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스칼라 장론의 재규격화 가능성

        洪錫寅 仁川敎育大學校科學敎育硏究所 1999 과학교육논총 Vol.11 No.-

        본 논문에서는 Callan의 방법에 따라 질량을 가진 4차원 스칼라 φ⁴ 장론의 재규격화 가능성을 논한다. 먼저 골격 전개와 Weinberg 정리를 사용하여, 발산하는 내부도표를 가진, 외관적으로 수렴하는 도표들의 재규격화 가능성을 보인다. 그리고 운동량 공간에서, 한 입자를 양분할 수 없는, i 개의 φ² 연산자 삽입을 가진 재규격화된 n점 상관함수인 고유 꼭지점 ??에 대한 재규격화 군 방정식인 Callan-Symanzik 방정식을 유도하고 이를 이용하여 외관적으로 발산하는 고유 꼭지점들 ??, ??, ??, ?? 중에서 ??에 대하여 재규격화 가능성을 귀납적으로 증명한다. 덧붙여, 재규격화 군의 바탕에 깔려 있는 대칭성으로서 함수 자기 상사성을 논한다. In the present paper, we discuss the renormalizability of massive scalar φ4 field theory in four dimensions α lα Callan. Using skeleton expansion and Weinberg theorem, we show the renormalizability of superficially convergent diagrams that have divergent subdiagrams. We derive the renormalization group equation (Callan-Symanzik equation) for proper vertices ??, the renormalized 1PI n-point correlation functions with i φ2 insertions in momentum space, and among the superficially divergent proper. vertices ??, ??, ?? and ??, prove the renormalizability of ?? inductively as an application of the Callan-Symanzik equation. In addition, the functional self-similarity is discussed as the underlying symmetry of renormalization group.

      • 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의 과학교육환경에 관한 연구

        조혜경 인천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1 과학교육논총 Vol.13 No.-

        본 연구는 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의 과학교육환경에 관한 조사 연구로 과학교육연구소의 인적 구성면, 시설면, 역할, 과학교육교수-학습 활동 지원 현황 등에 관한 실태 조사를 한 것으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전국 교육 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의 소장은 많은 학교에서 과학교육과의 교수가 맡아 하고 있으며, 과학교육과, 수학교육과의 대부분의 교수와 컴퓨터 교육과, 실과교육과 교수가 약간 운영에 참여하고 이싸. 또한 전임조교는 8개교 겸임조교는 3개교에서 확보하고 있었다. 2.소장실, 사무실, 기자재 보관실 등의 시설물이 열악한 실정이다. 3. 과학교육연구소의 역할로 연구 논문집 발간, 각종 인쇄물 제작은 전국 교육 대학교가 공동으로 하고 있었으며, 학교에 따라 다르지만 현장 연구대회, 각 종 세미나, 강연회 등을 운영하고 있었다. 그러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과학교육 관련 실험활동의 자료 및 기기의 확보, 보관, 대여를 하고 있는 학교는 그리 많지 않았다. 또한 보유 현황과 재정도 열악한 상태이며 관리를 위한 전문인력도 부족한 실저이다. 4.대부분의 과학교육연구소는 시설의 빈야과 인적·물적 자원 부족으로 설립 목적에 부합되는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실정이므로 이에 따른 자구책의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고 본다. In this study the science education environment of science education research centers in the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 were explored through the survey on the composition of staffs, facilities, roles, facilitation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of science education,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Directors of science education research centers in all of the Universities of Education were professors of the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Most of the professors in the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and that of math education, and some of the professors in the department of computer education and that of practical arts took part in the operation of the research centers. In the 8 Universities of Education, research centers had full time assistants, whereas in the 3 Universities of Education the center had assistants serving for 2 offices at the asme time. 2.The facilities like the offices of the directors, offices of the research centers, the Universities Education storages to keep apparatus and materials were in poor condition in all the Universities of Education. 3.All of the science education research centers published academic journals and various printed mateerials. But few centers purchased, kept, and lent materials and apparatuses for experiments related with science education. The amount of materials and apparatuses they kept and thir financial condition were very poor, and the centers were in need of qualified staffs. 4.Most of the science education research centers were in lack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and so they did not properly perform required roles. Some devices needed to be worked out to get out of this present condition.

      • 교육대학교 학생들과 초등학교 교사들의 이해도 분석 : Seasonal Variation and Solar Radiation 계절의 변화와 태양복사 에너지

        이희순,조혜경 仁川敎育大學校 科學敎育硏究所 1997 과학교육논총 Vol.9 No.-

        인천교육대학교 1,4학년 학생들과 경기도의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태양복사 에너지가 계절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묻는 문제를 제시하여주고 이를 주관식으로 답안을 작성하게하여 각 집단의 이해도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 내용을 대학에서 수업하기전에 실시한 교육대학교 1학년생들은 전체적으로 74.5%의 학생들이 정답에 준하는 답을 보였으며, 이러한 답의 비율은 고등학교때 문·이과에 따라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엄격한 좁은범위의 정답율은 41.4%로 고등학교때 문과(37.4%)와 이과(56.7%)에 따라 비교적 큰 차이를 보였다. 임용고사 전에 시험을 실시했기 때문에 예비교사로서의 특성을 지닌다고 할수 있는 4학년 학생들은 전체적으로 88.3%의 대다수의 학생이 정답에 준하는 답변을 하였으며, 엄격한 좁은 범위의 답도51.5%로 1학년학생들에 비해 높았다. 특이할만한 것은 4학년 학생들의 답변은 고등학교때 이과학생이었던 학생과 문과학생이었던 학생들의 정답율이 많은 차이가 나지는 않은 것으로 이는 교육대학교를 다닌 4학년동안 전과목을 골고루 학습하는 데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초등학교 교사들은 주로 경기도 지역에 근무하는 교사들로 근무연한이 대략5년정도되는 교사들이며, 교육대학교 학생들과는 달리 사전 실험을 거쳤다. 사전 실험후 이러한 실험의 결과가 실제 태양과 지구의 상황에서 어떻게 영향을 주는가에 대한 논의는 생략하고 시험을 실시하였다. 교사들중 32.3%가 엄격한 의미의 정답을 제시하였고 정답에 준하는 답을 제시한 비율은 58.9%로 오히려 교육대학교 학생들보다 낮다. 또한 교사들은 태양과 지구의 거리에 따른 효과를 또다른 중요한 요인으로 함께 기재한 경우가 많았는데 이는 사전 실험의 영향으로 생각되며 이를 포함한 비율은 91.2%이다. 결론적으로 교육대학교 학생들과 교사들은 비교적 양호한 개념을 가지고 있으며 일부가 전부터 가지고 있던 선개념을 그대로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 levels of the freshmen and seniors of Inch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the elementary teacher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solar radia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temperature. Freshmen took an examination before learning this concept in University which was set up a purpose to test the learning level in high school. They get correct answers in broad criterion up to rate of 74.5% which had not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students in science and literary course in high school , but in strict criterion up to rate of 41.4% which had large difference between students in science(56.7%) and literary(37.4%) course. Senior students took an examination in the second semester which was set up to test the learning level as pre-service teachers. They get correct answers in broad criterion up to rate of 88.3 % and in strict criterion up to 51.5% which had not meaningful differences in both criterions between students in science and literary course in high school.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have about 5-year carrier and worn KyungGi-do. The teachers was taken two experiments before test. The experiments was how it effects on temperature of an test area as it was varied that the distance( or angle ) from a heat radiation source. Teachers get correct answers in broad criterion up to the rate of 58.9 and in strict criterion up to 32.3%. It is not pertinent that the direct comparison of the correct rates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because tethers was taken experiments before the test. And it is considerable that the effect of preconception in students and teachers.

      • 인천교육대학교 과학ㆍ수학 영재 캠프의 운영에 관한 기초 연구

        송상헌,정동권,강호감,여상인,노석구 인천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3 과학교육논총 Vol.15 No.-

        경기도와 인천시의 초등교사 양성을 책임지고 있는 인천교육대학교의 입장에서는 경기·인천지역의 초등 과학과 수학분야의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하려는 학생들에게 기대와 요구를 충족시켜 줄 책임과 의무가 있다. 이에 인천교육대학교에서는 과학교육연구소가 중심이 되어 영재교육연구원이나 영재교육원을 설치하기 위한 장기적인 목표 하에 과학·수학 영재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실제적인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에 따라, 우선 실험적으로 캠프 형식의 운영을 실험해 보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구체적인 현장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인천교육대학교에서 주관하는 영재교육추진 기본 계획 수립을 위한 초등 과학·수학분야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모델과 그것의 실천에 필요한 장기적인 전망을 제안한다. 캠프에서 운영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성격은 심화형의 다 주제 탐구형으로 진행하면서 다양한 교과나 체험을 위주로 한 내용과 형식을 갖출 것을 권장한다. 영재캠프에 참가할 수 있는 자격 조건과 선발 기준은 운영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의 내용과 성격에 가장 부합하도록 특성화되어야 하고, 캠프에 참가한 학생들에 대한 지속적인 사후 관리가 필요하다. 지속적인 교육과 운영을 위해서는 장기적인 연구 계획 및 예산 수립이 필요하며, 각 교과의 전문가들과 보다 장기적인 공동연구를 수행해야만 한다. 그러면서 영재교육연구원이나 영재교육원의 운영을 목표로 영재교사 양성을 위한 직무연수 프로그램이나 부설 사회교육원의 프로그램을 통해 학부모 교실을 운영할 수 있음도 제안한다. This is a basic study on the science and math camp program for the gifted and talented children in science and mathematics. We organized and managed empirical camp twice for 2 years. From those experiences, we proposed a sample model to manage good camp and a long term vision. This is the result of the basic study on the management of the science and mathematics camp program in Inch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과학 교육 정상화를 위한 제언

        김기융 仁川敎育大學校 科學敎育硏究所 1987 科學數學敎育年報 Vol.4 No.-

        과학사적 통칙에 따르면 과학 교육의 현황은 과거에서 비롯된 진보과정의 반영이며 앞으로의 과학 교육의 진화를 도모함에는 오늘의 제반상황과 문제점을 성찰하여 반성ㆍ검토한 것을 근거로 그 개선책을 신중히 강구해야한다. 우리의 과학 교육 진흥은 시급히 성취해내야 하는 기본과제의 하나이며 몇몇 사람이 책임져야 하는 것도 아니고 책임질 수 있는 성질의 것도 아니다. 이문제는 적어도 과학 교육에 관여하고 있는 모든 사람들이 공동의 목표하에 현재의 문제점을 신중히 검토하여 중지를 모아 공동의 목표를 재확인하며 계속, 연구, 노력하는 분위기를 조성할 때 밝고 바른 내일의 과학 교육의 모습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과학적 소양과 심화-보충 지도를 위한 효과적인 과학 교수 전략으로서 과제 학습의 제안

        권난주 仁川敎育大學校 科學敎育硏究所 2003 과학교육논총 Vol.15 No.-

        제 7차 과학과 교육과정이 연차적으로 시행되어 초등학교 전 학년에 걸쳐 운영된 이후, 학교 수업 현장에서 과학을 가르치는 데 가장 큰 변화이자 부담을 등장한 것이 수준별 심화 보충 활동이다. 한편, 현대의 과학교육 목표 중에 가장 부각되고 있는 것이 과학적 소양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과학의 대중화나, 통합 과학적인 노력들이 여러 이론들의 이름으로 투입되었지만 아직도 과학의 생활화는 요원하다. 과학은 과학대로, 생활은 생활대로인 점이다. 새로운 교육과정에 익숙하게 적응하는 시간이 아직은 부족하여, 보다 효율적인 여러 교수학습 전략이 부족한 탓도 클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다 생활과 가까운 과학, 그러면서도 탐구적인 과학의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적인 과학교수-학습 방법의 하나로 과제 학습 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Since the implementation of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the differential enriched/ supplementary activities of science class are load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Also, one of the most important objects of science education is scientific literacy. Considering this points, more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is needed. This study proposed task-learning strategy for the demands and goals of new national science curriculum. In the school science, task-learning will make students do the enriched/ supplementary activities and cultivate scientific literacy. And the tasks give experiences of scientific inquiry and self-oriented learning to students. It is expected that from now on science teachers 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are interested in this field will pick out many kinds of investigation materials, ideas, and task subject or the theme of assignment.

      • 생명의 숲에서의 자연환경 체험 프로그램 자료개발 : 홀리스틱 교육에서의 통합적 환경교육 접근방안으로

        송상헌,김현재 인천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1 과학교육논총 Vol.13 No.-

        본 연구는 학생들의 정서적 교육분위기 고조와 자연의 신비함, 자연 환경의 소중함을 깨닫게 하는 구체적인 체험자료를 제시함으로 학생들에��생태학적 소양을 함양시킬 수 있는 생명의 숲에서 자연환경 체험 활동 프로그램자료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홀리스틱 교육 관점과 통합성의 의미, 통합적 환경교육을 탐색해 본 뒤 통합적 숲 활동 프로그램자료로서 과학개념을 중심으로 한 4가지 주제단원의 17개 활동과 수학개념을 중심으로 한 3가지 주제단원의 8개 활동을 개발하여 부록에 수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program materials for natural environmental experience in forest of life. We developed 17 activities of 4 topice based on scientifical concept and 8 activities of 3 topics based on mathematical concept. All those were according to the theory of holistic education, integrated curriculum and integrated environmental education. The developed program materials were given as appendix.

      • 과학영재교육 담당교원의 전문성 개발에 관한 연구

        강호감,최선영 仁川敎育大學校 科學敎育硏究所 2004 과학교육논총 Vol.16 No.-

        본 논문은 과학영재교원의 자질은 어떠해야 되며, 이들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 현행의 제도를 살펴보고, 현재 각 연수 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연수의 방법과 내용을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바람직한 연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과학영재교육 담당 교원은 과학영재 교육의 필요성, 과학영역의 전문직 지식과 창의적 문제해결책을 신장시킬 수 있는 수업 능력, 연구 능력 및 인성적 자질이 요구된다. 2. 영재교육진흥법과 동법 시행령에 의한 연수를 받아야 영재교육 담당 교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3. 현재 대부분의 연수는 영재학급이나 각 시도 교육청 산하의 영재교육원의 교원을 위한 연수가 연수의 내용이나 대상자 선정 등이 다양하여 체계적인 연수가 이루어 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4. 연수 프로그램을 구안함에 있어서 연수의 목적, 연수의 대상, 연수의 시기, 연수의 장소, 연수의 내용, 연수의 방법 등을 고려하여 현실성 있는 연수 계획을 수립·시행하여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teacher of science gifted students. For this, we investigated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teacher, a course of study and contents On the basis this study, we suggested a desirabl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teacher of science gifted studen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science gifted teacher's capacity needs understanding on the necessary of the science gifted education teaching method for nurturing creative problem solving, professional knowledge and research ability on science, and personality. 2. In order to teach the gifted student, it is necessary to take the course of study and capacity decided by the law for promotion of the gifted education and enforcement ordinance. 3. The curriculum and leaching method of the each education center for the science gifted teacher was various. Consequently this study was founded that practical instruction could not accomplish. 4. Finally we suggest that curriculum developers should consider seriously on what the goal, subject, time, place, content and teaching method of the course of study for the science gifted teacher.

      • 예비초등교사와 초등교사의 과학과 과학교육에 관한 인식

        조혜경 仁川敎育大學校 科學敎育硏究所 2004 과학교육논총 Vol.16 No.-

        본 연구는 예비초등교사와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과학과 과학교육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고 이들간의 차이를 규명해 봄으로써 과학 교육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계획되었다. 예비초등교사와 초등교사의 과학과 과학교육에 관한 인식에 대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두 집단 모두 과학과 과학교육에 관한 중요도, 자신감, 선호도, 교육환경, 주관적 생각의 5개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예비초등교사와 초등교사의 인식의 차이를 조사하여 본 결과 초등예비교사들 중 성별에 따른 인식의 평균값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별로는 차이가 없고, 반별 편성방법에 따라서는 과학반이 비과학반이나 특별편입반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현직교사들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성별, 연령별, 교직경력별로 비교하여 보았으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초등교사와 초등교사를 통합하여 본 인식의 차이에서 예비초등교사에 비하여 초등교사의 평균값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나 예비초등교사의 과학과 과학교육에 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한 노력의 필요성을 시사해주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pre-service and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n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Through factor analysis, perception factors of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were identified as 'importance', 'self-confidence', 'preference', 'education environment', and 'subjective thought'. In both groups, 'importance' was the highest perception factor. The mean value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on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ex and class division. However, that of in-servic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on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didn't show any difference between segmented groups. The mean value of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presenting the need of effort to increase th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