특수교사의 배치를 포함하여 진로직업교육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수요자 중심 직업교육연수가 특수교사의 연수만족도와 직업교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생활원예 직업교육연수를 중심으로 -

        이정은 ( Lee Jung Eun ),강영심 ( Kang Young Sim ),정현지 ( Jeong Hyun Ji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4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3 No.1

        본 연구는 특수학교 직업교육 담당교사가 주도적으로 특수학교 직업교육에 필요한 직무연수를 계획하고 개설한 수요자 중심 직업교육연수로 특수교사의 직업교육연수 만족도와 직업교육 효능감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B도시에 근무하는 특수교사 11명이고, 직업교육연수는 30차시로 편성하였다. 연수는 특수교사의 원예과 장애학생 직업교육지도를 위한 생활원예 직업교육내용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특수교사가 작성한 직업교육연수 만족도와 직업교육효능감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특수교사의 연수만족도는 기존에 개설된 직무연수에 비해 평균 이상으로 매우 높은 편이었으며, 연수 이수자의 직업교육효능감이 사후에 증가하였다. 또한 교사가 연수에 대한 개인의 소감과차후 직업 수업에 대한 생각을 작성한 내용에 있어서도 연수만족도와 직업교육효능감이 긍정적으로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수요자 중심 직업교육연수가 특수교사의 연수만족도는 물론 직업교육효능감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현장에서 실시되는 교사전문성 향상을 위한 연수도 교사 중심의 직업교육연수 형태로 접근해야 교사의 만족도는 물론특수교사의 전문성 신장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training on special teachers’ training satisfaction and efficiency of job education. The training was dominantly planned by a vocational education teacher and applied to the training program for the special teachers. The subjects were 11 special teachers who live in B city. And the program was for horticultur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consisted of 30 periods of vocational living-horticulture training program. The quantitative survey through questionnaire was used to measure the satisfaction for the vocational education training and the efficiency of vocational education. Also the qualitative survey through the questionnaire for each teacher was perform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Special teachers’ training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previous normal training and the efficiency of vocational education to those who completed the training was improved after attending the program. After analyzing, training satisfaction and efficiency of vocational education were positively improved. It seems that the consumer centered vocational education training was effective on special teachers’ training satisfaction and the efficiency of vocational education. It seems to maximize the expertise of teachers through the training tailored to the needs of teachers.

      • KCI등재

        지적장애학교 교사의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교과용 도서체제 이해와 활용과의 관계 분석

        정동영,김정민,김석진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6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5 No.2

        본 연구는 지적장애학교 교사의 2011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교과용 도서의 체제 이해와 활용과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지적장애학교에 근무하는 특수교육 교사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지적장애학교 교사의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교과용 도서체제에 대한 이해도는 전반적으로 낮은 편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내적체제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지적장애학교 교사의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교과용 도서의 활용도도 전반적으로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적장애학교 교사의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교과용 도서 활용도는 그들의 교과용 도서체제, 특히 교과서 내적체제의 이해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적장애학교 교사의 교과용 도서 활용도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교과용 도서 개발 이후 그 체제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발달장애유아의 신체활동(건강)교육 실태 및 효율적 운영에 관한 연구 - 통합 및 장애전담어린이집을 중심으로 -

        송호준 ( Song Ho Jun ),옥정달 ( Ok Jung Dal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4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3 No.1

        본 연구는 발달장애유아의 신체활동(건강)교육 현황 및 실태와 효율적 운영방안을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 경북, 대구, 울산 지역 어린이집 교사(통합 및 장애전담어린이집) 12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은 발달장애유아의 신체활동(건강)교육 실시현황 및 운영현황, 신체활동(건강)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신체활동(건강)교육 목표와 그 효율적 수행을 위한 중점개선사항 및 신체활동(건강)교육 전담교사의 필요성에 대한 질문을 포함하였고, 그 결과를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유아의 신체활동(건강)교육은 필요하다고 나타났으며, 관련 자격으로 유아특수교사, 보육교사, 생활체육교사들이 신체활동(건강)교육을 진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부분 발달장애유아의 신체활동(건강)교육은 실시하고 있지만 지도법, 경제적 부담 및 프로그램 부족으로 실시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발달장애유아의 신체활동(건강)교육은 신체인식, 기본운동능력함양, 기초체력증진을 위하여 감각기관 활용, 신체인식, 신체활동 참여하기 등을 교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신체활동(건강)교육의 어려움을 갖는바 체계적 신체활동(건강)교육을 위한 전담교사의 필요성과 유아에게 적합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발달장애유아의 효율적 신체활동(건강)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유아특수체육 교과개설, 전문체육교사 양성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current physical activity education and its effective management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everal child care centers which are located in Seoul, Daegu and Ulsan. The study was based upon the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questionnaires answered by 126 teachers who work for child care center. A questionnaire was designed to measure teacher’s recognition of physical education,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nd teacher’s role in effective managemen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secure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and percentage for each i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hysical activity education was crucial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program was executed b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child care teachers, an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Second, physical activity education was mostly executed, but it had difficulty in applying the method of educational institution because of financial burden and shortage of a program for child care center. Third, the aims of physical activity education were the perception of body, basic exercise capacity and basic physical strength improvement.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sensory modulation, body-awakeness and participating in physical activity education were used.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have professional physical educators and programs development for systematic physical activity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the authors suggested that physical educator’s professional development should be equipped and the systematic physical activity education/ program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hould be designed.

      • KCI등재

        장애학생 인권교육 실행의 어려움 및 지원방안 연구

        정성은,정대영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9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specific support plan to improve the quality of human rights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order to pinpoint a more systematic measures to support the difficulties in giving human rights education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is research conducted a focus group interviews on 8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education professionals. As a result, the challenges faced by the teachers were as follow: there are lack of awareness and understanding for the human rights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re is over-burden of work to give human rights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teachers lack the ability to give out human rights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schools lack the materials and programs for giving out the human rights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t is difficult to cooperate with local community organizations. Accordingly, to solve the challenges of implementing human rights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y suggested supplementation of legal system and educational policy of human rights education of disabled students and establishment of effective support policy. They also requested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standardized manual.oreover, they also claimed that support for training and education for teachers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professionality to acquire professional knowledge and method of human rights education of disabled students, and development of concrete material and program based on demand from actual educational site. Moreover, for seamless process of human rights education of disabled students, the environment of active support and role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should be strengthened, and active support system for implementing effective human rights education of disabled students by suggesting construction of network for supporting human rights education of disabled students is appeared to be necessary. 본 연구는 장애학생 인권교육을 질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지원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장애학생 인권교육 실행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보다 체계적인 지원방안을 제시하고자 8명의 특수교사와 교육전문직을 대상으로 초점 집단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우선 장애학생 인권교육 실행의 어려움에는 장애학생 인권교육에 대한 인식 및 이해 부족, 장애학생 인권교육 관련 업무부담 가중, 장애학생 인권교육 수행능력 부족, 장애학생 인권교육 자료 및 프로그램의 미비, 지역사회 유관기관과 연계협력의 어려움 등으로 표출되었다. 이러한 장애학생 인권교육 실행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지원방안으로는 장애학생 인권교육에 관한 법제도 및 교육정책의 보완과 실효성 있는 지원정책 수립을 제안하였으며, 표준화된 매뉴얼의 개발 및 보급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그리고 장애학생 인권교육에 필요한 전문적인 지식과 방법 등을 습득할 수 있도록 교사의 전문성을 신장하기 위한 연수 및 교육에 대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하고, 실제 교육 현장의 요구를 반영한 체계적인 자료 및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장애학생 인권교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는 교육 환경 조성과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역할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고 하였으며, 장애학생 인권교육 지원 네트워크 구축을 제안함으로써 효과적인 장애학생 인권교육을 실행하기 위해서 적극적인 지원 체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