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온초전도 선의 전력 응용을 위한 실시간 시뮬레이션 알고리즘 개발

        강진주(Jin-Ju Kang),김재호(Jae-Ho Kim),제향호(Hyang-Ho Je),조전욱(Jeonwook Cho),심기덕(Ki-Deok Sim),박민원(Minwon Park),유인근(In-Keun Yu) 대한전기학회 2006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6 No.7

        This paper describes a real time digital simulation method for the application of HTS tape to power devices. At present, in order to extend the power capacity of some area which has a serious problem of power quality, especially metropolitan complex city, there are so many problems such as ROW for cable line routes, space for downtown substations, and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etc. HTS technology is one of the best solutions. Simulation is required for safety before install of HTS power cable, a fabrication model used at the power system simulation. Here, in this paper, authors developed an algorithm connected with HTS by using Real-Time Digital Simulator(RTDS).

      • KCI등재

        조력자로서 질적연구자의 역할에 관한 참여유아교사와의 협의과정: 유아교실 내 조력자 문화 형성

        강진주 ( Kang Jin-ju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6 교육인류학연구 Vol.19 No.3

        질적연구에서 연구자는 연구의 과정에서 배재되어야 할 존재가 아니라 오히려 그 일부로서 본다. 질적연구자는 연구 현장에 들어가서 그 곳에서 현지인들과 함께 존재함에 따라 연구자의 역할은 연구참여자와 협의하여 결정해 나간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가 기록화 실천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에 관한 박사학위논문 연구를 하는 과정에서 연구자의 역할에 대한 협의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자와 참여자와의 관계에 대해 숨겨진 이야기를 밝히고자 한다. 특히, 연구자가 조력자로서의 역할을 하는 과정은 참여교사와 협의가 이루어지는 것을 넘어 조력자의 역할은 연구자 문화와 참여교사의 문화 간의 협상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연구자는 참여자의 연구 문화에 대한 이해를 통해 현장으로 들어가야 함을 논의하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조력자로서 연구자는 교사교육자로서 역할을 하며, 교실 내에서 이루어지는 질적 연구는 단순히 연구를 위한 것이 아니라, 교사들을 위한 조력자 문화를 형성해 내는 것이다. 나아가, 이러한 연구를 통한 조력자 문화는 교사교육의 일환으로 논의될 수 있을 것이다. Qualitative researchers are considered as part of the research process, and not exclusive from the process. Qualitative researchers should negotiate their roles in the research field with participants because they enter the site and live with the participants. This reflexive story starts with my own experience as a doctoral student to negotiate the qualitative researcher`s roles as facilitator with the participants. This writing reveals behind the scenes of negotiating processes and lessons from the experiences. This story extends further into its discussion of importance of negotiating researchers` roles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 culture of within-in-class facilitator. The story ends with a discussion of qualitative researcher`s roles to create a culture of facilitator within the classroom, which implies that qualitative research can be an approach for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유아의 참여권 신장을 위한 교육적 접근으로써 기록화의 가능성

        강진주(Kang Jin ju),고은경(Goh Eun K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교육을 통해 유아의 참여권을 보장하고 확대하기 위하여 기록화가 유아의 참여를 확대시키는 교육적 접근법으로써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권리협약에서 제시하는 참여권 및 권리교육에 대한 의미를 먼저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록화를 통한 교육에서 유아의 참여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의 참여권을 유아가 자신과 관련된 주요 공적 사안에 대한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유아 중심의 기록화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유아들의 역할을 분석함으로써 교육에서 참여권의 실현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유아는 기록화 과정에서 시각적 기록을 통해 문해력의 한계를 벗어나는 자유로운 정보접근자가 될 수 있다. 둘째, 유아는 새롭게 제기되는 공동의 생각을 함께 논의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모이고 진지하게 논의할 수 있다. 셋째, 유아들은 자신들의 진짜 이야기를 들려주는 진실된 정보공개자가 될 수 있다. 넷째, 유아들은 지혜를 모아 교실을 변화시키는 실천가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들은 기록화를 통한 참여과정이 유아가 민주적 의사결정을 경험하여 시민으로서의 자질을 배우는 과정이 되며, 또한 유아에 의한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 실현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possibilities of pedagogical documentation as ways of an educational approach to promote young children’s participation rights. We examined the meanings of participation rights and education declared by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we, then, analyzed the possibilities of young children’s participation through pedagogical documentation. In the study, we defined participation as decision-making in the public issues related to young children themselves. Specifically, we analyzed the participatory roles of children during pedagogical documentation initiated by young children. The result shows young children can play the following roles throughout the documentation process. First, young children can access the information whenever needed because visual records can emancipate young children from being illiterate. Second, they can voluntarily associate to seriously discuss the issues. Third, young children can publicize the true stories of their own learning experiences. Lastly, young children can change their classrooms with the wisdom that they make together. The study discusses that pedagogical documentation can provide young children with educative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in democratic decision-making, which in conclusion can be child-centered learning experiences.

      • KCI등재후보

        대중가요 가사의 언어적 특징 연구

        강진주 ( Jin Ju Kang ) 전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4 건지인문학 Vol.12 No.-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conduct a quantitative analysis on words found in lyrics of popular songs and to understand how those words are used. The study referred to the final rankings presented in ‘GAON Music Chart’ in the first half year of 2013and selected these songs from the first rank to the 50th rank in the digital general chart as research subjects. As songs enjoyed by the public, popular songs are regardedas a significant channel to mirror and represent languages of the public. However, nevertheless, the academic world has not dealt with the popular songs often. But, today, it is the popularsongs that are read and remembered more frequently than either contemporary novels or poems, and that being so, this study believes that the popular songs are worth being investigated more than any of the latter from a viewpoint of the linguistics. In the light of that, this study selects the latest and the most famous popular songs and carries out a quantitative analysison the songs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language. This study aimed to know these particular linguistic characteristics found in the popular songs using the quantified figures. In particular, the study focused on personal pronouns and relative honorific systems appeared in the lyrics of the popular songs. As for the personal pronouns, the study noticed the development of ‘Neo’, a second-person pronoun. While these other second-person pronouns such as ‘Nim’ and ‘Dangshin’ were frequently applied in the past, now, ‘Neo’ or even ‘Nee’ which is an advanceds poken version of ‘Neo’ was being used in the lyrics quite often. In terms of the relative honorific systems used in the lyrics of the popular songs, the study found more of the informal system than the formal system, and plus, ‘Haera’ and ‘Hae’ turned out to be most frequently used in the lyrics. In addition, ‘Haera’ went with the second-person pronoun, ‘Neo’, and that proved how often the informal system is preferred for the lyrics of the contemporary popular songs. This study is considered academically significant in that it had analyzed the lyrics of the popular songs quantitatively and that it had tried to look into the language of the public by understanding the frequency.

      • KCI등재

        유아들의 디지털 사진 기록하기와 재방문에 관한 경험

        강진주 ( Jin Ju Ka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연구 Vol.3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young children experienced the recording of their lives in their kindergarten classrooms while revisiting recorded contexts through photos, and to discuss the implications of the experiences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study was conducted in a kindergarten classroom, which included children who were five years old, from the end of March 2013 to the end of July 2013. Field notes from classroom observations, transcripts from interviews with the children and their teacher, and other documents related with documentation were collected. The results show that the children were able to re-conceptualize the meaning of recording and to revisit the previous classroom experiences by thinking and conversing together through the photos. That is, they understood that purpose of recording is to show intentions, and effective recording requires cooperative relationships with the recorded. In revisiting the photos that they took, the children read each other`s thoughts and intentions and supported them. When they created a display, they revisited the whole process of the project. They assumed a writer`s role to create the story of their own project experiences. They represented group work, naming “our story” rather than “my story” while considering the audience`s perspective to learn together. The study discusses that recording should consider an agreed relationship between recorders and the recorded. Revisiting can be a natural way for young children to experience cooperative learning, leading to promote dialogical interaction. In turn, the experiences can contribute to child-centered technology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들이 디지털 사진기를 이용하여 기록하기와 기록의 재방문을 어떻게 경험하였는가를 살펴보고, 이러한 경험이 유아교육에서 어떠한 의의를 갖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3년 3월 말부터 2013년 7월 말까지 16주 동안 만 5세반 교실을 관찰하였고, 유아면담, 교사면담 및 기록화 관련 문서 수집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사진을 통한 기록화 과정에서 유아들은 기록에 대한 재해석과 함께 대화하고 생각하는 재방문을 경험하였다. 유아들은 기록하기는 의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좋은 기록을 위해서는 기록자와 기록대상간의 합의적 관계가 중요하다는 것을 이해하였다. 또한 유아들은 자신들이 기록한 사진을 통해 이루어진 학습의 재방문 과정에서 서로의 의도와 생각을 읽고 지지하였다. 기록 전시물을 만드는 과정에서 전체 프로젝트에 대한 재방문을 경험하였는데 이 경우 유아들은 프로젝트 경험에 대한 이야기를 구성하는 작가로서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이렇게 구성된 이야기는 공동작품으로서 “나”보다는 “우리”의 일을 드러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또한 기록전시물은 내가 배운 내용을 다른 사람에게 단순히 알려주기 보다는 청중의 입장을 고려하여 함께 배우기라는 측면이 강조되었다. 유아교육에서 기록하기는 기록자와 기록대상의 합의적 관계가 중요하며, 그에 대한 재방문은 대화적 관계를 변화시키고 협력학습을 이룰 수 있으며, 유아중심의 테크놀로지 교육이 될 수 있다는 점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기록화 과정에서 실행연구자로서 유아교사의 역할

        강진주(Kang, Jin-Ju)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학논총 Vol.39 No.-

        본 연구는 교육에서 실천적 지식 구성의 주체인 유아교사의 역할을 연구자로서의 교사로 보고, 연구자로서의 교사에 관하여 체계적인 담론이 형성되어 있는 실행연구 접근을 바탕으로 기록화 과정에서 실행연구자로서 유아교사의 역할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유아교사는 실천에 관한 주관적 기록자, 과거-현재-미래 교육실천에 대한 지속적인 탐구자, 교육실천의 초상화가, 공적 담론에서 실천적 이해를 위한 대화자의 역할을 지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사가 주체가 되어 자신의 실천에 대해 체계적으로 탐구하는 과정으로서의 기록화에 대한 의미를 논의하고, 교사 연구의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o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s a researcher in the process of documentation, based on the meanings of action research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o become a researcher and to establish practical knowledge of their own practices. The results show that in the documentation process teachers are subjective recorders of practices, continuous inquirers, portraitors of practical knowledge, and co-constructors of understanding of practices. The study discusses the meaning of documentation as a teacher research and makes suggestion for documentation as more systematic teacher-research methodology.

      • KCI등재

        1930년대 중반 조선중앙일보에 실린 신문연재소설의 표기 변화에 대한 연구 -이태준의 장편 소설 3편을 대상으로-

        강진주 ( Jin Ju Kang ) 우리어문학회 2015 우리어문연구 Vol.5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orthography changes shown in 「Bulmyeolui Hamseong(Immortal Shout)」, 「SeongMo(The Virgin Mary)」, and 「Hwangjini」, the novels of Lee, Taejun serialized in Chosunjungang-ilbo from 1934 to 1936. The orthography of Hangul, <Hangelmachumbeoptongiran(한글마춤법통일 안)> was enacted and announced in 1933. However, everybody can well guess that spread of the new orthography of Hangul was more likely to be restrained and how the existing one was treated even though the researcher does not tell about them if the period that Japan implemented the policy to obliterate the Korean nation is considered. Therefore, examining writing shown in serial stories in newspapers is valuable in studies in that it can be a channel to be able to know orthography and sentences of the time while it is impossible to assure what it is then easily. This paper focused on writing of serial stories published in Chosunjungang- ilbo with the especially strong inclination of ethnography. The works which become the concrete subjects are 「Bulmyeolui Hamseong(Immortal Shout)」, 「SeongMo(The Virgin Mary)」, and 「Hwangjini」which are the novels of Lee, Taejun. These three works can be the good materials which can grasp actually used orthography and the changes because they were steadily serialized for total 3 years from 1934 to 1936. This study looks at one side of orthography in the middle of 1930s. And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it can examine how the orthography of Hangul took root among people and was used in arrangement.

      • KCI등재

        만 5세 장미반 교사의 기록화 과정과 교사 역할에 대한 인식의 변화 경험

        강진주(Kang, Jin-Ju)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학논총 Vol.35 No.-

        본 연구는 유아교사가 경험한 기록화 과정과 그에 대한 인식 및 그 경험 과정에서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7년차 유아교사이며 교사 면담자료, 참여관찰 자료, 교사가 만든 프로젝트 기록물, 그 외 수업관련 문서를 수집하였다. 참여교사는 사진, 비디오 녹음/녹화, 유아작품 수집의 기록 방식을 통해 게시판, 기록화 보드(documentation board), 비디오 쇼의 기록전시를 만드는 경험을 하였다. 이 경험을 통해 참여교사는 기록화가 단순히 유아들의 학습 결과를 보여주기 위한 것이 아니라 교수(teaching)의 일부라는 인식의 변화가 이루어졌다. 또한 교사는 유아, 부모와의 관계 확대 및 지식 소비자에서 지식 생산자로 지식 전달자에서 지식 탐구자로서 자신의 역할이 변화되었음을 경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a kindergarten teacher went through the process of pedagogical documentation, how she perceived the documentation experience, and how her roles were changed in the process. The research participant was a kindergarten teacher who was introduced to pedagogical documentation for the first time. The data resources included transcription from the teacher"s interviews, field notes from classroom observations, records and displays made by the teacher, and a variety of documents related to lessons. The results show that the teacher recorded the project process by taking photos, recording videos, collecting children"s work samples and hand-writing. Using these records, she produced various types of displays such as documentation boards, video shows, and a project display board. In this process, the teacher realized that the purpose of documentation is not just to show what children learned to their parents but to use the process as part of teaching. She became aware that the documentation process changed the teacher"s roles: to extend the relationships with her students and their parents and to become a knowledge producer and an inquirer in her own practices. The role of documentation as a tool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was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