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ntractable metabolic acidosis in a child with propionic acidemia undergoing liver transplantation -a case report-

        Jiyoung Ryu,곽미숙,김갑수,Young Hee Shin,고저스틴상욱 대한마취통증의학회 2013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65 No.3

        Propionic acidemia (PA) is a rare autosomal recessive disorder of metabolism caused by deficient activity of the mitochondrial enzyme propionyl-CoA carboxylase. The clinical manifestations are metabolic acidosis, poor feeding, lethargy, vomiting, osteoporosis, neurological dysfunction, pancytopenia, developmental retardation and cardiomyopathy. Liver transplantation has recently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treatment options for patients with PA. This case report describes several anesthetic considerations for patients with PA undergoing liver transplantation. Understanding the patient’s status and avoiding events that may precipitate metabolic acidosis are important for anesthetic management of patients with PA. In conclusion, anesthesia should be focused on minimizing the severity of metabolic acidosis with following considerations: (1) maintaining optimal tissue perfusion by avoiding hypotension, (2) preventing hypoglycemia, and (3) providing bicarbonate to compensate for the acidosis.

      • KCI등재

        과학영재 이공계 여자 대학(원)생의 학교환경과 진로에 대한 인식

        류지영(Jiyoung Ryu),김지선(Jiseon Kim) 한국영재학회 2021 영재교육연구 Vol.31 No.4

        본 연구는 이공계 특성화 대학에 재학중인 여학생들의 학교환경과 학업에 대한 인식, 진로 준비 및 진로에 대한 기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들의 인식이 남학생들과 어떻게 다른지를 비교하기 위해, 77명의 여학생과 145명의 남학생, 모두 222명의 대학(원)생이 참여하였다. 설문을 통해 이공계에 여학생이 적은 이유, 학교환경 및 학업, 이공계 여학생에 대한 선입관, 진로 준비, 진로 결정에 영향을 준 사람, 진로 고민 해결법, 진로 전망에 대한 여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여학생들은 이공계 여학생의 낮은 비율에 대한 이유에 있어 남학생들과 인식 차이를 보였다. 여학생들은 부모와 사회의 격려와 도움 부족, 주변의 편견과 선입관이 원인이라고 더 많이 인식하는 반면, 남학생들은 여학생들의 역량과 태도의 부족, 수·과학에 대한 낮은 관심이 원인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여학생들은 남학생들보다 학업에 대한 자신감이 낮고, 학교가 여학생에 덜 우호적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영재 여자 대학생들이 관련 분야에서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지원책과 대처방안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gifted female students attending science and engineering specialized college with respect to their perceptions of academic and learning environment, career preparation, and career expectations for their majors. 77 female students and 145 male students, a total of 222 college(including 132 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 with 32 questions was used. We asked the students how they thought there were fewer female students in science and engineering, school environment, gender stereotypes on science and engineering, career preparation, career decisio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male and female students showed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the reason why there were fewer female students in science and engineering. Female students perceived more as the cause of lack of encouragement and help from parents and society, and prejudice and preconceived notions about female in science and engineering, while male students perceived the lack of competence and attitude, and female’s low interest in mathematics and science. Female students had lower confidence in their studies than male students, and they thought that schools were less friendly to female student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upport and further research recommendations were proposed to help female science and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demonstrate their capabilities in related fields.

      • KCI등재후보

        사회통합전형 과학고등학교 입학생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류지영 ( Jiyoung Ryu ),정유리 ( Yuri Jeong ),전미란 ( Miran Chun ) 한국창의정보문화학회 2020 창의정보문화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사회통합전형으로 과학고등학교를 입학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프로그램은 과학고 사회통합전형 학생의 효율적인 학교 적응 지원을 통한 과학기술인으로서의 성장 도모 및 교육 격차 해소라는 목표로 개발되었고, 사회통합전형으로 입학하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입학 전과 입학 초기 여름방학에 적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사전-사후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자아탄력성 검사와 면담을 실시하였다. 70명이 입학전 프로그램에 참여하였고, 이 중 56명이 입학 초기 여름방학 프로그램에 참여하였으며, 36명의 학생들이 프로그램 효과와 관련한 일대일 면담에 참여하였다. 검사 결과에서는 자아탄력성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면담 결과에서는 학생들이 과학고에 입학하고 나서 학업적인 면이나 학교생활 적응 면에서 프로그램이 큰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이를 통하여 이 학생들에게 필요한 지원에 대한 제안과 추후연구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implement education programs for the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who entered by affirmative action. The program was developed with the goal of bridging the educational gap through effective school adaptation of these students. The program was applied, and then pre-post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elasticity test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70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before entrance program, 56 of them participated in the summer vacation program, and 36 of them participated in one-on-one interviews related to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In the test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self-elasticity, and in the interview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program was very helpful in terms of academic and school life. Suggestions for further support and studies were provided.

      • KCI등재

        영재학생이 지각한 사회적지지와 학교행복의 관계

        류지영(Jiyoung Ryu),전미란(Miran Chun) 한국영재학회 2020 영재교육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영재학생들이 지각하는 사회적지지와 학교행복의 양상 및 두 척도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 영재학생 134명과 중학생 영재 124명, 총 258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사회적지지와 학교행복을 측정하기 위해 사회적지지 검사와, 학교행복 검사척도가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학생들은 사회적지지 중 부모지지를 가장 높게 느끼고 있었고, 다음으로 친구지지, 교사지지의 순이었다. 학교행복에 대해서는 친구관계와 학습의 즐거움, 자기효능감, 환경만족과 교사관계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사회적지지와 학교행복은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며, 회귀분석 결과 사회적지지는 영재학생들의 학교행복에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R<SUP>2</SUP>=.621). 사회적지지 검사 하위요인들의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각 하위요인들이 더해질수록 학교행복에 대한 영향력이 더 커지는 것을 알게 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영재학생들이 학교행복감을 더 높일 수 있는 제안들과 후속연구가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ocial support perceived by gifted students, aspects of school happines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scales. For this research, a total of 258 students (134 elementary and 124 middle school) participated in the study. To measure social support and school happiness, the social support test and school happiness test scale were used. As a result of the study, students felt the highest support from parents, followed by friends and teachers. In terms of school happiness, friends and learning pleasure, self-efficacy, environmental satisfaction, and teacher relations were the highest. Social support and school happiness have a high correlation,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ocial support has a great influence on school happiness in gifted students (R<SUP>2</SUP>=.621). As a result of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social support test sub-factors, it was found that the more each sub-factor added, the greater the influence had on school happin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ions and follow-up studies were presented to help gifted students increase their school happiness.

      • KCI등재

        과학관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초·중등 교사들의 인식과 현장 적용방안

        류지영(Jiyoung Ryu),김미진(Mijin Kim) 한국열린교육학회 2018 열린교육연구 Vol.26 No.2

        본 연구는 대표적 학교 밖 과학교육기관인 과학관과 과학관 교육에 대한 초·중등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 과학관 교육이 나아갈 방향에 대한 논의와 함께 과학관 교육의 효율적인 현장적용을 위한 제언에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과학관과 과학관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앞으로 과학관이 나아가야 할 방향 등을 물어보는 설문에 245명의 교사들이 참여하였다. 교사들은 학생들의 과학교육에 과학관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장소라는 것에는 동의하였지만, 현재의 과학관 전시물들은 학교 교육과정과 제대로 연계되어 있지 않다는 의견을 보여 주었다.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관 교육이 비형식 교육기관으로서 의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도록 학교교육과정에 연계하는 방안과 함께 과학관 전시물의 교육적 활용 방안에 대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Science museums are regarded as some of the best out-of-school learning places for experiencing and learning sc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on science museums and their effect of informal education, and suggest an effective educational direction for the science museums. To achieve the purpose, we developed a questionnaire and 245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the questionnaires, we asked teachers about their perceptions of museums, and what they expected of science museums in terms of educational purposes. The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agreed that science museums play an important role in letting students experience and learn science. However, they replied that there is a weak relationship between present science curriculum at regular schools and the displays at the science museum.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several recommendations for an effective use of science museums as informal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he necessity of a following research about the connection between the displays at the science museums and the science curriculum at regular schools.

      • KCI등재

        과학관 활용 조사를 통한 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 방안

        류지영 ( Ryu Jiyoung ),김미진 ( Kim Mi Ji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문화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대표적 학교밖 과학교육기관이자 현장체험학습이나 자유학기제 등으로 많은 학생들이 방문하는 과학관을 학교에서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를 살펴 본 다음, 과학관을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교육 체험 장소로 활용할 수 있도록 과학관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사들의 과학관 교육 활용 현황에 대한 선행연구와 설문을 실시하였는데, 교사들은 과학관을 방문하기 전에 과학관 전시물에 대한 사전 조사를 하며, 과학관에서는 전문해설사의 설명이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교사들은 과학관이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갖게 해 주는 기관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여러 자료와 정보를 바탕으로 학생-교사-과학관이 상호 연계된 학교 교육과정 연계 과학관 교육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 교육모델이 효과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과학관 전시물과 학교 교육과정을 연계한 자료들과 활동지들이 개발되어야 하고, 개발된 정보들은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인터넷에 탑재되도록 제안하였다. 또한 보다 효과적인 과학관 교육 모델이 되기 위해서는 과학관에서 교사들을 직접 연수하는 방안도 고려하여야 하며, 이 모델이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와 지식형성 등에 도움이 되는지에 대한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effective educational methods in science museum for teachers and students who visited a science museum during school trips. To achieve the purpose, we examined how science museum which was regarded as the best out-of-school learning place for experiencing a science, was used as an educational purpose by school teachers. 245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teachers were participated in a survey study. Based on this survey and previous literature review, we found out that teachers studied about the science museum and museum displays before visiting, and they prefer museum docent`s guide. Teachers regard the science museum as unofficial institute to improve students` interest and motivation in science, and students` positive attitude toward science. Based on these results, we developed a science museum education model. The model suggest to cooperate school teachers, students, and museum to link museum display and school curriculum. For the best result of this model, science museum needs to develop educational resources and materials linking science museum with science curriculum and upload those to museum homepage for teachers and students. Teachers training program for science teachers in science museum are also needed. The following research on examining the effects of this model is highly recommended.

      • KCI등재

        스마트폰 사용 패턴 수집 및 분석을 통한 스마트폰 중독 및 질병 예방 시스템

        류명운 ( Myeong-un Ryu ),류요한 ( Yo-han Ryu ),현우석 ( Wooseok Hyun ),임지영 ( Jiyoung Lim ),유일선 ( Ilsun You ),정해덕 ( Hae-duck Jeong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5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6 No.3

        최근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사회적 문제점들이 발생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과도한 스마트폰의 사용과 잘못된 이용습관은 `스마트폰 중독(smartphone addiction)`과 `스마트폰 질병(smartphone disease)`과 같은 새로운 사회적 문제점들을 야기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스마트폰 사용자의 패턴을 방향센서를 이용해서 수집하고 분석해서 스마트폰 중독 및 질병을 예방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사용자의 스마트폰 사용형태와 사용시간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위험수준에 도달하였을 경우, 사용자에게 이를 알려 줌으로써 사용자 자신이 사전에 위험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자신의 의지로 스마트폰 사용을 절제하도록 하여 스마트폰 중독 및 질병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제안한다. In recent years, in accordance with the rapidly increasing number of smartphone users, various social problems have started to occur. Examples of these problems are the overuse of smartphones and bad usage habits of smartphone users that can cause new social problems such as smartphone addiction and other smartphone related diseases. With the aim of preventing these social problems, this paper proposes a new smartphone addiction and disease prevention system. This system was developed by collecting and analyzing smartphone usage patterns. This proposed system analyzes the usage patterns and working hours of smartphone users in real time. If the detected smartphone usage patterns reach a dangerous level, the system will send warning messages to the user. This will enable users to recognize the unhealthy situation in advance by themselves. In addition, this solution could possibly prevent smartphone addiction and other smartphone related illness by preventing overuse and encouraging abstinence from using smartphones to the extent that it becomes harmful to the user.

      • GRIM19 promote bown adipogenesis and prevents obesity via regualtion of adipose tissue and immune cell

        Jiyoung Kim,JooYeon Jhun,Jin Seok Woo,Seung Hoon Lee,Jeong-Hee Jeong,KyungAh Jung,Wonhee Hur,Seon-Yeong Lee,Jae Yoon Ryu,Young-Mee Moon,Yoon Ju Jung,Kyo Young Song,Kiyuk Chang,Seung Kew Yoon,Sung-Hwan 한국실험동물학회 2021 한국실험동물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21 No.7

        Obesity, a condition characterized by excessive accumulation of body fat, is a metabolic disorder related to an increased risk of chronic inflammation. Obesity is mediated by 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 (STAT) 3, which is regulated by genes associated with retinoid interferon-induced mortality (GRIM) 19, a protein ubiquitously expressed in various human tissu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ole of GRIM19 in diet-induced obese C57BL/6 mice via intra venous or intramuscular administration of a plasmid encoding GRIM19. Splenocytes from wild-type and GRIM19-overexpressing mice were compared using enzyme-linked immunoassay,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Western blotting, flow cytometry, and histological analyses. GRIM19 attenuated the progression of obesity by regulating STAT3 activity and enhancing brown adipose tissue (BAT) differentiation. GRIM19 regulated the differentiation of mouse-derived 3T3-L1 preadipocytes into adipocytes, while modulating gene expression in white adipose tissue (WAT) and BAT. GRIM19 overexpression reduced diet-induced obesity and enhanced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in the liver. Moreover, GRIM19 overexpression reduced WAT differentiation and induced BAT differentiation in obese mice. GRIM19-transgenic mice exhibited reduced mitochondrial superoxide levels and a reciprocal balance between Th17 and Treg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GRIM19 attenuates the progression of obesity by controll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