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병기 시조와 황진이 시조의 비교 고찰

        이순희(Lee, Soon-Hee) 한국시조학회 2014 시조학논총 Vol.40 No.-

        우리 국문학의 가장 큰 문제점은 대부분의 전통인문학이 수입인문학과 상생적으로 조화를 이루지 못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가람 이병기는 전통인문학의 한 갈래인 고시조를 시대변화에 발맞추어 유지·발전시키기 위해 시조혁신론을 주창하였다. 본고는 가람 이병기 시조와 황진이 시조의 비교 고찰을 통해 가람 이병기가 시조문학에 있어 시도했던 전통인문학과 수입인문학의 조화로운 통합을 이룩하는 일련의 과정을 분석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가람 이병기는 우리 시조문학이 가지고 있는 본래의 모습인 간결성과 명료성을 구심점으로 하면서 표현 방법, 주제선택, 리듬 창조 등에서 이미지즘의 영향을 받아들여 발전적인 변화를 시도했다. 여기서 시조가 가지는 간결성과 명료성은 이미지즘이 동양시문학에서 받아들인 부분이다. 이병기 시조와 황진이 시조를 ‘시조의 의미와 운율, 시조의 비유, 극적 상황, 복합성과 통일성’ 등으로 나누어 고구(考究)했다. 먼저 가람 이병기 시조와 황진이 시조의 공통점으로는 ‘시조의 비유’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시조의 비유’ 부분에서 범위를 확대하면 비유뿐만 아니라 말씨와 관계된 분야까지 포함하므로 모두가 일치한다고 할 수는 없다. 한정된 언어 사용이나 한자어구 사용은 차이점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시대와 장르변화에 따른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외에 ‘시조의 의미와 운율’, ‘극적 상황’, ‘복합성과 통일성’ 부분에서는 모두 차이점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러한 차이점은 이미지즘 이론의 영향으로 형성되었다. ‘시조의 의미와 운율’에서 가람 이병기는 황진이 시조를 비롯한 고시조의 악곡이 떨어져 나간 자리에 대체물로써 ‘격조의 변화’를 새롭게 도입했다. 그 ‘격조의 변화’를 위해 ‘정형적 자유시’를 구사했으며 ‘행구분의 다양화’를 시도했다. ‘극적 상황’에서는 작가의 다양한 연출 상황이 요구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주제와 소재의 선택이 확장되어야 한다. 황진이 시조의 경우 주제와 소재가 한정되어있으므로 가람 이병기는 이 부분을 지양하고 있어 뚜렷한 차이점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취재범위의 확장’으로 보완하고 있다. ‘복합성과 통일성’에서는 많은 내용을 담되 내용의 통일을 기해야 하는 것으로 가람 이병기는 시조의 복합성과 통일성을 유지하기 위해 ‘연시조’를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황진이 시조의 경우 6편 모두가 단시조로 이 부분도 가람 이병기 시조와 황진이 시조가 가지는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가람 이병기 시조와 황진이 시조의 이 같은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변하지 않고 존재하고 있는 것은 시조 문학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간결성과 명료성이다. 간결성과 명료성 외에 시조혁신론을 통해 리듬이나 주제와 소재 선택 등에서 보여준 변화는 시대와 장르 변화에 따른 능동적인 변화였으며 상생적인 변화였다. 그 능동적이고 상생적인 변화를 위해 가져온 것이 이미지즘 이론이었다. 그러나 그 이미지즘 이론의 뿌리는 전통인문학에 닿아 있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osely examine which imported humanscience element was integrated into the traditional human-science element that Hwang Jin-i Sijo had possessed, resulting in having formed the Lee Byeong-gi Sijo literature, through difference that these works have while considering comparison between Garam Lee Byeong-gi Sijo and Hwang Jin-i Sijo. The biggest problem of our human science is what most of the traditional human science failed to be co-existentially harmonized with the imported human science. However, Lee Byeong-gi advocated the Sijo reformism theory in order to maintain and develop classic Sijo(古時調), which is one branch of traditional human science, in line with a historical change. This study examined Lee Byeong-gi Sijo and Hwang Jin-i Sijo by being divided into ‘poetic rhythm & meaning, poetic accent & metaphor, dramatic situation, complexity & unity,’ thereby having been able to demonstrate that Lee Byeong-gi advocated the Sijo reformism theory by harmoniously integrating the theory of imagism poetry, which is one branch of the imported human science, into the classic Sijo, which is one branch of traditional human science, and that the main axis of forming the Sijo reformism theory was the harmonious integration between the literary characteristic of being possessed by classic Sijo, and the theory of imagism poetry.

      • KCI등재

        이병기 시조의 이미지와 율격 연구

        이순희(Lee, Soon-Hee) 한국어문학회 2014 語文學 Vol.0 No.12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mage and versification rule of being embodied in Lee Byeong-gi Sijo. In the process of reproducing Gosijo(古詩調), which had been a song genre, into modern Sijo, which is a literature genre, Garam Lee Byeong-gi accepted the Anglo-American imagist theory in the 1910s, thereby having systematized a theory of modern Sijo. In the middle of analyzing Sijo works that were put in Lee Byeonggi’s 『Collection of Garam`s Sijo Poems』, it could demonstrate that Lee Byeong-gi was influenced by ‘use of daily terminology,’ ‘freedom of choosing a topic,’ ‘suggestion of image(imagery),’ ‘creation of new rhythm,’ and ‘emphasized concentration,’ which correspond to the imagist theory, thereby having asserted ‘diversification in terminology,’ ‘expansion in coverage range,’ ‘Silgamsiljeong(實感實情: actually experiencing and feeling),’ ‘a change in tone,’ and ‘creation in Yeonsijo(聯時調)’ in the Sijo renovation theory and having applied these theories to the creation of a work.

      • 동적 분할 기법을 이용한 비디오 데이터의 대표키 프레임 추출

        이순희,김영희,유근호,Lee, Soon-Hee,Kim, Young-Hee,Ryu, Keun-Ho 대한전자공학회 2001 電子工學會論文誌-CI (Computer and Information) Vol.38 No.1

        To access the multimedia data, such as video data with temporal properties, the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technique is required. Moreover, one of the basic techniques for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is an extraction of representative key-frames. Not only did we implement this method, but also by analyzing the video data, we have proven the proposed method to be both effective and accurate. In addition, this method is expected to solve the real world problem of building video databases, as it is very useful in building an index. 시간적 특성을 가진 비디오 자료와 같은 멀티미디어의 자료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내용 기반 이미지 검색 기술이 필요하다. 더욱이, 내용 기반 이미지 검색의 기본적인 기술 중의 하나가 대표키 프레임들의 추출이다. 제안된 방법을 구현했을 뿐만 아니라, 대표키 프레임들이 비디오 데이터의 특성에 대한 데이터 분석을 사용하여 추출될 수 있음을 보였다. 또한, 제안된 방법이 정확함 뿐만 아니라 효과적이라는 것을 증명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비디오 데이터 베이스를 위해 색인을 구축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그러므로 제안한 방법이 실세계에서 비디오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는데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 MPEG-7에 기반한 동영상 데이터베이스

        이순희,Lee, Soon-Hee 한국컴퓨터산업학회 2007 컴퓨터産業敎育學會論文誌 Vol.8 No.2

        In order to construct a Video Database, shot change detection should be made first. But, because these processes are not automated perfectly, we need a lot of time and efforts now. And, there are many shot change detection algorithms, which can't always insure the perfect result because of the editing effects such as cut, wipe, and dissolves used in film production. Therefore, in order to receive the exact shot change, It needs the verification and correction by manual processing at any cost. Spatiotemporal slice is a simple image condensing method for the content changes of video. The editing effects are expressed on the Spatiotemporal slice in the visually noticed form of vertical line, diagonal line, curved line and gradual color changes, etc. Accordingly the parts doubted as a shot change can be easily detected by the change of the Spatiotemporal slice without replaying the video. The system proposed in this study makes it possible to delete the false detected key frames, and create the undetected key frames on the Spatiotemporal slice. 동영상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구축하려면 동영상의 샷 경계 검출이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이 과정이 자동화되지 않아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샷 경계 검출 알고리즘은 많이 연구되고 있으나 영상 편집시 사용된 편집 효과의 발전에 의하여 완벽한 검출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정확한 샷 경계를 얻기 위해서는 수작업에 의한 검증과 수정이 꼭 필요하다. 시공간 슬라이스는 영상의 내용 변화를 요약한 한 장의 이미지이다. 편집 효과는 수직선, 사선, 곡선, 점진적 색상의 변화 등 시각적으로 인지 가능한 형태로 시공간 슬라이스에 표현된다. 따라서 영상을 재생시키지 않고도 시공간 슬라이스의 변화만으로 샷 경계를 쉽고 빠르게 찾아낼 수 있다. 이 논문에서 제안하고 구현한 시스템은 시공간 슬라이스 상에서 오검출 키 프레임을 삭제할 수 있으며 미검출 된 키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 KCI등재

        근현대 시조의 격조 연구

        이순희(Lee, Soon-Hee) 한국시조학회 2018 시조학논총 Vol.49 No.-

        본고의 목적은 이병기가 시조혁신론에서 주창한 격조의 변화가 이호우와 김상옥 시조에서는 어떻게 변모했는가를 살피는 가운데 시조 정체성을 찾는 데 있다. 가람 이병기는 격조의 변화를 꾀하기 위해 자수의 융통성, 자유로운 행갈이 등을 주장했으나 격조 변화를 위한 명료한 방법을 제시하지 않고 독자 제씨에게 더 많은 변화의 여지를 남겼기 때문에 오늘날 시조의 정체성은 불분명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문제의 원인이 된 시점부터 변모 과정을 진단해 가다보면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잡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이호우와 김상옥은 문장지를 통해 이병기의 추천을 받아 문단활동을 시작했으므로 이병기의 시조혁신론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이 두 사람은 영향받은 바는 동일하나 그 형태는 같지 않다. 이호우는 격조를 살리고 국민시로서의 면모를 다지기 위해 시조 자수에 융통성을 주었다. 이에 비해 김상옥은 두 번째 출간한 시조집 『삼행시육십오편』에서 삼행시라 하여 구, 음보, 음수를 염두에 두지 않고 삼행만 살려놓는 파격적 시조를 창작했다. 이는 의미에 치중하다 보니 시조 정형을 간과한 결과라 할 수 있겠다. 또한 김상옥은 이병기의 시조혁신론 제 1항 이미지에 영향 받은 바가 컸다. 그는 시는 물론 시조, 동시 등에서 조형적인 이미지를 살리는 데 주력했다. 이병기의 시조혁신론에 이어 이호우의 ‘국민시’, 김상옥의 ‘조형시’를 살펴본 결과 오늘날 현대시조가 나아갈 길은 자수의 가감에 어느 정도 융통성을 주는 격조론을 추구하되 자수의 완전한 파괴로 나아가서는 안 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점은 일찍이 이병기나 이호우가 우려했던 점이기도 하다. 따라서 자수의 융통성을 둔 격조를 살리면서 특정한 어미 사용이나, 음 · 어절의 반복을 살리는 병치 기법, 이미지 기법 등으로 리듬과 의미가 조화를 이루는 시조 미학을 살려가야 할 것으로 분석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Sijo identity and Sijo aesthetics amidst examining how a change in tone(格調) that Lee Byeong-gi advocated in the theory of Sijo reformation was transformed in sijo(s) by Lee Ho-u and Kim Sang-ok. Garam(嘉藍) Lee Byeong-gi(李秉岐) asserted the meter(字數) flexibility and the free line shift in order to promote a change in tone(格調), but did not suggest a clear method for a change in tone. Thus, the sijo identity ended in being ambiguous these days. As a result of having figured out Lee Ho-u`s `national poem` and Kim Sang-ok`s `formative poem` following Lee Byeong-gi`s theory of Sijo reformation, the way to which the contemporary sijo will need to advance nowadays is thought to be unlikely the way of being proceeded the complete destruction in meter(字數) while seeking the theory of tone(格調), which comparatively gives flexibility to an increase and a decrease in meter(字數).

      • KCI등재
      • KCI등재

        뱅자맹 콩스탕의 소설 작법에 대한 재고

        이순희(Lee, Soon-Hee)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코기토 Vol.- No.81

        『아돌프』가 발표되자마자 세간의 관심은 온통 등장인물, 아돌프와 엘레노르의 모델이 되었을 실제 인물에 쏟아졌다. 아돌프는 콩스탕과 동일시되었고, 엘레노르에 대해서는 작가의 주변 인물들이 차례로 언급되었다. 콩스탕은 이에 즉각 반응했고,『아돌프』가 ‘허구’의 작품임을 여러 차례 강조했다. 본 연구는 어떤 이유에서 콩스탕이 이처럼 한결같이 자신의 작품이 허구임을 강조하는 것일지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했다. 콩스탕=『아돌프』의 작가라는 도식은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중반에 이르기까지 그의 다른 소설 작품들이 차례로 발견되면서 수정되었다. 작품들이 세상에 알려지면서 콩스탕의 작품 세계는 확장되었고 작가와『아돌프』에 관한 연구에도 섬세한 수정이 가해졌다. 이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는 가운데 우리는 이 작품들이 모두 같은 시기에 집필되었고, 모두 자전적 요소들을 바탕으로 삼고 있으며, 여러 작품들 가운데 유일하게『아돌프』만이 완성되어 발표되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사실은 우리에게 몇 가지 점을 시사한다. 첫째 그에게 소설 쓰기는 제정시대의 정치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치유책이었고, 둘째 자서전에서 로마네스크로의 이행, 또 ‘나’의 이야기에서 출발해서 보편의 법칙에 이르는 것을 소설의 원칙으로 삼았으며, 셋째 이를 위해 일정한 가공 과정, 즉 자전적인 에피소드에서 출발해서 비극과 불행의 요소들을 가미하고 허구를 소설 전면으로 내세우는 과정을 거쳤다는 점이 그것이다. 작품은 중심 서사와 서사-틀로 구성되고 성격으로 인한 불행이 주인공-화자의 명철한 의식으로 분석되어 있다. 경구와 서사-틀의 부가 장치로 독자는 인물들의 고통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게 되는 동시에 객관적이며 관조적인 입장을 취하게 되며, 후일 콩스탕이 『비극에 관한 고찰』에서 보다 명확하게 표현할 현대비극의 세 가지 요소, 사랑과 개인성과 사회가 작품속에 효과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오늘날 프랑스 문학사에 한편의 고전으로 정착된 『아돌프』는 이처럼 콩스탕의 치밀한 소설 가공 과정을 거친 결과이며, 그는 당시 부상하던 소설 장르에 관심을 두고 있었던 그 어떤 작가들보다 섬세하게 소설의 글쓰기를 완성했다. As soon as it was published, Adolphe had sparked lively discussions about the characters, Adolphe and Ellénore. Adolphe was immediately identified with Constant himself, and Ellénore had evoked all the women of Constant. Faced with this phenomenon, Constant had affirmed and reaffirmed that this was a fiction without any relation to real people. Our study begins with this point : for what reason Constant spoke so fiercely of fiction. By retracing the previous studies on the enlarged literary world of Constant with the new discovery or publication of his other works in manuscript or in oblivion, we have seen some interesting points. 1. to write the novel was a kind of consolation to him at a time when he felt unconcerned far from the political scene, 2. he took as the principle of writing the passage from the biographical elements to the romantic. Begins with a biographical episode, adds tragic elements, and then puts it before fiction. In Adolphe, composed of narration and framing, the narrator analyzes with lucidity the misfortune caused by the character. The devices as maxims and framing makes the reader both plunge into the tragic love and take the observing and contemplative position. Passion, characters, action of society, these three elements of the modern tragedy that will later evoke our writer in the Reflections on the tragedy are arranged in the work in order to produce the tragic effect Nowadays considered as one of the classical works in the history of French literature, Adolphe is the result of a well-crafted factory, Constant thus accomplished a novel writing better than anyone who was interested in the same period in the novel genre in beginning of ascension.

      • KCI등재

        현대시조의 보편성과 특수성 고찰

        이순희(Lee, Soon-Hee) 한국시조학회 2013 시조학논총 Vol.38 No.-

        본 연구는 서구 이미지즘과 한시의 영향관계를 통해 현대시조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고찰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그러한 가운데 미래를 향해 현대시조가 나아가야 할 방향도 제시해 보고자 한다. 20세기 초 E. Pound를 중심으로 전개된 ‘이미지즘 시 운동’은 한시에 영향을 받아 이루어졌으며, 우리나라 초창기 기록문학이 한문학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곧 우리 문학에서 이미지즘의 뿌리가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해석은 지금까지 유지해 오던 문학에 있어 ‘서구 중심주의’ 내지는 ‘동양에 대한 서양의 우월성’을 바로잡을 수 있는 계기가 된다. 현대시조에 드러난 세계적 보편성은 가람 이병기의 ‘시조혁신론에 나타난 간결성, 압축성, 선명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미지즘 시에서 이러한 특성은 창작지침인 “이미지스트 6개항 원칙”에 나타나 있다. 즉, 첫째 항에 나타나 있는 ‘수식적인 말은 결코 사용하지 말고 정확한 말만을 사용할 것’, 넷째 항의 ‘특수한 것을 정확하게 표현할 것’, 다섯째 항의 ‘조각같이 확연하고 눈에 명백히 보이는 시를 지을 것’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요소는 결국 한시의 특징이라고도 할 수 있는데, 이미지를 살린 회화성, 대구를 사용하여 짧은 시형 속에 많은 의미를 포함하는 간결성 등에서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 있다. 현대시조에 드러난 동양적인 특수성은 한시에서 유래되는 것으로 이미지즘시와는 구별되는 부분이다. 이미지즘 시에서 추구한 탐구적 관점과는 다른 관조적 관점을 띠고 있다. 이러한 까닭은 서양과 동양이 자연을 바라보는 관점이 다르며 그러한 것으로 인해 자아와 대상 간의 관계 맺기가 다르기 때문이다. 서양은 예로부터 자연을 정복의 대상으로 바라보았기 때문에 탐구적 관점을 지니게 되었으며 동양은 자연을 동일시하여 자아와 대상간의 벽을 허물었기 때문에 관조적 관점을 가지게 되었다. 동양적 시정신인 관조적 관점은 현대시조에 그대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미지즘 시와는 구별되는 동양적인 특수성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1930년대 자리를 잡기 시작한 현대시조는 이미지즘에 많은 영향을 받아 세계적인 보편성을 띠게 되었으나 한시로부터 면면히 이어져오는 시정신인 관조적 관점은 그대로 지니고 있어 동양적인 특수성을 지닐 수 있었다. 그러나 현재, 현대시조는 시조로서의 정체성이 사라져 가고 있다는 문제점을 제기 받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현대시조가 나름대로의 특수성을 살려내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무조건 타 장르의 영향을 무시할 수는 없다. 자신의 정체성에 맞게 받아들이고 변화시키는 유연성이 필요할 것이다. 특수성을 지닌 채 언제나 열려있는 상황에서 영향을 주고받아 보편성을 확보한다면 문제점은 쉽게 해소될 것이라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Western imagism and Sino-Korean poetry in an effort to shed light on the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f modern Shijo. The imagist poetry movement led by E. Pound in the early 20th century was under the influence of Sino-Korean poetry, and that had a huge impact on modern Shijo that started to be entrenched in the 1930s. This fact could be inferred from the similarities between Lee Byung-ki"s theory of Shijo renovation and Pound"s six principles of imagists, which respectively served as guides to modern Shijo and imagist poetry. Therefore poems written by three different poets, who were Lee Baek, E. Pound and Garam Lee Byung-ki, were compared to find out their common denominators to determine the global universality of modern Shijo, and the differences among their poems were investigated as well to define the specificity of Asian poetry.

      • KCI등재

        누리과정 예술경험을 기반으로 한 참여형 교사연수 경험에 대한 연구 : 창의적 교수효능감과 교사경험을 중심으로

        이순희(Lee, Soon Hee),송승민(Song, Seung-Min),이형민(Lee, Hyung Min),박인영(Park, In Young)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20 창의력교육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누리과정 예술경험을 기반으로 한 참여형 교사연수에 참여한 보육교사들의 창의적 교수효능감의 변화를 실험연구를 통해 알아보고, 질적연구를 통해 그들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살펴보았다. 첫째, 참여형 교사연수에 참여한 만 5세 보육교사 60명을 실험집단으로 하여 교수효능감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고, 한 달 후에 48명을 대상으로 추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둘째, 참여형 교사연수에 참여한 만 5세 보육교사 10명을 대상으로 비구조화된 질문지를 통하여 5명씩 소그룹으로 나눠 사전, 사후에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추후에는 개별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양적 연구에서의 창의적 교수효능감은 사전에 비해 사후에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는 사전에 비해 향상되었지만, 사후에 비해서는 다소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 연구에서는 참여형 교사연수에 대한 이해와 인식, 참여형 교사연수를 통해 느낀 예술경험의 진정한 가치들, 반성적 사고와 교수효능감의 변화가 탐색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of teaching efficacy of child car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participatory teacher training based on creativity and the artistic experience areas of Nuri curriculum through the experimental research. And it also examined their experiences in depth through the qualitative research. First, A pre-test and post-test for teaching efficacy were conducted with 60 child care teachers taking care of 5-year-old children of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participatory teacher training. And a month later, follow-up test called subsequent examination was conducted with 48 teachers of experimental and a month after the end of the program, a follow-up test was conducted with 48 teachers who took part in the program. Second, Pre and Post focus group interviews using un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for 10 child car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participatory teacher training. 10 teachers were divided into small groups of five, and the follow-up test was conducted by individual interview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reative teaching efficacy in the quantitative study was improved in post-test compared to pre-test. The creative teaching efficacy of the follow-up test was improved compared to the pre-test, but slightly lower than the post-test. In qualitative research, the understanding and perception of participatory teacher training, the true value of artistic experiences, the reflective thinking and changes in teaching efficacy were explo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