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현황 및 전공 신설에 대한 기초 연구

        최성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7 No.2

        The graduate school for special education in Daegu University is established with seven study courses such as kindergarten, elementary, therapeutic special education and visual impaired hearing impaired, mental retraded, and physical disability before 10 years. However the recent school environment is changed rapidly. One of the phenomena is full inclusion education. Because of the full inclusion all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nt to study at regular clas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status and establishment of study courses at the graduate school for special education in Daegu University. The questionnaire with 32 questions was developed for this study. Thirty questions were developed with 5-Likert scale and two questions were selected from examples. Twenty eight questions among thirty questions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The reliability of the twenty eight questions was .91. Five hundr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or regular school teachers who are working in the five cities and provinces. Four hundred and fifty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 number of the candidates to study at the graduate school for special education in Daegu University has been decreased until now from 10 years; (b) the teachers want to open the study courses for children with emotional and behavior disorder and learning disability.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graduate school for special education has to consider to open the study courses after calculation the break-even point with decreasing numbers of the candidates who are working for regular schools to study special education.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이 특수교사의 양성과 재교육을 실시한지 올해로 10년이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사의 전문성과 일반교사의 효율적인 통합교육 운영 등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특수교육대학원의 현황과 미래지향적 발전을 위한 정원 조정 등을 구상하기 위함이다. 1998년부터 2007년까지의 특수교육대학원을 지원한 인원과 입학생 등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에 지원하는 교사들의 인원은 줄어들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부산, 대구, 울산, 경남, 경북에 근무하는 일반학교 교사 450명을 대상으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에 대한 인식,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의 인식 관련 변인 간 관계, 특수교육 전공 요구 분석을 위하여 설문조사하였다. 대구대학교와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의 위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긍정적이었다. 그리고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에 진학을 희망하는 교사들의 변인은 교직경력이 적은 여교사를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에 진학을 희망할 경우에 선택할 전공은 초등특수교육, 정서ㆍ행동장애, 학습장애, 정신지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시대적 요청에 따라 새로 개설할 전공의 타당성에 대한 시사점 등을 또한 제시하였다.

      • KCI등재

        예비과학교사의 통합교육 태도와 과학 교수효능감 연구

        백상수 ( Baek Sang-su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7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6 No.1

        본 연구는 예비 과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Cochran(1990)이 고안한 통합교육태도 측정도구와 Rigg과 Enochs(1990)이 개발한 과학교수 효능감척도를 활용한 설문조사를 통해 사범대학과학교육학부에 재학 중인 2,3,4학년 156명을 대상으로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와 과학교수 효능감을 알아보았다. 특히 특수교육학 수강, 장애 가족 및 친척 유무 등의 배경변인이 통합 교육에 대한 태도에 차이를 보이는지를 알아보고, 과학교수효능감과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후 이러한 과학교수 효능감 정도의 차이에 따라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의 차이가 나타나는지 분석하여보았다. 연구 결과 통합교육의 철학적 측면(M=3.17)과 통합교육의 유익성(M=3.14)에 대해서는 다소 높게 평정을 하였으나 통합교육의 전문가적 측면(M=2.74)과 통합교육의 지원적 측면(M=2.42) 낮게 평정하였다. 예비과학교사의 과학교수 효능감과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 사이에는 약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r=.168, p<.05). 특히 과학교수 효능감의 하위영역인 과학교수 자기효능감은 통합 교육에 대한 태도의 하위영역인 통합교육의 전문가적 측면과도 약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r=.302, p<.01)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적 연구를 위한 제언, 그리고 교사 연수 및 양성에 관한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pre-service science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attitudes toward inclusion and their Science teaching efficacy. Scale for Teachers` Attitudes Toward Inclusive Classroom(STATIC) by Cochran(1990)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Instrument(STEBI) by Riggs and Enochs(1990) were adapted for this study. Statistical Analyses were used to compare responde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orrelations analysis between STATIC and STEBI was also conducted. Overall, Only pre-service science education teachers who took special education class rated them higher than their counter partners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re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STATIC and STEBI. A discussion of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re suggeste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teacher preparation also are discussed.

      • KCI등재

        통합과학교육을 위한 교수내용지식(ISE-PCK)의 요소

        김용성,문동오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2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1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모든 학생에게 유의미한 통합과학교육을 실천하는 데 필요한 교사의 전문적 지식인 통합과학교육 교수내용지식(ISE-PCK)의 구성 요소를 제안하고 각 요소를 설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통합과학교육 교수-학습 전략 등과 관련된 선행연구 및 문헌을 분석하였다. ISE-PCK는 ‘통합과학교육 교수 지향’, ‘통합과학교육 관련 교육과정 및 교수 내용에 대한 지식’,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지식’, ‘통합과학교육 교수-학습 전략에 대한 지식’, ‘학습 환경에 대한 지식’, ‘통합과학교육 수업 평가에 대한 지식’의 6가지 요소로 제안하였다. ‘통합과학교육 교수 지향’은 통합과학교육을 진행하려는 동기와 연관이 있으며, ‘학생 중심 활동’, ‘구체적 조작 중심의 학습’, ‘실생활 연계 학습’, ‘인성 함양’의 네 가지로 구분하였다. ISE-PCK는 통합과학교육을 설계하고 진행하는 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다루고 있어 이를 바탕으로 예비 및 경력 교사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예비 교사 양성 교육과정 등이 개발되어 교사들의 통합과학교육 실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특수교육학개론을 수강한 예비교사의 특수교육 전문성과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이신영 ( Lee Shin-young ),강경호 ( Kang Kyung-ho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1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0 No.4

        본 연구는 교직이수 필수과목인 특수교육학개론 수강이 예비교사의 특수교육 전문성과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변화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특수교육 및 통합교육 전문성 확장을 위한 이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기초적인 제언을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Y시, 경상북도 K시, 충청북도 J군에 소재한 대학의 사범대학과 교육대학원 학생 107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대면 및 비대면 설문조사 결과와 연구참여자 11명의 포커스 그룹 면담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학개론 수강은 예비교사의 특수교육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이 보통 수준보다 높고, 특수교육에 대한 이해와 교사의 전문성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육학개론 수강은 통합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하위영역에서 학생보다 대학원생의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포커스 그룹 면담 결과 교사의 전문성 확장을 위해 특수교육대상자에 대한 인식과 태도 변화, 특수교육학개론의 확장, 통합교육 관련 필수 교직과목 개설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하였고, 예비교사의 특수교육 및 통합교육 전문성을 위한 개선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taking a course titled “Introduction of Special Education” changed the perceptions of general education pre-teachers regarding special education expertise and inclusive education. 107 undergraduate and graduate pre-teachers were recruited in the three municipal provinces of South Korea. They participated in a survey and a group of 11 attended multiple focus group interview sessions.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ourse affected the higher scores of pre-teachers’ perceptions on special education expertise than average-level as well as resulted in positive perspectives on special education. Second, the course improved the perception of pre-teachers regarding inclusive education, especially graduates showed the higher scores on the perceptions than undergraduates. Third, the focus group interviewees expressed the changes in attitudes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improvements of curriculum, and additional required courses in inclusive educat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author proposed suggestions for improving pre-teachers’ development in special education expertise and inclusive education.

      • KCI등재

        장애학생의 인공지능(AI) 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메타포 분석

        백수진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4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3 No.1

        본 연구는 장애학생의 인공지능(AI) 교육에 대한 특수교사들의 인식을 메타포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 디지털 시대에 발맞추어 특수교육의 나아가야 할 방향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특수교사들이 인식한 장애학생의 AI 교육에 대한 대표 메타포와 특성, 특수교사에게 AI 교육에 대한 대표 메타포와 특성을 연구 문제로 정하고 5개의 광역시와 4개의 도(道)에서 근무하고 있는 특수교사들을 대상으로 편의 표집하여 은유적 표현과 그 의미를 산출하였다. 104개의 메타포를 분석하여 연구문제 1에 따라 그 의미가 유사한 용어로 재분류하여 44개의 대표 메타포로 축소·분류하였고, 4가지 관점과 7가지 주제로 구성하였다. ‘무한한 가능성을 끌어낼 미래교육’, ‘미래사회의 필수교육’, ‘사회와 연결짓는 소통의 도구’, ‘편의를 위한 개별 맞춤 교육’, ‘함께 있으면 즐거운 친구 같은 존재’, ‘어렵고 힘든 도전’, ‘일장일단(一長一短)의 양면성을 가진 도구’로 범주화 하였다. 연구문제 2에 따라 42개의 대표 메타포로 축소·분류하였고, 3가지 관점과 6가지 주제로 구성하였다. ‘새롭고 이로운 교육방법’, ‘필요할 때 도움을 주는 맞춤 보조교사’, ‘필요하고 중요한 미래교육’, ‘도전해야 할 과제’, ‘동전의 양면’, ‘아직은 시기상조’로 범주화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특수교사들의 장애학생에 대한 AI 교육에 대한 주관적 인식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특수교육분야에서 보다 성공적인 디지털교육 교육을 위한 방향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pecial teachers' percepti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rough metaphor analysis and to prepare basic data for the direction of special education in keeping with the digital age. A total of 104 metaphors were analyzed and reclassified into terms with similar meanings according to research question 1, they were then reduced and classified into 44 representative metaphors, which were then further organized into four perspectives and seven theme. ‘Future education that will bring out infinite possibilities,’ ‘Essential education for the future society,’ ‘Tools of communication to connect with society,’ ‘Individualized education for convenience,’ ‘A friend who is fun to be with,’ ‘Difficult and difficult challenges,’ and ‘tool with both pros and cons.’ According to research question 2, it was reduced and classified into 42 representative metaphors and composed of three perspectives and six themes: ‘new and beneficial educational methods,’ ‘customized assistant teachers who provide help when needed,’ ‘necessary and important future education,’ ‘tasks to be challenged,’ ‘two sides of the same coin,’ and ‘it is still too early.’ Through this study, special teachers' subjective perceptions of AI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examined; based on this, directions for more successful digital education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were provided.

      • KCI등재

        수요자 중심 직업교육연수가 특수교사의 연수만족도와 직업교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생활원예 직업교육연수를 중심으로

        이정은, 강영심, 정현지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4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3 No.1

        본 연구는 특수학교 직업교육 담당교사가 주도적으로 특수학교 직업교육에 필요한 직무연수를 계획하고 개설한 수요자 중심 직업교육연수로 특수교사의 직업교육연수 만족도와 직업교육 효능감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B도시에 근무하는 특수교사 11명이고, 직업교육연수는 30차시로 편성하였다. 연수는 특수교사의 원예과 장애학생 직업 교육지도를 위한 생활원예 직업교육내용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특수교사가 작성한 직업교육연수 만족도와 직업교육효능감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특수교사의 연수만족도는 기존에 개설된 직무연수에 비해 평균 이상으로 매우 높은 편이었으며, 연수 이수자의 직업교육효능감이 사후에 증가하였다. 또한 교사가 연수에 대한 개인의 소감과 차후 직업 수업에 대한 생각을 작성한 내용에 있어서도 연수만족도와 직업교육효능감이 긍정적으로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수요자 중심 직업교육연수가 특수교사의 연수만족도는 물론 직업교육효능감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현장에서 실시되는 교사전문성 향상을 위한 연수도 교사 중심의 직업교육연수 형태로 접근해야 교사의 만족도는 물론 특수교사의 전문성 신장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발달장애유아의 신체활동(건강)교육 실태 및 효율적 운영에 관한 연구 : 통합 및 장애전담어린이집을 중심으로

        송호준, 옥정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4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3 No.1

        본 연구는 발달장애유아의 신체활동(건강)교육 현황 및 실태와 효율적 운영방안을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 경북, 대구, 울산 지역 어린이집 교사(통합 및 장애전담어린이집) 12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은 발달장애유아의 신체활동(건강)교육 실시현황 및 운영현황, 신체활동(건강)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신체활동(건강)교육 목표와 그 효율적 수행을 위한 중점개선사항 및 신체활동(건강)교육 전담교사의 필요성에 대한 질문을 포함하였고, 그 결과를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유아의 신체활동(건강)교육은 필요하다고 나타났으며, 관련 자격으로 유아특수교사, 보육교사, 생활체육교사들이 신체활동(건강)교육을 진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부분 발달장애유아의 신체활동(건강)교육은 실시하고 있지만 지도법, 경제적 부담 및 프로그램 부족으로 실시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발달장애유아의 신체활동(건강)교육은 신체인식, 기본운동능력함양, 기초체력증진을 위하여 감각기관 활용, 신체인식, 신체활동 참여하기 등을 교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신체활동(건강)교육의 어려움을 갖는바 체계적 신체활동(건강)교육을 위한 전담교사의 필요성과 유아에게 적합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발달장애유아의 효율적 신체활동(건강)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유아특수체육 교과개설, 전문체육교사 양성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 대구지역교육청 수학영재학급 프로그램 분석

        최창우 大邱敎育大學校 科學敎育硏究所 2021 과학·수학교육연구 Vol.44 No.-

        In 2015 year present,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almost all primary schools educate gifted students. However, there are so many problems are pointed out in qualitative aspects in spite of quantitative increase of gifted students classes. One of the problems is how to educate the slected gifted students with what kinds of program. This problem is the same in gifted education center of regional office of education. They don’t have a systematic curriculum and program but curriculum and program is changed by instructor taking charge of the gifted education class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raw out some suggestive points by analysing gifted education program in terms of curriculum regional distribution or type of themes of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60 units program in 20 themes are there in every grade and every unit consists of 40 minutes instruction. This means short of study of learning contents for grade and theme and so the development of program differentiated according to level of students or themes is needed. Second, the program of figure region were managing the highest and measurement and probability and statistics were lower frequency relatively and so various region programs are needed to develop and moreover trying of to select and develop interdisciplinary theme is needed. Third, in the analysis of type of theme, problem solving was the highest and manipulative material and game or puzzle using were low relatively. Fourth, there is no routine curriculum in gifted education program and the curriculum for mathematics gifted students are various and setting up arbitrary and so gifted students are having a different classes according to the choice of gifted education center. To improve these problems, we must try gifted students to have educated consistent and systematic education by suggesting national gifted education curriculum and assessment for gifted students of mathematics.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를 포함한 대구의 지역 교육청, 교육청산하 초등학교의 영재학급을 중 심으로 이미 개발되어 보급된 수학영재 프로그램들을 교육과정 영역별 분포나 프로그램들의 주제유형을 근간으로 하여 각 지역 교육청별로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를 비교 분석하여 그 시사 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분석한 결과는 저학년용 프로그램의 개발도 필요하며, 여러 영역이 서로 통합 혹은 융합하는 주제를 선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학년별 학생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유형 을 달리하여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국가적인 차원의 영재교육과정을 제시하여 어느 지역의 학 생이든 일관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을 받을 수 있게 하여야 함을 시사 받을 수 있었다.

      • KCI등재

        특수교육학개론 교수학습 방법에 따른 예비 일반교사의 통합교육 관련 교사 효능감과 장애 인식 변화

        김주선 ( Kim Joo-sun ),김희주 ( Kim Hee-ju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1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현장에서 통합교육을 이끌어가게 되는 예비 일반교사들을 대상으로 강의, 문제해결학습, 서비스 러닝으로 구성된 특수교육학개론 과목 이수 후 통합교육 관련 교사 효능감과 장애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확인하고, 구체적으로 특수교육학개론 교수학습 방법 중 어떠한 영역이 변화를 이끌었는지를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통하여 장애학생의 효과적인 통합교육을 위하여 예비 일반교사들의 교사교육의 실제적 적용 요소들을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특수교육학개론 수업을 수강하는 예비 일반교사 116명을 대상으로 5점 척도 설문을 통하여 장애에 대한 인식과 교사효능감을 측정하였으며, 사전과 사후 변화에 대하여 대응표는 t-검증으로 분석하였고, 변화의 영향을 미친 수업 영역에 대하여는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특수교육학개론 수업은 예비 일반교사의 통합교육 관련 교사 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강의를 통하여 통합교육 관련 교사 효능감이 향상되었다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육학개론 수업은 예비 일반교사들의 장애에 대한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비스 러닝을 통하여 장애에 대한 인식 변화가 되었다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연구 결과를 통하여 예비 일반교사의 통합교육 관련 역량 및 장애인식에 도움이 되는 특수교육학개론 수업 구성 및 교수법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으며, 주요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 및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hanges in pre-general teachers' efficacy and perceptions of disability related to inclusive education after completing the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course consisting of lectures, problem-based learning, and service-learning. The perception of disability and teacher efficacy were measured through a 5-point scale questionnaire for 116 preliminary general teachers taking an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class, and the correspondence table for pre- and post-change was analyzed by t-testing, and the impact of change.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the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classes had a positive effect on teachers' efficacy related to inclusive education of pre-general teachers, and most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eachers' efficacy related to inclusive education improved through lecture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class introductory special edu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ption of disability among pre-general teachers, and most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perception of disability was changed through service-learning. Through the results of the study, discussed and suggestions were ma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