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재학생이 지각한 사회적지지와 학교행복의 관계

        류지영(Jiyoung Ryu),전미란(Miran Chun) 한국영재학회 2020 영재교육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영재학생들이 지각하는 사회적지지와 학교행복의 양상 및 두 척도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 영재학생 134명과 중학생 영재 124명, 총 258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사회적지지와 학교행복을 측정하기 위해 사회적지지 검사와, 학교행복 검사척도가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학생들은 사회적지지 중 부모지지를 가장 높게 느끼고 있었고, 다음으로 친구지지, 교사지지의 순이었다. 학교행복에 대해서는 친구관계와 학습의 즐거움, 자기효능감, 환경만족과 교사관계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사회적지지와 학교행복은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며, 회귀분석 결과 사회적지지는 영재학생들의 학교행복에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R<SUP>2</SUP>=.621). 사회적지지 검사 하위요인들의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각 하위요인들이 더해질수록 학교행복에 대한 영향력이 더 커지는 것을 알게 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영재학생들이 학교행복감을 더 높일 수 있는 제안들과 후속연구가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ocial support perceived by gifted students, aspects of school happines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scales. For this research, a total of 258 students (134 elementary and 124 middle school) participated in the study. To measure social support and school happiness, the social support test and school happiness test scale were used. As a result of the study, students felt the highest support from parents, followed by friends and teachers. In terms of school happiness, friends and learning pleasure, self-efficacy, environmental satisfaction, and teacher relations were the highest. Social support and school happiness have a high correlation,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ocial support has a great influence on school happiness in gifted students (R<SUP>2</SUP>=.621). As a result of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social support test sub-factors, it was found that the more each sub-factor added, the greater the influence had on school happin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ions and follow-up studies were presented to help gifted students increase their school happiness.

      • KCI등재후보

        사회통합전형 과학고등학교 입학생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류지영 ( Jiyoung Ryu ),정유리 ( Yuri Jeong ),전미란 ( Miran Chun ) 한국창의정보문화학회 2020 창의정보문화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사회통합전형으로 과학고등학교를 입학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프로그램은 과학고 사회통합전형 학생의 효율적인 학교 적응 지원을 통한 과학기술인으로서의 성장 도모 및 교육 격차 해소라는 목표로 개발되었고, 사회통합전형으로 입학하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입학 전과 입학 초기 여름방학에 적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사전-사후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자아탄력성 검사와 면담을 실시하였다. 70명이 입학전 프로그램에 참여하였고, 이 중 56명이 입학 초기 여름방학 프로그램에 참여하였으며, 36명의 학생들이 프로그램 효과와 관련한 일대일 면담에 참여하였다. 검사 결과에서는 자아탄력성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면담 결과에서는 학생들이 과학고에 입학하고 나서 학업적인 면이나 학교생활 적응 면에서 프로그램이 큰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이를 통하여 이 학생들에게 필요한 지원에 대한 제안과 추후연구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implement education programs for the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who entered by affirmative action. The program was developed with the goal of bridging the educational gap through effective school adaptation of these students. The program was applied, and then pre-post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elasticity test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70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before entrance program, 56 of them participated in the summer vacation program, and 36 of them participated in one-on-one interviews related to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In the test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self-elasticity, and in the interview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program was very helpful in terms of academic and school life. Suggestions for further support and studies were provided.

      • KCI등재

        과학영재 이공계 여자 대학(원)생의 학교환경과 진로에 대한 인식

        류지영(Jiyoung Ryu),김지선(Jiseon Kim) 한국영재학회 2021 영재교육연구 Vol.31 No.4

        본 연구는 이공계 특성화 대학에 재학중인 여학생들의 학교환경과 학업에 대한 인식, 진로 준비 및 진로에 대한 기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들의 인식이 남학생들과 어떻게 다른지를 비교하기 위해, 77명의 여학생과 145명의 남학생, 모두 222명의 대학(원)생이 참여하였다. 설문을 통해 이공계에 여학생이 적은 이유, 학교환경 및 학업, 이공계 여학생에 대한 선입관, 진로 준비, 진로 결정에 영향을 준 사람, 진로 고민 해결법, 진로 전망에 대한 여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여학생들은 이공계 여학생의 낮은 비율에 대한 이유에 있어 남학생들과 인식 차이를 보였다. 여학생들은 부모와 사회의 격려와 도움 부족, 주변의 편견과 선입관이 원인이라고 더 많이 인식하는 반면, 남학생들은 여학생들의 역량과 태도의 부족, 수·과학에 대한 낮은 관심이 원인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여학생들은 남학생들보다 학업에 대한 자신감이 낮고, 학교가 여학생에 덜 우호적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영재 여자 대학생들이 관련 분야에서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지원책과 대처방안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gifted female students attending science and engineering specialized college with respect to their perceptions of academic and learning environment, career preparation, and career expectations for their majors. 77 female students and 145 male students, a total of 222 college(including 132 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 with 32 questions was used. We asked the students how they thought there were fewer female students in science and engineering, school environment, gender stereotypes on science and engineering, career preparation, career decisio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male and female students showed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the reason why there were fewer female students in science and engineering. Female students perceived more as the cause of lack of encouragement and help from parents and society, and prejudice and preconceived notions about female in science and engineering, while male students perceived the lack of competence and attitude, and female’s low interest in mathematics and science. Female students had lower confidence in their studies than male students, and they thought that schools were less friendly to female student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upport and further research recommendations were proposed to help female science and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demonstrate their capabilities in related fields.

      • KCI등재

        과학관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초·중등 교사들의 인식과 현장 적용방안

        류지영(Jiyoung Ryu),김미진(Mijin Kim) 한국열린교육학회 2018 열린교육연구 Vol.26 No.2

        본 연구는 대표적 학교 밖 과학교육기관인 과학관과 과학관 교육에 대한 초·중등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 과학관 교육이 나아갈 방향에 대한 논의와 함께 과학관 교육의 효율적인 현장적용을 위한 제언에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과학관과 과학관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앞으로 과학관이 나아가야 할 방향 등을 물어보는 설문에 245명의 교사들이 참여하였다. 교사들은 학생들의 과학교육에 과학관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장소라는 것에는 동의하였지만, 현재의 과학관 전시물들은 학교 교육과정과 제대로 연계되어 있지 않다는 의견을 보여 주었다.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관 교육이 비형식 교육기관으로서 의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도록 학교교육과정에 연계하는 방안과 함께 과학관 전시물의 교육적 활용 방안에 대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Science museums are regarded as some of the best out-of-school learning places for experiencing and learning sc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on science museums and their effect of informal education, and suggest an effective educational direction for the science museums. To achieve the purpose, we developed a questionnaire and 245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the questionnaires, we asked teachers about their perceptions of museums, and what they expected of science museums in terms of educational purposes. The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agreed that science museums play an important role in letting students experience and learn science. However, they replied that there is a weak relationship between present science curriculum at regular schools and the displays at the science museum.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several recommendations for an effective use of science museums as informal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he necessity of a following research about the connection between the displays at the science museums and the science curriculum at regular schools.

      • KCI등재

        과학관 활용 조사를 통한 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 방안

        류지영 ( Ryu Jiyoung ),김미진 ( Kim Mi Ji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문화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대표적 학교밖 과학교육기관이자 현장체험학습이나 자유학기제 등으로 많은 학생들이 방문하는 과학관을 학교에서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를 살펴 본 다음, 과학관을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교육 체험 장소로 활용할 수 있도록 과학관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사들의 과학관 교육 활용 현황에 대한 선행연구와 설문을 실시하였는데, 교사들은 과학관을 방문하기 전에 과학관 전시물에 대한 사전 조사를 하며, 과학관에서는 전문해설사의 설명이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교사들은 과학관이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갖게 해 주는 기관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여러 자료와 정보를 바탕으로 학생-교사-과학관이 상호 연계된 학교 교육과정 연계 과학관 교육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 교육모델이 효과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과학관 전시물과 학교 교육과정을 연계한 자료들과 활동지들이 개발되어야 하고, 개발된 정보들은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인터넷에 탑재되도록 제안하였다. 또한 보다 효과적인 과학관 교육 모델이 되기 위해서는 과학관에서 교사들을 직접 연수하는 방안도 고려하여야 하며, 이 모델이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와 지식형성 등에 도움이 되는지에 대한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effective educational methods in science museum for teachers and students who visited a science museum during school trips. To achieve the purpose, we examined how science museum which was regarded as the best out-of-school learning place for experiencing a science, was used as an educational purpose by school teachers. 245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teachers were participated in a survey study. Based on this survey and previous literature review, we found out that teachers studied about the science museum and museum displays before visiting, and they prefer museum docent`s guide. Teachers regard the science museum as unofficial institute to improve students` interest and motivation in science, and students` positive attitude toward science. Based on these results, we developed a science museum education model. The model suggest to cooperate school teachers, students, and museum to link museum display and school curriculum. For the best result of this model, science museum needs to develop educational resources and materials linking science museum with science curriculum and upload those to museum homepage for teachers and students. Teachers training program for science teachers in science museum are also needed. The following research on examining the effects of this model is highly recommended.

      • KCI등재

        소외계층 대상 장기 영재교육 프로그램 참가자의 중도포기 변인 분석

        김지선(Jiseon Kim),류지영(Jiyoung Ryu) 한국영재학회 2021 영재교육연구 Vol.31 No.3

        본 연구는 소외계층학생들을 위한 장기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중도포기율을 줄이고 프로그램 지속률을 높이기 위해 중도포기 변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간 400명 이상의 소외계층 학생들이 멘토교사와 일대일 맞춤형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장기간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중도포기 변인으로는 지역(대도시, 중소도시), 성별(남, 여), 학년(초4~고1), 지원영역(수학, 과학, 수‧과학, 정보, 발명, 인문사회), 지원자격(사회‧경제적, 도서벽지‧읍면지역, 학교장 추천) 및 멘토링 횟수(0~5회, 6회~10회, 11회 이상)를 분석하였다. 중도포기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알아보기 위해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였으며, 그 결과 학년, 지원자격, 멘토링 횟수가 교육프로그램 중도 포기에 영향을 주는 주요변인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바탕으로 중도포기율이 높은 변인을 가진 학생들을 위한 진로 멘토링과 상담 강화의 필요성과 함께, 프로그램 운영기관과 교사, 학부모의 연계 지원책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ropout factors in underprivileged gifted students in order to reduce the dropout rate and increase the participation rate in long-term gifted education programs. The program observed in this study has more than 400 underprivileged student participants in a year, and one mentor teacher per one student is assigned to operate a customized gifted education program. Dropout factors in this analysis are; region (urban, rural), gender (male, female), grade (4- 10), gifted education field (mathematics, science, math/science, information, inventio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underprivileged status (reason of social and economic, rural areas, principal"s recommendation, ) and number of mentoring sessions (0-5, 6-10, or 11+). The most important factors that affected dropouts were analyzed through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the grade, type of the underprivileged, and number of mentoring sessions were major factors. Based on the results, the need for career mentoring and counseling for students with high dropout rates was stressed. Additionally, how to connect and support the program management institutions, teachers, and was proposed.

      • KCI등재

        대학생의 학업성취와 학업적 희망, 성취정서 및 끈기(Grit) 간의 구조적 관계

        전미란(Miran Chun),류지영(Jiyoung Ry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8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비인지적 요인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학업성취와 관련된 학업적 희망, 성취정서, 끈기(Grit)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C도에 있는 K대학교 학생 238명(남학생 94명과 여학생 14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기술통계분석과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학업적 희망은 성취정서(긍정)에 정적인 영향을, 성취정서(부정)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성취정서(긍정/부정)는 학업적 희망의 영향을 받아 끈기(Grit)를 매개로 학업성취에 간접영향을 주었고, 끈기(Grit)는 학업성취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변인 간 영향관계를 알아봄으로써 고등학교 때와는 매우 다른 환경에서 생활하는 대학생들의 학업성취를 위하여 그들을 보다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 마련의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academic hope, achievement emotions, grit, and academic achievement of college students. Participants were 238 undergraduate students (94 male and 144 female)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conducted. In order to cultivate future-oriented social tal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ool that can separately measure self-directed competence and social competence in addition to creative competence. The results showed that academic hope influenced positively on achievement emotions such as joy and hope and pride, on the contrary, it influenced negatively on achievement emotions such as irritation, helplessness, shame, boring. Achievement emotions (positive/negative) influenced by academic hope affected academic achievement by mediation of grit. According to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practice to help undergraduat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who are living in very different environments to compare with their high school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